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9725A - 산약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산약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9725A
KR20050099725A KR1020040024902A KR20040024902A KR20050099725A KR 20050099725 A KR20050099725 A KR 20050099725A KR 1020040024902 A KR1020040024902 A KR 1020040024902A KR 20040024902 A KR20040024902 A KR 20040024902A KR 20050099725 A KR20050099725 A KR 20050099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automatic mode
output
manual mod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0620B1 (ko
Inventor
타나카토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20040024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62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9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01D2101/32Metal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Abstract

산약공급장치에 있어서, 진동발생기로부터 트로프(trough)에 대하여 인가되는 진동을 오퍼레이터가 수동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한다.
산약공급장치는, 진동센서(48)의 검출출력에 근거하여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을 제어하는 자동모드를 실행 가능한 제어장치(15)를 구비한다. 자동모드로부터 수동모드로의 전환과, 수동모드에 있어서의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조절노브(101A, 101B)가 조작패널(16)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15)는, 조절노브(101A, 101B)로부터 입력된 지령을 수신하면, 진동센서(48)의 검출출력에 근거하여 설정된 진동강도를 유지하도록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을 제어하는 수동모드를 실행 가능하다.

Description

산약공급장치{POWDER MEDICINE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약제분포장치가 구비하는 원반 등의 공급대상에 산약을 공급하기 위한 산약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669511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주부에 단면원호상의 외주홈이 형성된 원반을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산약공급장치에 의해 상기 외주홈에 산약을 공급하고, 산약소출장치에 의해 상기 외주홈에 공급한 산약을 1포분씩 소출(搔出;긁어냄)하고, 호퍼를 통하여 포장장치에 공급하여 1포분씩 포장하도록 한 약제포장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산약공급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8-156914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평8-15691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호퍼, 트로프(trough), 진동발생기 등을 구비하고, 진동센서의 검출출력에 근거하여 진동발생기의 출력을 자동적으로 제어하고, 그것에 의하여 원반에 대하여 산약이 정량 공급되도록 하여 있다.
그러나, 산약의 종류, 입자의 형상, 크기 등의 제 조건을 가능한 한 고려하여 상기 진동발생기의 출력을 자동적으로 제어한다고 하여도, 산약의 공급량을 고정도(高精度)로 정량화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수동으로 진동발생기의 출력을 조정하는 것에 대하여 강한 요망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진동발생기로부터 트로프에 대하여 인가되는 진동을 오퍼레이터가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산약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로프(trough)에 대하여 진동을 인가하고, 호퍼에서 상기 트로프로 낙하하는 산약을 공급대상을 향하여 반송(搬送)시키는 진동발생기와, 이 진동발생기의 진동출력을 검출하기 위한 진동검출기와, 적어도 이 진동검출기에 의한 검출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진동발생기의 진동출력을 제어하는 자동모드를 실행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산약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모드로부터 수동모드로의 전환과, 이 수동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진동발생기의 진동출력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수동모드전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모드전환기로부터의 지령을 수신하면, 상기 진동검출기의 검출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수동모드전환기에 의해 설정된 진동강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진동발생기의 진동출력을 제어하는 수동모드를 실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약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산약공급장치에서는, 수동모드전환기에 의해 트로프에 대하여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발생기의 출력을 자동모드로부터 수동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수동모드전환기에 의해 수동모드에 있어서의 진동발생기의 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수동모드로부터 상기 자동모드로 복귀를 지령하기 위한 자동모드복귀지령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모드복귀지령기로부터의 지령을 수신하면, 상기 진동발생기의 진동출력의 제어를 상기 수동모드로부터 상기 자동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동모드전환기에 더하여, 상기 자동모드복귀지령기를 더 설치함으로써, 진동발생기의 진동출력의 제어를 자동모드와 수동모드와의 사이에서 자유로이 전환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모드 중에 상기 자동모드복귀지령기로부터의 지령을 수신하면, 이 지령을 수신한 시점의 진동강도를 소정시간 유지한 후, 해당 진동강도를 기준치로 하여 상기 자동모드를 재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모드복귀지령기에서 제어부로 지령이 입력되었을 때에 진동발생기의 출력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급대상으로의 산약의 공급량에 급격한 증감을 초래하는 일 없이, 수동모드로부터 자동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산약공급장치를 구비한 약제포장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약제포장장치는 산약분배부(1)와 산약포장부(2)를 구비한다. 도 1에 있어서, 60은 처방데이터의 수신 또는 입력용의 퍼스널 컴퓨터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산약분배부(1)는, 상부커버(3)(도 1참조)로 개방 가능하게 덮여 있는 장치본체(4)의 테이블(5) 상에, 제1 및 제2의 원반(공급대상)(6, 7), 산약공급장치(8A, 8B), 및 소출장치(9)를 각각 배치 설치한 구성이다. 그리고, 도 2에서는 소출장치(9)는 생략하여 있다.
