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1353A -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위치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위치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1353A
KR20050101353A KR1020040026358A KR20040026358A KR20050101353A KR 20050101353 A KR20050101353 A KR 20050101353A KR 1020040026358 A KR1020040026358 A KR 1020040026358A KR 20040026358 A KR20040026358 A KR 20040026358A KR 20050101353 A KR20050101353 A KR 20050101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ow
withdrawal
banknotes
bills
depos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0348B1 (ko
Inventor
차진환
정윤석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6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348B1/ko
Publication of KR20050101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4Radiant bodies or panels for radiation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수단 및 출금수단이 구비된 환류식 리사이클박스의 입금동작 및 출금동작을 보조하는 유입/반출가이드의 위치를 감지하여 원활한 입출금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 위치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클박스의 입출금동작시 입출금동작을 보조하는 유입/반출가이드에서 상향하여 돌출형성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반출가이드의 선회에 따른 상기 감지부의 존재/부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유입/반출가이드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 위치감지장치를 제공하여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의 위치를 감지가능하므로 입출금동작에 따른 유입/반출가이드의 위치를 제어하여 리사이클박스의 원활한 입출금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발명임.

Description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 위치감지장치 {Apparatus for sensing position of inflow/outflow guide in an automatic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를 위한 지폐류 입출금기에 있어서 리사이클박스에 설치되는 유입/반출가이드의 위치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금수단 및 출금수단이 구비된 환류식 리사이클박스의 입금동작 및 출금동작을 보조하는 유입/반출가이드의 위치를 감지하여 원활한 입출금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 위치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는 입금수단과 출금수단이 구비되어 입금요청시에는 지폐류를 유입하여 저장보관하고 출금요청시에는 지폐류를 반출하여 출금하는 두가지 작업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분리사시도이다.
리사이클박스(6)는 상단부에 일측은 입금수단(100)이 구비되고 타측은 출금수단(200)이 구비된 헤드부(900), 입금수단(100)에 의해 유입된 지폐류가 저장되거나 출금수단(200)에 의해 반출될 지폐류가 저장되어있는 저장부(800)로 구성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전면부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후면부 분리사시도이다.
리사이클박스(6)의 헤드부(900)는 다수개의 롤러 등으로 이루어진 입금수단(100)과 입금수단(10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입금수단(100)의 롤러와 동일축에 결합되고 기어연결되어 있는 입금부 동력전달수단(300)이 구비되어 있고, 다수개의 롤러 등으로 이루어진 출금수단(200)과 출금수단(20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출금수단(200)의 롤러와 동일축에 결합되고 기어연결되어 있는 출금부 동력전달수단(400)이 구비되어 있다.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리사이클박스(6)의 저장부(800)에는 입금수단(100)에 의한 지폐류의 유입시에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강하고, 출금수단(200)에 의한 지폐류의 반출시에는 출금수단(200)의 출금을 수행하는 롤러에 지폐류가 가압되도록 상승하는 푸쉬플레이트(50)가 구비된다.
또한 입금수단(100)에 의한 지폐류의 유입시에는 지폐류의 선단을 가이드하도록 경사지게 이동되고, 출금수단(200)에 의한 지폐류의 반출시에는 지폐류가 출금수단(200)의 출금을 수행하는 롤러에 가압되도록 상측으로 이동되어 회피되는 유입/반출가이드(40)가 구비된다.
