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9399A - 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 - Google Patents

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9399A
KR20050099399A KR1020040024697A KR20040024697A KR20050099399A KR 20050099399 A KR20050099399 A KR 20050099399A KR 1020040024697 A KR1020040024697 A KR 1020040024697A KR 20040024697 A KR20040024697 A KR 20040024697A KR 20050099399 A KR20050099399 A KR 20050099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frames
track
hydraulic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6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81615B1 (en
Inventor
유성호
Original Assignee
유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호 filed Critical 유성호
Priority to KR1020040024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615B1/en
Publication of KR20050099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3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61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5/00Drawing-pins, Thumb-t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1/00Expanded, threaded, driven, headed, tool-deformed, or locked-threaded fastener
    • Y10S411/923Nail, spike or tack having specific head structure

Landscapes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굴삭기가 탑재된 선로작업용 가변차륜카에 관한 것으로, 궤도의 레일과 같이 평행하게 형성된 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전,후륜이 장착되어 있는 양측 가변프레임과; 상기 궤도의 레일 폭보다는 좁은 폭을 가지면서 양측 가변프레임의 중간에 수평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후 양측 저부에 각각 한쌍씩 형성된 채 양측 가변프레임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개구된 상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전,후방 실린더형 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전,후방 실린더형 프레임 각각의 개구부를 통해 출몰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채 타단은 양측 가변프레임의 전,후방측에 고정 연결되어 양측 가변프레임을 동시에 지지플레이트쪽으로 이동시키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을 담당하는 전,후방 피스톤형 프레임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부에 서로 대칭상으로 고정 부착된 채 피스톤로드의 선단은 양측 가변프레임 각각에 대칭상으로 부착되어 지지플레이트를 기준하여 양측 가변프레임의 폭을 동시에 좁혀주거나 넓혀주는 가변작동을 담당하는 복수의 가변용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가변차륜카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wheel car for a track work on which a small excavator is mounted, comprising: both side variable frames having front and rear wheels moving along a rail while being formed in parallel with a rail of a track; A support plate fixed horizontally in the middle of both side variable frames while having a narrower width than the rail width of the track; A front and rear cylindrical frame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of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d fixedly opened in opposite directions toward both side variable frames with a pair formed at both bottoms thereof; One end is fixedly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both variable frames while the other end is fixedly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cylindrical frames to simultaneously move both variable frames toward the support plate or vice versa. A front and rear piston-type frame which is in charge of the operation of making it; The front end of the piston rod is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nd the front end of the piston rod is symmetrically attached to each of the variable frames on both sides to perform a variable operation of simultaneously narrowing or widening the widths of the variable frames on the basis of the support plate. It is an invention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variable wheel car including a plurality of variable hydraulic cylinder.

Description

철도 및 지하철 선로작업용 가변차륜카{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

본 발명은 지하철(전철 포함) 및 철도 선로의 궤도에 관련된 각종 유지보수작업, 신설작업, 개량공사 등을 보다 능률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 및 지하철 선로작업용 가변차륜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wheel car for railway and subway track work that can perform a variety of maintenance work, new work, improvement work related to the track of the subway (including train) and railway track more efficiently and efficiently.

현재 운행되고 있는 철도의 경우는 선로가 대부분 지상에 설치되어 있고, 지하철의 경우에는 선로가 주로 지하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지하철에서는 선로를 지하에 설치할 수 없는 구간에서는 선로를 지상으로 노출시킨 구조로 선로가 건설되고 있다.In the case of railways currently operating, most of the tracks are installed on the ground, and in the case of subways, the tracks are mainly installed underground, and in the section where the tracks cannot be installed underground, the tracks are exposed to the ground. The track is being built.

상기와 같은 철도 및 지하철은 선로에 설치된 궤도(레일, 침목, 체결구)의 안전여부 상태와 그 주변 구조물의 이상 유무를 수시로 점검하고 있으며, 또한 차량운행의 안전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궤도에 관련된 각종 유지보수작업 및 개량공사를 시행하고 있다.The railways and subways as mentioned above check the safety status of tracks (rails, sleepers, fasteners) installed on the tracks and the abnormality of the surrounding structures at regular intervals. Maintenance work and improvement work is being carried out.

그리고 선로의 궤도 유지보수작업 및 개량공사 등을 시행하고자 할 때에는 열차가 장시간 동안 운행되지 않는 시간대를 택하여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철도의 경우에는 선로가 지상에 설치되는 관계로 각 역에는 열차가 운행되는 선로를 포함하여 다른 열차의 진입이나 작업차량 등을 대피시킬 수 있는 복수의 보조선로가 설치되어 있고 또 열차의 운행시간이 비교적 긴 시간의 격차가 있기 때문에 열차가 운행되고 있는 선로에 작업차량 및 작업인원을 투입하여 궤도의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나, 지하철의 경우에는 열차가 운행되고 있는 시간대에는 궤도의 유지 및 보수작업을 진행할 수 없는 형편이다.In addition, when conducting track maintenance and improvement work of railroad tracks, construction is conducted by selecting a time when trains are not operated for a long time.In the case of railroads, trains are installed at each station because railroad tracks are installed on the ground. There are a plurality of auxiliary tracks that allow evacuation of other trains, work vehicles, etc., including running tracks, and there is a gap between trains operating on the train.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maintenance work of the track by inputting the workforce, but in the case of the subway train is not able to proceed with the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track.

지하철의 경우는 교통량의 증가로 열차의 운행시격이 점점 더 짧아지고 있고, 또한 승객의 증가로 인하여 선로의 궤도가 손상되는 현상이 심하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궤도를 유지 및 보수작업을 할 수 있는 시간은 마지막 열차의 운행이 종료되는 시간에서부터 다음의 첫 열차의 운행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시간대에만 유지보수작업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국내 지하철의 경우에는 통상 선로가 복선으로 설치되어 있고, 첫 열차는 각기 정해진 출발역에서 대략 오전 5시 전후로 하여 출발하고 있으며, 마지막 열차는 대략 자정에서부터 오전 2시까지 운행되고 있기 때문에 지하철 선로의 유지보수작업은 마지막 열차의 운행이 종료된 시간에서부터 첫 열차의 운행이 시작되기 전의 시간대에만 유지보수작업이 가능하며, 또한 지하철의 경우는 지상에 선로가 설치되는 철도와는 달리 지하에 선로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성상 각 역구간마다 열차를 대피시킬 수 있는 보조선로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특별히 정한 역구간에서 인접한 지상에 지하선로와 연결되는 기지창을 만들어놓고 그 기지창에서 열차를 점검하거나 또는 지하선로의 유지보수작업 등을 수행하는 각종 장비를 대기시켜놓고 있다가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시간대에 장비와 작업인원을 지하선로에 투입하여 궤도의 유지보수작업 등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case of the subway, the speed of operation of trains is getting shorter and shorter due to the increase of traffic volume, and the track track is damaged due to the increase of passengers, while the time to maintain and repair the track Maintenance can only be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from the end of the last train operation until the start of the next first trai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domestic subway, the track is usually installed by double tracks, and the first trains depart at about 5 am from each of the designated departure stations, and the last trains operate from about midnight to 2 am Maintenance work on the track can only be performed during the time period from when the last train stopped, but before the start of the first train.In the case of the subway, unlike the railway where the track is installed on the ground, Due to the nature of the installation, it is not possible to install an auxiliary track to evacuate the train in each station section. Therefore, in the specially designated station section, make a base window connected to the underground line and check the train at the base window or There is a variety of equipment waiting for maintenance In the car equipment and personnel working in the zone it does not operate on underground lines with a situation such that the maintenance of the track.

