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2563A -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563A
KR20050102563A KR1020040027978A KR20040027978A KR20050102563A KR 20050102563 A KR20050102563 A KR 20050102563A KR 1020040027978 A KR1020040027978 A KR 1020040027978A KR 20040027978 A KR20040027978 A KR 20040027978A KR 20050102563 A KR20050102563 A KR 20050102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late
knock
roller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2563A/ko
Publication of KR20050102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56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08Automatic supply devices interacting with the rest of the apparatus, e.g. selection of a specific casset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96Pick-up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는, 급지카세트 몸체와, 상기 급지카세트 몸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용지를 적재시키는 녹업 플레이트와,상기 적재된 용지를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급지카세트 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폭 조절판과, 상기 폭 조절판에 설치되어 상기 녹업 플레이트의 상승에 의해 상기 용지와 접촉시 충격을 흡수, 완화하는 충격완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충격완화부재에 의해 용지 상승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고, 용지가 용지분리부재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PAPER SUPPLY APPARATUS OF IMAG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기기는 잉크나 토너같은 현상제를 용지 상에 부착시켜 원하는 화상을 출력시키는 사무기기로, 인쇄가 이루어지는 인쇄엔진으로 용지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급지장치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시된 바와 같이, 종래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100)는 화상형성기기의 본체(미도시)에 있는 인쇄엔진측으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해 급지할 용지를 낱장으로 분리하는 픽업롤러(11, 12)와, 내부에 용지 저장공간을 갖는 급지카세트 몸체(110)와, 용지가 적재되며 급지카세트 몸체(110)에 스프링(111)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녹업 플레이트(112)와, 녹업 플레이트(112)에 적재되는 용지의 종방향 폭을 정렬시키기 위한 폭 조절 레버(113)와, 녹업 플레이트(112)에 적재되는 용지의 횡방향 폭을 정렬시키기 위한 폭 조절판(121)(122)과, 픽업롤러(11)(12)에 의해 픽업되는 용지가 낱장으로 분리되어 픽업될 수 있도록 용지 선단의 양측 모서리부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용지분리부재(131)(132) 및 녹업 플레이트(112)를 홀딩시키는 홀딩장치(150)를 포함한다. 용지분리부재(131)(132)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움직일 수 있도록 폭 조절판(121)(122)에 각각 설치되며, 홀딩장치(150)는 사용자가 용지를 급지카세트 몸체(110)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녹업 플레이트(112)를 일시적으로 홀딩하여 녹업 플레이트(112)가 급지카세트 몸체(110)의 하부 측으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녹업 플레이트(112)가 급지카세트 몸체(110)의 하부로 가압되면, 녹업 플레이트(110)의 상부후크(151)가 카세트 몸체(110)의 하부후크(152)에 걸린다. 이때, 녹업 플레이트(112)는 카세트 몸체(110)의 하부에 하강된 상태로 홀딩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용지를 카세트 몸체(110)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용지가 적재된 후 카세트 몸체(110)가 화상형성기기 본체(미도시) 내부로 밀려 들어가면, 하부후크(152)와 일체로 되어 화상형성기기의 본체(미도시)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는 버튼(154)이 화상형성기기 본체(미도시)의 일측에 접하여 밀리게 된다. 이때, 상부후크(151)가 하부후크(152)로부터 벗어나게 되며, 녹업 플레이트(112)는 스프링(111)의 탄성력에 의해 픽업롤러(11, 12) 측으로 상승되고 녹업 플레이트(112)에 적재된 최상부의 용지는 용지분리 부재(131)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픽업롤러(11)(12)가 구동되면 픽업롤러(11)(12)에 접해있는 용지부터 낱장으로 분리되어 인쇄엔진 측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급지장치(100)는, 녹업 플레이트(112)가 홀딩장치(150)에서 벗어날 때 스프링(111)의 탄성력에 의해 녹업 플레이트(112)가 급속하게 상승된다. 특히, 용지를 많이 적재하는 다매 급지장치인 경우 보다 강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의 사용이 불가피 하게 된다. 이렇게 녹업 플레이트(112)가 급속하게 상승되면 녹업 플레이트(112)에 적재된 용지가 용지분리부재(131)에 강하게 부딪치게 된다. 