KR20050106451A - 액상체 분사 어댑터 및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 - Google Patents

액상체 분사 어댑터 및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6451A
KR20050106451A KR1020057015635A KR20057015635A KR20050106451A KR 20050106451 A KR20050106451 A KR 20050106451A KR 1020057015635 A KR1020057015635 A KR 1020057015635A KR 20057015635 A KR20057015635 A KR 20057015635A KR 20050106451 A KR20050106451 A KR 20050106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ort
connector
injection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오지 노미야마
히로시 고마쯔자끼
다까노부 세끼
쥰야 다까미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47933A external-priority patent/JP43396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11613A external-priority patent/JP460376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1161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31394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80903A external-priority patent/JP433963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조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조
Publication of KR20050106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45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05B7/2424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the carried liquid and the main stream of atomising fluid being brought together downstream of the container before discharge

Landscapes

  • Nozzl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에어건 등의 압축 가스 공급 수단의 분사구에 접속하고 그 압축 가스를 이용하여 액상체를 분사시키는 액상체 분사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압축 가스 공급 수단(100)의 분사구(101)에 접속할 수 있는 액상체 분사 어댑터이며, 분사구(101)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구부(4)와, 액상체를 분사하는 액상체 분사구부(5)와, 액상체를 수용한 액체 저장구(3)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와, 접속구부(4), 액상체 분사구부(5)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로(7)와, 연통로(7),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 사이를 연통하고, 연통로 내에 압축 가스가 유통되면 액체 저장구(3) 내의 액상체를 흡인할 수 있는 액상체 공급로(8)를 구비한 액상체 분사 어댑터(2)를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액상체 분사 어댑터 및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 {LIQUID-LIKE BODY-JETTING ADAPTER AND LIQUID-LIKE BODY FEEDER/CONTAINER}
본 발명은 세정액, 도료, 도장액, 무스제, 방청제, 녹 흑화 액상체 등의 각종 액상체, 기타 각종의 오일, 각종의 물 혹은 수용액 등, 각종의 액상체를 분사시키는 데 이용하는 액상체 분사 기구, 상세하게는 에어건 등의 압축 가스 공급 수단의 분사구에 접속하고 그 압축 가스를 이용하여 액상체를 분사시키는 액상체 분사 어댑터 및 이 액상체 분사 어댑터에 액상체를 공급하는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계 제조 공장, 플라스틱 성형 공장, 자동차 수리 공장 등, 여러 가지 공장이나 공업 시설에 있어서, 각종 액상체를 충전한 에어졸 용기가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에어졸 용기는 간편하게 액상체를 분사시킬 수 있고, 휴대성에도 우수하므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사용 완료의 에어졸 용기를 폐기할 필요가 있고, 게다가 최근에는 에어졸 용기의 폐기에 있어서는 내용물을 완전하게 배출시키는 것이 요구되게 되고, 공장 등에서는 다량으로 발생하는 사용 완료 에어졸 용기의 처리가 문제로 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에어졸 용기에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액상체 분사 기구로서, 에어건 등의 압축 가스 공급 수단의 분사구에 접속하고 그 압축 가스를 이용하여 액상체를 분사시킬 수 있는 액상체 분사 기구를 제공해야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액상체 분사 기구로서는 종래, 송풍 도장용 스프레이건의 도료 용기에 수지성 벨로우즈 용기를 이용하여 구성한 밀폐식 스프레이건이 개시되어 있지만(일본 특허 공개 평11-28394호 공보), 본 발명의 액상체 분사 기구와는 구성이 다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일례를, 어댑터 본체와 액체 저장구로 분해하여 에어건과 동시에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어댑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3은 연통로의 소직경 통로의 변형예를 도시하기 위해, 어댑터 본체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액상체 공급로가 연통로에 연결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연통로 내의 압축 가스의 흐름과 함께, 어댑터 본체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이어지는 액상체 공급로의 변형예를 도시하기 위해, 어댑터 본체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도1에 도시한 액체 저장구의 측면도이다.
도7은 도6에 도시한 액체 저장구의 동작을 설명한 측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액상체 분사 어댑터 일례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의 일례와,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일례와, 압축 가스 공급 수단의 일례로서의 에어건을 분해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0은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 및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연결 부분을 분해 상태에서 도시한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11은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 및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연결 부분을 연결 상태에서 도시한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12는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의 연결구겸 액상체 공급구부의 구성예를 분해 상태에서 도시한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13은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의 연결구겸 액상체 공급구부의 구성예를 분해 상태에서 도시한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14는 도9에 도시한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 및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15는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6은 도15에 도시한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의 상부면도이다.
도17은 도15에 도시한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자가 개발한 미공개의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 및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일례와, 압축 가스 공급 수단의 일례로서의 에어건을 분해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0은 액체 저장구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1은 도20에 도시한 액체 저장구와 액상체 분사 어댑터와 연결 구조를 도시한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22는 액체 저장구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3은 도22에 도시한 액체 저장구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4는 도23에 도시한 액체 저장구의 일구성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예의 처리액 공급 기구의 구성 요소인 처리액 공급 어댑터의 정면, 좌우 측면, 상부면, 바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6은 도2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예의 처리액 공급 기구의 구성 요소인 액체 저장구의 절반면을 단면으로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28은 도25의 처리액 공급 어댑터에 도27의 액체 저장구를 장착하였을 때 연결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자는 플라스틱 성형 공장, 자동차 수리 공장 등, 업태를 막론하고 많은 공장이나 공업 시설 등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건 등의 압축 가스 공급 수단에 착안하고, 기존의 압축 가스 공급 수단을 그대로 이용하여 각종 액상체를 간편하게 분사시킬 수 있는 액상체 분사 기구를 개발하였다.
즉, 본 발명의 액상체 분사 기구는 에어건 등의 압축 가스 공급 수단의 분사구에 접속하고 그 압축 가스를 이용하여 액상체를 분사시키는 액상체 분사 어댑터와, 이 액상체 분사 어댑터에 액상체를 공급하는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액상체 분사 어댑터는 압축 가스 공급 수단의 분사구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는 접속구부와, 액상체를 분사하는 액상체 분사구부와, 액상체를 수용한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와, 상기 접속구부 및 액상체 분사구부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로와, 상기 연통로 및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 사이를 연통하고, 연통로 내에 압축 가스가 유통되면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 내의 액상체를 흡인할 수 있는 액상체 공급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액체 저장구」라 함)는 액상체를 수용 가능하면서 팽창 수축 가능한 액체 저장부와, 연결구겸 액상체 공급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구겸 액상체 공급구부를 통해 액체 저장부 내가 흡인되면, 액체 저장부가 수축되는 동시에 내부의 액상체가 연결구겸 액상체 공급구부로부터 송출되는 구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상체 분사 기구는 상기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대부분의 공장이나 공업 시설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에어건 등의 압축 가스 공급 수단의 분사구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각종 액상체를 분사시킬 수 있어, 매우 저렴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액체 저장구에 액상체를 보급하면 영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액체 저장구를 바꿈으로써 다른 액상체를 분사시킬 수도 있으므로, 에어졸 용기의 폐기 처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는, 압축 가스 공급 수단 등의 에어건의 압축 가스를 이용하기 위해, 에어졸 용기에 비해 강력하게 액상체를 분사시킬 수 있는 등 에어졸 용기에 비해 보다 넓은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압축 가스 공급 수단」이라 함은, 압축기, 펌프, 에어건, 스프레이건 등 압축 가스를 공급하는 모든 장치 내지 도구(압축 가스 공급 장치 내지 도구)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그「분사구」라 함은 압축 가스 공급 장치 내지 도구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가스를 분사하는 분사구의 선단부, 예를 들어 에어건 등의 분사구 등이다.
