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240A -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240A
KR20050103240A KR1020057015771A KR20057015771A KR20050103240A KR 20050103240 A KR20050103240 A KR 20050103240A KR 1020057015771 A KR1020057015771 A KR 1020057015771A KR 20057015771 A KR20057015771 A KR 20057015771A KR 20050103240 A KR20050103240 A KR 20050103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mobile device
network
address
forw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춘-팅 초우
준 종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10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24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9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adapted for mobile IP [M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04W36/125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involving different types of service backb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04W40/36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due to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서브-네트워크(wireless subnetworks) 사이에서 이동 장치의 개선된 핸드오프(handoff)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장치는 새로운 서브-네트워크(계층 3 핸드오프)의 에이전트와 연결되기 전에, 새로운 무선 서브-네트워크(계층 2 핸드오프)의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와 직접 연결될 것이다.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이 완료되면, 포워딩 요청은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이동 장치가 이전에 연결되었던 무선 서브-네트워크의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로 전달된다. 포워딩 요청은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된 이동 장치용의 모든 데이터 패킷이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로 포워딩되게 한다. 다음에, 이동 장치와 새로운 무선 서브-네트워크의 에이전트의 연결이 완료되면, 이동 장치는 새로운 서브-네트워크를 직접 통해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HANDOFF OF A MOBILE DEVICE BETWEEN WIRELESS SUBNETWORK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서브-네트워크(wireless subnetworks) 사이에서 이동 장치의 개선된 핸드오프(handoff)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I.E.E.E. 802.11(f)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동 장치의 인터-서브-네트워크 핸드오프(inter-subnetwork handoff)에 대한 지연 및 데이터 패킷 손실(data packet loss)을 감소시킨다.
무선 네트워크가 더욱 널리 보급될수록, 이동 장치의 기능이 증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오늘날 여러 이동 장치(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랩탑 컴퓨터 등)는 무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기 위해서, 이동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과 같은 그 내부의 소정의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야 한다. 그의 고유한 휴대 가능성에 기인하여, 이동 장치는 때때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프(handed-off)"된다. 특히, 이동 장치 사용자가 그/그녀의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리 떨어져 이동할 때, 그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은 저하(degrade)되고, 결과적으로 접속 해제(fail)될 것이다. 단대단 접속(end-to-end connection)의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동 장치는 임의의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를 찾고 연결되어야 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는 다수의 서브-네트워크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서브-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다른 구성 요소 중에서도 이동성 에이전트(mobility agent) 및 이동 장치가 연결될 수 있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의 세트를 포함할 것이다. 단일 서브-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하나의 지리학적 위치, 동일한 건물 내부 또는 동일한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 LAN) 상의 모든 "머신"을 의미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서브-네트워크로 분리되면, 여러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서브-네트워크는 네트워크가 단일 공유형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게 한다. 하나의 조직이 서브-네트워크 없이 인터넷에 대한 다수의 접속을 획득할 수 있기는 하지만, 이는 인터넷이 할당해야 하는 한정된 개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불필요하게 사용하게 할 것이다.
전형적으로, 개방 시스템 상호 접속 계층 모델(Open Systems Interconnection layer model) 하에서, 무선 서브-네트워크는 여러 "계층(layers)"을 가진다. 계층 1은 물리 계층으로서 지칭되고, 계층 2는 링크(link)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 MAC) 계층으로 지칭되며, 계층 3은 네트워크 계층으로 지칭되고, 계층 4는 전송 계층(transportation layer)으로서 지칭된다. 불행하게도, 서브-네트워크가 효율적으로 될 수 있는 한, 이동 장치가 하나의 서브-네트워크로부터 다른 서브-네트워크로 이동할 때(일반적으로 인터-서브-네트워크 이동으로 알려짐) 여러 문제가 제기된다. 특히, 이동 장치가 서브-네트워크 사이에서 이동할 때, 이동 장치는 새로운 에이전트(계층 3 핸드오프)로 핸드오프된 다음,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계층 2 핸드오프)로 핸드오프되어야 한다. 이동 장치가 계층 3 핸드오프를 완료하면, 임시 인터넷 어드레스(COA(Care-of-Address)로 알려짐)를 할당받는다.
전형적으로, 계층 3 핸드오프는 "모바일 IP(Mobil IP)" 표준에 따라서 관리된다. 모바일 IP 표준 하에서, 서브-네트워크 내의 에이전트는 대략 1초마다 "에이전트 비콘(agent beacons)"을 송신한다. 에이전트 비콘은 이동 장치에 의해 수신되어, 이동 장치가 특정한 서브-네트워크에 접속되었다는 것을 검증한다. 이동 장치가 제 1 서브-네트워크에 의해 적용되는 영역 외부로 이동하면, 에이전트 비콘은 손실(missed)될 것이다(예를 들면, 에이전트 비콘이 수신되지 않거나, 에이전트 비콘이 충분한 "세기"로 수신되지 않음). 어떤 경우에나, 이동 장치가 3개의 연속적인 에이전트 비콘을 손실하면, 모바일 IP 표준은 해당 이동 장치가 새로운 서브-네트워크를 탐색해야 한다고 통지한다. 따라서, 이동 장치는 새로운 에이전트 비콘(예를 들면, 새로운 서브-네트워크로부터)을 검출하도록 시도할 것이다. 이동 장치가 새로운 에이전트 비콘을 탐색하면, 이동 장치는 에이전트 및 그 내부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될 것이다. 새로운 에이전트와 연결되면, 새로운 COA가 이동 장치에 할당되고, 메시지가 서브-네트워크 사이의 게이트웨이(gateway)로 전달되어, 이동 장치를 위해 의도된 임의의 데이터 패킷은 (새로운 IP 어드레스에 따라서) 새로운 서브-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장치로 전달될 것이다.
