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9425A -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9425A
KR20050099425A KR1020040024773A KR20040024773A KR20050099425A KR 20050099425 A KR20050099425 A KR 20050099425A KR 1020040024773 A KR1020040024773 A KR 1020040024773A KR 20040024773 A KR20040024773 A KR 20040024773A KR 20050099425 A KR20050099425 A KR 20050099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food
hopper
housing
scr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학구
Original Assignee
박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학구 filed Critical 박학구
Priority to KR1020040024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9425A/ko
Priority to PCT/KR2005/001027 priority patent/WO2005097367A1/en
Publication of KR20050099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42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7Fe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35Means for conditioning the material to be pressed, e.g. paper shred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39Fluid remo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89Extrusion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소 혹은 일반 가정의 싱크대에 설치되어,이 싱크대의 배수구에 버려지는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 탈수하여 음식물 찌꺼기가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음식물 분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싱크대의 배수관과 직결되는 호퍼가 갖추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설되고 호퍼의 직하방측에 위치하여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의 하방에 위치하여 분쇄된 음식물을 이동시킴과 아울러 이를 가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부 및 이들을 연동 회전시키는 전동부로 구성된 음식물 처리기로써, 상기 하우징에 일렬로 설치되며, 적어도 3개 이상의 분쇄날이 등간격으로 갖추어진 한쌍의 분쇄롤;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등간격으로 갖추어진 긁기판이 각각의 분쇄날 사이에 끼워져 분쇄롤의 회전시 음식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의 음식물 분쇄장치{garbage disposal for crusher}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의 음식물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업소 혹은 일반 가정의 싱크대에 설치되어,이 싱크대의 배수구에 버려지는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 탈수하여 음식물 찌꺼기가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음식물 분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 가정 혹은 음식 업소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대다수가 많은 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토양 및 하천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컨데,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및 찌꺼기는 음식물 쓰레기처리법에 의거하여 침출수가 없는 상태로 건조시킨 상태에서 봉투에 담아 배출하도록 하여야 함에 불구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고, 침출수가 없는 상태로 건조하는 기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어, 아직도 많은 경우에 있어서는 수분이 잔여한 상태로 쓰레기 봉투에 담아 배출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하여 여름철과 같은 혹서기에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 주위로 파리등이 모이거나 곰팡이 등과 같은 세균이 번식하는 환경을 제공되고, 이 침출수가 하천 혹은 지하수로 스며들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장치가 시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더욱더 진보하여서 미생물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분해하고 교반하여서 히터로 수분을 제거함과 아울러, 이 때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플라즈마부재, 이온부재 및 필터부재등으로 된 탈취장치를 사용하여서 악취를 제거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들이 제공되어져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반 가정 및 업소에서는 싱크대 즉,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결되어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하고 이를 탈수시키는 음식물 처리장치도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음식물 처리장치는 대개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하천으로 흘려보내지 않고 이를 걸러내어 분쇄 및 탈수과정을 통해 별도로 수거하여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9783호의 음식물 처리장치를 살펴보면, 틀체내의 상측에 호퍼를 설치하고, 이의 외측에 편심캠을 갖는 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호퍼의 하측에 분쇄기를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하되, 이 분쇄기의 하측에 트위스트절편을 갖고 테이퍼진 스크류샤프트를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사프트의 일측부에 배출공과 배출구를 갖는 레듀셔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공의 외부측으로 여과망과 물받이통을 설치하되, 상기 레듀셔와 스크류샤프트의 압축부분 및 호퍼의 일측부에 발효균용약액통을 연결설치한 구성이다.