「에어건」은 압축기 등으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구이며, 통상 그립부, 트리거부, 분사구 및 공기 니플 등을 구비하고, 압축 공기를 공기 니플로부터 송입하고, 트리거부의 조작에 의해 압축 공기를 분사구로부터 분사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도료 등의 액상체를 수용한 용기나 호스를 접속하는 니플을 구비하고, 압축 공기의 분출에 의해 도료 등의 액상체를 무화(안개화)시켜 분사구로부터 액상체를 분사하는 소위「스프레이건」도 에어건의 일종이지만, 이 타입의 경우는 절환 밸브 등에 의해 압축 공기만을 분사구로부터 분사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액상체」라 함은 세정액, 도료, 도장액, 무스제, 방청제, 녹 흑화 액상체, 기타 각종 오일, 각종 물 혹은 수용액 등 형상을 막론하고 임의 용도로 이용되는 각종의 액상체를 포함한다.
「압축 가스 공급 수단의 분사구에(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다」라 함은, 압축 가스가 누설되지 않도록 연결할 수 있는 모든 접속 구조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나사 결합식에 접속하는 구조, 끼워 맞춤식에 접속하는 구조 외, 예를 들어 접속구부에 압축 가스 공급 수단의 분사구를 압박하여 압축 가스가 누설되지 않도록 연결하는 구조 등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액상체 분사 기구는 액상체 분사 어댑터와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로 이루어지고, 각각 이하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할 수 있다.
(액상체 분사 어댑터)
본 발명의 액상체 분사 어댑터는, 상기와 같이 압축 가스 공급 수단의 분사구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는 접속구부와, 액상체를 분사하는 액상체 분사구부와, 액상체를 수용한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와, 상기 접속구부 및 액상체 분사구부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로와, 상기 연통로 및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 사이를 연통하는 액상체 공급로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연통로 및 액상체 공급로」는 연통로 내에 압축 가스를 흐르게 하면, 액체 저장구 내의 액상체가 액상체 공급로를 통해 연통로 내에 흡인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구체적인 구조는 임의로 형성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연통로의 중간부에 단차부가 설치되고, 상기 단차부의 접속구부측이 소직경 통로가 되고, 상기 단차부의 액상체 분사구부측이 상기 소직경 통로보다 직경이 큰 대직경 통로가 되고, 액상체 공급로가 상기 대직경 통로 내의 상기 단차부의 근방에 연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면, 연통로 내에 압축 가스를 흐르게 하면 액체 저장구 내의 액상체가 액상체 공급로를 통해 연통로 내에 흡인되고, 액상체 분사구부로부터 액상체를 분사시킬 수 있다.
또, 이 때 상기 단차부의 근방이라 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직경 통로 내를 유통해 온 압축 가스가 대직경 통로에 들어와 확산되었을 때, 그 확산에 의해 부압이 되는 범위를 의미한다.
상기 구성을 구비한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액상체 분사구부에는, 분사량 및 분사 형상 등을 조정할 수 있는 분사 조정구를 접속할 수 있다. 분사 조정구에 의해 분사량이나 분사 형상 등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또한 사용하기 쉽고, 용도도 보다 한층 확대된다.
또한, 액상체 공급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절환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고, 이러한 절환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으면, 액상체의 분사와 고압 가스의 분사를 가능하게 바꿀 수 있어 작업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액체 저장구」라 함)는 상기 구성을 구비한 액상체 분사 어댑터(1)의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에 연결된다. 특히 그 구조를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액상체를 수용 가능하면서 팽창 수축 가능한 액체 저장부와, 연결구겸 액상체 공급구부(「연결구부」라 함)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구부로부터 액체 저장부 내가 흡인되면, 액체 저장부가 수축되는 동시에 내부의 액상체를 연결구부로부터 송출하는 구성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액체 저장구이면,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에 연결하고, 압축 가스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압축 가스를 연통로 내에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수용하고 있는 액상체를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연통로를 통해 액상체 분사구부로부터 분사시킬 수 있다. 게다가, 흡인되면 액체 저장구 본체가 수축되는 구조이므로, 액체 저장구 본체에 공기 구멍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액체 저장구를 어떠한 각도로 사용해도 마찬가지로 액상체를 분사시킬 수 있어 천지무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구비한 액체 저장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부의 개구부를 개구 가능하게 폐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액체 저장구를 들어 나르면, 액체 저장부가 팽창 수축 가능하기 때문에 액체 저장부가 수축되어 연결구부로부터 액상체가 흘러 넘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액체 저장구를 액상체 공급 어댑터에 연결할 때에는, 매우 신중하게 행하지 않는 한 액체 저장부가 수축되어 연결구부로부터 액상체가 누설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구부의 개구부를 개구 가능하게 폐색하면, 통상 상태에서는 연결구부의 개구부는 폐색하고 있으므로, 액체 저장부가 수축되어도 액상체가 흘러 넘치는 일이 없고, 필요에 따라서 그 폐색부를 개구함으로써 액상체를 액상체 공급 어댑터에 공급할 수 있다. 액상체의 휘발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구부의 개구부를 폐색한 상태에서 액체 저장구를, 예를 들어 액상체 공급 어댑터(1)에 연결하고, 에어건으로부터 압축 가스를 분사시키면, 압축 가스만을 액상체 공급 어댑터 내의 연통로 및 액상체 공급로 내에 유통시킬 수 있으므로, 연통로 및 액상체 공급로 내의 세정을 행할 수 있다.
연결구부의 개구부를 개구 가능하게 폐색하는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를 플라스틱 시트 내지 필름 등으로 폐색하여(즉, 육박부에서 피복하도록 하여) 개구 가능하게 폐색할 수 있다. 이 때, 플라스틱 시트 내지 필름 등은 액체 저장구와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별도의 부재의 플라스틱 시트 내지 필름 등을 상기 개구부에 피착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천정면을 개구 가능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캡 부재, 예를 들어 천정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개구 가능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캡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 연결구부를 구성하고, 상기 캡 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연결구부의 개구부를 개구 가능하게 폐색할 수도 있다. 단, 캡 부재를 장착한 상태에서,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와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예를 들어 캡 부재의 외주면에 나사부를 설치하는 등,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와의 연결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천정면을 개구 가능하게 형성된 캡 부재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면, 캡 부재를 바꿈으로써 개구부의 폐색부를 재생할 수 있으므로, 액체 저장구의 본체를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어댑터 내의 세정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캡 부재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좋으므로 매우 간단하다.
