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535B1 - 미스피딩 방지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미스피딩 방지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535B1
KR100395535B1 KR10-2001-0066848A KR20010066848A KR100395535B1 KR 100395535 B1 KR100395535 B1 KR 100395535B1 KR 20010066848 A KR20010066848 A KR 20010066848A KR 100395535 B1 KR100395535 B1 KR 100395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eeding
recording
recording pap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4992A (ko
Inventor
김준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6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53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4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18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sheet input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41J11/005Guides in the printing zone, e.g. guides for preventing contact of conveyed sheets with print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4Backings f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sheets for reducing friction, shields for preventing impr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41J29/023Framework with reduced dimension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일치하는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는 다수매의 기록용지를 적재하기 위한 용지적재부, 용지적재부로부터 기록용지를 본체 내부로 급지하기 위한 급지부, 급지부와 협력하여 기록용지를 본체 내부로 낱장씩 공급하기 위한 마찰패드, 및 용지적재부의 선단과 마찰패드 사이의 용지진행 경로에 기록용지에 대해 탄력적으로 승강 할 수 있도록 돌출 설치된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찰패드 앞쪽에 미스피딩방지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음으로, 급지시 겹장급지, 잼 등과 같은 기록용지의 급지에러를 방지하도록 기록용지를 가이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급지시 기록용지 및 급지롤러와의 마찰에 의해 모터가 과부하를 받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스피딩 방지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document feeding apparatus having a guide for mis-feeding prevention}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FAX 등과 같은 사무기기에 적용되는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 또는 복사시 겹장이송, 잼(jam) 등과 같은 기록용지의 급지에러를 방지하고 급지시 기록용지 및 급지롤러와의 마찰력을 흡수하는 미스피딩(mis-feeding)방지 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 프린터, FAX 와 같은 사무기기에 사용되는 급지장치는 기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급지 카세트, 또는 기기본체의 상면 또는 뒷면에 일체로 설치된 급지 트레이로 부터 기록용지를 낱장씩 기기본체쪽으로 급지하기 위하여, 기록용지를 급지하는 급지롤러 하부에 마찰패드(friction pad)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찰패드를 구비한 급지장치는 다수매의 기록용지를 급지 카세트 또는 급지 트레이에 적재하여 급지할 경우, 여러장, 즉 겹장의 기록용지가 한꺼번에 급지되는 등 에러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엽서 등과 같은 뚜꺼운 용지의 급지시에는 겹장이송, 잼 등의 에러가 자주 발생하여 다수매 적재 급지가 곤란하였다. 따라서, 마찰패드 앞쪽에서 기록용지를 가이드하여 겹장급지 및 잼과 같은 급지에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할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찰패드 앞쪽에서 겹장급지와 같은 급지에러를 방지하는 장치를 갖는 일반적인 급지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급지장치(10)는 기록용지(90)를 적재하기 위하여 상부쪽으로 개방된 급지 트레이를 구성하는 용지수용 프레임(112), 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기어(도시하지 않음), 축(32)에 의해 모터기어와 연결되고 급지기어(20)를 갖는 급지롤러(12), 급지롤러(12) 밑에서 가압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된 마찰패드(40), 급지기어(20)와 맞물리는 아이들기어(60), 용지수용 프레임(112)에 적재되는 기록용지(90)의 선단부 위쪽에 설치되고 아이들기어(60)와 맞물리는 픽업기어(80)를 갖는 픽업롤러(70)를 포함한다. 또한, 마찰패드(40) 앞쪽에 위치한 용지수용 프레임(112)의 부분에는 기록용지(90)를 가이드하여 겹장급지와 같은 미스피딩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용지걸림턱(12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급지장치(10)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모터기어는 축(32)을 통하여 급지롤러(12) 및 급지기어(20)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급지롤러(12)와 급지기어(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급지기어(20)와 맞물린 아이들기어(60)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픽업롤러(70)는 급지롤러(12)와 급지기어(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아이들기어(60)를 통해 전달되는 기어력에 의해 기록용지(90)와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아이들기어(60)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아이들기어(60)와 맞물린 픽업기어(80)와 픽업롤러(7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픽업롤러(7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픽업롤러(70)와 접촉된 기록용지(90)는 용지걸림턱(120) 쪽으로 전송된다.
