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9126A -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9126A
KR20050099126A KR1020040024294A KR20040024294A KR20050099126A KR 20050099126 A KR20050099126 A KR 20050099126A KR 1020040024294 A KR1020040024294 A KR 1020040024294A KR 20040024294 A KR20040024294 A KR 20040024294A KR 20050099126 A KR20050099126 A KR 20050099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video telephone
video
user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5251B1 (ko
Inventor
노병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씨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씨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씨글로벌
Priority to KR1020040024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251B1/ko
Publication of KR20050099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Bars or rods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53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side by side in the closing plane
    • E06B9/0661Lazy tongue, pantograph or scissor-like systems in the plane of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전화를 걸때 전화를 거는 사람의 정보와 전화를 받는 사람의 정보를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 또는 PC로 넘겨주어 기존의 인터넷화상전화 시스템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전화를 거는 사람과 전화를 받는 사람의 PC상에서 인터넷화상통신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터넷화상전화의 사용을 위해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통해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거나 통화를 위해 헤드셋을 착용하는 등의 번거로움 해소하는 한편, 전화기를 통해 아날로그데이터를 그대로 전달함으로써, 음성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통신상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인터넷 화상전화시스템에 있어서, USB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일반전화기1 및 PC1로 이루어진 사용자측 통신장치1과, USB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일반전화기2 및 PC2로 이루어진 통신장치2로 구성된 화상전화사용자부와; 화상전화사용자부의 각 통신장치1,2를 연결하는 교환기와; 교환기와 연결되어 전화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통신장치1,2를 통해 화상전화통신이 가능하도록 PC1,2와 연결된 화상전화서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Internet video phone connection system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전화를 걸때 전화를 거는 사람의 정보와 전화를 받는 사람의 정보를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 또는 PC로 넘겨주어 기존의 인터넷화상전화 시스템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전화를 거는 사람과 전화를 받는 사람의 PC상에서 인터넷화상통신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터넷화상전화의 사용을 위해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통해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거나 통화를 위해 헤드셋을 착용하는 등의 번거로움 해소하는 한편, 전화기를 통해 아날로그데이터를 그대로 전달함으로써, 음성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통신상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화상회의 시스템(Internet video conference system)은 사람과 사람이 직접 같은 장소에서 얼굴을 맞대고 회의를 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사람들이 컴퓨터에 나타나는 상대방의 모습을 보면서 서로 회의를 진행하는 방식으로서, 통신 기술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으로 원거리에 있는 사람들이 마치 한 자리에 있는 것처럼 회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인터넷화상회의 시스템에는 인터넷화상전화 기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일반전화를 더 많이 사용하는데, 그 이유로는 아직까지는 전화사용을 더 친숙하게 생각하고 인터넷화상전화를 통해 대화하는 것은 