또, 이러한 구성의 액체 저장구는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의 폐색부를 개구하는 수단을 갖지 않은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를 구비한 액상체 분사 어댑터에 연결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연결시 액상체의 넘침을 방지한다는 관점으로부터는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의 폐색부를 개구하는 수단을 구비한 액상체 분사 어댑터에 연결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 내에 액상체 공급로를 내부에 갖는 끝이 뾰족한 형상의 관형 돌출부를 구비한 액상체 분사 어댑터(1)가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관형 돌출부는 연결 오목부 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에 본 발명의 액체 저장구를 연결하도록 하면, 연결시까지는 액체 저장구의 연결구부는 폐색되어 있으므로 액상체가 흘러 넘치는 일이 없고, 게다가 연결과 동시에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의 폐색부를 관형 돌출부로 파괴하여 개구시킬 수 있으므로, 액상체 분사 어댑터에 액상체를 공급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액상체 분사 기구(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건(100)의 분사구(101)에 접속할 수 있는 기구이며, 액상체 분사 어댑터(2)와 액체 저장구(3)를 구비하고 있다.
액상체 분사 어댑터(2)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건(100)의 분사구(101)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는 접속구부(4)와, 액상체를 분사하는 액상체 분사구부(5)와, 액체 저장구(3)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와, 상기 접속구부(4), 액상체 분사구부(5)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로(7)와, 연통로(7),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 사이를 연통하는 액상체 공급로(8)를 구비하고 있다.
액상체 분사 어댑터(2)의 본체를 이루는 어댑터 본체부(2A)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 등의 합성 수지나 금속, 고무, 탄성 중합체(탄성을 구비한 수지체) 등으로 형성 가능하다.
합성 수지나 금속 등으로부터 일체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일체 성형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예의 경우에는,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두께 각기둥형의 본체부(2A)에 접속구부(4), 액상체 분사구부(5),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 연통로(7) 및 액상체 공급로(8)를 일체 성형하고 있지만, 접속구부(4), 액상체 분사구부(5),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 연통로(7) 및 액상체 공급로(8) 중 어느 하나 혹은 2개 이상을 본체부(2A)와는 다른 재료로 형성하고, 다음부터 몸통부(2A)에 고정 부착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몸통부(2A)의 형상은 임의이며, 모서리 형상, 원기둥 형상, 대략 원뿔 형상, 모서리 관형, 원관형, 기타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속구부(4)는 에어건(100)의 분사구(101)에 착탈 가능하고, 또한 기밀을 유지하면서 연결할 수 있게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본 예의 경우에는, 몸통부(2A)로부터 돌출부(2a)를 설치하고, 분사구(101)의 내주면부에 설치된 나사부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부(4a)를 상기 돌출부(2a)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동시에, 돌출부(2a)의 내부에는 연통로(7)와 연통하는 개구부(4b)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액상체 분사구부(5)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로(7)[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대직경 통로(7B)]가 그대로의 크기로 개구한 구조라도 좋고, 기타 임의로 형성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액상체를 분사시키는 형상에 맞추어 그 개구부의 형상 및 크기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분사량 및 분사 형상 등을 조정할 수 있게, 개구부를 가능하게 개폐할 수 있는 교축 기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개구부 내주면 혹은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는 등으로 하여, 분사량 및 분사 형상 등을 조정할 수 있는 분사 조정구 그 밖의 어댑터를 접속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는 몸통부(2A)의 하부면에 돌출부(2b)를 설치하고, 돌출부(2b) 내에 연결구(14)를 삽입할 수 있는 오목부(6a)를 설치하고, 이 오목부(6a)의 내주면에 연결구(14)의 나사부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부(6b)를 설치하고 있다. 단, 액체 저장구(3)의 연결구(14)를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연결 구조이면 임의로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내주면에 나사부를 설치한 캡 부재를 오목부(6a)에 매설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연통로(7)는 접속구부(4) 및 액상체 분사구부(5) 사이를 연통하는 구멍으로 형성하고 있고, 상세하게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에 단차부(7C)를 설치하고, 이 단차부(7C)의 접속구부(4)측을 보다 직경이 작은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소직경 통로(7A)로 하고, 단차부(7C)의 액상체 분사구부(5)측을 보다 직경이 큰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대직경 통로(7B)로 형성하고 있다.
이 때, 단차부(7C)의 크기, 즉 소직경 통로(7A)와 대직경 통로(7B)의 직경의 차를 약 5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직경 통로(7A)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구부(4)의 개구부(4b)로부터 오므라져 소직경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액상체 공급로(8)는 연통로(7) 및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 사이를 연통로(7)와 대략 직교하도록 연통하고, 상세하게는 대직경 통로(7B) 내의 단차부(7C)의 근방에 연통하고, 연통로(7) 내에 압축 가스가 흐르면 액상체 공급로(8) 내가 부압이 되고, 액체 저장구(3) 내의 액상체를 흡인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또, 본 예의 경우 단차부(7C)의 단차면과 액상체 공급로(8)의 접속구부(4)측의 내주면이 동일면이 되도록 연통하고 있지만,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차부(7C)의 근방 범위[도면의 굵은 선부(X)] 내에 있으면 연통시킬 수 있다. 즉, 소직경 통로(7A) 내를 유통해 온 압축 가스가 대직경 통로(7B)에 들어와 단숨에 확산되었을 때, 그 확산선(S)의 뒷 부분(점 사선부)이 부압이 되는 범위이며, 상기 근방 범위[도면의 굵은 선부(X)]에 액상체 공급로(8)가 연통되어 있으면, 연통로(7) 내에 압축 가스가 흐르면 액상체 공급로(8) 내가 부압이 되고, 액체 저장구(3) 내의 액상체를 흡인할 수 있다.
이 때, 확산선(S)의 각도(α)를 45도로 상정하고, 확산선(S)이 대직경 통로(7B)의 내주면에 교차하는 위치보다도 단차부(7C)측의 부분을 근방 범위[도면의 굵은 선부(X)]로 설정할 수 있다.
결국, 연통로(7) 내에 압축 가스를 유통시키면 액체 저장구(3) 내의 액상체가 연통로(7) 내에 흡인되도록 형성하기 위해서는, 연통로(7)의 직경을 단차부(7C)를 통해 그 액상체 분사구부(5)측을 보다 크게 하는 동시에, 연통로(7)의 직경 확장한 대직경 통로(7B) 내의 단차부(7C) 근방에 액상체 공급로(8)가 연결되도록 구성하면 좋다.
이 때, 액상체 공급로(8)가 연통로(7)에 교차하는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예와 같이 대략 직교 형상에 교차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또한 어느 하나에 기운 각도로 교차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액상체 공급로(8)의 직경의 크기는 액체 저장구(3) 내의 액상체를 흡인하는 데 적합한 크기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예를 들어 대직경 통로(7B)의 직경이 약 4 ㎜ 정도인 경우, 액상체 공급로(8)의 내경은 약 1.5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또한, 액상체 공급로(8)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A)에 구멍을 뚫어 형성하고, 이 구멍 내에 관 부재(9)를 삽입 부착하도록 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이 경우 관 부재(9)의 선단부를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 내로 돌출시키고, 액체 저장구(3)의 연결구(14)를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에 연결하면, 연결구(14) 내에 관 부재(9)의 선단부가 침입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액체 저장구(3)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상체를 액체 저장 가능하고, 또한 팽창 수축 가능한 액체 저장구 본체(11)로 구성하고 있다.
