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612B1 - 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 - Google Patents

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612B1
KR100581612B1 KR1020040024698A KR20040024698A KR100581612B1 KR 100581612 B1 KR100581612 B1 KR 100581612B1 KR 1020040024698 A KR1020040024698 A KR 1020040024698A KR 20040024698 A KR20040024698 A KR 20040024698A KR 100581612 B1 KR100581612 B1 KR 100581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rail
track
sides
wheel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6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99400A (en
Inventor
유성호
Original Assignee
양회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회성 filed Critical 양회성
Priority to KR1020040024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612B1/en
Publication of KR20050099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4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6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6/00Indexing scheme related to dedicated interfaces for computers
    • G06F2206/10Indexing scheme related to storage interfaces for computers, indexing schema related to group G06F3/06
    • G06F2206/1008Graphical user interface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및 지하철 선로작업용 가변차륜카에 관한 것으로, 선로에서 점검 및 보수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전,후륜이 양측 레일에 안착된 상태에서 자주식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는 열차의 운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대피시키기 위하여 전,후륜을 레일에서 이탈시키는 승강장치와 신축조절되는 양측 가변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는 가변차륜카를 양측 레일의 설치높이가 서로 다른 곡선선로에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낮은 쪽의 레일 상방에 위치하는 일측 가변프레임을 높은 쪽의 레일 상방에 위치하는 타측 가변프레임과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양측 가변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수평조절장치를 전,후륜의 각 상방과 양측 가변프레임의 전,후 양측 사이에 설치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wheel car for railway and subway track work, and when performing inspection and repair work on the track, the front and rear wheels can move freely in the state seated on both rails, In order to evacuate the operation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from the rail, a variable wheel car with a lifting frame and a telescopic variable frame on both sides can be used to work on curved tracks with different installation heights of both rails. A horizontal control device that adjusts the height of both variable frames so that one side of the variable fram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ail is horizontal with the other side of the high frame on the upper side of the rail. Foo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between both sides before and after A.

지하철, 철도, 가변차륜카, 가변프레임, 유압제어장치Subway, railway, variable wheel car, variable frame, hydraulic control device

Description

철도 및 지하철 선로작업용 가변차륜카{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가변차륜카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variable wheel car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의 차륜폭이 신축조절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 1의 A-A선 단면도.2 and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1 for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wheel width of the variable wheel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retched and adjusted.

도 4 및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의 차폭이 신축조절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양측 가변프레임의 작동상태도.4 and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ure 2, the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both sides of the variable frame to show that the vehicle width of the variable whe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retched and adjusted.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를 레일에서 탈선 및 복귀시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승강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Figure 6 and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fting device to show that the variable wheel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derailed and returned from the rail.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를 곡선선로에서 작업하기 위하여 양측 가변프레임을 수평상태로 조절하는 수평조절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Figure 8 and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rizontal control device for adjusting both sides of the variable frame in the horizontal state in order to work on the curved track of the variable wheel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를 레일에 결속시키기 위한 레일결속장치의 작동상태도.10 and 11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rail binding device for binding the variable wheel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rail.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 : 가변차륜카 10a : 유압제어장치1: variable wheel car 10a: hydraulic control device

10b : 회전의자 2a,2b : 가변프레임10b: Swivel chair 2a, 2b: Variable frame

21,22 : 전,후방 차륜브라켓 23,24 : 전,후륜21,22: Front and rear wheel brackets 23,24: Front and rear wheels

25 : 차륜구동용 유압모터 3 : 지지플레이트25: hydraulic motor for wheel drive 3: support plate

4a-1,4b-1 : 전방 실린더형 프레임4a-1,4b-1: Front cylindrical frame

4a-2,4b-2 : 후방 실린더형 프레임4a-2,4b-2: rear cylindrical frame

41,42 : 전,후방 피스톤형 프레임41,42: Front and rear piston frame

5a,5b : 가변용 유압실린더 51,52 : 피스톤로드5a, 5b: Variable hydraulic cylinder 51,52: Piston rod

6 : 승강장치 61,62 : 상,하부 케이싱6: lifting device 61,62: upper and lower casing

63,64 : 지지링크 65 : 승강용 실린더63,64: support link 65: lifting cylinder

66,68 : 상,하부 롤러 67,69 : 상,하부 안내레일66,68: Upper and lower rollers 67,69: Upper and lower guide rails

7 : 회전축 71 : 소형 유압모터7: rotating shaft 71: small hydraulic motor

72 : 이동롤러 8 : 수평조절장치72: moving roller 8: the horizontal adjusting device

81 : 실린더몸체 82 : 피스톤로드81: cylinder body 82: piston rod

83 : 지지판 9 : 레일결속장치83: support plate 9: rail binding device

91 : 케이스 92 : 양방향 실린더91 case 92: bidirectional cylinder

93a,93b : 상부 링크 94a,94b : 하부 링크93a, 93b: upper link 94a, 94b: lower link

95 : 연결핀 96 : 메인힌지핀95: connecting pin 96: main hinge pin

97 : 중간핀 98a,98b : 양측 집게97: middle pin 98a, 98b: both side clamps

R : 레일R: Rail

본 발명은 지하철(전철 포함) 및 철도 선로의 궤도에 관련된 각종 유지보수작업, 신설작업, 개량공사 등을 보다 능률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변차륜카에 있어 양측 레일이 서로 높낮이가 다르게 경사지게 설치된 곡선선로에서 가변차륜카의 상판을 수평상태가 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수평조절장치 및 가변차륜카를 레일에 결속 고정시킨 상태에서 각종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결속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철도 및 지하철 선로작업용 가변차륜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able wheel car that can perform various maintenance work, new work, improvement work related to the track of subway (including train) and railway track more efficiently and efficiently so that both rails are inclin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A railroad having a horizontal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top plate of the variable wheel car to be in a horizontal state on the installed curved track, and a rail binding device for safely performing various tasks in a state where the variable wheel car is fastened to the rail. A variable wheel car for subway track work.

현재 운행되고 있는 철도의 경우는 선로가 대부분 지상에 설치되어 있고, 지하철의 경우에는 선로가 주로 지하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지하철에서는 선로를 지하에 설치할 수 없는 구간에서는 선로를 지상으로 노출시킨 구조로 선로가 건설되고 있다.In the case of railways currently operating, most of the tracks are installed on the ground, and in the case of subways, the tracks are mainly installed underground, and in the section where the tracks cannot be installed underground, the tracks are exposed to the ground. The track is being built.