종래 기술에서 선로에 투입되는 장비로는 궤도에서 자주식으로 이동하는 모터카와, 작업인원 및 각종 작업용 도구를 운반하는 운반차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모터카 및 운반장비는 열차가 운행되지 않은 시간에 기지창에서 출발하여 공사현장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또 공사현장에서 다시 기지창으로 되돌아가는데 소요되는 시간 동안에는 작업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시간대에 공사현장에서 공사할 수 있는 실질적인 작업시간은 매우 짧을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자는 시간에 쫓기어 완벽한 보수공사를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사례가 초래되고 있다. 만약 궤도의 보수공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부실하게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그로 인하여 열차운행이 위험에 노출되어 운행사고를 유발시키게 된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In the prior art, the equipment input to the track is composed of a motor car moving on tracks and a self-propelled vehicle, and a transport vehicle carrying work people and various work tools. The actual working time that can be constructed at the construction site when the train is not operating is not possible because the work cannot be performed during the time required to move from the construction site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back to the base window. This can only be very short, which causes workers to be lost in time and unable to perform a complete refurbishment. If the reconstruction of the track is not done properly but poorly,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he train operation is exposed to danger and cause driving accidents.

또한 상기한 모터카 및 운반차량으로는 지하 선로의 벽면에 발생된 균열의 점검 및 보수공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으며, 또 선로에 깔아놓은 자갈 등을 제거하는 작업이나 침목, 레일 등을 교체하는 작업에 있어서는 작업자의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궤도의 유지보수작업 등이 비효율적이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otor cars and transport vehicles cannot efficiently inspect and repair the cracks generated on the walls of the underground tracks, and remove the gravel from the tracks, or replace the sleepers and rails. In this situation, the maintenance work of the track was inefficient because it was dependent on the manpower of the work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선로의 궤도에서 자주식으로 이동하면서 선로의 이상유무를 점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점검 및 유지보수작업 도중에 열차가 운행되는 시간에 이르러서는 기지창으로 복귀하지 않고 그 점검 및 유지보수작업현장에서 자체적으로 궤도에서 이탈하여 열차운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대피할 수 있는 가변차륜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가변차륜카에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게 하는 의자를 장착하거나 또는 리프트장치를 장착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지하 선로의 점검 및 보수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또한 가변차륜카에 소형 굴삭기를 탑재하여 선로의 개량작업시 침목, 레일 등과 같은 중량물을 운반하기 용이하고 선로 바닥에 깔려있는 자갈 등을 퍼낼 수 있는 등 여러 가지의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all the problems shown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abnormality of the track while moving in the track orbit of the track as well as the time that the train is running during the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ariable wheel car that can be evacuated from its own track at the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site without being disturbed by train operation. The other purpose is to equip the chair to be able to sit down or to install the lift device so that the operator can efficiently perform the inspection and repair work of the underground track. For heavy work such as sleepers and rails, It was invented for another purpose in order to be able to carry out various tasks quickly, such as easy to fall on and the pebbles laid on the track flo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궤도의 레일과 같이 평행하게 형성된 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전,후륜이 장착되어 있는 양측 가변프레임과;Both side variable frames having front and rear wheels mounted along the rail while being formed in parallel with the rail of the track;

상기 궤도의 레일 폭보다는 좁은 폭을 가지면서 양측 가변프레임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진 채 양측 가변프레임의 중간에 레일방향을 향해 수평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A support plate fixed horizontally toward the rail in the middle of both variable frames while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rail width of the track and having the same length as both variable frames;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후 양측 저부에 각각 한쌍씩 형성된 채 양측 가변프레임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개구된 상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전,후방 실린더형 프레임과;A front and rear cylindrical frame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of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d fixedly opened in opposite directions toward both side variable frames with a pair formed at both bottoms thereof;

일단은 상기 전,후방 실린더형 프레임 각각의 개구부를 통해 출몰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채 타단은 양측 가변프레임의 전,후방측에 고정 연결되어 양측 가변프레임을 동시에 지지플레이트쪽으로 이동시키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을 담당하는 전,후방 피스톤형 프레임과;One end is fixedly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both variable frames while the other end is fixedly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cylindrical frames to simultaneously move both variable frames toward the support plate or vice versa. A front and rear piston-type frame which is in charge of the operation of making it;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부에 서로 대칭상으로 고정 부착된 채 피스톤로드의 선단은 양측 가변프레임 각각에 대칭상으로 부착되어 지지플레이트를 기준하여 양측 가변프레임의 폭을 동시에 좁혀주거나 넓혀주는 가변작동을 담당하는 복수의 가변용 유압실린더와;The front end of the piston rod is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nd the front end of the piston rod is symmetrically attached to each of the variable frames on both sides to perform a variable operation of simultaneously narrowing or widening the width of the variable frame on the basis of the support plate. A plurality of variable hydraulic cylinders;

상기 양측 가변프레임 각각에 장착된 전,후륜 중 어느 일측 차륜에 장착되어 그 차륜을 전,후진 구동시켜주는 차륜구동용 유압모터;A wheel driving hydraulic motor mounted on one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mounted on each of the variable frames to drive the wheel forward and backward;

를 포함하여 양측 가변프레임을 신축조절시켜서 가변차륜카를 궤도에 설치 및 이탈시킬 수 있고, 또한 궤도에 설치된 가변차륜카가 자주식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t can be installed and detached to the variable wheel car on the track by adjusting the flexible frame on both sides, including, and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wheel car installed on the track can be configured to run independently.

