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803A -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803A
KR20050104803A KR1020040030208A KR20040030208A KR20050104803A KR 20050104803 A KR20050104803 A KR 20050104803A KR 1020040030208 A KR1020040030208 A KR 1020040030208A KR 20040030208 A KR20040030208 A KR 20040030208A KR 20050104803 A KR20050104803 A KR 20050104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arrier
channel
rail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8841B1 (ko
Inventor
김두호
이철욱
Original Assignee
(주)태양전자 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양전자 산업 filed Critical (주)태양전자 산업
Priority to KR10-2004-0030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841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8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A45C7/0077Flexible luggage; Hand bags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4Shopping bags; Shopping nets

Abstract

본 발명은 코아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코아가 안내되어 공급되는 다수개의 코아안내채널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코아공급레일과; 상기 코아안내채널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코아안내채널과 연통되게 코아이송채널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코아이송채널의 하부로 연통되게 캐리어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코아안내채널과 코아이송채널이 연통되는 위치에 각각 코아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상의 코아로딩홈이 형성되는 코아로딩레일과; 상기 코아로딩레일의 코아이송채널과 일직선으로 연결되게 코아이송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코아이송채널의 하부로 연통되게 캐리어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코아로딩홈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코아안착부가 형성되는 코아이송레일과; 상기 코아로딩레일 및 코아이송레일의 캐리어채널을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되어 직선운동하는 것으로, 상기 코아로딩홈사이의 간격과 대응되게 코아안착부가 형성되는 캐리어를 구비하여 상기 코아로딩홈과 코아안착부의 사이에서 코아를 이송시키는 캐리어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A core transfering apparatus for balun transformer maker}
본 발명은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코아를 다수개 씩 이송시키는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밸룬트랜스포머(Balun transformer)는 TV나 VTR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각종 튜너의 주파수 변환 또는 주파수 여과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밸룬트랜스포머는 코아를 관통하여 2개의 에나멜선을 권선하고, 각각의 에나멜선의 일단부를 서로 꼬아서 제작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밸룬트랜스포머의 제작은 그동안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작업자가 코아에 일일이 에나멜선을 삽입하고, 삽입된 에나멜선의 일단부를 서로 꼬아준다. 다음으로 꼬아진 에나멜선과 그렇지 않은 에나멜선의 단부의 길이가 일정하게 되도록 절단하여 리드를 형성하고, 납을 묻히는 작업을 하여 밸룬트랜스포머의 제작을 완성한다.
하지만, 수작업에 의한 밸룬트랜스포머의 제작은 그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자동화된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를 제작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이 자동화된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에서는 다수개의 코아를 각각의 공정위치로 이송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코아이송장치가 사용된다.
즉, 코아이송장치에는 이송채널(1)이 일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채널(1)을 따라 코아(3)가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상기 코아(3)는 공급원쪽에서 밀어지는 힘에 의해 인접하는 것을 밀어 이송된다. 상기 이송채널(1)의 일측벽을 가이드단차(5)가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단차(5)는 상기 코아(3)가 이송채널(1)을 따라 일직선으로 이송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이송채널(1)의 일측에는 스토퍼(6)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토퍼(6)는 상기 코아(3)를 여러개씩 이송하기 위해 특정 위치에 정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6)는 상기 이송채널(1) 내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아(3)를 특정 위치에 정지되고 이송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스토퍼(6)를 통과한 이송채널(1)내에서는 상기 코아(3)가 6개씩 한꺼번에 이송된다. 이를 위해 캐리어(7)가 구비된다. 상기 캐리어(7)에는 상기 코아(3)의 일측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요부(9)가 형성된다. 상기 캐리어(7)는 상기 안착요부(9)에 각각 코아(3)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단차(5)에 밀어붙인 상태로 코아(3)를 상기 가이드단차(5)를 따라 이송채널(1)을 따라 이동되게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캐리어(7)로 코아(3)를 가이드단차(5)에 밀어붙인 상태에서 이송시키므로, 상기 코아(3)에 에나멜선을 삽입하고, 이를 꼬아주는 등의 각각의 공정에서 상기 코아(3)의 위치가 정확하게 고정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코아(3)가 가이드단차(5)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이드단차(5)에 코아(3)의 측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공정에서 코아(3)가 정확하게 고정되지 않으므로 해서, 에나멜선이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거나, 삽입과정에서 코아(3)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7)가 다수개 정렬되어 있는 코아(3)를 상기 가이드단차(5)에 밀어붙이는 과정에서, 상기 코아(3)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으면 캐리어(7)의 안착요부(9)에 정확하게 안착되지 않아 이탈되거나 캐리어(7)에 의해 코아(3)가 파손된다.