그런데, 이러한 장치는 분쇄기에 음식물이 점착되어 분쇄기가 쉽게 파손되고, 시간이 흐를 수록 분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분쇄 과정에서 분쇄기에 엉기게 되는 음식물을 이탈시킬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이를 닦아 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깨끗하게 이탈시킬 수도 없어 결국 음식물이 점착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은 음식물 분쇄기에 끼어 들수 밖에 없고 따라서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싱크대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분쇄, 탈취시키도록 하되 분쇄롤에 음식물이 점착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고장을 방지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어도 3개 이상의 분쇄날을 교차로 구비하여 음식물이 끼이거나 혹은 분쇄되지 않은 상태로 통과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효과적인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분쇄날에 경사도 혹은 곡률반경을 주어 음식물의 유입 및 파쇄가 용이하도록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싱크대의 배수관과 직결되는 호퍼가 갖추어진 하우징을 구비하고, 이 호퍼이 투입된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하되, 스크류 샤프트가 분쇄된 음식물을 이동시켜 배출함과 아울러 이를 가압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탈수시키는 음식물 처리기로써, 상기 호퍼의 직하방측에 일렬로 설치되며, 각각의 외주연에 갖추어진 적어도 3개 이상의 분쇄날이 교호로 맞물리는 원동 및 종동 분쇄롤;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등간격으로 갖추어진 긁기판이 상기 각 분쇄롤의 각각의 분쇄날 사이에 끼워져 분쇄롤의 회전시 음식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 상기 원동 및 종동 분쇄롤 각각에 설치되어 맞물리는 기어들로 구성되며, 이빨수를 달리하여 원동 및 종동 분쇄롤이 회전 속도에 차이를 갖도록 하는 전동수단;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분쇄롤은 호퍼에서 공급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서로 회전 속도를 달리하며 분쇄하도록 하되, 분쇄롤의 회전시 하우징에 설치된 스크레이퍼가 분쇄롤에 점착된 음식물을 긁어내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일측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분쇄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분쇄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분쇄 장치의 요부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식물 처리기(10)는 싱크대(1)의 싱크볼 일측 혹은 중앙에 위치하는 배수구(2)와 연통하는 호퍼(101)가 갖추어진 하우징(100)과, 상기 호퍼(101)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및 끼꺼기를 분쇄하는 분쇄부(200)와, 상기 분쇄부(200)를 통해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를 이동시킴과 아울러 이를 압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부(300)와 이들을 구동시키는 전동부(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의 설치공간(102)과 연통하는 호퍼(101)가 상부측에 설치되어, 싱크대(1)의 배수구(2)와 연결되고, 상기 설치공간 즉, 상부측 설치공간에는 후술하는 전동부(400)와 연결된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본 발명 분쇄 장치의 분쇄롤(210)(220) 한쌍이 설치되고, 이 분쇄롤(210)(220)의 직하부측에 위치하는 탈수부(300)가 설치된다.
상기 설치공간(102)의 하부측에는 배수공(121)이 형성되어 이 배수공(121)을 통해 음식물의 수분이 유로(120)를 통해 집수부(122)에 집수되도록 하되, 상기 유로는 출수관(130)과 연통한다.
다시 말해,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는 전면판(110)이 설치되고, 이 전면판의 전방측으로 출수관(130)이 조립되는데, 이 출수관(130)이 조립되는 위치에 상기 유로(120)와 연통하는 수분 유출공(112)이 형성되어 탈수시 출수관(130)에 집수되는 수분이 이 유출공(112)을 통해 유로(120)로 흘러 들어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출수관은 단부에 걸림턱(131)을 구비하여 끼워맞춤으로 전면판(110)에 조립되도록 하되, 경우에 따라 패킹 및 용접을 하여 누수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탈수부(300)는 설치공간과 출수관의 내측에 걸쳐 설치되는 스크류 샤프트(310)와 걸름부재 즉 걸름망(320)으로 구성되며, 하우징의 내측에는 탈수된 음식물 찌꺼기가 모아지는 수거통(3)이 갖추어진 구성이다.