그러나, 계층 3 핸드오프 프로세스 동안에 여러 문제들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이동 장치가 에이전트와의 연결을 시도하기 전에, 3개의 에이전트 비콘이 손실되도록 대기해야 하기 때문에, 적어도 2초가 소요될 것이다. 이러한 지연은 이동 장치로의 통신 및 이동 장치로부터의 통신을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데이터 패킷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이동 장치가 계층 3 핸드오프를 완료하기 전에, 이동 장치를 위해 의도된 임의의 데이터 패킷은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될 것이다. 이는 이동 장치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전달을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에서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의 축적(buildup)을 유발할 것이다. 이러한 축적은 버퍼 오브플로우(buffer overflow) 및 데이터 패킷의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은 계층 3 핸드오프가 완료된 이후에 새로운 서브-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장치에 대해서만 라우팅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이동 장치가 특정한 서브-네트워크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의 이동(인트라-서브-네트워크 이동(intra-subnetwork migration)으로 알려짐) 등과 같이 엄격하게 계층 2 핸드오프만을 실행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인트라-서브-네트워크 이동은 I.E.E.E. 802.11(f) 표준에 따라서 취급된다. 이 표준 하에서,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 비콘을 송신한다. 액세스 포인트 비콘은 에이전트 비콘이 송신되는 주파수(예를 들면, 매 1초마다)보다 훨씬 큰 주파수(예를 들면, 100 밀리초 간격)로 송신된다. 이동 장치가 특정한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되면, 이동 장치는 연속적으로 액세스 포인트 비콘을 수신할 것이다. 이동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멀리 이동할 때, 이동 장치가 서브-네트워크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경우에 에이전트 비콘이 감소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액세스 포인트 비콘의 세기가 감소될 것이다. 에이전트 비콘의 세기가 소정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자 마자, 이동 장치는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 비콘을 검출하도록 시도할 것이다. 그러나, 액세스 포인트 비콘이 더 큰 주파수로 송신되기 때문에, 몇 초의 지연 주기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인터-서브-네트워크 이동 동안에 관찰된 통신 지연 및 가능한 데이터 패킷 손실은 그다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계층 2 핸드오프는 계층 3 핸드오프보다 더 빠르고 원활할 것이다.
상술된 내용의 관점에서, 무선 서브-네트워크 사이에서 이동 장치의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 점에서, 인트라-서브-네트워크 이동의 이점을 인터-서브-네트워크 통신에 적용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 점에서, I.E.E.E. 802.11(f)을 이용하여 이동 장치의 IP 계층(즉, 계층 3) 핸드오프 동안에 데이터 패킷을 버퍼링하고 포워딩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도 1은 무선 서브-네트워크 사이에서 이동 장치의 계층 3 핸드오프를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모바일 IP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이동 장치가 그 사이에서 이동하는(즉, 핸드오프하는) 2개의 무선 서브-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이동 장치의 전형적인 계층 3 핸드오프를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장치의 핸드오프에 대하여 비교한 타임라인 비교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장치 및 액세스 포인트를 도시하는 블록도.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서브-네트워크 사이에서 이동 장치의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장치가 제 1 무선 서브-네트워크로부터 제 2 무선 서브-네트워크로 이동할 때, 이동 장치는 제 2 무선 서브-네트워크 내의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송신되는 액세스 포인트 비콘을 검출할 것이다. 액세스 포인트 비콘을 검출하면, 이동 장치는 그에 대한 연결 요청을 전달할 것이다. 연결 요청을 허가한 후에,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장치가 연결되었던 제 1 서브-네트워크 내의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포워딩 요청을 전달할 것이다. 포워딩 요청은 이동 장치를 위해 의도되고,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된 모든 데이터 패킷이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로 포워딩되게 한다. 따라서, 이동 장치는 계층 3 핸드오프가 발생되는 동안에 그의 데이터 패킷을 계속 수신할 수 있다. 계층 3이 완료되면(3초 이상이 지난 후에), 이동 장치는 제 2 서브-네트워크를 통해 직접적으로 데이터 패킷을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계층 3 핸드오프가 발생되는 동안에 계층 2 핸드오프를 실행하고, 포워딩 요청을 전달함으로써, 본 발명은 인터-서브-네트워크 핸드오프가 원활하고 빨라지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무선 서브-네트워크 사이에서 이동 통신의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제 1 무선 서브-네트워크의 제 1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이동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 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송신된 액세스 포인트 비콘의 파워 레벨이 사전 결정된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면 이동 장치와 제 2 무선 서브-네트워크의 제 2 액세스 포인트를 연결하는 단계와, 연결 이후에 제 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1 액세스 포인트로 포워딩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러한 포워딩 요청은 이동 장치를 위해 의도되고 제 1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 패킷이 제 2 액세스 포인트에 포워딩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무선 서브-네트워크 사이에서 이동 장치의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제 1 무선 서브-네트워크의 제 1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이동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 