또한, 상기 캐리어(7)가 상기 코아(3)를 밀어붙이는 동작이 계속적으로 반복되므로, 상기 안착요부(9) 양측 단부의 돌출된 부분이 쉽게 마모된다. 상기 안착요부(9)의 돌출된 부분이 마모되면, 상기 코아(3)의 이송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코아를 각 공정상의 정확한 위치로 이송시키는 코아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코아를 각 공정상의 위치로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동시에 이송하는 코아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아이송장치에서 코아가 항상 정확한 작업위치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코아가 안내되어 공급되는 다수개의 코아안내채널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코아공급레일과; 상기 코아안내채널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코아안내채널과 연통되게 코아이송채널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코아이송채널의 하부로 연통되게 캐리어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코아안내채널과 코아이송채널이 연통되는 위치에 각각 코아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상의 코아로딩홈이 형성되는 코아로딩레일과; 상기 코아로딩레일의 코아이송채널과 일직선으로 연결되게 코아이송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코아이송채널의 하부로 연통되게 캐리어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코아로딩홈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코아안착부가 형성되는 코아이송레일과; 상기 코아로딩레일 및 코아이송레일의 캐리어채널을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되어 직선운동하는 것으로, 상기 코아로딩홈사이의 간격과 대응되게 코아안착부가 형성되는 캐리어를 구비하여 상기 코아로딩홈과 코아안착부의 사이에서 코아를 이송시키는 캐리어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기구는 상기 코아로딩레일과 코아이송레일의 하부를 따라 길게 구비되는 이송가이드봉과, 상기 이송가이드봉을 따라 구동실린더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되는 캐리어베이스와, 상기 캐리어베이스상에 캐리어승강구동원에 의해 승강되게 설치되는 캐리어장착대와, 상기 캐리어장착대에 다수개 구비되고 코아가 안착되는 코아안착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캐리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상기 코아안착부가 형성되는 상단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며, 상기 코아안착부의 하부에는 연결슬롯을 통해 코아안착부와 연통되는 에나멜선걸이부가 형성된다.
상기 캐리어장착대는 상기 코아로딩레일과 코아이송레일의 설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수직가이드봉이 상기 캐리어베이스의 수직가이드베어링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수직가이드베어링의 상단과 캐리어장착대의 하면 사이에는 균형스프링이 더 구비된다.
상기 코아로딩레일의 캐리어채널은 상기 코아이송레일의 캐리어채널보다 폭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상기 코아이송레일에는 상기 코아공급채널과 코아이송채널이 연통되는 로딩채널의 상부를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테이블상에 각종 장치가 설치되어 밸룬트랜스포머를 제조하는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상에 고정 설치되고 코아가 안내되어 공급되는 다수개의 코아안내채널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코아공급레일과; 상기 코아안내채널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코아안내채널과 연통되게 코아이송채널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코아이송채널의 하부로 연통되게 캐리어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코아안내채널과 코아이송채널이 연통되는 위치에 각각 코아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상의 코아로딩홈이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되는 코아로딩레일을 구비하는 코아로딩기구와; 상기 테이블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코아로딩레일의 코아이송채널과 일직선으로 연결되게 코아이송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코아이송채널의 하부로 연통되게 캐리어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코아로딩홈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코아안착부가 형성되는 코아이송레일과; 상기 코아로딩레일 및 코아이송레일의 캐리어채널을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되어 직선운동하는 것으로, 상기 코아로딩홈사이의 간격과 대응되게 코아안착부가 형성되는 캐리어를 구비하여 상기 코아로딩홈과 코아안착부의 사이에서 코아를 이송시키는 캐리어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아로딩기구는 상기 테이블 상에 설치되는 로딩실린더와, 상기 로딩실린더의 구동로드에 의해 상기 테이블에 설치된 이송가이드봉을 따라 이송되는 로딩베이스와, 상기 로딩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상기 코아로딩홈에 코아를 안착시키기 위해 상기 로딩베이스와 함께 직선왕복운동하는 코아로딩채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기구는 상기 코아로딩레일과 코아이송레일의 하부를 따라 길게 구비되는 이송가이드봉과, 상기 이송가이드봉을 따라 구동실린더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되는 캐리어베이스와, 상기 캐리어베이스상에 캐리어승강구동원에 의해 승강되게 설치되는 캐리어장착대와, 상기 캐리어장착대에 다수개 구비되고 코아가 안착되는 코아안착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캐리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리어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상기 코아안착부가 형성되는 상단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며, 상기 코아안착부의 하부에는 연결슬롯을 통해 코아안착부와 연통되는 에나멜선걸이부가 형성된다.
