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559B1 - 화상 전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 전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559B1
KR101339559B1 KR1020070038431A KR20070038431A KR101339559B1 KR 101339559 B1 KR101339559 B1 KR 101339559B1 KR 1020070038431 A KR1020070038431 A KR 1020070038431A KR 20070038431 A KR20070038431 A KR 20070038431A KR 101339559 B1 KR101339559 B1 KR 101339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4256A (ko
Inventor
서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70038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559B1/ko
Publication of KR20080094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55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와의 영상통신을 위한 화상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회원가입된 비화상 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에 다운로드 제공하며 상기 다운로드 설치된 화상통신 애플리케이션이 로그인된 비화상통화 단말기 사용자의 컴퓨터와 화상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의 영상통신을 제공하는 화상통신서버와; 비화상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하여 구비되고 웹캠이 연결되며 상기 화상통신서버에서 제공되는 화상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설치후 로그인되어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해당 비화상 통신단말기로의 착신시 해당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와의 영상통신을 수행하는 컴퓨터단말기와;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화상 발신 호 요청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착신측이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인지를 확인하고 착신측이 비화상 통신단말기인 경우 상기 화상통신서버에 화상통신가입자인지와 로그인상태인지를 조회하고 상기 화상통신서버로부터 화상통신가입자로서 로그인상태인 것으로 조회되면 하기의 영상/음성처리장치에 화상 착신 호를 요청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와; 상기 화상 착신 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화상통신서버를 경유하여 해당 착신측 비화상 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와의 착신측 영상 통화로를 확립하고 상기 이동통신교환기를 경유하여 해당 착신측 비화상 통신단말기와의 착신측 음성 통화로를 확립하며 상기 이동통신교환기를 경유하여 발신측 화상 통화로를 확립한 후에, 상기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화상 통화 신호를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를 상기 확립된 착신측 음성 통화로로 전송하고 상 기 분리된 영상신호를 상기 확립된 착신측 화상 통화로로 전송하며, 상기 착신측 음성 통화로를 통해 수신되는 해당 착신측 비화상 통신단말기로부터의 음성신호와 상기 확립된 착신측 영상 통화로를 통하여 수신되는 착신측 비화상 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에 연결된 웹캠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혼합하여 화상 통화신호로 변환한 후 이 변환된 화상 통화신호를 상기 확립된 발신측 화상 통화로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음성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상 전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 전화 시스템 {Video Telephony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전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전화 시스템에 채용되는 영상/음성 처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전화 시스템에서 화상 전화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10B : 화상 이동통신단말기 12 : 이동통신단말기
14 : 일반전화기 16 : 컴퓨터
18 : 웹캠 20 : 기지국
22 : 이동통신교환기 24 : 이동통신망
26 : 홈위치등록기(HLR) 28 : 영상/음성처리장치
28_1 : 영상전화 인터페이스 모듈 28_2 : 음성/영상분리모듈
28_3 : 음성처리모듈 28_4 : 음성 인터페이스 모듈
28_5 : 음성/영상 혼합모듈 28_6 : 영상처리모듈
28_7 : 영상 인터페이스 모듈 28_7 : 제어모듈
30,32 : 게이트웨이 34 : 공중전화망(PSTN)
36 : 인터넷 38 : 화상통신서버
본 발명은 화상 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 휴대폰과 같은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착신 측이 화상 이동통신단말기가 아닌 경우에도 상대방과 통화한 수 있는 화상 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를 구비하고 자신의 영상과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는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서 화상 휴대폰이 출시되어 화상 이동전화 서비스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화상 이동전화 서비스에서는 발신 측 및 착신 측 모두가 화상통화가 가능한 단말기를 구비하여야 가능하며,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요청시 착신측이 화상 통화가 불가능한 단말기인 경우(즉, 화상 이동통신단말기가 아닌 경우)에는 발신측의 화상 통화 요청에 대하여 이동통신망 측에서 