원반(6, 7)은, 각각 구동모터(11, 12)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축공(6a, 7a)의 주위로 회전 구동된다. 원반(6, 7)에는 단면원호상의 외주홈(10)이 설치되어져 있다. 원반(6, 7)이 회전하여 있는 상태에서, 대응하는 산약공급장치(8A, 8B)로부터 외주홈(10)에 산약이 공급된다. 제1의 원반(6)은 제2의 원반(7)보다도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지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양자의 외주부가 부분적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테이블(5) 상에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테이블(5) 상에는 원반(6, 7)의 외주홈(10)을 청소하기 위한 클리닝장치가 설치되어져 있는데, 도 2 및 도 3에서는 생략하여 있다.
소출장치(9)는, 각 원반(6, 7)의 중심부에 배치 설치되어 있고, 산약공급장치(8A, 8B)에 의해 외주홈(10)에 공급된 산약을 1포분씩 소출하여 산약포장부(2)로 낙하시킨다.
산약포장부(2)는, 롤에 감긴 포장지를 자동적으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수단과, 반송된 포장지에 산약을 공급하는 호퍼부재와, 산약이 공급된 포장지를 히트씰링하는 씰링수단을 구비하여 있다.
다음에, 도 1 및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산약공급장치(8A, 8B)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산약공급장치(8A, 8B)는, 공통의 제어장치(제어부)(15)에 접속되고, 제어장치(15)에는 약제포장장치의 장치본체(4)의 상면에 설치되어진 조작패널(16)에 접속되어 있다(도 1 참조). 산약공급장치(8A, 8B)는 동일 구조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특히 언급하지 않는 한 산약공급장치(8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산약공급장치(8A)는, 약제포장장치의 테이블(5)(도 2 및 도 3 참조) 상에 배치되는 기대(機臺)(20) 상에, 호퍼(21)와 트로프(22)를 구비하고 있다.
호퍼(21)는 호퍼지지부(23)에 취부되어 있다. 호퍼지지부(23)는, 호퍼(21)가 착탈 가능하게 취부되어지는 호퍼지지프레임(23a)과, 이 호퍼지지프레임(23a)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지지암(支持腕)(23b)을 구비하고, 이 지지암(23b)은 기대(20) 상에 고정된 대좌부(臺座部)(25)에 대하여 회동부(27)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호퍼(21)는 회동부(27)를 지점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다.
도 6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호퍼지지부(23)의 전방측에는 요동 구동용의 보조암(補助腕)(23c)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보조암(23c)의 하단측에는 캠팔로워(29)가 취부되어 있다. 한편, 기대(20) 상에는 그 회전축(33a)에 호퍼각도조정용의 캠(31)이 고정되어 있는 각도제어모터(33)가 고정되어 있다. 캠(31)의 자세변화에 캠팔로워(29)가 추종하기 때문에, 각도제어모터(33)의 회전축(33a)의 회전각도위치에 따라서, 상기 회동부(27) 주위의 호퍼(21)의 각도가 변화한다.
그리고, 호퍼(21)의 회동부(27) 주위의 각도를 설정하기 위한 각도정지센서(34)가 설치되어진다. 이 각도정지센서(34)는 각도제어모터(33)의 회전축(33a)에 고정되고, 그 외주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자석(35)이 취부되어진 비검출부(36)와, 자석(35)의 발생하는 자력을 검출함으로써, 회전축(33a)의 회전각도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홀소자(37)를 구비하여 있다.
