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0027A -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0027A
KR20050100027A KR1020040025180A KR20040025180A KR20050100027A KR 20050100027 A KR20050100027 A KR 20050100027A KR 1020040025180 A KR1020040025180 A KR 1020040025180A KR 20040025180 A KR20040025180 A KR 20040025180A KR 20050100027 A KR20050100027 A KR 20050100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ust
filter assembly
fitting member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9989B1 (ko
Inventor
정주석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5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989B1/ko
Priority to US10/901,812 priority patent/US20050223686A1/en
Priority to CNA2004100644024A priority patent/CN1682632A/zh
Priority to AU2004206986A priority patent/AU2004206986A1/en
Priority to RU2004127167/12A priority patent/RU2275838C1/ru
Priority to GB0420654A priority patent/GB2413100A/en
Priority to DE102004044931A priority patent/DE102004044931A1/de
Priority to FR0409877A priority patent/FR2868682A1/fr
Publication of KR20050100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9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5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cleaning appliances, e.g. suction cleaners

Abstract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는 먼지를 걸러내기 위한 필터본체와 상기 필터본체를 지지하는 필터골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본체는 산과 골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골에는 상기 먼지가 끼여 고착(固着)되지 않도록, 먼지가 끼일 수 있는 틈새부가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필터본체에 먼지가 끼여 고착(固着)되는 경우가 줄어서, 필터 세척시 먼지의 분리가 용이하며, 필터를 세척한 후 다시 사용할 경우, 새 필터를 사용한 것처럼 청소의 효율을 높일수 있다.

Description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A FILTER ASSEMBLY AND A VACCUM CLEANER COMPRISING FILTER ASSEMBLY}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청소의 효율이 향상 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와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청소기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흡입부와 조작부를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조작부와 상기 청소기 본체를 연결하는 플랙시블호스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내부에는 흡입된 오물을 저장하는 집진실과,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원과 상기 집진실과 흡입원의 사이에 설치되어 먼지와 공기를 분리시켜주는 필터조립체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종래 필터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 필터조립체(220)는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본체(222)와 상기 필터본체(222)를 지지하는 필터골격부(221)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본체(222)의 형상은 필터링역할을 최대화하기 위해 굴곡지게 형성하여 그 표면적을 넓히고 있고,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필터표면은 산과 골로 지그재그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은 제작이 용이하고, 표면적이 최대가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형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형상에 의하면, 집진먼지(P)가 화살표 A방향으로 필터본체(222)에 충돌할 때 골(222b)의 틈새부(222e)의 좁음틈(D)사이에 끼여 고착(固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렇게 고착(固着)된 먼지는 필터 세척시에 분리가 용이하지 않게 되어, 세척한 필터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먼지가 그대로 필터에 남아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필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청소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구조가 개선된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는 먼지를 걸러내기 위한 필터본체와 상기 필터본체를 지지하는 필터골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본체는 산과 골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골에는 상기 먼지가 끼여 고착(固着)되지 않도록, 먼지가 끼일 수 있는 틈새부가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조립체는 여러가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첫째로 필터본체를 산과 골로 지그재그 형태로 되게 연속적으로 형성한 후 상기 골을 라운드처리하거나, 둘째로 필터본체를 산과 골로 지그재그로 형태로 되게 연속적으로 형성한 후 상기 골에 틈끼움부재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틈끼움부재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상기 산 높이의 1/4 높이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진공청소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진공청소기(100)는 청소기본체(200)와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부(110)와 청소기를 조작하는 조작부(130)와 상기 흡입부(110)와 조작부(130)를 연결하는 연장관(120)과 상기 조작부(130)와 상기 청소기 본체(200)를 연결하는 플랙시블호스(140)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피청소면의 오물이 상기 흡입부(110)로 흡입된 후 연장과(120)과 플랙시블호스(140)을 거쳐 청소기 본체(100)내에 마련되어 있는 집진실(미도시)에 모이게 된다.
도 3은 도 2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진공청소기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진공청소기 본체(200)내에는 먼지가 수집되는 집진실(210)과, 먼지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원(230)과 집진공기를 먼지와 공기로 분리하는 필터조립체(2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흡인원(230)이 작동하여 흡입력이 발생하면, 집진공기는 화살표 "A"방향으로 집진실(210)을 거치게 되고, 이 때 큰 먼지는 상기 집진실(210)에 모이게 되고, 미처 걸러지지 않은 작은 먼지는 공기와 함께 집진실(210)의 표면을 통과한 후, 화살표 "B"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필터조립체(220)에서 다시 한번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필터조립체(220)를 통과한 공기는 배출구(240)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된다.
도 4a,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필터조립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도 4b을 참조하면, 필터조립체(220)는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본체(222)와 상기 필터본체(222)를 지지하는 필터골격부(221)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골격부(221)는 필터본체(222)가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여 필터링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게 필터본체(222) 주위를 모두 감싸는 것이 좋다.
도 4a를 참조하면, 필터본체(222)는 산(222a)과 골(222b)로 지그재그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골(222b)은 둥글게 라운드(222c)처리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P)가 상기 골(222b)에 충돌하더라도 라운드(222c)로 인해 먼지(P)가 끼일 틈새부(도1, 222e)가 없어 상기 골(222b)에 먼지(P)가 고착(固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필터본체(222)는 산(222a)과 골(222b)로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있으며, 틈끼움부재(227)가 상기 골(222b)에 삽입된다. 이는 골(222b)을 둥글게 라운드(222c)처리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필터본체(222)의 가공작업이 용이하다. 따라서 필터본체의 가공작업의 효율면에서 도 4a의 구성보다 더 바람직한 구성이라 할 수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집진먼지(P)가 틈끼움부재(227)로 인해 상기 골(222b)에 접근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막음으로써 집진먼지(P)가 틈새부(222e)의 좁은틈(D)사이에 끼여 고착(固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5는 도 4b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한 필터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틈끼움부재(227)는 산(222a)과 골(222b)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이 때 틈끼움부재(227)의 높이(H2)는 산(222a)의 높이(H1)의 1/4 높이를 가지는 것이 실험적으로 가장 집진먼지(P)의 분리가 용이하고 필터흡입력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틈끼움부재(227)는 상기 필터본체(222)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틈끼움부재(227)의 우측면(227a)과 좌측면(227b)을 경사면(222c, 222d)에 접착재로 결합하는 것이 좋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필터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집진먼지(P)가 상기 골(222b)에 접근되는 것이 근본적으로 차단되고, 동시에 집진먼지(P)가 상기 틈끼움부재(227)의 하면(227c)에 충돌하여 화살표 C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게 되어 틈새부(222e)의 좁은틈(D)사이에 집진먼지(P)가 끼이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에 따르면, 필터본체에 먼지가 끼여 고착(固着)되는 경우가 줄어서, 필터 세척시 먼지의 분리가 용이하며, 필터를 세척한 후 다시 사용할 경우, 새 필터를 사용한 것처럼 청소의 효율을 높일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필터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진공청소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도 2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진공청소기 본체의 단면도,
도 4a, 도4b는 도 3에 도시된 필터조립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b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한 필터조립체의 단면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필터조립체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0..필터조립체 221..필터골격부
222..필터본체 227..틈끼움부재