그리고, 상기 양측 가변프레임 각각에는 전,후륜을 궤도에서 탈선시키거나 복귀시키기 위하여 양측 가변프레임을 승강작동시킬 수 있는 승강용 유압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더 포함하여 가변차륜카를 구성하되,And, each of the variable frame side comprises a variable wheel car further comprises a lifting hydraulic device capable of lifting up and down both sides of the variable frame in order to derail or return the front, rear wheels in the track,

상기 승강용 유압장치는 양측 가변프레임 각각의 저부에 고정 부착된 고정케이싱과; 상기 고정케이싱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케이싱과; 상기 상,하부 케이싱 내부에 설치된 채 실린더몸체의 후단은 하부케이싱에 연결되어 있고 피스톤로드 선단은 상부케이싱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용 실린더와; 상기 상,하부 케이싱 내부에 "X"자형으로 설치된 채 상,하단이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부 케이싱에 연결되어 되어 있는 복수의 지지링크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The lifting hydraulic apparatus includes a fixed casing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of each of the two variable frames; A lower casing installed on the fixed casing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 lifting cylinder having a rear end of the cylinder body connected to the lower casing and a piston rod end connected to the upper casing while being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casings; The upper and lower casing is installed in a "X" shape while the upper and low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 link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casing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또한 상기 승강용 유압장치의 하부케이싱에는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채 소형 유압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양측에 축착된 채 하부가 하부케이싱이 하단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동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In addition, the lower casing of the lifting hydraulic device is rotatably supported by a small hydraulic motor with both ends rotatably supported, and a moving roller with the lower casing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while being fixed to both sides of the rotating shaft. Is characterized in that is installed,

또한, 상기 가변차륜카의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차륜구동용 유압모터·가변용 유압실린더·승강용 유압장치 및 소형 유압모터에 유압을 공급 및 회수하는 유압제어장치와, 작업자가 앉은 자세로 선로를 점검할 수 있게 하는 회전의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of the variable wheel car includes a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and recover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wheel driving hydraulic motor, the variable hydraulic cylinder, the lifting hydraulic device, and the small hydraulic motor, and the track in the sitting position of the opera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wivel chair to enable

또한, 상기 가변차륜카의 지지플레이트에는 유압제어장치와, 이 유압제어장치의 유압제어작동으로 승강작동되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of the variable wheel ca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ydraulic control device and a lift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by the hydraulic control operation of the hydraulic control device,

또한, 상기 가변차륜카의 지지플레이트 상면에는 소형 굴삭기가 선회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mall excavator is pivotally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upper surface of the variable wheel car.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가변차륜카의 측면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 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D-D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를 레일에서의 탈선 또는 복원시키기 위한 승강용 유압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를 레일에서 탈선시켜 선로를 벗어난 위치에 대피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를 지하선로의 궤도에서 대피시키는 일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하여 지하철의 구조에 대한 평면 단면도 및 정면 단면도이며,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side view of a variable wheel car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ariable wheel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2 to show the operating state of the variable wheel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4, and FIGS. 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6.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lifting hydraulic apparatus for derailing or restoring a car on a rail, and FIGS. 9 to 11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showing that the variable wheel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railed from a rail and evacuated to a position off the track. And FIG. 13 is a plan sectional view and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subway to show an embodiment of evacuating the variable wheel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rack of the underground line, Figures 14 and 1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will.

도면부호 1은 가변차륜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가변차륜카(1)는 좌,우 양측에 일정길이로 형성된 양측 가변프레임(2a)(2b)과, 이 양측 가변프레임의 양단 저부 각각에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 전,후방 차륜브라켓(21)(22)들 각각에는 전,후륜(23)(24)이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 전,후륜 중 전륜(23)은 전방 차륜브라켓(21)에 장착되어 있는 유압모터(25)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회전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variable wheel car, and the variable wheel car 1 protrudes downward on both side variable frames 2a and 2b formed at predetermined length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bottoms of both ends of the variable frame. In each of the front and rear wheel brackets 21 and 22 formed, the front and rear wheels 23 and 24 are freely rotatable, and the front wheels 23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mounted to the front wheel bracket 21. It is configured to rotate by itself by the hydraulic motor 25.

또한 상기 가변차륜카(1)의 양측 가변프레임(2a)(2b)은 궤도의 양측 레일(R)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지지플레이트(3)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 레일(R)과 같은 폭으로 넓어지거나 또는 좁은 폭으로 좁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3)의 전,후방 저부에는 각기 두개씩의 전,후방 실린더형 프레임(4a-1,4b-)(4a-2,4b-2)이 양측 가변프레임을 향하도록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또 상기한 전,후방 실린더형 프레임(4a-1,4b-1)(4a-2,4b-2)들 각각에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출몰가능하게 전,후방 피스톤형 프레임(41)(42)이 삽입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한 전,후방 피스톤형 프레임 각각의 자유단은 양측 가변프레임(2a)(2b)의 전,후방 내측에 용접 등의 결합구조로서 고정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variable frame (2a) (2b) of the variable wheel car (1) has the same width as both rails (R) on the basis of the support plate (3)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both rails (R) of the track. It is configured to be widened or narrowed to a narrow width, for this purpose, the front and rear bottom of the support plate (3), respectively, two front and rear cylindrical frame (4a-1, 4b-) (4a-2, 4b-2) are fixed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variable frame, and the front and rear cylindrical frames 4a-1 and 4b-1 and 4a-2 and 4b-2 are respectively opposite to each other. The front and rear piston-type frames 41 and 42 are inserted and installed so that the free end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piston-type frames can be inserted in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both side variable frames 2a and 2b. It is fixedly connected as a coupling structure such as welding.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의 저부에는 복수개의 가변용 유압실린더(5a)(5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피스톤로드(51)(52)를 출몰시킬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피스톤로드(51)(52) 각각의 선단은 양측 가변프레임(2a)(2b)에 고정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variable hydraulic cylinders 5a and 5b are fixed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3 so as to project the piston rods 51 and 52 in opposite directions. The tip of each of the 51 and 52 is fixedly connected to both side variable frames 2a and 2b.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5a)(5b)가 동시에 작동하여 피스톤로드(51)(52)를 함께 출현작동시켰을 때에는 양측 가변프레임(2a)(2b)이 양측 레일(R)과 같은 폭을 갖도록 넓혀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피스톤로드(51)(52)를 몰입작동시켰을 때에는 양측 가변프레임(2a)(2b)이 지지플레이트(3)쪽으로 이동하여 양측 레일(R)의 폭보다는 좁아지게 되므로서 상기 가변차륜카(1)는 양측 가변프레임(2a)(2b)의 전,후방에 설치된 전,후륜(23)(24) 차륜폭을 양측 레일(R)과 같은 폭으로 확장 또는 양측 레일의 폭보다 훨씬 좁은 폭으로 축소되도록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hydraulic cylinders 5a and 5b operate simultaneously and the piston rods 51 and 52 appear and operate together, both variable frames 2a and 2b are widen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rails R on both sides. On the contrary, when the piston rods 51 and 52 are immersed in operation, both side variable frames 2a and 2b move toward the support plate 3 and become narrower than the widths of the rails R on both sides. The car 1 extends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23 and 24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both side variable frames 2a and 2b to the same width as both side rails or is much narrower than the width of both side rails. It can be changed to be reduced in width.