이때, 충격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고, 또한 적재된 용지가 용지분리부재(131)로부터 이탈되어 중송(2매 이상의 용지가 급지되는 현상)이 야기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녹업 플레이트가 홀딩장치로부터 벗어날 때 충격으로 인한 소음 및 용지이탈을 방지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는, 급지카세트 몸체와, 상기 급지카세트 몸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용지를 적재시키는 녹업 플레이트와, 상기 적재된 용지를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급지카세트 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폭 조절판과, 급지시 상기 용지를 낱장으로 분류케 하며, 상기 폭 조절판에 소정 간격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용지분리부재 및 상기 폭 조절판에 설치되어 상기 녹업 플레이트의 상승에 의해 상기 용지와 접촉시 충격을 흡수, 완화하는 충격완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상기 용지분리부재가 상승할 수 있는 최상단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녹업 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가 상승시, 상기 용지분리부재가 상승된 상기 용지를 구속하기 전에 상기 충격완화부재가 먼저 상기 용지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상승하는 용지와의 접촉시 충격을 더욱 잘 흡수, 완화하기 위해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는, 상기 녹업플레이트 상승시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를 하나씩 분리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급지를 위해 상기 픽업롤러가 상기 용지와 접촉하기 전에 먼저 용지와 접촉하는 서브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롤러는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서브롤러의 회전반경은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반경보다 작은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픽업롤러 및 서브롤러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급지장치(200)는, 급지카세트 몸체(210)와, 녹업 플레이트(212)와, 홀딩장치(250)와, 폭 조절판(221, 222)과, 용지분리부재(231, 232))와, 충격완화부재(240), 픽업롤러(21, 22) 및 서브롤러(25, 26)(도 5 참조)를 포함한다.
급지카세트 몸체(210)는 그 내부에 용지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마련되며, 이 저장공간에는 용지가 적재되는 녹업 플레이트(212)가 구비된다. 상기 녹업 플레이트(212)은 그 일단부가 카세트 본체(21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카세트 본체(210) 내부에 설치된다. 녹업 플레이트(212)의 하부측에는 녹업 플레이트(212)을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211)이 결합된다. 이 스프링(211)에 의해 녹업 플레이트(211)은 적재된 최상부의 용지가 픽업 가능한 높이에 도달되도록 상승된다. 그리고, 녹업 플레이트(211)의 일측에는 적재되는 용지의 종방향 폭을 정렬시키기 위한 폭 조절 레버(213)가 설치된다. 이 폭 조절 레버(213)는 녹업 플레이트(221)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213a)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녹업 플레이트(212)에 적재되는 용지를 정렬시키게 된다.
홀딩장치(250)는 카세트 본체(210)의 하부 측으로 하강된 녹업 플레이트(212)을 홀딩하기 위한 것으로, 녹업 플레이트(212)의 하부에 설치된 상부후크(251)와, 상부후크(251)를 홀딩하도록 급지카세트 본체(210)에 설치된 하부후크(252)를 포함한다. 하부후크(252)에는 버튼(254)이 일체로 구비되며, 하부후크(252)의 또다른 일측에는 버튼(254)을 급지카세트 본체(210)의 외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스프링(미도시)이 연결된다. 이러한 홀딩장치(250)는 종래의 것과 같으나, 본 발명의 홀딩장치(250)는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되는 홀딩장치(250)는 녹업 플레이트(212)을 홀딩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폭 조절판(221, 222)은 녹업 플레이트(212)에 적재되는 용지의 횡방향 폭을 정렬시키기 위한 것으로 녹업 플레이트(212)의 좌우측으로 각각 설치된다. 이 폭 조절판은 카세트 몸체(210)에 형성된 가이드 홈(미도시)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녹업 플레이트(212)에 적재되는 용지를 정렬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폭 조절판이 녹업 플레이트의 좌우측에 설치되나, 본 발명의 폭 조절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폭 조절판이 한 개 설치되는 것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폭조절판(231, 232)의 상부 일측에는 용지를 분리하기 위한 용지분리부재(231, 232))가 설치된다. 이 용지분리부재(231)는 통상의 것과 다르지 않은 것으로, 화상형성기기 본체(미도시)에 설치된 픽업롤러(21, 22))가 용지를 픽업할 때 용지의 단부를 가압하여 용지가 낱장으로 픽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용지분리부재(231)는 소정 간격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그 상세한 동작은 후술하고자 한다.