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송신된 액세스 포인트 비콘의 파워 레벨이 사전 결정된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면 이동 장치와 제 2 무선 서브-네트워크의 제 2 액세스 포인트를 직접 연결하는 단계와, 연결 이후에 제 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1 액세스 포인트로 포워딩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이러한 포워딩 요청은 이동 장치를 위해 의도되고 제 1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 패킷이 제 2 액세스 포인트로 포워딩되게 함-과, 포워딩 요청이 전달된 이후에 이동 장치와 제 2 무선 서브-네트워크의 에이전트를 연결하는 단계와, 에이전트와의 연결 이후에 이동 장치를 위해 의도된 추가적인 데이터 패킷을 제 2 무선 서브-네트워크를 직접 통과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무선 서브-네트워크 사이에서 이동 장치의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시스템은 제 1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제 1 서브-네트워크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제 2 서브-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이동 장치는 제 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송신된 액세스 포인트 비콘의 파워 레벨이 사전 결정된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면 제 2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제 2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장치와의 연결 이후에 제 1 액세스 포인트에 포워딩 요청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포워딩 요청은 이동 장치를 위해 의도되고 제 1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 패킷이 제 2 액세스 포인트에 포워딩되게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여러 측면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면은 단지 개략적인 표현일 뿐이고, 본 발명의 특정한 파라미터로 묘사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면은 오로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이고,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도면 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무선 서브-네트워크(14)와 제 2 무선 서브-네트워크(16) 사이에서 이동 장치/노드(node)(12)의 계층 3 핸드오프를 위한 모바일 IP 표준에 대한 개요(10)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장치(12)가 무선 서브-네트워크(14)로부터 무선 서브-네트워크(16)로 이동할 때, 이동 장치(12)는 외부 에이전트(foreign agent)(18)에 등록하고, CoA(Care-of-Address)로 지칭되는 임시 IP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또한 이동 장치(12)는 무선 서브-네트워크 네트워크(wireless subnetwork network)(14) 내의 자신의 홈 에이전트(home agent)(20)에 대해 이러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홈 에이전트(20)가 상대 장치(correspondent device)/노드(CD)(22)로부터 새로운 CoA로 데이터 패킷을 포워딩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프로세스 동안에 관찰된 핸드오프 지연은 몇 초 정도로 높을 수 있고, 이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 또는 TCP 트래픽(TCP traffic)에 있어서 심각한 서비스 저하를 초래한다. 특히, 계층 3 핸드오프가 이동 IP 하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이동 장치(12)가 외부 에이전트(18)와 연결하도록 시도하기 전에, 이동 장치(12)는 홈 에이전트(20)로부터 3개의 에이전트 비콘을 손실하게 된다. 홈 에이전트(20) 및 외부 에이전트(18) 등과 같은 에이전트는 대략 매 1초마다 하나의 비콘만을 송신하기 때문에, 계층 3 핸드오프가 실제적으로 발생되기 전에 적어도 3초가 소요될 것이다.
계층 3 핸드오프가 완료되면, 새로운 IP 어드레스는 이동 노드(12)에 할당될 것이다.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IP 어드레스는 4그룹의 10진수로 이루어진 32비트 시퀀스이다. 예를 들면, IP 어드레스는 다음과 같이 "130.5.5.25"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첫 번째 2개의 그룹인 130.5"가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식별하고, ".5"가 서브-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식별하며, ".25"가 호스트 어드레스를 식별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동 장치가 서로 다른 서브-네트워크로 이동하면, ".5"의 서브-네트워크 어드레스가 변동될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IP 어드레스가 이동 장치(12)에 할당되면, 이동 장치(12)에 대한 모든 향후의 통신이 무선 서브-네트워크(16)를 통해 이동 장치(12)에 라우팅(routed)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이동 장치(12)가 그 사이에서 이동하는(즉, 핸드오프하는) 2개의 무선 서브-네트워크(22A, 22B)를 도시하는 도면(2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서브-네트워크(22A, 22B)는 모두 유사한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 요소는, 라우터(30A, 30B), 외부 에이전트(32A, 32B), MAC 브리지(34A, 34B) 및 액세스 포인트(36A-36D)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28)는 무선 서브-네트워크(22A, 22B) 사이에 위치되어 상대 노드/장치(26)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이동 장치(24)에 대해 라우팅한다. 일반적으로, 라우터(30A, 30B) 및 외부 에이전트(32A, 32B)는 계층 3(IP 계층) 구성 요소로 간주될 수 있고, MAC 브리지(34A, 34B) 및 액세스 포인트(36A-36D)는 계층 2(MAC 계층) 구성 요소로 간주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특정한 서브-네트워크에 접속되기 위해서, 이동 장치(24)는 외부 에이전트 및 그 내부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된다. 연결 후에, 상대 장치(26)로부터 이동 장치(24)로 향하는 임의의 데이터 패킷은 라우터, MAC 브리지 및 이동 장치(24)가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이동 장치(24)에 대해 통신될 것이다. 