상기 캐리어장착대는 상기 코아로딩레일과 코아이송레일의 설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수직가이드봉이 상기 캐리어베이스의 수직가이드베어링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수직가이드베어링의 상단과 캐리어장착대의 하면 사이에는 균형스프링이 더 구비된다.
상기 코아로딩레일의 캐리어채널은 상기 코아이송레일의 캐리어채널보다 폭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상기 코아이송레일에는 상기 코아공급채널과 코아이송채널이 연통되는 로딩채널의 상부를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더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코아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코아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되는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는 테이블(10) 상에 각각의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들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먼저, 코아공급장치(A)가 일측에 구비된다. 코아공급장치(A)는 밸룬트랜스포머를 구성하는 코아(12)를 다수개 구비하고 있다가, 차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서는 상기 코아공급장치(A)가 별도의 테이블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코아공급장치(A)에서 공급된 코아(12)를 각각의 공정으로 전달하기 위해 코아이송장치(B)가 구비된다. 상기 코아이송장치(B)는 동시에 다수개의 코아(12)를 소정 간격을 두고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테이블(10)상에는 에나멜선의 절연층을 선택적으로 탈피하는 에나멜선탈피장치(C), 일부가 탈피된 에나멜선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코아(12)에 삽입하는 에나멜선삽입장치(D), 코아(12)에 삽입된 에나멜선중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 단부를 서로 꼬아주는 에나멜선꼬기장치(E)등이 구비된다.
상기 장치들 외에도 밸룬트랜스포머를 완성하기 위해 상기 테이블(10)에는 다른 장치들이 다수개 구비된다.
이제, 도 3이하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코아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테이블(10)의 일측에는 코아공급레일(20)이 설치된다. 상기 코아공급레일(20)은 상기 코아공급장치(A)의 코아(12)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코아공급레일(20)에는 그 상면에 코아공급채널(22)이 구비된다. 상기 코아공급채널(22)은 본 실시예에서 3개가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코아공급채널(22)의 갯수는 전체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설계조건에 따라 달리 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코아공급채널(22)에는 가이드바아(24)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바아(24)는 상기 코아공급채널(22)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코아공급채널(22)의 상부 일부를 가려 코아(12)가 코아공급채널(22)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코아공급채널(22)을 따라서는 코아(12)가 일렬로 서로 밀착되어 이송된다. 코아(12) 이송을 위한 원동력은 상기 코아공급장치(A)에서 코아(12)를 밀어주는 힘이다.
한편, 상기 코아공급채널(22)의 형성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테이블(10) 상에는 이송가이드봉(26)이 설치된다. 상기 이송가이드봉(26)은 적어도 2개가 나란히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가이드봉(26)은 그 양단이 지지대(28)에 의해 상기 테이블(10)상에 소정의 높이로 지지된다. 상기 이송가이드봉(26)은 적어도 상기 에나멜선삽입장치(D)의 끝부분까지 연장된다.
상기 테이블(10)상에는 상기 코아공급채널(22)을 통해 공급된 코아(12)를 아래에서 설명될 코아이송레일(70)로 로딩시키기 위한 코아로딩기구가 구비된다. 즉, 상기 테이블(10)상에는 로딩실린더(30)가 구비된다. 상기 로딩실린더(30)는 공기압이나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그 일측에는 로딩실린더(30)의 내외부로 구동로드(32)가 출몰된다.
상기 이송가이드봉(26)을 따라 상기 로딩실린더(30)의 구동력으로 로딩베이스(34)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로딩베이스(34)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로드(32)와 연결되는 연동돌부(33)가 구비된다.
상기 로딩베이스(34)상에는 코아로딩레일(35)가 구비된다. 상기 코아로딩레일(35)은 상기 코아공급채널(22)의 형성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코아로딩레일(35)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캐리어채널(35')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캐리어채널(35')은 아래에서 설명될 캐리어(60)가 위치되어 승강 및 이동되는 부분이다. 상기 캐리어채널(35')은 상기 코아로딩레일(35)이 2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형성된다. 하지만, 하나의 코아로딩레일(35)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캐리어채널(35')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캐리어채널(35')의 양단을 따라서는 코아로딩레일(35)에 가이드단차(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단차(36)는 캐리어채널(35')의 양단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측 가이드단차(36) 사이의 폭(W)은 상기 코아(12)의 폭과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단차(36)는 상기 코아(12)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단차(36)사이의 공간은 코아이송채널(36')을 형성한다. 상기 코아이송채널(36')은 코아(12)가 아래에서 설명될 캐리어(60)에 의해 이송되는 통로이다.