Claims (10)

  1. 먼지를 걸러내기 위한 필터본체;및,
    상기 필터본체를 지지하는 필터골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본체는 산과 골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골에는 상기 먼지가 끼여 고착(固着)되지 않도록, 틈새부가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과 골은 지그재그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골은 라운드처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본체에 설치되는 틈끼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과 골은 지그재그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틈끼움부재는 상기 골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틈끼움부재는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틈끼움부재는 상기 산 높이의 1/4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조립체.
  6. 청소기본체;
    청소하고자 하는 바닥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된 오물을 저장하는 집진실;및,
    상기 필터본체를 지지하는 필터골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본체는 산과 골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골에는 상기 먼지가 끼여 고착(固着)되지 않도록, 틈새부가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산과 골은 지그재그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골은 라운드처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본체에 설치되는 틈끼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과 골은 지그재그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틈끼움부재는 상기 골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틈끼움부재는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틈끼움부재는 상기 산 높이의 1/4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040025180A 2004-04-13 2004-04-13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KR100549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180A KR100549989B1 (ko) 2004-04-13 2004-04-13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US10/901,812 US20050223686A1 (en) 2004-04-13 2004-07-29 Filter assembly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CNA2004100644024A CN1682632A (zh) 2004-04-13 2004-08-24 过滤器组件以及具有所述过滤器组件的真空清洁器
AU2004206986A AU2004206986A1 (en) 2004-04-13 2004-09-01 Filter assembly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RU2004127167/12A RU2275838C1 (ru) 2004-04-13 2004-09-09 Узел фильтра и пылесос, имеющий такой узел
GB0420654A GB2413100A (en) 2004-04-13 2004-09-16 Vacuum cleaner filter assembly
DE102004044931A DE102004044931A1 (de) 2004-04-13 2004-09-16 Filterbaugruppe und Staubsauger mit einer solchen
FR0409877A FR2868682A1 (fr) 2004-04-13 2004-09-17 Ensemble formant filtre et aspirateur comprenant un tel ensem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180A KR100549989B1 (ko) 2004-04-13 2004-04-13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027A true KR20050100027A (ko) 2005-10-18
KR100549989B1 KR100549989B1 (ko) 2006-02-08