이 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맨 위쪽에 위치한 기록용지(90)가 그 아래에 있는 기록용지들(90', 90")과 함께 동시에 급지되는 경우, 즉 겹장급지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위쪽 기록용지들(90, 90') 아래에 위치한 기록용지(90")는 기록용지들 사이의 접합력을 떨어뜨리는 용지걸림턱(120)에 걸려 1차로 급지가 정지되고, 위쪽에 위치한 기록용지(90, 90')만 급지롤러(12) 및 마찰패드(40) 쪽으로 급지된다. 용지걸림턱(120)을 통과한 기록용지(90, 90')가 급지롤러(12) 및 마찰패드(40)에 도달할 때, 맨 위쪽에 위치한 기록용지(90) 아래에 있는 기록용지(90')는 다시 마찰패드(40)에 의해 분리되어 2차로 급지가 정지되고, 맨 위쪽에 위치한 기록용지(90) 한장만 모터기어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급지롤러(12)에 의해 기기본체 내부로 급지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급지장치(10)는 용지걸림턱(120)을 사용 함으로써 여러장, 즉 겹장의 기록용지가 기기본체 내부로 급지되는 문제점이 많이 개선되기는 하였으나, 용지걸림턱(120)이 용지수용 프레임(112)에 확고하게 고정되어 급지롤러(12)와 밀접하게 돌출되어 있어, 겹장의 기록용지가 용지걸림턱(120)을 통과하여 마찰패드(40)까지 도달하는 경우나, 겹장의 기록용지에 의해 잼이 발생할 경우, 급지롤러(12)와 기록용지(90, 90'), 및 기록용지(90, 90')와 용지걸림턱(120) 사이에 과도한 마찰력이 발생하여 모터가 과부하를 받게 되고, 그에 따라 모터가 손상되어 기기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용지걸림턱(120)의 높이를 낮추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나, 이 경우는 용지걸림턱(120)과 급지롤러(12)사이의 간격을 밀접하게 유지하면 할 수록 분리급지 효과가 커진다는 관점에서 보면, 마찰패드(40)를 통하여 2차로 기록용지를 분리급지 하기는 하지만 겹장 급지를 방지하는 효과가 떨어져 용지걸림턱(120)의 실효성이 없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용지를 가이드하여 겹장급지 및 잼과 같은 기록용지의 급지에러를 확실하게 방지하도록 기록용지를 3차에 걸쳐 분리급지 함과 동시에 급지시 기록용지 및 급지롤러와의 마찰에 의해 모터에 과부하를 주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급지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급지장치의 급지동작을 예시하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일치하는 급지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급지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급지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급지장치 11: 급지부
12: 급지롤러 20: 급지기어
30: 모터기어 32: 축
40: 마찰패드 60: 아이들기어
70: 픽업롤러 80: 픽업기어
90, 90', 90", 90"': 기록용지 109: 미스피딩방지 가이드
110: 탄성판 111: 용지적재부
112: 용지수용 프레임 120, 122: 용지걸림턱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매의 기록용지를 적재하기 위한 용지적재부, 용지적재부로부터 기록용지를 본체 내부로 급지하기 위한 급지부, 및 급지부와 협력하여 기록용지를 본체 내부로 낱장씩 공급하기위한 마찰패드를 포함하는 프린터, 복사기, FAX 와 같은 사무기기에 사용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용지적재부의 선단과 마찰패드 사이의 용지진행 경로상에 기록용지에 대해 탄력적으로 승강 할 수 있도록 돌출 설치되어, 기록용지의 급지에러를 방지 하도록 기록용지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기록용지의 급지시 기록용지 및 급지부와의 과도한 마찰을 흡수하는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는 급지부의 폭과 대응하는 본체의 프레임의 부분에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탄성판으로 구성된다. 탄성판은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는 탄성판과 협력하여 기록용지를 분리급지하는것을 돕기 위하여, 용지적재부의 선단과 마찰패드 사이의 용지진행 경로에서 급지부의 폭과 대응하는 본체의 프레임의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기록용지에 대해 돌출하도록 형성된 용지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급지부는 픽업기어를 구비하는 기록용지를 용지적재부로 부터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 급지기어를 구비하는 기록용지를 본체 내부로 급지하기 위한 급지롤러, 및 급지기어의 회전력을 픽업기어에 전달하기 위한 아이들기어를 포함한다.