상기 스크류 샤프트(310)는 금속 혹은 합성수지재가 사출 성형된 구성으로, 전방측에 경사부(312)를 구비하여 이 경사부(312)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그 대향측이 하우징(100)에 설치된 베어링(301)에 끼워진 상태로 전동부(400)와 연결되도록 하며, 외주연에는 나선의 스크류(311)가 돌출되도록 하되, 상기 스크류는 후방에서 전방측으로 갈 수록 피치가 점차 좁아지는 구성으로 음식물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도록 피치의 간격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동부(400)는 구동모터(410)와, 전동수단 즉 감아걸기 전동장치로써, 체인(430)과 스프로켓(420)이 갖추어진 구성으로, 상기 회전축(201)에 스프로켓(420)이 설치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스프로켓과 체인(420)이 감아져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되, 상기 구동축(411)에는 복수의 스프로켓이 설치되어 이중 하나는 본 발명 분쇄장치(200)의 원동 회전축(201)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탈수부(300)의 스크류 샤프트(310)와 연결되어 각각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분쇄장치(200)는 각각이 회전축(201),(201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동 및 종동 분쇄롤(210)(220)과, 이 각각의 분쇄롤을 긁어 음식물 찌꺼기가 점착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스크레이퍼(230)(240)로 구성되며, 원동 분쇄롤(210)의 동력이 종동분쇄롤(220)에 전달되어 연동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상기 원동 분쇄롤(210)의 회전축(201)은 상기 전동부(400)와 직결되고, 이 원동 회전축의 회전력은 전동수단(250) 즉, 원동 회전축에 설치된 원동기어(251)와 종동 회전축(201a)상에 설치된 종동기어(252)가 맞물려 회전하는 것으로, 이들 기어(251)(252)는 이빨수를 달리하여 한쌍의 분쇄롤(210)(220)이 각각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각각의 분쇄롤(210)(220)에는 적어도 3개 바람직하기로는 4개의 분쇄날(211)(221)이 갖추어져 있으며, 이들 분쇄날이 상호 교차 배치되어 회전하고, 스크레이퍼(230)(240)에는 분쇄날과 분쇄날 사이에 형성된 삽지부(212)(222)에 끼워져 이들 각각의 분쇄롤을 긁어 음식물이 탈리되도록 하는 긁기판(231)(241)이 갖추어진 구성으로, 상기 파쇄날(211)(221) 사이의 삽지부(212)(222)와 긁기판(231)(241)이 긴밀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정밀 가공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스크레이퍼는 하우징(100)의 설치공간(102) 좌우 벽면(103)에 조립되고, 상기 분쇄날(211)(221)은 적어도 4개 이상이 소정 경사각 혹은 곡률 반경으로 휘어져 이뿌리(213)(223)에 음식물이 끼워드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데, 상기 분쇄날(211)(221)은 회전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진 상태에서 이뿌리에 곡률을 주어 음식물이 얹혀질 경우 하방측으로의 회전시 자연스럽게 떨어지도록함으로써, 섬유질이 점착 즉 엉기는 형상을 방지하고, 아울러 음식물을 용이하게 끌고 들어가면 분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이뿌리(231)(223)의 하부측에 턱(260)을 두어 한쌍의 분쇄롤이 교호로 맞물렸을 때, 인접하는 다른 분쇄날이 이뿌리와 분쇄롤 사이 즉 모서리부위에 끼여진 음식물을 긁어 내도록 한다.
상기 분쇄날(211)(221)은 분쇄롤(210)(220)과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조립식 예컨데, 반원형 형태로 구성하여 롤에 조립되는 형태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분쇄장치는 호퍼(101)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을 분쇄하여 탈수부(300)측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먼저 호퍼(101)에 음식물이 투입되면 전동부(400)가 구동한다, 이때 전동부는 사용자의 임의 또는 감지센서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전동 모터(410)가 동작하면 이와 체인(430)으로 연결된 원동 회전축(201)이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기어 즉 원동 기어(251)와 맞물린 종동기어(252)가 회전하며 종동 분쇄롤(220)이 회전을 시작한다.
물론 원동 분쇄롤(210)과 종동 분쇄롤(220)은 기어들(251)(252)의 이빨수의 차이에 의하여 일측은 빨리, 다른 일측은 이보다 서서히 회전하면 호퍼에서 공급되는 음식물을 분쇄한다.