화상통화가 불가능하다는 메시지와 함께 화상통화 요청이 종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요청시 착신측이 화상 이동통신단말기가 아니더라도 화상 통화 또는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화상 전화 시 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전화 시스템은,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와의 영상통신을 위한 화상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회원가입된 비화상 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에 다운로드 제공하며 상기 다운로드 설치된 화상통신 애플리케이션이 로그인된 비화상통화 단말기 사용자의 컴퓨터와 화상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의 영상통신을 제공하는 화상통신서버와; 비화상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하여 구비되고 웹캠이 연결되며 상기 화상통신서버에서 제공되는 화상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설치후 로그인되어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해당 비화상 통신단말기로의 착신시 해당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와의 영상통신을 수행하는 컴퓨터단말기와;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화상 발신 호 요청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착신측이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인지를 확인하고 착신측이 비화상 통신단말기인 경우 상기 화상통신서버에 화상통신가입자인지와 로그인 상태인지를 조회하고 상기 화상통신서버로부터 화상통신가입자로서 로그인 상태인 것으로 조회되면 하기의 영상/음성처리장치에 화상 착신 호를 요청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와; 상기 화상 착신 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화상통신서버를 경유하여 해당 착신측 비화상 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와의 착신측 영상 통화로를 확립하고 상기 이동통신교환기를 경유하여 해당 착신측 비화상 통신단말기와의 착신측 음성 통화로를 확립하며 상기 이동통신교환기를 경유하여 발신측 화상 통화로를 확립한 후에, 상기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화상 통화 신호를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음 성신호를 상기 확립된 착신측 음성 통화로로 전송하고 상기 분리된 영상신호를 상기 확립된 착신측 화상 통화로로 전송하며, 상기 착신측 음성 통화로를 통해 수신되는 해당 착신측 비화상 통신단말기로부터의 음성신호와 상기 확립된 착신측 영상 통화로를 통하여 수신되는 착신측 비화상 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에 연결된 웹캠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혼합하여 화상 통화신호로 변환한 후 이 변환된 화상 통화신호를 상기 확립된 발신측 화상 통화로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음성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전화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전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전화 시스템은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A,10B)와, 기존 망 시스템(20,22,26,24,30,32,34,36), 영상/음성처리장치(28), 화상통신서버(38), 일반 이동통신단말기(12), 일반전화기(14), 컴퓨터(16) 및 웹캠(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A,10B)는 카메라를 구비하고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과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엔코딩한 영상/음성엔코딩신호를 상대방에게 전송하게 되며,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영상/음성엔코딩신호를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디코딩한 후에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는 가입 자끼리는 서로 얼굴을 마주보면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존 망 시스템(20,22,26,24,30,32,34,36)은 본 발명에 의하여 새롭게 구축된 것이 아닌 기존에 있는 망 시스템을 의미하며, 통상의 기지국(20), 이동통신교환기(22), 이동통신망(24), 가입자 프로파일 등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홈위치등록기(26), 공중전화망(PSTN)(34), 인터넷(36), 상기 이동통신망(24)과 공중전화망(34) 사이에서 데이터를 변환해주는 게이트웨이(30), 상기 이동통신망(24)과 인터넷(36)사이에서 데이터를 변환해주는 게이트웨이(32)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공지의 것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일반 이동통신단말기(12)는 통상의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이며, 상기한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와 구별하기 위하여 일반 이동통신단말기라고 칭하지만 이하에서는 화상 통화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는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라고 하고 화상 통화를 지원하지 않는 일반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일반전화기(14)는 공중전화망(PSTN)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통상의 전화기이며, 컴퓨터(16)는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통상의 컴퓨터이고, 웹캠(18)은 컴퓨터에 접속되는 통상의 웹캠이다.