또한, 용지적재부는 본체의 상면 또는 뒷면에 일체로 설치된 급지 트레이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용지적재부는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급지 카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일치하는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를 첨부 도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프린터와 같은 사무기기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일치하는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100)는 다수매의 기록용지(90)를 적재하기 위한 용지적재부(111), 용지적재부(111)로부터 기록용지(90)를 본체 내부로 급지하기 위한 급지부(11), 급지부(11)와 협력하여 기록용지(90)를 본체 내부로 낱장씩 공급하기위한 마찰패드(40), 및 용지적재부(111)의 선단과 마찰패드(40) 사이에서 기록용지(90)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승강 할 수 있도록 설치된 미스피딩방지 가이드(109)를 포함 한다.
용지적재부(111)는 기록용지(90)를 적재하기 위해 위쪽으로 개방된 급지 트레이를 형성하도록 기기본체의 뒷부분에서 기기본체와 일체로 설치된 용지수용 프레임(112)으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용지적재부는 기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 카세트(도시하지 않음)와 급지 카세트를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된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급지부(11)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기어(30), 축(32)에 의해 모터기어(30)와 연결되고 급지기어(20)를 갖는 급지롤러(12), 급지기어(20)와 맞물리는 아이들기어(60), 및 용지수용 프레임(112)에 적재되는 기록용지(90)의 선단부 위쪽에 설치되고 아이들기어(60)와 맞물리는 픽업기어(80)를 갖는 기록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70)로 구성된다. 따라서, 모터에 의해 모터기어(30)에 전달된 회전력은 축(32)와 급지기어(20)를 통해 급지롤러(12)에 전달됨과 동시에, 축(32), 급지기어(20), 아이들기어(60) 및 픽업기어(80)를 통해 픽업롤러(70)에 전달된다.
미스피딩방지 가이드(109)는 기록용지(90)가 최초 적재된 위치의 용지적재부(111)의 선단과 마찰패드(40) 사이에서 급지부(11)의 폭과 대응하는 용지수용 프레임(112)의 부분상에 경사지게 형성된 탄성판(110)으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판(110)은 기록용지(90, 90', 90", 90"')가 픽업롤러(70)에 의해 급지롤러(12) 및 마찰패드(40) 쪽으로 이송될 때, 맨 위쪽에 위치한 기록용지(90)를 제외한 기록용지들(90', 90", 90"')이 최대한 걸려서 1차로 급지가 정지되도록 기록용지들(90, 90', 90", 90"')이 최초 적재된 용지수용 프레임(112)의 선단위치에서부터 급지부(11)의 급지롤러(12)까지 위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탄성판(110)은 기록용지의 급지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선단이 수평을 이루는 판(sheet) 형태로 용지수용 프레임(11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선단을 수평으로 구성하지 않거나, 별도의 판 형태의 탄성판을 용지수용 프레임(112)에 승강할 수 있게 부착하는 것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판(110)은 겹장급지 및 잼과 같은 기록용지(90, 90', 90", 90"')의 급지에러를 방지 하도록 기록용지(90, 90', 90", 90"')를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기록용지(90, 90', 90", 90"')의 겹장급지시 상하로 승강하여 기록용지(90) 및 급지롤러(12)와의 과도한 마찰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탄성판(110)은 종래의 급지장치(10)의 용지걸림턱(120) 보다 급지롤러(12)에 더 가깝게 설치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급지에러 방지효과가 더욱 증강된다.