도면(20)은 오로지 예로서 제시된 것이고, 다른 구성 요소가 포함될 수 있고/또는 다른 구현이 가능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이 점에서, 도시된 구성 요소(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의 양도 예시적이며, 한정적이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외부 에이전트(32A, 32B)는 전형적으로 라우터(30A, 30B)의 일부분이거나 라우터(30A, 30B)에 접속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2에서 이들은 오로지 개념적인 용도를 위해서 그와 같이 도시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장치(24)가 무선 서브-네트워크(22A)로부터 무선 서브-네트워크(22B)로 이동할 때, 이동 장치(24)는 I.E.E.E. 802.11(f)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36C-36D))와 직접 연결되는 한편, 모바일 IP 하에서 외부 에이전트(32B)와 연결되도록 시도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이동 장치(24)가 초기에 무선 서브-네트워크(22A)의 액세스 포인트(36B) 및 외부 에이전트(32A)와 연결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동 장치(24)가 무선 서브-네트워크(22A)로부터 멀어지면서 포인트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이 포인트에서 외부 에이전트(32A)로부터의 에이전트 비콘 및 액세스 포인트(36B)로부터 송신된 액세스 포인트 비콘의 세기가 감소하기 시작한다고 가정한다. 이전의 실시예에서, 도 1과 관련하여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동 장치(24)는 모바일 IP 표준(예를 들면, 계층 3 핸드오프)에 따라서 외부 에이전트(32B)와 연결하는 시간 소모적인 프로세스를 거쳐야 할 것이다. 즉, 이동 장치(24)가 외부 에이전트(32B)와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게되기 전에, 외부 에이전트(32A)로부터의 3개의 에이전트 비콘은 손실될 것이다(예를 들면, 검출되지 않거나, 모바일 IP 표준에 의해 설정된 바와 같은 사전 결정된 "파워" 임계값 이하로 떨어질 것이다). 각각의 비콘이 대략 매 1초마다 송신되기 때문에, 이러한 계층 3 핸드오프/연결이 완료되기 전에 적어도 3초가 소요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장치(24)는 계층 3 핸드오프가 발생되는 동안에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계층 2(예를 들면, MAC 계층) 핸드오프를 완료할 것이다. 특히, 이동 장치(24)가 무선 네트워크(22A)로부터 무선 네트워크(22B)로 이동할 때, 액세스 포인트(36B)로부터 송신되는 액세스 포인트 비콘은 손실될 것이다(예를 들면, 검출되지 않거나, I.E.E.E. 802.11(f) 표준에 의해 설정된 바와 같은 사전 결정된 "파워" 임계값 이하로 떨어질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되면, 이동 장치(24)는 그 파워가 임계 조건을 만족시키는 액세스 포인트 비콘을 탐색할 것이다. 이 점에서, 이동 장치(24)는 무선 네트워크(22B) 내의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36C))와 연결되도록 시도할 것이다. 액세스 포인트 비콘이 에이전트 비콘에 비해서 훨씬 큰 주파수로 송신되기 때문에, 이동 장치(24)는 외부 에이전트(32B)를 검출 및 연결할 때보다 훨씬 짧은 시간 주기 내에 액세스 포인트(36C)를 검출하고 연결하도록 시도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장치(24)는 대략 300-400 밀리 초(외부 에이전트(32B)와 연결될 때의 3초 이상의 시간에 대비됨) 내에 액세스 포인트(36C)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동 장치(24)가 액세스 포인트(36C)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비콘을 검출하면, 이동 장치(24)는 그에 대한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달할 것이다. I.E.E.E. 802.11(f) 표준에 제시된 바와 같이, 연결 요청은 특히, 이동 장치의 MAC 어드레스 및 액세스 포인트(36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36C)가 연결 요청을 수락하고, 확인 신호(confirmation)를 이동 장치(24)에 되돌려 보내면, 액세스 포인트(36C)는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36B)에 대해 포워딩 요청을 전달할 것이다. 포워딩 요청은 이동 장치(24)를 위해 의도되고 액세스 포인트(36B)에 의해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 패킷이 액세스 포인트(36C)로 포워딩되도록 유발/요구한다. 특히, 무선 서브-네트워크(22A)로부터 무선 서브-네트워크(22B)로의 이동 장치(24)의 핸드오프 동안에, 액세스 포인트(36B)는 이동 장치(24)를 위한 데이터 패킷(38)을 연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적으로, 데이터 패킷(38)은 계층 3 핸드오프가 완료될 때까지 액세스 포인트(36B)에서 버퍼링되었다. 그러나, 계층 3 핸드오프가 3초 이상을 소요할 수 있기 때문에, 버퍼(buffer)는 오버플로우(overflow)될 수 있고, 데이터 패킷은 손실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워딩 요청은 이동 장치(24)와 액세스 포인트(36C) 사이의 연결이 완료되자마자(예를 들면, 300-400 밀리초), 액세스 포인트(36B)에 전달된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36C)는 연결 요청 내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36B)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RADUS(Remote Authentication Dial-In User Service) 요청을 발행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36B)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한다. 특히, 액세스 포인트(36C)는 액세스 포인트(36B)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등을 문의(query)할 것이다. 식별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를 상호 참조(cross-reference)하여 액세스 포인트(36B)의 실제 IP 어드레스를 추출하는 데 이용된다. 그것이 결정되면, 포워딩 요청은 추출된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36B)에 대해 통신된다.
포워딩 요청을 수신하면, 액세스 포인트(36B)는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을 액세스 포인트(36C)로 포워딩할 것이다(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36B)로부터 MAC 브리지(34A)로, 라우터(30A)로, 게이트웨이(28)로, 라우터(30B)로, MAC 브리지(34B)로, 액세스 포인트(36C)로 포워딩함). 따라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기 전에 3초 이상을 대기하는 것 대신에, 이동 노드(24)는 수백 밀리초만에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의 버퍼링,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ng) 및 포워딩은 계층 3 핸드오프가 완료될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즉, 상술된 바와 같이, 이동 장치(24)는 외부 에이전트(32B)와 연결되고, (예를 들면, 라우터(30B)에 의해서) 새로운 CoA 어드레스를 할당받음). 이 때에, 게이트웨이(28)는 무선 서브-네트워크(22A)를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무선 서브-네트워크(22B)를 통과하여 이동 장치(24)를 위해 의도된 데이터 패킷(38)을 라우팅하도록 지시받는다.
