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2681A - 탄화수소 가스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탄화수소 가스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681A
KR20050102681A KR1020057015836A KR20057015836A KR20050102681A KR 20050102681 A KR20050102681 A KR 20050102681A KR 1020057015836 A KR1020057015836 A KR 1020057015836A KR 20057015836 A KR20057015836 A KR 20057015836A KR 20050102681 A KR20050102681 A KR 20050102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vapor
cooled
distillation column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0324B1 (ko
Inventor
카일 티. 쿠엘라
존 디. 윌킨슨
조 티. 린츠
행크 엠. 허드슨
Original Assignee
오르트로프 엔지니어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르트로프 엔지니어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오르트로프 엔지니어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102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228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separated product stream
    • F25J3/0233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separated product stream separation of CnHm with 1 carbon atom or m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204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feed stream
    • F25J3/0209Natural gas or substitute natural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228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separated product stream
    • F25J3/0238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separated product stream separation of CnHm with 2 carbon atoms or m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228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separated product stream
    • F25J3/024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characterised by the separated product stream separation of CnHm with 3 carbon atoms or m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0/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 F25J2200/02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in a single pressure main colum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0/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 F25J2200/04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in a dual pressure main colum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0/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 F25J2200/3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using a side column in a single pressure colum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0/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 F25J2200/5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using multiple (re-)boiler-condensers at different heights of the colum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0/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 F25J2200/70Refluxing the column with a condensed part of the feed stream, i.e. fractionator top is stripped or self-rectif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0/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 F25J2200/74Refluxing the column with at least a part of the partially condensed overhea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0/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paration by rectification
    • F25J2200/78Refluxing the column with a liquid stream originating from an upstream or downstream fractionator colum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5/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 F25J2205/02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using simple phase separation in a vessel or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05/00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 F25J2205/02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using simple phase separation in a vessel or drum
    • F25J2205/04Processes or apparatus using other separation and/or other processing means using simple phase separation in a vessel or drum in the feed line, i.e. upstream of the fractionation ste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40/00Processes or apparatus involving steps for expanding of process streams
    • F25J2240/02Expansion of a process fluid in a work-extracting turbine (i.e. isentropic expansion), e.g. of the feed str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45/00Processes or apparatus involving steps for recycling of process streams
    • F25J2245/02Recycle of a stream in general, e.g. a by-pass str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70/00Refrigeration techniques used
    • F25J2270/12External refrigeration with liquid vaporising lo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70/00Refrigeration techniques used
    • F25J2270/60Closed external refrigeration cycle with single component refrigerant [SCR], e.g. C1-, C2- or C3-hydrocar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90/00Other 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F25J2200/00 - F25J2280/00
    • F25J2290/40Vertical layout or arrangement of cold equipments within in the cold box, e.g. columns, condensers, heat exchangers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탄화수소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에탄, 에틸렌, 프로판, 프로필렌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회수하는 공정을 기재하였다. 스트림은 냉각되어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된다. 제1 스트림은 더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그것의 모든 부분이 응축되고, 그 후 분별증류탑의 압력까지 팽창되어 분별증류탑의 제1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된다. 제2 스트림은 탑 압력까지 팽창되고 이어서 제2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된다. 증류 스트림은 제2 스트림의 공급점 아래의 칼럼으로부터 배출되고, 이어서 탑의 탑정 증기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되어 증류 스트림을 냉각시키고, 그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응축시켜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한다.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는 정상 공급물로써 분별증류탑으로 들어간다.분별증류탑으로 들어는 공급물의 양과 온도는 원하는 성분의 대부분이 회수되는 온도인 분별증류탑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Description

탄화수소 가스의 처리방법{HYDROCARBON GAS PROCESSING}
본 발명은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가스를 분리하는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미국특허법(Title 35, Unite States Code) §119(e)에 의해 2003년 2월 25일자로 출원된 가출원 60/449,772의 혜택을 주장한다.
에틸렌, 에탄, 프로필렌, 프로판 및/또는 중탄화수소(heavier hydrocarbon)는 천연가스, 정류 가스(refinery gas) 및 석탄, 원유, 나프타, 유혈암(oil shale), 역청암(tar sands) 및 갈탄 등의 다른 탄화수소 재료로부터 얻어지는 합성 가스 스트림과 같은 다양한 가스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천연가스는 통상적으로 메탄 및 에탄을 주요 부분으로 가지며, 다시 말해, 메탄과 에탄이 함께 가스의 적어도 50 몰퍼센트를 구성한다. 가스는 또한 상대적으로 미량의 프로판, 부탄, 펜탄 등과 같은 중탄화수소 뿐만 아니라, 수소, 질소, 이산화탄소 및 다른 가스 등을 함유한다.
본 발명은 개괄적으로 그러한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에틸렌, 에탄, 프로필렌, 프로판 및 중탄화수소의 회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하고자 하는 가스 스트림의 전형적인 분석치는, 대략적인 몰퍼센트 단위로, 80.8%의 메탄, 9.4%의 에탄과 다른 C2 성분, 4.7%의 프로판과 다른 C3 성분, 1.2%의 이소부탄, 2.1%의 노말부탄 및 1.1%의 펜탄, 그리고 잔량으로서 질소와 이산화탄소이다. 또한 황을 함유하는 가스도 종종 있다.
역사적으로 천연가스 및 그것의 천연 액화 가스(NGL) 성분의 주기적인 가격 변동은 액체 제품으로서 에탄, 에틸렌, 프로판, 프로필렌 및 중탄화수소 성분의 가치 증대를 저하시켜 왔다. 이점이 이들 제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방법, 더 적은 자본의 투자로 효율적인 회수를 제공하는 방법, 및 넓은 범위에 걸쳐 특정 성분의 회수를 변경하기 위해 쉽게 개조하거나 조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수요를 불러왔다. 이러한 재료를 분리하는 이용 가능한 방법들로는 가스의 냉각 및 냉동, 오일의 흡수, 및 냉동유의 흡수에 기초한 방법이 포함된다. 그 밖에, 동력을 제조하면서 동시에 팽창시키고 처리되는 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하는 경제성 높은 장치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극저온공정(cryogenic process)이 보편화되고 있다. 가스원의 압력, 가스의 농후성(richness)(에탄, 에틸렌 및 중탄화수소의 함량), 및 원하는 최종 제품에 따라, 이러한 공정의 각각 또는 여러 공정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액화 가스의 회수를 위해 극저온 팽창 공정(cryogenic expansion process)이 현재 일반적으로 선호되는데 그 이유는 시동(start up)의 용이성, 조작의 신축성, 높은 효율, 안전성, 및 우수한 신뢰성과 함께 최대의 단순성(simplicity)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미국특허 제3,292,380호; 제4,061,481호; 제4,140,504호; 제4,157,904호; 제4,171,964호; 제4,185,978호; 제4,251,249호; 제4,278,457호; 제4,519,824호; 제4,617,039호; 제4,687,499호; 제4,689,063호; 제4,690,702호; 제4,854,955호; 제4,869,740호; 제4,889,545호; 및 제5,275,005호; 제5,555,748호; 제5,568,737호; 제5,771,712호; 제5,799,507호; 제5,881,569호; 제5,890,378호; 제5,983,664호; 제 6,182,469호; 재발행 미국특허 제33,408호; 및 함께 계류중인 미국특허출원 제09/677,220호 등에 이와 관련한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어떠한 경우 상기 인용 미국 특허에 기재한 것들에 비해 다른 공정 조건에 근거하고 있지만)
전형적인 극저온 팽창 회수 공정에서, 가압 하에 공급되는 가스 스트림은 공정의 다른 스트림 및/또는 프로판 압축-냉동 시스템과 같은 외부의 냉동원과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다. 가스가 냉각되면, 액체가 응축되어 원하는 C2+ 성분을 일부 함유하는 고압 액체로서 하나 이상의 분리기(separator)에 포집될 수 있다. 가스의 농후성(richness) 및 형성된 액체의 양에 따라, 상기 고압 액체는 저압으로 팽창되고, 분별증류될 수 있다. 액체의 팽창단계에서 일어나는 증발이 스트림의 추가적인 냉각을 가져온다. 어떠한 조건 하에서는, 팽창에 의한 온도를 더욱 낮추기 위해서 팽창 이전에 상기 고압 액체를 예비 냉각(pre-cooling)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액체와 증기의 혼합물로 구성된 상기 팽창된 스트림은, 증류[탈메탄흡수기(demethanizer) 또는 탈에탄흡수기(deethanizer)]칼럼에서 분별증류된다. 이 칼럼에서, 팽창 냉각된 스트림(스트림들)은 증류되어 탑저 액체 제품(bottom liquid product)으로써 원하는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으로부터 탑정(overhead) 증기로서 잔류하는 메탄, 질소, 및 다른 휘발성 가스들을 분리하거나, 탑저 액체 제품으로써 원하는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으로부터 탑정 증기로서 잔류하는 메탄, C2 성분, 질소, 및 다른 휘발성 가스들을 분리한다.
공급 가스가 완전히 응축되지 않은 경우(일반적으로는 그렇지 않지만), 부분 응축에 따라 잔류하는 증기가 두 스트림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증기의 한 부분은 작업 팽창기(work expansion machine) 또는 엔진, 또는 팽창밸브를 거쳐 스트림의 추가적 냉각에 의해 추가의 액체가 응축되는 저압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팽창 후의 압력은 증류 칼럼이 작동되는 압력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팽창으로부터 얻어진 결합된 증기-액체 상들은 칼럼에 공급물(feed)로 제공된다.
증기의 남은 부분은 다른 공정 스트림, 예를 들면, 저온 분별증류 탑정과 함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응축된다. 고압 액체의 일부 또는 전부는 냉각 전에 이러한 수증기 부분과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냉각된 스트림은 이어서, 팽창 밸브와 같은, 적절한 팽창 장치를 통해 탈메탄흡수기가 작동되는 압력까지 팽창된다. 팽창되는 동안, 액체 부분은 증발하여, 전체 스트림의 냉각을 가져온다. 플래시(flash) 팽창된 스트림은 이어서 탈메탄흡수기에 정상 공급물(top feed)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팽창된 스트림의 증기 부분과 탈메탄흡수기 탑정 증기는 잔류 메탄 제품 가스로써, 분별증류탑의 상부 분리 섹션에서 혼합된다. 택일적으로, 냉각되고, 팽창된 스트림은 분리기에 공급되어, 증기 및 액체 스트림을 제공한다. 증기는 탑정과 혼합되고, 액체는 정상 칼럼 공급물(top column feed)로써 칼럼에 제공된다.
그러한 분리 공정의 이상적인 작동에서, 프로세스를 떠나는 잔류 가스는 공급 가스에서의 모든 메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고 필수적으로 중탄화수소 성분을 전혀 함유하지 않으며, 탈메탄흡수기를 떠나는 탑저 분획은 필수적으로 메탄이나, 휘발성 성분을 전혀 함유하지 않고, 모든 중탄화수소를 실질적으로 함유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러한 이상적인 상황은 종래의 탈메탄흡수기가 대부분 스트리핑 칼럼으로 작동되므로 달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세스의 메탄 제품은 일반적으로 어떠한 정류단계도 거치지 않은 증기와 함께, 칼럼의 상부 분별증류단계를 떠나는 증기를 함유한다. 탑정 액체 공급은 이러한 성분들 및 C3 성분 및 C4 성분의 상응하는 평형양으로부터 유래한 중탄화수소 성분 그리고, 탈메탄흡수기의 상부 분별증류 단계를 떠나는 증기에서의 중탄화수소 성분의 상당량을 함유하기 때문에 상당한 C3 및 C4+성분의 손실이 발생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성분들의 손실은 상승하는 증기가 C3 성분, C4성분 및 중탄화수소를 증기로부터 흡수할 수 있는 상당량의 액체(환류)와 접촉하게 함으로써 상당히 감소된다.
최근, 바람직한 탄화수소 분리 공정은 상부 흡수 섹션을 사용하여 상승하는 증기의 추가적인 정류(rectification)를 제공한다. 상부 정류 섹션에서 환류 스트림의 재료(source)는 일반적으로 가압 하에 공급된 잔류 가스의 재순환 스트림이다. 재순환 잔류 가스 스트림은 통상 냉각되어 다른 프로세스 스트림, 예를 들면 저온 분별증류 탑 탑정과 열교환에 의해 실질적으로 응축된다. 그 결과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은 이어서, 팽창 밸브와 같은, 적당한 팽창 장치를 통해 탈메탄흡수기가 작동되는 압력까지 팽창된다. 팽창하는 동안, 액체의 일부는 통상 증발하여, 총 스트림의 냉각을 가져온다. 플래시 팽창된 스트림은 이어서 탈메탄흡수기에 정상 공급물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팽창된 스트림의 증기 부분 및 탈메탄흡수기의 탑정 증기는 분별증류탑의 상부 분리기 섹션에서 잔류 메탄 제품 가스로써 결합된다. 택일적으로, 냉각되고 팽창된 스트림은 분리기에 제공되어, 증기 및 액체 스트림을 제공할 수 있고, 그리하여 그 이후 증기는 탑정과 결합되고, 액체는 정상 칼럼 공급물로 칼럼에 제공된다. 이러한 유형의 전형적인 프로세스 스킴은 미국특허 제4,889,545호;제5,568,737호 및 5,881,569호 및 2002년 3월 11일에서 3월 13일, 텍사스, 달라스에서 열린 가스 가공업자 협회의 제81차 연례 회의에서 발표된 Mowrey, E. Ross의 "고압 흡수기를 이용한 천연가스로부터 액체의 효율적, 높은 회수"에 공지되어 있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프로세스들은 환류 스트림을 탈메탄흡수기로 재순환시키는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해 압축기의 사용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프로세스를 사용하는데 자본 비용 및 설비의 작동 비용 모두를 추가한다.