상기와 같은 철도 및 지하철은 선로에 설치된 궤도(레일, 침목, 체결구)의 안전여부 상태와 그 주변 구조물의 이상 유무를 수시로 점검하고 있으며, 또한 차량운행의 안전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궤도에 관련된 각종 유지보수작업 및 개량공사를 시행하고 있다.The railways and subways as mentioned above check the safety status of tracks (rails, sleepers, fasteners) installed on the tracks and the abnormality of the surrounding structures at regular intervals. Maintenance work and improvement work is being carried out.

그리고 선로의 궤도 유지보수작업 및 개량공사 등을 시행하고자 할 때에는 열차가 장시간 동안 운행되지 않는 시간대를 택하여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철도의 경우에는 선로가 지상에 설치되는 관계로 각 역에는 열차가 운행되는 선로를 포함하여 다른 열차의 진입이나 작업차량 등을 대피시킬 수 있는 복수의 보조선로가 설치되어 있고 또 열차의 운행시간이 비교적 긴 시간의 격차가 있기 때문에 열차가 운행되고 있는 선로에 작업차량 및 작업인원을 투입하여 궤도의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나, 지하철의 경우에는 열차가 운행되고 있는 시간대에 궤도의 점검 및 유지보수작업을 진행할 수 없는 형편이다.In addition, when conducting track maintenance and improvement work of railroad tracks, construction is conducted by selecting a time when trains are not operated for a long time.In the case of railroads, trains are installed at each station because railroad tracks are installed on the ground. There are a plurality of auxiliary tracks that allow evacuation of other trains, work vehicles, etc., including running tracks, and there is a gap between trains operating on the train.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maintenance work of the track by inputting the working personnel, but in the case of the subway is unable to proceed with the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of the track in the operating time zone.

최근 지하철의 경우는 교통량의 증가로 열차의 운행시격이 점점 더 짧아지고 있고, 또한 승객의 증가로 인하여 선로의 궤도가 손상되는 현상이 심하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궤도를 유지 및 보수작업을 할 수 있는 시간은 마지막 열차의 운행이 종료되는 시간에서부터 다음의 첫 열차의 운행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짧은 시간(대략 2∼3시간 정도)에만 유지보수작업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국내 지하철의 경우에는 통상 선로가 복선으로 설치되어 있고, 첫 열차는 각기 정해진 출발역에서 대략 오전 5시 전후로 하여 출발하고 있으며, 마지막 열차는 대략 자정에서부터 오전 2시까지 운행되고 있기 때문에 지하철 선로의 유지보수작업은 마지막 열차의 운행이 종료된 시간에서부터 첫 열차의 운행이 시작되기 전의 시간대에만 유지보수작업이 가능하며, 또한 지하철의 경우는 지상에 선로가 설치되는 철도와는 달리 지하에 선로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성상 각 역구간마다 열차를 대피시킬 수 있는 보조선로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특별히 정한 역구간에서 인접한 지상에 기지창을 만들어놓고 그 기지창에서 열차를 점검하거나 또는 지하선로의 유지보수작업 등을 수행하는 각종 장비를 대기시켜놓고 있다가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시간대에 장비와 작업인원을 지하선로에 투입하여 궤도의 유지보수작업 등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in the case of subway, the speed of train is getting shorter due to the increase of traffic volume, and the track's track is damaged due to the increase of passengers, while the track can be maintained and repaired.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only for a short time (approximately 2-3 hours) from the end of the last train operation until the start of the next first trai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domestic subway, the track is usually installed by double tracks, and the first trains depart at about 5 am from each of the designated departure stations, and the last trains operate from about midnight to 2 am Maintenance work on the track can only be performed during the time period from when the last train stopped, but before the start of the first train.In the case of the subway, unlike the railway where the track is installed on the ground, Due to the nature of installation, it is not possible to install auxiliary tracks to evacuate trains at each station section, so make base windows on adjacent grounds at specially designated station sections and check trains at the base windows or perform maintenance work on underground lines. Waiting for the equipment to run, the train does not run It is a situation where maintenance work of track is carried out by putting equipment and working people into underground track during the time.

종래 기술에서 선로에 투입되는 장비로는 궤도에서 자주식으로 이동하는 모터카와, 작업인원 및 각종 작업용 도구를 운반하는 운반차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모터카 및 운반장비는 열차가 운행되지 않은 시간에 기지창에서 출발하여 공사현장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또 공사현장에서 다시 기지창으로 되돌아가는데 소요되는 시간 동안에는 작업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시간대에 공사현장에서 공사할 수 있는 실질적인 작업시간은 매우 짧을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자는 시간에 쫓기어 완벽한 보수공사를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사례가 초래되고 있다. 만약 궤도의 보수공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부실하게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그로 인하여 열차운행이 위험에 노출되어 운행사고를 유발시키게 된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In the prior art, the equipment input to the track is composed of a motor car moving on tracks and a self-propelled vehicle, and a transport vehicle carrying work people and various work tools. The actual working time that can be constructed at the construction site when the train is not operating is not possible because the work cannot be performed during the time required to move from the construction site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back to the base window. This can only be very short, which causes workers to be lost in time and unable to perform a complete refurbishment. If the reconstruction of the track is not done properly but poorly,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he train operation is exposed to danger and cause driving accidents.