이동 장치(24)가 계층 3 핸드오프를 완료하고, 새로운 CoA를 획득할 때까지, 이동 장치(24)는 계속 위상적으로(topologically) 부정확한 IP 어드레스를 이용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 이후에 액세스 포인트(36C)가 이러한 포워딩된 IP 패킷을 폐기(discarding)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36C)는 이러한 "서브-네트워크-프리픽스 불일치(subnetwork-prefix inconsistent)" IP 어드레스를 이동 장치(24)의 MAC 어드레스와 연결시켜야 한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36C)와의 계층 2 핸드오프가 완료되면, 액세스 포인트(36C)는 역 어드레스 분석 프로토콜(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request : RARP)을 발행하여 이동 장치(24)의 이전의(부정확한) IP 어드레스를 획득해야 한다. RARP 요청은 전형적으로 연결 요청에서 식별된 바와 같은 이동 장치(24)의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전의 IP 어드레스가 획득되면, 이것은 MAC 어드레스(및 이동 장치(24))와 연결된다. 그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36C)가 이전의 IP 어드레스로 포워딩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때마다, 연결된 MAC 어드레스는 이동 장치(즉, 이동 장치(24))가 데이터 패킷을 전달해야 하는 액세스 포인트(36C)를 알려줄 것이다.
추가하여, 계층 3 핸드오프가 완료될 때까지, 이동 장치(24)는 업링크(uplink)(예를 들면, 이동 장치(24)로부터 데이터 패킷의 전송)를 위한 자신의 디폴트 라우터(default router)로서 계속 무선 서브-네트워크(22A)의 라우터(30A)를 이용할 것이다. 그러므로, 아웃바운드(outbound) 데이터 패킷의 MAC 프레임 헤더(MAC-frame header) 내의 목적지 MAC 어드레스는 라우터(30A)의 MAC 어드레스일 것이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36C)가 어떠한 변동 없이 단지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기만 한다면, 이 데이터 패킷은 라우터(30A)에 도달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36C)가 이동 장치(24)로부터 알려지지 않은 MAC 어드레스를 갖는 패킷을 수신하면, 액세스 포인트(36C)는 RARP 요청을 발행하여 대응하는 구성 요소의 IP 어드레스를 식별할 것이다. RARP 응답이 수신되지 않았다면, 액세스 포인트(36C)는 해당 MAC 어드레스를 도달 불가능(unreachable)한 것으로 데이터베이스 내에 마킹한다. 다음에, 다시 이동 장치(24)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MAC 어드레스의 목적지를 라우터(30B)의 MAC 어드레스로 대체할 것이다. 그러나, 입력/출력(ingress/egress) 필터링이 구현되면, 액세스 포인트(36C)는 데이터 패킷을 인캡슐레이션하고, 계층 3 핸드오프가 완료될 때까지 그것을 무선 서브-네트워크(20A)에 되돌려보낼 것이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장치의 전형적인 계층 3 핸드오프를,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장치의 핸드오프에 대해 비교한 타임라인 비교결과(50)가 도시되어 있다. 타임라인(50)의 부분(52)은 전형적인 계층 3 핸드오프를 나타내고, 부분(60)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프를 도시한다. 부분(50)을 관찰하면, 계층 3 핸드오프가 완료되었기 때문에, 이동 장치가 3개의 에이전트 비콘(54A-54C)을 손실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에이전트 비콘이 이동성 에이전트로부터 1초에 1회만 송신되기 때문에, 완전한 계층 3 핸드오프(포인트(56)로 표시됨)는 적어도 3초가 소요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링크가 다운(down)되면(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비콘의 손실 또는 수신된 파워 세기가 소정의 사전 결정된 임계값이하로 떨어지면), 이동 장치는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66)(타임라인을 따른 포인트(70)로 표시됨)와 연결되도록 탐색할 것이다. 연결이 완료되면,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66)는 RADIUS 서버(68)에 대해 RADIUS 요청을 발행하여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64)의 IP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IP 어드레스가 결정되면, 포워딩 요청은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64)로 전달된다. 포워딩 요청에 기초하여,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 장치를 위해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 패킷의 포워딩을 시작할 것이다. 타임라인(50)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이동 장치는 대략 포인트(70)에서 포워딩된 데이터 패킷의 수신을 시작할 것이다. 포워딩은 포인트(56)에서 계층 3 핸드오프가 완료될 때까지 계속되고, 그 이후에 이동 장치는 도 2의 새로운 이동성 에이전트(32B)를 직접 통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따라서, 포인트(70)와 포인트(56) 사이의 시간은 본 발명에 따라서 이동 장치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시간을 나타내는데, 이는 종래에는 불가능했던 것이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은 이동 장치 및/또는 서브-네트워크 구성 요소 내에서 소프트웨어-기반 또는 하드웨어-기반의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 요소라면 어떠한 종류라도 적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구성 요소일 수 있는데,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로딩되고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각각의 방법을 수행한다. 이와 다르게,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적 작업을 실행하는 특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전용 구성 요소(specific use component)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각각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컴퓨터 시스템 내에 로딩되면- 이러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는, 인스트럭션의 세트에 대한 임의의 언어, 코드 또는 표기법으로 된 임의의 표현을 의미하는데, 이 임의의 표현은 정보 처리 능력을 갖는 시스템이 직접적으로, 또는 a) 다른 언어, 코드 또는 표기법으로의 변환 및/또는 b) 다른 자료 형태로의 재생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수행한 후에,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장치(102) 및 액세스 포인트(120)의 블록도(100)가 도시된다. 그 이전에, 도 4에 도시된 블록도(100)가 오로지 예시로서 제시되었다는 것과, 이동 장치(102) 및 액세스 포인트(120)가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구성 요소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떠한 경우에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장치(102)는 프로세서(104), 메모리(106), 송신기/수신기(108) 및 액티브 패킷화기(active packetizer)(110)를 포함한다. 이동 장치(102)의 메모리(106)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112) 및/또는 프로그램 코드(1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장치(102)가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때, 액세스 포인트(120)로부터 송신된 액세스 포인트 비콘을 검출하기 시작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프로그램 코드(114)는 액세스 포인트(120)에 연결 요청을 되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전형적으로, 연결 요청은 이동 장치(102)의 MAC 어드레스 및 이동 장치(102)가 연결되어 있었던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정보 등과 같이 I.E.E.E. 802.11(f) 표준에 의해 개시된 데이터(112)를 포함할 것이다. 연결 요청은 액티브 패킷화기(110)에 의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으로 패킷화되고, 그 다음에 송신기/수신기(108)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120)로 송신될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20)는 프로세서(122), 메모리(124), 송신기/수신기(126), 데이터 및 프로그램 분할기(data and program separator)(128) 및 액티브 패킷화기(130)를 포함한다. 연결 요청은 송신기/수신기(126)를 통해 수신되고, 데이터 및 프로그램 분할기(128)로 포워딩되는데, 이러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분할기(128)는 데이터(예를 들면, MAC 어드레스 및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 정보)를 추출할 것이다. 확인 요청/메시지(confirmation request/message)는 메모리(124) 내의 데이터(132)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고, 그 후에 데이터 패킷으로서 액티브 패킷화기(130)를 통해 이동 장치(102)로 되전송된다. 연결이 완료되면, 메모리(124) 내의 프로그램 코드(134)는 RADIUS 요청을 발행하여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의 IP 어드레스를 획득하고, 그 후에 포워딩 요청을 생성하고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는 포워딩 요청을 수신하고, 이동 장치(102)를 위해 의도된 임의의 데이터 패킷을 포워딩하도록 구성된다.