상기 가변차륜카(1)의 양측 가변프레임(2a)(2b)를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도록 연결하고 있는 전,후방 실린더형 프레임(4a-1,4b-1)(4a-2,4b-2) 및 이들 각 실린더형 프레임에 출몰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전,후방 피스톤형 프레임(41)(42)은 각형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3) 상부에 설치되는 유압제어장치(10a)와 회전의자(10b), 또는 유압제어장치(10a)와 리프트장치(10c), 또는 소형 굴삭기(10d)의 중량을 지탱할 수 있는 각형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에서의 유압제어장치(10a)는 차륜구동용 유압모터(25), 가변용 유압실린더(5a)(5b), 승강용 유압장치(6), 소형 유압모터(71) 및 리프트장치(10c)를 구동시키는 유압을 제어하는 것이며, 상기의 리프트장치(10c)는 상,하로 승강조절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선로의 천정을 점검 및 보수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상기의 소형 굴삭기(10d)는 선회장치(11)에 의하여 360°선회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인력으로는 어려운 작업 예를 들면, 침목이나 레일을 운반하는 작업이나 선로에 깔려있는 자각을 퍼내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Front and rear cylindrical frames (4a-1, 4b-1) (4a-2, 4b-2) which are connected to expand and contract both side variable frames (2a) and (2b) of the variable wheel car (1) And the front and rear piston-type frames 41 and 42 installed in such a manner as to be retractably inserted into each of the cylindrical frames, the hydraulic control apparatus 10a and the rotary chair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late 3 are formed as a square tube. 10b or the hydraulic control device 10a and the lift device 10c, or a rectangular pipe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small excavator 10d, wherein the hydraulic control device 10a is a wheel drive. To control the hydraulic pressure for driving the hydraulic motor 25, the variable hydraulic cylinders 5a and 5b, the lifting hydraulic device 6, the small hydraulic motor 71 and the lifting device 10c. The device 10c is controlled to move up and down to allow the operator to efficiently check and repair the ceiling of the track. The above-mentioned small excavator 10d is installed by the turning device 11 to be capable of turning 360 ° so that it is difficult for manpower, for example, to carry a sleeper or a rail, or to awaken on the track. Do something like scoop it out.

상기 가변차륜카(1)의 양측 가변프레임(2a)(2b) 각각의 중간부분 저부에는 가변차륜카(1) 자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승강용 유압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At the bottom of the middle portion of each of the variable frame cars 2a and 2b of the variable wheel car 1, a lifting hydraulic device 6 capable of lifting the variable wheel car 1 itself is provided.

상기에서의 승강용 유압장치(6)는 양측 가변프레임(2a)(2b) 각각의 저부에 고정 부착된 상부케이싱(61)과, 이 상부케이싱을 감싼 상태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케이싱(62)과, 상기 상,하부 케이싱 내부에 "X"자형으로 설치된 두개의 지지링크(63)(64)와, 하부케이싱(62)을 승강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승강용 실린더(65)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두개의 지지링크(63)(64) 각각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상부롤러(66)는 상부케이싱(61) 내상단 양측에 수평상으로 대설된 상부안내레일(67)을 따라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의 지지링크(63)(64) 각각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하부롤러(68)는 하부케이싱(62)의 내하부 양측에 수평상으로 대설되어 있는 하부안내레일(69)을 따라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승강용 실린더(65)는 그 실린더몸체의 후단(도면상으로 볼 때 하단부분)은 하부케이싱(62)에 핀축으로 부착되어 있고 그 피스톤로드의 선단(도면상으로 볼 때 상단부분)은 상부케이싱(61)에 핀축으로 부착되어 있다.The lifting hydraulic apparatus 6 in the above is an upper casing 61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of each of the variable frames 2a and 2b on both sides, and a lower part which is installed to be moved up and down while wrapping the upper casing. It consists of a casing 62, two support links 63 and 64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casings in an "X" shape, and a lifting cylinder 65 provided to lift the lower casing 62. The upper roller 66 rotatably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two support links 63 and 64 has an upper guide rail 67 horizont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casing 61. The lower roller 68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support links 63 and 64 and horizontally installed on both inner lower sides of the lower casing 62. It is installed to move horizontally along the lower guide rail (69), the lifting The cylinder 65 has a rear end of the cylinder body (lower part in the view) attached to the lower casing 62 with a pin shaft, and the front end of the piston rod (upper part in the view) is attached to the upper casing 61. ) Is attached to the pin shaft.

그리고 상기 승강용 유압장치(6)는 하부케이싱(62)의 하단측에 전,후륜을 향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수평설치된 회전축(7)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소형 유압모터(71) 및 하부케이싱(62)의 하단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축착되는 이동롤러(7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hydraulic apparatus 6 includes a rotating shaft 7 horizontally installed at a lower end side of the lower casing 62 in a rotatable state toward the front and rear wheels, a small hydraulic motor 71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and a lower casing. It further comprises a moving roller 72 which is condensed on both sides of the rotary shaft so as to project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62).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1)로서 지하철의 지하선로의 점검 및 보수작업 등을 수행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performing the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of the underground line of the subway as a variable wheel ca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12 및 도 13은 지하철의 지하선로를 평면 및 정면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지하철은 통상 2대의 열차가 교행할 수 있도록 복선상태 즉, 좌,우측 선로(8a)(8b)가 터널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선로(8a)(8b)의 바닥에는 서로 평행하는 양측 레일(R)이 각기 침목에 받쳐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좌,우측 선로들 사이에는 지지기둥(81)들이 일정간격으로 연속해서 설치되는 중간공간부(S)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중간공간부(S)는 양측 선로 각각에 설치되는 양측 레일(R)의 폭(S1)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1)는 레일의 폭(S1)보다 작은 폭으로 축소된 상태로 중간공간부(S)의 지지기둥(81) 사이에 대피하게 되더라도 열차는 아무런 방해없이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있게 된다.12 and 13 illustrate the underground line of the subway in a plan view and a front sectional view. In the subway, a double track state, that is, left and right tracks 8a and 8b are formed in a tunnel structure so that two trains can cross each other. At the bottom of each track (8a) (8b), both rails (R) parallel to each other is installed in a state supported by the sleepers, and between the left and right tracks, support columns 81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The intermediate space portion S is formed continuously, and the intermediate space portion S is formed to have a width larger than the width S 1 of both rails R provided on each of the two tracks. Therefore, the variable-wheel of the present invention car 1, even if the evacuation between the support columns 81 of the intermediate space section (S) in a reduced state with a width less than the width (S 1) of the rail train is normally operated without any hindrance You can do it.

따라서 상기 가변차륜카(1)를 선로(8a)(8b)에 진입시켜서 자주식으로 선로의 점검 및 보수작업을 진행하는데, 상기 가변차륜카(1)의 지지플레이트(3)에 유압제어장치(10a)와 함께 회전의자(10b)가 장착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그 회전의자(10b)에 앉은 자세로 유압제어장치(10a)를 조작하면서 가변차륜카(1)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키면서 점검등(부호 생략)으로 양측 선로의 벽면이나 천정을 조명하여 점검 및 보수하는 것이며, 상기 가변차륜카(1)에 유압제어장치(10a)와 함께 리프트장치(10c)가 장착된 실시예의 경우는 리프트장치(10c)를 상승작동시켜서 선로의 천정을 정밀하게 점검하거나 또는 보수하는 것이며, 상기 가변차륜카(1)에 소형 굴삭기(10d)가 탑재되어 있는 실시예의 경우는 그 소형 굴삭기(10d)를 이용하여 인력으로 하기 힘든 작업으로서 침목, 레일과 같은 중량물을 운반하는 작업이나 선로에 깔려있는 자갈을 퍼내는 작업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variable wheel car 1 enters the tracks 8a and 8b so that the tracks can be inspected and repaired independently. The hydraulic control device 10a is applied to the support plate 3 of the variable wheel car 1. In the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the rotary chair 10b is mounted together with the swivel chair 10b, the operator operates the hydraulic control device 10a in a posture while sitting on the rotary chair 10b, while moving the variable wheel car 1 forward or backward. (Omitted symbol) illuminates the walls and ceilings of both tracks to check and repair, and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variable wheel car 1 is equipped with a hydraulic control device 10a and a lift device 10c. In the case where the small wheeled excavator 10d is mounted on the variable wheel car 1, the small wheeled excavator 10d is used to precisely check or repair the ceiling of the track by operating the lifter 10c. Spit as work that is hard to do with manpower , It would be to perform a gravel underlying the operation or a track carrying a heavy object, such as a rail or the like efficiently task of the buffer.