상기 컴퓨터(16)는 사용자에 의하여 후술하는 화상통신서버(38)에 접속하여 그 화상통신서버(38)에서 제공하는 화상통신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그 화상통신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로그인 절차가 수행되면 컴퓨터(16)의 모니터상에 화상통신을 위한 화상통신 창이 화면표시되며, 화상통신시에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되어온 화상이 상기 화상통신 창에 표시되고, 상기 웹캡(18)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이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대방측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화상통신서버(38)는 예를 들면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를 보유하지 않은 사용자를 위하여 화상 이동통신단말기 가입자와의 화상통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화상통신서버(38)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가입하고 화상통신서버(38)에서 제공하는 화상통신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함에 따라, 상기 화상통신서버(38)는 해당 사용자의 컴퓨터로 화상통신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한다. 여기서, 상기 회원가입시 사용자정보로서는 착신 단말기 정보(예를 들면 이동통신단말기 번호, 일반전화기 번호 등)를 포함한다. 상기 회원 정보는 화상통신서버(38)에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한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에 다운로드된 화상통신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에 그 화상통신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로그인함에 따라 상기 화상통신서버(38)는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를 관리한다.
상기 화상통신서버(38)는 이동통신교환기(22)로부터 착신측 단말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착신측 가입자가 화상통신가입자인지를 조회 요청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착신측 단말기의 정보를 검색하고 해당 착신측 단말기가 화상통신가입자인지 여부를 조회 응답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22)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화상통신서버(38)는 상기 화상통신가입자 조회 응답에 따라 착신측 단말기가 화상통신가입자인 경우 이동통신교환기(22)가 착신측 단말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착신측 가입자가 로그인상태인지를 조회 요청함에 따라 해당 착신측 단말기에 대응하는 화상통신가입자가 로그인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화상통신가입자의 로그인 상태 여부를 조회 응답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22)에 전달한다.
상기 영상/음성처리장치(28)는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A 또는 10B)의 사용자와, 상기 화상통신서버(38)에 회원가입되고 컴퓨터(16)의 화상통신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로그인한 착신측 비화상통신 단말기[즉, 이동통신단말기(12) 또는 일반전화기(14)]의 사용자가 화상 통신할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영상/음성처리장치(28)는 발신측 화상이동통신단말기(10A 또는 10B)로부터의 영상/음성 엔코딩신호를 디코딩하여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는 기존 망을 통하여 착신측 단말기[즉, 이동통신단말기(12) 또는 일반전화기(14)]로 전달되도록 하고, 영상신호는 인터넷을 통하여 착신측 사용자의 컴퓨터(16)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영상/음성처리장치(28)는 착신측으로부터의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를 엔코딩하여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A 또는 10B)로 전송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채용되는 영상/음성 처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음성처리장치(28)는 영상전화 인터페이스모듈(28_1), 음성/영상분리모듈(28_2), 음성처리모듈(28_3), 음성 인터페이스모 듈(28_4), 음성/영상혼합모듈(28_5), 영상처리모듈(28_6), 영상인터페이스모듈(28_7) 및 제어모듈(28_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화상전화신호는 영상전화 인터페이스모듈(28_1)에 입력되어 제어모듈(28_7)의 제어에 따라 발신측 별로 구분되어 음성/영상분리모듈(28_2)로 전달된다. 여기서, 복수의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연속적으로 화상전화신호가 수신되므로 발신측 별로 구분하여 음성/영상분리모듈(28_2)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성/영상분리모듈(28_2)에 전달된 화상전화신호는 제어모듈(28_7)의 제어에 따라 디코딩되어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분리된 후에 영상신호는 영상처리모듈(28_6)로 전달되고 음성신호는 음성처리모듈(28_3)로 전달된다.
상기 음성처리모듈(28_3)에 전달된 음성신호는 제어모듈(28_7)의 제어에 따라 음성전화규격에 맞게 엔코딩된 후에 음성 인터페이스모듈(28_4)에 전달되고, 이 음성 인터페이스모듈(28_4)에서 음성신호는 제어모듈(28_7)의 제어에 따라 착신측 단말기측으로 전송되도록 처리된 후에 출력된다.