또한 상기한 모터카 및 운반차량으로는 지하 선로의 벽면에 발생된 균열의 점검 및 보수공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으며, 또 선로에 깔아놓은 자갈 등을 제거하는 작업이나 침목, 레일 등을 교체하는 작업에 있어서는 작업자의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궤도의 유지보수작업 등이 비효율적이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otor cars and transport vehicles cannot efficiently inspect and repair the cracks generated on the walls of the underground tracks, and remove the gravel from the tracks, or replace the sleepers and rails. In this situation, the maintenance work of the track was inefficient because it was dependent on the manpower of the work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선로의 궤도에서 자주식으로 이동하면서 선로의 이상유무를 점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점검 및 유지보수작업 도중에 열차가 운행되는 시간에 이르러서는 기지창으로 복귀하지 않고 그 점검 및 유지보수작업현장에서 자체적으로 궤도에서 이탈하여 열차운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대피할 수 있는 가변차륜카에 있어 양측 레일이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경사지게 설치된 곡선선로에서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자가 안정된 자세로 작업할 수 있도록 가변차륜카의 상판를 수평상태 로 조절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가변차륜카를 선로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때 가변차륜카를 선로에 고정시킨 상태가 되도록 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레일결속장치를 제공하는데 따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all the problems shown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abnormality of the track while moving in the track orbit of the track as well as the time that the train is running during the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In a variable wheel car that can be evacuated from its own track at the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site without returning to the base window, the evacuation is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train opera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leveling device that can adjust the top plate of the variable wheel car in a horizontal state so that the operator can work in a stable position when performing the operation, and also when the work is performed while the variable wheel car is stopped on the track Work by keeping the wheel car fixed on the track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rail binding device that enables a worker to safely perform a wor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선로에서 점검 및 보수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전,후륜이 양측 레일에 안착된 상태에서 자주식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는 열차의 운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대피시키기 위하여 전,후륜을 레일에서 이탈시키는 승강장치와 신축조절되는 양측 가변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는 가변차륜카를 양측 레일의 설치높이가 서로 다른 곡선선로에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낮은 쪽의 레일 상방에 위치하는 일측 가변프레임을 높은 쪽의 레일 상방에 위치하는 타측 가변프레임과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양측 가변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수평조절장치를 전,후륜의 각 상방과 양측 가변프레임의 전,후 양측 사이에 설치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When performing inspection and repair work on the track, the front and rear wheels can move freely while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seated on both rails.When not in operation,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separated from the rails in order to evacuate the operation of the train. If you want to work on a curved track that has different mounting heights of both rails, a variable wheel car equipped with a lifting device and an adjustable variable frame on both sides of the rail, the one side of the variable frame located above the lower rai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both sides of the variable frame so as to be horizontal with the other side of the variable frame located between the upper and rear of the front and rear, and both sides of the variable frame. Is to

또한, 상기 수평조절장치는 양측 가변프레임의 전,후 양측 각각에 내재되는 실린더몸체와, 전,후방 차륜브라켓 각각의 상단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adjustmen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ylinder body embedded in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ariable frame on both sides, and a piston rod connected to the top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wheel brackets.

그리고, 상기 가변차륜카를 선로에 결속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후방 차륜브라켓 각각의 전,후방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양방향 실린더의 양측 피스톤로드 출몰작동에 의하여 양측 집게가 레일의 상단부분을 결속 및 해제하는 레일결속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wheel brackets are mounted inside the case fixedly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front and rear wheel brackets so that the variable wheel car can be fixed to the track. The tong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ail binding device for binding and relea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ail,

또한 상기 레일결속장치는 케이스 내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메인힌지핀과, 이 메인힌지핀에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채 "八"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양측 상부 링크와, 이 양측 상부 링크의 양단에 연결핀에 의해 역"八"자형으로 연결 형성되는 양측 하부 링크와, 상기 상,하부 링크 사이에 수평상으로 장착된 채 양측으로 출몰작동을 하는 양측 피스톤로드의 선단이 상,하부 링크 각각의 양단에 연결되는 양방향 실린더와, 상기 양측 하부 링크에서 연장되어 상기 양방향 실린더의 양측 피스톤로드가 출몰작동됨에 따라 케이스 하측으로 출몰하면서 레일의 상단부분을 결속 및 해제하는 양측 집게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ail binding device is a main hinge pin rotatably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the upper link on both sides of the upper link formed in the shape of "八" with the middle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hinge pin, the two upper links Both ends of the lower link is formed by connecting pins at both ends of the inverse " 8 " shape, and the upper and lower links of the upper and lower links are mounted horizontall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nks so as to stand out on both sides. Bidirectional cylinders connected to both ends, and both side clamps extending from the lower links on both sides, and clamping and releasing the upper part of the rail while coming out to the lower side of the case as the two piston rods of the bidirectional cylinder are sunk and operate. It i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가변차륜카의 측면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의 차륜폭이 신축조절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의 차폭이 신축조절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양측 가변프레임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를 레일에서 탈선 및 복귀시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승강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를 곡선선로에서 작업하기 위하여 양측 가변프레임을 수평상태로 조절하는 수평조절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가변차륜카를 레일에 결속 시키기 위한 레일결속장치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side view of a variable wheel car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1 for showing the operating state that the wheel width of the variable whe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retched and adjusted, 4 and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2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variable frame on both sides to show that the variable width of the variable wheel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retched, Figure 6 and 7 is a view of the variable wheel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ail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a lift apparatus for indicating derailment and return, and FIGS. 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n operating state of a horizontal control apparatus for adjusting both side variable frames in a horizontal state in order to operate the variable wheel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curved track. 10 and 11 illustrate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a rail binding apparatus for binding the variable wheel ca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rail.

도면부호 1은 가변차륜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가변차륜카(1)는 좌,우 양측에 일정길이로 형성된 양측 가변프레임(2a)(2b)과, 이 양측 가변프레임의 양단 저부 각각에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 전,후방 차륜브라켓(21)(22)들 각각에는 전,후륜(23)(24)이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 전,후륜 중 전륜(23)은 전방 차륜브라켓(21)에 장착되어 있는 유압모터(25)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회전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variable wheel car, and the variable wheel car 1 protrudes downward on both side variable frames 2a and 2b formed at predetermined length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bottoms of both ends of the variable frame. In each of the front and rear wheel brackets 21 and 22 formed, the front and rear wheels 23 and 24 are freely rotatable, and the front wheels 23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mounted to the front wheel bracket 21. It is configured to rotate by itself by the hydraulic motor 25.

