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4306A -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 - Google Patents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4306A
KR20050094306A KR1020040019503A KR20040019503A KR20050094306A KR 20050094306 A KR20050094306 A KR 20050094306A KR 1020040019503 A KR1020040019503 A KR 1020040019503A KR 20040019503 A KR20040019503 A KR 20040019503A KR 20050094306 A KR20050094306 A KR 20050094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power generation
pedal
shaf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광선
Original Assignee
황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광선 filed Critical 황광선
Priority to KR1020040019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4306A/ko
Publication of KR2005009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30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에 관한 것으로, 몸체(13) 일측에 풀리설치부재(11)가 설치되고, 상기 페달축(1)과 풀리설치부재(11)를 매개로 증속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핸들고정대(9) 반대쪽에는 페달축(1)의 회전에 따라 동작되고 증속수단과 연결되는 디씨모우터(15)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풀리설치부재(11)에는 증속수단간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페달축(1)의 회전에너지로 증속수단을 동작시켜 발전축을 회전시키므로써 디씨모우터(15)를 통해 전기를 발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페달을 회전시킬 때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실내에서 사용하는 데에 무리가 없고, 일정속도 이상으로 페달을 회전시키면 증속수단의 관성력으로 페달이 자체 회전되게 되어 운동효과를 향상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Health Cycle with Generating Function}
본 발명은 헬스 사이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작소음 없이 운동과 동시에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어 실내에서 사용하는 데에 무리가 없도록 하고, 증속된 회전력으로 발전축을 돌려주도록 구성되어 발전용량을 최대화 시키도록 된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헬스클럽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헬스 사이클은 도로에서 자전거를 타는 것과 동일한 운동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시간을 할애하기가 쉽지 않은 현대인들의 부족한 운동량을 충족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인 유산소 운동기구이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비만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데, 이 같은 관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개발되고 있는 헬스 사이클에는 운동효과를 디지털 화 시킨 계기판을 설치하여 외관을 고급화시킨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기능을 개선시킨 것으로는 회전체에 마찰기능을 부여하여 페달을 밟을 때 회전부하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일 수(數)로 페달을 회전시켰을 때 최대의 운동효과가 발휘되도록 된 것이 있다.
그러나, 이 같이 개발된 기능성 헬스 사이클 역시 대부분 운동성능에만 초점을 맞춘 것이며 운동 시 생산된 회전에너지를 회수하여 실생활에 유용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즉, 상기와 같은 기능성 헬스 사이클 역시 페달 회전 시 소모되는 열량을 높여주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나, 모든 전기기구가 가정 등으로 배달되는 상용전력을 통해 사용되고 있는 현재 실정에서 볼 때, 운동 시 발생하는 회전에너지가 그대로 버려진다는 것은 에너지 절약차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이를 회수해서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발전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이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이 2000년 10월 12일자로 실용신안으로 출원하여 등록유지 결정된 실용신안 등록 제 234238호가 있는 바, 이는 운동을 하면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축전시켰다가 가전제품이나 조명기구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즉,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운동을 하기 위해 페달(2)을 밟기 시작하면 페달의 회전력이 체인(11)을 매개로 체인스프라켓(10,10-1)을 통해 기어박스(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되고, 기어박스로 전달된 운동력이 원동 베벨기어(30)를 회전시켜 운동방향을 바꿈과 동시에 종동베벨기어(30-1)를 회전시키며, 이 종동베벨기어(30-1)의 일단에 조인트커플링(70)을 매개로 연결된 직류발전기(50)를 매개로 전기가 생산되도록 된 구조이다.
