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6942A -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 Google Patents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6942A
KR20050096942A KR1020057013321A KR20057013321A KR20050096942A KR 20050096942 A KR20050096942 A KR 20050096942A KR 1020057013321 A KR1020057013321 A KR 1020057013321A KR 20057013321 A KR20057013321 A KR 20057013321A KR 20050096942 A KR20050096942 A KR 20050096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opening
package
box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2863B1 (ko
Inventor
마코토 센도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6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8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5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lid
    • B65D85/10568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lid opening of the lid opens simultaneously an inner package withi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artons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는, 내부프레임(6)을 구비한 박스(2)와, 박스(2)의 개구단을 개폐하는 리드(28)와, 박스(2) 내에 수용된 내용물(14)을 포함한다. 내용물(12)은 필터담배의 다발을 감싸는 포재(14)를 포함하고, 이 포재(14)는 잘려나가는 선에 의해 구획된 분리가능영역(20)을 가지며, 이 분리가능영역(20)은 리드(28)의 내면에 접착제도포영역(40)에 의하여 접착되어 있다. 리드(28)가 최초로 열려진 때, 리드(28)의 회동에 따라서, 분리가능영역(20)은 포재(14)로부터 잘려나가며, 분리조각(34)을 형성하고, 이 분리조각(34)은 리드(28) 내에 접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Description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PACKAGE FOR BAR-LIKE SMOKING ARTICLE}
본 발명은, 담배나 필터담배 등의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에 관한것이다.
상기 종류의 팩키지는 예컨대 특공소55-2605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지의 팩키지는, 개구단(開口端)을 가지는 박스와, 개구단의 후연(後緣)에 힌지 결합되고 개구 가능한 리드(lid)와, 박스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포함한다. 내용물은, 포재(包材)에 의하여 감싸진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다발을 구비한다. 또, 포재는 잘려나가는 선을 가지며, 이 잘려나가는 선은 포재의 일부를 분리가능영역으로 형성한다.
상술한 팩키지의 리드가 소비자, 즉 흡연자에 의하여 최초로 열려진 때, 흡연자는 포재의 분리가능영역을 포재로부터 분리하고, 그 결과 내용물인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다발의 일부가 박스의 전벽(前壁)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의 전벽은 내부프레임을 포함하고,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다발의 일부는 내부프레임의 U자형 액세스(access)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흡연자는 내부프레임의 액세스개구를 통하여 박스로부터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용이하게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팩키지에 의하면, 흡연자는 팩키지의 리드를 최초로 열고, 그리고 막대모양 끽연물품에 액세스할 때, 내용물의 분리가능영역을 포재로부터 필히 제거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팩키지로부터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처음 꺼내는 것은 흡연자에게 있어서 번거로운 일이었다.
또한, 분리가능영역이 포재로부터 제거되면, 분리가능영역은 쓰레기로 되는 분리조각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분리조각의 폐기처리도 또한 흡연자에게 있어서 번거로운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팩키지가 최초로 열려진 때, 상기 팩키지로부터 막대모양 물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고, 또한 팩키지의 개봉시에 쓰레기로 되는 분리조각을 발생시키지 않는 막대모양 흡연물품을 위한 팩키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1은, 힌지 리드형 팩을 그 리드가 열려진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2는, 팩 내에 수용된 내용물의 사시도,
도3은, 내용물의 포재를 전개하여 나타낸 도면,
도4는, 도1의 외부케이싱 및 리드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전개도,
도5 ~ 도7은, 도4의 블랭크를 접는 순서를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텅 리드형 팩의 사시도,
도9는, 도8의 팩을 위한 블랭크의 전개도,
도10은, 변형예의 블랭크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11은, 내부프레임을 위한 블랭크의 전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팩키지는,
박스로서, 전벽, 개구단 및 전벽에 개구단의 전연(前緣;front edge)으로부터 형성된 액세스(access)개구 및 상기 액세스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절취선의 한쪽을 포함하고, 상기 절취선이 전벽에 개구예정영역을 구획하는 박스와,
박스 내에 수용된 내용물로서,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다발, 상기 다발을 감싸며 상기 개구단측에 상기 내용물의 폐색면을 형성하는 포재 및 상기 포재에 잘려나가는 선에 의하여 구획된 분리가능영역을 포함하고, 분리가능영역이 액세스개구 또는 개구예정영역에 대응한 전방부분을 가지는 내용물과,
박스의 개구단의 후연(後緣)에 힌지 결합된 리드로서, 액세스개구 또는 개구예정영역 및 개구단을 덮는 내면을 포함하는 리드와,
리드의 상기 내면과 분리가능영역을 액세스개구 또는 개구예정영역을 통하여 서로 결합하는 결합영역과,
를 구비한다.
상술한 팩키지에 의하면, 팩키지가 제조된 때, 리드의 내면과 포재의 분리가능영역은 액세스개구 또는 개구예정영역을 통하여 직선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리드가 최초로 열려진 때 리드의 회동에 따라서, 분리가능영역은, 포재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잘려나오거나, 또는 박스로부터의 개구예정영역의 잘려나옴을 동시에 수반하여 포재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잘려나옴으로써, 분리조각을 형성한다. 이 분리조각은 리드의 내면에 직접 또는 개구예정영역의 잘려나옴에 의하여 형성된 분리조각을 접착한 채로 유지된다.