이 액체 저장구 본체(11)는 합성 수지로 형성하고 있고, 신축 가능한 주름 상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는 몸통부(12)와, 몸통부(12) 상으로 돌출한 원관부(13)와, 원관부(13)의 상단부에 형성된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14)로 구성하고 있다.
연결부(14)는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의 나사부(6b)와 나사 결합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체 저장구(3)이면,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에 연결하면 몸통부(12) 내는 밀폐 상태가 되지만 팽창 수축 가능하므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저장구 본체(11) 내에 액상체를 수납한 상태에서, 연결부(14)측으로부터 흡인하면, 액체 저장구 본체(11)의 몸통부(12)가 수축되는 동시에, 내부의 액상체가 연결부(14)의 입으로부터 유출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액체 저장구(3)는 통기 구멍이 없으므로 360° 어떠한 각도로 사용해도, 예를 들어 도7의 상태로부터 천지무용으로 사용해도 마찬가지로 액상체를 액상체 분사 어댑터(2)에 공급할 수 있다.
또, 연결부(14)에 착탈 가능한 캡을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사용할 때에는 액체 저장구(3)를 액상체의 보존 용기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액상체 분사 기구(1)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액상체를 수납한 액체 저장구(3)를, 그 연결부(14)를 액상체 분사 어댑터(2)의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에 연결하여 액상체 분사 어댑터(2)에 장착하고, 액상체 분사 기구(1)를 조립한다.
그리고,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건(100)의 분사구(101)에 접속구부(4)를 접속하면, 분사 준비 완료한다.
다음은 에어건(100)의 트리거부(102)를 조작하면 분사구(101)로부터 압축 가스(압축 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다. 이 때, 압축 가스는 연통로(7) 내를 유통하여 액상체 분사구부(5)로부터 분출하는 동시에, 액체 저장구(3) 내의 액상체를 흡인하여 액상체 분사구부(5)로부터 액상체를 분출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액상체 분사 기구(1)를 이용하면, 액상체를 압송하는 장치를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없고, 이미 공장 그 밖의 공업 시설 등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건 등의 압축 가스 공급 장치 내지 도구를 이용하여 액상체를 연속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고, 그와 같이 360°어떠한 각도로 사용해도, 즉 천지무용으로 사용해도 마찬가지로 액상체를 분사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관한 액상체 분사 기구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상체 분사 어댑터(20)와 액체 저장구(31)로 구성된다.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
액체 저장구(31)는 액상체를 수용 가능하면서 팽창 수축 가능한 액체 저장부(32)와, 연결구겸 액상체 공급구부(33)[「연결구부(33)」라 함]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구부(33)로부터 액체 저장부(32) 내가 흡인되면, 액체 저장부(32)가 수축되는 동시에 내부의 액상체가 연결구부(33)로부터 송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액체 저장구(31)는 합성 수지로 형성할 수 있고, 합성 수지의 종류는 수용하는 액상체의 종류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하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액체 저장부(32)가 어느 정도의 보형성을 구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바람직한 예로 들 수 있다.
액체 저장부(32)는 천정면(32a) 및 바닥면(32b)을 구비한 원통체의 측면에 주름 상자부(34)를 설치한 바와 같은 구성이며, 그 주름 상자부(34)는 골부 사이에 끼워진 산부로 이루어지는 팽출 단부(환언하면「주름」)(36)를, 상하 방향[즉 연결구부(33)와 바닥부(32b)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속하여 2단 이상(즉 복수단, 도면에서는 5단) 구비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각 팽출 단부(36)는, 외측 방향[즉,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액체 저장부(32)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에 삼각 형상으로 팽출한 산부가 상하로 개폐됨으로써, 액체 저장부(32) 전체가 상하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되어 있다.
단, 주름 상자부(34)는 내부에 액상체를 수용해도 주름 상자부(34)가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지 않는 정도의 보형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구부(33)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저장부(32)의 천정면(32a)으로부터 원관부(35)를 돌출 설치하고, 이 원관부(35)의 천정면의 두께를 얇게 하여 개구 가능한 폐색부(40)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폐색부(40)는 두께가 얇아지도록 액체 저장부(32) 등과 일체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별도의 부재의 플라스틱 시트 내지 필름 등을 상기 개구부에 피착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저장부(32)의 천정면(32a)으로부터 원관부(41)를 돌출 설치하고, 이 원관부(41)의 외주면에 나사부(41a)를 설치하는 한편, 이와는 별도의 부재의 캡으로서, 이 원관부(41)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천정면(42)의 두께를 얇게 형성한 원통형의 캡 부재(43)를 준비하고, 상기 원관부(41)에 캡 부재(43)를 장착함으로써 연결구부(33)를 구성한다.
이 때, 캡 부재(43)는 그 내주면에 상기 원관부(41)의 나사부(41a)와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부(43a)를 설치하고, 그 외주면에도 나사부(43b)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캡 부재(43)의 천정면(42)은 천정면(42)의 두께만이 얇아지도록 주측부 등과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부재(43)와는 별도의 부재 플라스틱 시트 내지 필름(44) 등을 캡 부재(43)의 개구부(43c)에 피착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15 내지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 상자부(34)를 구성하는 복수의 팽출 단부(36) 중 가장 바닥에 위치하는 팽출 단부(36A)의 일부, 상세하게는 주연부의 일부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시켜 돌출부(37)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때, 돌출부(37)의 형상은 상부면으로부터 본 경우의 형상으로서 삼각 형상, 원호 형상, 사각 형상, 그 밖의 임의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이와 같이 팽출 단부(36A)에 돌출부(37)를 설치하면,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37)의 적절한 중간부를 절단함으로써, 내부에 잔류한 액상체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액상체를 완전하게 배출시킨 상태에서 액체 저장구(31)를 폐기할 수 있다.
또, 돌출부(37)의 절단은 가위나 커터 등을 사용하여 절단하면 좋지만, 미리 절취선부(38)를 쉽게 절단하도록 형성해 둘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절취선부(38)의 두께를 얇게 하여 쉽게 절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7)의 절단은,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37)의 선단부를 완전하게 분리하도록 해도 좋지만, 완전하게는 분리하지 않고 액상체를 배출할 수 있게 절취선을 형성하는 정도라도 좋다.
(액상체 분사 어댑터)
액상체 분사 어댑터(20)는, 도9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건(100)의 분사구(101)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는 접속구부(21)와, 액상체를 분사하는 액상체 분사구부(22)와, 액체 저장구(31)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23)와, 상기 접속구부(21) 및 액상체 분사구부(22)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로(24)와, 연통로(24) 및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23) 사이를 연통하는 액상체 공급로(25)를 구비하고 있다.