이와같이 유입/반출가이드(40)는 리사이클박스(6)의 입출금동작을 보조하는 장치로서, 입금동작시에 하측으로 경사지게 선회되어 유입되는 지폐류를 가이드하여 출금수단(200)의 롤러에 입금되는 지폐류가 접촉되지 않게 하는 동작과 출금동작시에 푸쉬플레이트(50)에 적층된 지폐류와 출금수단(200)의 출금을 수행하는 롤러가 접촉되도록 상측으로 선회되어 회피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유입/반출가이드(40)는 입출금동작이 수행되기전에 먼저 제어되어야 하므로 그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장치가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 설치되어 입금동작시 입금되는 지폐류를 가이드하거나 출금동작시 상측으로 회피되어 출금수단과 푸쉬플레이트의 출금동작을 보조하는 유입/반출가이드의 위치를 감지하여 안정적인 입출금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 위치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 내부로 지폐류를 유입하는 입금수단, 상기 리사이클박스 내부에 저장된 지폐류를 반출하는 출금수단, 상기 입금수단에 의한 지폐류의 유입시에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강하고 상기 출금수단에 의한 지폐류의 반출시에는 상기 출금수단의 지폐류 낱장분리를 위한 픽업롤러에 지폐류가 가압되도록 상승하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입금수단에 의한 지폐류의 유입시에는 지폐류의 선단을 가이드하도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선회되고 상기 출금수단에 의한 지폐류의 반출시에는 상기 픽업롤러와 상기 푸쉬플레이트가 가압되도록 상측으로 선회되어 회피되는 유입/반출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폐류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 있어서, 상기 유입/반출가이드에서 상향하여 돌출형성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반출가이드의 선회에 따른 상기 감지부의 존재/부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유입/반출가이드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입금동작시의 상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동작시의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사이클박스(6)는 그 상부 일측은 지폐류가 유입되는 입금수단(100), 타측은 저장되어있는 지폐류를 반출하는 출금수단(200)이 설치된다.
리사이클박스(6)의 입금수단(100)은 일례로 리사이클박스(6) 내에 설치되어 입금되는 지폐류를 내부로 유입하는 입금롤러(11), 이송력이 발생되도록 입금롤러(11)에 지폐류를 밀착시키는 핀치롤러(12), 입금롤러(11)를 통과하는 지폐류의 횡단면이 V자형으로 만곡되도록 입금롤러(1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입금롤러(11)와 동일축에 설치되는 만곡롤러(13), 리사이클박스(6) 내부로 유입되는 지폐류의 후단을 타격하여 후속적으로 유입되는 지폐류의 선단과 겹치지 않도록 하는 탄성편롤러(14), 리사이클박스(6) 내부로 유입되는 지폐류를 가이드하는 입금가이드(15)등으로 구성된다.
리사이클박스(6)의 출금수단(200)은 그 외부로 반출되는 지폐류를 낱장으로 반출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일례로 리사이클박스(6) 내부에 저장된 지폐류를 한장씩 분리하는 픽업롤러(21), 지폐류의 낱장분리를 위하여 픽업롤러(21)를 상하이동시키는 퇴피분리장치(30), 낱장분리된 지폐류를 리사이클박스(6) 외부로 반출하는 출금롤러(22)와 게이트롤러(23), 출금롤러(22)에 지폐류를 밀착시키는 다수의 핀치롤러(24), 리사이클박스(6)의 외부로 반출되는 지폐류를 가이드하는 출금가이드(25)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리사이클박스(6)는 그 내측으로 입금수단(100)에 의한 지폐류의 유입시에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강하고, 출금수단(200)에 의한 지폐류의 반출시에는 픽업롤러(21)에 지폐류가 가압되도록 상승하는 푸쉬플레이트(50)가 구비된다.
또한, 리사이클박스(6)의 입금수단(100)에 의한 지폐류의 유입시에는 지폐류의 선단을 가이드하도록 경사지게 이동되고, 출금수단(200)에 의한 지폐류의 반출시에는 지폐류가 픽업롤러(21)에 가압되도록 상측으로 이동되어 회피되는 유입/반출가이드(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유입/반출가이드(40)는 입금롤러(1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지폐류의 유입시에는 유입방향의 반대측아래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선회되고, 지폐류의 선단은 유입/반출가이드(40)의 하면에 연속적으로 접촉 가이드되며 푸쉬플레이트(50)상에 적층되므로 먼저 유입된 지폐류의 후단과 현재 유입되는 지폐류의 선단이 겹치지 않게된다.
또한, 탄성편롤러(14)와 같이 회전되는 탄성편(14a)도 유입이 완료된 지폐류의 후단을 타격하여 먼저 유입된 지폐류의 후단과 현재 유입되는 지폐류의 선단이 겹치지 않게한다.