또한 상기 가변차륜카(1)의 양측 가변프레임(2a)(2b)은 궤도의 양측 레일(R)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지지플레이트(3)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 레일(R)과 같은 폭으로 넓어지거나 또는 좁은 폭으로 좁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3)의 전,후방 저부에는 각기 두개씩의 전,후방 실린더형 프레임(4a-1,4b-)(4a-2,4b-2)이 양측 가변프레임을 향하도록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또 상기한 전,후방 실린더형 프레임(4a-1,4b-1)(4a-2,4b-2)들 각각에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출몰가능하게 전,후방 피스톤형 프레임(41)(42)이 삽입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한 전,후방 피스톤형 프레임 각각의 자유단은 양측 가변프레임(2a)(2b)의 전,후방 내측에 용접 등의 결합구조로서 고정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variable frame (2a) (2b) of the variable wheel car (1) has the same width as both rails (R) on the basis of the support plate (3)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both rails (R) of the track. It is configured to be widened or narrowed to a narrow width, for this purpose, the front and rear bottom of the support plate (3), respectively, two front and rear cylindrical frame (4a-1, 4b-) (4a-2, 4b-2) are fixed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variable frame, and the front and rear cylindrical frames 4a-1 and 4b-1 and 4a-2 and 4b-2 are respectively opposite to each other. The front and rear piston-type frames 41 and 42 are inserted and installed so that the free end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piston-type frames can be inserted in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both side variable frames 2a and 2b. It is fixedly connected as a coupling structure such as welding.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의 저부에는 복수의 가변용 유압실린더(5a)(5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피스톤로드(51)(52)를 출몰시킬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피스톤로드(51)(52) 각각의 선단은 양측 가변프레임(2a)(2b)에 고정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variable hydraulic cylinders 5a and 5b are fixed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3 so that the piston rods 51 and 52 can be projected in opposite directions. The tip of each of the 51 and 52 is fixedly connected to both side variable frames 2a and 2b.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5a)(5b)가 동시에 작동하여 피스톤로드(51)(52)를 함께 출현작동시켰을 때에는 양측 가변프레임(2a)(2b)이 양측 레일(R)과 같은 폭을 갖도록 넓혀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피스톤로드(51)(52)를 몰입작동시켰을 때에는 양측 가변프레임(2a)(2b)이 지지플레이트(3)쪽으로 이동하여 양측 레일(R)의 폭보다는 좁아지게 되므로서 상기 가변차륜카(1)는 양측 가변프레임(2a)(2b)의 전,후방에 설치된 전,후륜(23)(24)의 차륜폭을 양측 레일(R)과 같은 폭으로 확장시키거나 또는 양측 레일의 폭보다 훨씬 좁은 폭으로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hydraulic cylinders 5a and 5b operate simultaneously and the piston rods 51 and 52 appear and operate together, both variable frames 2a and 2b are widen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rails R on both sides. On the contrary, when the piston rods 51 and 52 are immersed in operation, both side variable frames 2a and 2b move toward the support plate 3 and become narrower than the widths of the rails R on both sides. The car 1 extends the width of the wheels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23 and 24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both side variable frames 2a and 2b to the same width as both rails R, or the widths of both rails. It can be reduced to a much narrower width.

상기 가변차륜카(1)의 양측 가변프레임(2a)(2b)를 확장 및 축소시킬 수 있도록 연결하고 있는 전,후방 실린더형 프레임(4a-1,4b-1)(4a-2,4b-2) 및 이들 각 실린더형 프레임에 출몰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전,후방 피스톤형 프레임(41)(42)은 상기 지지플레이트(3) 상부에 설치되는 유압제어장치(10a)와 회전의자(10b),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압제어장치(10a)에 의하여 승강작동을 하는 리프트장치 또는 건설장비의 하나인 소형 굴삭기의 중량을 지탱할 수 있는 각형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유압제어장치(10a)는 차륜구동용 유압모터(25), 가변용 유압실린더(5a)(5b), 승강장치(6), 소형 유압모터(71) 등을 구동시키는 유압을 제어하는 것이다.Front and rear cylindrical frames (4a-1, 4b-1) (4a-2, 4b-2) which are connected to expand and contract both side variable frames (2a) and (2b) of the variable wheel car (1) And the front and rear piston-type frames 41 and 42 installed in such a manner as to be retractably inserted into each of the cylindrical frames, the hydraulic controller 10a and the rotary chair 10b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3, o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s formed in a rectangular pipe structure that can support the weight of the small excavator, which is one of the lift device or construction equipment to operate the lifting operation by the hydraulic control device (10a), the hydraulic control device (10a) The hydraulic pressure for driving the wheel drive hydraulic motor 25, the variable hydraulic cylinders 5a and 5b, the lifting device 6, the small hydraulic motor 71 and the like is controlled.

상기 가변차륜카(1)의 양측 가변프레임(2a)(2b) 각각의 중간부분 저부에는 가변차륜카(1) 자체를 레일(R) 위로 들어올릴 수 있는 승강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At the bottom of the middle portion of each of the variable frames 2a and 2b of the variable wheel car 1, a lifting device 6 capable of lifting the variable wheel car 1 itself onto the rail R is provided.