한편, 상기 코아로딩레일(35)에는 상기 코아공급레일(20)의 코아공급채널(22)과 코아이송채널(36')을 연통시키는 로딩채널(37)이 형성된다. 상기 로딩채널(37)의 바닥면은,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단차(36)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로딩채널(37)에 형성된 쪽의 가이드단차(36)와 대응되는 가이드단차(36)에는 코아로딩홈(38)이 형성된다. 상기 코아로딩홈(38)은 상기 코아(12)의 일측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다. 상기 코아로딩홈(38)의 바닥면 역시 상기 가이드단차(36)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코아로딩레일(35)에는 상기 코아공급레일(20)의 코아공급채널(22)의 2배에 해당되는 코아로딩홈(38)이 형성되어, 한번에 6개의 코아(12)를 이동시킨다. 상기 코아로딩홈(38)은 각각 상기 코아공급채널(22)사이의 폭과 대응되는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각각의 코아(12)가 소정의 간격을 가진 상태로 이송되게 한다.
상기 코아로딩레일(35)중 상기 로딩채널(37)이 형성된 부분에는 로딩채널(37)의 상부를 차폐하록 차폐바아(도시되지 않음)가 길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바아는 상기 로딩채널(37)을 통과하는 코아(12)가 탈거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차폐바아에는 코아(12)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테이블(10) 상에는 구동실린더(4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실린더(40) 역시 공기압이나 유압을 사용하는 것으로, 그 일단부에 구동로드(42)가 출몰되게 구비된다.
상기 테이블(10)에 구비된 상기 이송가이드봉(26)에는 가이드베어링(43)이 설치된다. 즉, 상기 이송가이드봉(26)이 상기 가이드베어링(43)을 관통하여, 이송가이드봉(26)을 따라 가이드베어링(43)이 상기 구동실린더(40)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가이드베이링(43)은 상기 이송가이드봉(26)에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베어링(43)중 하나는 상기 구동로드(42)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실린더(4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베어링(43)이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베어링(43)에는 캐리어베이스(45)가 설치된다. 상기 캐리어베이스(45)는 상기 이송가이드봉(26)의 상부에 상기 가이드베어링(43)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캐리어베이스(45)는 상기 가이드베어링(43)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캐리어베이스(45)의 상면에는 수직가이드베어링(46)이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수직가이드베어링(46)의 상단에는 균형스프링(47)이 구비되는데, 일단부는 상기 수직가이드베어링(46)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캐리어장착대(52)의 하면에 지지된다. 상기 균형스프링(47)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캐리어장착대(52)를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캐리어베이스(45)상에는 캐리어승강구동원(50)이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캐리어승강구동원(50) 역시 공기압이나 유압으로 동작되는 것으로 캐리어장착대(52)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캐리어승강구동원(50)은 상기 수직가이드베어링(46)과 같이 캐리어베이스(45)의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캐리어승강구동원(50)의 구동로드(51)에는 캐리어장착대(52)가 지지된다. 물론, 상기 캐리어장착대(52)의 하면에는 상기 수직가이드베어링(46)에 삽입설치되는 수직가이드봉(54)이 구비된다. 상기 수직가이드봉(54)은 상기 수직가이드베어링(46)을 따라 승강하면서 캐리어장착대(52)의 승강을 안내한다.