미스피딩방지 가이드(109)는 탄성판(110)과 협력하여 겹장급지 및 잼과 같은 급지에러를 방지하기 위해 급지부(11)의 폭과 대응하는 기기 본체의 용지수용 프레임(112)의 부분을 제외한 부분, 즉 급지부(11)의 양사이드에 대응하는 용지수용 프레임(112)의 부분에 형성된 용지걸림턱(122)을 더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걸림턱(122)은 겹장의 기록용지 급지로 인해 탄성판(110)이 아래로 하강하였을 때, 기록용지들(90, 90',90")의 중간부분을 위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1차로 분리급지하는 탄성판(110)과 협력하여, 맨 위쪽 기록용지(90)를 제외한 기록용지(90',90")의, 급지롤러(12)의 양사이드에 위치한 부분을 최대한 걸리게 하여 2차로 급지를 정지하도록, 탄성판(110)의 선단의 높이보다 조금 낮은 레벨로 돌출된다. 이 때, 용지걸림턱(122)은 기록용지들(90, 90',90")을 급지롤러(12)에 대해 가압하여 마찰력을 발생하지 않도록 급지롤러(12)로부터 충분히 이격하여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용지걸림턱(122)의 높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판(110)의 선단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레벨, 즉 모터 과부하 문제를 일으키는 종래의 용지걸림턱(120)의 높이 보다 높은 레벨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판(110)은, 겹장급지로 인한 마찰력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아래로 하강될 때, 용지걸림턱(122)의 높이 보다 낮은 레벨까지 하강될 수 있지만, 용지걸림턱(122)이 급지롤러(12)의 범위 밖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큰 마찰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용지걸림턱(122)은 용지수용 프레임(112)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별도의 걸림턱을 용지수용 프레임(112)에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급지롤러(12) 밑에서 가압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된 마찰패드(40)는 기록용지를 낱장씩 공급하기 위하여, 탄성판(110) 및 용지걸림턱(122)을 통과한 기록용지(90, 90') 중 맨 위쪽 기록용지(90) 아래에 위치한 기록용지(90')를 3차, 즉 최종적으로 분리하여 맨 위쪽 기록용지(90) 한장만 기기본체 내부로 급지하는 역할을 한다.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100)의 작용을 도 3, 도 4 및 도 5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모터기어(30)는 축(32)을 통하여 급지롤러(12) 및 급지기어(20)에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급지롤러(12)와 급지기어(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급지기어(20)와 맞물린 아이들기어(60)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픽업롤러(70)는 급지롤러(12)와 급지기어(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아이들기어(60)를 통해 전달되는 기어력에 의해 기록용지(90)와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아이들기어(60)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아이들기어(60)와 맞물린 픽업기어(80) 및 픽업롤러(7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픽업롤러(7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픽업롤러(70)와 접촉된 기록용지(90)는 미스피딩방지 가이드(109) 쪽으로 이송된다.
이 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맨 위쪽에 위치한 기록용지(90)가 그 아래에 있는 기록용지들(90', 90", 90"')과 함께 동시에 급지되는 경우, 즉 겹장급지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맨 위쪽 기록용지(90) 및 그 아래에 위치한 기록용지들(90', 90", 90"')은 기록용지들 사이의 접합력을 떨어뜨리는 미스피딩방지 가이드(109)의 탄성판(110)과 접촉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일부 기록용지(90"')가 1차적으로 탄성판(110)에 걸려 급지가 정지되고, 그 위쪽에 위치한 기록용지들(90, 90', 90")만 급지롤러(12) 쪽으로 급지된다.
기록용지들(90, 90', 90")이 탄성판(110)을 거의 통과할 때, 맨 위쪽 기록용지(90) 및 그 아래에 위치한 기록용지(90')가 급지롤러(12)와 접촉하면서 마찰력을 발생함에 따라, 탄성판(110)은 급지부(11)의 급지롤러(12)의 양사이드에 위치한 용지걸림턱(122)과 동일한 레벨까지 미소하게 하강하게 된다. 이 때, 겹장급지에의한 기록용지와 급지롤러(12)의 마찰력이 심할 경우, 탄성판(11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걸림턱(122)의 레벨 아래로 더 하강될 수도 있다. 따라서, 기록용지들(90, 90') 아래에 위치한 기록용지(90")는 중간부분이 탄성판(110)에 접촉된 상태에서 급지롤러(12) 양사이드에 위치한 부분이 용지 걸림턱(122)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급지용지(90")는 기록용지들(90, 90')과의 접착력이 떨어져 2차로 급지가 정지된다.
이와 같이, 탄성판(110)과 기록용지 걸림턱(122)을 통과한 기록용지(90, 90')는, 2차로 분리급지가 되면서도 급지롤러(12)와의 마찰력이 탄성판(110)에 의해 대부분 흡수됨으로, 모터에 과부하를 줌이 없이 마찰패드(40) 쪽으로 이송된다.