액상체 분사 어댑터(20)의 본체를 이루는 어댑터 본체(20)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 등의 합성 수지나 금속, 고무, 탄성 중합체(탄성을 구비한 수지체) 등으로 형성 가능하다.
합성 수지나 금속 등으로부터 일체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일체 성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속구부(21)는 에어건(100)의 분사구(101)에 착탈 가능하고, 또한 기밀을 유지하면서 연결할 수 있게 형성한다. 예를 들어 본 예의 경우, 어댑터 본체(20)에 원관형의 돌출부(21a)를 설치하고, 분사구(101)의 내주면부에 설치된 나사부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부(21b)를 상기 돌출부(21a)의 외주면에 설치하고, 돌출부(21a)의 내부에는 연통로(24)와 연통하는 개구부(21c)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단, 접속구부(21)는 에어건(100)의 분사구(101)에 착탈 가능하고, 또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접속할 수 있으면, 그 접속 구조는 임의로 형성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지만, 연통로(24)의 개구단부로부터 연속하여 외측을 향하여 개방 확대한 테이퍼면을 구비한 분사구 접촉 개구부를 설치하고, 에어건(100)의 선단부[분사구(101)]를 상기 테이퍼면에 대략 기밀 상태에서 접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액상체 분사구부(22)는 연통로(24)[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대직경 통로(24B)]가 그대로의 크기로 개구한 구조라도 좋고, 기타 임의로 형성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액상체를 분사시키는 형상에 맞추어 그 개구부의 형상 및 크기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분사량 및 분사 형상 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가능하게 개폐할 수 있는 교축 기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개구부 내주면 혹은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는 등으로 하여, 분사량 및 분사 형상 등을 조정할 수 있는 분사 조정구 그 밖의 어댑터를 접속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23)는, 도10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 본체(20A)의 하부면에 돌출부(23a)를 설치하고, 돌출부(23a) 내에 하향으로 개구한 연결 오목부(23b)를 설치하고, 이 연결 오목부(23b)의 내주면에 나사부(23c)를 설치하는 동시에, 연결 오목부(23b) 내의 중앙부에 관형 돌출부(26)를 돌출시켜 설치하고 있다.
이 관형 돌출부(26)는, 상기 액체 저장구(31)의 연결구부(33)의 폐색부(40)를 뚫을 수 있게 선단부(26a)를 끝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고, 내부에는 액상체 공급로(25)가 관통하여 선단부(26a)에서 개구되어 있다.
연통로(24)는, 접속구부(21) 및 액상체 분사구부(22) 사이를 연통하는 구멍으로 형성하고 있고, 상세하게는 도10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에 단차부(24C)를 설치하고, 이 단차부(24C)의 접속구부(21)측을 보다 직경이 작은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소직경 통로(24A)로 하고, 단차부(24C)의 액상체 분사구부(22)측을 보다 직경이 큰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대직경 통로(24B)로 형성하고 있다.
이 때, 단차부(24C)의 크기, 즉 소직경 통로(24A)와 대직경 통로(24B)의 직경의 차는 약 5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소직경 통로(24A)는 접속구부(21)의 개구부(21c)로부터 오므라져 소직경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액상체 공급로(25)는, 연통로(24) 및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23) 사이를 연통로(24)와 대략 직교하도록 연통하고, 상세하게는 대직경 통로(24B) 내의 단차부(24C)의 근방에 연통하고, 연통로(24) 내에 압축 가스가 흐르면 액상체 공급로(25)내가 부압이 되어 액체 저장구(31) 내를 흡인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또, 도면의 경우에는 단차부(24C)의 단차면과 액상체 공급로(25)의 접속구부(21)측의 내주면이 동일면이 되도록 연통하고 있지만, 단차부(24C)의 근방 범위 내이면 연통시킬 수 있다. 즉, 소직경 통로(24A) 내를 유통해 온 압축 가스가 대직경 통로(24B)에 들어와 단숨에 확산되었을 때, 단차부(24C)의 뒷 부분에서 부압이 되는 범위(상기한 근방 범위) 내에 액상체 공급로(25)를 연통시키면, 연통로(24) 내에 압축 가스가 흐르면 액상체 공급로(25) 내를 부압으로 할 수 있어 액체 저장구(31) 내를 흡인할 수 있다.
결국, 연통로(24) 내에 압축 가스를 유통시키면 액체 저장구(31) 내의 액상체를 연통로(24) 내에 흡인할 수 있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연통로(24)의 직경을 단차부(24C)를 통해 그 액상체 분사구부(22)측을 보다 크게 하는 동시에, 연통로(24)의 직경을 확장한 대직경 통로(24B) 내의 단차부(24C) 근방에 액상체 공급로(25)를 연결시키도록 구성하면 좋다.
이 때, 액상체 공급로(25)가 연통로(24)에 교차하는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예와 같이 대략 직교형으로 교차하도록 형성하도록 해도 좋고, 또한 어느 하나에 기운 각도로 교차하도록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액상체 공급로(25)의 직경의 크기는, 액체 저장구(31) 내의 액상체를 흡인하는 데 적합한 크기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예를 들어 대직경 통로(24B)의 직경이 약 4 ㎜ 정도인 경우, 액상체 공급로(25)의 내경은 약 1.5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 방법)
다음에, 액체 저장구(31)를 액상체 분사 어댑터(20)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미리 액체 저장구(31)의 액체 저장부(32) 내에 원하는 액상체(A)를 충전하고, 연결구부(33)의 개구부는 폐색부(40)에서 개구 가능하게 피복한다.
이 때, 액상체의 충전은 폐색부(40)를 액체 저장부(32) 등과 일체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32)의 적절한 부위에 주입용의 구멍을 개방하여 거기로부터 액상체를 주입한 후, 그 구멍을 폐색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별도의 부재의 플라스틱 시트 내지 필름 등을 피착시키는 경우에는, 액상체를 충전한 후 플라스틱 시트 내지 필름 등을 연결구부(33)의 개구부에 피착시키면 좋다.
게다가 또, 캡 부재(43)를 장착하는 구성인 경우에는 액상체를 충전한 후 캡 부재(43)를 장착하면 좋다.
이와 같이 액상체(A)를 수용한 액체 저장구(31)를,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상체 분사 어댑터(20)의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23)에 연결한다. 이 때,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23)의 연결 오목부(23b) 내에 필요에 따라서 패킹을 넣고, 연결 오목부(23b) 내에 연결구부(33)의 원관부(35)를 삽입하고, 나사부(23c)와 나사부(33a)를 나사 결합시키면서 끼워 넣어 간다. 이 과정에서, 관형 돌출부(26)의 선단부가 폐색부(40)를 뚫어 폐색부(40)를 개구시키고, 관형 돌출부(26)의 선단부는 액체 저장부(32) 내에 침입한다. 또한 소정의 부위까지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23)의 연결 오목부(23b) 내에 연결구부(33)의 원관부(35)를 나사 끼워 넣음으로써, 액체 저장구(31)의 연결구부(33)와 액상체 분사 어댑터(20)의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23)를 기밀 상태를 확보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액체 저장구(31)를 액상체 분사 어댑터(20)에 연결하면,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23)의 연결 오목부(23b) 내에 연결구부(33)의 원관부(35)를 삽입하여 나사부(23c)와 나사부(33a)를 나사 결합시키기 시작한 단계에서, 액체 저장구(31)의 연결구부(33)와 액상체 분사 어댑터(20)의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23)를 밀착 상태로 접합할 수 있으므로, 그 후에 폐색부(40)를 개구해도 액상체가 누출되는 일이 없다.