상기 영상처리모듈(28_6)에 전달된 영상신호는 제어모듈(28_7)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 영상통신규격에 맞게 엔코딩된 후에 영상 인터페이스모듈(28_7)에 전달되고, 이 영상 인터페이스모듈(28_7)에서 영상신호는 제어모듈(28_7)의 제어에 따라 착신측 컴퓨터단말(16)측으로 전송되도록 처리된 후에 출력된다.
한편, 착신측 비화상 단말기[예를 들면 이동통신단말기(12) 또는 일반전화기(14)]로부터의 음성전화신호는 음성인터페이스모듈(28_4)에 입력되어 제어모 듈(28_7)의 제어에 따라 착신측 별로 구분되어 음성처리모듈(28_3)로 전달된다. 여기서, 복수의 착신측 비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연속적으로 음성전화신호가 수신되므로 수발신측 별로 구분하여 음성처리모듈(28_3)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성처리모듈(28_2)은 상기 전달된 음성전화신호를 제어모듈(28_7)의 제어에 따라 디코딩한 후에 음성/영상혼합 모듈(28_5)에 전달한다.
또한, 착신측의 비화상 단말기측으로부터 예를 들면 웹캠(18)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가 예를 들면 컴퓨터(16)에 설치된 화상통신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인터넷 통신 방식으로 변환되어 인터넷(36)과 화상통신서버(38) 및 게이트웨이(32)를 경유하여 영상/음성처리장치(28)의 영상인터페이스 모듈(28_7)에 입력된다.
상기 영상인터페이스 모듈(28_7)에 입력된 영상신호는 제어모듈(28_7)의 제어에 따라 착신측 별로 구분되어 영상처리모듈(28_6)로 전달된다. 여기서, 복수의 착신측의 비화상 이동통신단말기 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영상신호가 수신되므로 수발신측 별로 구분하여 영상처리모듈(28_6)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 처리모듈(28_6)은 상기 전달된 영상신호를 제어모듈(28_7)의 제어에 따라 디코딩한 후에 음성/영상혼합 모듈(28_5)에 전달한다.
상기 음성/영상혼합 모듈(28_5)에 입력된 착신측의 음성전화신호와 영상신호는 제어모듈(28_7)의 제어에 따라 발신측의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전화신호 규격에 맞춰서 엔코딩되어 혼합된 후에 이 혼합된 화상전화신호는 영상전화 인터페이스모듈(28_1)에 전달된다.
상기 영상전화 인터페이스모듈(28_1)에 전달된 화상전화신호는 제어모 듈(28_7)의 제어에 따라 발신측의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화상 전화 처리 절차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발신측은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이고 착신측은 비화상 단말기[예를 들면 이동통신단말기(12) 또는 일반전화기(14)]인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비화상 단말기[예를 들면 이동통신단말기(12) 또는 일반전화기(14)]의 사용자가 웹캠(18)이 연결된 자신의 컴퓨터 단말(16)을 이용하여 화상통신서버(38)에서 운영하는 화상통신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한 후(단계 S1), 본원 발명에 따른 화상통신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단계 S3). 이어, 상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단계 S4),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후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로그인한다(단계 S5). 이와 같이 함으로써 비화상 단말기[예를 들면 이동통신단말기(12) 또는 일반전화기(14)]의 사용자가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화전전화를 착신할 때 화상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A)에서 화상발신호 요청을 하면 이 화상 발신 호 요청신호가 이동통신교환기(22)에 수신된다(단계 S6). 상기 이동통신교환기(22)는 상기 화상 발신 호의 착신측이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7). 여기서 상기 착신측이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인지의 여부는 일차적으로 착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의하여 확인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이면 예를 들면 홈위치등록기에 요청하여 착신측 가입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7에서 착신측이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예를 들면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B)]로 확인되면 기존 방식과 마찬가지로 이동통신교환기(22)는 착신측의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B)에 화상 착신 호를 요청한다(단계 S8). 이에 따라 통상의 방식에 따라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A)와 착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B) 사이에서 화상 통화로가 확립되어 그들간에 화상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단계 S9).