한편, 유입/반출가이드(40)는 인장스프링(43)에 의하여 하측으로 항상 힘을 받고 있으며, 출금동작시에는 유입/반출가이드(40)에 연결된 솔레노이드와 링크에 의하여 인장스프링(43)의 힘을 극복하고 픽업롤러(21)와 지폐류의 접촉을 위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는 입금동작시 지폐류의 강성 부여에 의한 지폐류의 유입 운동량 증가로 인해 유입/반출가이드(40)가 위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유입/반출가이드(40)는 지폐류의 반출시에는 상기한 솔레노이드와 링크에 의하여 인장스프링(43)의 힘을 극복하고 상측으로 선회되어 올라가게되고, 푸쉬플레이트(50)는 픽업롤러(21)와 맞닿아 적정한 푸쉬압이 발생되는 소정의 위치까지 저장된 지폐류를 밀어올리게 된다.
이때, 유입/반출가이드(4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절개홈(42)을 통하여 픽업롤러(21)가 지폐류를 가압하여 낱장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유입/반출가이드(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개의 가이드롤러(44)가 형성되어 반출되는 지폐류의 상측을 가이드하여 안정적으로 출금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와같은 유입/반출가이드(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향하여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감지부(41)가 형성된다.
유입/반출가이드(40)의 감지부(41)는 유입/반출가이드(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입/반출가이드(40)의 상하방향으로의 선회동작에 따라 같이 움직이게 되고, 이때 감지부(41)의 존재/부존재 여부가 감지되도록 그 이동경로상에 리사이클박스(6)에 고정설치되는 유입/반출가이드 감지센서(S1)가 구비된다.
유입/반출가이드 감지센서(S1)는 감지부(41)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례로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발광부와 수광부가 인접되어 설치되는 단거리형이 적절하며, 이에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 감지부(41)가 이동되는 것이 감지되도록 한다.
즉, 유입/반출가이드 감지센서(S1)는 푸쉬플레이트(50)가 픽업롤러(21)와 출금에 필요한 적정한 푸쉬압이 발생되도록 상승하는 위치까지 유입/반출가이드(40)가 상측으로 충분히 선회되어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서 감지부(41)가 감지되도록 설치한다.
이렇게 유입/반출가이드 감지센서(S1)에 유입/반출가이드(40)가 감지되고, 푸쉬플레이트(50)가 상승하여 픽업롤러(21)와 적정한 푸쉬압이 유지되면 출금수단(200)은 출금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푸쉬플레이트(50)와 출금수단(200)의 픽업롤러(21) 사이에는 지폐류의 존재/부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출금부 공감지센서(A1, A2)가 설치된다.
출금부 공감지센서(A1, A2)는 일례로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발광부(A1)와 수광부(A2)가 분리되어 있는 장거리형이 적절하고, 발광부(A1)와 수광부(A2)의 사이의 지폐류의 존재/부존재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출금부 공감지센서(A1, A2)는 출금수단(200)의 출금동작이 완료되었을시에 출금수단(200)에 잔류된 지폐류 유무 및 잼(jam)판정을 위한 것이기도 하나, 리사이클박스(6)의 입금동작시에도 잼(jam)현상이 발생되어 반절권 또는 이상권 등이 유입/반출가이드(4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면, 출금부 공감지센서(A1, A2)는 입금동작시에 반절권 또는 이상권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상측으로 선회되어있는 유입/반출가이드(40)를 감지하게 되고, 이를 잼(jam)으로 판단하여 입금동작에 이상이 생겼음을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입출금동작을 보조하는 유입/반출가이드의 위치를 감지하여 리사이클박스의 입출금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입금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잼(jam)현상도 감지가능하므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금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지폐류 입출금기의 운용비용 절감과 운용효율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전면부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후면부 분리사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헤드부의 개략적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의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입금동작시의 상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출금동작시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입금롤러 12 : 핀치롤러
13 : 만곡롤러 14 : 탄성편롤러
15 : 입금가이드 21 : 픽업롤러
22 : 출금롤러 23 : 게이트롤러
24 : 핀치롤러 25 : 출금가이드
30 : 퇴피분리장치 40 : 유입/반출가이드
41 : 감지부 50 : 푸쉬플레이트
100 : 입금수단 200 : 출금수단
S1 : 유입/반출가이드 감지센서
A1, A2 : 출금부 공감지센서

Claims (4)

  1. 지폐류 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 내부로 지폐류를 유입하는 입금수단, 상기 리사이클박스 내부에 저장된 지폐류를 반출하는 출금수단, 상기 입금수단에 의한 지폐류의 유입시에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강하고 상기 출금수단에 의한 지폐류의 반출시에는 상기 출금수단의 지폐류 낱장분리를 위한 픽업롤러에 지폐류가 가압되도록 상승하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입금수단에 의한 지폐류의 유입시에는 지폐류의 선단을 가이드하도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선회되고 상기 출금수단에 의한 지폐류의 반출시에는 상기 픽업롤러와 상기 푸쉬플레이트가 가압되도록 상측으로 선회되어 회피되는 유입/반출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폐류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 있어서,
    상기 유입/반출가이드에서 상향하여 돌출형성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이동경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반출가이드의 선회에 따른 상기 감지부의 존재/부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유입/반출가이드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 위치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반출가이드 감지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인접하여 설치되는 광센서이고,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의 사이를 선회하는 상기 감지부의 존재/부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 위치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플레이트와 상기 출금수단의 픽업롤러 사이에 지폐류의 존재/부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출금부 공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출금부 공감지센서에 의해 입금동작시 반절권 또는 이상권에 의해 상기 유입/반출가이드가 상측으로 선회되는 잼(jam) 현상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의 유입/반출가이드 위치감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부 공감지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광센서이고, 발광부와 수광부의 사이의 지폐류의 존재/부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류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의 유입/반출가이드 위치감지장치.