이어서,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상체 분사 어댑터(20)의 접속구부(21)에 에어건(100)의 분사구(101)를 접속시키면 분사 준비는 완료한다.
다음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건(100)의 트리거부(102)를 조작하여 분사구(101)로부터 압축 가스(압축 공기)를 분사시키면, 압축 가스를 연통로(24) 내를 통해 액상체 분사구부(22)로부터 분출시킬 수 있고, 동시에 연통로(24) 내를 유통하는 압축 가스가 액체 저장구(31) 내를 흡인한다. 이 때, 액체 저장구(31)의 액체 저장부(32) 내는 밀폐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연결구부(33)로부터 흡인되면 액체 저장부(32)가 수축되는 동시에 내부의 액상체(A)가 연결구부(33)로부터 액상체 공급로(25)로 유출하고[내부의 액상체가 연결구부(33)로부터 송출되는 동시에 액체 저장부(32)가 수축된다고 함], 압축 가스(압축 공기)와 함께 연통로(24)[대직경 통로(24B)]를 통해 액상체 분사구부(22)로부터 분출시킬 수 있다.
액체 저장구(31) 및 액상체 분사 어댑터(20)는 상기와 같이 기능하기 때문에, 이미 공장 그 밖의 공업 시설 등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건 등의 압축 가스 공급 장치 내지 도구를 이용하여 액상체를 연속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다. 게다가, 액체 저장구(31) 내는 밀폐 상태가 되므로, 액체 저장구(31)를 천지무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에어건 및 액상체 분사 어댑터(20)를 360°어떠한 각도라도 마찬가지로 액상체를 분사시킬 수 있다.
또는, 액상체 분사 어댑터(20)에 연결하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물론, 액상체 분사 어댑터(20)에 연결할 때에도 액체 저장구(31) 내의 액상체가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연결구부(33) 및 캡 부재(43)는 액상체 분사 어댑터(20)의 연결부와의 관계에서 적절하게 형성하면 좋고,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가 외주면에 나사부를 구 연결할 수 있게 내주면에 나사부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내주면에 나사부를 구비한 캡 부재(43)를 원관부(41) 내에 장착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한, 액체 저장구(31)의 연결구부와 액상체 분사 어댑터(20)의 연결부와의 연결 구조는, 상기와 같이 나사 부착하는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끼워 부착 구조, 그 밖의 연결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하지 않지만, 주름 상자부(34)를 구성하는 복수의 팽출 단부(36) 중 맨밑의 팽출 단부(36A)의 바닥면(32b)에 구멍을 마련하고, 이 구멍을 개구 가능하게 폐색하도록 구성하도록 해도, 그 구멍을 개구함으로써 사용 후에 액체 저장부 내에 잔류하는 액상체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주름 상자부(34)를 구성하는 팽출 단부(36)의 수를 2단 혹은 1단으로 하면, 주름 상자부(34)가 수축되었을 때 내용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 후에 액체 저장부 내에 잔류하는 액상체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주름 상자부(34)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홀더 부재를 부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32)의 바닥면(32b)에 홀더 부재의 일단부를 고정 부착하는 한편, 액체 저장부(32)의 천정면(32a) 혹은 원관부(35)에 홀더 부재의 타단부를 계지하는 계지부를 형성하고, 주름 상자부(34)를 가장 수축시킨 상태에서 홀더 부재의 타단부를 계지부에 계지시키도록 하여 주름 상자부(34)의 가장 수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홀더 부재는 끈형, 벨트형 혹은 테이프형, 그 밖의 임의 형상의 것으로 좋다. 계지부의 구조도 홀더 부재를 권취하는 구조, 훅부를 거는 구조, 버튼식에 잠그는 구조, 벨벳 파스너로 잠그는 구조 등 임의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액체 저장부(32)의 천정면 혹은 원관부(35)에 홀더 부재의 일단부를 고정 부착하고, 바닥면(32b)에 계지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구부의 원관부(35)의 내주부에 연결용 나사부(38a)를 설치하여 연결구(38)로 하고, 이 연결구(38)의 상부 모서리부(38b)로부터 연속하여 상방을 향해 깔때기 형상으로 개방 확대하여 이루어지는 액체 받이부(39)를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액상체 분사 어댑터(20)의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23)는,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 본체(20A)의 하부면에, 내부에 액상체 공급로(25)가 관통하고, 원관부(35) 내에 삽입할 수 있는 돌출부(26)를 설치하고, 이 돌출부(26)의 외주면에 나사부(27)를 설치하고,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23)와 연결구(38)를 연결 가능하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액체 받이부(39)가 마치 깔때기의 역할을 하므로, 액상체를 흘리지 않도록 용이하게 액체 저장부(32) 내로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저장부(32) 내의 액상체가 부족하면, 액체 저장구(31)를 액상체 분사 어댑터(20)로부터 일단 이탈시켜 액체 저장부(32) 내로 액상체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으므로 액체 저장구(31)를 용이하게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연결구(38)의 내측에 연결용 나사부(38a)를 설치하는 동시에 액체 받이부(39)를 설치하는 구성은, 돌출부(37)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의 액체 저장구에 적용할 수도 있고, 그 경우 돌출부(37)를 얻은 액체 저장구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의 다른 예)
또한, 도22 내지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저장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액체 저장구는 처리액을 수용 가능하면서 팽창 수축 가능한 액체 저장구 본체와, 연결구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상기의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액을 수용하는 처리액 수용부(51)를 플라스틱 필름 주머니나 고무풍선 주머니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처리액 수용부(51)를 지지하기 위해, 금속 및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형 용기(52) 내에 처리액 수용부(51)를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령 천지가 역으로 되어도, 처리액 수용부(51)는 보형 용기(52)에 지지되므로 작업이 방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연결부(53)는 보형 용기(52)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액 수용부(51)는 보형 용기(5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변형예)
본 발명의 액상체 분사 어댑터에 있어서, 접속구부는 에어건(100)의 분사구(101)에 착탈 가능하고, 또한 기밀을 유지하면서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이면, 그 접속 구조는 임의로 형성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접속구부를 테이퍼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25 내지 도28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예의 처리액 공급 어댑터(62)는, 도25 및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에 의해 전체가 깔때기 형상으로 일체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전술한 구성의 어댑터와 마찬가지로 그 일단부에 테이퍼면(69a)을 갖는 분사구 받이부(64), 타단부에 금형 접속구부(65)를 각각 설치하는 동시에, 그 하부에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6)를 형성하고, 분사구 받이부(64)와 금형 접속구부(65)를 연통로(67)로 연통하고, 또한 연통로(67)와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6)를 액체 공급로(68)로 연통시킨 형태로 구성하고 있다.