더욱이, 호퍼(21)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충격을 가하기 위한 호퍼타격기구(38)가 설치되어져 있다. 이 호퍼타격기구(38)는 솔레노이드(39)와, 기단측이 솔레노이드(39)의 출력축(39a)에 고정된 호퍼타격부재(40)를 구비하여 있다. 솔레노이드(39)가 구동되면, 호퍼타격부재(40)의 선단이 호퍼(21)의 측부에 충돌하여 충격을 인가한다.
트로프(trough)(22)는 호퍼(21)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 설치되어 있고, 그 선단(22a)은 하향 굴곡하여 있다. 트로프(22)는 트로프지지부재(41)에 나사 체결 고정되고, 트로프지지부재(41)의 저부에는 추부재(錘部材)(42)가 고정되어 있다. 트로프지지부재(41)는, 진동발생기구(43)를 통하여 기대(20)에 연결되어 있다. 진동발생기구(43)는 진동전달방지를 위한 스프링(44)을 통하여 기대(20)에 대하여 나사 체결된 브래킷(45)을 구비하여 있다. 이 브래킷(45)에는, 고정블록(46)이 고정되어 있다. 고정블록(46)에는 2개의 압전소자(진동발생기)(47A, 47B)의 하단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압전소자(47A, 47B)의 상단은 상기 트로프지지부재(41)에 고정된 고정블록(61)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압전소자(47A, 47B)에 전압을 인가하여 두께방향으로 신축시키면, 트로프지지부재(41)를 통하여 트로프(22)에 대하여 전후방향의 진동이 인가된다. 이 트로프(22)에 대하여 인가되는 진동강도, 즉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을 검출하기 위하여, 브래킷(45)에 진동센서(진동검출기)(48)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브래킷(45)의 후단측에는, 압전소자(47A, 47B)의 구동시에 브래킷(45)의 전후이동의 균형을 잡기 위한 밸런서(49)가 고정되어 있다.
호퍼(21)의 하단과 트로프(22)와의 사이에는 간극(隙間)이 설치되어 있고, 상단개구(21a)로부터 호퍼(21)에 투입된 산약은, 하단개구(21b)로부터 트로프(22) 상에 낙하한다. 트로프(22)에 낙하한 산약은 진동발생기구(43)에 의해 트로프(22)에 대하여 부여되는 진동에 의해 트로프(22) 상을 그 기단측으로부터 선단(22a)으로 이동하고, 선단(22a)으로부터 원반(6)의 외주홈(10)에 낙하한다. 트로프(22)로부터 원반(6)으로 낙하하는 산약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하여, 반사식의 산약낙하검출센서(50)가 설치되어져 있다.
제어장치(15)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와, 메모리, I/O포트 등의 주변회로 및 주변소자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장치(15)에는, D/A컨버터(51A, 51B, 51C, 51D)를 통하여 후술하는 작동램프(104A, 104B), 솔레노이드(39), 각도제어모터(33) 및 압전소자(47A, 47B)가 접속되어 있고, 이들은 제어장치(15)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제어장치(15)에는, A/D컨버터(52A, 52B, 52C)를 통하여, 각도정지센서(34)의 홀소자(37), 진동센서(48) 및 산약낙하검출센서(50)가 접속되어 있고, 이들 센서의 검출출력은 제어장치(15)에 입력된다.
조작패널(16)은, 각 산약공급장치(8A, 8B)에 대응하는 조절노브(수동모드전환기)(101A, 101B)를 구비하여 있다.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조절노브(101A, 101B)를 조작함으로써,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을 자동모드로부터 수동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조절노브(101A, 101B)를 조작함으로써, 수동모드에 있어서의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조절노브(101A, 101B)에 의해 설정된 진동강도는, 예를 들면 복수의 LED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레벨미터(103A, 103B)에 표시된다. 그리고, 조작패널(16)은,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을 수동모드로부터 자동모드로 되돌리기 위한 자동모드복귀스위치(자동모드복귀지령기)(102A, 102B)를 구비하여 있다. 더욱이, 조작패널(16)은, 각 산약공급장치(8A, 8B)가 작동중인지 아닌지를 표시하기 위한 작동램프(104A, 104B)를 구비하여 있다.