따라서, 팩키지가 최초로 개봉된 때, 분리가능영역의 잘려나옴에 의하여 얻어진 분리조각 및/또는 개구예정영역의 잘려나옴에 의하여 얻어진 분리조각을 위한 폐기처리가 불필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팩키지는 내부프레임을 구비한 힌지 리드형 팩으로서, 팩키지의 박스는 액세스개구를 미리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영역은, 리드의 내면과 분리가능영역의 전방부분을 액세스개구를 통하여 접착하는 제1접착영역을 포함한다.
또, 내용물의 폐색면이, 한쌍의 엔드 플랩과, 이들 엔드 플랩에 순차로 중첩된 내측사이드플랩 및 상기 분리가능영역의 일부로서의 외측사이드플랩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결합영역은 외측사이드플랩과 리드의 내면을 서로 접착하는 제2접착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영역이 제1 및 제2접착영역을 공히 포함하고 있으면, 분리가능영역은 확실하게 잘려나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잘려나가는 선은, 외측사이드플랩을 포재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하는 슬릿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슬릿은 분리가능영역의 잘려나감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또, 본 발명의 팩키지는 텅 리드를 구비한 팩일 수 있다. 이 경우, 박스는 그 전벽에 액세스개구 또는 개구예정영역보다도 박스의 바닥쪽에 위치한 슬릿을 구비하고, 텅 리드는 박스의 개구단을 덮기 위한 천정벽과, 박스의 액세스개구 또는 개구예정영역을 덮기 위한 텅으로서 슬릿에 삽입이 가능한 선단을 가지는 텅과, 천정벽의 내면에 붙혀진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보강부재는 텅 리드가 최초로 열려진 때에 박스로부터 분리된다.
상술한 텅 리드형 팩키지의 경우, 결합영역은, 텅의 내면과 상기 분리가능영역의 상기 전방부분을 액세스개구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개구예정영역을 통하여 접착하는 제1접착영역을 포함한다.
더욱이, 내용물의 폐색면은, 한쌍의 엔드 플랩과, 이들 엔드 플랩에 순차로 중첩된 내측사이드플랩 및 분리가능영역의 일부로서의 외측사이드플랩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결합영역은 외측사이드플랩과 보강부재를 서로 접착하는 제2접착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필터담배를 위한 힌지 리드형 팩을 도시하며, 이 팩은 직방체(直方體)형상을 이루고, 개봉테이프를 구비한 필름(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포장되어 있다.
팩은 박스(2)를 구비하고, 박스(2)는 외부케이싱(4) 및 내부프레임(6)을 구비한다. 외부케이싱(4)은 개구한 상단을 가지며, 이 상단의 개구면은 박스(2)의 전벽(10)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내부프레임(6)은 단면으로 봐서 U자형상을 이루고, 외부케이싱(4) 내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프레임(6)은 외부케이싱(4)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고, 박스(2)의 개구단(8)을 외부케이싱(4)과 협동하여 형성한다.
박스(2)는 내용물(12)을 수용하고 있고, 이 내용물(12)은 담배다발(CB) 및 이 담배다발(CB)을 감싸는 포재(14)를 가진다. 예컨대, 담배다발(CB)은 20개의 필터담배를 포함하고 있다.
포재(14)는, 종이 등의 베이스(base)층과, 이 베이스층의 표면에 형성된 금속의 박막층을 구비한다. 포재(14)는 박스(2)를 형성하는 블랭크와 마찬가지로 가연폐기물로서 분류되고, 이에 대하여 상술한 필름은 불연폐기물로서 분류된다.
내용물(12)은 상측폐색면을 구비하며, 이 상측폐색면은 포재(14)의 접힘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내용물(12)의 상측폐색면은 박스(2)의 개구단(8)으로부터 노출된다. 또한, 내용물(12)의 전면 상부도 내부프레임(6)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프레임(6)은 그 상부 테두리에 대략 U자형의 액세스개구(16)를 가지며, 이 액세스개구(16)가 내용물(12)의 전면 상부를 노출시키고 있다.
한편, 내용물(12)의 포재(14)는 도2 중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점 쇄선의 잘려나가는 선(18)을 구비한다. 이 잘려나가는 선(18)은 포재(14)의 일부를 분리가능영역(20)으로서 구획한다. 분리가능영역(20)은 내부프레임(6)의 액세스개구(16)에 대응한 부분과, 내용물(12)의 상측폐색면의 일부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2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내용물(12)의 상측폐색면은, 포재(14)의 좌우의 엔드 플랩(22)과, 이들 엔드 플랩(22) 상에 순차로 중첩된 내측플랩(24) 및 외측플랩(26)을 구비하고, 분리가능영역(20)은 외측플랩(26)을 포함한다.
도3은 포재(14)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이 전개도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분리가능영역(20)을 구획하는 잘려나가는 선(18)은 2개의 슬릿(28)과, 이들 슬릿(28) 간을 접속하는 천공열(穿孔列)을 구비한다. 이들 슬릿(28)은, 외측플랩(26)을 형성하기 위한 포재(14)의 부분과, 포재(14)의 나머지 부분, 구체적으로는 엔드 플랩(22)을 형성하는 포재(14)의 부분 사이에 형성되며, 이들 외측플랩(26)과 엔드 플랩(22)을 서로 분리시키고 있다.
또, 잘려나가는 선(18)의 천공열은, 내측플랩(6)의 액세스개구(16)에 대응한 부분을 구획한다. 또한, 슬릿(28)은 천공열로 치환 가능하다.
