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1981A - 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1981A
KR20050101981A KR1020040027236A KR20040027236A KR20050101981A KR 20050101981 A KR20050101981 A KR 20050101981A KR 1020040027236 A KR1020040027236 A KR 1020040027236A KR 20040027236 A KR20040027236 A KR 20040027236A KR 20050101981 A KR20050101981 A KR 20050101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her
cushion
tethers
deploymen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1981A/ko
Publication of KR20050101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98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3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02Containers; Seals
    • H01L23/04Containers; Sea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or parts, e.g. caps, w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는 쿠션의 내부에 전개방향으로 복수개의 테더가 각각 설치되되, 서로 길이가 상이하도록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테더 중 가장 긴 테더를 제외한 나머지 테더들이 각각 상기 쿠션의 전개압력이 커짐에 따라 순차적으로 절단되기 때문에 상기 쿠션이 다단계로 전개됨으로써 아웃 오브 포지션(Out Of Position, OOP) 문제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백장치{Air-bag Module}
본 발명은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쿠션을 다단계로 전개시킬 수 있는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조수석과 대향되게 설치되고 에어백 하우징(2)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2)의 뒤쪽에 설치되어 충돌사고 발생시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4)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2)의 앞쪽에 수납되어 가스가 채워지면 조수석을 향해 전개되는 쿠션(6)으로 구성되어, 충돌사고시 상기 쿠션(6)이 승객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함으로써 승객을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한다.
한편, 상기 쿠션(6)의 내부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쿠션(6)의 전개길이를 결정하는 테더(10)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장치는 상기 테더(10)에 의해 상기 쿠션(6)의 전개길이가 제한되지만 상기 테더(10)가 완전히 펼쳐질 때까지, 즉 초기 전개시 상기 쿠션(6)이 급속도로 전개되므로 체구가 작거나 에어백장치 측으로 쏠려 있는 승객 등 기 설정의 보호 영역 밖, 즉 아웃 오브 포지션(Out Of Position, OOP) 승객의 경우 타격을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는 상기 아웃 오브 포지션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승객의 유형에 따라 상기 쿠션(6)의 전개력을 다단으로 제어하고 있는데,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테더(10)가 완전히 펼쳐질 때까지 상기 쿠션(6)의 전개길이가 구속되지 때문에 효과가 미비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테더를 다단으로 펼쳐지도록 구비하여 아웃 오프 포지션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에어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는 충돌 사고시 전개유체에 의해 부풀면서 전개되는 쿠션과; 상기 쿠션의 내부에 전개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개의 테더와; 상기 테더가 상기 쿠션의 전개압력에 따라 길이가 짧은 테더부터 순차적으로 절단되게 하는 테더 절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장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조수석과 대향되게 설치되고 에어백 하우징(50)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50)의 뒤쪽에 설치되어 충돌사고 발생시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52)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50)의 앞쪽에 수납되어 가스가 채워지면 부풀면서 조수석을 향해 전개되는 쿠션(54)과, 상기 쿠션(54)의 내부에 전개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개의 테더(60)와, 상기 테더(60)가 상기 쿠션(54)의 전개압력에 따라 길이가 짧은 테더부터 순차적으로 절단되게 하는 테더 절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테더(60)는 각각 일정 길이의 띠 형상을 갖도록 직물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쿠션(54)의 전개단계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쿠션(54)이 총 4단계로 전개되도록 설계할 경우, 상기 테더(60)는 상기 쿠션(54)으로 가스가 유입되는 상기 쿠션(54)의 입구(54a)에서부터 상기 쿠션(54)의 전개방향(화살표 A)으로, 상기 쿠션(54)이 각 전개 단계마다 일정 길이까지만 전개될 수 있도록 길이가 짧은 순으로 제1,2,3,4테더(60a,60b,60c,60d)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테더(60) 중 가장 긴 테더(60d)는 상기 쿠션(54)이 완전한 형상으로 만개될 때, 상기 쿠션(54)의 전개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테더(60)는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쿠션(54)이 한 테더(60b)에 의해 구속될 때 이 테더(60b)보다 길이가 짧은 테더(60a)는 절단된 상태이고 이 테더(60b)보다 길이가 긴 테더(60c, 60d)는 덜 펼쳐져서 일정 각도로 절곡된 상태이도록, 상기 복수개의 테더(60)의 끝단이 서로 겹쳐져서 함께 상기 쿠션(54)에 봉제된다.