그밖에, 조작패널(16)에는, 각 산약공급장치(8A, 8B)의 호퍼(21)의 상단개구(21a)를 개폐하는(도시하지 않음) 것을 조작하기 위한 폐쇄스위치(106A, 106B) 및 개방스위치(107A, 107B), 약제공급장치 전체의 시동과 정지를 행하기 위한 스타트 스위치(108) 및 스톱 스위치(109), 그리고 포장수를 예를 들면 세그먼트 표시하는 표시부(110)를 구비하여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산약공급장치(8A, 8B)에 있어서의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의 제어에는, 제어장치(15)가 진동센서(48)의 검출출력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자동모드와, 오퍼레이터가 조작패널(16)의 조절노브(101A, 101B)를 조작하여 진동출력을 설정하는 수동모드가 있다. 조절노브(101A, 101B)가 조작되지 않는 한, 자동모드에서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이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자동모드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을 일정값으로 유지한 경우, 트로프(22) 상을 반송하여 선단(22a)으로부터 낙하하는 산약의 속도가 빠를수록 산약을 포함하는 트로프(22) 전체의 중량의 감소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압전소자(47A, 47B)에 대하여 인가할 필요가 있는 전압값의 저하속도도 빠르게 된다. 반대로, 트로프(22) 상을 반송하는 산약의 속도가 늦을수록 산약을 포함하는 트로프(22) 전체의 중량의 감소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일정의 진동출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압전소자(47A, 47B)에 대하여 인가할 필요가 있는 전압값의 저하속도도 느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을 일정값으로 유지한 경우, 트로프(22) 상에서의 산약의 반송속도와 압전소자(47A, 47B)에 인가되는 전압의 시간변화는 상관관계가 있다. 그래서, 제어장치(15)는 진동센서(48)의 검출출력에 근거하여 진동출력이 일정값으로 유지되도록 압전소자(47A, 47B)에 대한 인가전압을 제어하고, 일정시간간격(예를 들면 15초 간격)의 검사타이밍마다 압전소자(47A, 47B)에 대한 인가전압의 시간변화를 검사한다. 그리고, 인가전압의 감소속도가 목표값보다 클트로프(22) 상의 산약의 반송속도가 목표값보다도 빠를 경우에는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을 저하시키고, 인가전압의 감소속도가 목표값보다도 작은트로프(22) 상의 산약의 반송속도가 목표값보다도 늦을 경우에는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을 상승시킨다.
도 9를 참조하여 자동모드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V는 압전소자(47A, 47B)에 대하여 인가하는 전압을 도시하고, L은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인 진동레벨을 도시하고 있다. 진동레벨은, 몇 데시벨로부터 수십 데시벨 간격으로 설정되고 있고, 진동레벨이 클수록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이 크다. 이들의 점은 후술하는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시각(t0)에 스타트 스위치(108)가 조작되면, 제어장치(15)는 진동레벨이 초기값(이 예에서는 진동레벨「8」)에 달하기까지 압전소자(47A, 47B)에 인가되는 전압값을 증가시킨다. 시각(t1)에 진동레벨이 초기값에 달하면, 제어장치(15)는 그 진동레벨을 유지하도록, 압전소자(47A, 47B)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정한다. 시각(t1)으로부터 소정시간(α)이 경과한 시각(t2)에, 제어장치(15)는 시각(t1)부터 시각(t2)까지의 사이에 대하여 압전소자(47A, 47B)에 인가되는 전압의 감소속도를 검사한다.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압값의 감소속도가 목표값이면 진동레벨은 유지된다. 그러나, 전압의 감소속도가 가는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목표값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트로프(22) 상의 산약의 반송속도는 목표값보다도 저속이기 때문에, 진동레벨을 1랭크 증가시켜「9」로 설정하고, 이 진동레벨을 유지하도록 압전소자(47A, 47B)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정한다. 거꾸로, 전압의 감소속도가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목표값보다도 큰 경우에는, 트로프(22) 상의 산약의 반송속도는 목표값보다도 고속이기 때문에, 진동레벨을 1랭크 저하시켜「7」로 설정하고, 이 진동레벨을 유지하도록 압전소자(47A, 47B)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정한다. 이하, 소정의 시간간격(α)마다의 검사타이밍인 시각(t3, t4…)마다, 전압의 감소속도를 목표값과 비교하고, 그것에 따라서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레벨을 증감한다.