상기 캐리어장착대(52)에는 다수개의 캐리어(60)가 설치된다. 상기 캐리어(60)는 도 7에 그 구성이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60)는 정면에서 볼 때, 장방형 판상으로, 그 상단을 따라 코아안착부(62)가 형성된다. 상기 코아안착부(62)는 하나에 상기 코아공급채널(22)의 2배인 6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캐리어(60)는 6개의 코아(12)를 동시에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코아안착부(62)는 대략 상기 코아(12)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을 가진다. 상기 코아안착부(62)가 형성된, 도 7b에서 잘 알 수 있듯이, 캐리어(60)의 상단은 선단으로 갈수록 다른 부분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코아안착부(62)의 하부에는 연결슬롯(63)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슬롯(63)은 상기 코아안착부(62)의 폭보다는 작은 폭을 가진다. 이는 상기 연결슬롯(63)의 존재에 상관없이, 상기 코아안착부(62)에 코아(12)가 안착되어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슬롯(63)은 상기 코아안착부(62)와 에나멜선걸이부(64)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나멜선걸이부(64)는 캐리어(60)를 정면에서 볼 때, 원형의 통공으로 형성된다. 상기 에나멜선걸이부(64)에는 코아안착부(62)에 에나멜선이 걸려 있어 코아(12)의 정확한 안착을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코아안착부(62)에 코아(12)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급된 에나멜선을 모아주는 부분이다. 도면부호 65는 상기 캐리어(60)를 캐리어장착대(52)에 각각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캐리어(60)는 총 7개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캐리어(60)의 갯수는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테이블(10) 상에는 코아이송레일(70)이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코아이송레일(70)은 적어도 상기 에나멜선삽입장치(D)의 끝부분까지 길게 구비된다. 상기 코아이송레일(70)은 본 실시예에서 2개가 한쌍으로 되어 있다. 물론 한쌍의 코아이송레일(70)이 상기 코아로딩레일(35)의 일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부터, 상기 에나멜선삽입장치(D)의 끝부분까지 각각 하나로 길게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아이송레일(70)은 각각의 구간으로 나누어져 구성되는 것이, 다른 부품의 조립이나 유지보수시에 용이하다.
상기 코아이송레일(70)의 중앙을 따라서는 상기 코아로딩레일(35)의 캐리어채널(35')과 그 중심이 일치하게 캐리어채널(72)이 형성된다. 하지만, 코아이송레일(70)에 형성되는 캐리어채널(72)은 상기 캐리어채널(35')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크다. 이는 코아(12)에 삽입된 에나멜선이 코아이송레일(7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코아이송레일(70)에는 상기 캐리어채널(72)의 양단에 각각 가이드단차(7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단차(74)는 그 양단 사이의 폭(W)은 상기 코아로딩레일(35)의 가이드단차(36)의 그것과 동일하나, 가이드단차(74)자체의 상면 폭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채널(72)의 폭을 넓을 상대적으로 넓혀 에나멜선이 코아이송레일(70)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단차(74) 양단 사이의 공간은 코아(12)가 이송되는 코아이송채널(74')이다.
상기 코아이송레일(70)에도 상기 코아로딩레일(35)에서와 같이 코아안착부(76)가 형성된다. 상기 코아안착부(76)는 상기 코아이송레일(70)의 가이드단차(74)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코아안착부(76)는 상기 가이드단차(74)의 상면에서 약간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코아안착부(76)에 코아(12)가 안착되면 그 상단이 상기 코아이송레일(70)의 상면과 대응되는 높이에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아안착부(76)는 상기 코아이송레일(70)에 6개가 한쌍이 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6개가 한쌍으로 되는 코아안착부(76)가 6군데에 구비된다. 도면부호 78은 상기 양단의 코아이송레일(7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코아이송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코아이송장치가 채용된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가 동작되면, 상기 코아공급장치(A)에 구비된 코아(12)가 상기 코아공급레일(20)의 각각의 코아공급채널(22)을 따라 공급된다.
상기 코아공급채널(22)을 따라 공급된 코아(12)들은 상기 코아로딩레일(35)의 코아로딩홈(38)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단차(36)의 사이에 위치된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딩실린더(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로드(32)가 최대로 돌출되면 상기 로딩베이스(34)의 이동에 의해 상기 코아로딩레일(35)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코아로딩레일(35)의 우측에 있는 3개의 로딩채널(37)이 상기 코아공급채널(22)과 각각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코아공급채널(22)을 따라 공급된 코아(12)가 상기 코아로딩레일(35)의 우측 3군데에 구비된 로딩채널(37)과 코아로딩홈(38)에 로딩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로드(32)가 상기 로딩실린더(3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상기 로딩베이스(34)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도 9b의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코아로딩레일(35)의 좌측 3군데에 구비된 로딩채널(37)과 코아로딩홈(38)이 상기 코아공급채널(22)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 3군데의 로딩채널(37)과 코아로딩홈(38)에도 코아(12)가 로딩된다.