이하에서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1)를 양측 선로의 레일(R)에 설치되어 자주식으로 이동하는 작동상태 및 레일(R)에서 벗어나 양측 선로(8a)(8b) 사이의 중간공간부(S)로 대피하는 데 따른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the variable wheel ca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ails R of both tracks, and the intermediate space between the tracks 8a and 8b between the rails R and both the tracks 8a and 8b. The operational status of evacuation to) will be explained.

도 2 및 도 4의 도시는 각 선로에 설치된 양측 레일(R) 위에 가변차륜카(1)의 전,후륜(23)(24)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에는 가변용 유압실린더(5a)(5b)가 피스톤로드(51)(52)를 출현작동시킨 상태이며, 이에 따라 전,후방 실린더형 프레임(4a-1,4b-1)(4a-2,4b-2) 각각에서 전,후방 피스톤형 프레임(41)(42)들이 좌,우 양측으로 출현작동하여 양측 가변프레임(2a)(2b)이 양측 레일(R)의 폭만큼 확장되어 전,후륜(23)(24)이 양측 레일(R) 위에 지지된 상태이며, 이와 같이 양측 궤도에 전,후륜이 이동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가변차륜카(1)는 회전의자(10b)에 앉아있는 작업자가 유압제어장치(10a)를 운전조작하는 작동이나 또는 소형 굴삭기(10d)의 운전석에 앉아있는 작업자의 운전조작으로 차륜구동용 유압모터(25)를 전진방향 또는 후진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전륜(23)을 전진 또는 후진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어 가변차륜카(1) 자체를 레일(R) 위에서 자주식으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고, 또한 상기한 차륜구동용 유압모터(25)의 구동속도를 증감시킬 수 있으므로 가변차륜카(1)의 전,후진 속도를 조절 운전하면서 선로를 주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가변차륜카(1)에 탑승한 상태에서 선로를 이동하면서 점검 및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또 선로의 궤도교체작업시에는 그 작업현장으로 신속하게 출동하여 빠른 시간내에 접근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변차륜카(1)에 인력과 장비 및 재료들이 실어나를 수 있는 운반차량(도시 없음)을 연결하여 이동시키게 되면 점검 및 보수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2 and 4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wheels 23 and 24 of the variable wheel car 1 are supported on both rails R provided on each track, and in this case, the hydraulic pressure for the variable The cylinders 5a and 5b are in a state in which the piston rods 51 and 52 appear and operate. Accordingly, the front and rear cylindrical frames 4a-1 and 4b-1 and 4a-2 and 4b-2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piston-type frame (41) (42) appeared to operate i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both variable frame (2a) (2b) is extended by the width of both rails (R) front and rear wheels (23) (24) ) Is supported on both rails (R), the variable wheel car (1) installed in the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movable on both tracks in this way, the operator sitting on the rotary chair (10b) the hydraulic control device (10a) Can drive the wheel driving hydraulic motor 25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or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sitting in the driver's seat of the small excavator 10d. Accordingly, the front wheel 23 can be driven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variable wheel car 1 itself can be independently advanced or reversed on the rail R, and the wheel driving hydraulic motor ( Since the driving speed of 25)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the track can be driven while adjusting the forward and backward speeds of the variable wheel car 1. Therefore, the worker can carry out the inspection and repair work while moving on the track while riding in the variable wheel car (1). In addition, by connecting a moving vehicle (not shown) capable of carrying manpower, equipment, and materials to the variable wheel car 1 and moving i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erform inspection and repair work.

상기와 같이 지하철이 운행되지 않는 시간대에 가변차륜카(1)를 타고 선로를 이동하면서 선로의 점검작업 및 보수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그 작업시간이 길어져 지하철이 운행되는 시간대에 이르기까지 작업을 해야할 때에는 작업자는 기지창으로 복귀하지 않고 지하철이 운행되기 바로 전 시간까지 작업을 수행하다가 지하철이 운행되는 시간에 이르면 가변차륜카(1)를 선로에서 이탈시켜 양측 선로의 중간부분(S)에 가변차륜카(1)를 대피시키고 작업자들만 선로에서 빠져오게 되면 지하철은 안전하게 선로를 운행하게 된다.When performing the inspection work and maintenance work of the track while moving the track by the variable wheel car (1) when the subway is not in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ork time is long and it is necessary to work until the time when the subway is operated. The worker does not return to the base window, but works until the time just before the subway is operated, and when the time is reached, the variable wheel car 1 is separated from the track so that the variable wheel car ( If you evacuate 1) and only the workers get out of the track, the subway will run safely.

상기와 같이 이와 같이 가변차륜카(1)를 지지기둥(81) 사이로 대피시키는데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evacuating the variable wheel car 1 between the support pillars 81 will be described.

도 1은 유압제어장치(10a)와 회전의자(10b)가 탑재된 가변차륜카(1)의 측면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양측 가변프레임(2a)(2b) 각각의 저부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용 유압장치(6)는 하부케이싱(62)이 상승작동된 상태에서는 그 하부케이싱과 레일(R) 사이에는 침목의 두께보다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그 공간으로 가변차륜카(1)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받침목(9)을 삽입시키는데, 상기한 받침목은 양측 레일(R)에 걸쳐진 상태에서 지지기둥(81)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받침목(9)은 승강용 유압장치(6)의 하부케이싱(62) 하단에 돌출된 양측 이동롤러(72)의 밑에 위치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그 받침목(9) 위에 상기한 양측 이동롤러(72)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91)을 설치한다.(도 9 참조)FIG. 1 shows a side structure of a variable wheel car 1 in which a hydraulic control device 10a and a rotating chair 10b are mounted, and are provided in the middle part of the bottom of each of the two variable frames 2a and 2b. The lifting hydraulic apparatus 6 has a space wid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leeper between the lower casing and the rail R when the lower casing 62 is operated up. Therefore, a support neck 9 is inserted into the space capable of sufficiently supporting the load of the variable wheel car 1, and the support neck is installed to extend to the support pillar 81 in a state spanning both rails R, In addition, the supporting member (9) is located above the two moving rollers (72) protruding from the lower casing (62) lower end of the lifting hydraulic device (6) above the both sides of the moving roller (9) A guide rail 91 for guiding the movement of 72 is provided. (See FIG. 9).