충격완화부재(240)는 폭 조절판(221, 222)의 녹업 플레이트(212) 방향으로 내부 일측에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충격완화부재(240)는 홀딩장치(250)의 록킹구조가 해제되어 녹업 플레이트(212) 상승시 녹업 플레이트(212)에 적재된 용지가 상기 용지분리부재와 접촉하여 구속되 기 전에 먼저 접촉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용지분리부재(231)는 소정 간격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충격완화부재(240)는 용지분리부재(231)가 상승할 수 있는 최고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충격완화부재(240)가 용지분리부재(231)가 상승할 수 있는 최상단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면, 녹업 플레이트(212)의 상승에 의해 녹업 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는 상기 용지분리부재(231)에 먼저 구속되기 때문이다. 충격완화부재(240)는 상기 용지와의 접촉시 일정량의 충격을 완화, 흡수하는 것이면 족하지만, 상승하는 용지와의 접촉시 어느 정도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탄성부재인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충격완화부재(240)에 의하여 녹업 플레이트(212)에 적재된 용지는 기존의 픽업롤러가 픽업 가능한 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올라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녹업 플레이트는 종래의 급지장치의 녹업플레이트보다 좀 더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픽업롤러(21, 22)는 미도시된 화상형성기기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상승한 용지와 접촉해 용지를 낱장으로 픽업하여 인쇄엔진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서브롤러(25, 26)는 상기 픽업롤러(21, 22)와 인접하게 설치되고, 픽업롤러(21, 22)와 같은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픽업롤러(21)와 서브롤러(2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롤러(25)는 그 회전반경이 픽업롤러(21)보다 작다. 또한, 서브롤러(2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픽업롤러(21)가 용지에 접촉하기 전에 먼저 용지에 접촉하기 위해, 그 일측이 픽업롤러(21)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픽업롤러(21)가 픽업할 용지와 접촉하기 전에, 서브롤러(25)는 먼저 상기 용지와 접촉하여 용지를 하부로 가압하게 된다. 서브롤러(25)는 용지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력을 가능한한 줄여야 하므로, 그 표면은 마찰계수가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그 자세한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도 4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급지장치(2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녹업 플레이트(212)에 다수의 용지가 적재된 후, 급지카세트 본체(210)를 화상형성기기 본체(미도시) 내부로 밀어넣으면, 하부후크(252)의 버튼(254)이 급지카세트 본체(210)의 내측으로 밀리면서 상부후크(251)가 하부후크(252)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홀딩장치(250)의 록킹구조는 풀리게 된다. 이때, 녹업 플레이트(212)는 스프링(211)의 힘에 의해 적재된 용지가 픽업롤러(25)에 의해 픽업될 수 있는 높이가 되도록 상승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충격완화부재(240)는 용지분리부재(231)가 상승할 수 있는 최상단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므로, 상기 녹업 플레이트(212)에 적재된 용지는 용지분리부재(231)에 구속되기 전에 충격완화부재(240)에 먼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충격완화부재(240)는 녹업 플레이트(212)의 상승시 적재된 용지와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용지를 고정하게 되어 기존에 용지와 용지분리부재(231)와의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게 되며, 또한 용지가 용지분리부재로(231)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승한 녹업 플레이트(212)에 적재된 용지는 픽업롤러(21)에 의해 차례로 픽업되는데 도 6 및 도 7은 이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픽업롤러(21)와 서브롤러(25)는 같은 축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상기 서브롤러(25)는 일측이 픽업롤러(21)보다 더 하부로 내려가 있다. 따라서, 픽업롤러(21)와 서브롤러(25)가 시계 방향으로 구동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롤러(25)가 먼저 용지와 접촉하게 되어 용지를 하부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녹업 플레이트(212)에 적재된 용지는 서브롤러(25)의 가압에 의해 상승한 처음의 위치보다 소정 간격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또한, 용지분리부재(231)도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므로, 용지의 움직임에 따라 처음의 용지와 접한 위치인 A 위치 에서 하강한 용지와 접한 위치인 B 위치로 내려가게 된다. 상기 용지부리부재(231)가 하강한 위치인 B 위치는 충격완화부재(240)의 위치보다 하부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롤러(25)에 의해 용지와 충격완화부재(240)의 접촉은 해제되어 픽업롤러(21)가 용지와 접촉할 때, 상기 용지와 충격완화부재(240)의 마찰력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롤러(25)는 용지와의 마찰력을 발생하기 않기 위해 표면이 마찰계수가 적을 수록 바람직하다.