불편하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인터넷화상전화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야 하며 이는 키보드나 마우스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며, 헤드셋을 착용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전화를 수신하는 쪽에는 신호음이 컴퓨터스피커를 통해 울리기 때문에 헤드셋을 장착해 놓은 경우 신호를 못 들을 때가 많으며, 더욱이, 전화의 경우 아날로그데이터를 그대로 전달함에 따라 음성신호의 왜곡이 적은 반면, 인터넷화상전화를 통해 대화를 할 경우는 아날로그신호와 디지털신호 사이의 변환과정이 있기 때문에 음성신호의 왜곡이 커서 전화음질 보다 음질이 좋지 못한 통신품질상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여러 가지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는 인터넷화상전화를 통해 상대방의 화면을 보며 통화하는 것은 상대방에 대해 친숙감이 유발되고 상대방의 표정과 동작을 보면서 대화하기 때문에 의사전달이 명확하게 되며 눈을 보면서 이야기하기 때문에 신뢰감을 가지는 등의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어 음성과 화상을 모두 전달하는 인터넷화상전화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전화의 장점과 인터넷화상전화의 장점을 모두 유지하여 전화처럼 사용이 친숙하고, 불편하지 않으며, 전화음질 만큼 음질이 좋고, 상대방의 화면을 보면서 통화 가능한 통신수단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화를 걸때 전화를 거는 사람의 정보와 전화를 받는 사람의 정보를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 또는 PC로 넘겨주어 기존의 인터넷화상전화 시스템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전화를 거는 사람과 전화를 받는 사람의 PC상에서 인터넷화상통신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터넷화상전화의 사용을 위해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통해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거나 통화를 위해 헤드셋을 착용하는 등의 번거로움 해소하는 한편, 전화기를 통해 아날로그데이터를 그대로 전달함으로써, 음성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통신상의 음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터넷 화상전화시스템에 있어서, USB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일반전화기1 및 PC1로 이루어진 사용자측 통신장치1과, USB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일반전화기2 및 PC2로 이루어진 통신장치2로 구성된 화상전화사용자부와; 화상전화사용자부의 각 통신장치1,2를 연결하는 교환기와; 교환기와 연결되어 전화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통신장치1,2를 통해 화상전화통신이 가능하도록 PC1,2와 연결된 화상전화서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참고가 되는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하드웨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시스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CTI 링크에 의한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4는 CTI 링크에 의한 연결 시 동작 방식을 도시한 시스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USB 링크에 의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며, 도 6은 USB 링크에 의한 연결 시 동작 방식을 도시한 시스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본 발명의 하드웨어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인터넷 화상전화시스템에 있어서, USB 링크(115)에 의해 연결되는 일반 전화기1(111) 및 PC1(112)로 이루어진 사용자측 통신장치1(110)과, USB 링크(125)에 의해 연결되는 일반 전화기2(121) 및 PC2(122)로 이루어진 통신장치2(120)로 구성된 화상전화사용자부(100)와; 화상전화사용자부(100)의 각 통신장치1,2(110)(120)를 연결하는 교환기(200)와; 교환기(200)와 연결되어 전화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통신장치1,2(110)(120)를 통해 화상전화통신이 가능하도록 PC1,2(112)(122)와 연결된 화상전화서버(30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중 화상전화사용자부(100)의 전화기1,2(111)(121)는 USB 링크 지원이 가능하도록 USB 포트를 갖는 것이며, PC1,2(112)(122)는 화상출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123) 및 전화접속 인터페이스인 전화기API(114)(124)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교환기(200)는 사내 교환기 기능을 담당하는 PBX 또는 CTI 링크를 지원하는 키폰이다.