상기와 같이 받침목(9)과 안내레일(91)의 설치가 완료되면 승강용 실린더(65)를 작동시켜 피스톤로드를 출현시키게 되면 그 피스톤로드의 출현되는 길이에 따라 하부 케이싱(62)이 하향으로 확장되는 상태가 되며, 또한 "X"자형으로 연결된 지지링크(63)(64)가 상,하부 안내레일(67)(69)를 따라 이동하면서 하부케이싱의 하향 이동을 도와주게 되는데(도 7 및 도 8 참조), 이때 승강용 실린더(65)의 피스톤로드 출현장동에 따라 하강이동되는 하부케이싱(62)은 양측 이동롤러(72)가 안내레일(91)에 안착 지지되는 상태가 되면 더이상 하강되지 않게 되는 반면에, 상부케이싱(61)이 상승이동하면서 양측 가변프레임(2a)(2b)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용 실린더(65)의 작동으로 양측 가변프레임(2a)(2b)이 상승이동하게 되면 전,후륜(23)(24)도 상승이동하게 되어 결국 전,후륜은 레일(R)에서 상향으로 탈선된다.(도 10 참조)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neck 9 and the guide rail 91 is completed, the lifting cylinder 65 is operated to show the piston rod, and the lower casing 62 moves downward according to the appearing length of the piston rod. It is in an extended state, and the support links 63 and 64 connected in an “X” shape move along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67 and 69 to assis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lower casing (FIG. 7 and 8, the lower casing 62, which is moved downward in accordance with the piston rod appearance drive of the lifting cylinder 65, is not lowered any more when both moving rollers 72 are seated and supported by the guide rails 91. On the other hand, the upper casing 61 is moved upward to lift both sides of the variable frame (2a) (2b). When the variable frame (2a) (2b) on both sides moves up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cylinder (65) in this way, the front and rear wheels (23) and (24) also move up and down, and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upwardly moved from the rail (R). (See FIG. 10).

상기와 같이 승강용 유압장치(6)의 상승작동에 의하여 전,후륜이 레일에서 탈선된 상태가 되면 소형 유압모터(71)를 구동시켜서 회전축(7)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7)의 양측에 축착된 채 함께 회전하게 되는 양측 이동롤러(72)은 안내레일(91)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서 가변차륜카(1)는 받침목(9)에 설치된 안내레일(91)을 타고 선로를 벗어나 지지기둥(81) 사이로 이동하게 된다.(도 11 참조)As described above, when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derailed from the rails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hydraulic device 6, the small hydraulic motor 71 is driven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7, thereby rotating the rotating shaft 7. Both moving rollers 72 that are rotated together while being condensed on both sides of the) are moved along the guide rails 91, so that the variable wheel car 1 rides on the guide rails 91 installed on the support 9. And move between the support columns 81 (see FIG. 11).

상기 가변차륜카(1)가 선로를 벗어나 중간공간부(S)에 설치된 지지기둥(81) 사이로 완전히 이동시킨 상태가 되면 소형 유압모터(71)를 정지시키고, 지지플레이트(3)에 설치되어 있는 가변용 유압실린더(5a)(5b)를 작동시켜 피스톤로드(51)(52)를 몰입시키게 되면 양측 가변프레임(2a)(2b)은 전,후방 피스톤형 프레임(41)(42)들을 전,후방 실린더형 프레임(4a-1,4b-1)(4a-2,4b-2)으로 몰입시키면서 지지플레이트(3)의 양측에 밀착되는 상태로 축소되어지며(도 3 및 도 5 참조), 이와 같이 양측 가변프레임(2a)(2b)이 완전히 축소 가변된 상태가 되면 앞서 가변차륜카(1)를 상승시켰던 승강용 유압장치(6)의 승강용 실린더(65)를 작동시켜 그 피스톤로드를 몰입시키게 되면 상,하부 케이싱(61)(62)은 축소되며, 이에 따라 가변차륜카(1)도 하강하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하강하는 가변차륜카(1)의 전,후륜(23)(24) 밑에 미리 준비하고 있던 차륜고정 받침대(부호 생략)를 고여놓고 전,후륜을 받쳐주게 되면 가변차륜카(1)는 지지기둥(81) 사이에 안정된 상태로 놓여지게 된다.When the variable wheel car (1) is off the track and completely moved between the support pillars 81 installed in the intermediate space (S), the small hydraulic motor (71) is stopped and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3). When the hydraulic hydraulic cylinders 5a and 5b are operated to immerse the piston rods 51 and 52, the two variable frames 2a and 2b move the front and rear piston-type frames 41 and 42. While being immersed into the rear cylindrical frames 4a-1, 4b-1 (4a-2, 4b-2), the film is reduced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3 (see FIGS. 3 and 5). Likewise, when both sides of the variable frame (2a) (2b) is completely reduced and variable state, the lifting cylinder 65 of the lifting hydraulic device (6), which previously raised the variable wheel car (1), is operated to immerse the piston rod. When the upper and lower casing (61, 62) is reduced, the variable wheel car (1) is also lowered accordingly, where the variable car is lowered When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supported by placing the wheel fixing brackets (not shown) previously prepared under the front and rear wheels 23 and 24 of the car 1, the variable wheel car 1 is located between the support columns 81. It is placed in a stable state.

한편, 상기와 같이 가변차륜카(1)의 양측 가변프레임(2a)(2b)를 지지플레이트(3) 양측에 밀착시킨 상태로 축소시켰을 때의 가변차륜카의 좌,우 폭은 지하철의 양측 선로(8a)(8b) 사이에 형성된 중간공간부(S)의 폭보다 훨씬 작을 뿐 아니라 양측 선로(8a)(8b)를 동시에 교행운행하게 되는 열차들 사이의 공간 폭보다도 작은 상태이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variable wheel cars when the variable frame cars 2a and 2b of the variable wheel car 1 are reduc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3 are as follows. Not only is it muc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intermediate space S formed between (8a) and (8b) but also is smaller than the space width between the trains that make the two tracks (8a) and (8b) cross at the same time.

따라서 상기 가변차륜카(1)는 양측 가변프레임(2a)(2b)을 축소시켜서 양측 선로(8a)(8b)의 중간공간부(S)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지지기둥(81) 사이에 주차시켜 놓게 되더라도 열차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므로서 열차는 안전운행을 하게 된다.Therefore, the variable wheel car 1 is reduced between the two sides of the variable frame (2a) (2b) and parked between the support pillars 81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intermediate space (S) of both the tracks (8a) (8b). If you let go, the train will operate safely because it will not interfere with train operation.