자동모드 실행 중에 오퍼레이터가 조절노브(101A)를 조작하면, 대응하는 산약공급장치(8A)가 구비하는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의 제어가 수동모드로 이행한다. 그리고, 수동모드 중에 오퍼레이터가 자동모드복귀스위치(102A)를 조작하면, 제어장치(15)는 대응하는 산약공급장치(8A)가 구비하는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의 제어를 수동모드로부터 자동모드로 되돌린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각(t2')까지는 자동모드이고, 진동레벨은「8」로 유지되어 있다. 시각(t2')에서 오퍼레이터가 조작패널(16)의 조절노브(101A)를 조작하여 진동레벨을「11」로 설정하면, 조절노브(101A)로 입력된 지령을 수신한 제어장치(15)는, 대응하는 산약공급장치(8A)가 구비하는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레벨이「11」로 되도록, 압전소자(47A, 47B)에 대한 인가전압을 순간적으로 상승시킨다. 시각(t2')부터는, 제어장치(15)는 진동센서(48)의 검출출력에 근거하여 수동 설정된 진동레벨「11」을 유지하도록, 압전소자(47A, 47B)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정한다. 시각(t3')에서 오퍼레이터가 조작패널(16)의 자동모드복귀스위치(102A)를 조작하여 복귀지령을 입력하면, 이 복귀지령을 수신한 제어장치(15)는 그 시점에서의 진동레벨「11」을 다음의 검사타이밍인 시각(t4)까지 유지한다. 시각(t4)부터는 진동레벨「11」을 기준으로 하여 자동모드를 재개한다. 구체적으로는, 시각(t4)의 시점에서, 시각(t3)부터 시각(t4)의 사이의 압전소자(47A, 47B)에 대한 인가전압의 감소속도를 검사하고, 그것에 따라서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레벨을 조정한다. 도 10의 예에서는, 감소속도는 목표값보다도 크기 때문에 진동레벨을 1랭크 내려서「10」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수동모드로부터 자동모드로의 복귀시에, 진동레벨을 소정시간 유지한 후, 그 진동레벨을 기준으로 하여 자동모드로 이행함으로써, 수동모드로부터 자동모드로의 복귀시에 압전소자(47A, 47B)의 출력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원반(6)으로의 산약의 공급량에 급격한 증감을 초래하는 일 없이, 수동모드로부터 자동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시각(t2')까지는 자동모드이고, 진동레벨은「8」에 유지되어 있다. 시각(t2')에 조절노브(101A)의 장치에 의해 진동레벨이「5」에 설정되면, 제어장치(15)는 진동레벨이「5」가 되도록 압전소자(47A, 47B)에 대한 인가전압을 순간적으로 저하시킨다. 시각(t2')부터는, 진동센서(48)의 검출출력에 근거하여 수동 설정된 진동레벨「5」를 유지하도록, 압전소자(47A, 47B)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정한다. 시각(t3')에서 오퍼레이터가 자동모드복귀스위치(102A)를 조작하여 복귀지령을 입력하면, 제어장치(15)는 그 시점에서의 진동레벨「5」를 다음의 검사타이밍인 시각(t4)까지 유지한다. 시각(t4)부터는 진동레벨「5」를 기준으로 하여 자동모드를 재개한다. 구체적으로는, 시각(t4)의 시점에서, 시각(t3)부터 시각(t4)의 사이의 압전소자(47A, 47B)에 대한 인가전압의 감소속도를 검사하고, 그것에 따라서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레벨을 조정한다. 도 11의 예에서는, 감소속도는 목표값보다도 작기 때문에 진동레벨을 1랭크 올려서「6」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산약공급장치(8A, 8B)에서는, 조절노브(101A, 101B)의 조작에 의해 트로프(22)에 대하여 진동을 인가하는 압전소자(47A, 47B)의 출력을 자동모드로부터 수동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게다가 수동모드에 있어서의 진동레벨을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노브(101A, 101B)와 자동모드복귀스위치(102A, 102B)를 조작함으로써,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의 제어를 자동모드와 수동모드의 그 어느 것으로도 자유로이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자동모드는,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진동센서(48)의 검출출력에 근거하여, 압전소자(47A, 47B)의 진동출력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라면 좋다. 그리고, 압전소자 이외의 소자나 기기에 의해 트로프에 대하여 진동을 인가하여도 좋다. 더욱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동모드로의 전환을 행하는 기능과, 수동모드에 있어서의 진동레벨을 설정하는 기능의 양쪽을 조절노브(101A, 101B)가 구비하여 있는데, 이들의 기능을 다른 스위치에 갖게 하여도 좋다. 