따라서, 페달(2)의 회전력에 의해 동작되는 기어류의 회전으로 직류발전기(50)가 구동되고 이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축전장치(53)에 일정 전압으로 축전되며, 축전장치(53)에 축전된 전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내장된 인버터(54)를 통해 실생활에 직접 사용할 수 있는 220V의 교류전원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구조로 된 종래의 헬스 사이클은 동력발생수단이 기어류의 조합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페달 회전 시 기어 간의 마찰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여 실내에서 사용하는데 무리가 있고, 치음(齒音)으로 인해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페달을 돌려줄 수 없으므로 운동효과가 저하되며, 지속적으로 페달을 회전시켜야만 발전이 되므로 상대적으로 발전용량이 저감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페달을 회전시킬 때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실내에서 사용하는 데에 무리가 없고, 일정속도 이상으로 페달을 회전시키면 증속수단의 원심력으로 페달이 자체 회전되게 되어 운동효과를 향상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된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상에 페달 축을 갖춘 안장고정대 및 핸들고정대가 설치되고, 페달축을 회전시켜 발전수단을 동작시키므로써 운동과 동시에 전기가 생산되도록 된 헬스 사이클에 있어서, 상기 몸체 일측에 장공과 고정구멍을 갖춘 풀리설치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페달축과 풀리설치부재를 매개로 증속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핸들고정대 반대쪽에는 페달축의 회전에 따라 동작되고 증속수단과 연결되는 디씨모우터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풀리설치부재에는 증속수단간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페달축의 회전에너지로 증속수단을 동작시켜 발전축을 회전시키므로써 디씨모우터를 통해 전기가 발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속수단이, 페달 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와, 1단풀리 및 2단풀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공에 끼워진 종동축에 미끄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제 1폴리브이벨트와 제 2폴리브이벨트 및, 발전축을 갖추는 한편,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는 동일선상에 설치되고, 페달축은 미끄럼베어링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2단 풀리는 일방향베어링을 매개로 종동축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력조절수단이, 풀리설치부재에 형성된 장공을 매개로 설치되는 제 1텐셔너와, 고정구멍을 매개로 설치되는 제 2텐셔너, 베이스프레임상에 고정된 제 1브라켓트와 제 2브라켓트 및, 상기 제 1,2텐셔너와 제 1,2브라켓트를 매개로 설치되는 제 1텐션조절스프링과 제 2텐션조절스프링을 갖추고서 제 1,2폴리브이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헬스 사이클의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 사이클의 주요 구성부를 개략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2의 측면도 및 평면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페달 축(1)을 갖추고서 베이스프레임(3)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안장고정대(5)와, 지지부재(7)를 매개로 안장고정대(5)와 연결된 상태로 베이스프레임(3) 일측에 설치된 핸들고정대(9) 및, 핸들고정대(9)와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된 풀리설치부재(11)를 갖춘 몸체(13)가 구비되고; 상기 페달축(1)과 풀리설치부재(11)를 매개로 증속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3) 타단 즉, 핸들고정대(9) 반대쪽에는 페달축(1)이 회전되면서 발생된 회전력을 매개로 동작되는 디씨모우터(15)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 DC모우터(15)에는 공지의 축전지(도시되지 않음)가 연결설치되고, 상기 풀리설치부재(11)에는 증속수단을 구성하는 제 1,2폴리브이벨트(17,19)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풀리설치부재(11)는 1쌍을 이루고서 대략 ㄴ자로 절곡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3)상에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되고, 상부 일측에 장공(21)이 형성되며, 중앙하부에는 고정구멍(23)이 형성되며, 증속수단을 이루는 구성품을 양측에서 감싸주는 형태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증속수단은, 페달 축(1)에 설치되는 구동풀리(25)와, 상기 장공(21)에 끼워진 종동축(27)에 미끄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25)와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제 1폴리브이벨트(17)와 제 2폴리브이벨트(19) 