도 1 및 도 2는 미국특허 제4,278,457호에 따른 선행 기술의 천연가스 처리 플랜트의 공정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가스 처리 플랜트의 공정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을 천연가스 스트림에 적용하는 다른 수단을 예시하는 공정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을 천연가스 스트림에 적용하는 다른 수단을 예시하는 공정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을 천연가스 스트림에 적용하는 다른 수단을 예시하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부 정류 섹션(또는 일부 실시태양에서 분리 정류 칼럼)을 채택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류 섹션용 환류 시스템은 탑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증기의 측면 배출을 이용하여 제공된다. 탑 하부 증기에서 상대적으로 고농도의 C2 성분 때문에, 상당량의 액체가 이러한 측면 배출 스트림에서 그 압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종종 상부 정류 섹션을 떠나는 저온 증기에서 이용가능한 냉동만을 이용하여 응축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된 액체, 즉 주로 액체 메탄 및 에탄은, 이어서 상부 정류 섹션을 통해 상승하는 증기로부터 C3성분, C4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흡수하고, 따라서 탈메탄흡수기로부터 탑저 액체 제품에서 이러한 유용한 성분들을 획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본 양수인의 미국 특허 제5,799,507호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러한 측면 배출 특징이 C3+ 회수 시스템에서 채택되었다. 미국 특허 제5,799,507호의 프로세스 및 장치들은, 그러나, 높은 에탄 회수에 부적합하다. 놀랍게도, 본 출원인은 본 양수인의 미국 특허 제5,799,507호 발명의 측면 배출 특징을 본 양수인의 미국 특허 제4,278,457호의 증기 공급의 분리 발명과 결합함으로써, C2 성분 회수 수준이나 시스템 효율의 희생 없이 C3+ 회수가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메탄흡수기에 대한 환류 스트림의 압축에 대한 요구 없이 C2 성분 회수에서의 손실 없이 99퍼센트 이상의 C3 및 C4+ 회수가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C2 성분의 회수를 높은 값으로부터 낮은 값까지 조절하면서, C3 및 C4+ 성분의 99 퍼센트 이상의 회수를 유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질적으로 선행 기술과 비교하여 감소된 에너지 요구량으로 동일한 회수 수준을 유지하면서 C2 성분 및 무거운 성분들로부터 메탄 및 가벼운 성분들의 100 퍼센트 분리를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은, 비록 더 낮은 압력 및 더 높은 온도에서 적용가능한 것이지만, -50℉[-46℃] 또는 더 저온의 NGL 회수 칼럼 탑정 온도를 요구하는 조건 하에서 처리 공급 가스가 400 내지 1500psia[2,758 내지 10,342kPa(a)] 또는 그 이상의 범위 내에 있을 때 특히 유익한 것이다.
상기의 도면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 대표적인 공정 조건에 대하여 계산된 유량을 요약한 표들이 제공된다. 여기에 제시되는 표들에서, 유량에 대한 값들(시간당 몰)은 편의상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되었다. 표에 나타낸 총 유량은 탄화수소가 아닌 모든 성분을 포함하며,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탄화수소 성분의 스트림 유량의 합계보다 크다. 나타낸 온도는 가장 가까운 정수값으로 반올림한 근사치이다. 또한 도면에 나타낸 공정을 비교할 목적으로 수행된 프로세스 설계 계산은 주변으로부터 공정으로(또는 공정으로부터 주변으로) 열 누설이 없다는 가정에 기초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시판중인 절연재의 품질이 이것을 매우 합리적 가정으로 만들어주며 또한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만들어 준다.
편의상, 프로세스 파라미터들은 전통적인 영국 단위계 및 국제 단위계 양자 로 기록한다. 표에 주어진 몰 유량은 시간당 파운드 몰 또는 시간당 킬로그램 몰로써 해석될 수 있다. 마력(HP) 및/또는 시간당 수천 영국 열역학 단위(MBTU/Hr)로 기록된 에너지 소비는 시간당 파운드 몰로 언급된 몰 유량과 상응한다. 킬로와트(kW)로 기록된 에너지 소비는 시간당 킬로그램 몰의 전술한 몰 유량과 상응한다.
종래기술의 설명
도 1은 미국 특허 4,278,457호에 따른 선행 기술을 이용하여 천연 가스로부터 C2+ 성분들을 회수하는 공정 플랜트의 설계를 보여주는 프로세스 공정도이다. 이러한 공정의 시뮬레이션에서, 유입가스가 스트림(31)으로서 85℉[29℃]의 온도와 970psia[6,688kPa(a)]의 압력 하에 플랜트로 들어간다. 유입가스가 제품 스트림을 규격에 부합하지 않게 저해하는 황화합물의 농도를 함유할 경우, 공급가스의 적절한 전처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황화합물이 제거된다. 또한, 공급 스트림은 극저온 조건하에서 수화물(얼음)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탈수처리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고체 건조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공급 스트림(31)은 열교환기(10)에서 -6℉[-21℃]인 저온 잔류 가스(스트림 38b), 30℉[-1℃]인 탈메탄흡수기 하부 재비등 액체(스트림 40) 및 프로판 냉동제(propane refrigerant)와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다. 모든 경우에서, 교환기(10)는 각각의 열교환기의 다수 또는 단일의 멀티 패스(multi-pass) 열교환기 또는 그들의 결합을 대표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 (지적된 냉각 공정을 위해 하나의 열교환기 이상을 사용할 것인가 여부에 대한 결정은 유입가스 유량, 열교환기 사이즈, 스트림 온도 등을 포함하고, 여기에 한정되지 않은 여러 가지 요인들의 수에 의해 좌우된다). 냉각된 스트림(31a)은 0℉[-18℃]의 온도 및 955psia[6,584kPa(a)]의 압력으로 분리기(11)로 들어가고, 여기에서 증기(스트림 32)가 응축액(스트림 33)으로부터 분리된다. 분리기 액체(스트림 33)는 팽창밸브(12)에 의해 분별증류탑(20)의 작동 압력(대략 445psia[3,068kPa(a)]까지 팽창되고, 분별증류탑(20)의 하부 칼럼 공급점(lower mid-column feed point)에 공급되기 전에, 스트림 33a를 -27℉[-33℃]의 온도로 냉각한다.
분리기 증기(스트림 32)는 열교환기(13)에서 -34℉[-37℃]의 차가운 잔류 가스(스트림 38a) 및 -38℉[-39℃]의 탈메탄흡수기 상부 재비등 액체와 열교환에 의해 다시 냉각된다. 냉각된 스트림 32a는 -27℉[-33℃]의 온도 및 950psia[6,550kPa(a)]의 압력으로 분리기 14로 들어가고, 여기에서 증기(스트림 34)가 응축액(스트림 37)으로부터 분리된다. 분리기 액체(스트림 37)는 팽창 밸브 19에 의해 탑 작동 압력까지 팽창되고, 분별증류탑 20의 두번째 하부 중간 칼럼 공급점에 공급되기 전에, 스트림 37a를 -61℉[-52℃]의 온도로 냉각한다.
분리기 14에서 나온 상기 증기(스트림 34)는 두개의 스트림 35 및 36으로 분리된다. 총 증기 약 38%를 함유한 스트림 35는, 열 교환 관계에 있는 -124℉[-87℃]의 차가운 잔류 가스(스트림 38)와 함께 열교환기 15를 통과하며, 그 곳에서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응축한다. 그 결과 실질적으로 응축된 -119℉[-84℃]의 스트림 35a는 그 후 팽창 밸브 16을 통해 분별증류탑 20의 작동 압력까지 플래시 팽창한다. 팽창하는 동안, 스트림의 일부분은 증발하여, 총 스트림의 냉각을 가져온다. 도 1에 도시된 프로세스에서, 팽창 밸브 16을 떠나는 팽창된 스트림 35b는 -130℉[-90℃]의 온도에 달하고, 분별증류탑 20의 상부에 있는 분리 섹션 20a에 공급된다. 그곳에서 분리된 액체는 탈메탄흡수 섹션 20b에 정상 공급물(top feed)이 된다.
분리기 14에서 나온 상기 증기의 나머지 62%(스트림 36)는 기계적 에너지가 이러한 고압 공급부로부터 추출되는 작업 팽창기(work expansion machine) 17로 들어간다. 상기 팽창기 17은 탑 작동 압력까지 대체로 등엔트로피(isentropy) 방식으로 증기를 팽창시키고, 이때의 작업 팽창으로 상기 팽창된 스트림 36a를 약 -83℉[-64℃]의 온도로 냉각시킨다. 일반적인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팽창기는 이상적인 등엔트로피 확장에서 이론적으로 가능한 일의 80-85% 수준의 회수능력이 있다. 회수된 일은 종종, 예를 들면 잔류 가스(스트림 38c)를 재-압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원심력 압축기(18과 같은)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부분적으로 응축된 팽창 스트림 36a는 그 후에 분별증류탑 20의 상부 중간 칼럼 공급점에 공급물로 공급된다.
탑 20에서 탈메탄흡수기는 복수의 수직으로 배열된 트레이(tray),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충전층(packed bed), 또는 트레이와 패킹의 조합을 구비하는 종래의 증류 칼럼이다. 천연가스 처리 플랜트에서 종종 그러하듯이, 분별증류탑은 두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섹션 20a는 부분적으로 증기화된 정상 공급물이 각각의 증기 및 액체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분리기이고, 여기서 하부 증류 또는 탈메탄흡수 섹션(20b)으로부터 상승하는 증기가 탑정 공급물의 증기부분(존재할 경우)과 혼합하여 탑의 정상에 존재하는 -124℉[-87℃]인 차가운 탈메탄흡수기 탑정 증기(스트림 38)를 형성한다. 하부의, 탈메탄흡수 섹션(20b)은 트레이 및/또는 패킹을 구비하고 하강하는 액체와 상승하는 증기 사이에 필요한 접촉을 제공한다. 탈메탄흡수 섹션(20b)은 또한 칼럼을 하강하는 액체부분을 가열하고 증발시켜 칼럼을 상향하여 흘러 액체 제품, 스트림 41인 메탄 및 가벼운 성분을 스트리핑하는 스트리핑 증기(stripping vapor)를 제공하기 위한 리보일러(reboiler)(리보일러 21 및 전술한 측면 리보일러)를 포함한다.
액체 제품 스트림 41은 탑의 하부에 113℉[45℃]의 온도로, 탑저 제품에서 메탄 대 에탄의 몰 비율이 0.025:1인 일반적인 규격에 근거해서 존재한다. 잔류 가스(탈메탄흡수기 탑정 증기 스트림 38)는 -34℉[-37℃](스트림 38a)로 가열되는 열교환기 15, -6℉[-21℃](스트림 38b)로 가열되는 열교환기 13 및 80℉[27℃](스트림 38c)로 가열되는 열교환기 10에서 들어오는 공급 가스와 반대방향으로 통과한다. 잔류 가스는 이어서 두 단계로 재-압축된다. 첫 번째 단계는 팽창기(expansion machine) 17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 18이다. 두 번째 단계는 잔류가스(스트림 38d)를 판매라인 압력으로 압축하는 보충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 25이다. 배출냉각기(discharge cooler) 26에서 120℉[49℃]로 냉각한 후, 잔류가스 제품(스트림 38f)은 라인 요구조건에 부합하기에 충분한(일반적으로 유입 압력의 단위로) 1015psia[6,998kPa(a)]의 압력으로 판매가스 파이프라인으로 흐른다.
도 1에 예시된 프로세스에 대한 스트림 유량 및 에너지 소비량의 요약을 다음의 표에 제시한다.
표 1
(도 1)
스트림 유량 개요- Lb. Moles/Hr[kg Moles/Hr]
회수율
에탄 84.21%
프로판 98.58%
부탄+ 99.88%
마력
잔류 가스 압축 23,628 HP [38,844 kW]
유틸리티 냉각
프로판 냉동 효율 37,455 MBTU/H [ 24,194 kW]
*(반올림하지 않은 유량 기준)
도 2는 도 1에서의 공정 플랜트의 설계가 저급 C2 성분의 회수 수준으로 작동되는데 적용할 수 있는 일례를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이것은 공정 플랜트에서 회수된 C2 성분이 제한된 용량을 가진 하류 부분의 화학 플랜트에 기여할 때 일반적인 요건이다. 도 2의 공정은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한 공급 가스 조성 및 조건들이 적용된다. 그러나, 도 2에서의 공정의 시뮬레이션에서, 공정 작동 조건들은 C2 성분의 회수를 약 50%까지 줄이도록 조절되었다.
도 2 공정의 시뮬레이션에서, 공정 플랜트에 대한 유입 가스 냉각, 분리 및 팽창 스킴은 도 1에서 사용되었던 것들과 거의 흡사하다. 중요한 차이점은 플래시 팽창된 분리기 액체 스트림(스트림 33a 및 37a)이 도 1에서 본 것과 같은 분별증류탑 20으로부터의 측면 리보일러 액체를 사용한 대신 공급가스의 냉각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탑저 액체(스트림 41)에서 C2 성분의 낮은 회수 때문에, 분별증류탑 20에서의 온도는 더 높고, 이는 탑 액체가 공급 가스와 효율적인 열 교환을 하기에는 너무 고온이다.
공급 스트림 31은 열 교환기 10에서 -7℉[-21℃]의 저온 잔류 가스(스트림 38b), 플래시 팽창된 액체(스트림 33a) 및 프로판 냉각제와 열교환을 함으로써 냉각된다. 냉각된 스트림 31a는 0℉[-18℃] 온도 및 955psia[6,584kPAa(a)] 압력에서 증기(스트림 32)가 응축된 액체(스트림 33)로부터 분리되는 분리기 11에 들어간다. 분리기 액체(스트림 33)는 팽창 밸브 12에 의해 분별증류탑 20의 작동 압력(대략 444psia[3,061kPAa(a)])보다 약간 높게 팽창되어, 열교환기 10에 들어가기 전에 스트림 33a를 -27℉[-33℃]로 냉각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하는 공급 가스의 냉각을 제공하도록 가열된다. 팽창된 액체 스트림은 75℉[24℃]로 가열되고, 분별증류탑 20의 하부 중간 칼럼 공급점에 공급되기 전에 스트림 33b를 부분적으로 증발시킨다.
분리기 증기(스트림 32)는 열교환기(13)에서 -30℉[-34℃]의 저온 잔류 가스(스트림 38a) 및 플래시 팽창된 액체(스트림 37a)와 열교환에 의해 다시 냉각된다. 냉각된 스트림 32a는 -14℉[-25℃]의 온도 및 950psia[6,550kPAa(a)]의 압력에서 증기(스트림 34)가 응축된 액체(스트림 37)로부터 분리되는 분리기 14에 들어간다.