또한, 화상전화서버(300)는 전화기1(111)의 정보와 전화기2(121)의 정보를 입력받아 전화가 연결되는 시점에 PC1,2(112)(122)에 탑제된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123)를 통해 상대방의 화면을 보면서 통화할 수 있도록 PBX 또는 CTI 링크를 지원하는 키폰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CTI 링크부(310)와, CTI 링크부(310)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IVR 하드웨어부(320)와, IVR 하드웨어부(320)에서의 신호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입력받는 IVR 게이트웨이 소프트웨어부(330)와, 사용자아이디리스트가 저장되는 사용자아이디DB(340)와, 사용자아이디DB(340)에서 검색된 결과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123)를 네트워크로 제어하는 화상전화서버소프트웨어부(35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USB링크 지원이 가능한 전화기1(111)과, USB링크1(115)을 통해 전화기1(111)과 연결된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 및 전화기API(114)를 갖는 PC1(112)로 이루어진 통신장치1(110)과, USB링크 지원이 가능한 전화기2(121)와, USB링크2(125)를 통해 전화기2(121)와 연결된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23) 및 전화기API(124)를 갖는 PC2(122)로 이루어진 통신장치2(120)로 구성된 화상전화사용자부(100)와 화상전화사용자부(100)의 통신장치1,2,(110)(120)를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교환기(200)가 PSTN(공중 전화 교환망)으로 연결되고, 교환기(200)는 CTI 링크를 통해 전화기1(111)의 정보와 전화기2(121)의 정보를 입력받아 전화가 연결되는 시점에 PC1,2(112)(122)에 탑제된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123)를 통해 상대방의 화면을 보면서 통화할 수 있도록 PBX 또는 CTI 링크를 지원하는 키폰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CTI 링크부(310)와, CTI 링크부(310)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IVR 하드웨어부(320)와, IVR 하드웨어부(320)에서의 신호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입력받는 IVR 게이트웨이 소프트웨어부(330)와, IVR 게이트웨이 소프트웨어부(33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 화상전화를 개설하고, 입력받은 신호에 해당하는 사용자아이디를 얻기 위해 사용자아이디가 저장되는 사용자아이디DB(340)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123)를 네트워크로 제어하는 화상전화서버소프트웨어부(350)로 이루어진 화상전화서버(300)와 연결되며, 화상전화서버(300)는 인터넷망을 통해 화상전화사용자부(100)의 각 PC1,2(112)(122)와 연결되어 네트워크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 도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상전화서버(300) 측에 적용하는 즉, 교환기(200)가 화상전화서버(300)에 CTI 링크를 통해 신호를 주도록 구성될 경우에는 첨부 도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신장치1(110)의 전화기1(111)을 이용하여 통신장치2(120)의 전화기2(121)로 전화를 거는 전화 다이얼링 단계(S11)와, 전화기1(111)이 교환기(200)에 연결되면 교환기(200)가 전화기2(121)를 호출하는 전화 연결단계(S12)와, 전화기1(111)와 전화기2(121)가 연결되면 교환기(200)가 CTI링크를 통해 화상전화서버(300)에 전화를 거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전화를 받는 사용자의 아이디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연결상태 확인단계(S13)와, 교환기(200)로부터 연결 메시지가 전송되면 화상전화서버(300)가 임의의 방을 개설하는 화상전화통신루트 확보단계(S14)와, 화상전화서버(300)의 화상전화서버소프트웨어부(350)가 확보된 화상전화통신루트를 통해 전화를 건 사용자측의 PC1(112)과 전화를 받은 사용자측의 PC2(12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123)를 구동시켜 화상전화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화상전화통신단계(S15)로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다이얼링 단계(S11)에서 통신장치1(110)의 전화기1(111)을 이용하여 통신장치2(120)의 전화기2(121)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전화 연결단계(S12)에서 교환기(200)가 전화기1(111)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전화기2(121)를 호출하여 전화기1(111)와 전화기2(121)를 연결한다.
이후, 연결상태 확인단계(S13)에서는 교환기(200)가 CTI 링크를 통해 화상전화서버(300)에 전화를 거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전화를 받는 사용자의 아이디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화상전화통신루트 확보단계(S14)에서 화상전화서버(300)의 화상전화서버소프트위에부(350)가 교환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연결 메시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체계화된 프로그램에 따라 임의의 방을 개설하여 화상전화통신루트를 확보하게 된다.