한편, 상기 단계 S7에서 착신측이 화상 이동통신단말기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통신교환기(22)는 해당 화상 발신 호 요청에 포함된 착신측 단말기 번호가 화상통신가입자의 단말기 번호인지를 화상통신서버(38)에 조회 요청한다(도 4의 단계 S10). 이에 따라 상기 화상통신서버(38)는 조회 요청된 착신측 단말기 번호가 화상통신가입자의 단말기 번호인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를 조회 응답으로서 상기 이동통신교환기(22)로 전송한다(단계 S11).
상기 수신된 조회 응답으로부터 이동통신교환기(22)는 해당 화상 발신 호 요청의 착신측 단말기가 화상통신가입자의 단말기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12).
상기 단계 S12에서 해당 화상 발신 호 요청의 착신측 단말기가 화상통신가입자의 단말기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통신교환기(22)는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A)에 착신측과의 음성 통신만이 가능하다는 음성 호 가능 안내 신호를 해당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A)에 전송한다(단계 S16). 여기서 음성 호 가능 안내 신호는 콜백(call-back)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착신번호와는 음성통화만이 가능하며, 음성통화를 하려면 1을 눌러주시고 종료하려면 2를 눌러주세요"라는 콜백 기능의 단문 메시지가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A)에 전송되며, 발신측 사용자가 번호키 "1"을 누르면 음성 통화 요청이 이동통신교환기(22)로 전달되고, 번호키 "2"를 누르면 발신 호가 종료된다.
그후,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A)의 사용자가 음성 통화만을 원할 경우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A)로부터 음성 호 요청신호가 이동통신교환기(22)로 전송된다(단계 S17).
이에 따라 이동통신교환기(22)는 착신측의 단말기(예를 들면 12 또는 14)에 음성 착신 호를 요청한다(단계 S18). 이에 따라 통상의 방식에 따라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A)와 착신측 단말기(예를 들면 12 또는 14) 사이에서 음성 통화로가 확립되어 그들 간에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단계 S19).
한편, 상기 단계 S12에서 해당 화상 발신 호 요청의 착신측 단말기가 화상통신가입자의 단말기인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통신교환기(22)는 상기 화상통신서버(38)에 해당 화상 발신 호 요청의 착신측 단말기의 화상통신가입자가 로그인상태에 있는지를 조회 요청한다(단계 S13). 이에 따라 상기 화상통신서버(38)는 조회 요청된 착신측 단말기 번호의 화상통신가입자가 현재 로그인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를 조회 응답으로서 상기 이동통신교환기(22)로 전송한다(단계 S14). 여기서 상기 로그인 상태 조회 응답신호에는 가입자 정보(예를 들면 해당 화상통신가입자의 아이디)와 착신 단말기 정보(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된 조회 응답으로부터 이동통신교환기(22)는 해당 화상 발신 호 요청의 착신측 단말기의 화상통신가입자가 로그인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15).
상기 단계 S15에서 해당 화상 발신 호 요청의 착신측 단말기의 화상통신가입자가 로그인 상태에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착신측 단말기와는 음성 통신만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이동통신교환기(22)는 상기한 단계 S16로 진행하여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A)에 착신측과의 음성 통신만이 가능하다는 음성 호 가능 안내 신호를 해당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A)에 전송한다.