상기와 같이 되면 상기 코아로딩레일(35)에는 총 6개의 코아(12)가 상기 각각의 코아로딩홈(38)에 해당되는 상기 가이드단차(36)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캐리어베이스(45)는 상대적으로 도면상의 좌측에 이동되어 있다. 즉, 상기 구동로드(42)가 상기 구동실린더(4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이고, 상기 캐리어베이스(45)는 도면상 최좌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베이스(45)의 최좌측에 구비된 캐리어(60)는 상기 코아로딩레일(35)에 형성된 캐리어슬롯(35')의 적어도 하부에 위치된다. 참고로 상기 캐리어(60)의 상단은 상기 캐리어슬롯(35')의 하부 또는 내부에 위치된다. 즉, 상기 캐리어(60)의 상단은 로딩베이스(34)의 이동시 상기 가이드단차(36)에 안착된 코아(12)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일단, 도 9b의 상태와 같이, 코아로딩레일(35)의 각각의 코아로딩홈(38)에 해당하는 위치에 코아(12)가 안착되면, 상기 캐리어승강구동원(50)에 의해 캐리어(60)가 상승된다. 이때, 상기 캐리어장착대(52)에 구비된 전체 캐리어(60)가 동시에 상승된다. 상기 캐리어장착대(52) 전체가 정확하게 동일한 높이로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가이드봉(54)을 상기 수직가이드베어링(46)이 안내하고, 상기 균형스프링(47)이 또한 상기 캐리어장착대(52)를 지지한다.(도 9c 참조)
상기 캐리어(60)가 상승하면, 상기 캐리어(60)의 코아안착부(62)에 코아(12)가 위치되면서, 상기 로딩채널(37)과 코아로딩홈(38)에서 빠져나와 상기 코아이송채널(36')에서 이동가능한 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코아(12)는 적어도 상기 가이드단차(36)의 상면상에 그 하단이 위치되도록 되어야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실린더(40)의 구동로드(42)가 외부로 돌출되면, 상기 캐리어베이스(45)가 상기 이송가이드봉(26)을 따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된다. 즉,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베이스(45)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고, 최좌측의 캐리어(60)가 첫번째 에나멜선삽입장치(D)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게 된다. 참고로, 상기 캐리어(60)는 상기 캐리어채널(35')(72)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코아(12)는 상기 코아이송채널(36')(7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운동에 의해, 상기 최좌측의 캐리어(60)에 로딩되어 있는 각각의 코아(12)가 코아이송레일(70)의 최좌측에 있는 6개의 코아안착부(76)에 해당되는 위치로 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60)는 상대적으로 상승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각각의 코아(12)는 상기 코아이동레일(70)의 가이드단차(74) 상면에 그 하단이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승강구동원(50)에 의해 상기 캐리어(60)가 하강하면, 상기 캐리어(60)의 각각의 코아안착부(62)에 안착되어 있던, 코아(12)는 상기 각각의 코아안착부(76)에 안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실린더(40)에 의해 상기 캐리어(60)는 다시 도면상의 최좌측으로 이동되어 최좌측에 있는 캐리어(60)가 상기 코아로딩레일(35)(도 9b의 상태에 있는)의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코아로딩레일(35)은 각각의 코아로딩홈(38)에 코아(12)의 로딩을 위해 도 9a 및 도 9b의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위에서와 같은 동작은 반복하여 수행되고, 상기 각각의 캐리어(60)에는 각각 코아(12)가 안착되어 동시에 6개씩이 상기 캐리어(60)에 형성된 코아안착부(62) 사이의 간격만큼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코아이동레일(7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아이동레일(70)의 각각의 코아안착부(76) 쌍에서는 상기 에나멜선삽입장치(D)에 의해 정해진 위치의 코아(12)에 에나멜선이 차례로 삽입된다.