더욱이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동모드로부터 자동모드로의 전환을 전용의 자동모드복귀스위치(102A, 102B)에 의해 행하도록 하여 있는데, 예를 들면, 폐쇄스위치(106A, 106B)와 개방스위치(107A, 107B)를 양쪽 동시에 조작한 경우에, 수동모드로부터 자동모드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약공급장치는, 트로프에 대하여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발생기의 출력을 수동모드전환기에 의해 자동모드로부터 수동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수동모드전환기에 의해 수동모드에 있어서의 진동발생기의 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오퍼레이터는 수동모드전환기를 조작함으로써, 진동발생기로부터 트로프에 대하여 인가되는 진동을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동모드전환기에 더하여, 자동모드복귀지령기를 더 구비하는 경우, 오퍼레이터는, 수동모드전환기와 자동모드복귀지령기를 조작함으로써, 진동발생기의 진동출력의 제어를 자동모드와 수동모드와의 사이에서 자유로이 전환할 수 있다.
더욱이, 제어부가 수동모드 중에 자동모드복귀지령기로부터의 지령을 수신하였을 때에, 이 지령을 수신한 시점의 진동강도를 소정시간 유지한 후에, 해당 진동기준값으로 하여 자동모드를 재개하는 경우에는, 수동모드로부터 자동모드로의 복귀시의 진동발생기의 급격한 출력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급대상으로의 산약의 공급량에 급격한 증감을 초래하는 일 없이, 수동모드로부터 자동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산약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약제포장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약제포장장치의 산약분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약제포장장치의 산약분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산약공급장치를 도시하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산약공급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산약공급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산약공급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조작패널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자동모드의 경우의, 시간과 압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압 및 진동센서의 검출출력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조절노브 및 자동모드복귀스위치를 조작한 경우의, 시간과 압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압 및 진동센서의 검출출력과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조절노브 및 자동모드복귀스위치를 조작한 경우의, 시간과 압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압 및 진동센서의 검출출력과의 관계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산약분배부 2 : 산약포장부
3 : 개폐도어 4 : 장치본체
5 : 테이블 6,7 : 원반
8A,8B : 산약공급장치 9 : 소출(搔出)장치
10 : 외주홈 11,12 : 구동모터
15 : 제어장치 16 : 조작패널
20 : 기대(機臺) 21 : 호퍼
21a : 상단개구 21b : 하단개구
22 : 트로프(trough) 22a : 선단
23 : 호퍼지지부 23a : 호퍼지지프레임
23b : 지지암(支持腕) 23c : 보조암(補助腕)
25 : 대좌부(臺座部) 27 : 회동부
29 : 캠팔로워 31 : 캠
33 : 각도제어모터 33a : 회전축
34 : 각도정지센서 35 : 자석
36 : 비검출부 37 : 홀소자
38 : 호퍼타격기구 39 : 솔레노이드
39a : 출력축 40 : 호퍼타격부재
41 : 트로프지지부재 42 : 추부재(錘部材)
43 : 진동발생기구 44 : 스프링
45 : 브래킷 46 : 고정블록
47A,47B : 압전소자 48 : 진동센서
49 : 밸런서 50 : 산약낙하검출센서
51A,51B,51C,51D : D/A컨버터 52A,52B,52C : A/D컨버터
60 : 퍼스널 컴퓨터 61 : 고정블록
101A,101B : 조절노브 102A,102B : 자동모드복귀스위치
103A,103B : 레벨미터 104A,104B : 작동램프

Claims (3)

