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0061A - 액티브 롤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액티브 롤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0061A
KR20050100061A KR1020040025231A KR20040025231A KR20050100061A KR 20050100061 A KR20050100061 A KR 20050100061A KR 1020040025231 A KR1020040025231 A KR 1020040025231A KR 20040025231 A KR20040025231 A KR 20040025231A KR 20050100061 A KR20050100061 A KR 20050100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air spring
roll control
active roll
spr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5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0061A/ko
Publication of KR20050100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06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60G21/0555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including an actuator inducing vehicle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5Air-compressor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18Automatic control means
    • B60G2600/182Activ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티브 롤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태빌라이저 바의 링크부분에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를 도입함으로써, 에어 서스펜션 차량의 경우 컴프레서, 저장탱크 등의 부품을 공용으로 사용하고, 스태빌라이저 바 상ㆍ하 양방향에 반력을 발생할 뿐만 아니라, 충격 완화 및 진동 감쇠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액티브 롤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티브 롤 제어장치 {active roll control system }
본 발명은 액티브 롤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태빌라이저 바의 링크부분에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를 도입함으로써, 에어 서스펜션 차량의 경우 컴프레서, 저장탱크 등의 부품을 공용으로 사용하고, 스태빌라이저 바 상ㆍ하 양방향에 반력을 발생할 뿐만 아니라, 충격 완화 및 진동 감쇠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액티브 롤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선회 시에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과 차체의 원심력으로 인하여 차체가 기울게 된다.
그래서, 차체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스테빌라이저 바를 장착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바에서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이중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차량의 롤링에 용이하게 대처하지 못하기 때문에 선회를 용이하게 하지 못하고 운전자의 승차감을 향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바 강성 가변장치로써,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2002-0033863호에 제시되어 있다.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바 강성 가변장치로써, 도 1 또는 도 2에 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바 강성 가변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태빌라이저 바 강성 가변정치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바와 같이,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바 강성 가변장치는 스태빌라이저 바(101)가 설치되는 볼조인트(110)에는 피스톤로드(112)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로드(112)의 선단에 마련된 피스톤(114)이 섭동하도록 하는 실린더(116)가 로워암과 연결되는 볼조인트(118)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116)의 내부에는 오일(120)이 채워져 있고 상기 실린더(116)에는 중립포트(122) 및 상하측포트(124,126)가 구비되어 이들이 연통되도록 바이패스통로(128)를 형성하고, 이 바이패스통로(128)에 오퍼레이션체크밸브(130)를 설치하여 상기 오퍼레이션체크밸브(130)에 의해 오일(120)의 이동상태가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스태빌라이저 바 강성 가변장치는 에어 서스펜션 탑재 차량의 경우에도 액추에이터 및 다단댐퍼를 사용하기 위해 유압펌프 등의 장치가 추가적으로 장착되어 차량 중량의 증가와 설계 시 레이아웃(lay-out)이 난해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이 복잡해지고,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에어 서스펜션 탑재 차량의 경우 컴프레서 및 저장탱크 등의 부품을 공용으로 사용하고, 스태빌라이저 바 상ㆍ하 양방향에 반력을 발생함과, 동시에 충격 완화 및 진동 감쇠의 역할을 하나로 이용하여 롤 콘트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스테빌라이저 바와 에어 스프링의 횡력을 지지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는 스태빌라이저 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일단에 배치되는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 상기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를 제어하기 위해 연결 설치된 에어 컴프레서로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에어 서스펜션 차량의 경우 컴프레서와 저장탱크 등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부품 공용으로 인해 차량의 중량 및 원가의 절감과 인접 부품의 레이아웃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태빌라이저 바 상ㆍ하 양방향에 반력을 발생할 뿐만 아니라, 충격 완화 및 진동 감쇠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어 롤 제어(roll control)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에 브래킷을 설치하면, 상기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를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의 횡력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스태빌라이저 바에 탄력성 있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면, 스태빌라이저 바의 횡력을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의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는 스태빌라이저 바(10), 스태빌라이저 바(10)의 일단에 배치되는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20),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20)를 제어하기 위해 연결 설치된 에어 컴프레서(30)로 구성된다.
스태빌라이저 바(10)에 있어서, 일단에는 드롭링크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20)가 연결되며, 중단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0)를 프레임(미도시)에 고정 설치하는 부시마운팅(60)이 결합된다.
또한, 스태빌라이저 바(10) 중단은 스태빌라이저 바(10)의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횡방향으로 연장된 스태빌라이저 바(10)에는 횡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40)가 설치된다.
고정부재(40)는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프레임에 장착된다.
이렇게, 스태빌라이저 바(10)에 고정부재(40)가 설치되면, 스태빌라이저 바(10)의 횡력을 지지할 수 있다.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20)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0)의 끝단에 연결된 에어 스프링시트(26)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 스프링 시트(26)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어 왕복운동 하는 에어 스프링(22)이 결합된다.
또한,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20)에는 공기의 공급과 배출하는 에어 컴프레서(30)와 상기 컴프레서(30)와 연결된 저장탱크(미도시)가 형성된다.
여기서, 컴프레서(30)는 에어 서스펜션 차량에 탑재된 컴프레서(30) 및 저장탱크로 대처할 수 있다.
이렇게, 스태빌라이저 바(10) 일단에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20)를 도입함으로써, 스태빌라이저 바(10) 상ㆍ하 양방향에 반력을 발생할 뿐만 아니라, 충격 완화 및 진동 감쇠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어 롤 제어(roll control)성능을 향상시킨다.
특히, 에어 서스펜션 차량의 경우 컴프레서와 저장탱크 등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부품 공용으로 인해 차량의 중량 및 원가의 절감과 인접 부품의 레이아웃(lay-out)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20)에는 스테빌라이저 바(10) 상하 양방향 반력 발생을 위해 설치된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20)를 고정시켜주고, 상기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20)의 횡력을 지지하는 브래킷(2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래킷(24)은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너클암과 같은 언스프렁 부(50)(unsprung mass)에 설치된다.
이로써,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20)에 발생하는 횡력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스태빌라이저 바 일단에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를 도입함으로써, 에어 서스펜션 차량의 경우 컴프레서와 공기저장탱크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부품 공용으로 인해 차량의 중량 및 원가의 절감과 인접 부품의 레이아웃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태빌라이저 바(10) 상ㆍ하 양방향에 반력을 발생할 뿐만 아니라, 충격 완화 및 진동 감쇠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어 롤 제어성능을 향상시켜, 차량의 선회 주행 시 안정성을 확보하고, 조정성을 증대시키며, 동시에, 비포장 도로의 주행 시 접지력을 향상할 수 있게 됨으로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스태빌라이저 바에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에어 스프링을 고정지지하는 브래킷이 설치되면, 스태빌라이저 바와 에어 스프링의 횡력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바 강성 가변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태빌라이저 바 강성 가변장치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액티브 롤 제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액티브 롤 제어장치의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태빌라이저 바 20 :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
22 : 에어 스프링 24 : 브래킷
26 : 에어 스프링시트 30 : 에어 컴프레서
40 : 고정부재 50 : 언스트렁 부
60 : 부시마운팅