도3 중의 파선(破線)은, 포재(14)의 접는선을 도시한다. 포재(14)는 접는선을 따라서, 담배다발(CB)의 주위로 접혀지고, 이에 의하여 상술한 내용물(12)이 형성된다. 또, 도3에서 보아 포재(14)의 하측부분은 내용물(12)의 하측폐색면, 즉 그 바닥을 형성한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팩은 리드(28)를 더 포함하며, 이 리드(28)는 박스(2)(외부케이싱(4))에 있어서의 개구단(8)의 후연에 일체적으로 셀프 힌지를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28)는 셀프 힌지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며, 이 회동에 의하여 박스(2)의 개구단(8)을 개폐한다.
리드(28)가 닫혀진 때, 리드(28)는 외부케이싱(4)으로부터 돌출한 내부프레임(6)의 부분을 덮고, 리드(28)의 개구 테두리는 외부케이싱(4)의 개구 테두리에 합치한다. 요컨대, 리드(28)의 개구면도 또한 외부케이싱(4)의 개구면의 경사에 맞추어 경사지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드(28)는 내부프레임(6)의 액세스개구(16)를 가지는 전면에 오버랩(overlap)된 전측 내면(30)과, 내용물(12)의 상측폐색면에 중첩된 천정면(32)과, 내부프레임(6)의 양측면에 각각 중첩된 내측면을 가진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28)가 열려짐과 동시에, 상술한 분리가능영역(20)은 포재(14)로부터 잘려나와 분리조각(34)을 형성하고, 이 분리조각(34)은 리드(28)의 전측 내면(30) 및 천정면(32)에 각각 접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결과, 내용물(12)의 담배다발(CB)은 그 일부가 내부프레임(6)의 액세스개구(16)를 통하여 노출되고, 이 액세스개구(16)로부터 담배다발(CB)의 필터 담배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분리조각(34)을 형성하기 위하여, 팩의 제조과정에서 포재(14)의 분리가능영역(20)은 리드(28)의 전측 내면(30) 및 천정면(32)의 각각에 미리 접착된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은 접착상태는, 외부케이싱(4) 및 리드(28)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36)에, 도4에 도시된 접착제도포영역(38,40)을 새로이 부가함에 의하여 얻어진다. 또, 도4는 블랭크(36)의 이면(裏面)을 도시하고, 접착제도포영역(38,40)은 도4중에 크로스해칭(cross hatching)을 실시하여 나타나 있다.
도4에서 보아, 블랭크(36)는 외부케이싱(4)을 형성하기 위한 하부섹션(lower section;36L)과, 리드(28)를 형성하기 위한 상부섹션(upper section;36U)을 포함한다. 이들 하부섹션(36L) 및 상부섹션(36U)은, 상술한 셀프 힌지를 형성하는 접는선(37)을 개재하여 서로 이어져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그 외의 접는선도 또한, 도4 중에서의 접는선(37)과 동일하게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부섹션(36L)은 그 상부에 후방패널(40)을 구비하고, 이 후방패널(40)은 외부케이싱(4)의 후벽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4에서 보아, 후방패널(40)의 하측에는 외측바닥패널(42)를 개재하여 전방패널(44)이 접속되어 있다. 외측바닥패널(42) 및 전방패널(44)은, 외부케이싱(4)의 전벽(10) 및 저벽을 각각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후방패널(40)과 외측바닥패널(42)의 사이, 또한 외측바닥패널(42)과 전방패널(44)의 사이는 각각 접는선을 개재하여 구획되어 있다.
후방패널(40)의 양측 테두리에 접는선을 개재하여 한쌍의 내측사이드플랩(46)이 접속되어 있고, 이들 내측사이드플랩(46)은, 외부케이싱(4)의 내측사이드벽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각 내측사이드플랩(46)의 하부 테두리(lower edge)에는 접는선을 개재하여 내측바닥패널(48)이 접속되어 있고, 이들 내측바닥패널(48)은 외측바닥패널(4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내측바닥패널(48)은, 외부케이싱(4)의 저벽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reinforcement)가 되는 부분이다.
또, 전방패널(44)의 양측 테두리에도 접는선을 개재하여 한쌍의 외측사이드플랩(50)이 접속되어 있고, 이들 외측사이드플랩(50)은 외부케이싱(4)의 외측사이드벽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외부케이싱(4)의 각 사이드벽은, 내측 및 외측사이드플랩(46,50)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부섹션(36U)은 접는선(37)을 개재하여 후방패널(40)에 이어지는 직사각형 모양 부분을 가진다. 이 직사각형 모양 부분은 접는선에 의해서 4개의 패널로 구획되고, 이들 패널은 도4에서 보아 상측으로부터 내측전방패널(52), 외측전방패널(54), 외측상부패널(56) 및 후방패널(58)로 불리워진다.
외측전방패널(54)은, 리드(28)의 전벽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고, 외측전방패널(54)의 양측 테두리에 접는선을 개재하여 사이드외측플랩(60)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후방패널(58)의 양측에도 접는선을 개재하여 내측사이드플랩(62)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내측사이드플랩(62) 및 외측사이드플랩(60)은 서로 협동하여 리드(28)의 각 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또, 내측사이드플랩(62)에는 접는선을 개재하여 상부내측플랩(64)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들 상부내측플랩(64)은 외측상부패널(56)의 양측에 배치되고, 리드(28)의 천정벽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가 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패널 및 플랩은 그 이면의 소정 개소(個所), 요컨대 도4 중에 해칭을 행하여 나타낸 영역(66)에 접착제가 각각 도포된다. 이들 접착제도포영역(66)은, 블랭크(36)에로의 내용물(12)의 접착이나, 서로 중첩되는 플랩 간의 접착에 사용된다.