Family

ID=3330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180A KR100549989B1 (ko) 2004-04-13 2004-04-13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50223686A1 (ko)
KR (1) KR100549989B1 (ko)
CN (1) CN1682632A (ko)
AU (1) AU2004206986A1 (ko)
DE (1) DE102004044931A1 (ko)
FR (1) FR2868682A1 (ko)
GB (1) GB2413100A (ko)
RU (1) RU2275838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1517B2 (en) * 2007-05-14 2010-08-10 Global Finishing Solutions, L.L.C. Filtering method
DE102008016956A1 (de) * 2008-04-01 2009-10-08 Branofilter Gmbh Staubsauger und Filterkörper für einen Staubsauger
EP2399498A1 (en) * 2010-06-22 2011-12-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purifying a fluid
US20120192534A1 (en) 2011-01-31 2012-08-02 Streivor Air Systems, Inc. Multi-stage hood filter system
WO2015179670A2 (en) * 2014-05-21 2015-11-26 Streivor Air Systems, Inc. Multi-stage hood filter system
DE102020122630A1 (de) * 2020-08-31 2022-03-03 Miele & Cie. Kg Staubsaug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37390A (en) * 1972-09-05 1978-08-29 Motoru Nagamine Electric cleaner
JPS505979A (ko) * 1973-05-19 1975-01-22
JPS5181462A (ja) * 1975-01-14 1976-07-16 Hitachi Ltd Denkisojikinorokasochi
JPS5730525A (en) * 1980-07-29 1982-02-18 Brother Ind Ltd Filter and its manufacture
JPS57130522A (en) * 1981-02-06 1982-08-13 Hitachi Ltd Filter device
DE9010910U1 (ko) * 1990-07-23 1990-10-25 Electrostar Schoettle Gmbh & Co, 7313 Reichenbach, De
US6932850B1 (en) * 1998-06-29 2005-08-23 Pall Corporation Pleated filter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03310497A (ja) * 2002-04-24 2003-11-05 Toshiba Tec Corp フィルタ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68682A1 (fr) 2005-10-14
US20050223686A1 (en) 2005-10-13
KR100549989B1 (ko) 2006-02-08
CN1682632A (zh) 2005-10-19
GB0420654D0 (en) 2004-10-20
DE102004044931A1 (de) 2005-11-17
RU2004127167A (ru) 2006-02-20
GB2413100A (en) 2005-10-19
AU2004206986A1 (en) 2005-10-27
RU2275838C1 (ru)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2650B2 (ja) 真空掃除機のサイクロン集塵装置
RU2262288C2 (ru) Пылеулавл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циклонного тип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пылесоса
RU2182457C1 (ru) Пылесобир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циклонного типа для вакуумного пылесоса
EP1136028A3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03250733A (ja) 真空清掃機用サイクロン集塵装置のグリル組立体
RU2002116413A (ru) Циклонный пылесборник пылесоса
CA2397002A1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RU2003135432A (ru) Пылесос вертикального типа (варианты)
KR100549989B1 (ko)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CN101263995A (zh) 真空吸尘器
EP1725155B1 (en) Suction nozzle and head of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GB2409403B (en) Suction cleaners
JP4698276B2 (ja) 空気清浄機
JP5724218B2 (ja) 電気掃除機
KR101290990B1 (ko) 로봇 청소기
EP1195125A3 (en) Vacuum cleaner with 2-stage separation
JP2005279503A (ja) 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そのフィルタユニット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0549987B1 (ko)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CN219438963U (zh) 机器人清洁器及其抽吸电机空气管道
JPH0648815U (ja) 自掃式フイルター
KR20030023224A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체용 미세먼지 떨이 장치
KR100602254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프레임 필터
KR0115197Y1 (ko) 진공청소기의 비산먼지 흡입장치
KR200332382Y1 (ko) 진공청소기
KR100596228B1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