분리기 액체(스트림 37)는 팽창 밸브 19에 의해 분별증류탑 20의 작동 압력 보다 약간 높게 팽창되어, 열교환기 13에 들어가기 전에 스트림 37a를 -44℉[-42℃]로 냉각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림 32의 냉각을 제공하도록 가열된다. 팽창된 액체 스트림은 -5℉[-21℃]로 가열되고, 분별증류탑 20의 두 번째 하부 중간 칼럼 공급점에 공급되기 전에 스트림 37b를 부분적으로 증발시킨다.
분리기 14로부터의 증기(스트림 34)는 두 개의 스트림, 35 및 36으로 분리된다. 총 증기의 약 32%를 함유한, 스트림 35는 열 교환 관계에 있는 -101℉[-74℃]의 저온 잔류 가스(스트림 38)와 함께 열교환기 15를 통과하며, 그 곳에서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응축한다. 그 결과 실질적으로 응축된 -96℉[-71℃]의 스트림 35a는 그 후 팽창 밸브 16을 통해 분별증류탑 20의 작동 압력까지 플래시 팽창한다. 팽창하는 동안, 스트림의 일부분은 증발하여, 총 스트림의 냉각을 가져온다.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스에서, 팽창 밸브 16을 떠나는 팽창된 스트림 35b는 -127℉[-88℃]의 온도에 달하고, 분별증류탑 20에 정상 공급물로 공급된다.
분리기 14에서 나온 상기 증기의 나머지 68%(스트림 36)는 기계적 에너지가 이러한 고압 공급부로부터 추출되는 작업 팽창기(work expansion machine) 17로 들어간다. 상기 팽창기 17은 탑 작동 압력까지 대체로 등엔트로피(isentropy) 방식으로 증기를 팽창시키고, 이때의 작업 팽창으로 상기 팽창된 스트림 36a를 약 -70℉[-57℃]의 온도로 냉각시킨다. 부분적으로 응축된 팽창 스트림 36a는 그 후에 분별증류탑 20의 상부 중간 칼럼 공급점에 공급물로 제공된다.
액체 제품 스트림 41은 탑저에 140℉[60℃]의 온도에서 존재한다. 잔류 가스(탈메탄흡수기 탑정 증기 스트림 38)는 -30℉[-34℃](스트림 38a)로 가열되는 열교환기 15, -7℉[-21℃](스트림 38b)로 가열되는 열교환기 13 및 80℉[27℃](스트림 38c)로 가열되는 열교환기 10에서 들어오는 공급 가스와 반대방향으로 통과한다. 잔류 가스는 이어서 두 단계, 팽창기(expansion machine) 17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 18 및 보충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 25에서 재-압축된다. 스트림 38e가 배출냉각기(discharge cooler) 26에서 120℉[49℃]로 냉각한 후, 잔류가스 제품(스트림 38f)은 1015psia[6,998kPa(a)]의 압력으로 판매가스 파이프라인으로 흐른다.
도 2에 예시된 프로세스에 대한 스트림 유량 및 에너지 소비량의 요약을 다음의 표에 제시한다.
표 2
(도 2)
스트림 유량 개요- Lb. Moles/Hr[kg Moles/Hr]
회수율
에탄 50.89%
프로판 96.51%
부탄+ 99.68%
마력
잔류 가스 압축 23,773 HP [39,082 kW]
유틸리티 냉각
프로판 냉동 효율 29,436 MBTU/H [19,014 kW]
*(반올림하지 않은 유량 기준)
본 발명의 설명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의 공정도이다. 공급 가스의 조성 및 도 3에 제시된 프로세스에서 고려되는 조건들은 도 1에서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점을 예시하기 위해 도 3의 프로세스는 도 1의 프로세스와 비교될 수 있다.
도 3 프로세스의 시뮬레이션에서, 유입 가스는 스트림 31로서 플랜트에 들어가고, 열교환기 10에서 -5℉(-20℃)인 저온 잔류가스(스트림 45b), -33℉(-0℃)인 탈메탄흡수기 하부 측면 리보일러 액체(스트림 40) 및 프로판 냉동제와 열교환 함으로써 냉각된다. 냉각된 스트림 31a는 증기(스트림 32)가 응축된 액체(스트림 33)로부터 분리되는 분리기 11에 0℉(-18℃)의 온도 및 955psia[6,584kPa(a)]의 압력으로 들어간다. 분리기 액체(스트림 33)는 팽창밸브(12)에 의해 분별증류탑(20)의 작동 압력(대략 450psia[3,103kPa(a)]까지 팽창되고, 분별증류탑 20의 하부 중간 칼럼 공급점(lower mid-column feed point)에 공급되기 전에, 스트림 33a를 -27℉[-33℃]의 온도로 냉각한다.
분리기 증기(스트림 32)는 열교환기 13에서 -36℉[-38℃]의 저온 잔류 가스(스트림 45a) 및 -38℉[-39℃]의 탈메탄흡수기 상부 재비등 액체(스트림 39)와 열교환에 의해 다시 냉각된다. 냉각된 스트림 32a는 -29℉[-34℃]의 온도 및 950psia[6,550kPa(a)]의 압력으로 분리기 14로 들어가고, 여기에서 증기(스트림 34)가 응축액(스트림 37)으로부터 분리된다. 분리기 액체(스트림 37)는 팽창 밸브 19에 의해 탑 작동 압력까지 팽창되고, 분별증류탑 20의 두번째 하부 중간 칼럼 공급점에 공급되기 전에, 스트림 37a를 -64℉[-53℃]의 온도로 냉각한다.
분리기 14에서 나온 상기 증기(스트림 34)는 두개의 스트림 35 및 36으로 분리된다. 총 증기 약 37%를 함유한 스트림 35는, 열 교환 관계에 있는 -120℉[-84℃]의 저온 잔류 가스(스트림 45)와 함께 열교환기 15를 통과하며, 그 곳에서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응축한다. 그 결과 실질적으로 응축된 -115℉[-82℃]의 스트림 35a는 그 후 팽창 밸브 16을 통해 분별증류탑 20의 작동 압력까지 플래시 팽창한다. 팽창하는 동안, 스트림의 일부분은 증발하여, 총 스트림의 냉각을 가져온다.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스에서, 팽창 밸브 16을 떠나는 팽창된 스트림 35b는 -129℉[-89℃]의 온도에 달하고, 분별증류탑 20의 상부 중간 칼럼 공급점에 공급된다.
분리기 14에서 나온 상기 증기의 나머지 63%(스트림 36)는 기계적 에너지가 이러한 고압 공급부로부터 추출되는 작업 팽창기(work expansion machine) 17로 들어간다. 상기 팽창기 17은 탑 작동 압력까지 대체로 등엔트로피(isentropy) 방식으로 증기를 팽창시키고, 이때의 작업 팽창으로 상기 팽창된 스트림 36a를 약 -84℉[-65℃]의 온도로 냉각시킨다. 부분적으로 응축된 팽창 스트림 36a는 그 후에 분별증류탑 20의 하부 중간 칼럼 공급점에 공급물로 제공된다.
탑 20에서 탈메탄흡수기는 복수의 수직으로 배열된 트레이(tray),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충전층(packed bed), 또는 트레이와 패킹의 조합을 구비하는 종래의 증류 칼럼이다. 탈메탄흡수기 탑은 두 섹션으로 구성된다: 즉, 트레이 및/또는 패킹을 구비하고, 상승하는 팽창된 스트림 35b 및 36a의 증기 부분과 하강하는 저온 액체 사이에 필요한 접촉을 제공하여 에탄, 프로판 및 더 무거운 성분을 응축시키고 흡수하도록 하는 상부 흡수(정류(rectification))섹션(20a); 및 트레이 및/또는 패킹을 구비하여 하강하는 액체와 상승하는 증기 사이에 필요한 접촉을 제공하는 하부의 스트리핑 섹션 (stripping section)(20b). 탈메탄흡수 섹션(20b)은 또한 칼럼을 하강하는 액체부분을 가열하고 증발시켜 칼럼을 상향하여 흘러 액체 제품, 스트림 41인 메탄 및 가벼운 성분을 스트리핑하는 스트리핑 증기(stripping vapor)를 제공하기 위한 리보일러(reboiler)(리보일러 21 및 전술한 측면 리보일러와 같은)를 포함한다. 스트림 36a는 탈메탄흡수기 20의 흡수 섹션 20a의 하부영역에 위치하는 중간공급부에서 탈메탄흡수기 20에 들어간다. 팽창된 스트림의 액체부분은 흡수 섹션 20a으로부터 하강하는 액체와 혼합되고, 혼합된 액체는 계속 하강하여 탈메탄흡수기 20의 스트리핑 섹션 20b로 들어간다. 팽창된 스트림의 증기부분은 흡수 섹션 20a를 통해 상승하고, 저온의 하강하는 액체와 접촉하여 응축하고 에탄, 프로판 및 더 무거운 성분들을 흡수한다.
증류 증기의 일부(스트림 42)는 스트리핑 섹션 20b의 상부 영역에서 배출된다. 이 스트림은 다시 -91℉(-68℃)에서 -122℉(-86℃)로 냉각되고, 탈메탄흡수기 20의 정상에 -127℉(-88℃)의 온도에서 빠져나가는 저온의 탈메탄흡수기 탑정 스트림 38과 열교환함으로써, 열 교환기 22에서 부분적으로 응축된다(스트림 42a). 저온의 탈메탄흡수기 탑정 스트림은 스트림 42의 적어도 일부분을 냉각시키고, 응축하면서 -120℉(-84℃)로 약간 승온된다(스트림 38a).
환류 분리기(reflux separator) 23에서의 작동 압력(447psia[3,079kPa(a)]은 탈메탄흡수기 20의 작동 압력보다 약간 낮게 유지된다. 이것은 증류 증기 스트림 42가 열교환기 22를 통하여 흐르게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고, 그래서 환류 분리기 23으로 들어가서 응축된 액체(스트림 44)가 응축되지 않은 증기(스트림 43)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스트림 43은 이어서 열교환기 22로부터의 가열된 탈메탄흡수기 탑정 스트림 38a와 혼합하여 -120℉(-84℃)인 저온의 잔류가스 스트림 45를 형성한다.
환류 분리기 23으로부터 나온 액체 스트림 44는 펌프 24에 의해 탈메탄흡수기 20의 작동 압력보다 약간 높은 압력으로 송출되고, 스트림 44a는 이어서 저온의 상부 칼럼 공급(환류)으로서 탈메탄흡수기 20에 공급된다. 이 저온의 액체 환류는 탈메탄흡수기 20의 흡수 섹션 20a의 상부 정류 부분에서 상승하는 프로판 및 더 무거운 성분들을 흡수하고 응축한다.
탈메탄흡수기 20의 스트리핑 섹션 20b에서, 공급 스트림은 그들의 메탄 및 더 가벼운 성분들이 스트리핑된다. 얻어지는 액체 제품(스트림 41)은 114℉(45℃)로 탑저(20)에서 배출된다. 탑정을 형성한 증류 증기 스트림(스트림 38)은 전술한 바와 같이 증류 스트림 42을 냉각하고, 그 후 스트림 43과 혼합하여 저온 잔류 가스 스트림 45를 형성하도록 열교환기 22에서 가열된다. 잔류 가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을 제공하도록 -36℉[-38℃](스트림 45a)로 가열되는 열교환기 15, -5℉[-20℃](스트림 45b)로 가열되는 열교환기 13 및 80℉[27℃](스트림 45c)로 가열되는 열교환기 10에서 들어오는 공급 가스와 반대방향으로 통과한다. 잔류 가스는 이어서 두 단계, 팽창기 17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 18 및 보충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 25에서 재-압축된다. 스트림 45e가 배출냉각기 26에서 120℉[49℃]로 냉각한 후, 잔류가스 제품(스트림 45f)은 1015psia[6,998kPa(a)]의 압력으로 판매가스 파이프라인으로 흐른다.
도 3에 예시된 프로세스에 대한 스트림 유량 및 에너지 소비량의 요약을 다음의 표에 제시한다.
표 3
(도 3)
스트림 유량 개요- Lb.Moles/Hr[kg moles/Hr]
회수율
에탄 85.08%
프로판 99.20%
부탄+ 99.98%
마력
잔류 가스 압축 23,630 HP [38,847 kW]
유틸리티 냉각
프로판 냉동 효율 37,581 MBTU/H [24,275 kW]
*(반올림하지 않은 유량 기준)
표 1 및 표 3의 비교는, 선행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의해 에탄올 회수율이 84.21%에서 85.08%로 증가되고, 프로판 회수율이 98.58%에서 99.20%로 증가되고, 부탄+의 회수율이 99.88%에서 99.98%로 증가되었음을 보여준다. 표 1 및 표 3의 비교는 또한 수율에 있어서의 증가가 본질적으로 동일한 마력과 유틸리티 냉각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회수율의 증가는 환류 스트림 44a에 의해 제공되는 보충적인 정류에 기인한 것이며, 환류 스트림은 잔류 가스에서 제거되는 유입 공급 가스에 함유된 프로판 및 C4+ 성분의 양을 감소시킨다. 비록 탈메탄흡수기 20의 흡수 섹션 20a에 제공되는, 팽창되고 실질적으로 응축된 공급 스트림 35b가 팽창된 공급 36a 및 스트리핑 섹션 20b로부터 상승하는 증기에 함유된 에탄, 프로판 및 중탄화수소 성분의 대량 회수를 제공하지만, 스트림 35b 그 자체가 프로판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므로, 평형 효과로 인해 모든 프로판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획득할 수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환류 스트림 44a는 현저하게 액체 메탄 및 에탄이며, 극소량의 프로판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고, 그러므로 흡수 섹션 20a에서 상부 정류 섹션으로 환류의 소량만으로 거의 모든 프로판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획득하는데 충분하다. 그 결과, 거의 100%의 프로판 및 실질적으로 모든 중탄화수소 성분들이 탈메탄흡수기 20의 탑저를 떠나는 액체 제품 41에 회수된다. 팽창되고 실질적으로 응축된 공급 스트림 35b에 의해 제공되는 대량 액체 회수 덕분에, 필요한 환류량(스트림 44a)은 열교환기 15에서 공급 스트림 35에 심각하게 영향을 주는 냉각 없이 저온 탈메탄흡수기 탑정 증기(스트림 38)가 냉각을 제공하여 이러한 환류를 생성할 정도로 충분히 작다.