  1. 트로프(trough)에 대하여 진동을 인가하고, 호퍼에서 상기 트로프로 낙하하는 산약을 공급대상을 향하여 반송(搬送)시키는 진동발생기와, 이 진동발생기의 진동출력을 검출하기 위한 진동검출기와, 적어도 이 진동검출기에 의한 검출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진동발생기의 진동출력을 제어하는 자동모드를 실행 가능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산약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모드로부터 수동모드로의 전환과, 이 수동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진동발생기의 진동출력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수동모드전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모드전환기로부터의 지령을 수신하면, 상기 진동검출기의 검출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수동모드전환기에 의해 설정된 진동강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진동발생기의 진동출력을 제어하는 수동모드를 실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약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모드로부터 상기 자동모드로 복귀를 지령하기 위한 자동모드복귀지령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모드복귀지령기로부터의 지령을 수신하면, 상기 진동발생기의 진동출력의 제어를 상기 수동모드로부터 상기 자동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약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모드 중에 상기 자동모드복귀지령기로부터의 지령을 수신하면, 이 지령을 수신한 시점의 진동강도를 소정시간 유지한 후, 해당 진동강도를 기준치로 하여 상기 자동모드를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약공급장치.
KR1020040024902A 2004-04-12 2004-04-12 산약공급장치 KR101020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902A KR101020620B1 (ko) 2004-04-12 2004-04-12 산약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902A KR101020620B1 (ko) 2004-04-12 2004-04-12 산약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725A true KR20050099725A (ko) 2005-10-17
KR101020620B1 KR101020620B1 (ko) 2011-03-09

Family

ID=3727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902A KR101020620B1 (ko) 2004-04-12 2004-04-12 산약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5661B (zh) * 2013-11-11 2016-01-13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中药颗粒给料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0295B2 (ja) * 1989-12-05 1998-06-25 株式会社産機 振動式搬送装置
JP2001106329A (ja) 1999-10-13 2001-04-17 Yuyama Manufacturing Co Ltd 振動フィー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620B1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8238B2 (en) Drug feeder
EP2862558B1 (en) Medicine filling device
KR101344617B1 (ko) 가루약 분배 장치
JP2004358216A (ja) モータ停止制御装置、及び、遊技機
MXPA03011363A (es) Soporte para recipiente de fluido de infusion.
KR101020620B1 (ko) 산약공급장치
JP4287121B2 (ja) 散薬供給装置
EP3235738A1 (en) Cassette for drug packaging
JP2009286451A (ja) 粉末充填装置
JPS5843282B2 (ja) 全自動散剤錠剤分包機
JP3495891B2 (ja) 薬剤分割包装装置
CN100462286C (zh) 散药供给装置
SE518326C2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vid djurbox med ändlöst band som golv
JP4734009B2 (ja) 粉体分包装置および粉体分包システム
KR100650287B1 (ko)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낙하량 조절장치
CN105793784B (zh) 用于自动灯具的共振运动抑制系统
JP2020174085A (ja) 基板搬送装置および基板搬送方法
EP4339110A2 (en) Automatic tablet feeding apparatus
JP6520123B2 (ja) 遊技機
JP5585510B2 (ja) 駆動装置
JP2716648B2 (ja) 粉体包装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878780B2 (ja) 組合せ秤におけるホッパゲートの駆動方法及び組合せ秤
JP2002053106A (ja) 整列装置
JPH09135099A (ja) 部品供給装置
JP2001241943A (ja) ドラムの回転位置決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