KR1020040026358A 2004-04-16 2004-04-16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위치감지장치 KR100600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358A KR100600348B1 (ko) 2004-04-16 2004-04-16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위치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358A KR100600348B1 (ko) 2004-04-16 2004-04-16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위치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353A true KR20050101353A (ko) 2005-10-24
KR100600348B1 KR100600348B1 (ko) 2006-07-14

Family

ID=3727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358A KR100600348B1 (ko) 2004-04-16 2004-04-16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위치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3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36B1 (ko) * 2006-06-22 2007-12-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스택롤러 및 스택가이드의 위치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566032B1 (ko) * 2009-07-31 2015-11-0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031B2 (ja) 1985-12-23 1995-05-10 オムロン株式会社 紙葉類堆積装置
JPS6448780A (en) * 1987-08-19 1989-02-23 Hitachi Ltd Paper sheet accumulating device
JPH01214581A (ja) * 1988-02-18 1989-08-28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紙幣カートリッジの検知センサチェック装置
JP2641275B2 (ja) * 1988-11-28 1997-08-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堆積・繰り出し装置
JPH03271994A (ja) * 1990-03-22 1991-12-03 Hitachi Ltd 紙幣取扱装置
JP3472689B2 (ja) * 1997-08-29 2003-1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堆積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36B1 (ko) * 2006-06-22 2007-12-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스택롤러 및 스택가이드의 위치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566032B1 (ko) * 2009-07-31 2015-11-0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0348B1 (ko) 200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636B1 (ko) 스택롤러 및 스택가이드의 위치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808835B1 (ko) 다권종 지폐의 입금을 제어하기 위한 입금장치 및 입금방법
KR20110056945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이송방법 및 그 장치
KR20170112341A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KR100600348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유입/반출가이드위치감지장치
KR10188857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US11989994B2 (en) Bundle module of medium deposit device
KR100600347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입금동작 감지장치
KR100552228B1 (ko) 지폐류입출금기의 리사이클박스에서 출금지폐겹침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금지폐겹침 방지방법
KR100961576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596310B1 (ko) 지폐류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입출금장치
KR100535155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잔류지폐반송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잔류지폐 반송제어방법
KR20090012510U (ko) 벨트형 지폐 계수기
KR100552232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초기화 장치 및 이를이용한 초기화 방법
KR200395587Y1 (ko) 리싸이클박스
KR20120078054A (ko) 집적 공간 조절 가이드를 구비한 지폐취급장치와 지폐취급방법
KR100596311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푸쉬압감지장치
KR20100080189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저장부에서 분리되는 지폐의 정렬 방법
KR200379151Y1 (ko) 지폐류 출금기의 낱장분리장치
KR101203762B1 (ko) 지폐취급장치 및 지폐취급방법
KR100552229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푸쉬압 제어장치 및이를 이용한 푸쉬압 제어방법
KR20100080217A (ko) 지폐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KR100600399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분리제어방법
KR100552230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픽업롤러 정위치감지장치
KR100596312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입출금 제어장치 및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