실시예 2
액체 제품에서 C2 성분의 회수 수준이 감소되어야만 하는 경우에(예를 들면, 전술한 도 2의 선행 기술의 프로세스에서와 같이), 도 2에 설명된 선행 기술의 프로세스에 비해 본 발명은 매우 의미있는 회수와 효율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도 3 공정의 작동 조건은 도 2 선행 기술 프로세스에서와 동일한 수준으로 본 발명의 액체 제품에서의 에탄 내용물을 감소시켜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공급 가스의 조성 및 도 4에 제시된 프로세스에서 고려되는 조건은 도 2의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점을 더 예시하기 위해 도 4의 프로세스는 도 2의 프로세스와 비교될 수 있다.
도 4 공정의 시뮬레이션에서, 공정 플랜트에 대한 유입 가스 냉각, 분리 및 팽창 스킴은 도 3에서 사용되었던 것들과 거의 흡사하다. 중요한 차이점은 플래시 팽창된 분리기 액체 스트림(스트림 33a 및 37a)이 도 3에서 본 것과 같은 분별증류탑 20으로부터의 측면 리보일러 액체를 사용한 대신, 공급가스의 냉각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탑저 액체(스트림 41)에서 C2 성분의 낮은 회수 때문에, 분별증류탑 20에서의 온도는 더 높고, 이는 탑 액체가 공급 가스와 효율적인 열 교환을 하기에는 너무 고온이다. 추가적인 차이점은 탑 액체(스트림 49)의 측면 배출을 이용하여, 열교환기 22에서 탑정 증기 스트림 38에 의해 제공되는 냉각을 보충하였다.
공급 스트림 31은 열 교환기 10에서 -5℉[-21℃]의 저온 잔류 가스(스트림 45b), 플래시 팽창된 액체(스트림 33a) 및 프로판 냉동제와 열교환을 함으로써 냉각된다. 냉각된 스트림 31a는 0℉[-18℃] 온도 및 955psia[6,584kPAa(a)] 압력으로 증기(스트림 32)가 응축된 액체(스트림 33)로부터 분리되는 분리기 11로 들어간다. 분리기 액체(스트림 33)는 팽창 밸브 12에 의해 분별증류탑 20의 작동 압력(대략 450psia[3,103kPAa(a)])보다 약간 높게 팽창되어, 열교환기 10에 들어가기 전에 스트림 33a를 -26℉[-32℃]로 냉각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하는 공급 가스의 냉각을 제공하도록 가열된다. 팽창된 액체 스트림은 75℉[24℃]로 가열되고, 분별증류탑 20의 하부 중간 칼럼 공급점에 제공되기 전에 스트림 33b를 부분적으로 증발시킨다.
분리기 증기(스트림 32)는 열교환기(13)에서 -66℉[-54℃]의 저온 잔류 가스(스트림 45a) 및 플래시 팽창된 액체(스트림 37a)와 열교환에 의해 다시 냉각된다. 냉각된 스트림 32a는 -38℉[-39℃]의 온도 및 950psia[6,550kPAa(a)]의 압력에서 증기(스트림 34)가 응축된 액체(스트림 37)로부터 분리되는 분리기 14에 들어간다. 분리기 액체(스트림 37)는 팽창 밸브 19에 의해 분별증류탑 20의 작동 압력보다 약간 높게 팽창되어, 열교환기 13에 들어가기 전에 스트림 37a를 -75℉[-59℃]로 냉각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림 32의 냉각을 제공하도록 가열된다. 팽창된 액체 스트림은 -5℉[-21℃]로 가열되고, 분별증류탑 20의 두 번째 하부 중간 칼럼 공급점에 제공되기 전에 스트림 37b를 부분적으로 증발시킨다.
분리기 14로부터의 증기(스트림 34)는 두 개의 스트림, 35 및 36으로 분리된다. 총 증기의 약 15%를 함유한, 스트림 35는 열 교환 관계에 있는 -82℉[-63℃]의 저온 잔류 가스(스트림 45)와 함께 열교환기 15를 통과하며, 그 곳에서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응축한다. 그 결과 실질적으로 응축된 -77℉[-61℃]의 스트림 35a는 그 후 팽창 밸브 16을 통해 분별증류탑 20의 작동 압력까지 플래시 팽창한다. 팽창하는 동안, 스트림의 일부분은 증발하여, 총 스트림의 냉각을 가져온다. 도 4에 도시된 프로세스에서, 팽창 밸브 16을 떠나는 팽창된 스트림 35b는 -122℉[-85℃]의 온도에 달하고, 분별증류탑 20의 상부 중간 칼럼 공급점에 제공된다.
분리기 14에서 나온 상기 증기의 나머지 85%(스트림 36)는 기계적 에너지가 이러한 고압 공급부로부터 추출되는 작업 팽창기(work expansion machine) 17로 들어간다. 상기 팽창기 17은 탑 작동 압력까지 실질적으로 등엔트로피(isentropy) 방식으로 증기를 팽창시키고, 이때의 작업 팽창으로 상기 팽창된 스트림 36a를 약 -93℉[-69℃]의 온도로 냉각시킨다. 부분적으로 응축된 팽창 스트림 36a는 그 후에 분별증류탑 20의 하부 중간 칼럼 공급점에 공급물로 제공된다.
증류 증기의 일부(스트림 42)는 분별증류탑 20의 스트리핑 섹션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배출된다. 이 스트림은 다시 -65℉(-54℃)에서 -77℉(-60℃)로 냉각되고, 탈메탄흡수기 20의 정상에서 -108℉(-78℃)의 온도로 배출되는 저온의 탈메탄흡수기 탑정 스트림 38 및 분별증류탑 20에서 흡수 섹션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95℉(-70℃)의 탈메탄흡수기 액체 스트림 49과 열교환에 의해, 열 교환기 22에서 부분적으로 응축된다(스트림 42a). 저온의 탈메탄흡수기 탑정 스트림은 -103℉(-75℃)로 약간 가열되고(스트림 38a), 탈메탄흡수기 액체 스트림은 스트림 42의 적어도 일부분을 냉각시키고, 응축시키면서 -79℉(-62℃)로 가열된다(스트림 49a). 가열되고 부분적으로 증발된 스트림 49a는 탈메탄흡수기 20에서 스트리핑 섹션의 중간 영역으로 되돌아온다.
환류 분리기(reflux separator) 23에서의 작동 압력(447psia[3,079kPa(a)]은 탈메탄흡수기 20의 작동 압력보다 약간 낮게 유지된다. 이러한 압력 차이는 증류 증기 스트림 42가 열교환기 22를 통하여 흐르게 하고, 그래서 환류 분리기 23으로 들어가서 응축된 액체(스트림 44)가 응축되지 않은 증기(스트림 43)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스트림 43은 이어서 열교환기 22로부터의 가열된 탈메탄흡수기 탑정 스트림 38a와 혼합하여 -82℉(-63℃)인 저온의 잔류가스 스트림 45를 형성한다.
환류 분리기 23으로부터 나온 액체 스트림 44는 펌프 24에 의해 탈메탄흡수기 20의 작동 압력보다 약간 높은 압력으로 송출된다. 송출된 스트림 44a는 이어서 적어도 두 부분, 스트림 52 및 스트림 53으로 분리된다. 한 부분, 총량의 약 50%를 함유하는 스트림 52는, 탈메탄흡수기 20의 흡수 섹션에 저온 탑정 칼럼 공급물(환류)로써 제공된다. 이러한 저온 액체 환류는 탈메탄흡수기 20의 흡수 섹션의 상부 정류 영역에서 상승하는 프로판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흡수하고 응축한다. 다른 부분, 스트림 53은 스트리핑 섹션의 상부 영역에 존재하는 탈메탄흡수기 20의 중간 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이는 증류 증기 스트림 42가 배출되는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스트림 42의 부분적인 정류를 제공한다.
액체 제품 스트림 41은 탑저를 142℉[61℃]의 온도에서 빠져나간다. 탑정을 형성하는 증류 증기 스트림(스트림 38)은 전술한 바와 같이 증류 스트림 42에 냉각을 제공하기 위해 열교환기 22에서 가열되고, 그 후 스트림 43과 혼합하여 차가운 잔류 가스 스트림 45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을 제공하기 위해 잔류 가스는 -66℉[-54℃](스트림 45a)로 가열되는 열교환기 15, -5℉[-21℃](스트림 45b)로 가열되는 열교환기 13 및 80℉[27℃](스트림 38c)로 가열되는 열교환기 10에서 들어오는 공급 가스와 반대방향으로 통과한다. 잔류 가스는 이어서 두 단계, 팽창기 17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 18 및 보충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 25에서 재-압축된다. 스트림 45e가 배출냉각기 26에서 120℉[49℃]로 냉각된 후, 잔류가스 제품(스트림 45f)은 1015psia[6,998kPa(a)]의 압력으로 판매가스 파이프라인으로 흐른다.
도 4에 예시된 프로세스에 대한 스트림 유량 및 에너지 소비량의 요약을 다음의 표에 제시한다.
표 4
(도 4)
스트림 유량 개요- Lb.Moles/Hr[kg Moles/Hr]
회수율
에탄 50.89%
프로판 99.78%
부탄+ 100.00%
마력
잔류 가스 압축 23,726 HP [39,005 kW]
유틸리티 냉각
프로판 냉동 효율 30,708 MBTU/H [19,836 kW]
*(반올림하지 않은 유량 기준)
표 2 및 표 4의 비교는, 선행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의해 프로판 회수율이 96.51%에서 99.78%로 증가되고, 부탄+의 회수율이 99.68%에서 100.00%로 증가되었음을 보여준다. 표 2 및 표 4의 비교는 또한 수율에 있어서의 증가가 본질적으로 동일한 마력과 유틸리티 요구사항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도 3의 실시태양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도 4의 실시태양은 환류 스트림 52로 보충적인 정류를 제공하여 회수를 증가시키며, 환류 스트림은 잔류 가스에서 제거되는 유입 공급 가스에 함유된 프로판 및 C4+ 성분의 양을 감소시킨다.표 3 및 표 4를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4의 실시태양은 환류를 두 스트림으로 분리시켜(스트림 52 및 53) 탈메탄흡수기 탑정 증기 스트림 38의 정류 뿐만 아니라, 증류 증기 스트림 42의 부분적인 정류를 제공하며, 도 3의 실시태양과 비교하여 양 스트림의 C3 및 중탄화수소 성분의 양을 감소시키는 추가적인 이점을 가진다. 결과는 에탄 회수 수준은 비록 도 4의 실시태양이 훨씬 낮았지만(50.89% 대 85.08%), 도 3의 실시태양에서보다 도 4의 실시태양에서 0.58% 더 높은 프로판 회수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에탄 회수 수준과 상관없이 매우 높은 프로판 및 중탄화수소의 회수 수준을 유지하도록 한 것이며, 따라서 다른 플랜트 제약을 만족하기 위해 에탄 회수가 축소되어야 하는 시간 동안에 프로판 및 중탄화수소 성분의 회수를 절충할 필요는 결코 없다.
다른 실시태양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이론 분리단(theoretical separation stage)을 포함하도록 탈메탄흡수기의 흡수(정류) 섹션을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유리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점은 단 한 개 뿐인 이론단으로도 달성할 수 있으며, 심지어 분별증류 이론단(fractional theoretical stage)의 동등물도 이러한 장점을 성취할 수 있다고 믿어진다. 예를 들면, 환류 분리기 23을 빠져나오는 분출된(pumped) 응축액(스트림 44a)의 전부 또는 일부 및 팽창 밸브 16으로부터 팽창된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 35b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합쳐질 수 있고(팽창 밸브를 탈메탄흡수기에 결합하는 배관 내에서처럼), 완전히 혼합이 이루어졌을 경우, 증기와 액체는 총 혼합 스트림의 다양한 성분 중의 상대적 휘발성에 따라 함께 혼합되고 또한 분리될 것이다. 그와 같은 두 가지 스트림의 혼합은 본 발명의 목적에 대하여 흡수 섹션을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어떤 상황에서는 증류 스트림 42a의 남은 증기 부분을 분별증류 칼럼 탑정(스트림 38)과 혼합하고, 이어서 혼합된 스트림을 증류 스트림 42의 냉각에 제공하기 위해 열 교환기 22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도 5에서 볼 수 있으며, 여기에서 환류 분리 증기(스트림 43)을 칼럼 탑정(스트림 38)과 합쳐서 얻어진 혼합된 스트림 45는 열 교환기 22를 순환한다.
도 6은 두 개의 칼럼, 흡수(정류) 칼럼 27 및 스트리퍼 칼럼 20으로 구성된 분별증류탑을 나타낸다. 그러한 경우, 스트리퍼 칼럼 20으로부터 나온 탑정 증기(스트림 50)는 두 부분으로 분리된다. 한 부분(스트림 4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 22를 순환하여 흡수 칼럼 27에 대한 환류를 발생시킨다. 남은 부분(스트림 51)은 흡수 칼럼 27의 하부 섹션으로 흘러들어가 팽창된 실질적으로 응축된 스트림 35b 및 환류 액체(스트림 44a)에 접촉된다. 펌프 28은 액체(스트림 47)를 흡수 칼럼 27의 탑저로부터 스트리퍼 칼럼 20의 정상(top)으로 순환시키는 데 이용되어 두 탑들이 하나의 증류 시스템으로써 효율적으로 기능하도록 한다. 분별 증류탑을 단일 용기(도 3 내지 도 5에서의 탈메탄흡수기와 같은) 또는 다수의 용기로 설치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은 플랜트 사이즈, 제조 시설까지의 거리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좌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증류 증기 스트림 42는 부분적으로 응축되고, 얻어지는 응축물은 탈메탄흡수기 20의 흡수 섹션 20a를 통해 상승하는 증기로부터 유용한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흡수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태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설계 고려사항이 증기부분 또는 응축물 부분이 탈메탄흡수기 20의 흡수 섹션 20a를 우회해야 한다고 지적할 경우에는, 이러한 증기의 일부만을 이 방식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응축물의 일부만을 흡수제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열교환기 22에서 증류 스트림 42의 부분적인 응축보다는, 전체를 응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른 상황에서는 증류 스트림 42의 부분적인 증기 측면 배출보다 분별증류 칼럼 20으로부터 전체 증기 측면 배출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공급가스 스트림의 조성에 따라, 열교환기 22에서 증류 증기 스트림 42의 부분적인 냉각을 제공하기 위해 외부 냉각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공급가스 조건, 플랜트 사이즈, 가용한 설비, 또는 다른 요인들이 작업 팽창기 17을 배제하거나, 또는 다른 팽창장치(팽창밸브와 같은)로 교체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지적할 수 있다. 비록 각 스트림 팽창이 특정 팽창 장치들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팽창수단이 적절한 곳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건들은 공급 스트림(스트림 35a)의 실질적으로 응축된 부분의 작업 팽창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탈메탄흡수기 20과 환류 분리기 23 사이에는 약간의 압력차가 필요하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증류증기 스트림 42가 열교환기 22를 통과하여 압력상승이 전혀 없이 환류 분리기 23으로 들어갈 경우, 환류 분리기는 반드시 탈메탄흡수기 20의 작동 압력보다 약간 낮은 작동 압력을 나타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환류 분리기로부터 배출된 액체 스트림은 탈메탄흡수기에서의 공급 위치로 펌프이송될 수 있다. 다른 방법은, 펌핑없이 액체 스트림 44가 탈메탄흡수기 20에 공급될 수 있도록 열교환기 22 및 환류 분리기 23에서의 작동 압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증류 증기 스트림 42에 대한 부스터 송풍기(booster blower)를 제공하는 것이다.