그리고 선로에서 공사를 재개하고자 할 때에는 앞서 가변차륜카(1)를 지지기둥(81) 사이로 이동시킬 때의 작동순서와는 역순으로 작동시켜 레일(R)로 진입시킬 수 있으므로 열차운행시간이 종료되면 그 즉시로 가변차륜카(1)를 궤도로 진입시켜서 곧바로 공사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공사하는 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되고, 또 소형 굴삭기를 이용하여 공사를 진행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능률적으로 선로공사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And when the construction is to be resumed on the track, the operation sequence when the variable wheel car 1 is moved between the support pillars 81 can be operated in the reverse order to enter the rail R. As soon as the variable wheel car 1 can be entered into the track and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ime for the actual construction, and the construction can be carried out using a small excavator, so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track can be carried out efficiently and efficiently. It becomes possibl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는 선로에서 자주식으로 이동할 수 있어 선로의 공사현장으로의 이동 및 접근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선로에서 작업하는 도중에 열차 및 지하철이 운행되는 시간이 다가오게 되더라도 기지창으로 대피하지 않고 그 공사현장에서 자체적으로 대피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길게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서 선로의 점검 및 보수작업을 보다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유압제어장치와 회전의자가 탑재된 가변차륜카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회전의장에 편안하게 앉은 자세로 점검등을 비춰주면서 선로를 점검할 수 있어 점검작업 및 보수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 유압제어장치와 리프트장치가 탑재된 가변차륜카의 경우에는 리프트장치를 상승작동시켜서 선로의 천정을 정밀하게 점점 및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 소형 굴삭기가 탑재된 가변차륜카의 경우에는 소형 굴삭기를 이용하여 침목이나 레일 등과 같은 중량물을 운반하거나 선로 바닥에 깔려있는 자갈을 퍼낼 수 있어 적은 작업원으로도 궤도의 교체공사와 같은 비교적 큰 공사까지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e variable wheel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on a track in a self-propelled manner, and thus the movement and access of the track to the construction site are easy, and the time when the train and the subway run while working on the track approaches. Since it is possible to evacuate itself at the construction site without evacuating to the base window, it is possible to secure a long working time, so that the inspection and repair work of the track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and the hydraulic control device and rotation In the case of a variable wheeled car equipped with a chair, the operator can check the track while showing the inspection light in a sitting position comfortably in the revolving chair, so that the inspection work and maintenance work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the hydraulic control In the case of a variable wheel car equipped with a device and a lift device, the lift device is operated by lifting the ceiling of the track. In the case of a variable wheel car equipped with a small excavator, a small excavator can be used to carry heavy loads such as sleepers or rails or to remove gravel from the bottom of the track.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provides the effect that the worker can easily perform even a relatively large construction, such as replacement of the track.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가변차륜카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variable wheel car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 1의 A-A선 단면도.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1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ariable wheel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 2의 B-B선 단면도.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ure 2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ariable wheel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도 7 및 도 8은 도 6의 D-D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를 레일에서의 탈선 또는 복원시키기 위한 승강용 유압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6,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the lifting hydraulic apparatus for derailing or restoring the variable wheel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를 레일에서 탈선시켜 선로를 벗어난 위치에 대피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9 to 11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evacuation of the variable wheel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osition off the track by derailing from the rail.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를 지하선로의 궤도에서 대피시키는 일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하여 지하철의 구조에 대한 평면 단면도 및 정면 단면도.12 and 13 are plan sectional and front sectional views of the structure of the subway to show an embodiment of evacuating the variable wheel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rack of the underground line.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14 and 15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 : 가변차륜카 10a : 유압제어장치1: variable wheel car 10a: hydraulic control device

10b : 회전의자 10c : 리프트장치10b: Swivel chair 10c: Lift device

10d : 소형 굴삭기10d: mini excavator

11 : 선회장치 2a,2b : 가변프레임11: Swinging device 2a, 2b: Variable frame

21,22 : 차륜브라켓 23,24 : 전,후륜21,22: Wheel bracket 23,24: Front, rear wheel

25 : 차륜구동용 유압모터 3 : 지지플레이트25: hydraulic motor for wheel drive 3: support plate

4a-1,4b-1 : 전방 실린더형 프레임4a-1,4b-1: Front cylindrical frame

4a-2,4b-2 : 후방 실린더형 프레임4a-2,4b-2: rear cylindrical frame

41,42 : 전,후방 피스톤형 프레임41,42: Front and rear piston frame

5a,5b : 가변용 유압실린더 51,52 : 피스톤로드5a, 5b: Variable hydraulic cylinder 51,52: Piston rod

6 : 승강용 유압장치 61,62 : 상,하부 케이싱6: lifting hydraulic device 61,62: upper and lower casing

63,64 : 지지링크 65 : 승강용 실린더63,64: support link 65: lifting cylinder

66,68 : 상,하부 롤러 67,69 : 상,하부 안내레일66,68: Upper and lower rollers 67,69: Upper and lower guide rails

7 : 회전축 71 : 소형 유압모터7: rotating shaft 71: small hydraulic motor

72 : 이동롤러 8a,8b : 선로72: moving roller 8a, 8b: track

81 : 지지기둥 9 : 받침목81: support pillar 9: support

91 : 안내레일 R : 레일91: guide rail R: rail

S : 중간공간부 S1 : 궤도의 폭S: intermediate space S 1 : width of track

Claims (6)