한편, 상기 단계 S15에서 해당 화상 발신 호 요청의 착신측 단말기의 화상통신가입자가 로그인 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동통신교환기(22)는 상기 로그인 상태 조회 응답신호에서 취득한 화상통신 가입자 정보(예를 들면 해당 화상통신가입자의 아이디)와, 상기 화상 발신 호 요청 신호에서 취득한 발신측 화상통신단말기 정보(예를 들면 화상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착신 단말기 정보(예를 들면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화상 착신 호 요청 신호를 영상/음성처리장치(28)에 전송한다(단계 S20).
이에 따라 상기 영상/음성처리장치(28)에서는 영상전화 인터페이스 모듈(28_1)에서 상기 화상 착신 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모듈(28_7)에 전달하게 되고, 제어모듈(28_7)은 상기 착신 호 요청을 확인하고 상기 화상 착신 호 요청 신호에 포함된 화상통신 가입자 정보(예를 들면 해당 화상통신가입자의 아이디)와, 발신측 화상통신단말기 정보(예를 들면 화상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착신 단말기 정보(예를 들면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맵핑 테이블 형태로 해당 호가 종료할 때까지 저장보관한다.
상기 영상/음성처리장치(28)의 제어모듈(28_7)은 상기 착신 호 요청에 포함 된 화상통신 가입자 정보(예를 들면 해당 화상통신가입자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영상수신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착신측 컴퓨터 단말(16)로 전송하도록 영상 인터페이스 모듈(28_7)을 통하여 화상통신서버(38)로 전송하고(단계 S22), 상기 화상통신서버(38)는 해당 착신측 컴퓨터 단말(16)로 영상수신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23). 이에 따라 영상/음성처리장치(28)와 착신측 컴퓨터 단말(16) 사이에서 상기 화상통신서버(38)를 매개로 영상 착신측 통화로 확립 절차가 이루어진다(단계 S26).
한편, 상기 영상/음성처리장치(28)의 제어모듈(28_7)은 상기 착신 호 요청에 포함된 착신 단말기 정보(예를 들면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음성 착신 호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착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음성 인터페이스 모듈(28_4)을 통하여 이동통신 교환기(22)로 전송하고(단계 S24), 상기 이동통신교환기(22)는 해당 착신 단말기로 음성 착신 호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25). 이에 따라 영상/음성처리장치(28)와 착신 단말기(12 또는 14) 사이에서 상기 이동통신교환기(22)를 매개로 음성 착신측 통화로 확립 절차가 이루어진다(단계 S27).
한편, 상기한 단계 S22~S27과 동시에 상기 영상/음성처리장치(28)는 상기 이동통신교환기(22)를 매개로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A)와 화상 발신측 통화로 확립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단계 S28).
상기한 영상/음성 처리장치(28)에서 발신측의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A)와의 발신측 통화로와, 착신측 단말기(12 또는 14)와의 착신측 음성 통화로 및 착신측 컴퓨터 단말기(16)와의 착신측 영상 통화로가 모두 확립된 후, 상기 발신측 화상단 말기(10A)로부터의 화상 통화 신호는 상기 영상/음성처리부(28)에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분리되어 음성신호는 착신측 단말기(12 또는 14)로 전송되고 영상신호는 컴퓨터 단말(16)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착신측 단말기(12 또는 14)로부터의 음성신호와 웹캠(18)으로부터 촬영된 컴퓨터 단말(16)로부터의 영상신호는 영상/음성처리장치에서 혼합되어 화상 통화 신호로 변환된 후에 발신측의 화상 이동통신단말기(10A)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발신측과 착신측이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서는 착신측 사용자가 컴퓨터에 연결된 웹캠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착신측 사용자가 웹캠을 구비하지 않고 있어도 되며, 이 경우에는 착신측 사용자가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측으로부터의 영상을 컴퓨터로 볼 수 있고 착신측 사용자의 영상은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요청시 착신측이 화상 이동통신단말기가 아니더라도 화상 통화 또는 음성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5)

  1.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와의 영상통신을 위한 화상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회원가입된 비화상 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에 다운로드 제공하며 상기 다운로드 설치된 화상통신 애플리케이션이 로그인된 비화상통화 단말기 사용자의 컴퓨터와 화상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의 영상통신을 제공하는 화상통신서버와;
    비화상 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하여 구비되고 웹캠이 연결되며 상기 화상통신서버에서 제공되는 화상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설치후 로그인되어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해당 비화상 통신단말기로의 착신시 해당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와의 영상통신을 수행하는 컴퓨터단말기와;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화상 발신 호 요청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착신측이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인지를 확인하고 착신측이 비화상 통신단말기인 경우 상기 화상통신서버에 화상통신가입자인지와 로그인상태인지를 조회하고 상기 화상통신서버로부터 화상통신가입자로서 로그인상태인 것으로 조회되면 하기의 영상음성처리장치에 화상 착신 호를 요청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와;