상기 테더 절단수단은 상기 테더(60) 중 어느 하나(60b)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쿠션(54)의 전개압력이 더 커지면, 완전히 펼쳐져 있는 테더(60b)가 용이하게 찢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더(60)에 형성된 테어 라인(tear line)(62)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테더(60) 중 가장 긴 테더(60d)는 상기 쿠션(54)의 만개시 전개길이를 제한하므로 상기 테어 라인(62)은 상기 테더(60) 중 가장 긴 테더(60d)에는 형성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테어 라인(62)은 상기 테더(60)가 총 4개로 구비된 경우, 상기 제1,2,3테더(60a)에 각각 형성된 제1,2,3테어 라인(62a,62b,62c)으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충돌사고가 발생되면, 상기 인플레이터(52)로부터 고압의 가스가 분출되어 상기 쿠션(54)에 유입되고, 상기 쿠션(54)이 고압의 가스가 유입됨에 따라 승객을 향해 전개되어 완충작용에 의해 승객을 충격으로 보호한다.
상기와 같은 쿠션(54)이 일 예로써 4단계 전개될 경우, 그 전개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쿠션(54)은 상기 제1테더(60a)가 완전히 펼쳐질 때까지 1단계 전개된 후, 상기 제1테더(60a)에 의해 전개길이가 구속된다. 물론, 상기 쿠션(54)은 전개길이가 구속될 뿐이므로 고압의 가스가 유입됨에 따라 상하, 좌우방향으로 넓게 부푼다.
이 때, 상기 쿠션(54)의 전개압력이 점점 커짐에 따라 상기 제1테더(60a)가 제1테어 라인(62a)을 기준으로 찢어지면서 상기 쿠션(54)의 전개압력을 흡수하여 상기 쿠션(54)의 전개를 일시적으로 제한한다.
상기 제1테더(60a)가 완전히 찢어지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54)은 상기 제2테더(60b)가 완전히 펼쳐질 때까지 2단계 전개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쿠션(54)의 전개압력이 커짐에 따라 상기 쿠션(54)이 제3테더(60c), 제4테더(60d)가 완전히 펼쳐질 때까지 제3단계, 제4단계 전개된다(도 3c, 도 2참조).
여기서, 상기 쿠션(54)이 상기 제4테더(60d)가 완전히 펼쳐질 때까지 전개되면, 상기 쿠션(54)이 최종적으로 4단계까지만 전개되도록 상기 쿠션(54)의 전개압력이 기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4테더(60d)는 찢어지지 않도록 견고히 만들어지기 때문에 상기 쿠션(54)은 더 이상 전개되지 않고 전개과정이 완료된다.
물론, 승객의 유형에 따라 상기 쿠션(54)의 최종 전개력이 다단으로 제어된 경우, 상기 쿠션(54)이 제1단계 또는 제2단계, 제3단계까지만 전개되었더라도 더 이상 전개력이 커지지 않으면 상기 제1테더(60a) 또는 제2테더(60b), 제3테더(60c)는 찢어지지 않고 상기 쿠션(54)의 전개과정은 다음 단계로 전개되지 않은 체 완료된다.
이하, 기술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은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기술적 사상 및 기본 구조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면부호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100)의 내부에 전개방향으로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개의 테더(102), 즉 제1,2,3,4테더(102a,102b,102c,102d)가 설치되어 각각 상기 쿠션(100)의 전개길이를 제한하고, 상기 쿠션(100)이 전개압력이 커짐에 따라 다단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테더 절단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테더 절단수단은 상기 테더(102) 중 가장 긴 테더인 제4테더(102d)가 상기 쿠션(100)에 직접 봉제되어 결합되고, 제4테더(102d)에 나머지 테더(102a,102b,102c)들이 전개압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뜯어질 수 있도록 봉제(104a,104b,104c)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쿠션(100)은 먼저 가장 짧은 상기 제1테더(102a)가 완전히 펼쳐질 때까지 1단계 전개되고, 상기 제1테더(102a)의 봉제(104a)가 뜯어질 때까지 일시적으로 정지되며,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2,3,4단계로 전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장치에 있어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150)의 내부에 전개방향으로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개의 테더(152), 즉 제1,2,3,4테더(152a,152b,152c,152d)가 설치되어 각각 상기 쿠션(150)의 전개길이를 제한하고, 상기 쿠션(150)이 전개압력이 커짐에 따라 다단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테더 절단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테더 절단수단은 상기 테더(152) 중 가장 긴 테더인 제4테더(152d)가 상기 쿠션(150)에 직접 봉제되어 결합되고, 길이가 짧은 순으로 나머지 테더(152a,152b,152c)들이 그 다음 길이의 테더에 전개압력에 따라 뜯어질 수 있도록 봉제(154a,154b,154c)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테더(152a)가 제2테더(152b)에 봉제(154a)되고, 상기 제2테더(152b)가 제3테더(152c)에 봉제(154b)되며, 제3테더(152c)가 제4테더(152d)에 봉제(154c)된다.