상술한 접착제도포영역(66)은 통상의 팩도 또한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팩은 상술한 접착제도포영역(38,40)을 새로이 구비하고 있다.
도4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접착제도포영역(38)은 상부내측플랩(64)의 일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접착제도포영역(38)은, 상술한 내용물(12)의 상측폐색면을 형성하는 외측플랩(26)의 양단부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되어 있다(도2 참조).
한편, 접착제도포영역(40)은 내측전방패널(52)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접착제도포영역(40)은, 상술한 내측플랩(6)의 액세스개구(16)에 대응하여 위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5 ~ 도7을 참조하면서 팩의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36)의 이면상에 내용물(12)이 공급된다. 이 때, 내용물(12)은 후방패널(40)에 중첩되고, 이들 내용물(12) 및 후방패널(40)은 접착제도포영역(66)에 의하여 서로 접착된다.
또, 내용물(12)이 후방패널(40) 상에 공급되기 전에, 내용물(12)은 그 상면에 내부프레임(6)을 구비하고 있고, 내부프레임(6) 및 내용물(12)은 서로 접착되어 있다.
이후, 한쌍의 내측사이드플랩(46)은 내용물(12)의 양측면을 향하여 접혀지고, 이들 양면에 중첩된다. 이 때, 내측사이드플랩(46)의 접착제도포영역(66)은 그 내측사이드플랩(46)과 내용물(12)의 측면을 서로 접착한다.
내측사이드플랩(46)의 접힘과 동시에, 한쌍의 내측사이드플랩(62)은 상부내측플랩(64)을 동반하여 동일하게 접혀진다. 이 때문에, 내측사이드플랩(62) 및 상부사이드플랩(64)은, 대응하는 내측사이드플랩(46)과 함께 하나의 선상에 배열된다.
이후,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내측바닥플랩(48)이 내용물(12)의 저면을 향하여 접혀지고, 이 저면에 중첩된다. 동시에 한쌍의 내측상부플랩(64)도 또한 내용물(12)의 상측폐색면을 향하여 접혀져서, 상측폐색면에 중첩된다. 이 때, 이들 내측상부플랩(64)의 접착제도포영역(38)은, 그 내측상부플랩(64)과 상측폐색면의 외측플랩(26)의 사이를 서로 접착한다.
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전방패널(52)은 외측전방패널(54)을 향하여 접혀져서, 외측전방패널(54)에 중첩된다.
내측전방패널(52)의 접착제도포영역(66)은 내측 및 외측전방패널(52,54)을 서로 접착한다. 서로 접착된 내측 및 외측전방패널(52,54)은 리드(28)의 전벽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술한 접착제도포영역(40)이 내측전방패널(52)의 접음에 의하여, 블랭크(36)의 이면측에 위치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후, 외측바닥패널(42)은 전방패널(44)을 동반하여, 내용물(12)의 바닥을 향하여 접혀지고, 이 바닥에 중첩된다. 또, 전방패널(44)은 내용물(12)의 표면을 향하여 접혀지고, 이 표면에 내부프레임(6)을 개재하여 중첩된다. 전방패널(44)의 접착제도포영역(66)은, 전방패널(44)과 내부프레임(6)의 하부를 서로 접착한다.
전방패널(44)의 접힘과 동시에, 외측상부플랩(56)은 내용물(12)의 상측폐색면을 향하여 접혀지고, 이 상측폐색면에 좌우의 내측상부플랩(64)을 개재하여 중첩된다. 이 때, 상술한 리드(28)의 저벽(내측 및 외측전방패널(52,54))은, 좌우의 외측사이드플랩(60)과 함께, 내용물(12)의 상면으로부터 세워진 상태가 된다.
이후, 리드(28)의 전벽은 외측사이드플랩(60)을 동반하여, 내용물(12)의 상면을 향하여 접혀지고, 이 상면에 중첩된다.
이 때, 리드(28)의 전벽, 즉 내측전방패널(52)의 접착제도포영역(40)은, 내부프레임(6)의 액세스개구(16)를 통하여, 내용물(12)에 있어서의 포재(14)의 분리가능영역(20)에 맞닿고, 분리가능영역(20)과 리드(28)의 전벽을 서로 접착한다. 이 상태는 도7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시점에서, 도7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리드(28) 쪽의 한 쌍의 외측사이드플랩(60) 및 박스(2) 쪽의 한쌍의 외측사이드플랩(50)은 공히 내용물(12)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상태에 있다.
이후, 외측사이드플랩(60,50)은 공히 내용물(12)의 대응하는 측면을 향하여 접혀지고, 이 측면, 즉 미리 접혀진 내측사이드플랩(62,46)에 각각 중첩된다. 외측사이드플랩(60,50)의 접착제도포영역은, 외측사이드플랩(60,50)을 내측사이드플랩(62,44)에 각각 접착하고, 이 시점에서 팩의 제조가 완료된다.
상술한 블랭크(36)의 접는 순서는 통상의 블랭크 및 접는 순서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팩은, 통상의 팩 포장기에 접착제도포영역(38,40)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도포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부가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제조 가능하다.
이후, 팩은 필름포장기(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되고, 이 필름포장기는 개봉테이프를 구비한 필름에 의하여 팩을 감싼다.
