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1630A -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1630A
KR20050101630A KR1020040026694A KR20040026694A KR20050101630A KR 20050101630 A KR20050101630 A KR 20050101630A KR 1020040026694 A KR1020040026694 A KR 1020040026694A KR 20040026694 A KR20040026694 A KR 20040026694A KR 20050101630 A KR20050101630 A KR 20050101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wafer
wafer
transfer arm
semiconductor
flat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병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6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1630A/ko
Publication of KR20050101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63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7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inner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0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반도체 제조공정중 임의의 선후(先後) 공정이 진행되는 두 공정장치간에 반도체 웨이퍼를 이송시키는 트랜스퍼 암(transfer arm)과, 그 트랜스퍼 암에 설치되어 그 반도체 웨이퍼의 플랫존(flat zone)을 정렬시키는 플랫존 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반도체 웨이퍼가 트랜스퍼 암에 의하여 이송되는 도중에 반도체 웨이퍼의 플랫존이 정렬되므로, 반도체 웨이퍼의 이송시간이 단축되어 반도체 제조공정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of semiconductor fabrication process}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공정장치에서 제2공정장치로 반도체 웨이퍼를 이송시키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소자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반도체 웨이퍼는 박막증착공정, 식각공정, 노광공정 등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공정들이 끊임없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웨이퍼를 각 공정간에 이송시켜주는 장치가 필요한데,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치가 웨이퍼 핸들링장치이다.
도 1은 종래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웨이퍼 핸들링장치(10)는 제1 및 제2핸들링 로봇(11)(12), 플랫존 정렬부(13) 및 웨이퍼 버퍼부(buffer 部)(14)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웨이퍼 핸들링 장치가 반도체 웨이퍼를 이송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제1핸들링 로봇(11)은 스피너(spinner)와 같은 제1공정장치(1)에서 반도체 웨이퍼(W)를 언로딩한후 반도체 웨이퍼(W)를 이송하여 플랫존 정렬부(13)에 로딩시킨다. 플랫존 정렬부(13)는 반도체 웨이퍼(W)의 플랫존(flat zone)이 소정의 방향에 놓이도록 반도체 웨이퍼(W)를 정렬시킨다. 제2핸들링 로봇(12)은 정렬된 반도체 웨이퍼(12)를 플랫존 정렬부(13)에서 언로딩시킨후 반도체 웨이퍼(W)를 이송하여 노광챔버와 같은 제2공정장치(2)에 로딩시킨다.
제2공정장치(2)에서 소정의 제조공정이 종료되면, 제2핸들링 로봇(12)이 반도체 웨이퍼(W)를 제2공정장치(2)에서 언로딩시킨후 반도체 웨이퍼(W)를 이송하여 웨이퍼 버퍼부(14)에 로딩시킨다. 제1핸들링 로봇(11)은 웨이퍼 버퍼부(14)에서 반도체 웨이퍼(W)를 언로딩시킨후 반도체 웨이퍼(W)를 이송하여 제1공정장치(1)에 로딩시킨다.
그러나, 종래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종래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반도체 웨이퍼의 이동경로가 『제1공정장치-제1핸들링 로봇-플랫존 정렬부-제2핸들링 로봇-제2공정장치-제2핸들링 로봇-웨이퍼 버퍼부-제1핸들링 로봇-제1공정장치』로서 매우 복잡한 이동 단계를 거치므로, 반도체 웨이퍼의 이송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반도체 제조공정의 신속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의 이송시간이 단축되도록 개선된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는, 반도체 웨이퍼에 대한 제1 및 제2반도체 제조공정이 각각 실시되는 제1 및 제2공정장치 사이에 인라인 배치되면서 그 제1공정장치와 그 제2공정장치간에 그 반도체 웨이퍼를 이송시키는 트랜스퍼 암(transfer arm)과, 그 트랜스퍼 암에 설치되어 그 반도체 웨이퍼의 플랫존을 정렬시키는 플랫존 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 플랫존 정렬부는 그 반도체 웨이퍼의 플랫존을 감지하는 플랫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 트랜스퍼 암에 적재된 그 반도체 웨이퍼의 상면 또는 하면의 법선방향으로 그 트랜스퍼 암을 승강시키는 트랜스퍼암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 트랜스퍼 암은, 그 반도체 웨이퍼를 지지하는 웨이퍼 적재대와, 그 웨이퍼 적재대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와, 그 지지대를 회동시키는 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웨이퍼 핸들링 장치(30)는 트랜스퍼 암(transfer arm)(31), 플랫존 정렬부(35) 및 트랜스퍼암 승강부(36)를 포함한다.
트랜스퍼 암(31)은 관절부(32), 지지대(33) 및 웨이퍼 적재대(34)를 포함한다. 관절부(32)는 지지대(33)를 회동시키고, 지지대(33)는 관절부(32) 사이에 배치되며, 웨이퍼 적재대(34)는 트랜스퍼 암(31)의 끝부분에 위치하여 반도체 웨이퍼(W)를 중력방향에 대해 지지한다. 트랜스퍼 암(31)은 반도체 웨이퍼에 대한 제1 및 제2반도체 제조공정이 각각 실시되는 제1 및 제2공정장치(1)(2) 사이에 인라인 배치되면서 상기 제1공정장치와 상기 제2공정장치간에 상기 반도체 웨이퍼를 이송시킨다. 여기서 제1 및 제2공정장치(1)(2)는 각각 스피너(spinner) 및 노광(露光)장치가 될 수도 있다.
플랫존 정렬부(35)는 트랜스퍼 암(31)의 웨이퍼 적재대(34) 부근에 설치되어 웨이퍼 적재대(34)에 적재된 반도체 웨이퍼(W)의 플랫존(flat zone)을 정렬시킨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플랫존 정렬부(35)는 반도체 웨이퍼(W)를 회전시키는 웨이퍼회전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고, 웨이퍼 적재대(34)에는 반도체 웨이퍼(W)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웨이퍼 회전부(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플랫존 정렬부(35)는 반도체 웨이퍼(W)의 플랫존을 감지하는 플랫존 감지센서(35a)를 포함한다. 플랫존 감지센서(35a)에 의하여 반도체 웨이퍼(W)의 플랫존이 소정의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된다. 따라서, 플랫존 정렬부가 트랜스퍼 암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반도체 웨이퍼가 트랜스퍼 암에 의하여 이송되는 도중에 반도체 웨이퍼의 플랫존이 정렬되어 반도체 웨이퍼의 이송시간이 단축된다.
트랜스퍼암 승강부(36)는, 도 3에서와 같이, 웨이퍼 적재대(34)에 적재된 반도체 웨이퍼(W)의 상면 또는 하면의 법선방향(P)으로 트랜스퍼 암(31)을 승강시킨다. 따라서, 반도체 웨이퍼가 웨이퍼 캐리어(wafer carrier) 등에 의해 복수 층으로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도 반도체 웨이퍼를 효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과 수정 및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는, 반도체 웨이퍼를 이송시키는 트랜스퍼 암(transfer arm)과 그 트랜스퍼 암에 설치된 플랫존 정렬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써, 반도체 웨이퍼가 트랜스퍼 암에 의하여 이송되는 도중에 반도체 웨이퍼의 플랫존이 정렬되므로, 반도체 웨이퍼의 이송시간이 단축되어 반도체 제조공정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제1 및 제2공정장치 30: 웨이퍼 핸들링장치
31: 트랜스퍼 암 32: 관절부
33: 지지대 34: 웨이퍼 적재대
35: 플랫존 정렬부 36: 트랜스퍼암 승강부