즉, 분쇄날(211)(221)이 회전하며 음식물을 강제로 삽지부(212)(222)측으로 끌어 당겨 파쇄하게 되고, 삽지부(212)(222)에 묻은 음식물은 이 삽지부에 조립된 스크레이퍼(230)(240)의 긁기판(231)(241)에 의해 이탈되어 다음 음식물이 파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분쇄된 음식물은 하부 공간(102)으로 떨어지게 되고, 스크류 샤프트(310)가 회전하며 음식물을 이송시키는데, 이때 음식물이 전방측으로 이동하면, 이 음식물이 점차 피치가 작아지는 스크류(311)에 의해 걸름망(320)과 사이에서 가압되며 탈수가 이루어지며 외부로 유출되어 수거통(3)에 모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은 출수관(130)의 내측을 따라 흘러 유출구(112)을 통해 유로(120)로 흘러 들어가 집수부(122)에 집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싱크대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음식물을 분쇄, 탈수시키도록 하되 분쇄롤에 음식물이 점착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고장을 방지하고, 적어도 3개 이상의 분쇄날을 교차로 구비하여 음식물이 끼이거나 혹은 분쇄되지 않은 상태로 통과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효과적인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분쇄날에 경사도 혹은 곡률반경을 주어 음식물의 유입 및 파쇄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일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분쇄 장치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분쇄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분쇄 장치의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식물 처리장치 100 : 하우징
102 : 상부 공간 110 : 전면판
120 : 유로 121 : 배수공
122 : 집수부 200 : 분쇄 장치
210, 220 : 분쇄롤 211, 221 : 분쇄날
230, 240 : 스크레이퍼 231, 241 : 긁기판
250 : 전동수단 300 : 탈수부
310 : 스크류 샤프트 320 : 걸름 부재
400 : 전동부 410 : 모터
420 : 체인

Claims (4)

  1. 싱크대의 배수관과 직결되는 호퍼가 갖추어진 하우징을 구비하고, 이 호퍼에 투입된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하되, 스크류 샤프트가 분쇄된 음식물을 이동시켜 배출함과 아울러 이를 가압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탈수시키는 음식물 처리기로써,
    상기 호퍼의 직하방측에 일렬로 설치되며, 각각의 외주연에 갖추어진 적어도 3개 이상의 분쇄날이 교호로 맞물리는 원동 및 종동 분쇄롤;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등간격으로 갖추어진 긁기판이 상기 각 분쇄롤의 각각의 분쇄날 사이에 끼워져 분쇄롤의 회전시 음식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
    상기 원동 및 종동 분쇄롤 각각에 설치되어 맞물리는 기어들로 구성되며, 이빨수를 달리하여 원동 및 종동 분쇄롤이 회전 속도에 차이를 갖도록 하는 전동수단;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분쇄롤은 호퍼에서 공급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서로 회전 속도를 달리하며 분쇄하도록 하되, 분쇄롤의 회전시 하우징에 설치된 스크레이퍼가 분쇄롤에 점착된 음식물을 긁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롤의 외주연에 적어도 3개 이상 분쇄날을 등간격으로 구비하되, 각 분쇄날의 이뿌리 하부측에 턱을 두어 파쇄시 이뿌리와 분쇄롤 사이의 모서리 부위에 끼여지는 음식물을 다른 분쇄롤의 분쇄날이 긁어 주도록 함과 아울러, 스크레이퍼의 긁기판이 삽입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평판으로 구성되고 등간격으로 긁기판이 돌출 구성되도록 하되, 분쇄롤의 저부 위치에서 하우징 내측벽에 고정 설치된 거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은 분쇄날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역으로 소정의 경사도 혹은 곡률 반경을 가지고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 장치.