분별증류 칼럼이 두 개의 용기로 구성되는 상황에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수 칼럼 27을 스트리퍼 칼럼 20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는 한가지 방법은 도 7에서의 압축기 29와 같은, 분리 압축기를 사용하여 증류 스트림 42가 열 교환기 22를 통해 흐르도록 하는 추진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경우, 흡수 칼럼 27의 탑저로부터의 액체(스트림 47)는 스트리퍼 칼럼 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에 있어서, 이러한 액체를 스트리퍼 칼럼 20으로 흐르게 하는 펌프가 요구되지 않는다. 대신, 도 7에서의 팽창 밸브 28과 같은, 적당한 팽창 장치가 사용되어 상기 액체를 스트리퍼 칼럼 20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시키고 팽창된 스트림 48a를 그 이후 스트리퍼 칼럼 20에 제공할 수 있다.
유입 가스가 저질인 경우, 도 3 및 도 4에서의 분리기 11은 적당하지 않다. 그러한 경우, 도 3 및 도 4에서의 열 교환기 10 및 13에서 수행되는 공급 가스냉각은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리기를 방해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다단에서 공급 가스의 냉각 및 분리를 할 것인가 여부에 대한 결정은 공급 가스의 농후, 플랜트 사이즈, 가용한 장비 등에 좌우된다.
공급 가스에서의 중탄화수소의 양 및 공급 가스의 압력에 의존하여, 도 3 내지 도 7에서 열 교환기 10을 떠나는 냉각된 공급 스트림 31a 및/또는 도 3 및 도 4에서 열 교환기 13을 떠나는 냉각된 스트림 32a는 어떠한 액체도 함유하지 않을 수 있고(왜냐하면, 그것의 이슬점 이상이거나, 또는 그것의 최대임계압력 이상이므로), 따라서, 도 3 내지 도 7에서 보여지는 분리기 11 및/또는 도 3 및 도 4에서 보여지는 분리기 14가 요구되지 않는다.
고압의 액체(도 3 및 도 4에서의 스트림 37 및 도 5 내지 도 7에서의 스트림 33)는 팽창되어 중간 칼럼 공급점에 공급될 필요가 없다. 대신, 그것의 전부 또는 일부는 열교환기 15로 흐르는 분리기 증기(도 3 내지 도 7의 스트림 34)의 일부와 혼합될 수 있다. (이것은 도 5 내지 도 7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스트림 46에 도시하였다.) 액체의 남은 부분은 팽창 밸브나 팽창기와 같은 적절한 팽창 장치를 통해 팽창되고, 증류 칼럼의 중간 칼럼 공급점에 공급될 수 있다(도 5 내지 도 7에서 스트림 37a). 도 3 및 도 4에서 스트림 33과 도 3 내지 도 7에서의 스트림 37은, 도 4에서 도시한 것과 유사하게, 탈메탄흡수기로 흘러가기 전의 팽창 단계 전 또는 후에 유입 가스의 냉각 또는 다른 열 교환 서비스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농후한 유입 가스인 경우에는, 다른 프로세스 스트림으로부터의 유입 가스의 가용한 냉각을 보충하기 위해 외부 냉각의 사용이 적용될 수 있다. 공정 열 교환에 대한 분리기 액체와 탈메탄흡수기 측면 배출 액체의 사용 및 분배, 유입 가스 냉각에 대한 열 교환기의 특정한 배열은 각각의 특별한 적용 뿐만 아니라, 특정 열 교환 서비스에 대한 프로세스 스트림의 선택으로부터 평가되어야 한다.
어떤 상황에서는, 도 4에서의 스트림 49 및 도 5에서의 점선으로 표시한 스트림 49와 같이, 열 교환기에서 흡수 섹션 20a를 떠나는 저온의 증류 액체의 일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흡수 섹션 20a로부터의 액체의 일부분만이 탈메탄흡수기 20에서 에탄 회수를 감소시키지 않고 열교환 프로세스에서 사용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스트리핑 섹션 20b로부터의 액체보다 이러한 액체로부터 종종 더 높은 효율이 얻어질 수 있다. 이것은 탈메탄흡수기 20의 흡수 섹션 20a에서의 액체가 스트리핑 섹션 20b에서보다 더 낮은 온도 수준에 있기 때문이다. 도 6 및 도 7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스트림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별 증류탑 20이 두 개의 용기로 구성된 때에 동일한 특성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흡수 칼럼 27로부터의 액체가 펌프 송출될 때, 펌프 28을 떠나는 액체(스트림 47a)는 두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한 부분(스트림 49)은 열 교환에 사용되고, 이어서 스트리퍼 칼럼 20에 중간 칼럼 공급 위치로 순환한다(스트림 49a). 나머지 부분(스트림 48)은 스트리퍼 칼럼 20에 정상 공급물(top feed)이 된다. 유사하게, 흡수 칼럼 27이 도 7에서와 같이 스트리퍼 칼럼 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승된 압력에서 가동될 때, 액체 스트림 47은 두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스트리퍼 칼럼 20(스트림 49a)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된 한 부분(스트림 49)은 열 교환에 사용되고, 이어서 스트리퍼 칼럼 20에 중간 칼럼 공급 위치로 순환한다(스트림 49b). 나머지 부분(스트림 48)은 유사하게 스트리퍼 칼럼 20의 작동 압력까지 팽창되고, 스트림 48a는 이어서 스트리퍼 칼럼 20에 정상 공급물이 된다. 도 4에서 스트림 53 및 도 5 내지 도7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스트림 5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러한 경우 환류 펌프 24(스트림 44a)로부터의 액체 스트림이 일부(스트림 53)는 분별증류탑 20(도 4 및 도 5)의 스트리핑 섹션 또는 스트리퍼 칼럼 20(도 6 및 도 7)에 공급되어 증류 시스템의 부분에서 액체 흐름을 증가시키고, 스트림 42의 정류를 증가시키며, 한편 나머지 부분(스트림 52)은 흡수 섹션 20a(도 4 및 도 5)의 정상 또는 흡수 칼럼 27(도 6 및 도 7)의 정상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스트림으로 분리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증기 공급물의 분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의 프로세스에서, 증기의 분리는 이후의 냉각 및 형성된 어떤 액체의 분리에서 일어난다. 그러나, 고압 가스는 유입 가스의 냉각 전 또는 가스의 냉각 후 그리고 분리 단계 전에 분리될 수 있다. 어떤 실시태양에서, 증기 분리는 분리기에 효과가 있다.
분리된 수증기 공급의 각각의 지류(branch)에서 알 수 있는 상대적인 공급량은 가스압, 공급 가스 조성, 공급물로부터 경제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열의 양 및 사용가능한 마력수 등의 여러 요인에 좌우된다는 것 또한 인식되고 있다. 칼럼의 정상에 더 많은 공급을 제공하는 것은 팽창기로부터 회수된 힘을 감소시키고, 그 때문에 재압축 마력 요구를 증가시키는 반면 회수율을 증가시킨다. 칼럼에 공급 감소를 증가시키는 것은 마력 소비를 감소시키지만 제품 회수 또한 감소시킨다. 중간 칼럼 공급의 상대적인 위치는 유입물 조성 또는 원하는 회수 수준 및 유입 가스가 냉각되는 동안 형성된 액체의 양과 같은 다른 요인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공급 스트림, 또는 그것들의 부분은 개별 스트림의 상대적 온도 및 양에 따라 혼합될 수 있고, 혼합된 스트림은 이어서 중간 칼럼 공급 위치에 공급된다.
본 발명은 프로세스의 가동에 요구되는 유틸리티 소모량에 대비한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의 회수율 향상을 제공한다. 탈메탄흡수기 프로세스의 가동에 요구되는 유틸리티 소모량의 개선은 압축 또는 재압축을 위한 소요동력의 감소, 외부 냉동을 위한 소요동력의 감소, 탑 리보일러용 에너지 요구량의 감소,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이라 생각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는 예를 들면, 다음의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을 다양한 조건, 공급형태 또는 다른 요구조건에 적응하도록 다른 변형 및 추가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개괄적으로 에틸렌, 에탄, 프로필렌, 프로판 및/또는 중탄화수소(heavier hydrocarbon)는 천연가스, 정류 가스(refinery gas) 및 석탄, 원유, 나프타, 유혈암(oil shale), 역청암(tar sands) 및 갈탄 등의 다른 탄화수소 재료로부터 얻어지는 합성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에틸렌, 에탄, 프로필렌, 프로판 및 중탄화수소의 회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로세스의 가동에 요구되는 유틸리티 소모량에 대비한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의 회수율 향상을 제공한다.

Claims (46)

  1.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heavier hydrocarbon)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냉각 후, 상기 냉각된 스트림은 제 1스트림 및 제 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또한
    (1) 상기 제1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2)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이 그 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3)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4)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 위치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5)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6)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됨으로써 상기 단계 (4)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7)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2.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냉각 후, 상기 냉각된 스트림은 제 1스트림 및 제 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또한
    (1) 상기 제1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2)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이 그 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3)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4)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 위치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5)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6)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잔류 증기 스트림과 결합하여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고,
    (7)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됨되고, 가열되어 상기 단계 (4)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8)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3.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냉각 전, 상기 냉각된 스트림은 제 1스트림 및 제 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또한
    (1) 상기 제1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2)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이 그 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3) 상기 제2 스트림이 냉각되고 그 이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4)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2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 위치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5)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6)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됨으로써 상기 단계 (4)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7)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4.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냉각 전, 상기 냉각된 스트림은 제 1스트림 및 제 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또한
    (1) 상기 제1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2)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이 그 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3) 상기 제2 스트림이 냉각되고 그 이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4)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2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 위치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5)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6)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잔류 증기 스트림과 결합하여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고,
    (7)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됨되고, 가열되어 상기 단계 (4)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8)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5.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상기 가스 스트림이 충분히 냉각되어 부분적으로 응축되고; 또한
    (1)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가스 스트림이 분리되고, 그로 인해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고;
    (2) 상기 증기 스트림이 그 후 제1 스트림 및 제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3) 상기 제1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4)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이 그 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5)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6) 상기 적어도 한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상기 증류 칼럼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7)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2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 위치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8)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9)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됨으로써 상기 단계 (7)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0)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6.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상기 가스 스트림이 충분히 냉각되어 부분적으로 응축되고; 또한
    (1)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가스 스트림이 분리되고, 그로 인해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고;
    (2) 상기 증기 스트림이 그 후 제1 스트림 및 제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3) 상기 제1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4)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이 그 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5)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6) 상기 적어도 한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상기 증류 칼럼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7)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2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 위치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8)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9)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잔류 가스 스트림과 결합하여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고;
    (10)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되고 가열됨으로써, 상기 단계 (7)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1)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7.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상기 가스 스트림이 충분히 냉각되어 부분적으로 응축되고; 또한
    (1)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가스 스트림이 분리되고, 그로 인해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고;
    (2) 상기 증기 스트림이 그 후 제1 스트림 및 제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3) 상기 제1 스트림이 상기 적어도 한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결합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된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4)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결합된 스트림이 그 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5)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6) 상기 적어도 한 액체 스트림의 어떠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상기 증류 칼럼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7)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2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 위치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8)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9)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됨으로써 상기 단계 (7)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0)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8.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상기 가스 스트림이 충분히 냉각되어 부분적으로 응축되고; 또한
    (1)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가스 스트림이 분리되고, 그로 인해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고;
    (2) 상기 증기 스트림이 그 후 제1 스트림 및 제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3) 상기 제1 스트림이 상기 적어도 한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결합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된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4)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결합된 스트림이 그 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5)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6) 상기 적어도 한 액체 스트림의 어떠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상기 증류 칼럼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7)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2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 위치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8)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9)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잔류 가스 스트림과 결합하여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고;
    (10)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되고 가열됨으로써, 상기 단계 (7)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1)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9.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냉각 전, 상기 가스가 제 1스트림 및 제 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또한
    (1) 상기 제1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2)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이 그 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3) 상기 제2 스트림이 가압 하 충분히 냉각되어, 부분적으로 스트림을 응축시키고;
    (4)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제2 스트림이 분리되고, 그에 따라 증기 스트림과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며;
    (5) 상기 증기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6) 상기 적어도 한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상기 증류 칼럼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7)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 위치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8)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9)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되고, 가열됨으로써 상기 단계 (7)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0)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10.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냉각 전, 상기 가스가 제 1스트림 및 제 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또한
    (1) 상기 제1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2)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이 그 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3) 상기 제2 스트림이 가압 하 충분히 냉각되어, 부분적으로 스트림을 응축시키고;
    (4)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제2 스트림이 분리되고, 그에 따라 증기 스트림과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며;
    (5) 상기 증기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6) 상기 적어도 한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상기 증류 칼럼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7)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 위치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8)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9)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잔류 가스 스트림과 결합하여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고;
    (10)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되고 가열됨으로써, 상기 단계 (7)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1)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11.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냉각 후, 상기 냉각된 스트림은 제 1스트림 및 제 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또한
    (1) 상기 제1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2)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이 그 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는 접촉 및 분리 장치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그 후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에 제공되며;
    (3)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4)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5)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6)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되고 가열됨으로써 상기 단계 (4)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7)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12.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냉각 후, 상기 냉각된 스트림은 제 1스트림 및 제 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또한
    (1) 상기 제1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2)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이 그 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는 접촉 및 분리 장치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그 후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에 제공되며;
    (3)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4)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5)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6)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잔류 증기 스트림과 결합하여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고,
    (7)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되고, 가열되어 상기 단계 (4)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8)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13.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냉각 전, 상기 가스가 제 1스트림 및 제 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또한
    (1) 상기 제1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2)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이 그 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는 접촉 및 분리 장치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그 후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에 제공되며;
    (3) 상기 제2 스트림이 냉각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4)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5)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6)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되고 가열됨으로써 상기 단계 (4)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7)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14.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냉각 전, 상기 가스가 제 1스트림 및 제 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또한
    (1) 상기 제1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2)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이 그 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는 접촉 및 분리 장치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그 후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에 제공되며;
    (3) 상기 제2 스트림이 냉각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4)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5)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6)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잔류 증기 스트림과 결합하여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고,
    (7)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되고, 가열되어 상기 단계 (4)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8)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15.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상기 가스 스트림이 충분히 냉각되어 부분적으로 응축되고; 또한
    (1)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가스 스트림이 분리되고, 그로 인해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고;
    (2) 상기 증기 스트림이 그 후 제1 스트림 및 제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3) 상기 제1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4)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이 그 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는 접촉 및 분리 장치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그 후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에 제공되며;
    (5)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6) 상기 적어도 한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7)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위치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8)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9)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되고, 가열됨으로써 상기 단계 (7)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0)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16.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상기 가스 스트림이 충분히 냉각되어 부분적으로 응축되고; 또한
    (1)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가스 스트림이 분리되고, 그로 인해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고;
    (2) 상기 증기 스트림이 그 후 제1 스트림 및 제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3) 상기 제1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4)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이 그 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는 접촉 및 분리 장치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그 후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에 제공되며;
    (5)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6) 상기 적어도 한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7)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위치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8)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9)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잔류 증기 스트림과 결합하여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고;
    (10)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되고, 가열됨으로써 상기 단계 (7)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0)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11)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17.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상기 가스 스트림이 충분히 냉각되어 부분적으로 응축되고; 또한
    (1)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가스 스트림이 분리되고, 그로 인해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고;
    (2) 상기 증기 스트림이 그 후 제1 스트림 및 제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3) 상기 제1 스트림이 상기 적어도 한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결합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된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4)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결합된 스트림이 그 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는 접촉 및 분리 장치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그 후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에 제공되며;
    (5)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6) 상기 적어도 한 액체 스트림의 어떠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7)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위치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8)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9)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되고, 가열됨으로써 상기 단계 (7)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0)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18.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상기 가스 스트림이 충분히 냉각되어 부분적으로 응축되고; 또한
    (1)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가스 스트림이 분리되고, 그로 인해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고;
    (2) 상기 증기 스트림이 그 후 제1 스트림 및 제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3) 상기 제1 스트림이 상기 적어도 한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결합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된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4)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결합된 스트림이 그 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는 접촉 및 분리 장치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그 후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에 제공되며;
    (5) 상기 제2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6) 상기 적어도 한 액체 스트림의 어떠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7)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위치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8)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9)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잔류 증기 스트림과 결합하여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고;
    (10)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되고, 가열됨으로써 상기 단계 (7)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0)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11) 상기 증류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칼럼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19.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냉각 전, 상기 가스가 제 1스트림 및 제 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또한
    (1) 상기 제1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2)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이 그 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는 접촉 및 분리 장치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그 후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에 제공되며;
    (3) 상기 제2 스트림이 가압 하 충분히 냉각되어 부분적으로 응축하고;
    (4)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제2 스트림이 분리되고 그로인해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고;
    (5) 상기 증기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6) 상기 적어도 한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7)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위치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8)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9)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되고, 가열됨으로써 상기 단계 (7)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0)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20.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a) 상기 가스 스트림은 가압 하에서 냉각되어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고;
    (b) 상기 냉각된 스트림이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로 냉각되고; 및
    (c) 상기 추가로 냉각된 스트림이 증류 칼럼으로 직접 유입되어 상기 더 낮은 압력에서 분별증류되고 그에 따라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이 회수되는 분리방법으로서,
    개선사항으로 냉각 전, 상기 가스가 제 1스트림 및 제 2스트림으로 분리되고; 또한
    (1) 상기 제1 스트림이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스트림이 응축되고, 그 후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냉각되고;
    (2)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이 그 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는 접촉 및 분리 장치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그 후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에 제공되며;
    (3) 상기 제2 스트림이 가압 하 충분히 냉각되어 부분적으로 응축하고;
    (4)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제2 스트림이 분리되고 그로인해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고;
    (5) 상기 증기 스트림이 상기 저압까지 팽창되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6) 상기 적어도 한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되고,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되며;
    (7) 증기 증류 스트림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위치로부터 배출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분이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되고, 그로 인해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고;
    (8)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접촉 및 분리 장치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
    (9)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이 상기 잔류 증기 스트림과 결합하여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고;
    (10)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되고, 가열됨으로써 상기 단계 (7)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0)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11)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가, 상기 비교적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Overhead) 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인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21. 제1,2,3,4,5,6,7,8,9 또는 10항에 있어서, 개선사항으로
    (1) 상기 응축된 스트림이 적어도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분리되고;
    (2)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또한
    (3)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이 배출되는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기 증류 칼럼의 공급 위치에 제공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22. 제11,12,13,14,15,16,17,18,19 또는 20항에 있어서, 개선사항으로
    (1) 상기 응축된 스트림이 적어도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분리되고;
    (2)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접촉 및 분리장치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고;또한
    (3)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 방법.
