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9145A - 승하강식 볼라드 - Google Patents

승하강식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9145A
KR20050099145A KR1020040024323A KR20040024323A KR20050099145A KR 20050099145 A KR20050099145 A KR 20050099145A KR 1020040024323 A KR1020040024323 A KR 1020040024323A KR 20040024323 A KR20040024323 A KR 20040024323A KR 20050099145 A KR20050099145 A KR 20050099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lower body
lifting
bollard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2414B1 (ko
Inventor
김태원
Original Assignee
김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원 filed Critical 김태원
Priority to KR1020040024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414B1/ko
Publication of KR20050099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4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6Lane control by movable lane separating barriers, e.g. shiftable barriers, retractable kerbs ; Apparatus or barri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heeled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승하강되는 상부몸체와, 중공의 관 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몸체가 내부로 삽입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승하강을 유도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상부몸체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 및 상기 승하강수단을 동작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평소에는 상부몸체를 지상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통행 및 주차를 통제하여 보행자를 보호하도록 하고, 화재 또는 응급환자 발생 등의 유사시에는 상부몸체를 하부몸체 내부로 삽입하여 소방차량이나 구급차, 방송차량, 행사차량 등에 대하여 통행을 원활히 하도록 볼라드의 설치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승하강식 볼라드{Ascend and descend type bollard}
본 발명은 승하강식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로 매립되는 하부몸체의 내부에 상부몸체를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한 것으로, 평소에는 지상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통행 및 주차를 통제하고, 화재 또는 응급환자 발생 등의 유사시에는 소방차량이나 구급차, 방송차량, 행사차량 등에 대하여 통행이 가능하도록 볼라드의 설치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광장, 인구 밀집지역 또는 보도 등에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거나 주차를 금지시키고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볼라드(Bollard)가 설치된다.
이러한 볼라드는 주로 석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기둥형으로 형성되어 고정 설치된다.
즉, 차량의 통행이 통제되는 지역의 초입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다수개의 볼라드를 설치하여 보행자를 보호하도록 하거나, 폭이 넓은 보도에 차량을 주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볼라드로 인하여 화재로 인한 소방차량이나 구급차 등의 긴급차량도 그 통행이 제한되며, 그로 인해 보다 큰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송차량이나 행사차량, 공무수행차량 등의 특별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에 대해서도 통행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소에는 지상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통행 및 주차를 통제하고, 유사시에는 지하로 삽입하여 차량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그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하강식 볼라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 승하강식 볼라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식 볼라드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승하강되는 상부몸체와, 중공의 관 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몸체가 내부로 삽입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승하강을 유도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상부몸체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 및 상기 승하강수단을 동작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식 볼라드의 부분절개 분해측면도로서, 상부몸체(10)가 하부몸체(20)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가 접촉되는 부분에 완충부재(60)가 설치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식 볼라드의 설치상태도로서,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 및 완충부재(6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몸체(20)가 매설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식 볼라드의 일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크랭크(52)를 이용하여 상부몸체(10)를 승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식 볼라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구동모터(54)를 이용하여 상부몸체(10)를 승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식 볼라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 가이드수단(30), 승하강수단(40) 및 완충부재(6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몸체(10)를 승하강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동수단(50)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몸체(10)는 지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형상은 기둥형으로 형성하되 그 재질은 승하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고강도를 갖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에는 지름이 하부몸체(20)의 외면지름보다 크도록 형성된 상부걸림구(11)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몸체(10)가 하부몸체(20)의 하측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부에는 하부걸림구(12)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20)의 상부내측에는 걸림턱(21)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몸체(10)가 하부몸체(20)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부몸체(20)는 지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매립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몸체(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수단(30)은 상부몸체(10)가 동일한 궤적으로 승하강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31)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20)의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홈(31)과 대응되도록 가이드레일(32)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수단(40)은 상부몸체(10)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몸체(10)의 내부일측에 너트(41)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면에 상기 너트(41)와 대응되도록 베어링(42)이 고정설치하며, 상기 베어링(42)에 스크류(43)의 일측이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승하강식 볼라드의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20)에 설치된 스크류(43)가, 상부몸체(10)에 설치된 너트(41)를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하부몸체(20)의 내부에 상부몸체(10)를 삽입 설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몸체(10)에는 너트(41)와 동일한 축 방향으로 관통공(13)을 형성하여 너트(41)를 관통한 스크류(43)가 삽입되도록 하며, 만약 상부몸체(10)가 중공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고정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여 너트(41)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10)에 형성된 가이드홈(31)이 하부몸체(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며, 베어링(4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스크류(43)를 구동수단(50)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너트(41)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너트(41)가 고정설치된 상부몸체(10)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걸림구(11)에 의하여 상부몸체(10)가 하부몸체(20)의 하측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부에 하부걸림구(12)를 형성하고 하부몸체(20)의 상부에 걸림턱(21)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몸체(10)가 하부몸체(20)의 상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필요에 따라 완충부재(6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60)는 하부몸체(20)의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부몸체(10)의 승하강 시, 상부걸림구(11)의 하부면과 하부몸체(10)의 상부면에서 발생되는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완충부재(60)에 의하여 이물질이 하부몸체(20)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완충부재(60)는 고탄력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며, 특정한 것에 제한을 두지 않음은 당연하다.
상기 스크류(43)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50)의 일예로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류(43)의 상부종단면에 다각형상,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상의 끼움홈(51)을 형성하고, 일측 종단이 상기 끼움홈(51)에 끼워지는 크랭크(Crank)(52)를 이용하여 스크류(43)를 회전시킨다.
상기 크랭크(52)는 별도로 보관할 수 있으나, 하부몸체(20)의 외부면 일측에 보관함(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여 보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50)의 다른 예로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부몸체(20)의 내부 일측에 구동모터(54)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모터(54)의 회전축에는 제1기어(53a)을 설치하고, 상기 제1기어(53a)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53b)가 스크류(43)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54)의 회전력 전달에 의해 스크류(4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구동모터(54)가 제1기어(53a)와 제2기어(53b)로 이루어진 기어군(53)을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스크류(43)가 회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기어(53a)와 제2기어(53b)의 톱니의 개수는 구동모터(54)의 회전수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어군(53)에 구성되는 제1기어(53a) 및 제2기어(53b)와 더불어 다수개의 기어를 추가로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본 발명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평소에는 상부몸체(10)를 지상으로 돌출시켜 차량의 통행 및 주차를 통제하여 보행자를 보호하도록 하고, 화재 또는 응급환자 발생 등의 유사시에는 상부몸체(10)를 하부몸체(20) 내부로 삽입하여 소방차량이나 구급차, 방송차량, 행사차량 등에 대하여 통행이 가능하도록 볼라드의 설치 상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식 볼라드의 부분절개 분해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식 볼라드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식 볼라드의 일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식 볼라드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몸체 11 : 상부걸림구
12 : 하부걸림구 20 : 하부몸체
21 : 걸림턱 30 : 가이드수단
31 : 가이드레일 32 : 가이드홈
40 : 승하강수단 41 : 베어링
42 : 스크류 43 : 너트
50 : 구동수단 51 : 끼움홈
52 : 크랭크 53 : 기어군
54 : 구동모터