끝으로, 화상전화통신단계(S15)에서는 화상전화서버(300)가 화상전화서버소프트웨어부(350)를 구동시켜 확보된 화상전화통신루트를 통해 전화를 건 사용자측의 PC1(112)과 전화를 받은 사용자측 PC2(12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123)를 구동 제어하여 전화를 건 사용자측 통신장치1(110)와 전화를 받는 사용자측 통신장치2(120) 상호간에 화상전화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화를 걸때 전화를 거는 사람의 정보와 전화를 받는 사람의 정보를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 또는 PC로 넘겨주어 기존의 인터넷화상전화 시스템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전화를 거는 사람과 전화를 받는 사람의 PC에 인터넷화상전화가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인터넷화상전화시스템을 구매/구축하여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인터넷화상전화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인터넷화상전화의 사용을 위해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통해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거나 통화를 위해 헤드셋을 착용하는 등의 번거로움 해소하는 한편, 전화기를 통해 아날로그데이터를 그대로 전달함으로써, 음성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상전화사용자부(100) 측에 적용하는 즉, 전화기1(111)가 PC1(11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에게 USB(Universal Serial Bus ; 범용직렬버스) 링크를 통해 신호를 주도록 구성될 경우에는 첨부 도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신장치1(110)의 전화기1(111)을 이용하여 통신장치2(120)의 전화기2(121)로 전화를 거는 전화 다이얼링 단계(S21)와, 전화기1(111)이 교환기(200)에 연결되면 교환기(200)가 전화기2(121)를 호출하는 전화 연결단계(S22)와, 전화기1(111)와 전화기2(121)가 연결되면 전화기1(111)가 USB 링크(115)를 통해 PC1(11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에 전화를 받은 사용자의 아이디나 전화번호를 신호로 전송하는 연결상태 확인단계(S23)와, 전화기1(111)와 전화기2(121)의 연결상태가 확인되면, PC1(11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가 화상전화서버(300)에 화상전화통신루트를 확보하도록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전화를 받는 사용자측의 아이디 정보를 전송하는 화상전화통신루트 확보요청단계(S24)와, PC1(11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로부터 화상전화통신루트 확보요청이 들어오면, 화상전화서버(300)의 화상전화서버소프트웨어부(350)가 화상전화통신루트를 확보하는 화상전화통신루트 확보단계(S25)와, 화상전화서버(300)의 화상전화서버소프트웨어부(350)가 확보된 화상전화통신루트를 통해 전화를 받을 사용자측의 PC2(12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23)를 호출하여 전화를 받을 사용자측에서 전화기2(121)를 받으면, USB 링크(125)를 통해 PC2(12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23)를 활성화시켜 화상전화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화상전화통신단계(S26)로 진행되기도 한다.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이, 다이얼링 단계(S21)에서 통신장치1(110)의 전화기1(111)을 이용하여 통신장치2(120)의 전화기2(121)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전화 연결단계(S22)에서 교환기(200)가 전화기1(111)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전화기2(121)를 호출하여 전화기1(111)와 전화기2(121)를 연결한다.
이후, 연결상태 확인단계(S23)에서는 전화기1(111)와 전화기2(121)가 연결되면 전화기1(111)가 USB 링크(115)를 통해 PC1(11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에 전화를 받은 사용자의 아이디나 전화번호를 신호로 전송하게 되고, 확보요청단계(S24)에서 전화기1(111)와 전화기2(121)의 연결상태가 확인되면, PC1(11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가 화상전화서버(300)에 화상전화통신루트를 확보하도록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전화를 받는 사용자측의 아이디 정보를 전송하여 화상전화통신루트의 확보를 요청한다.
이와 같이 PC1(11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로부터 화상전화통신루트 확보요청이 들어오면, 화상전화통신루트 확보단계(S25)에서 화상전화서버(300)의 화상전화서버소프트웨어부(350)가 체계화된 프로그램에 따라 화상전화통신루트를 확보하게 되고, 끝으로, 화상전화통신단계(S26)에서 화상전화서버(300)의 화상전화서버소프트웨어부(350)가 확보된 화상전화통신루트를 통해 전화를 받을 사용자측의 PC2(12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23)를 호출하여 전화를 받을 사용자측에서 전화기2(121)를 받으면, 전회기2(121)에 연결된 USB 링크(125)를 통해 PC2(12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23)를 활성화시켜 화상전화통신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화를 