  23.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스트림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2)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실질적으로 응축하도록 하는 제2 냉각 수단;
    (3)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4)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5)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의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6)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7)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분리 수단,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8)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거기에서 분리된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6)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9)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24.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스트림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2)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실질적으로 응축하도록 하는 제2 냉각 수단;
    (3)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4)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5)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의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6)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7)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분리 수단,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8) 상기 증류 칼럼 및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잔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는 결합 수단;
    (9)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6)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0)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25.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 전에서 상기 공급 가스를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2)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실질적으로 응축하도록 하는 제2 냉각 수단;
    (3)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4) 상기 제1 냉각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냉각시키고;
    (5)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2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6)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2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의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7)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8)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분리 수단,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9)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거기에서 분리된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7)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0)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26.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 전에서 상기 공급 가스를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2)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실질적으로 응축하도록 하는 제2 냉각 수단;
    (3)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4) 상기 제1 냉각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냉각시키고;
    (5)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2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6)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2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의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7)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8)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분리 수단,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9) 상기 증류 칼럼 및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잔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는 결합 수단;
    (10)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7)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1)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27.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이 가압 하에서 상기 공급 가스를 충분히 냉각할 수 있도록 개조되어 공급 가스를 부분적으로 응축하고;
    (2)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공급물을 수용하고 그것을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1 분리 수단;
    (3)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4)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실질적으로 응축하도록 하는 제2 냉각 수단;
    (5)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6)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7)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3 팽창 수단, 상기 제3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8)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의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9)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10)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제2 분리 수단,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11)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거기에서 분리된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9)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2)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28.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이 가압 하에서 상기 공급 가스를 충분히 냉각할 수 있도록 개조되어 공급 가스를 부분적으로 응축하고;
    (2)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공급물을 수용하고 그것을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1 분리 수단;
    (3)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4)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실질적으로 응축하도록 하는 제2 냉각 수단;
    (5)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6)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7)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3 팽창 수단, 상기 제3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8)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의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9)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10)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제2 분리 수단,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11) 상기 증류 칼럼 및 상기 제2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잔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는 결합 수단;
    (12)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9)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3)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29.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이 가압 하에서 상기 공급 가스를 충분히 냉각할 수 있도록 개조되어 공급 가스를 부분적으로 응축하고;
    (2)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공급물을 수용하고 그것을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1 분리 수단;
    (3)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4) 상기 분리 수단 및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결합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결합 수단;
    (5) 상기 결합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실질적으로 응축하도록 하는 제2 냉각 수단;
    (6)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결합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결합된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7)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8)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어떠한 나머지 부분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3 팽창 수단, 상기 제3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9)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의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10)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11)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제2 분리 수단,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12)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거기에 분리된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10)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3)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30.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이 가압 하에서 상기 공급 가스를 충분히 냉각할 수 있도록 개조되어 공급 가스를 부분적으로 응축하고;
    (2)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공급물을 수용하고 그것을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1 분리 수단;
    (3)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4) 상기 분리 수단 및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결합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제1 결합 수단;
    (5) 상기 제1 결합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그것을 실질적으로 응축하는 제2 냉각 수단;
    (6)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결합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결합된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7)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8)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어떠한 나머지 부분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3 팽창 수단, 상기 제3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9)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의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10)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11)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제2 분리 수단,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12) 상기 증류 칼럼 및 상기 제2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잔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는 제2 결합 수단;
    (13) 상기 제2 결합 수단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10)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4)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31.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 전에서 상기 공급 가스를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2)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실질적으로 응축하도록 하는 제2 냉각 수단;
    (3)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4) 상기 제1 냉각 수단은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상기 제1 냉각 수단은 가압 하 상기 제2 스트림을 충분히 냉각시켜 그것을 부분적으로 응축시키도록 개조하고;
    (5)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1 분리 수단;
    (6)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7)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3 팽창 수단, 상기 제3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8)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의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9)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10)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제2 분리 수단,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11)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거기에 분리된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9)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2)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32.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 전에서 상기 공급 가스를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2)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실질적으로 응축하도록 하는 제2 냉각 수단;
    (3)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4) 상기 제1 냉각 수단은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상기 제1 냉각 수단은 가압 하 상기 제2 스트림을 충분히 냉각시켜 그것을 부분적으로 응축시키도록 개조하고;
    (5)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1 분리 수단;
    (6)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7)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3 팽창 수단, 상기 제3 팽창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상기 증류 칼럼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8)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 아래의 상기 증류 칼럼의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9)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10)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제2 분리 수단,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11) 상기 증류 칼럼 및 상기 제2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잔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는 결합 수단;
    (12)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9)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3) 상기 증류 칼럼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33.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2)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실질적으로 응축하도록 하는 제2 냉각 수단;
    (3)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은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도록 개조되고;
    (4)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5)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6)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7)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8)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분리 수단,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9)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거기에 분리된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7)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0)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34.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2)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실질적으로 응축하도록 하는 제2 냉각 수단;
    (3)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은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도록 개조되고;
    (4)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5)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6)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7)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8)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분리 수단,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9)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 및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잔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는 결합 수단;
    (10)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7)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1)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35.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 전에서 상기 공급 가스를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2)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실질적으로 응축하도록 하는 제2 냉각 수단;
    (3)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은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도록 개조되고;
    (4) 상기 제1 냉각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냉각시키고;
    (5)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2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6)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7)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8)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9)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분리 수단,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10)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거기에 분리된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8)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1)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36.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 전에서 상기 공급 가스를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2)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실질적으로 응축하도록 하는 제2 냉각 수단;
    (3)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은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도록 개조되고;
    (4) 상기 제1 냉각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냉각시키고;
    (5)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2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6)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7)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8)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9)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분리 수단,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10)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 및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잔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는 결합 수단;
    (11)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8)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2)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37.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이 가압 하에서 상기 공급 가스를 충분히 냉각할 수 있도록 개조되어 공급 가스를 부분적으로 응축하고;
    (2)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공급물을 수용하고 그것을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1 분리 수단;
    (3)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4)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그것을 실질적으로 응축하는 제2 냉각 수단;
    (5)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은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도록 개조되고;
    (6)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7)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3 팽창 수단, 상기 제3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8)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9)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10)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11)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제2 분리 수단,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12)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거기에 분리된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10)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3)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38.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이 가압 하에서 상기 공급 가스를 충분히 냉각할 수 있도록 개조되어 공급 가스를 부분적으로 응축하고;
    (2)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공급물을 수용하고 그것을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1 분리 수단;
    (3)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4)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그것을 실질적으로 응축하는 제2 냉각 수단;
    (5)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은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도록 개조되고;
    (6)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7)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3 팽창 수단, 상기 제3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8)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9)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10)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11)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제2 분리 수단,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12)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 및 상기 제2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잔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는 결합 수단;
    (13)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10)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4)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39.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이 가압 하에서 상기 공급 가스를 충분히 냉각할 수 있도록 개조되어 공급 가스를 부분적으로 응축하고;
    (2)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공급물을 수용하고 그것을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1 분리 수단;
    (3)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4) 상기 분리 수단 및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 및 상기 적어도 한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결합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결합 수단;
    (5) 상기 결합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그것을 실질적으로 응축하는 제2 냉각 수단;
    (6)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결합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결합된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은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도록 개조되고;
    (7)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8)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어떠한 나머지 부분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3 팽창 수단, 상기 제3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9)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10)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11)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12)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제2 분리 수단,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13)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거기에 분리된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11)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4)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40.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이 가압 하에서 상기상기가스를 충분히 냉각할 수 있도록 개조되어 공급 가스를 부분적으로 응축하고;
    (2)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공급물을 수용하고 그것을 증기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1 분리 수단;
    (3)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4) 상기 분리 수단 및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 및 상기 적어도 한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결합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제1 결합 수단;
    (5) 상기 제1 결합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그것을 실질적으로 응축하는 제2 냉각 수단;
    (6)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결합된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결합된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은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도록 개조되고;
    (7)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제2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8)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어떠한 나머지 부분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3 팽창 수단, 상기 제3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9)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10)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11)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12)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제2 분리 수단,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13)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 및 상기 제2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잔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는 제2 결합 수단;
    (14) 상기 제2 결합 수단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11)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5)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41.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 전에서 상기 공급 가스를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2)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실질적으로 응축하도록 하는 제2 냉각 수단;
    (3)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은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도록 개조되고;
    (4) 상기 제1 냉각 수단은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상기 제1 냉각 수단은 가압 하에서 상기 제2 스트림을 충분히 냉각하고 그것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개조되고;
    (5)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증기 스트림과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1 분리 수단;
    (6)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7)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3 팽창 수단, 상기 제3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8)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9)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10)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11)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제2 분리 수단,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12)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거기에 분리된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10)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탑정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3)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42. 메탄,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함유하는 가스 스트림을, 휘발성 잔류가스 분획과 상기 C2 성분,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 또는 상기 C3 성분 및 중탄화수소 성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상대적으로 저휘발성인 분획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에는,
    (a) 가압 하 냉각된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된 상기 가스를 가압 하 냉각하는 제1 냉각 수단;
    (b) 가압 하 상기 냉각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더 낮은 압력으로 스트림을 팽창하도록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트림을 더 냉각하는 제1 팽창 수단;및
    (c)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수용하도록 연결된 증류 칼럼이 있으며,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더 냉각된 스트림을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상대적으로 저휘발성 분획으로 분리하도록 개조되고;
    개선사항으로 상기 장치는,
    (1) 상기 제1 냉각 수단 전에서 상기 공급 가스를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
    (2)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실질적으로 응축하도록 하는 제2 냉각 수단;
    (3) 상기 제2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질적으로 응축된 제1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2 팽창 수단, 상기 제2 팽창 수단은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되고 냉각된 제1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첫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은 탑정 증기 스트림 및 탑저 액체 스트림을 생산하도록 개조되고;
    (4) 상기 제1 냉각 수단은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상기 제1 냉각 수단은 가압 하에서 상기 제2 스트림을 충분히 냉각하고 그것을 부분적으로 응축하도록 개조되고;
    (5) 상기 제1 냉각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제2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증기 스트림과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제1 분리 수단;
    (6)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고, 상기 제1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까지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증기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두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7) 상기 제1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그것을 상기 더 낮은 압력까지 팽창하는 제3 팽창 수단, 상기 제3 팽창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팽창된 액체 스트림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세번째 중간-칼럼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8) 상기 증류 칼럼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저 액체 스트림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고;
    (9) 상기 증류 칼럼에 연결되어 상기 증류 칼럼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는 증기 배출 수단;
    (10) 상기 증기 배출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충분히 냉각하여 적어도 일부분으로 응축하는 열교환 수단;
    (11) 상기 열교환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부분적으로 응축된 증류 스트림을 수용하고 그것을 분리하여, 그에 따라 잔류 증기 스트림 및 응축된 스트림을 형성하는 제2 분리 수단,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12)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 및 상기 제2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탑정 증기 스트림 및 상기 잔류 증기 스트림을 수용하고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형성하는 결합 수단;
    (13)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열교환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과 열교환하도록 유입시키고 상기 결합된 증기 스트림을 가열하여, 상기 단계 (10)에서 냉각된 것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하고, 이후에 상기 가열된 결합된 증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휘발성 잔류 가스 분획으로서 배출하고; 또한
    (14)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트림의 양과 온도를, 상기 상대적으로 저 휘발성 분획에서 대부분의 성분이 회수되는 온도로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온도를 유지하여 조절하도록 개조된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43. 제23,24,25 또는 26항에 있어서, 개선사항으로
    (1) 제2 분리 수단이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적어도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분리하고;
    (2)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또한
    (3)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이 배출되는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기 증류 칼럼의 공급 위치에 제공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44. 제27,28,29,30,31 또는 32항에 있어서, 개선사항으로
    (1) 제2 분리 수단(dividing mean)이 상기 제2 분리 수단(separating mean)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적어도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분리하고;
    (2)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증류 칼럼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또한
    (3)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증기 증류 스트림이 배출되는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기 증류 칼럼의 공급 위치에 제공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45. 제33,34,35 또는 36항에 있어서, 개선사항으로
    (1) 제2 분리 수단이 상기 분리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적어도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분리하고;
    (2)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또한
    (3)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증류 칼럼의 정상 공급 위치에 제공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46. 제37,38,39,40,41 또는 42항에 있어서, 개선사항으로
    (1) 제2 분리 수단(dividing mean)이 상기 제2 분리 수단(separating mean)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된 스트림을 적어도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분리하고;
    (2)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에 더 연결되어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접촉 및 분리 수단의 탑정 공급 위치에 제공하고; 또한
    (3) 상기 제2 분리 수단은 상기 증류 칼럼에 더 연결되어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증류 칼럼의 정상 공급 위치에 제공하는 가스 스트림의 분리용 장치.