이동 장치의 계층 3 핸드오프가 완료되기 전에, 메모리(124) 내의 프로그램 코드(134)는 또한 RARP 요청을 발행하여 이동 장치(102)의 이전의 IP 어드레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즉, 연결 요청 내에서 수신된 MAC 어드레스를 이용함). 다음에, 액세스 포인트(120)는 이전의 액세스 포인트(이전의 IP 어드레스를 가짐)로부터 이동 장치(102)로 포워딩된 데이터 패킷을 적절하게 라우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계층 3 핸드오프의 완료 이전에, 이동 장치(10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과 관련하여, 프로그램 코드(134)는 RARP 요청을 발행하여, 수신된 데이터 패킷 내에서 식별된 이전의 라우터의 MAC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이동 장치(102)에 의해 이용된 이전의 라우터의 IP 어드레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블록도(100)는 오로지 예로서 제시된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기반의 구현을 도시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이동 장치(102) 및 액세스 포인트(120) 내의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실행되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능은 도 4에 도시되고 나타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이 되지는 않는다. 반대로, 동일한 기능은 이동 장치(102) 및 액세스 포인트(120) 내에서 구현된 하드웨어(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술된 설명은 오로지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본 발명을 개시된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거나 제한하도록 제시되지 않았고, 여러 변형 및 수정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당업자에게 명확할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도록 제시되었다.

Claims (20)

  1. 무선 서브-네트워크(wireless subnetworks)(22A, 22B) 사이에서 이동 장치(24)의 개선된 핸드오프(handoff)를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무선 서브-네트워크(22A)의 제 1 액세스 포인트(36B)와 연결된 이동 장치(24)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로부터 송신된 액세스 포인트 비콘(access point beacon)의 파워 레벨(power level)이 사전 결정된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상기 이동 장치(24)와 제 2 무선 서브-네트워크(22B)의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 단계 이후에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로부터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로 포워딩 요청(forwarding request)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포워딩 요청은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에 의해 수신된 상기 이동 장치(24)용의 임의의 데이터 패킷이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로 포워딩되게 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로부터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로 상기 데이터 패킷을 포워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 단계는,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을 버퍼링(buffering)하는 단계와,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로 포워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계는,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로부터 RADIUS 서버(68)로 요청을 발행하여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의 상기 결정된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포워딩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24)가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와 직접 연결된 후에, 상기 이동 장치(24)와 상기 제 2 무선 서브-네트워크(22B)의 에이전트(agent)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장치(24)가 상기 에이전트와 연결된 후에, 상기 제 2 무선 서브-네트워크(22B)에 대한 상기 이동 장치(24)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연결 단계는,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로부터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만족시키는 액세스 포인트 비콘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장치(24)로부터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로 연결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이동 장치(24)의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ddress control : MAC) 어드레스 및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의 식별 정보(identity)를 식별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연결 단계 이후에, 상기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에서 역 어드레스 분석 프로토콜 요청(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request : RARP)을 발행하여 상기 제 1 무선 서브-네트워크(22A)에 대한 상기 이동 장치(24)의 IP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무선 서브-네트워크(22A)에서 할당된 상기 이동 장치(24)의 상기 IP 어드레스와 상기 MAC 어드레스를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서브-네트워크(22A)의 구성 요소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상기 포워딩 요청에 의해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에서 상기 이동 장치(24)로부터의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와,
    RARP 요청을 발행함으로써, 상기 요청 내의 상기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구성 요소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10. 무선 서브-네트워크(22A, 22B) 사이에서 이동 장치(24)의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무선 서브-네트워크(22A)의 제 1 액세스 포인트(36B)와 연결된 이동 장치(24)를 제공하는 단계와,
    레벨이 사전 결정된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이동 장치(24)와 제 2 무선 서브-네트워크(22B)의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를 직접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 단계 이후에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로부터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로 포워딩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상기 포워딩 요청은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에 의해 수신된 상기 이동 장치(24)용의 임의의 데이터 패킷이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로 포워딩되게 함-와,