KR1020040024773A 2004-04-10 2004-04-10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장치 KR2005009942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773A KR20050099425A (ko) 2004-04-10 2004-04-10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장치
PCT/KR2005/001027 WO2005097367A1 (en) 2004-04-10 2005-04-08 Crusher for garbage disposal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773A KR20050099425A (ko) 2004-04-10 2004-04-10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934U Division KR200354409Y1 (ko) 2004-04-10 2004-04-10 음식물 처리기의 음식물 분쇄장치
KR1020060130398A Division KR100784257B1 (ko) 2006-12-19 2006-12-19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425A true KR20050099425A (ko) 2005-10-13

Family

ID=3512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773A KR20050099425A (ko) 2004-04-10 2004-04-10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099425A (ko)
WO (1) WO200509736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851B1 (ko) * 2007-04-20 2008-01-14 (주)백두 음식물 쓰레기 건조처리장치
KR100818738B1 (ko) * 2006-09-27 2008-04-01 조찬기 고속 교반구조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염분 제거장치
KR200447985Y1 (ko) * 2009-03-11 2010-03-08 주식회사 태영피에이치에스 음식물 쓰레기 절삭장치
KR101419881B1 (ko) * 2013-07-18 2014-07-15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탄 제조 장치
WO2017082504A1 (ko) * 2015-11-13 2017-05-18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탄 제조 장치
KR102268015B1 (ko) * 2020-03-07 2021-06-21 장정훈 음식물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8545A (zh) * 2020-02-24 2020-06-23 四川健骑士生物科技有限公司 餐余垃圾螺旋破碎分选装置
CN111686897B (zh) * 2020-06-23 2021-08-31 萧县众科电磁检测有限公司 一种用于绞肉机的自清洁装置
CN113333072B (zh) * 2021-04-29 2023-04-25 山东德隆博德尔环保装备发展有限公司 一种金属垃圾破碎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783Y1 (ko) * 1998-10-28 2001-01-15 문융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0315928B1 (ko) * 1998-11-30 2002-10-12 김영덕 음식 쓰레기 분쇄장치
KR200197006Y1 (ko) * 2000-01-29 2000-09-15 조송준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수거장치
JP2001334212A (ja) * 2000-05-26 2001-12-04 Tajiri:Kk 廃棄物の選別処理装置
JP3700159B2 (ja) * 2002-07-19 2005-09-28 有限会社城戸工業 食品廃棄物脱水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38B1 (ko) * 2006-09-27 2008-04-01 조찬기 고속 교반구조를 갖는 유기성 폐기물 염분 제거장치
KR100792851B1 (ko) * 2007-04-20 2008-01-14 (주)백두 음식물 쓰레기 건조처리장치
KR200447985Y1 (ko) * 2009-03-11 2010-03-08 주식회사 태영피에이치에스 음식물 쓰레기 절삭장치
KR101419881B1 (ko) * 2013-07-18 2014-07-15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탄 제조 장치
WO2017082504A1 (ko) * 2015-11-13 2017-05-18 주식회사 포스코 성형탄 제조 장치
KR102268015B1 (ko) * 2020-03-07 2021-06-21 장정훈 음식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97367A1 (en)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4257B1 (ko)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장치
KR100642670B1 (ko) 음식물 처리기의 클러치
KR10179200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WO2005097367A1 (en) Crusher for garbage disposal apparatus
KR2010004006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55249B1 (ko) 음식물 처리기의 탈수 장치
KR200354409Y1 (ko) 음식물 처리기의 음식물 분쇄장치
KR100753808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KR200354407Y1 (ko) 음식물 처리기의 탈수 장치
KR200356326Y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050099423A (ko) 음식물 처리장치
JPH022439Y2 (ko)
CN114405975A (zh) 一种餐饮业用餐厨垃圾环保节能高温处理机构及方法
KR19990069845A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0405262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45458B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
KR20034188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9980050103A (ko) 산업용 폐수 여과기
KR200354410Y1 (ko) 음식물 처리기의 클러치
KR10102045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57041Y1 (ko) 잔반 처리장치
CN210340500U (zh) 切割式一体化隔油设备
CN112726753A (zh) 一种家用水槽下湿垃圾深化处理器及其控制方法
KR10024960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214210800U (zh) 一种厨余垃圾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