Claims (4)

  1.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승하강되는 상부몸체(10)와,
    중공의 관 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몸체(10)가 내부로 삽입되는 하부몸체(20)와,
    상기 상부몸체(10)의 승하강을 유도하는 가이드수단(30)과,
    상기 상부몸체(1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40) 및
    상기 승하강수단(40)을 동작시키는 구동수단(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볼라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30)은, 상기 상부몸체(10)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31)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몸체(20)의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홈(31)과 대응되도록 가이드레일(32)이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하강수단(40)은, 상기 상부몸체(10)에 너트(41)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하부몸체(20)에 상기 너트(41)와 대응되도록 베어링(42)이 고정설치하며, 상기 베어링(42)에 스크류(43)의 일측이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볼라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은,
    스크류(42)의 상부종단면에 형성된 끼움홈(51)과,
    일측 종단이 상기 끼움홈(51)에 끼워지는 크랭크(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볼라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스크류(42)의 일측에 설치되는 기어군(53)과,
    상기 기어군(53)을 동작시키는 구동모터(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볼라드.
KR1020040024323A 2004-04-09 2004-04-09 승하강식 볼라드 KR100632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323A KR100632414B1 (ko) 2004-04-09 2004-04-09 승하강식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323A KR100632414B1 (ko) 2004-04-09 2004-04-09 승하강식 볼라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818U Division KR200355848Y1 (ko) 2004-04-09 2004-04-09 승하강식 볼라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145A true KR20050099145A (ko) 2005-10-13
KR100632414B1 KR100632414B1 (ko) 2006-10-12