    상기 포워딩 요청이 통신된 이후에 상기 이동 장치(24)와 상기 제 2 무선 서브-네트워크(22B)의 에이전트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에이전트와의 상기 연결 단계 이후에, 상기 이동 장치(24)용의 추가적인 데이터 패킷을 제 2 무선 서브-네트워크(22B)를 직접 통과하여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 단계는,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에서 상기 데이터 패킷을 버퍼링하는 단계와,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을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로 포워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계는,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로부터 RADIUS 서버(68)로 요청을 발행하여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의 상기 결정된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포워딩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연결 단계는,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로부터 상기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만족시키는 액세스 포인트 비콘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장치(24)로부터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로 연결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이동 장치(24)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어드레스 및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의 식별 정보를 식별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연결 단계 이후에, 상기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에서 역 어드레스 분석 프로토콜 요청(RARP)을 발행하여 상기 제 1 무선 서브-네트워크(22A)에 대한 상기 이동 장치(24)의 IP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무선 서브-네트워크(22A)에서 할당된 상기 이동 장치(24)의 상기 IP 어드레스와 상기 MAC 어드레스를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16. 무선 서브-네트워크(22A, 22B) 사이에서 이동 장치(24)의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 1 액세스 포인트(36B)를 갖는 제 1 서브-네트워크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를 갖는 제 2 서브-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장치(24)는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로부터 송신된 액세스 포인트 비콘의 파워 레벨이 사전 결정된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제 2 액세스 포인트(36C)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는 상기 이동 장치(24)와의 연결 이후에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에 포워딩 요청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포워딩 요청은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에 의해 수신된 상기 이동 장치(24)용의 임의의 데이터 패킷이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로 포워딩되게 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24)는 상기 이동 장치(24)와 상기 제 2 무선 서브-네트워크(22B)의 에이전트를 연결하기 전에,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와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이동 장치(24)는 상기 이동 장치(24)가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와 연결된 후에 상기 새로운 무선 서브-네트워크의 상기 에이전트와 연결되도록 또한 구성되고,
    상기 제 2 무선 서브-네트워크(22B)에 대한 상기 이동 장치(24)의 IP 어드레스는 상기 에이전트와의 연결 이후에 결정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시스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24)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비콘을 검출하고,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에 연결 요청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이동 장치(24)의 MAC 어드레스 및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세스 포인트(36C)는 상기 연결 요청 내에 포함된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36B)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고, 상기 연결 요청 내에 포함된 상기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무선 서브-네트워크(22A)에 대한 상기 이동 장치(24)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시스템.
KR1020057015771A 2003-02-27 2004-02-23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032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5174103P 2003-02-27 2003-02-27
US60/451,741 2003-02-27
US48227503P 2003-06-25 2003-06-25
US60/482,275 2003-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240A true KR20050103240A (ko) 2005-10-27

Family

ID=32930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771A KR20050103240A (ko) 2003-02-27 2004-02-23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93272A1 (ko)
EP (1) EP1599969A1 (ko)
JP (1) JP2006519539A (ko)
KR (1) KR20050103240A (ko)
WO (1) WO200407774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135B1 (ko) * 2006-08-17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브리지 기반 무선 기지국 기간망에서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KR101277210B1 (ko) * 2006-10-17 2013-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6482B2 (ja) * 2003-07-02 2008-04-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ノード、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JP4185853B2 (ja) * 2003-11-28 2008-11-26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無線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移動局
JP4449498B2 (ja) * 2004-03-05 2010-04-14 Kddi株式会社 移動ネットワークおよびそのデータ通信方法
US7558227B2 (en) * 2004-03-26 2009-07-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or wake event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710923B2 (en) 2004-05-07 2010-05-0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US8233450B2 (en) 2004-09-10 2012-07-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components for facilitating multiple network type compatibility
JP4213100B2 (ja) * 2004-09-17 2009-01-21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転送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US7738871B2 (en) 2004-11-05 2010-06-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between technologically diversified access networks
US7596120B2 (en) * 2004-12-07 2009-09-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ultiple mode terminal supporting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nd handoff method thereof
KR100918435B1 (ko) 2005-01-31 2009-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트래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7746825B2 (en) 2005-05-16 2010-06-2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s
US7532597B2 (en) * 2005-06-15 2009-05-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handover
DE112006001657B4 (de) * 2005-06-21 2017-05-24 Motorola Mobility, Inc. ( N.D. Ges. D. Staates Delaware )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Geräteruf und zur Standortaktualisierung in einem Netzwerk
CN101203844A (zh) * 2005-06-21 2008-06-18 摩托罗拉公司 促进使用基于因特网协议通信的移动台通信的方法及设备
US9031047B2 (en) * 2005-06-21 2015-05-1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e communications using surrogate and care-of-internet protocol addresses
GB2440705B (en) * 2005-06-21 2009-12-02 Motorola Inc Address resolution protocol-based wireless access point method and apparatus