상기에서의 승강장치(6)는 양측 가변프레임(2a)(2b) 각각의 저부에 고정 부 착된 상부케이싱(61)과, 이 상부케이싱을 감싼 상태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케이싱(62)과, 상기 상,하부 케이싱 내부에 "X"자형으로 설치된 두개의 지지링크(63)(64)와, 하부케이싱(62)을 승강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승강용 실린더(65)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두개의 지지링크(63)(64) 각각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상부롤러(66)는 상부케이싱(61) 내상단 양측에 수평상으로 대설된 상부안내레일(67)을 따라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의 지지링크(63)(64) 각각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하부롤러(68)는 하부케이싱(62)의 내하부 양측에 수평상으로 대설되어 있는 하부안내레일(69)을 따라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승강용 실린더(65)는 그 실린더몸체의 후단(도면상으로 볼 때 하단부분)은 하부케이싱(62)에 핀축으로 부착되어 있고 그 피스톤로드의 선단(도면상으로 볼 때 상단부분)은 상부케이싱(61)에 핀축으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6)는 하부케이싱(62)의 하단측에 전,후륜을 향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수평설치된 회전축(7)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소형 유압모터(71) 및 하부케이싱(62)의 하단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축착되는 이동롤러(7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lifting device 6 in the above is the upper casing 61 fixed to the bottom of each of the variable frame (2a) (2b) on both sides, and the lower casing is installed so as to move up and down in the state of wrapping the upper casing ( 62), two support links 63 and 64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casings in the form of an "X" shape, and a lifting cylinder 65 installed to lift the lower casing 62. The upper roller 66 rotatably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two support links 63 and 64 is horizontal along the upper guide rails 67 horizontally installed on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casing 61. The lower roller 68, which is installed to be movable and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support links 63 and 64,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both inner lower sides of the lower casing 62. It is installed to move horizontally along the guide rail 69, the above-mentioned lifting cylinder The 65 has a rear end of the cylinder body (lower part in view) attached to the lower casing 62 with a pin shaft and a tip of the piston rod (upper part in view of the drawing) of the upper casing 61. ) Is attached to the pin shaft. The elevating device 6 includes a rotating shaft 7 horizontally installed at a lower end side of the lower casing 62 in a state capable of rotating toward the front and rear wheels, a small hydraulic motor 71 and a lower casing 62 rotating the rotating shaft. It comprises a moving roller 72 which is condensed on both sides of the rotary shaft so as to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승강장치(6)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승강용 실린더(65)의 피스톤로드가 몰입작동되어 상,하부케이싱(61)(62)이 축소된 상태에서는 하부케이싱(62)이 레일(R)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고, 전,후륜(23)(24)은 레일(R)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가 되어 가변차륜카(1)를 운행할 수 있는 상태이며, 도 7의 도시와 같이 승강용 실린더(65)의 피스톤로드가 출현작동하여 하부케이싱(62)이 상부케이싱(61) 의 하측으로 확장된 상태에서 레일(R) 위에 받쳐놓은 받침목(부호 생략)에 이동롤러(72)가 지지되는 상태가 되면 이때에는 전,후륜(23)(24)이 레일(R) 상방으로 탈선되므로서 가변차륜카(1)를 선로에서 이탈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가변차륜카(1) 자체를 선로와 선로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대피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6, the lifting device 6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lower casing 62 in the state where the piston rod of the lifting cylinder 65 is immersed and the upper and lower casings 61 and 62 are reduced. Spaced above the rail R, the front and rear wheels 23 and 24 are supported by the rail R, and the variable wheel car 1 can be driven. Similarly, the piston rod of the elevating cylinder 65 appears to operate and moves the roller 72 to the support neck (not shown) supported on the rail R while the lower casing 62 is extend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asing 61. In this case, the front and rear wheels 23 and 24 derail above the rail R, so that the variable wheel car 1 can be detached from the track. Accordingly, the variable wheel car 1 It will be able to evacuate itself 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track and the track.

다음, 상기 가변차륜카(1)가 선로에 자주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전,후륜(23)(24)을 레일(R)에 지지되게 하기 위하여 양측 가변프레임(2a)(2b)을 레일(R)과 같은 폭으로 확장시키는 작동상태 및 상기 가변차륜카(1)를 선로에서 대피시키기 위하여 양측 가변프레임(2a)(2b)을 레일(R)의 폭보다 작게 축소시키는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in order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wheels 23 and 24 on the rails R so that the variable wheel cars 1 can move freely on the tracks, the two side variable frames 2a and 2b are mounted on the rails 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operating state to expand to the same width and the operating state to reduce both side variable frame (2a) (2b)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rail (R) in order to evacuate the variable wheel car 1 on the track.

도 2 및 도 4의 도시는 선로의 양측 레일(R) 위에 가변차륜카(1)의 전,후륜(23)(24)이 지지되게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에는 가변용 유압실린더(5a)(5b)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51)(52)를 출현작동시킨 상태이며, 이에 따라 전,후방 실린더형 프레임(4a-1,4b-1)(4a-2,4b-2) 각각에서 전,후방 피스톤형 프레임(41)(42)들이 좌,우 양측으로 출현작동하여 양측 가변프레임(2a)(2b)을 양측 레일(R)의 폭만큼 확장시킨 상태이며, 이와 같이 양측 궤도에 전,후륜이 이동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가변차륜카(1)는 회전의자(10b)에 앉아있는 작업자가 유압제어장치(10a)를 운전조작하는 작동이나 또는 탑재된 소형 굴삭기(도시 없음)의 운전석에 앉아있는 작업자의 운전조작으로 차륜구동용 유압모터(25)를 전진방향 또는 후진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어 가변차륜카(1) 자체를 레일(R) 위에서 자주식으로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한 차륜구동용 유압모터(25)의 구동속도를 증감시키므로서 가변차륜카(1)의 전,후진 속도를 증감조절하면서 선로를 주행할 수 있게 된다.2 and 4 show a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wheels 23 and 24 of the variable wheel car 1 are supported on both rails R of the track, and in this case, the variable hydraulic cylinder 5a. (5b) is in operation to the piston rod (51, 52) appeared and actuated, so that in each of the front and rear cylindrical frame (4a-1, 4b-1) (4a-2, 4b-2) The front and rear piston-type frames 41 and 42 appear to operate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both variable frames 2a and 2b are extended by the widths of the rails R on both sides. The variable wheel car (1) installed with the rear wheels movable can be operated by an operator sitting on the swivel chair (10b) to operate the hydraulic control device (10a) or sitting in the driver's seat of a mounted small excavator (not shown).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the wheel drive hydraulic motor 25 can be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variable wheel car 1 itself is a rail ( R)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independantly from above, and also increase or decrease the driving speed of the above-described wheel drive hydraulic motor 25 to drive the track while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forward and backward speeds of the variable wheel car 1. It becomes possible.

따라서 작업자는 가변차륜카(1)에 탑승한 상태에서 선로를 이동하면서 점검 및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또 선로의 궤도보수작업이나 점검작업 또는 궤도교체작업 등을 하고자 할 때에는 그 작업현장으로 신속하게 출동하여 빠른 시간내에 접근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가변차륜카(1)에 인력과 장비 및 재료들이 실어나를 수 있는 운반차량(도시 없음)을 연결하여 작업인원과 작업에 필요한 각종 장비 및 자재를 운반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worker can carry out the inspection and repair work while moving on the track while riding in the variable wheel car (1), and when he wants to perform the track repair work, inspection work or track replacement work of the track, etc. It is possible to move quickly and to approach within a short time, and furthermore, by connecting a transport vehicle (not shown) capable of carrying manpower, equipment and materials to the variable wheel car 1, various equipment necessary for working personnel and work, and It can also carry material.