및, 발전축(31)을 갖추고 있는 바, 여기에서 종동풀리는 상기 구동풀리(25) 보다 직경이 작은 1단 풀리(33)와, 이 1단 풀리(33)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2단 풀리(35)로 구성되며, 2단 풀리(35)는 상기 구동풀리(25)와 동일직경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2단풀리(35)는 소정의 중량체로 이루어져 회전시 관성력이 작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25)와 종동풀리는 동일선상에 설치되고, 페달축(1)은 미끄럼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2단 풀리(35)는 일방향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매개로 종동축(27)에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풀리(25)가 정방향 회전될 때에는 구동풀리(25)와 종동풀리가 연동되지만 역방향 회전 즉, 사용자가 페달(37)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종동풀리가 아이들링되고, 페달(37)을 일정속도 이상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력이 제거되더라도 2단풀리(35) 자체의 관성력으로 인해 회전이 어느정도 지속되는데, 여기서 2단풀리(35)는 플라이휠과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풀리설치부재(11)의 장공(21)을 매개로 설치되는 제 1텐셔너(41)와, 고정구멍(23)을 매개로 설치되는 제 2텐셔너(43), 베이스프레임(3)상에 고정된 제 1브라켓트(45)와 제 2브라켓트(47) 및, 상기 제 1,2텐셔너(41,43)와 제 1,2브라켓트(45,47)에 연결 설치되는 제 1텐션조절스프링(49)과 제 2텐션조절스프링(51)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텐셔너(41)는 직4각형 단면을 이루고서 양측에 각각 복수의 스프링 끼움구멍(53,55) 및 로울러 설치구멍(57,59)이 형성되고, 이 로울러 설치구멍(57.59)을 매개로 제 1로울러(61)가 설치되는데, 이 제 1로울러(61)는 상기 로울러 설치구멍(57,59)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이들 구멍 중 어느 하나의 구멍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제 1폴리브이벨트(17)상에 외접(外接)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2텐셔너(43)는 제 1텐셔너(41)와 마찬가지로 직4각 단면을 이루되 대략 ㄷ자 형태로 절곡형성되고 일측에 제 2로울러(63)가 설치되며, 제 2폴리브이벨트(19)상에 외접되도록 설치되는 한편, 일측에 복수의 스프링끼움구멍(6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텐션조절스프링(49)과 제 2텐션조절스프링(51)은 스프링끼움구멍(53,55,65)에 선택적으로 연결설치되는데, 상기 제 1브라켓트(45)와 제 2브라켓트(47)에는 각각 복수의 스프링끼움구멍(67,69)이 형성되어, 이들 끼움구멍(53,55,65,67,69)에 제 1텐션조절스프링(49)과 제 2텐션조절스프링(51)을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줌으로써 제 1폴리브이벨트(17)와 제 2폴리브이벨트(19)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디씨모우터(15)에서 발전된 전기는 직류전원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인버터를 통해 교류전원으로 전환하여 축전시켜 놓았다가 필요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전기구성은 공지의 회로를 단순하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헬스 사이클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은, 사용자가 안장에 앉아 페달(37)을 밟아주면 구동풀리(25)가 회전되면서 제 1폴리브이벨트(17)를 매개로 연결된 종동풀리가 회전되고, 종동풀리가 회전되면서 이에 연결된 제 2폴리브이벨트(19)를 매개로 발전축(31)을 회전시키며 발전축의 회전으로 인해 디씨모우터(15)를 통해 전기가 생산되므로 페달 회전에 따른 회전에너지 전량을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텐셔너(41)와 제 2텐셔너(43)를 매개로 제 1폴리브이벨트(17)와 제 2브이폴리벨트(19)의 장력이 적절하게 조절되므로 풀리와 브이벨트간의 미끄럼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회전력 손실 없이 발전축(31)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페달축(1)이 회전되면 이 축에 장착된 구동풀리(25)가 페달축과 동일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회전력은 제 1폴리브이벨트(17)를 통해 1단풀리(33)로 전달된다. 그리고 1단풀리(33)로 전달된 구동풀리(25)의 회전력은 1단풀리(33)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2단풀리(35)로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된 회전력이 제 2폴리브이벨트(19)를 통해 연결된 발전축(31)으로 전달됨에 따라 디씨모우터(15)를 통해 전기가 생산되는 것이다.
또한, 제 1텐셔너(41)와 제 2텐셔너(43)는 각각에 설치된 제 1로울러(61)와 제 2로울러(63)를 매개로 제 1폴리브이벨트(17)와 제 2폴리브이벨트(19)의 벨트장력을 적절하게 유지시키게 되는데, 이는 각각의 텐셔너(41,43)에 설치된 제 1텐션조절스프링(49)과 제 2텐션조절스프링(51)이 각 로울러(61,63)를 브이벨트(17,19)방향으로 밀어 제 1폴리브이벨트(17)와 제 2폴리브이벨트(19)를 지속적으로 긴장시켜주기 때문이다.