KR1020057015836A 2003-02-25 2004-02-12 탄화수소 가스의 처리방법 KR101120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4977203P 2003-02-25 2003-02-25
US60/449,772 2003-02-25
PCT/US2004/004206 WO2004076946A2 (en) 2003-02-25 2004-02-12 Hydrocarbon gas proces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681A true KR20050102681A (ko) 2005-10-26
KR101120324B1 KR101120324B1 (ko) 2012-06-12

Family

ID=32927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836A KR101120324B1 (ko) 2003-02-25 2004-02-12 탄화수소 가스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7191617B2 (ko)
EP (1) EP1620687A4 (ko)
JP (1) JP4571934B2 (ko)
KR (1) KR101120324B1 (ko)
CN (1) CN100541093C (ko)
AR (1) AR043393A1 (ko)
AU (1) AU2004215005B2 (ko)
BR (1) BRPI0407806A (ko)
CA (1) CA2515999C (ko)
EA (1) EA008462B1 (ko)
EG (1) EG23931A (ko)
MX (1) MXPA05008280A (ko)
MY (1) MY138855A (ko)
NO (1) NO20054079L (ko)
NZ (1) NZ541550A (ko)
PE (1) PE20040796A1 (ko)
TW (1) TWI285250B (ko)
UA (1) UA83363C2 (ko)
WO (1) WO2004076946A2 (ko)
ZA (1) ZA200505906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4676B2 (en) 2008-02-11 2010-01-12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Storage tank containing liquefied natural gas with butane
US8028724B2 (en) 2007-02-12 2011-10-04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LNG tank and unloading of LNG from the tank
US9086188B2 (en) 2008-04-10 2015-07-21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heating value of natural gas
KR20160051829A (ko) 2013-09-04 2016-05-11 우베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튜브
KR20180129866A (ko) 2016-03-31 2018-12-05 우베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튜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2358B2 (en) * 2001-06-08 2004-06-01 Elkcorp Natural gas liquefaction
US7159417B2 (en) 2004-03-18 2007-01-09 Abb Lummus Global, Inc. Hydrocarbon recovery process utilizing enhanced reflux streams
US7204100B2 (en) * 2004-05-04 2007-04-17 Ortloff Engineers, Ltd. Natural gas liquefaction
US9080810B2 (en) * 2005-06-20 2015-07-14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CA2536075C (en) * 2006-01-31 2011-03-22 Expansion Power Inc. Method of conditioning natural gas in preparation for storage
US7631516B2 (en) * 2006-06-02 2009-12-15 Ortloff Engineers, Ltd. Liquefied natural gas processing
US20080078205A1 (en) * 2006-09-28 2008-04-03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CA2572932C (en) 2006-12-14 2015-01-20 Jose Lourenco Method to pre-heat natural gas at gas pressure reduction stations
US7777088B2 (en) 2007-01-10 2010-08-17 Pilot Energy Solutions, Llc Carbon dioxide fractionalization process
US8590340B2 (en) * 2007-02-09 2013-11-26 Ort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7883569B2 (en) * 2007-02-12 2011-02-08 Donald Leo Stinson Natural gas processing system
DE102007010874A1 (de) * 2007-03-06 2008-09-11 Linde Ag Abtrennverfahren
US9869510B2 (en) * 2007-05-17 2018-01-16 Ortloff Engineers, Ltd. Liquefied natural gas processing
EP2185878A1 (en) * 2007-08-14 2010-05-19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improved natural gas liquids recovery
US8919148B2 (en) * 2007-10-18 2014-12-30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9243842B2 (en) 2008-02-15 2016-01-26 Black & Veatch Corporation Combined synthesis gas separation and LNG production method and system
US20090282865A1 (en) 2008-05-16 2009-11-19 Ortloff Engineers, Ltd. Liquefied Natural Gas an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20090293537A1 (en) * 2008-05-27 2009-12-03 Ameringer Greg E NGL Extraction From Natural Gas
US8584488B2 (en) * 2008-08-06 2013-11-19 Ortloff Engineers, Ltd. Liquefied natural gas production
US20100050688A1 (en) * 2008-09-03 2010-03-04 Ameringer Greg E NGL Extraction from Liquefied Natural Gas
EP2350546A1 (en) * 2008-10-07 2011-08-03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Helium recovery from natural gas integrated with ngl recovery
AU2009339468B2 (en) * 2009-02-05 2013-07-04 Twister B.V. Multistage cyclonic fluid separator
WO2010144172A1 (en) * 2009-06-11 2010-12-16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9933207B2 (en) * 2009-02-17 2018-04-03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9052137B2 (en) 2009-02-17 2015-06-09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9052136B2 (en) * 2010-03-31 2015-06-09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9939195B2 (en) * 2009-02-17 2018-04-10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including a single equipment item processing assembly
CN102317725B (zh) * 2009-02-17 2014-07-02 奥特洛夫工程有限公司 烃气体加工
US8881549B2 (en) * 2009-02-17 2014-11-11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9080811B2 (en) * 2009-02-17 2015-07-14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9074814B2 (en) * 2010-03-31 2015-07-07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WO2010115283A1 (en) 2009-04-07 2010-10-14 Jose Lourenco Extraction and upgrading of bitumen from oil sands
US20100287982A1 (en) * 2009-05-15 2010-11-18 Ortloff Engineers, Ltd. Liquefied Natural Gas an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8434325B2 (en) 2009-05-15 2013-05-07 Ortloff Engineers, Ltd. Liquefied natural gas and hydrocarbon gas processing
AR076506A1 (es) * 2009-06-11 2011-06-15 Sme Products Lp Procesamiento de gases de hidrocarburos
MX2011013079A (es) * 2009-06-11 2012-02-01 Ortloff Engineers Ltd Procesamiento de gases de hidrocarburos.
CA2764636C (en) * 2009-06-11 2018-12-04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including a single equipment item processing assembly
CN102483299B (zh) * 2009-06-11 2015-10-21 奥特洛夫工程有限公司 烃气体处理
US9476639B2 (en) 2009-09-21 2016-10-25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featuring a compressed reflux stream formed by combining a portion of column residue gas with a distillation vapor stream withdrawn from the side of the column
US9021832B2 (en) 2010-01-14 2015-05-05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9068774B2 (en) * 2010-03-31 2015-06-30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9057558B2 (en) * 2010-03-31 2015-06-16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including a single equipment item processing assembly
KR101676069B1 (ko) * 2010-03-31 2016-11-14 오르트로프 엔지니어스, 리미티드 탄화수소 가스 처리 방법
EA023919B1 (ru) * 2010-03-31 2016-07-29 Ортлофф Инджинирс, Лтд. Переработка углеводородного газа
CN102472574B (zh) * 2010-03-31 2015-05-13 奥特洛夫工程有限公司 烃气体处理
US10113127B2 (en) 2010-04-16 2018-10-30 Black & Veatch Holding Company Process for separating nitrogen from a natural gas stream with nitrogen stripping in the produc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US8667812B2 (en) 2010-06-03 2014-03-11 Ordoff Engineers, Ltd. Hydrocabon gas processing
WO2012000115A1 (en) 2010-06-30 2012-01-05 Jose Lourenco Method to upgrade heavy oil in a temperature gradient reactor (tgr)
CA2819128C (en) 2010-12-01 2018-11-13 Black & Veatch Corporation Ngl recovery from natural gas using a mixed refrigerant
US10451344B2 (en) 2010-12-23 2019-10-22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Ethane recovery and ethane rejection methods and configurations
US10852060B2 (en) 2011-04-08 2020-12-01 Pilot Energy Solutions, Llc Single-unit gas separation process having expanded, post-separation vent stream
WO2013049911A1 (en) 2011-10-04 2013-04-11 Mackenzie Millar Cascading processor
US10139157B2 (en) 2012-02-22 2018-11-27 Black & Veatch Holding Company NGL recovery from natural gas using a mixed refrigerant
CA2772479C (en) 2012-03-21 2020-01-07 Mackenzie Millar Temperature controlled method to liquefy gas and a production plant using the method.
CA2790961C (en) 2012-05-11 2019-09-03 Jose Lourenco A method to recover lpg and condensates from refineries fuel gas streams.