그리고, 도 3 및 도 5의 도시는 가변차륜카(1)를 양측 레일(R)에서 탈선시킨 후 선로와 선로 사이의 중간부분에 대피시키기 위하여 양측 가변프레임(2a)(2b)을 축소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때에는 가변용 유압실린더(5a)(5b)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51)(52)를 몰입작동시킨 상태이며, 이에 따라 전,후방 피스톤형 프레임(41)(42)이 전,후방 실린더형 프레임(4a-1,4b-1)(4a-2,4b-2)으로 몰입작동되어 양측 가변프레임(2a)(2b)이 지지플레이트(3) 양측에 밀착되는 상태로 축소조절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축소조절된 양측 가변프레임은 양측 레일(R)의 폭보다 훨씬 좁아진 상태이므로 지하철의 경우 선로와 선로 사이에 형성된 중간공간부에 대피시킬 수 있게 된다.3 and 5 show that the variable wheel cars 1 are derailed from both rails R, and then the two variable frames 2a and 2b are reduced in order to evacuate to the middle part between the track and the track. In this case, the variable hydraulic cylinders 5a and 5b are operated to immerse the piston rods 51 and 52 so that the front and rear piston-type frames 41 and 42 are operated. The front and rear cylindrical frames 4a-1, 4b-1 (4a-2, 4b-2) are immersed in operation so that both variable frames 2a, 2b are reduced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3. In this case, the two-sided variable frame that is scaled down is much narrower than the width of both rails (R), so that the subway can be evacuated to an intermediate space formed between the track and the track.

또한, 본 발명은 양측 레일(R)의 설치높이가 다른 곡선선로에서 가변차륜카(1)의 양측 가변프레임(2a)(2b) 및 지지플레이트(3)를 수평상으로 조절하는 수평조절장치(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rizontal adjusting device for horizontally adjusting the variable frame (2a) (2b) and the support plate (3) on both sides of the variable wheel car (1) in a curved line with different installation height of the rail (R) ( 8)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수평조절장치(8)는 양측 가변프레임(2a)(2b)의 전,후 양측 내부에 은폐된 상태로 설치되는 실린더몸체(81)와, 양측 가변프레임(2a)(2b)의 저부에서 출몰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로드(82) 및 이 피스톤로드의 선단과 전,후방 차륜브라켓(21)(22) 상단 각각의 사이에 고정 부착된 지지판(83)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horizontal adjusting device (8) is shown in the concealed state inside the cylinder body 81 is installed in the concealed state inside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variable frame (2a) (2b), and the bottom of the variable frame (2a) (2b). It consists of a piston rod 82 which is installed to be operable, and a support plate 83 fixedly attach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piston rod and the upper and rear wheel brackets 21 and 22,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양측 가변프레임(2a)(2b) 각각의 전,후 양측에 설치된 수평조절장치(8)는 가변차륜카(1)가 양측 레일(R)의 높낮이가 같은 직선선로에서 작업을 할 때에는 전,후측 브라켓(21)(22) 각각의 상단이 양측 가변프레임(2a)(2b)의 전,후 양측 저부에 밀착 지지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며, 양측 레일(R)의 높낮이가 서로 다른 곡선선로에서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낮은 쪽의 일측 레일(R)에 전,후륜(23)(24)이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측 가변프레임(2a)또는(2b)을 상승조절하여 양측 가변프레임(2a)(2b)을 수평상태로 조절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수평상으로 조절된 지지플레이트(3) 위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adjusting device 8 installed on both sides of each side of the variable frames 2a and 2b is used when the variable wheel car 1 works on the same straight line with the same height of both rails R. The upper and rear ends of the front and rear brackets 21 and 22 are held in close contact with both bottom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two variable frames 2a and 2b, and the heights of the rails R are opposite to each other. When performing work on other curved tracks, the front and rear wheels 23 and 24 are supported on the lower one side rail R, and the one side variable frame 2a or 2b is adjusted upward so that both side variable frames By adjusting (2a) and (2b) in a horizontal state, the operator can safely work on the horizontally adjusted support plate (3).

도 8 및 도 9의 도시는 곡선선로에서 가변차륜카(1)를 수평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8의 도시는 도면을 기준하여 볼 때 우측 레일은 높고 좌측 레일이 낮은 상태일 경우 좌측 가변프레임(2a)의 전,후 양측에 설치된 수평조절장치(8)의 피스톤로드(82)를 출현작동시켜서 그 좌측 가변프레임(2a)을 우측 가변프레임(2b)과 수평상태로 조절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도 9의 도시는 좌측 레일은 높고 우측 레일이 낮은 경우에 우측 가변프레임(2b)의 전,후 양측에 설치된 수평조절장치(8)의 피스톤로드(82)를 출현작동시켜서 양측 가변프레임(2a)(2b)을 수평상태로 조절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8 and 9 show that the variable wheel car 1 is horizontally adjusted in a curved line, and the illustration of FIG. 8 is based on the left side when the right rail is high and the left rail is low. It shows that the piston rod 82 of the horizontal adjusting device 8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variable frame 2a appears and operated to adjust the left variable frame 2a to the right variable frame 2b in a horizontal state. 9 shows that when the left rail is high and the right rail is low, the piston rods 82 of the horizontal adjusting device 8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ight and left right variable frames 2b appear and operate. The adjustment of 2a) and 2b in the horizontal state is shown.

또한, 본 발명은 가변차륜카(1)를 작업현장의 선로에 결속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결속장치(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ail binding device (9) for working safely in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wheel car (1) is fixed to the track of the work site.

상기 레일결속장치(9)는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91)의 내부에 수평상으로 설치된 양방향 실린더(92)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양방향 실린더(92)의 양쪽에서 출몰하는 피스톤로드 각각의 선단에는 각각 두개씩으로 구성된 상,하부 링크(93a,93b)(94a,94b) 각각의 끝단이 연결핀(95)에 의하여 양방향 실린더(92)의 양측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상부 링크(93a,93b)를 연결하는 메인힌지핀(96)은 케이스(91)의 내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한 메인힌지핀(96)을 기준점으로 하여 상,하부 링크들이 케이스(91)의 하측을 향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The rail binding device (9) is equipped with a bidirectional cylinder (92) horizontally installed inside the case (91) having a lower opening, and at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piston rods that emerge from both sides of the bidirectional cylinder (92). The ends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links 93a, 93b and 94a and 94b each configured by two are connected to the ends of both piston rods of the bidirectional cylinder 92 by the connecting pin 95, and the upper links 93a on both sides. The main hinge pin (96) connecting the (93b) is rotatably mount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case (91), and the upper and lower links are connected to the case (91) based on the main hinge pin (96). It moves up and down toward the lower side.