연통로(67)는,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구 받이부(64)측이 개구경이 작은 소직경 통로(67a), 금형 접속구부(65)측이 개구경이 큰 대직경 통로(67b)로 하고 있고, 양 통로가 접속하는 단차부(67c)는 소직경 통로(67a) 단부로부터 대직경 통로(67b) 단부 사이를 테이퍼면(67d)에서 연속시켜 이루어지고, 이 테이퍼면(67d) 내로부터 액체 공급로(68)를 수직 하강시키고 있다.
또한,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6)는 액체 저장구(80)의 연결부(81) 외주에 일체 끼워 맞출 수 있게, 내주에 나사부를 갖는 원통 캡형을 이루는 동시에, 그 원통캡 부분의 하부면 중앙에 액체 저장구(80)의 연결부(81)의 내주에 접합하는 통형의 설편부(71)를 적당한 길이로 일체로 돌출시키고, 상기 설편부(71)의 중앙에 액체 공급로(68)의 개구단부를 설치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액체 저장구(80)는,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당한 용량으로 처리액을 액체 저장 가능한 신축 가능한 주름 상자형의 몸통부(82)의 상부면에 원관부(83)를 돌출시켜 이루어지는 액체 저장구 본체(84)로 구성하고, 원관부(83)의 상부에, 외주면에 나사 홈을 마련한 연결부(81)를 설치하고, 이 연결부(81)의 내측은 상기 통형 설편부(71)가 꽉 들어맞게 접합하는 공동형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처리액 공급 기구는, 처리액이 넣어진 액체 저장구(80)를, 그 연결부(81)를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6)에 연결하여 처리액 공급 어댑터(62)에 장착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액 공급 어댑터(62)의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6)가 액체 저장구(80)의 연결부(81)에 끼워 맞추어 액체 저장구(80)의 개구를 폐쇄하고, 또한 설편부(71)가 연결부(81)의 내측 개구에 진입하여 상기 개구 내주면에 접합한다. 즉, 액체 저장구(80)의 원관부(83)의 단부 개구는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6)와 설편부(71)와의 2중 벽면에서 간극 없이 폐쇄되어 처리액 공급 어댑터(62)의 하부에 일체로 부착되므로, 액체 저장구(80) 내부의 기압과 액체 공급로(68) 내의 기압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단차부(67c)에 부압이 발생되었을 때는 내부 처리액을 액체 공급로(68)를 통해 연통로(67) 내에 원활하게 유출시켜 외부로 분출시킬 수 있다. 이 때,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66)와의 접합 부분으로부터 처리액이 누출되는 일도 없다.

Claims (12)

  1. 압축 가스 공급 수단의 분사구에 접속할 수 있는 액상체 분사 기구이며, 액상체 분사 어댑터와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를 구비하고,
    액상체 분사 어댑터는 압축 가스 공급 수단의 분사구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는 접속구부와, 액상체를 분사하는 액상체 분사구부와, 액상체를 수용한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와, 상기 접속구부 및 액상체 분사구부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로와, 상기 연통로 및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 사이를 연통하고, 연통로 내에 압축 가스가 유통되면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 내의 액상체를 흡인할 수 있는 액상체 공급로를 구비하고,
    상기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연통로는 중간부에 단차부가 설치되고, 상기 단차부의 접속구부측이 소직경 통로가 되고, 상기 단차부의 액상체 분사구부측은 상기 소직경 통로로부터 직경이 큰 대직경 통로가 되고,
    상기 액상체 공급로는, 상기 대직경 통로 내의 상기 단차부의 근방에 연통하여 이루어지고,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는 액상체를 수용 가능하면서 팽창 수축 가능한 액체 저장부와, 연결구겸 액상체 공급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구겸 액상체 공급구부를 통해 액체 저장부 내가 흡인되면, 액체 저장부가 수축되는 동시에 내부의 액상체가 연결구겸 액상체 공급구부로부터 송출되는 구성인 액상체 분사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 내의 단차부에 있어서, 소직경 통로와 대직경 통로의 직경의 차가 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체 분사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액상체 분사 어댑터는 합성 수지를 일체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액상체 분사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압축 가스 공급 수단의 분사구는 에어건의 분사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체 분사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액상체 분사 어댑터는 액상체 공급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절환 스위치를 구비한 것인 액상체 분사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액상체 분사구부에 분사량 및 분사 형상 등을 조정할 수 있는 분사 조정구가 접속된 액상체 분사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는 연결구겸 액상체 공급구부의 개구부를 개구 가능하게 폐색된 것인 액상체 분사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는 액상체 공급로를 내부에 갖는 끝이 뾰족한 형상의 관형 돌출부를 구비하고,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의 연결구겸 액상체 공급구부의 개구부는 상기 관형 돌출부에 의해 개구 가능하도록, 플라스틱 필름 내지 시트로 폐색되어 이루어지는 액상체 분사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는 액상체 공급로를 내부에 갖는 끝이 뾰족한 형상의 관형 돌출부를 구비하고,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의 연결구겸 액상체 공급구부는, 천정면을 상기 관형 돌출부로 개구 가능하게 형성된 캡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캡 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연결구겸 액상체 공급구부의 개구부가 개구 가능하게 폐색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액상체 분사 기구.
  10. 압축 가스 공급 수단의 분사구에 접속하는 액상체 분사 어댑터이며,
    압축 가스 공급 수단의 분사구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는 접속구부와, 액상체를 분사하는 액상체 분사구부와, 액상체를 수용한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와, 상기 접속구부 및 액상체 분사구부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로와, 상기 연통로 및 액체 저장구 연결구부 사이를 연통하고, 연통로 내에 압축 가스가 유통되면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 내의 액상체를 흡인할 수 있는 액상체 공급로를 구비하고,
    상기 액상체 분사 어댑터의 연통로는 중간부에 단차부가 설치되고, 상기 단차부의 접속구부측이 소경 통로가 되고, 상기 단차부의 액상체 분사구부측은 상기소직경 통로로부터 직경이 큰 대직경 통로가 되고,
    상기 액상체 공급로는 상기 대직경 통로 내의 상기 단차부의 근방에 연통하여 이루어지는 액상체 분사 어댑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 내의 단차부에 있어서, 소직경 통로와 대직경 통로의 직경의 차가 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체 분사 어댑터.
  12. 제10항에 있어서, 합성 수지를 일체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액상체 분사 어댑터.