한편, 여러가지 원인으로 상기 캐리어(60)의 코아안착부(62)에 코아(12)가 하나씩 빠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에도 각각의 에나멜선삽입장치(D)에서는 모든 코아안착부(76)에 에나멜선을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코아(12)가 안착되어 있지 않은 코아안착부(76)에 공급된 에나멜선은 상기 연결슬롯(63)을 통해 에나멜선걸이부(64)로 전달되어, 이후에 코아(12)가 해당 코아안착부(62)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코아공급레일(20)의 코아공급채널(22)을 총 6개로 하고, 상기 코아로딩레일(35)을 이동시키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6개의 코아공급채널(22)에서 코아로딩레일(35)의 6개의 코아(12)를 동시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로딩실린더(30)에 의해 로딩베이스(34)가 좌우로 이동하는 구성을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한번에 이송되는 코아(12)의 갯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얼마든지 달리 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코아를 각 공정위치로 이송시킴에 있어 캐리어에 안착시킨 상태에 코아이송레일의 가이드단차내를 따라서 이동시키고, 각 공정위치에는 코아의 외관형상과 대응되는 코아안착부를 각각 형성하였다. 따라서, 코아가 각 공정위치로 정확하게 이송되어, 각 공정작업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코아를 한번에 이송시킴에 있어 코아안착부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캐리어를 사용하므로, 한번에 이송되는 코아를 각 공정상의 위치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캐리어의 코아안착부를 이용하여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코아가 이송되는 구조는 그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단하면서도, 에나멜선 삽입장치 등을 테이블 상에 배치하는 설계가 용이하게 되고 그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코아가 캐리어의 코아안착부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에나멜선이 공급되더라도 이를 별도의 에나멜선걸이부로 전달할 수 있어, 다음 공정에서 공급되는 코아가 정확한 작업위치에 안착될 수 있게 되어 불량발생률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와 같이 코아가 그 양단에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통공을 잇는 선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캐리어에 의해 지지되어 이송됨에 의해 이후의 작업공정, 특히 리드를 형성하기 위한 에나멜선의 삽입공정을 위한 구성이 간단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코아 이송장치의 개략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코아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코아로딩레일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캐리어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7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캐리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코아이송레일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테이블 20: 코아공급레일
22: 코아공급채널 24: 가이드바아
30: 로딩실린더 32: 구동로드
34: 로딩베이스 35: 코아로딩레일
35': 캐리어채널 36: 가이드단차
36': 코아이송채널 37: 로딩채널
38: 코아로딩홈 40: 구동실린더
42: 구동로드 43: 가이드베어링
45: 캐리어베이스 46: 수직가이드베어링
47: 균형스프링 50: 캐리어승강구동원
51: 구동로드 52: 캐리어장착대
54: 수직가이드봉 60: 캐리어
62: 코아안착부 63: 연결슬롯
64: 에나멜선걸이부 70: 코아이송레일
72: 캐리어채널 74: 가이드단차
74': 코아이송채널 76: 코아안착부

Claims (13)

  1. 코아가 안내되어 공급되는 다수개의 코아안내채널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코아공급레일과;
    상기 코아안내채널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코아안내채널과 연통되게 코아이송채널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코아이송채널의 하부로 연통되게 캐리어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코아안내채널과 코아이송채널이 연통되는 위치에 각각 코아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상의 코아로딩홈이 형성되는 코아로딩레일과;
    상기 코아로딩레일의 코아이송채널과 일직선으로 연결되게 코아이송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코아이송채널의 하부로 연통되게 캐리어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코아로딩홈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코아안착부가 형성되는 코아이송레일과;
    상기 코아로딩레일 및 코아이송레일의 캐리어채널을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되어 직선운동하는 것으로, 상기 코아로딩홈사이의 간격과 대응되게 코아안착부가 형성되는 캐리어를 구비하여 상기 코아로딩홈과 코아안착부의 사이에서 코아를 이송시키는 캐리어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기구는,
    상기 코아로딩레일과 코아이송레일의 하부를 따라 길게 구비되는 이송가이드봉과,
    상기 이송가이드봉을 따라 구동실린더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되는 캐리어베이스와,
    상기 캐리어베이스상에 캐리어승강구동원에 의해 승강되게 설치되는 캐리어장착대와,
    상기 캐리어장착대에 다수개 구비되고 코아가 안착되는 코아안착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캐리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상기 코아안착부가 형성되는 상단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며, 상기 코아안착부의 하부에는 연결슬롯을 통해 코아안착부와 연통되는 에나멜선걸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장착대는 상기 코아로딩레일과 코아이송레일의 설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수직가이드봉이 상기 캐리어베이스의 수직가이드베어링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수직가이드베어링의 상단과 캐리어장착대의 하면 사이에는 균형스프링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로딩레일의 캐리어채널은 상기 코아이송레일의 캐리어채널보다 폭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이송레일에는 상기 코아공급채널과 코아이송채널이 연통되는 로딩채널의 상부를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7. 테이블상에 각종 장치가 설치되어 밸룬트랜스포머를 제조하는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상에 고정 설치되고 코아가 안내되어 공급되는 다수개의 코아안내채널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코아공급레일과;