거는 통신장치1(110)와 전화를 받는 통신장치2(120)로 실시예를 선보였으나, 2 이상의 사용자가 다중으로 화상전화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하여 화상회의가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화를 걸때 전화를 거는 사람의 정보와 전화를 받는 사람의 정보를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 또는 PC로 넘겨주어 기존의 인터넷화상전화 시스템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전화를 거는 사람과 전화를 받는 사람의 PC상에서 인터넷화상통신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터넷화상전화의 사용을 위해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통해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거나 통화를 위해 헤드셋을 착용하는 등의 번거로움 해소하는 한편, 전화기를 통해 아날로그데이터를 그대로 전달함으로써, 음성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통신상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하드웨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시스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CTI 링크에 의한 네트워크 구성도
도 4는 CTI 링크에 의한 연결 시 동작 방식을 도시한 시스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USB 링크에 의한 네트워크 구성도
도 6은 USB 링크에 의한 연결 시 동작 방식을 도시한 시스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화상전화사용자부 110,120 : 통신장치1,2
111,121 : 전화기1,2 112,122 : PC1,2
113,123 :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
114,124 : 전화기API 115,125 : USB 링크
200 : 교환기 300 : 화상전화서버
310 : CTI 링크부 320 : IVR 하드웨어부
330 : IVR 게이트웨이 소프트웨어부 350 : 화상전화서버소프트웨어부

Claims (6)

  1. USB 링크(115)에 의해 연결되는 일반 전화기1(111) 및 PC1(112)로 이루어진 사용자측 통신장치1(110)과, USB 링크(125)에 의해 연결되는 일반 전화기2(121) 및 PC2(122)로 이루어진 통신장치2(120)로 구성된 화상전화사용자부(100)와; 화상전화사용자부(100)의 각 통신장치1,2(110)(120)를 연결하는 교환기(200) 및 교환기(200)와 연결되어 전화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통신장치1,2(110)(120)를 통해 화상전화통신이 가능하도록 PC1,2(112)(122)와 연결된 화상전화서버(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화상전화사용자부(100)의 전화기1,2(111)(121)는 USB 링크 지원이 가능하도록 USB 포트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화상전화사용자부(100)의 PC1,2(112)(122)는 화상출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123) 및 전화접속 인터페이스인 전화기API(114)(124)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화상전화서버(300)는 전화기1(111)의 정보와 전화기2(121)의 정보를 입력받아 전화가 연결되는 시점에 PC1,2(112)(122)에 탑제된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123)를 통해 상대방의 화면을 보면서 통화할 수 있도록 PBX 또는 CTI 링크를 지원하는 키폰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CTI 링크부(310)와, CTI 링크부(310)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IVR 하드웨어부(320)와, IVR 하드웨어부(320)에서의 신호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입력받는 IVR 게이트웨이 소프트웨어부(330)와, 사용자아이디리스트가 저장되는 사용자아이디DB(340)와, 사용자아이디DB(340)에서 검색된 결과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123)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램화된 화상전화서버소프트웨어부(3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5. 통신장치1(110)의 전화기1(111)을 이용하여 통신장치2(120)의 전화기2(121)로 전화를 거는 전화 다이얼링 단계(S11)와, 전화기1(111)이 교환기(200)에 연결되면 교환기(200)가 전화기2(121)를 호출하는 전화 연결단계(S12)와, 전화기1(111)와 전화기2(121)가 연결되면 교환기(200)가 CTI링크를 통해 화상전화서버(300)에 전화를 거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전화를 받는 사용자의 아이디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연결상태 확인단계(S13)와, 교환기(200)로부터 연결 메시지가 전송되면 화상전화서버(300)가 임의의 방을 개설하는 화상전화통신루트 확보단계(S14)와, 화상전화서버(300)의 화상전화서버소프트웨어부(350)가 확보된 화상전화통신루트를 통해 전화를 건 사용자측의 PC1(112)과 전화를 받은 사용자측의 PC2(12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123)를 구동시켜 화상전화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화상전화통신단계(S15)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방법.