상술한 팩의 리드(28)가 아직 열려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때, 포재(14)의 분리가능영역(20)은 리드(28)에 있어서의 천정면(32) 및 전벽의 내면(30)에 각각 접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리가능영역(20)의 일부인 포재(14)의 외측플랩(26)은, 리드(28)의 천정면(32)(한쌍의 내측상부플랩(64))에 접착제도포영역(38)에 의하여 접착되고, 여기서 분리가능영역(20)의 나머지 부분은 리드(28)의 전벽의 내면(30)(내측전방패널(52))에 접착제도포영역(40)에 의하여 접착되어 있다.
또, 도2중, 접착제도포영역(38,40)에 의한 분리가능영역(20)의 접착 개소는 마크 M에 의하여 도시되어 있다.
이후, 팩의 리드(28)가 최초로 셀프 힌지 주위로 회동된 때, 즉 리드(28)가 최초로 열려진 때, 분리가능영역(20)은 리드(28)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리드(28)의 회동은 포재(14)로부터 분리가능영역(20)을 잘려나가게 한다. 잘려나간 분리가능영역(2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조각(34)을 형성하지만, 상기 분리조각(34)은 리드(28)의 내면에 접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흡연자는 리드(28)를 최초로 여는 것만으로, 포재(14)의 분리가능영역(20)을 잘라낼 수 있으므로, 리드(28)을 연 후, 흡연자가 분리가능영역(20)을 손으로 잘라낼 필요가 없다. 이 결과, 분리가능영역(20)의 잘라냄에 요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고, 팩의 개봉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리조각(34)은 리드(28)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분리조각(34)이 리드(28)로부터 탈락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팩의 개봉시, 분리조각(34)의 폐기처리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 팩내의 필터담배가 전부 소비된 후, 분리조각(34)은 빈 팩과 함께 폐기된다.
또한, 분리가능영역(20)은 리드(28)의 내면에 3개소에서 접착되어 있으므로, 리드(28)의 회동 조작에 수반하여, 분리가능영역(20)은 잘려나가는 선(18)(도2 참조)을 따라서 확실하게 잘려나가며, 분리조각(34)의 일부가 리드(28)의 외측으로 돌출되지도 않는다.
더욱이, 분리가능영역(20)의 외측플랩(26)은 슬릿(28)(도2 참조)에 의하여 포재(14)의 다른 부위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분리가능영역(20)이 잘려나간 때, 외측플랩(26)이 내부프레임(6)이나 외부케이싱(4)에 걸리거나, 분리가능영역(20)의 잘려나감에 있어서 큰 저항이 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제약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분리가능영역(20)을 구획하는 잘려나가는 선(18)은 그 전체를 슬릿의 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리가능영역은, 통상의 팩의 내용물이 구비한 분리가능영역이어도 좋다. 이 경우, 포재(14)는 통상의 접힌 형태로, 내용물(12)의 상측폐색면을 형성한다.
도1에 도시한 팩키지는 힌지 리드형 팩이지만, 본 발명의 팩키지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텅 리드형 팩과 같이, 여러 가지 형태의 리드를 구비한 팩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8의 텅 리드형 팩에 의하면, 몸체(2)는 외부케이싱(4)만으로 형성되고, 내부프레임(6)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외부케이싱(4)은 그 전벽에 형성된 액세스개구(16)를 가진다.
또, 외부케이싱(4)의 전벽(10)에는 삽입슬릿(68)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슬릿(68)은, 액세스개구(16) 하측에 위치되며, 액세스개구(16)을 향하여 열려진 V자형상을 이룬다.
외부케이싱(4)에는 박스형의 리드(28) 대신에, 텅 리드(70)가 구비되어 있다. 이 텅 리드(70)는 외부케이싱(4)에 있어서의 개구단(8)의 후연에 셀프 힌지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텅 리드(70)는 내용물(12)의 상측폐색면을 폐색하는 천정벽(72)과, 상기 천정벽(72)에 접는선을 개재하여 접속된 텅(74)을 구비한다. 텅(74)이 외부케이싱(4)의 전벽에 중첩된 때, 텅(74)은 액세스개구(16) 및 삽입슬릿(68)을 공히 덮을 수 있다. 또, 텅(74)의 선단부는 테이퍼모양의 삽입편(76)으로서 형성되고, 이 삽입편(76)은 접는선에 의하여 텅(74)의 기초부로부터 구획되어 있다. 삽입편(76)은 외부케이싱(4)의 삽입슬릿(68)을 통하여 외부케이싱(4) 내에 삽입 가능하다.
도8의 팩은, 도9에 도시되는 블랭크(78)로부터 형성된다. 이 블랭크(78)는, 상술한 블랭크(36)와 비교하여, 이하의 점이 다르다.
블랭크(78)의 전방패널(44)은 액세스개구(16) 및 삽입슬릿(68)을 가지고, 텅 리드(70)는 셀프 힌지를 형성하는 접는선을 개재하여 후방패널(40)에 접속되어 있다.
접착제도포영역(38)은, 각 내측상부플랩(64)의 표면 및 이면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각 내측상부플랩(64)은, 접는선 대신에 잘려나가는 선(80)을 개재하여 내측사이드플랩(46)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접착제도포영역(40)은 텅(74)의 이면에 형성되고, 액세스개구(16)에 대응한 위치에 놓여진다.
이와 같은 블랭크(78)의 접는 순서는 상술한 블랭크(36)의 접는 순서와 거의 동일하지만, 텅 리드(70)는 전방패널(44)의 접힘이 완료된 후에 전방패널(44)을 향하여 접혀진다. 즉, 텅 리드(70)의 텅(74)은 전방패널(44) 상에 중첩된다.