서브롤러(25)에 의해 용지가 하강한 후, 서브롤러(25) 및 픽업롤러(21)가 시계방향으로 좀 더 회전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롤러(25)와 용지와의 접촉은 해제되고, 픽업롤러(21)가 용지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픽업롤러(21)와 용지 사이의 마찰에 의해 용지는 화살표(C)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때, 용지는 용지분리부재(231)에 접하여 용지분리부재(231)의 자체 하중에 의한 저항력을 받기 때문데,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그 선단 측 일부가 휘어져 굴곡되면서 하부의 용지와 분리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용지의 굴곡부에 발생되는 힘이 용지분리부재(231)의 하중보다 커지면 용지의 선단은 용지분리부재를 들어올리면서 용지분리부재(231)에서 튕겨져 나오게 된다. 이때, 굴곡된 용지는 후속 용지와 분리됨과 동시에 보다 원할하게 용지분리부재(231)에서 이탈되는 것이 중요한데, 상기 충격완화부재(240)는 상기 굴곡을 일으킨 용지를 상부에서 눌러주는 역할을 겸하게 되므로, 상기 굴곡된 용지가 용지분리부재(231)에서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돕는다. 그리고, 이탈된 용지는 화상형성기기의 본체에 구비되는 피딩롤러(미도시)에 의해 인쇄엔진측으로 피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급지장치는 상기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프린터 이외에 복사기, 팩시밀리, 복합기 등의 다른 화상형성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충격완화부재로 인해 녹업 플레이트의 상승시 용지가 용지분리부재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발생 가능한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충격완화 장치의 사용으로 달라진 위치 및 상태는 서브롤러의 작동으로 인해 원위치에 놓이게 되며 안정된 급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충격완화장치로 인해 급지할 용지가 용지분리부재에서 원할하게 이탈되어 용지를 원할하게 공급해주어 논피딩(Non-Feeding) 및 귀접힘(Dog Ear 현상)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5는 픽업롤러 및 서브롤러의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3의 급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22. 픽업롤러 25,26. 서브롤러
200. 급지장치 210. 급지카세트 몸체
212. 녹업 플레이트 213. 폭 조절 레버
221,222. 폭 조절판 231,232. 용지분리부재
241,242. 충격완화부재 250. 홀딩장치

Claims (6)

  1. 급지카세트 몸체;
    상기 급지카세트 몸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용지를 적재시키는 녹업 플레이트;
    상기 급지카세트 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폭 조절판;
    상기 폭 조절판에 소정 간격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용지분리부재; 및
    상기 폭 조절판에 설치되어 상기 녹업 플레이트의 상승에 의해 상기 용지와 접촉시 충격을 흡수, 완화하는 충격완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상기 용지분리부재가 상승할 수 있는 최고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녹업플레이트 상승시,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를 하나씩 분리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급지를 위해 상기 픽업롤러가 상기 용지와 접촉하기 전에 먼저 용지와 접촉하는 서브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롤러는,
    상기 픽업롤러와 동일한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롤러의 회전반경은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반경보다 작은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KR1020040027978A 2004-04-22 2004-04-22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KR20050102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978A KR20050102563A (ko) 2004-04-22 2004-04-22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978A KR20050102563A (ko) 2004-04-22 2004-04-22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563A true KR20050102563A (ko) 2005-10-26

Family

ID=37280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978A KR20050102563A (ko) 2004-04-22 2004-04-22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25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1122B2 (en) Paper-stopping mechanism of automatic document feeder
US7748699B2 (en) Return lever member, feed device,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US7591461B2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having a sheet-lifting mechanism
JP2008007327A (ja) 給送システム
US7681878B2 (en) Paper feed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543814B2 (en) Automatic paper feeding apparatus
KR100492083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카세트
KR20050102563A (ko)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KR100474435B1 (ko) 사무기기의 급지장치
KR101085931B1 (ko) 녹업 플레이트의 상승 제동 장치
JP4045221B2 (ja) 給紙装置
KR100299175B1 (ko) 용지기울음이방지되는프론트로딩타입자동낱장급지장치
US20160046456A1 (en) Printing medium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369995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228037Y1 (ko) 프린터의 용지 픽업장치
KR20180033722A (ko)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395535B1 (ko) 미스피딩 방지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
KR920004412Y1 (ko) 복사기의 용지 공급장치
KR200334915Y1 (ko) 화상형성장치의 경사급지트레이
JPH05270666A (ja) 給紙カセット
JP2004115168A (ja) 給紙装置
KR100243668B1 (ko) 화상형성장치 급지트레이의 분리조위치고정장치
KR20070025633A (ko) 인쇄매체 급지장치
JPS6331951A (ja) 給紙カセツト
JP2009161338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