  6. 통신장치1(110)의 전화기1(111)을 이용하여 통신장치2(120)의 전화기2(121)로 전화를 거는 전화 다이얼링 단계(S21)와, 전화기1(111)이 교환기(200)에 연결되면 교환기(200)가 전화기2(121)를 호출하는 전화 연결단계(S22)와, 전화기1(111)와 전화기2(121)가 연결되면 전화기1(111)가 USB 링크(115)를 통해 PC1(11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에 전화를 받은 사용자의 아이디나 전화번호를 신호로 전송하는 연결상태 확인단계(S23)와, 전화기1(111)와 전화기2(121)의 연결상태가 확인되면, PC1(11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가 화상전화서버(300)에 화상전화통신루트를 확보하도록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전화를 받는 사용자측의 아이디 정보를 전송하는 화상전화통신루트 확보요청단계(S24)와, PC1(11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13)로부터 화상전화통신루트 확보요청이 들어오면, 화상전화서버(300)의 화상전화서버소프트웨어부(350)가 화상전화통신루트를 확보하는 화상전화통신루트 확보단계(S25)와, 화상전화서버(300)의 화상전화서버소프트웨어부(350)가 확보된 화상전화통신루트를 통해 전화를 받을 사용자측의 PC2(12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23)를 호출하여 전화를 받을 사용자측에서 전화기2(121)를 받으면, USB 링크(125)를 통해 PC2(122)의 화상전화클라이언트소프트웨어부(123)를 활성화시켜 화상전화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화상전화통신단계(S26)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방법.
KR1020040024294A 2004-04-09 2004-04-09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85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294A KR100685251B1 (ko) 2004-04-09 2004-04-09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294A KR100685251B1 (ko) 2004-04-09 2004-04-09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126A true KR20050099126A (ko) 2005-10-13
KR100685251B1 KR100685251B1 (ko) 2007-02-22

Family

ID=3727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294A KR100685251B1 (ko) 2004-04-09 2004-04-09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2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079B1 (ko) * 2006-01-10 2007-06-13 (주)제너시스템즈 Ip기반 영상 전화에서 영상 통화중 멀티미디어 컨텐츠삽입 처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559B1 (ko) * 2007-04-19 2013-12-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화상 전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094A (ko) * 2003-05-06 2004-11-12 주식회사데이콤 전화와 PC를 연동한 VoIP 화상 전화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079B1 (ko) * 2006-01-10 2007-06-13 (주)제너시스템즈 Ip기반 영상 전화에서 영상 통화중 멀티미디어 컨텐츠삽입 처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5251B1 (ko)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4295B1 (en) Communication handoff between telephone devices
JP3360041B2 (ja) 電話装置
US6650751B1 (en) Answer detection for IP based telephones using passive detection
US7415004B2 (en) Method for provid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all service
KR20050016061A (ko) 개선된 그룹 통신 시스템
CN101316291B (zh) 可携式固网电话方法
JP2004222194A (ja) 電話装置
KR100685251B1 (ko)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121862A1 (en)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and incoming call control method for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US76092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nferencing
US6678374B1 (en) Tone based answer detection for IP based telephones
KR20020084783A (ko) 인터넷망과 브이오아이피 기능을 이용한 사내전화시스템및 방법
KR20020009002A (ko) 인터넷 화상 폰
CN102035923A (zh) 一种三网一体电话
KR20040046338A (ko) 이동 전화의 통화 대기 또는 연결 중에서 착신자홈페이지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착신자홈페이지 제공 방법
JP2683408B2 (ja) テレビ電話機
KR20040099077A (ko) 인터넷 전화연결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0393633B1 (ko) 웹폰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호와 전화망 호 간의 외부 호포워딩방법
KR100334087B1 (ko) 인터넷 전화기 인터페이스장치 및 인터넷-국선-외부전화기간 통화 구현방법
JP3297114B2 (ja) 構内自動交換システム
KR100467445B1 (ko) 화상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6489276A (zh) 一种有线智能网联话机系统
JP3082158U (ja) 携帯端末呼出機能付インターホン
KR20010016456A (ko) 인터넷 폰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인터넷 폰 통신방식
JP2007096784A (ja) ボタン電話機によるオープンオフィ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