상술한 텅 리드형 팩이 제조된 때, 분리가능영역(20)의 외측플랩(26)(도2 참조)은 그 이면의 접착제도포영역(38)에 의하여 한쌍의 내측상부플랩(64)에 접착되어 있고, 그리고 이들 내측상부플랩(64)은 그 표면의 접착제도포영역(38)에 의하여 텅 리드(70)의 천정벽(72)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접착제도포영역(40)은 액세스개구(16) 내에 위치되며, 텅 리드(70)의 텅(74)과 분리가능영역(20)을 서로 접착하고 있다.
텅 리드형 팩의 텅 리드(70)가 최초로 열려진 때, 한쌍의 내측상부플랩(64)이 대응하는 내측사이드플랩(46)으로부터 잘려나감과 동시에, 분리가능영역(20)은 포재(14)로부터 잘려나가서, 분리조각(34)을 형성한다. 이 분리조각(34)은 텅 리드(70)에 접착된 채로 유지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78)는 액세스개구(16) 대신에, 절취선(82)을 가질 수 있다. 이 절취선(82)은, 블랭크의 전방패널(44)에 미리 형성되고, 전방패널(44)에 액세스개구(16)을 위한 개구예정영역(84)을 구획한다. 개구예정영역(84)은 그 표면 및 이면에 접착제도포영역(40)을 각각 가진다.
팩이 제조된 후, 분리가능영역(20)은 개구예정영역(84)의 이면에 접착제도포영역(40)에 의하여 접착되고, 개구예정영역(84)은 그 표면의 접착제도포영역(40)에 의하여 텅 리드(70)의 텅(74)에 접착되어 있다.
텅 리드(70)가 최초로 열려진 때, 포재(14)로부터 분리가능영역(20)이 잘려나감과 동시에, 전방패널(44)로부터 개구예정영역(84)이 잘려나간다. 개구예정영역(84)의 잘려나감은 전방패널(44)에 액세스개구(16)를 형성한다.
분리가능영역(20) 및 개구예정영역(84)의 잘려나감에 의하여 형성된 분리조각(34,86)(도10 참조)은 공히, 텅 리드(70)의 이면에 접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 상술한 내부프레임(6) 또한, 액세스개구(16) 대신에 상술한 개구예정영역(84)과 동일한 개구예정영역을 가질 수 있다. 즉, 도11은, 내부프레임(6)의 블랭크(86)를 나타내며, 이 블랭크(86)에는 잘려나가는 선(88)에 의하여 개구예정영역(90)이 구획되어 있다. 이 경우, 개구예정영역(90)은 그 이면에 접착제도포영역(40)을 가지고, 이 접착제도포영역(40)은 내부프레임(6)과 분리가능영역(20)을 접착하고 있다.

Claims (15)

  1. 박스(box)로서, 전벽(前壁), 개구단(開口端) 및 상기 전벽에 상기 개구단의 전연(前緣)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액세스(access)개구 및 상기 액세스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절취(切取)선의 한쪽을 포함하고, 상기 절취선이 상기 전벽에 개구예정영역을 구획하는 박스와,
    상기 박스 내에 수용된 내용물로서, 막대모양 끽연물품의 다발, 상기 다발을 감싸며 상기 개구단측에 상기 내용물의 폐색면을 형성하는 포재 및 상기 포재에 잘려나가는 선에 의하여 구획된 분리가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가능영역이 상기 액세스개구 또는 상기 개구예정영역에 대응한 전방부분(front portion)을 가지는, 내용물과,
    상기 박스의 상기 개구단의 후연(後緣)에 힌지결합된 리드(lid)로서, 상기 액세스개구 또는 개구예정영역 및 상기 개구단을 덮는 내면을 포함하는 리드와,
    상기 리드의 상기 내면과 상기 분리가능영역을 상기 액세스개구 또는 상기 개구예정영역을 통하여 서로 결합하는 결합영역과,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키지는, 내부프레임을 구비한 힌지 리드형 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상기 액세스개구를 미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리드의 상기 내면과 상기 분리가능영역의 상기 전방부분을 상기 액세스개구를 통하여 접착하는 제1접착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의 상기 폐색면은, 한쌍의 엔드 플랩(end flap)과, 이들 엔드 플랩에 순차로 중첩된 내측사이드플랩 및 상기 분리가능영역의 일부로서의 외측사이드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외측사이드플랩과 상기 리드의 내면을 서로 접착하는 제2접착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잘려나가는 선은, 상기 외측사이드플랩을 상기 포재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하는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키지는 텅 리드(tongue lid)를 구비한 팩이고,
    상기 박스는 그 전벽에 상기 액세스개구 또는 상기 개구예정영역보다도 상기 박스의 바닥쪽에 위치한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텅 리드는 상기 박스의 상기 개구단을 덮기 위한 천정벽과, 상기 박스의 상기 액세스개구 또는 상기 개구예정영역을 덮기 위한 텅으로서 상기 슬릿에 삽입이 가능한 선단을 가지는 텅과, 상기 천정벽의 내면에 붙혀진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텅 리드가 최초로 열려진 때에 상기 박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상기 액세스개구를 미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텅의 내면과 상기 분리가능영역의 상기 전방부분을 상기 액세스개구를 통하여 접착하는 제1접착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의 상기 폐색면은, 한쌍의 엔드 플랩과, 이들 엔드 플랩에 순차로 중첩된 내측사이드플랩 및 상기 분리가능영역의 일부로서의 외측사이드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외측사이드플랩과 상기 보강부재를 서로 접착하는 제2접착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잘려나가는 선은, 상기 외측사이드플랩을 상기 포재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하는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상기 