즉, 제 1텐션조절스프링(49)이 제 1텐셔너(41)를 도 3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주기 때문에 제 1폴리브이벨트(17)가 구동풀리(25)의 회전력을 전달할 때에 제 1로울러(61)가 아이들링 되면서 제 1폴리브이벨트(17)에 외접된 상태에서 벨트를 지속적으로 눌러주게 되고, 이 가압력으로 인해 벨트의 장력 변화가 보상되므로 벨트는 동일한 장력으로 구동풀리(25)의 회전력을 종동풀리로 전달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제 2폴리브이벨트(19)의 장력도 제 2텐셔너(43)를 매개로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이는 상기 제 1폴리브이벨트(17)와 마찬가지로 제 2텐셔너(43)와 제 2브라켓트(47)간에 설치된 제 2텐션조절스프링(51)을 통해 제 2텐셔너(43)에 도 3에서 고정구멍(2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작용되는 탄발력에 의해 제 2로울러(63)를 제 2폴리브이벨트(19)방향으로 밀어주고 있기 때문이며, 이 역시 제 2텐션조절스프링(51)을 매개로 벨트의 장력변화가 보상되므로 벨트가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어 구동풀리(25)의 회전력을 발전축(31)으로 전달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브이벨트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풀리간의 마찰력이 필요이상으로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페달(37) 조작 시 이상음(異常音)이 발생되지 않아 운동 시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풀리(25)에서 발전축(31)으로 전달되는 페달(37)의 회전력은 종동풀리를 거치면서 증속되는데, 이는 1단풀리(33)의 직경이 구동풀리(25)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1단풀리(33)를 매개로 회전동작되는 2단풀리(35)는 구동풀리(25)와 동일직경을 가지며 발전축(31)은 2단풀리(35)보다 작은 직경을 갖기 때문에 구동풀리(25)에서 1단풀리(33), 2단풀리(35)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회전력이 점차 증속되게 되고, 이에 따라 최종축인 발전축(31)을 고속회전 시킬 수 있어 디씨모우터(15)를 통해 생산되는 발전용량이 향상 된다.
또한, 사용자가 페달(37)을 일정속도 이상으로 회전시키다가 멈추게 되면 구동풀리(25)는 회전되지 않지만 종동풀리에는 베어링의 미끄럼 회전력 및 2단풀리(35)의 자체중량으로 인해 일정속도로 회전하려는 관성력이 작용되므로 수회(數回) 연속적인 회전력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발전축(31)은 회전수 변화 없이 연속 회전될 수 있어 발전용량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2단풀리(35)가 일방향 베어링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어서, 구동풀리(25)와 동일방향으로는 회전되지만 예컨대 사용자가 페달(37)을 역회전 시킬 때에는 1단풀리(33)만 회전되고 2단풀리(35)는 회전되지 않게 되는데, 이 때에는 발전축(31)으로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은 상기에서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에서 기술되는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페달을 회전시킬 때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하여 실내에서 사용하는 데에 무리가 없고, 일정속도 이상으로 페달을 회전시키면 증속수단의 관성력으로 인해 페달이 자체 회전되므로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연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헬스 사이클의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 사이클의 주요 구성부를 개략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헬스 사이클을 구성하는 몸체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헬스 사이클을 구성하는 2단풀리의 측면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종래 사용예에 따른 헬스 사이클의 개략도,
1 --- 페달 축 3 --- 베이스프레임
5 --- 안장고정대 7 --- 지지부재
9 --- 핸들고정대 11 --- 풀리설치부재
13 --- 몸체 15 --- 디씨모우터
17 --- 제 2폴리브이벨트 19 --- 제 2폴리브이벨트
21 --- 장공 23 ---고정구멍
25 --- 구동풀리 27 --- 종동축
31 --- 발전축 33 --- 1단 풀리
35 --- 2단 풀리 37 --- 페달
41 --- 제 1텐셔너 43 --- 제 2텐셔너
45 --- 제 1브라켓트 47 --- 제 2브라켓트
49 --- 제 1텐션조절스프링 51 --- 제 2텐션조절스프링