그리고 상기 하측 링크(94a,94b) 각각은 중간핀(97)을 기준하여 길게 연장되는 양측 집게(98a)(98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Each of the lower links 94a and 94b is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side clamps 98a and 98b extending long relative to the middle pin 97.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레일결속장치(9)는 가변차륜카(1)의 상부에 장착된 유압제어장치(10a)로부터 공급 및 회수되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데, 가변차륜카(1)를 선로에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양방향 실린더(92)의 양측 피스톤로드를 동시에 출현작동시키게 되면 상,하부 링크(93a,93b)(94a,94b)들은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부 링크(93a,93b)는 메인힌지핀(96)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벌어지면서 상승이동하게 되므로서 이에 따라 양방향 실린더(92)와 하부 링크(94a,94b)도 상승이동하게 되며, 또한 하부 링크가 벌어지 면서 상승이동함에 따라 양측 집게(98a)(98b)도 크게 벌어진 상태로 상승이동하여 케이스(91) 내부에 은폐되는데, 이와 같이 양측 집게(98a)(98b)가 레일(R)에서 해제된 상태로 케이스(91)에 은폐된 상태에서는 가변차륜카(1)는 레일(R)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The rail binding device 9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by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and recovered from the hydraulic control device 10a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ariable wheel car 1, and moves the variable wheel car 1 on the track. When the upper and lower links (93a, 93b) (94a, 94b) is opened to both sides when the piston rod of both sides of the bidirectional cylinder (92) appear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ure 10, the upper link (93a) 93b is moved upward while being held in the state fixed by the main hinge pin 96, so that the bidirectional cylinder 92 and the lower links 94a and 94b are also moved upward, and the lower link is opened. As the ascending movement moves, both tongs 98a and 98b are also moved up in a state where they are largely opened, thereby concealing inside the case 91. Thus, both tongs 98a and 98b are released from the rail R. Variable in the state concealed in the furnace case 91 Ryunka (1) is freely removable from the rail (R).

그리고 가변차륜카(1)를 작업현장의 선로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도 11의 도시와 같이 양방향 실린더(92)의 양측 피스톤로드를 몰입작동시키게 되면 이에 따라 상,하부 링크(93a,93b)(94a,94b)들이 양방향 실린더측으로 오므러들게 되는데, 이때에도 상부 링크(93a,93b)는 메인힌지핀(96)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부 링크가 오므러들게 되면 양방향 실린더(92)와 하부 링크(94a,94b)들은 하향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양측 집게(98a)(98b)는 레일(R)을 향해 회전하면서 하향이동하여 레일의 상단부분을 협지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variable wheel car 1 is fixed to the track of the work site, when the operation is to be immersed in the piston rods on both sides of the bidirectional cylinder 92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upper and lower links ( 93a, 93b (94a, 94b) is retracted to the bi-directional cylinder side, even if the upper link (93a, 93b) is fixed to the main hinge pin 96, when the upper link is retracted bidirectional cylinder (92) ) And the lower link (94a, 94b) is to move downwards, thereby both the tongs (98a, 98b) is to move toward the rail (R) to move downward to pinch the upper portion of the rail.

상기에서 레일결속장치(9) 자체는 상부 링크(93a,93b)를 회전가능하게 결속시키고 있는 메인힌지핀(96)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좌,우로의 움직임이 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레일결속장치(9)의 중심과 레일(R)의 중심이 수직선상에서 일치하지 않을 때에도 양측 집게(98a)(98b)는 레일(R)을 정확하게 협지할 수 있게 되어 가변차륜카(1)를 직선선로에서는 물론이고 곡선선로에서도 레일결속장치(9)가 레일(R)을 정확하게 협지하여 결속할 수 있게 된다.In the above, the rail binding device 9 itself is in a state capable of moving left and right using the main hinge pin 96 which rotatably binds the upper links 93a and 93b to the rotational starting point. Therefore, even when the center of the rail fastening device 9 and the center of the rail R do not coincide on the vertical line, the two side tongs 98a and 98b can pinch the rail R accurately, so that the variable wheel car 1 can be secured. In the straight line as well as in the curved line, the rail binding device 9 can pinch the rail R precisely and bind it.

또한 양측 집게(97a)(97b)로서 레일(R)을 결속하게 되는 레일결속장치(9)는 전,후측 브라켓(21)(22) 각각의 전,후방 네곳에서 동시에 결속작동하여 레일(R)을 붙잡아주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결속작동시킬 수 있으며, 네개의 레일결속장치(9) 전부가 레일을 결속하게 될 경우에는 가변차륜카(1) 자체를 선로에 견고하게 결속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작업자는 안전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선로의 점검 및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ail binding device 9 which binds the rails R as both side tongs 97a and 97b simultaneously binds and operates at four positions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ont and rear brackets 21 and 22 at the same time. Or can be selectively engaged with each other, and when all four rail binding devices 9 bind the rails, the variable wheel car 1 itself can be firmly fastened to the track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inspection and repair work of the track with safet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변차륜카는 선로에서 자주식으로 이동할 수 있어 선로의 공사현장으로의 이동성 및 접근성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선로에서 작업하는 도중에 열차 및 지하철이 운행되는 시간이 다가오게 되더라도 기지창으로 대피하지 않고 그 공사현장의 선로에서 자체적으로 탈선 및 대피할 수 있어 실질적인 작업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선로의 점검 및 보수작업을 보다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유압제어장치와 회전의자가 탑재된 가변차륜카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회전의장에 편안하게 앉은 자세로 점검등을 비춰주면서 선로를 점검할 수 있어 점검작업 및 보수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 가변차륜카에 유압제어장치와 리프트장치가 탑재된 경우에는 리프트장치를 상승작동시켜서 선로의 천정을 정밀하게 점점 및 보수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 가변차륜카에 소형 굴삭기가 탑재된 경우에는 소형 굴삭기를 이용하여 침목이나 레일 등과 같은 중량물을 운반하거나 선로 바닥에 깔려있는 자갈을 퍼낼 수 있어 적은 작업인원으로도 궤도의 교체 및 신설공사와 같은 비교적 큰 공사까지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양측 레일의 설치높이가 서로 다른 곡선선로에서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가변차륜카의 일측 가변프레임을 상승조절하여 양측 가변프레임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므로서 작업자로 하여금 안정된 자세로 점검 및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또 가변차륜카를 선로에 고정시킨 상태로 결속시킬 수 있어 작업자로 하여금 안심하고 작업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variable wheel car can move independently on the track, so that the mobility and accessibility of the track to the construction site is easy, and also the time when the train and the subway run while working on the track approaches. Even if it is not possible to evacuate to the base window, it can derail and evacuate itself on the track of the construction site, thereby increasing the actual work tim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erform the inspection and repair work of the track more efficiently. In the case of a variable wheel car equipped with a hydraulic control unit and a swivel chair, the operator can check the track while showing the inspection in a comfortable sitting position in the swivel chair. If the variable wheel car is equipped with a hydraulic control device and a lift device, the lift It is effective to increase and repair the ceiling of the track by increasing the operation of the gear, and when a mini excavator is installed in the variable wheel car, a heavy excavator is used to transport heavy loads such as sleepers and rails or to the bottom of the track. Since it is possible to dig out the gravel, it is easy to carry out relatively large works such as track replacement and new construction even with a small number of workers. In this case, by adjusting the variable frame on one side of the variable wheel car so that the variable frame on both sides can be leveled, it can provide an effect that enables the operator to perform the inspection and repair work in a stable posture, and fix the variable wheel car on the track. Can be engaged in a controlled state, allowing workers to concentrate on their work with confidence. It offer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laims (4)