따라서, 상기 쿠션(150)은 먼저 가장 짧은 상기 제1테더(152a)가 완전히 펼쳐질 때까지 1단계 전개되고, 상기 제1테더(152a)의 봉제(154a)가 뜯어질 때까지 일시적으로 정지되며,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2,3,4단계로 전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는 쿠션의 내부에 전개방향으로 복수개의 테더가 각각 설치되되, 서로 길이가 상이하도록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테더 중 가장 긴 테더를 제외한 나머지 테더들이 각각 상기 쿠션의 전개압력이 커짐에 따라 순차적으로 절단되기 때문에 상기 쿠션이 다단계로 전개됨으로써 아웃 오브 포지션(Out Of Position, OOP) 문제를 크게 개선할 수 있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에어백 하우징 52 : 인플레이터
54 : 쿠션 60 : 테더
62 : 테어 라인

Claims (6)

  1. 충돌 사고시 전개유체에 의해 부풀면서 전개되는 쿠션과; 상기 쿠션의 내부에 전개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개의 테더와; 상기 테더가 상기 쿠션의 전개압력에 따라 길이가 짧은 테더부터 순차적으로 절단되게 하는 테더 절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테더는 서로의 끝단이 함께 상기 쿠션에 봉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 절단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더에 형성된 테어 라인(tear line)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 라인은 가장 긴 테더를 제외한 나머지 테더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 절단수단은 가장 긴 테더가 상기 쿠션에 결합되고, 가장 긴 테더에 나머지 테더가 전개압력에 따라 뜯어질 수 있도록 봉제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 절단수단은 가장 긴 테더가 상기 쿠션에 결합되고, 길이가 짧은 순으로 어느 한 테더가 그 다음 길이의 테더에 전개압력에 따라 뜯어질 수 있도록 봉제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
KR1020040027236A 2004-04-20 2004-04-20 에어백장치 KR20050101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236A KR20050101981A (ko) 2004-04-20 2004-04-20 에어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236A KR20050101981A (ko) 2004-04-20 2004-04-20 에어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981A true KR20050101981A (ko) 2005-10-25

Family

ID=3728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236A KR20050101981A (ko) 2004-04-20 2004-04-20 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19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3645A (zh) * 2014-03-25 2015-09-30 福特全球技术公司 形状自适应的乘客安全气囊
CN114771455A (zh) * 2022-04-24 2022-07-2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安全气囊气袋、汽车安全气囊及车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3645A (zh) * 2014-03-25 2015-09-30 福特全球技术公司 形状自适应的乘客安全气囊
CN114771455A (zh) * 2022-04-24 2022-07-2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安全气囊气袋、汽车安全气囊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3550B2 (en) Knee airbag and method of folding the same
JP4848141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6430652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196530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8672349B2 (en) Airbag
JP7286867B2 (ja) 周囲エアバッグアセンブリ
US8789849B2 (en) Dual depth airbag
US8888128B1 (en) Airbag for vehicle
JP483649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608551B2 (ja) 自動車用サイド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4579079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20050121888A1 (en) Side airbag apparatus
JP4928609B2 (ja) 車両用拘束システム
WO2023087867A1 (zh) 行人安全气囊和车辆
US20100171295A1 (en) Driver&#39;s air bag
KR20050101981A (ko) 에어백장치
CN101462529A (zh) 膝盖气囊以及折叠气囊的方法
KR20070042262A (ko) 운전석 에어백 쿠션 구조
KR102352415B1 (ko)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20174892A1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557325B1 (ko) 에어백장치
JP6385161B2 (ja) 車両のサイドエアバッグ設計方法
JP2022155728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654679B1 (ko) 차량의 에어백 장치
KR100947995B1 (ko) 자동차용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