    상기 화상 착신 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화상통신서버를 경유하여 해당 착신측 비화상 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와의 착신측 영상 통화로를 확립하고 상기 이동통신교환기를 경유하여 해당 착신측 비화상 통신단말기와의 착신측 음성 통화로를 확립하며 상기 이동통신교환기를 경유하여 발신측 화상 통화로를 확립한 후에, 상기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화상 통화 신호를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를 상기 확립된 착신측 음성 통화로로 전송하고 상기 분리된 영상신호를 상기 확립된 착신측 화상 통화로로 전송하며, 상기 착신측 음성 통화로를 통해 수신되는 해당 착신측 비화상 통신단말기로부터의 음성신호와 상기 확립된 착신측 영상 통화로를 통하여 수신되는 착신측 비화상 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컴퓨터단말기에 연결된 웹캠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혼합하여 화상 통화신호로 변환한 후 이 변환된 화상 통화신호를 상기 확립된 발신측 화상 통화로를 통하여 상기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음성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교환기는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화상 발신 호 요청신호 수신시 착신측이 비화상 통신단말기이거나 상기 화상통신서버로부터 화상통신가입자로서 로그인상태가 아닌 것으로 조회되면 해당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 음성 통화 가능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음성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착신측 비화상 통신단말기로 음성 호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통화 가능 안내 메시지는 콜백 기능의 단문 메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교환기는 착신측이 비화상 통신단말기이고 화상통신서버에 로그인되어 있는 경우 해당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화상 발신 호 요청 신호에 포함된 발신측 화상통신단말기 정보 및 착신 단말기 정보와, 상기 화상통신서버로부터 로그인상태 조회시 취득한 화상통신 가입자 정보를 화상 착신 호 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영상음성처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음성처리장치는 상기 발신측 화상통신단말기 정보 및 착신 단말기 정보와 화상통신 가입자 정보를 맵핑 테이블 형태로 해당 호가 종료할 때까지 저장보관하고, 상기 발신측 화상통신단말기 정보 및 착신 단말기 정보와 화상통신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신호의 목적지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화 시스템.
  5. 화상 전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영상음성처리장치에 있어서,
    발신측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화상전화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발신측 별로 구분하여 음성영상분리모듈로 전달하고, 음성영상혼합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착신측 화상전화신호를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발신측의 화상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전화 인터페이스모듈과;
    상기 영상전화 인터페이스모듈로부터 입력받은 화상전화신호를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분리한 후에 영상신호를 영상처리모듈로 전달되고 음성신호를 음성처리모듈로 전달하는 음성영상분리모듈과;
    상기 음성영상분리모듈에서 전달된 음성신호를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음성전화규격에 맞게 변환한 후에 음성 인터페이스모듈로 전달하고, 음성 인터레이스 모듈에서 전달된 음성전화신호를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변환한 후에 음성영상혼합모듈에 전달하는 음성처리모듈과;
    상기 음성처리모듈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를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착신측 단말기측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여 출력하고, 착신측 단말기측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전화신호를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착신측 별로 구분하여 음성처리모듈로 전달하는 음성 인터페이스모듈과;
    상기 음성영상분리모듈에서 전달된 영상신호를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 영상 통신 규격에 맞게 변환한 후에 영상 인터페이스모듈로 전달하고, 영상 인터레이스 모듈에서 전달된 영상신호를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변환한 후에 음성영상혼합모듈에 전달하는 영상처리모듈과;
    상기 영상처리모듈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착신측 컴퓨터 단말기측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여 출력하고, 착신측 컴퓨터 단말기측으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착신측 별로 구분하여 영상처리모듈로 전달하는 영상 인터페이스모듈과;
    착신측의 음성전화신호와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발신측의 화상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전화신호 규격에 맞춰서 혼합한 후에 이 혼합된 화상전화신호를 상기 영상전화 인터페이스모듈로 전달하는 음성영상혼합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음성처리장치.