    상기 코아안내채널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코아안내채널과 연통되게 코아이송채널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코아이송채널의 하부로 연통되게 캐리어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코아안내채널과 코아이송채널이 연통되는 위치에 각각 코아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상의 코아로딩홈이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되는 코아로딩레일을 구비하는 코아로딩기구와;
    상기 테이블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코아로딩레일의 코아이송채널과 일직선으로 연결되게 코아이송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코아이송채널의 하부로 연통되게 캐리어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코아로딩홈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코아안착부가 형성되는 코아이송레일과;
    상기 코아로딩레일 및 코아이송레일의 캐리어채널을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되어 직선운동하는 것으로, 상기 코아로딩홈사이의 간격과 대응되게 코아안착부가 형성되는 캐리어를 구비하여 상기 코아로딩홈과 코아안착부의 사이에서 코아를 이송시키는 캐리어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로딩기구는,
    상기 테이블 상에 설치되는 로딩실린더와,
    상기 로딩실린더의 구동로드에 의해 상기 테이블에 설치된 이송가이드봉을 따라 이송되는 로딩베이스와,
    상기 로딩베이스상에 설치되고 상기 코아로딩홈에 코아를 안착시키기 위해 상기 로딩베이스와 함께 직선왕복운동하는 코아로딩채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기구는,
    상기 코아로딩레일과 코아이송레일의 하부를 따라 길게 구비되는 이송가이드봉과,
    상기 이송가이드봉을 따라 구동실린더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되는 캐리어베이스와,
    상기 캐리어베이스상에 캐리어승강구동원에 의해 승강되게 설치되는 캐리어장착대와,
    상기 캐리어장착대에 다수개 구비되고 코아가 안착되는 코아안착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캐리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상기 코아안착부가 형성되는 상단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며, 상기 코아안착부의 하부에는 연결슬롯을 통해 코아안착부와 연통되는 에나멜선걸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장착대는 상기 코아로딩레일과 코아이송레일의 설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수직가이드봉이 상기 캐리어베이스의 수직가이드베어링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수직가이드베어링의 상단과 캐리어장착대의 하면 사이에는 균형스프링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로딩레일의 캐리어채널은 상기 코아이송레일의 캐리어채널보다 폭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이송레일에는 상기 코아공급채널과 코아이송채널이 연통되는 로딩채널의 상부를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KR10-2004-0030208A 2004-04-29 2004-04-29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KR100538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208A KR100538841B1 (ko) 2004-04-29 2004-04-29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208A KR100538841B1 (ko) 2004-04-29 2004-04-29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729U Division KR200357993Y1 (ko) 2004-04-27 2004-04-27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803A true KR20050104803A (ko) 2005-11-03
KR100538841B1 KR100538841B1 (ko) 2005-12-26

Family

ID=3728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208A KR100538841B1 (ko) 2004-04-29 2004-04-29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8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2707A (zh) * 2017-03-28 2017-06-20 扬州市职业大学 一种多工位变压器骨架传送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2707A (zh) * 2017-03-28 2017-06-20 扬州市职业大学 一种多工位变压器骨架传送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8841B1 (ko) 2005-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08988B (zh) 一种led封装基板和透镜同时上料装置
CN106239613B (zh) 一种pcb板自动装夹的连续钻孔设备
EP0147081A2 (en) A wire length varying device in combination with apparatus for making electrical harnesses
KR102250562B1 (ko) 오토 툴 교체 기능을 갖는 베어링 압입장치
CN214692184U (zh) 托盘输送装置
KR20010043476A (ko) 소자 캐리어에 전기 소자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KR20160038863A (ko) 커넥터용 터미널 핀 커팅 및 삽입 장치
KR20190049227A (ko) 호스 체결밴드용 밴드 공급장치
KR100538841B1 (ko)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KR200357993Y1 (ko)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코아이송장치
CN111650697A (zh) 全自动化光纤连接器批量穿纤装置
EP1328820A1 (en) Testing system in a circuit boardmanufacturing line for automatic testing of circuit boards
CN110002193B (zh) 一种通过多通道传输进行物料定位的装置
KR20000073365A (ko) 표면실장기의 인쇄회로기판 평면도 보정장치
US5909914A (en) Electronic parts mounting method
KR101843322B1 (ko) 반도체 테스트용 소켓의 컨택핀 조립장치
CN212183355U (zh) 一种磁条插入机的磁条插入结构
KR100605132B1 (ko)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에나멜선 삽입장치
KR200358001Y1 (ko)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에나멜선 삽입장치
KR100857847B1 (ko) 배선기판의 접속자의 고정방법 및 그 장치
CN113949010B (zh) 一种激光破皮机及破皮方法
US4660279A (en) Apparatus for electrical harness manufacture
KR101233220B1 (ko) 다이본더용 리드프레임 이송장치
KR200358005Y1 (ko) 밸룬트랜스포머 제조기의 에나멜선 꼬기장치
CN219274199U (zh) 一种直条定子的排样传输装置及其形成的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