선로에서 점검 및 보수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전,후륜이 양측 레일에 안착된 상태에서 자주식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는 열차의 운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대피시키기 위하여 전,후륜을 레일에서 이탈시키는 승강장치와 신축조절되는 양측 가변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는 가변차륜카를 양측 레일의 설치높이가 서로 다른 곡선선로에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낮은 쪽의 레일 상방에 위치하는 일측 가변프레임을 높은 쪽의 레일 상방에 위치하는 타측 가변프레임과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양측 가변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수평조절장치가 전,후륜의 각 상방에 연결되도록 양측 가변프레임의 전,후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선로작업용 가변차륜카에 있어서,When performing inspection and repair work on the track, the front and rear wheels can move freely while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seated on both rails.When not in operation,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separated from the rails in order to evacuate the operation of the train. If you want to work on a curved track that has different mounting heights of both rails, a variable wheel car equipped with a lifting device and an adjustable variable frame on both sides of the rail, the one side of the variable frame located above the lower rai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both sides of the variable frame so as to be horizontal to the other side of the variable frame located on the upper and rear sides of the variable frame to be connected to each upper and rear wheels. In the variable wheel car for track work, 상기 가변차륜카를 선로에 결속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후방 차륜브라켓 각각의 전,후방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양방향 실린더의 양측 피스톤로드 출몰작동에 의하여 양측 집게를 레일의 상단부분에 결속 및 해제시키는 레일결속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및 지하철 선로작업용 가변차륜카.In order to fix the variable wheel car in the state bound to the track, the front and rear wheel brackets are mounted inside the case fixedly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The variable wheel car for railway and subway track work,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rail binding device for binding and relea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ai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레일결속장치는 케이스 내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메인힌지핀과, 이 메인힌지핀에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채 "八"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양측 상부 링크와, 이 양측 상부 링크의 양단에 연결핀에 의해 역"八"자형으로 연결 형성되는 양측 하부 링크와, 상기 상,하부 링크 사이에 수평상으로 장착된 채 양측으로 출몰작동을 하는 양측 피스톤로드의 선단이 상,하부 링크 각각의 양단에 연결되는 양방향 실린더와, 상기 양측 하부 링크에서 연장되어 상기 양방향 실린더의 양측 피스톤로드가 출몰작동됨에 따라 케이스 하측으로 출몰하면서 레일의 상단부분을 결속 및 해제하는 양측 집게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및 지하철 선로작업용 가변차륜카.The rail binding device includes a main hinge pin rotatably suppor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two upper links formed in an “八” shape with an intermediate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hinge pin, The upper and lower links of the lower link on both sides formed by connecting pins at both ends connected in inverse " 8 " shape, and the piston rods which are projected to both sides while being horizontally moun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nks, respectively. Bidirectional cylinder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and both sides of the lower link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link as both piston rods of the bidirectional cylinders coming out to the lower side of the case while coming out of the case to bind and release the upper part of the rai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Variable wheel car for railway and subway track work.
KR1020040024698A 2004-04-10 2004-04-10 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 KR1005816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698A KR100581612B1 (en) 2004-04-10 2004-04-10 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698A KR100581612B1 (en) 2004-04-10 2004-04-10 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400A KR20050099400A (en) 2005-10-13
KR100581612B1 true KR100581612B1 (en) 2006-05-23

Family

ID=37278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698A KR100581612B1 (en) 2004-04-10 2004-04-10 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61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400A (en) 200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6146B2 (en) Railway vehicle with derailment recovery device
SU1655306A3 (en) Continuously moving track surfacing, tamping and aligning machine
KR100809040B1 (en) A self rerailing device of railway motor car
JP3295213B2 (en) Orbital compaction machine
JP4713017B2 (en) Orbit changer
JP3798809B2 (en) Track construction machine for track replacement
CN111022089A (en) Waterproof board platform truck
US5127335A (en) Points and crossing changer
CN110158460A (en) Construction operation movable hanging baske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nder across electric railway Bridge Beam
KR101287462B1 (en) A operating car having a upper part can move vertical direction for a constucting tunnel or safety diagnosis
HU213982B (en) Railway line-packing machine for packing shunts and railway crossings
RU2082847C1 (en) Sleeper padding machine and method of rail track padding
ES2208865T3 (en) MACHINE TO HAVE A VIA.
CN208803310U (en) A kind of more rail tamping cars
CN109130736A (en) Can quickly up and down road combined vehicle
KR20120088449A (en) working vehicle for working in the high position
JPH1082005A (en) Track execution machine for excavating ballast material of track skeleton
KR100581615B1 (en) 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
KR100581612B1 (en) Railroad working car having changeable wheels
JP2908575B2 (en) Transport and installation equipment for tunnel lining plates
JPH06219276A (en) Derailment recovery device for railway maintenance vehicle
JP2003064604A (en) Track bed processing device
US2928355A (en) Railroad track lining machine
US2861521A (en) Railway track aligning device
JP3438161B2 (en) Rail-based amphibious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