KR100664945B1 (ko) 2005-06-28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IL169503A (en) * 2005-07-03 2010-12-30 Alvario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transfer of communication sessions between base stations in wireless networks
KR100744374B1 (ko) * 2005-07-15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교환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코어 네트워크 개체들 간의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100810207B1 (ko) * 2005-07-22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교환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코어 네트워크 개체들 간의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JP4710549B2 (ja) * 2005-10-28 2011-06-2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通信システム、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の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方法
US8155650B2 (en) * 2006-02-17 2012-04-10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buffering
US8391153B2 (en) * 2006-02-17 2013-03-05 Cisco Technology, Inc. Decoupling radio resource management from an access gateway
CN101496387B (zh) 2006-03-06 2012-09-05 思科技术公司 用于移动无线网络中的接入认证的系统和方法
FI20060240A0 (fi) * 2006-03-13 2006-03-13 Nokia Corp Menetelmä informaation siirtämiseksi kanavanvaihdon aikana viestintäjärjestelmässä
JP4940785B2 (ja) * 2006-06-28 2012-05-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装置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の無線通信方法
DE102006042554B4 (de) * 2006-09-11 2009-04-16 Siemens Ag Verfahren und System zum kontinuierlichen Übertragen von verschlüsselten Daten eines Broadcast-Dienstes an ein mobiles Endgerät
US7848271B2 (en) * 2007-06-26 2010-12-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serving power for a wireless device while maintaining a connection to a network
FR2925812A1 (fr) * 2007-12-21 2009-06-26 Thomson Licensing Sas Methodes de communication dans un reseau
US8194591B2 (en) * 2007-12-13 2012-06-05 Thomson Licensing Communication methods in a network
JP4452315B2 (ja) 2008-02-04 2010-04-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JP5077133B2 (ja) * 2008-08-07 2012-11-21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US9014136B2 (en) * 2008-10-13 2015-04-21 T-Mobile Usa, Inc.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fast wide-area mobile IP handoffs
US8695082B2 (en) * 2008-10-27 2014-04-08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ac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205013A1 (en) * 2008-12-30 2010-07-07 Deutsche Telekom AG Method and System enabling seamless connectivity in WLAN based HotSpots
EP2287797A1 (en) * 2009-08-20 2011-02-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receiving mobile digital advertisement service
US20120051346A1 (en) * 2010-08-24 2012-03-01 Quantenna Communications, Inc. 3-address mode bridging
US11575612B2 (en) 2021-06-07 2023-02-07 Cisco Technology, Inc. Reducing packet misorderings in 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15886D0 (en) * 1998-07-21 1998-09-16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ansmission of packets of data
US6826154B2 (en) * 2001-05-24 2004-11-30 3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 mobility between different access technologies
US20030200455A1 (en) * 2002-04-18 2003-10-23 Chi-Kai Wu Method applicable to wireless lan for security control and attack dete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135B1 (ko) * 2006-08-17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브리지 기반 무선 기지국 기간망에서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US7860504B2 (en) 2006-08-17 2010-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reating handover in a bridge-based radio access station backbone network
KR101277210B1 (ko) * 2006-10-17 2013-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77747A1 (en) 2004-09-10
WO2004077747A8 (en) 2005-03-31
EP1599969A1 (en) 2005-11-30
JP2006519539A (ja) 2006-08-24
US20060193272A1 (en) 200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03240A (ko) 개선된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814630B1 (ko) 무선 lan에서 이동국 이동성
US8059587B2 (en) Context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in support of mobility
KR100860280B1 (ko) 네트워크에서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7483995B2 (en) Coordinating a transition of a roaming client between wireless access points using another client in physical proximity
EP1574010B1 (en) Inter-proxy communication protocol for mobile ip
US8050232B2 (en) Handover optimisation in a WLAN radio access network
KR100655828B1 (ko) Ip 기반 네트워크를 위한 광역 네트워크 이동성
US20090135783A1 (en) FMIPv6 Intergration with Wimax
KR20050037370A (ko) 이동 검지 방법 및 이동 단말
JP2005333648A (ja) Ieee802.11網に最適化した高速ハンドオーバー方法
JP2006502636A (ja) データ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ルーティング
JP2009529265A (ja) 動的ルータ広告を使用する高速ハンドオーバ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80132237A1 (en) Relocation controlling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4317215B2 (ja) 移動端末管理装置及び移動端末並びに通信システム
KR100526408B1 (ko) 무선랜 기반에서 고속 릴리스 메시지를 이용한 고속핸드오버 방법
JP3080039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端末の位置登録方式
WO2001003370A2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of forwarding data to wireless devices moving among networks having different ip addresses
US7236469B2 (en) Data transfer system using mobile IP
KR20050113613A (ko) 핸드오프 동안의 tcp 패킷 재전송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100931383B1 (ko) Ip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단말기등록방법
US8040851B2 (en) Method and system of reducing handover time in mobile IP network
KR20070028782A (ko) 패스트 핸드오버 프로토콜에서 버퍼관리방법
Kang et al. Fast Handover Based on MIPv6 for Wireless LAN
JP2001320753A (ja) 移動ネットワーキングシステムおよび移動ホスト位置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