기록용지(90, 90')가 마찰패드(40)에 도달하면, 이들 기록용지(90, 90')중 아래쪽에 위치한 기록용지(90')는 다시 마찰패드(40)에 의해 3차, 즉 최종적으로 분리되어 급지가 정지되고, 맨 위쪽에 위치한 기록용지(90) 한장만 모터기어(3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급지롤러(12)에 의해 기기본체 내부로 급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일치하는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는 급지시 겹장급지 및 잼과 같은 기록용지의 급지에러를 확실하게 방지하도록 기록용지를 3차에 걸쳐 분리급지 할 뿐 아니라, 기록용지 및 급지롤러와의 마찰에 의해 모터에 과부하를 주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모터의 손상 및 기기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다수매의 기록용지를 적재하기 위한 용지적재부, 상기 용지적재부로부터 기록용지를 본체 내부로 급지하기 위한 급지부, 및 상기 급지부와 협력하여 기록용지를 상기 본체 내부로 낱장씩 공급하기 위한 마찰패드를 포함하는 프린터, 복사기, FAX 와 같은 사무기기에 사용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부의 선단과 상기 마찰패드 사이의 용지진행 경로상에 기록용지에 대해 탄력적으로 승강 할 수 있도록 돌출 설치되어, 기록용지의 급지에러를 방지 하도록 기록용지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기록용지의 급지시 기록용지 및 상기 급지부와의 과도한 마찰을 흡수하는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는 상기 급지부의 폭과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프레임의 부분에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탄성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은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
  4. 제 2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는 상기 탄성판과 협력하여 기록용지를 분리급지 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상기 용지적재부의 선단과 상기 마찰패드 사이의 상기 용지진행 경로에서 상기 급지부의 상기 폭과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상기 프레임의 상기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기록용지에 대해 돌출하도록 형성된 용지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부는 픽업기어를 구비하는 기록용지를 상기 용지적재부로 부터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 급지기어를 구비하는 기록용지를 상기 본체 내부로 급지하기 위한 급지롤러, 및 상기 급지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픽업기어에 전달하기 위한 아이들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부는 상기 본체에 일체로 설치된 급지 트레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부는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급지 카세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피딩방지 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
KR10-2001-0066848A 2001-10-29 2001-10-29 미스피딩 방지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 KR100395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848A KR100395535B1 (ko) 2001-10-29 2001-10-29 미스피딩 방지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848A KR100395535B1 (ko) 2001-10-29 2001-10-29 미스피딩 방지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992A KR20030034992A (ko) 2003-05-09
KR100395535B1 true KR100395535B1 (ko) 2003-08-25

Family

ID=2956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848A KR100395535B1 (ko) 2001-10-29 2001-10-29 미스피딩 방지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5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722A (ko) * 2016-09-26 2018-04-04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2131A (ja) * 1989-04-21 1990-11-19 Nec Corp 給紙機構
JPH07228373A (ja) * 1994-02-15 1995-08-29 Canon Inc シート材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00018136U (ko) * 1999-03-13 2000-10-16 우석형 화상형성장치의 원고 분리급지장치
JP2000296933A (ja) * 1999-04-12 2000-10-24 Riso Kagaku Corp 給紙装置
JP2001139191A (ja) * 1999-11-12 2001-05-22 Nec Home Electronics Ltd 自動給紙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2131A (ja) * 1989-04-21 1990-11-19 Nec Corp 給紙機構
JPH07228373A (ja) * 1994-02-15 1995-08-29 Canon Inc シート材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00018136U (ko) * 1999-03-13 2000-10-16 우석형 화상형성장치의 원고 분리급지장치
JP2000296933A (ja) * 1999-04-12 2000-10-24 Riso Kagaku Corp 給紙装置
JP2001139191A (ja) * 1999-11-12 2001-05-22 Nec Home Electronics Ltd 自動給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992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8230A2 (en) Printing medium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3692129B2 (ja) 給紙カセットの用紙分離ガイド,印刷装置の給紙カセット,印刷装置,及び用紙搬送装置
US7530563B2 (en) Paper-feeding mechanism of automatic document feeder
US20070001374A1 (en) Paper feeding device and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332499B1 (ko) 로울러의구동전달기구
JP4127288B2 (ja) 用紙搬送装置
US5931455A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two side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JP511654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03513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記録装置
JP5094366B2 (ja) シート給送装置
US8860958B2 (en) Sheet conveyer devices, image reading apparatuses, and image forming apparatuses
KR100395535B1 (ko) 미스피딩 방지가이드를 갖는 급지장치
US5938188A (en) Sheet feeding apparatus with adjustment of pressure between sheet convey means and sheet separation member
JP3679652B2 (ja) 自動給紙装置及び記録装置
KR100492107B1 (ko) 능동 용지분리 장치를 갖는 사무기기의 급지장치
KR100644659B1 (ko) 녹업플레이트의 선단부에 용지가이드부가 마련된용지급지장치
JPH0324515Y2 (ko)
JP2023100339A (ja) シート給送装置
US7023590B2 (en) Paper feeding apparatus
JP3554256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03511A (ja) 画像読取記録装置
JP2005320133A (ja) 用紙供給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JP2009083966A (ja) 自動給紙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06115748A (ja) 自動給紙装置
JP3254670B2 (ja) 自動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