KR1020057015635A 2003-02-25 2004-02-23 액상체 분사 어댑터 및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 KR200501064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47933 2003-02-25
JP2003047933A JP4339610B2 (ja) 2003-02-25 2003-02-25 液状体噴射アダプター
JP2003111613A JP4603769B2 (ja) 2003-04-16 2003-04-16 液状体噴射器具
JPJP-P-2003-00111613 2003-04-16
JPJP-P-2003-00111612 2003-04-16
JP2003111612A JP2004313940A (ja) 2003-04-16 2003-04-16 液状体供給貯液具
JPJP-P-2003-00180903 2003-06-25
JP2003180903A JP4339633B2 (ja) 2003-06-25 2003-06-25 金型内部通液路への処理液供給器具及びその蓋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451A true KR20050106451A (ko) 2005-11-09

Family

ID=3293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635A KR20050106451A (ko) 2003-02-25 2004-02-23 액상체 분사 어댑터 및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57584A1 (ko)
EP (1) EP1598117B1 (ko)
KR (1) KR20050106451A (ko)
AT (1) ATE427164T1 (ko)
DE (1) DE602004020323D1 (ko)
WO (1) WO2004076073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040U (ko) * 2019-03-11 2020-09-21 서울특별시 분사장치
KR20210043310A (ko) * 2019-10-11 2021-04-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액형 도장장치
WO2021075883A1 (ko) * 2019-10-17 2021-04-22 주식회사 함일셀레나 발포우레탄 디스펜싱 건 어셈블리
KR102275068B1 (ko) * 2019-12-30 2021-07-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센터유로의 체적이 가변되는 유체 진동 분사 장치
KR20210085320A (ko) * 2019-12-30 2021-07-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선회유로의 길이가 가변되는 유체 진동 분사 장치
KR102294617B1 (ko) * 2020-10-06 2021-08-27 김남호 휴대폰 파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5943A1 (en) 2005-10-28 2007-05-03 Turnbull William N Liquid reservoir, and kit, spray assembly and method using same
US8454360B2 (en) * 2008-11-17 2013-06-04 Koninkli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quid droplet interproximal cleaning apparatus with gas stream protection
BR112012000692A2 (pt) * 2009-07-14 2017-05-30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aparelho de limpeza bucal de gotejamento de líquido
GB2476654B (en) * 2009-12-30 2013-12-18 Charles Wysocki Concertina dispensing device & adaptor
FR2958189B1 (fr) 2010-03-30 2013-05-03 Oreal Aerographe
FR2958188B1 (fr) 2010-03-30 2012-06-08 Oreal Aerographe
CN104624544A (zh) * 2015-01-16 2015-05-20 杭州大和热磁电子有限公司 一种腔体残留物清除装置
DE202015003663U1 (de) * 2015-05-22 2016-09-29 Sata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schichtung von Oberflächen, insbesondere von Farb- oder Lackoberflächen
GR20160100238A (el) * 2016-05-16 2018-02-05 Σαϊμιρ Στεφαν Μαχμουτλαρι Βαφη μαλλιων με αερογραφο
KR102513572B1 (ko) * 2020-07-09 2023-03-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3725A (en) * 1962-09-07 1963-12-10 Barco Mfg Co Inc Valve controlled spraying device for a chemical intermixed with water
US3632046A (en) * 1968-04-23 1972-01-04 Robert W Hengesbach Spray nozzle
JPS484605U (ko) * 1971-06-16 1973-01-19
US3770209A (en) * 1972-04-19 1973-11-06 Delavan Manufacturing Co Aspirating spray head
US4322020A (en) * 1978-05-02 1982-03-30 Raymond Stone Invertible pump sprayer
US4804144A (en) * 1981-09-21 1989-02-14 Tekex Company Apparatus for dispensing viscous materials
WO1991016138A1 (en) * 1990-04-23 1991-10-31 S.C. Johnson & Son, Inc. Precision-ratioed fluid-mixing device and system
US5328055A (en) * 1992-11-27 1994-07-12 Battle John R Refillable liquid dispenser with diamond-shaped inner pliant bladder
FR2716669A1 (fr) * 1994-04-28 1995-09-01 Manuf Bourguignonne Plasti Procédé de vidage d'un flacon et élément de bouchage conforme pour sa mise en Óoeuvre.
JPH08301322A (ja) * 1995-04-28 1996-11-19 Dainippon Printing Co Ltd 開口部封止用蓋体
US5826795A (en) * 1996-08-19 1998-10-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pray assembly
JPH1128394A (ja) * 1997-07-10 1999-02-02 Toshio Masuda 密閉式スプレーガン
US6042026A (en) * 1998-07-02 2000-03-28 Buehler, Ii; Louis C. Spray nozzle
JP2002224591A (ja) * 2001-01-31 2002-08-13 Iris Ohyama Inc アクアガン
JP3087922U (ja) * 2002-02-13 2002-08-23 武巧 周 多機能スプレー塗装、ジェット洗浄両用ハンドル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040U (ko) * 2019-03-11 2020-09-21 서울특별시 분사장치
KR20210043310A (ko) * 2019-10-11 2021-04-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액형 도장장치
WO2021075883A1 (ko) * 2019-10-17 2021-04-22 주식회사 함일셀레나 발포우레탄 디스펜싱 건 어셈블리
KR102275068B1 (ko) * 2019-12-30 2021-07-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센터유로의 체적이 가변되는 유체 진동 분사 장치
KR20210085320A (ko) * 2019-12-30 2021-07-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선회유로의 길이가 가변되는 유체 진동 분사 장치
KR102294617B1 (ko) * 2020-10-06 2021-08-27 김남호 휴대폰 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98117A4 (en) 2007-08-22
DE602004020323D1 (de) 2009-05-14
WO2004076073A1 (ja) 2004-09-10
US20060157584A1 (en) 2006-07-20
EP1598117A1 (en) 2005-11-23
EP1598117B1 (en) 2009-04-01
ATE427164T1 (de) 200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06451A (ko) 액상체 분사 어댑터 및 액상체 공급 액체 저장구
JP4477488B2 (ja) スプレーガン用の適応型の袋状貯蔵器
JP4339610B2 (ja) 液状体噴射アダプター
US20070095943A1 (en) Liquid reservoir, and kit, spray assembly and method using same
CN103930218B (zh) 具有可收缩衬管的喷涂器流体供应系统
US5582350A (en) Hand held paint spray gun with top mounted paint cup
MXPA04005599A (es) Sistema de acoplamiento de cubeta de pintura desechable para aspersor de pintura alimentado por gravedad.
CN101027134A (zh) 易于清洗的喷枪
KR102290185B1 (ko)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JP2003520663A5 (ko)
JP2004160448A (ja) エアレス塗布システムおよび噴霧方法
US5474210A (en) Fluid dispensing device
JP4603769B2 (ja) 液状体噴射器具
KR101650176B1 (ko) 유체분사장치
CN106061624B (zh) 喷嘴梢储存
JP5709533B2 (ja) ポンプ付き容器
JP2004313940A (ja) 液状体供給貯液具
CN113329950A (zh) 袋组件及使用该袋组件的容器装置
JP4339633B2 (ja) 金型内部通液路への処理液供給器具及びその蓋具
JPH11253842A (ja) 吹付装置
JP4955730B2 (ja) 処理液供給器具及びそれ用の蓋具
JP4163529B2 (ja) 金型内部通液路への処理液供給器具
MXPA05010343A (es) Surtidor de liquido.
JP2004188905A (ja) 金型内部通液路への処理液供給器具
JP2021102451A (ja) スプレーガン用塗料容器及びそれを備えたスプレーガン用アダプ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