US20140026615A1 (en) * 2012-07-26 2014-01-30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deep feed gas hydrocarbon dewpointing
CN104736504A (zh) * 2012-07-26 2015-06-24 氟石科技公司 用于深度的进料气体烃露点调整的构造和方法
CA2787746C (en) 2012-08-27 2019-08-13 Mackenzie Millar Method of producing and distributing liquid natural gas
CA2798057C (en) 2012-12-04 2019-11-26 Mackenzie Millar A method to produce lng at gas pressure letdown stations in natural gas transmission pipeline systems
CA2801035C (en) 2013-01-07 2019-11-26 Jose Lourenco Method and apparatus for upgrading heavy oil
WO2014151908A1 (en) 2013-03-14 2014-09-25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Flexible ngl recovery methods and configurations
CA2813260C (en) 2013-04-15 2021-07-06 Mackenzie Millar A method to produce lng
US9581385B2 (en) 2013-05-15 2017-02-28 Linde Engineering North America Inc. Methods for separating hydrocarbon gases
CN103438661A (zh) * 2013-08-30 2013-12-11 北京麦科直通石化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低能耗的新型天然气液化工艺
CA2923447C (en) 2013-09-11 2022-05-31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processing
RU2674807C2 (ru) 2013-09-11 2018-12-13 Ортлофф Инджинирс, Лтд. Обработка газообразных углеводородов
EP3044528A1 (en) 2013-09-11 2016-07-20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10563913B2 (en) 2013-11-15 2020-02-18 Black & Veatch Hold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hydrocarbon refrigeration with a mixed refrigerant cycle
US9523055B2 (en) * 2014-01-31 2016-12-20 Uop Llc Natural gas liquids stabilizer with side stripper
US9574822B2 (en) 2014-03-17 2017-02-21 Black & Veatch Corporation Liquefied natural gas facility employing an optimized mixed refrigerant system
CA2958091C (en) 2014-08-15 2021-05-18 1304338 Alberta Ltd. A method of removing carbon dioxide during liquid natural gas production from natural gas at gas pressure letdown stations
CN104263402A (zh) * 2014-09-19 2015-01-07 华南理工大学 一种利用能量集成高效回收管输天然气中轻烃的方法
EP3201549B1 (en) * 2014-09-30 2019-11-2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rocess for increasing ethylene and propylene yield from a propylene plant
US11173445B2 (en) 2015-09-16 2021-11-16 1304338 Alberta Ltd. Method of preparing natural gas at a gas pressure reduction stations to produce liquid natural gas (LNG)
WO2017059515A1 (en) 2015-10-08 2017-04-13 1304338 Alberta Ltd. Method of producing heavy oil using a fuel cell
FR3042983B1 (fr) * 2015-11-03 2017-10-27 Air Liquide Reflux de colonnes de demethanisation
FR3042984B1 (fr) * 2015-11-03 2019-07-19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Optimisation d’un procede de deazotation d’un courant de gaz naturel
CA2914070C (en) 2015-12-07 2023-08-01 1304338 Alberta Ltd. Upgrading oil using supercritical fluids
US10006701B2 (en) 2016-01-05 2018-06-26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Ethane recovery or ethane rejection operation
CA2920656C (en) 2016-02-11 2018-03-06 1304342 Alberta Ltd. Method of extracting coal bed methane using carbon dioxide
US10330382B2 (en) 2016-05-18 2019-06-25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LNG production with propane and ethane recovery
US10551118B2 (en) 2016-08-26 2020-02-04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10551119B2 (en) 2016-08-26 2020-02-04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10533794B2 (en) 2016-08-26 2020-01-14 Ortloff Engineers, Ltd. Hydrocarbon gas processing
WO2018049128A1 (en) 2016-09-09 2018-03-15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s and configuration for retrofitting ngl plant for high ethane recovery
US11428465B2 (en) 2017-06-01 2022-08-30 Uop Llc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11543180B2 (en) 2017-06-01 2023-01-03 Uop Llc Hydrocarbon gas processing
CA3077409A1 (en) 2017-10-20 2019-04-25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Phase implementation of natural gas liquid recovery plants
CA2997634A1 (en) 2018-03-07 2019-09-07 1304342 Alberta Ltd. Production of petrochemical feedstocks and products using a fuel cell
CN109028758A (zh) * 2018-08-07 2018-12-18 中国石油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采用混合冷剂制冷的天然气乙烷回收装置及方法
US11015865B2 (en) * 2018-08-27 2021-05-25 Bcck Hold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natural gas liquid production with flexible ethane recovery or rejection
US11473837B2 (en) 2018-08-31 2022-10-18 Uop Llc Gas subcooled process conversion to recycle split vapor for recovery of ethane and propane
CA3132386A1 (en) 2019-03-11 2020-09-17 Uop Llc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11643604B2 (en) 2019-10-18 2023-05-09 Uop Llc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11906244B2 (en) 2020-11-23 2024-02-20 Uop Llc Hydrocarbon gas processing
CN117858748A (zh) * 2021-08-23 2024-04-09 朗姆研究公司 共定位于衬底处理系统上的紧凑型气体分离器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40371A (ko) * 1958-06-23
US3524897A (en) * 1963-10-14 1970-08-18 Lummus Co Lng refrigerant for fractionator overhead
US3292380A (en) 1964-04-28 1966-12-20 Coastal States Gas Producing C Method and equipment for treating hydrocarbon gases for pressure reduction and condensate recovery
US3837172A (en) 1972-06-19 1974-09-24 Synergistic Services Inc Processing liquefied natural gas to deliver methane-enriched gas at high pressure
GB1475475A (en) 1974-10-22 1977-06-01 Ortloff Corp Process for removing condensable fractions from hydrocarbon- containing gases
US4171964A (en) 1976-06-21 1979-10-23 The Ortloff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4157904A (en) 1976-08-09 1979-06-12 The Ortloff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4140504A (en) 1976-08-09 1979-02-20 The Ortloff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4251249A (en) 1977-01-19 1981-02-17 The Randall Corporation Low temperature process for separating propane and heavier hydrocarbons from a natural gas stream
US4185978A (en) 1977-03-01 1980-01-29 Standard Oil Company (Indiana) Method for cryogenic separation of carbon dioxide from hydrocarbons
US4278457A (en) * 1977-07-14 1981-07-14 Ortloff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4445917A (en) 1982-05-10 1984-05-01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rocess for liquefied natural gas
USRE33408E (en) 1983-09-29 1990-10-30 Exxon Production Research Company Process for LPG recovery
US4545795A (en) 1983-10-25 1985-10-08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Dual mixed refrigerant natural gas liquefaction
US4525185A (en) 1983-10-25 1985-06-25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Dual mixed refrigerant natural gas liquefaction with staged compression
US4519824A (en) 1983-11-07 1985-05-28 The Randall Corporation Hydrocarbon gas separation
DE3414749A1 (de) 1984-04-18 1985-10-31 Linde Ag, 6200 Wiesbaden Verfahren zur abtrennung hoeherer kohlenwasserstoffe aus einem kohlenwasserstoffhaltigen rohgas
FR2571129B1 (fr) 1984-09-28 1988-01-29 Technip Cie Procede et installation de fractionnement cryogenique de charges gazeuses
US4617039A (en) 1984-11-19 1986-10-14 Pro-Quip Corporation Separating hydrocarbon gases
FR2578637B1 (fr) * 1985-03-05 1987-06-26 Technip Cie Procede de fractionnement de charges gazeuses et installation pour l'execution de ce procede
US4687499A (en) * 1986-04-01 1987-08-18 Mcdermott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separating hydrocarbon gas constituents
US4707170A (en) 1986-07-23 1987-11-17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Staged multicomponent refrigerant cycle for a process for recovery of C+ hydrocarbons
US4710214A (en) 1986-12-19 1987-12-01 The M. W. Kellogg Company Process for separation of hydrocarbon gases
US4755200A (en) 1987-02-27 1988-07-05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Feed gas drier precooling in mixed refrigerant natural gas liquefaction processes
US4854955A (en) * 1988-05-17 1989-08-08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4869740A (en) 1988-05-17 1989-09-26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4851020A (en) 1988-11-21 1989-07-25 Mcdermott International, Inc. Ethane recovery system
US4889545A (en) * 1988-11-21 1989-12-26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4895584A (en) 1989-01-12 1990-01-23 Pro-Quip Corporation Process for C2 recovery
US5114451A (en) * 1990-03-12 1992-05-19 Elcor Corporation Liquefied natural gas processing
FR2681859B1 (fr) 1991-09-30 1994-02-11 Technip Cie Fse Etudes Const Procede de liquefaction de gaz naturel.
FR2682964B1 (fr) * 1991-10-23 1994-08-05 Elf Aquitaine Procede de deazotation d'un melange liquefie d'hydrocarbures consistant principalement en methane.
JPH06299174A (ja) 1992-07-24 1994-10-25 Chiyoda Corp 天然ガス液化プロセスに於けるプロパン系冷媒を用いた冷却装置
JPH06159928A (ja) 1992-11-20 1994-06-07 Chiyoda Corp 天然ガス液化方法
US5275005A (en) * 1992-12-01 1994-01-04 Elcor Corporation Gas processing
FR2714722B1 (fr) 1993-12-30 1997-11-21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édé et appareil de liquéfaction d'un gaz naturel.
US5615561A (en) 1994-11-08 1997-04-01 Williams Field Services Company LNG production in cryogenic natural gas processing plants
US5568737A (en) 1994-11-10 1996-10-29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WO1996040604A1 (en) * 1995-06-07 1996-12-19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5566554A (en) 1995-06-07 1996-10-22 Kti Fish, Inc. Hydrocarbon gas separation process
US5555748A (en) * 1995-06-07 1996-09-17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MY117899A (en) 1995-06-23 2004-08-30 Shell Int Research Method of liquefying and treating a natural gas.
US5600969A (en) 1995-12-18 1997-02-11 Phillips Petroleum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to produce a small scale LNG stream from an existing NGL expander plant demethanizer
US5755115A (en) 1996-01-30 1998-05-26 Manley; David B. Close-coupling of interreboiling to recovered heat
CN1145001C (zh) * 1996-02-29 2004-04-07 国际壳牌研究有限公司 在液化天然气中减少低沸点组分含量的方法
US5799507A (en) * 1996-10-25 1998-09-01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5755114A (en) 1997-01-06 1998-05-26 Abb Randall Corporation Use of a turboexpander cycle in liquefied natural gas process
JPH10204455A (ja) 1997-01-27 1998-08-04 Chiyoda Corp 天然ガス液化方法
US5983664A (en) 1997-04-09 1999-11-16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5890378A (en) 1997-04-21 1999-04-06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5881569A (en) 1997-05-07 1999-03-16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TW366411B (en) 1997-06-20 1999-08-11 Exxon Production Research Co Improved process for liquefaction of natural gas
CA2294742C (en) 1997-07-01 2005-04-05 Exxon Production Research Company Process for separating a multi-component gas stream containing at least one freezable component
EG22293A (en) 1997-12-12 2002-12-31 Shell Int Research Process ofliquefying a gaseous methane-rich feed to obtain liquefied natural gas
US6182469B1 (en) 1998-12-01 2001-02-06 Elcor Corporatio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6116050A (en) 1998-12-04 2000-09-12 Ipsi Llc Propane recovery methods
US6119479A (en) 1998-12-09 2000-09-19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Dual mixed refrigerant cycle for gas liquefaction
MY117548A (en) 1998-12-18 2004-07-31 Exxon Production Research Co Dual multi-component refrigeration cycles for liquefaction of natural gas
US6125653A (en) 1999-04-26 2000-10-03 Texaco Inc. LNG with ethane enrichment and reinjection gas as refrigerant
WO2000071952A1 (en) 1999-05-26 2000-11-30 Chart Inc. Dephlegmator process with liquid additive
US6324867B1 (en) 1999-06-15 2001-12-04 Exxonmobil Oil Corporation Process and system for liquefying natural gas
US6308531B1 (en) 1999-10-12 2001-10-3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Hybrid cycle for the produc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US6347532B1 (en) 1999-10-12 2002-02-19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Gas liquefaction process with partial condensation of mixed refrigerant at intermediate temperatures
GB0000327D0 (en) 2000-01-07 2000-03-01 Costain Oil Gas & Process Limi Hydrocarbon separation process and apparatus
WO2001088447A1 (en) 2000-05-18 2001-11-22 Phillips Petroleum Company Enhanced ngl recovery utilizing refrigeration and reflux from lng plants
US20020166336A1 (en) 2000-08-15 2002-11-14 Wilkinson John D.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6367286B1 (en) 2000-11-01 2002-04-09 Black & Veatch Pritchard, Inc. System and process for liquefying high pressure natural gas
JP4032634B2 (ja) * 2000-11-13 2008-01-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6712880B2 (en) 2001-03-01 2004-03-30 Abb Lummus Global, Inc. Cryogenic process utilizing high pressure absorber column
US6526777B1 (en) 2001-04-20 2003-03-04 Elcor Corporation LNG production in cryogenic natural gas processing plants
US6742358B2 (en) * 2001-06-08 2004-06-01 Elkcorp Natural gas liquefaction
JP2003035363A (ja) * 2001-07-23 2003-02-07 Ishikawa Gasket Co Ltd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US7069743B2 (en) * 2002-02-20 2006-07-04 Eric Prim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y of C2+ hydrocarbons contained in liquefied natural gas
US6945075B2 (en) 2002-10-23 2005-09-20 Elkcorp Natural gas liquefactio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8724B2 (en) 2007-02-12 2011-10-04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LNG tank and unloading of LNG from the tank
US8943841B2 (en) 2007-02-12 2015-02-03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LNG tank ship having LNG circulating device
US10352499B2 (en) 2007-02-12 2019-07-16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LNG tank and operation of the same
US10508769B2 (en) 2007-02-12 2019-12-17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LNG tank and operation of the same
US11168837B2 (en) 2007-02-12 2021-11-09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LNG tank and operation of the same
US7644676B2 (en) 2008-02-11 2010-01-12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Storage tank containing liquefied natural gas with butane
US7841288B2 (en) 2008-02-11 2010-11-30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Storage tank containing liquefied natural gas with butane
US9086188B2 (en) 2008-04-10 2015-07-21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heating value of natural gas
KR20160051829A (ko) 2013-09-04 2016-05-11 우베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튜브
KR20180129866A (ko) 2016-03-31 2018-12-05 우베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0501347A1 (ru) 2006-12-29
CN100541093C (zh) 2009-09-16
MY138855A (en) 2009-08-28
US7191617B2 (en) 2007-03-20
CN1969160A (zh) 2007-05-23
EP1620687A4 (en) 2015-04-29
EA008462B1 (ru) 2007-06-29
NO20054079D0 (no) 2005-09-01
ZA200505906B (en) 2006-03-29
EP1620687A2 (en) 2006-02-01
NO20054079L (no) 2005-09-23
EG23931A (en) 2008-01-14
AR043393A1 (es) 2005-07-27
CA2515999A1 (en) 2004-09-10
BRPI0407806A (pt) 2006-02-14
JP4571934B2 (ja) 2010-10-27
US20060032269A1 (en) 2006-02-16
WO2004076946A2 (en) 2004-09-10
PE20040796A1 (es) 2004-11-06
KR101120324B1 (ko) 2012-06-12
MXPA05008280A (es) 2006-03-21
JP2007524578A (ja) 2007-08-30
CA2515999C (en) 2012-12-18
AU2004215005B2 (en) 2008-12-18
TWI285250B (en) 2007-08-11
WO2004076946A3 (en) 2006-10-19
UA83363C2 (uk) 2008-07-10
AU2004215005A1 (en) 2004-09-10
NZ541550A (en) 2008-04-30
TW200502520A (en) 200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324B1 (ko) 탄화수소 가스의 처리방법
AU2010295869B2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AU2008312570B2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CA2664224C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US5275005A (en) Gas processing
KR101660082B1 (ko) 탄화수소 가스 처리
US20190170435A1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CA3132386A1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CA2764590C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EP2553365A1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KR101758394B1 (ko) 탄화수소 가스 처리 방법
KR20120027488A (ko) 탄화수소 가스 처리 방법
CA2901741C (en) Hydrocarbon gas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