Family

ID=3727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323A KR100632414B1 (ko) 2004-04-09 2004-04-09 승하강식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41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897B1 (ko) * 2007-06-07 2008-01-07 (주)동화이엔지 무인 불법 주정차 차량 자동 검지 시스템
KR100860138B1 (ko) * 2006-12-26 2008-09-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분기기의 크로싱 및 그 제어 시스템
KR101056888B1 (ko) * 2010-12-27 2011-08-12 유지현 자동 수납형 볼라드
KR101056906B1 (ko) * 2010-12-27 2011-08-12 유지현 자동 수납형 볼라드
KR101251954B1 (ko) * 2011-03-10 2013-04-08 김황자 상하 이동식 볼라드
CN113279345A (zh) * 2021-04-13 2021-08-20 兰大林 一种市政公路用高度可调节的桥梁限高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193B1 (ko) * 2009-09-21 2012-04-19 우성안전 주식회사 볼라드
KR101062085B1 (ko) 2009-10-26 2011-09-02 유지현 수납형 볼라드
KR101062074B1 (ko) 2009-10-26 2011-09-02 유지현 수납형 조명 볼라드
KR20220147206A (ko)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금보산업 볼라드 본체의 고정장치가 개선된 출몰식 볼라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138B1 (ko) * 2006-12-26 2008-09-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분기기의 크로싱 및 그 제어 시스템
KR100791897B1 (ko) * 2007-06-07 2008-01-07 (주)동화이엔지 무인 불법 주정차 차량 자동 검지 시스템
KR101056888B1 (ko) * 2010-12-27 2011-08-12 유지현 자동 수납형 볼라드
KR101056906B1 (ko) * 2010-12-27 2011-08-12 유지현 자동 수납형 볼라드
KR101251954B1 (ko) * 2011-03-10 2013-04-08 김황자 상하 이동식 볼라드
CN113279345A (zh) * 2021-04-13 2021-08-20 兰大林 一种市政公路用高度可调节的桥梁限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2414B1 (ko)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414B1 (ko) 승하강식 볼라드
US4666331A (en) Instant defense barrier
EP0584109B1 (en) Post installation
US7367746B2 (en) Lifting pole apparatus for traffic control
ES2286901T3 (es) Barrera de cable.
KR200452187Y1 (ko) 구조가 개선된 가변형 볼라드
WO2006060290A2 (en) Locking dog and locking pin assembly for use therewith
KR200355848Y1 (ko) 승하강식 볼라드
KR200401533Y1 (ko) 차량진입방지대
US8251626B1 (en) Bolt and receiver for adaptively attaching to surfaces
KR101571816B1 (ko) 상사점과 하사점이 설정된 승하강식 볼라드
KR200355847Y1 (ko) 승하강식 볼라드
CA2175170C (en) Vehicular access control device
KR100594730B1 (ko) 수동으로 승하강되는 차량진입 차단용 볼라드
KR100688323B1 (ko) 도로시설물용 지주
KR101347073B1 (ko) 볼라드
KR200392021Y1 (ko) 신축성 가로등주
CN112761088A (zh) 浅埋升降柱及升降方法
KR100684978B1 (ko) 승하강식 볼라드
JP3222635U (ja) 昇降式ボラード
KR200422824Y1 (ko) 차량 진입 방지용 지주
CN204225012U (zh) 一种防盗路桩
KR101967996B1 (ko) 승강형 조명타워
KR200330045Y1 (ko) 차선표지장치
KR20110124018A (ko) 차량 진입 방지용 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