Claims (3)

  1. 스태빌라이저 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일단에 배치되는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
    상기 에어 스프링을 제어하기 위해 연결 설치된 에어 컴프레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롤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에는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를 고정시키고, 횡력을 지지하도록 브래킷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롤 제어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횡력을 지지하도록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롤 제어장치.
KR1020040025231A 2004-04-13 2004-04-13 액티브 롤 제어장치 KR20050100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231A KR20050100061A (ko) 2004-04-13 2004-04-13 액티브 롤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231A KR20050100061A (ko) 2004-04-13 2004-04-13 액티브 롤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061A true KR20050100061A (ko) 2005-10-18

Family

ID=3727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231A KR20050100061A (ko) 2004-04-13 2004-04-13 액티브 롤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00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415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KR20100019207A (ko)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KR101283593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100726568B1 (ko) 토션 바 타입 차량용 리어 현가장치
KR101427945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KR20010046884A (ko) 스태빌라이저의 취부구조
JP2002144838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50100061A (ko) 액티브 롤 제어장치
KR20220052646A (ko) 리프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KR20090052045A (ko) 차량의 현가장치용 너클
US20060017255A1 (en) Bearing arrangement for a control arm for motor vehicles
KR101283605B1 (ko) 능동형 롤 제어장치
JP2006192932A (ja) 自動車のリ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80054815A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100405543B1 (ko) 로어아암의 저더 저감장치
KR100471856B1 (ko) 자동차용 비틀림 강도 가변형 스태빌라이저
KR20080042345A (ko) 차량의 서스펜션장치
KR20060117040A (ko) 액티브 롤 컨트롤 시스템
KR100530032B1 (ko) 듀얼 스트러트 타입 현가장치
KR20030026022A (ko) 소형 상용차의 리어 서스펜션
JP4047145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構造
EP0083184A2 (en) Independent rear wheel suspension
KR19980076443A (ko) 자동차용 롤링억제장치
JPH0986125A (ja) ストラット型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30017818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