개구예정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개구예정영역을 상기 텅의 내면 및 상기 분리가능영역의 상기 전방부분에 각각 접착하는 제1접착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의 상기 폐색면은, 한쌍의 엔드 플랩과, 이들 엔드 플랩에 순차로 중첩된 내측사이드플랩 및 상기 분리가능영역의 일부로서의 외측사이드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영역은, 상기 외측사이드플랩과 상기 보강부재를 서로 접착하는 제2접착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잘려나가는 선은, 상기 외측사이드플랩을 상기 포재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하는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KR1020057013321A 2003-01-20 2003-12-26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KR100632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11361 2003-01-20
JP2003011361 2003-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942A true KR20050096942A (ko) 2005-10-06
KR100632863B1 KR100632863B1 (ko) 2006-10-16

Family

ID=3276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321A KR100632863B1 (ko) 2003-01-20 2003-12-26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016105B2 (ko)
EP (1) EP1591027B1 (ko)
JP (1) JP4107503B2 (ko)
KR (1) KR100632863B1 (ko)
CN (1) CN100574659C (ko)
AT (1) ATE413106T1 (ko)
AU (1) AU2003301505A1 (ko)
CA (1) CA2513111C (ko)
DE (1) DE60324604D1 (ko)
DK (1) DK1591027T3 (ko)
ES (1) ES2312862T3 (ko)
HK (1) HK1085096A1 (ko)
PT (1) PT1591027E (ko)
RU (1) RU2295484C2 (ko)
TW (1) TWI236879B (ko)
UA (1) UA79677C2 (ko)
WO (1) WO20040645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1718B2 (en) 2005-05-09 2011-07-05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Package for dispensing and retaining gum slabs with adhesive securement
ES2329062T3 (es) 2004-05-11 2009-11-20 Cadbury Adams Usa Llc Paquete con elemento de retencion de productos insertable.
EP1751018B1 (en) 2004-05-11 2010-08-18 Cadbury Adams USA LLC Gum slabs package with retention flap
RU2339559C1 (ru) 2004-07-08 2008-11-27 КЭДБЕРИ АДАМС ЮЭсЭй ЭлЭлСи Повторно закрываемая упаковка потребляемых продуктов
EP1818280A1 (en) * 2006-02-13 2007-08-15 Philip Morris Products S.A. Improved hinge-lid container and blank
DE102006028130A1 (de) * 2006-06-15 2007-12-20 Focke & Co.(Gmbh & Co. Kg) Klappschachtel für Zigaretten
GB0718732D0 (en) * 2007-09-25 2007-11-07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 pack blank and packs formed therefrom
GB0721441D0 (en) * 2007-11-01 2007-12-12 Cadbury Schweppes Plc Packaging
ES2444579T3 (es) * 2008-05-15 2014-02-25 Japan Tobacco, Inc. Envase con tapa de lengüeta
MX2011008139A (es) 2009-02-02 2011-08-17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Envase sellado que puede abrirse y resellarse para productos de confiteria.
TWI586596B (zh) * 2012-02-15 2017-06-1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容器用強化之可再密封內包裝
US20130292279A1 (en) 2012-05-04 2013-11-07 R.J. Reynolds Tobacco Company Transparent moisture barrier coatings for containers
US20130340773A1 (en) 2012-06-22 2013-12-26 R.J. Reynolds Tobacco Company Composite tobacco-containing materials
US20140326623A1 (en) * 2012-08-28 2014-11-06 Ramon Alarcon Electronic cigarette pack with living hinge
USD833065S1 (en) 2012-08-28 2018-11-06 Fontem Holdings 4 B.V. Electronic cigarette pack
ITBO20120696A1 (it) * 2012-12-21 2014-06-22 Gd Spa Pacchetto di sigarette.
ITBO20130467A1 (it) * 2013-08-30 2015-03-01 Gd Spa Confezione rigida con coperchio incernierato e corrispondenti metodo di incarto e macchina impacchettatrice.