궤도의 레일과 같이 평행하게 형성된 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전,후륜이 장착되어 있는 양측 가변프레임과;Both side variable frames having front and rear wheels mounted along the rail while being formed in parallel with the rail of the track; 상기 궤도의 레일 폭보다는 좁은 폭을 가지면서 양측 가변프레임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진 채 양측 가변프레임의 중간에 레일방향을 향해 수평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A support plate fixed horizontally toward the rail in the middle of both variable frames while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rail width of the track and having the same length as both variable frames;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후 양측 저부에 각각 한쌍씩 형성된 채 양측 가변프레임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개구된 상태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전,후방 실린더형 프레임과;A front and rear cylindrical frame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of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d fixedly opened in opposite directions toward both side variable frames with a pair formed at both bottoms thereof; 일단은 상기 전,후방 실린더형 프레임 각각의 개구부를 통해 출몰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채 타단은 양측 가변프레임의 전,후방측에 고정 연결되어 양측 가변프레임을 동시에 지지플레이트쪽으로 이동시키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을 담당하는 전,후방 피스톤형 프레임과;One end is fixedly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both variable frames while the other end is fixedly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cylindrical frames to simultaneously move both variable frames toward the support plate or vice versa. A front and rear piston-type frame which is in charge of the operation of making it;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부에 서로 대칭상으로 고정 부착된 채 피스톤로드의 선단은 양측 가변프레임 각각에 대칭상으로 부착되어 지지플레이트를 기준하여 양측 가변프레임의 폭을 동시에 좁혀주거나 넓혀주는 가변작동을 담당하는 복수의 가변용 유압실린더와;The front end of the piston rod is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nd the front end of the piston rod is symmetrically attached to each of the variable frames on both sides to perform a variable operation of simultaneously narrowing or widening the width of the variable frame on the basis of the support plate. A plurality of variable hydraulic cylinders; 상기 양측 가변프레임 각각에 장착된 전,후륜 중 어느 일측 차륜에 장착되어 그 차륜을 전,후진 구동시켜주는 차륜구동용 유압모터와;A wheel driving hydraulic motor mounted on one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mounted on each of the variable frames to drive the wheel forward and backward; 상기 양측 가변프레임 각각에는 전,후륜을 궤도에서 탈선시키거나 복귀시키기 위하여 양측 가변프레임을 승강작동시킬 수 있는 승강용 유압장치;Each of the two variable frames includes a lifting hydraulic device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both variable frames to derail or return the front and rear wheels from the track; 를 포함하여 가변차륜카를 궤도에 설치 및 이탈시킬 수 있고, 또 궤도에서 자주식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및 지하철 선로작업용 가변차륜카.A variable wheel car for railroad and subway track work, including a variable wheel car can be installed and detached from the track, and configured to run independently on the trac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승강용 유압장치는 양측 가변프레임 각각의 저부에 고정 부착된 고정케이싱과; 상기 고정케이싱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케이싱과; 상기 상,하부 케이싱 내부에 설치된 채 실린더몸체의 후단은 하부케이싱에 연결되어 있고 피스톤로드 선단은 상부케이싱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용 실린더와; 상기 상,하부 케이싱 내부에 "X"자형으로 설치된 채 상,하단이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부 케이싱에 연결되어 되어 있는 복수의 지지링크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및 지하철 선로작업용 가변차륜카.The lifting hydraulic apparatus includes a fixed casing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of each of the two variable frames; A lower casing installed on the fixed casing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 lifting cylinder having a rear end of the cylinder body connected to the lower casing and a piston rod end connected to the upper casing while being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casings; Variable wheels for railway and subway track work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link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casings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can be horizontally moved while the upper and lower casings are installed in an "X" shape. Ka.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승강용 유압장치의 하부케이싱에는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채 소형 유압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양측에 축착된 채 하부가 하부케이싱이 하단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동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및 지하철 선로작업용 가변차륜카.The lower casing of the lifting hydraulic apparatus has a rotating shaft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by both hydraulic motors while being supported at both ends thereof, and a moving roller whose lower casing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while being fixed to both sides of the rotating shaft. Variable wheel car for railway and subway track 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변차륜카의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차륜구동용 유압모터·가변용 유압실린더·승강용 유압장치 및 소형 유압모터에 유압을 공급 및 회수하는 유압제어장치와, 작업자가 앉은 자세로 선로를 점검할 수 있게 하는 회전의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및 지하철 선로작업용 가변차륜카.The support plate of the variable wheel car includes a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and recover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wheel driving hydraulic motor, the variable hydraulic cylinder, the lifting hydraulic device, and the small hydraulic motor, and the operator to sit on the track. The variable wheel car for railway and subway track 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wivel chai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변차륜카의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차륜구동용 유압모터·가변용 유압실린더·승강용 유압장치 및 소형 유압모터에 유압을 공급 및 회수하는 유압제어장치와, 이 유압제어장치의 유압제어작동으로 승강작동되는 리프트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및 지하철 선로작업용 가변차륜카.The support plate of the variable wheel car includes a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and recover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wheel driving hydraulic motor, the variable hydraulic cylinder, the lifting hydraulic device and the small hydraulic motor, and the hydraulic control operation of the hydraulic control device. Variable wheel car for railway and subway track 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operating lif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변차륜카의 지지플레이트 상면에는 상기 차륜구동용 유압모터·가변용 유압실린더·승강용 유압장치 및 소형 유압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소형 굴삭기가 선회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및 지하철 선로공사용 가변차륜카.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of the variable wheel car, a wheeled hydraulic motor, a variable hydraulic cylinder, a lifting hydraulic device, and a small excavator capable of driving a small hydraulic motor are rotatably mounted. Variable wheel car for railway workers.
KR1020040024697A 2004-04-10 2004-04-10 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 KR1005816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697A KR100581615B1 (en) 2004-04-10 2004-04-10 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697A KR100581615B1 (en) 2004-04-10 2004-04-10 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399A true KR20050099399A (en) 2005-10-13
KR100581615B1 KR100581615B1 (en) 2006-05-23

Family

ID=37278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697A KR100581615B1 (en) 2004-04-10 2004-04-10 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615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531A (en) * 2014-09-29 2016-04-06 (주)엘더스티앤엘 Heavy machinery vehicle moving on rail
CN106740915A (en) * 2017-01-07 2017-05-31 中国人民解放军镇江船艇学院 A kind of new training car of reviewing troops
CN108791352A (en) * 2018-06-12 2018-11-13 吉林大学 A kind of the active rail changing device and method of gauge-changeable bogie
CN112477891A (en) * 2020-11-13 2021-03-12 深圳市希德威科技发展有限公司 Device for saf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subway and rail transit
CN113728759A (en) * 2021-07-29 2021-12-03 盐城市农业机械试验鉴定站 Agricultural is with seeding tectorial membran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077B1 (en) 2010-12-16 2011-09-21 (주)코리아테크놀러지사이언스 A railroad round ca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531A (en) * 2014-09-29 2016-04-06 (주)엘더스티앤엘 Heavy machinery vehicle moving on rail
CN106740915A (en) * 2017-01-07 2017-05-31 中国人民解放军镇江船艇学院 A kind of new training car of reviewing troops
CN108791352A (en) * 2018-06-12 2018-11-13 吉林大学 A kind of the active rail changing device and method of gauge-changeable bogie
CN108791352B (en) * 2018-06-12 2019-10-15 吉林大学 A kind of the active rail changing device and method of gauge-changeable bogie
CN112477891A (en) * 2020-11-13 2021-03-12 深圳市希德威科技发展有限公司 Device for saf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subway and rail transit
CN113728759A (en) * 2021-07-29 2021-12-03 盐城市农业机械试验鉴定站 Agricultural is with seeding tectorial membrane device
CN113728759B (en) * 2021-07-29 2024-04-12 盐城市农业机械试验鉴定站 Agricultural seeding tectorial membran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1615B1 (en)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969171A3 (en) Machine for replacing elements of railway track
US201100523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railway rails
KR100809040B1 (en) A self rerailing device of railway motor car
PL176099B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prefabricated railway track sections
JP2002021006A (en) Track replacing device
CN201635019U (en) Detection mechanism for steel box girder bridge
KR100581615B1 (en) 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
KR101232224B1 (en) working vehicle for working in the high position
JPH1082005A (en) Track execution machine for excavating ballast material of track skeleton
JP4916146B2 (en) Railway vehicle with derailment recovery device
JP4270401B2 (en) Railway maintenance vehicle
CN105756701A (en) U-shaped steel beam transportation equipment for coal mine excavation roadway
US2576426A (en) Lifting frame for the assembly, repair, and cleaning of motor cars
US4324186A (en) Convertible rail-highway lateral track set off apparatus
KR100581612B1 (en) 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
CN215751762U (en) Dual-purpose mobile platform of rail with clearance barrier function
RU2411137C1 (en) Selective travel-gear transport facility
KR102203793B1 (en) Removable rail equipment maintenance workbench
CN214874789U (en) Landing stage case roof beam transfer car (buggy)
FI112627B (en) A method for converting a road and rail vehicle from road to rail
CN111133172A (en) Transport and transport system for tunnel buildings
DE3503504A1 (en) Gondola lift for passenger transport
KR101262736B1 (en) A operating car for a constucting tunnel or safety diagnosis
JP2003064604A (en) Track bed processing device
JPH0738076U (en) Rail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