Claims (4)

  1. 반도체 웨이퍼에 대한 제1 및 제2반도체 제조공정이 각각 실시되는 제1 및 제2공정장치 사이에 인라인 배치되면서 상기 제1공정장치와 상기 제2공정장치간에 상기 반도체 웨이퍼를 이송시키는 트랜스퍼 암(transfer arm)과,
    상기 트랜스퍼 암에 설치되어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플랫존을 정렬시키는 플랫존 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존 정렬부는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플랫존을 감지하는 플랫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암에 적재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상면 또는 하면의 법선방향으로 상기 트랜스퍼 암을 승강시키는 트랜스퍼암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암은,
    상기 반도체 웨이퍼를 지지하는 웨이퍼 적재대와, 상기 웨이퍼 적재대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회동시키는 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
KR1020040026694A 2004-04-19 2004-04-19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 KR20050101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694A KR20050101630A (ko) 2004-04-19 2004-04-19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694A KR20050101630A (ko) 2004-04-19 2004-04-19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630A true KR20050101630A (ko) 2005-10-25

Family

ID=3728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694A KR20050101630A (ko) 2004-04-19 2004-04-19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16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302B1 (ko) * 2010-10-04 2012-01-1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Sem의 시료 스테이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302B1 (ko) * 2010-10-04 2012-01-1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Sem의 시료 스테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720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CN108028218B (zh) 衬底搬送机器人及衬底处理系统
JP6945314B2 (ja) 基板処理装置
US11276595B2 (en) Substrate transporter and substrate transport method
KR20130034583A (ko) 기판처리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CN1934692A (zh) 算出搬送机构的搬送偏差的方法及半导体处理装置
JP2009065165A (ja) エンドエフェクタ及びこれを有する基板移送ロボット
JP2002520860A (ja) ウェハーを極小接触でハンドリングするためのウェハーキャリア及び方法
US6702865B1 (en) Alignment processing mechanism and semiconductor processing device using it
KR100431515B1 (ko) 반도체 세정설비에서의 웨이퍼 반전 유닛
TWI730044B (zh) 基板研磨方法、頂環及基板研磨裝置
KR101972226B1 (ko) 기판 세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기판 처리 장치
JP3963817B2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システム
KR100842027B1 (ko) 얼라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웨이퍼 정렬 방법
JP2002373928A (ja) 被移送体移送装置及びその移送方法
KR20050101630A (ko) 반도체 제조공정의 웨이퍼 핸들링장치
CN111146128B (zh) 裸片转移模块和具有该裸片转移模块的裸片接合设备
JP2002353292A (ja) 基板処理装置、基板処理システム及び判別方法並びに基板処理方法
US10395962B2 (en) Substrate arrangement apparatus and substrate arrangement method
KR102643412B1 (ko) 기판 처리 방법
KR100211663B1 (ko) 반도체 웨이퍼 얼라인 장치
JP2003266266A (ja) 半導体ウエーハの搬送装置
JP7453757B2 (ja) 基板処理装置、基板処理システムおよび基板処理方法
KR20070033798A (ko) 웨이퍼 이송 로봇의 암 블레이드
JP2021114591A (ja) 基板搬送システム、リソグラフィー装置および物品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