US9315296B2 (en) * 2013-12-19 2016-04-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ckaging for bulky articles with false side gusset
JP6702894B2 (ja) 2014-07-02 2020-06-03 ジー.デー ソチエタ ペル アツィオニG.D Societa Per Azioni 再閉鎖可能な抜き取り口を有する内側パッケージを備えた喫煙物品のパケット
US9950858B2 (en) 2015-01-16 2018-04-2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derived cellulose material and products formed thereof
CN105292796A (zh) * 2015-11-20 2016-02-03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可反复开启的密封卫生香烟盒及其制备方法
US20170188675A1 (en) * 2016-01-06 2017-07-06 Samsonite IP Holdings S.àr.I. Protective case with over-center flap closure
US10362846B2 (en) * 2016-01-06 2019-07-30 Samsonite Ip Holdings S.Àr.L. Protective case with over-center flap closure and stylus holder
JP1558928S (ko) * 2016-01-25 2016-09-20
USD863953S1 (en) * 2016-02-29 2019-10-22 Focke & Co. (Gmbh & Co. Kg) Cigarette pack
US9790020B1 (en) 2016-04-12 2017-10-17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Packaging container for a tobacco product
US10407208B2 (en) * 2016-06-29 2019-09-10 Altria Client Services Llc Re-closeable tear open pack, a blank for forming the pack, and a method of making the pack
USD801803S1 (en) 2016-06-29 2017-11-07 Altria Client Services Llc Re-closeable tear open pack
CN106915561B (zh) * 2017-05-10 2020-09-04 汕头东风印刷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开启的具有反复封闭功能的包装盒
CN108451028A (zh) * 2018-01-22 2018-08-28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松脱机构、气雾产生装置、松脱方法及发烟制品
US10894658B2 (en) 2018-03-06 2021-01-19 Altria Client Services Llc Re-sealable cigarette pack
USD918030S1 (en) * 2018-07-25 2021-05-04 China Tobacco Hubei Industrial Corporation Limited Cigarette packaging box
DE202019104013U1 (de) * 2019-07-19 2020-07-21 Mayr-Melnhof Karton Ag Innenkragen für eine Verpackung und Verpackung
DE102019132850A1 (de) * 2019-12-03 2021-06-10 Focke & Co. (Gmbh & Co. Kg) Packung für Produkte der Zigarettenindustrie
IT202100028022A1 (it) * 2021-11-03 2023-05-03 Gd Spa Pacchetto di articoli da fumo con coperchio incernierato e provvisto di un incarto sigillat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365658A (ko) *
GB108139A (en) * 1917-04-18 1917-07-26 John Charles Gunn Improvements in Boxes or Packets for Cigarettes or the like.
DE1162273B (de) * 1960-03-12 1964-01-30 Arenco Ab Packung, insbesondere fuer Zigaretten
DE2551427A1 (de) * 1975-11-15 1977-05-26 Focke Pfuhl Verpack Automat Packung mit klappdeckel zur aufnahme von zigaretten u.dgl.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JPS5327896A (en) 1976-08-27 1978-03-15 Japan Tobacco & Salt Public Apparatus for supplying packing material pieces
DE2854443C2 (de) * 1978-12-16 1985-05-30 Focke & Co, 2810 Verden Packung, insbesondere quaderförmige Packung für Zigaretten, Zigarillos oder dergleichen
DE4032870A1 (de) 1990-10-17 1992-04-23 Focke & Co Klappschachtel fuer zigaretten
US5123589A (en) 1991-04-03 1992-06-23 Waldorf Corporation Reusable rigid film pack
DE4241176B4 (de) * 1992-12-08 2005-12-22 Focke & Co.(Gmbh & Co. Kg) Vorrichtung zum Auftragen von Leim auf Zuschnitte für Klappschachteln
KR960036964A (ko) * 1995-04-28 1996-11-19 조명호 담배갑 개봉구조, 담배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GB9609484D0 (en) * 1996-05-07 1996-07-10 Rothmans International Ltd Packaging for smoking articles
JP3587306B2 (ja) * 1996-11-21 2004-11-10 ロスマン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サービシィズ リミテッド たばこ物品のためのパッケージ
JP3131405B2 (ja) 1997-08-04 2001-01-3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タングリッドボックス、そのブランク及び製造方法
JP2003341616A (ja) * 2002-05-24 2003-12-03 Yasutaka Shiraishi 開封時にクリアフィルム及び、リボンゴミまたは、アルミ紙のゴミが出ないようにした煙草の梱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36879B (en) 2005-08-01
TW200418400A (en) 2004-10-01
ATE413106T1 (de) 2008-11-15
UA79677C2 (en) 2007-07-10
DK1591027T3 (da) 2009-02-23
EP1591027B1 (en) 2008-11-05
AU2003301505A1 (en) 2004-08-13
RU2005126426A (ru) 2006-01-27
DE60324604D1 (de) 2008-12-18
PT1591027E (pt) 2009-01-22
US20050252796A1 (en) 2005-11-17
JPWO2004064549A1 (ja) 2006-05-18
EP1591027A4 (en) 2006-04-05
EP1591027A1 (en) 2005-11-02
US8016105B2 (en) 2011-09-13
ES2312862T3 (es) 2009-03-01
CA2513111C (en) 2008-11-04
RU2295484C2 (ru) 2007-03-20
JP4107503B2 (ja) 2008-06-25
HK1085096A1 (en) 2006-08-18
CN100574659C (zh) 2009-12-30
CN1738552A (zh) 2006-02-22
KR100632863B1 (ko) 2006-10-16
CA2513111A1 (en) 2004-08-05
WO2004064549A1 (ja) 200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863B1 (ko) 막대모양 끽연물품을 위한 팩키지
KR100882044B1 (ko) 봉모양 흡연물품을 위한 텅리드패키지 및 그 블랭크
JP4242843B2 (ja) 棒状喫煙物品のためのタングリッド型パック及びそのブランク
RU2474524C2 (ru) Пачка с язычковой крышкой
US5682986A (en) Cigarette package assembly having a package and a sleeve for spent cigarettes
KR101316359B1 (ko) 시가렛 패키지
KR100844602B1 (ko) 봉모양 끽연물품의 힌지 리드형 패키지의 블랭크
JP3131405B2 (ja) タングリッドボックス、そのブランク及び製造方法
KR100813742B1 (ko) 봉모양 끽연물품의 힌지 리드형 패키지 및 그 블랭크
JP4302105B2 (ja) 棒状喫煙物品のヒンジリッド型パック及びそのブランク
WO2013046444A1 (ja) タングリッド型パッケージ
EA002233B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кур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KR101119341B1 (ko) 담뱃갑 용지
JP6732956B2 (ja) 容器、方法
TW201315396A (zh) 舌蓋型包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