KR1020070038431A 2007-04-19 2007-04-19 화상 전화 시스템 KR101339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431A KR101339559B1 (ko) 2007-04-19 2007-04-19 화상 전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431A KR101339559B1 (ko) 2007-04-19 2007-04-19 화상 전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256A KR20080094256A (ko) 2008-10-23
KR101339559B1 true KR101339559B1 (ko) 2013-12-10

Family

ID=4015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431A KR101339559B1 (ko) 2007-04-19 2007-04-19 화상 전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5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000A (ko) * 2001-02-28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일반 가정용 텔레비전 및 전화기를 이용한 화상 전화 장치
KR100685251B1 (ko) * 2004-04-09 2007-02-22 주식회사 엠씨글로벌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000A (ko) * 2001-02-28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일반 가정용 텔레비전 및 전화기를 이용한 화상 전화 장치
KR100685251B1 (ko) * 2004-04-09 2007-02-22 주식회사 엠씨글로벌 인터넷 화상전화 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256A (ko)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31659B (zh) 基于因特网的文本和视频通信服务的个人识别和交互设备
RU2532729C2 (ru) Способ и узел услуг доступа к видеочасти речевого и видео вызова и способ добавления видеочасти к речевому вызову
JP2005192207A (ja) Ip基盤の画像/音声通信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呼転換/呼ピックアップ方法
KR20040054061A (ko) 이동전화를 위한 인터넷 폰 시스템 및 인터넷 폰 서비스방법
EP1292091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s using internet phones and system therefor
CN102055961A (zh) 被叫方可视终端监控方法及视频监控系统
JP2007013616A (ja) プレゼンスサーバ、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KR101339559B1 (ko) 화상 전화 시스템
KR100344011B1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휴대전화와 pc 사이의 통신 서비스제공 시스템
US9100224B2 (en) Cal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in VoIP system
KR20100047525A (ko) 이동통신 기반의 tv 전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770859B1 (ko) 인터넷 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설교환시스템에서 호 전환장치 및 방법
KR20050093425A (ko) 아이피 통신망과 피에스티앤을 이용한 영상전화시스템 및그 방법
KR100442436B1 (ko) 인터넷 전화망에서 ivr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KR100718806B1 (ko) H.323 기반의 텍스트 서비스가 가능한 VoIP 시스템
WO2021251285A1 (ja) 通知装置、通知システム、通知方法及び記憶媒体
KR100907410B1 (ko) 멀티미디어 기반의 양방향 레터링 서비스 구현 시스템 및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레터링 서비스 서버
KR100337944B1 (ko) 음성 및 화상데이터 송수신방법
JP2022183642A (ja) 電話システム及び電話接続方法
KR20040001203A (ko) 차세대 망에서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1217610A (zh) 基于媒体服务器的传真方法
KR100735921B1 (ko) 브이.오.아이.피 폰과 그 폰에서 실행 가능한 2단계 콜라우팅 방법
JP2006080673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KR101382133B1 (ko) 아이피통화로의 통화방식 변환방법과 이를 위한 아이피통화 장치 및 아이피통화 시스템
KR100687438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