53,55,65,67,69 --- 스프링끼움구멍 57,59 --- 로울러설치구멍
61 --- 제 1로울러 63 --- 제 2로울러

Claims (6)

  1. 몸체상에 페달 축(1)을 갖춘 안장고정대 및 핸들고정대가 설치되고, 페달축을 회전시켜 발전수단을 동작시키므로써 운동과 동시에 전기가 생산되도록 된 헬스 사이클에 있어서,
    상기 몸체(13) 일측에 풀리설치부재(11)가 설치되고, 상기 페달축(1)과 풀리 설치부재(11)를 매개로 증속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핸들고정대(9) 반대쪽에는 페달 축(1)의 회전에 따라 동작되고 증속수단과 연결되는 DC모우터(15)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풀리설치부재(11)에는 증속수단간에 회전력을 연결시키는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페달축(1)의 회전에너지를 매개로 증속수단을 동작시키고 디씨모우터(15)를 통해 전기가 발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설치부재(11)가, 상부 일측에 장공(21)이 형성되고, 중앙하부에는 고정구멍(23)이 형성되며, 증속수단을 이루는 구성품을 양측에서 감싸주는 형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
  3. 제 1항 및 제 2에 있어서, 상기 증속수단이, 페달 축(1)에 설치되는 구동풀리(25)와, 1단풀리(33) 및 2단풀리(35)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공(21)에 끼워지는 종동축(27)에 설치되는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25)와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제 1폴리브이벨트(17)와 제 2폴리브이벨트(19) 및, 발전축(31)을 갖추는 한편, 상기 구동풀리(25)와 종동풀리는 동일선상에 설치되고, 페달축(1)은 미끄럼베어링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2단 풀리(35)는 일방향 베어링을 매개로 종동축(27)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풀리설치부재(11)에 형성된 장공(21)을 매개로 설치되는 제 1텐셔너(41)와, 고정구멍(23)을 매개로 설치되는 제 2텐셔너(43), 베이스프레임(3)상에 고정된 제 1브라켓트(45)와 제 2브라켓트(47) 및, 상기 제 1,2텐셔너(41,43)와 제 1,2브라켓트(45,47)를 매개로 설치되는 제 1텐션조절스프링(49)과 제 2텐션조절스프링(51)을 갖추고서 제 1,2폴리브이벨트(17,19)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텐셔너(41)는 양측에 각각 복수의 스프링 끼움구멍(53,55) 및 로울러설치구멍(57,59)이 형성되고, 이 로울러설치구멍(57.59)을 매개로 제 1로울러(61)가 설치되며, 제 1폴리브이벨트(17)상에 외접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텐셔너(43)가 복수의 스프링끼움구멍(65)을 갖추고서 일측에 제 2로울러(63)를 구비하고, 제 2폴리브이벨트(19)상에 외접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
KR1020040019503A 2004-03-22 2004-03-22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 KR20050094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503A KR20050094306A (ko) 2004-03-22 2004-03-22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503A KR20050094306A (ko) 2004-03-22 2004-03-22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306A true KR20050094306A (ko) 2005-09-27

Family

ID=3727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503A KR20050094306A (ko) 2004-03-22 2004-03-22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430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650B1 (ko) 2016-08-12 2017-02-01 조성호 자가발전기가 구비된 스텝퍼 운동기구
KR20200089935A (ko) 2019-01-18 2020-07-28 정치성 운동기구를 이용한 발전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KR20230081279A (ko) 2021-11-30 2023-06-07 헥스 주식회사 개인 발전형 운동기구를 이용한 온라인 트레이닝 보상 서비스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650B1 (ko) 2016-08-12 2017-02-01 조성호 자가발전기가 구비된 스텝퍼 운동기구
KR20200089935A (ko) 2019-01-18 2020-07-28 정치성 운동기구를 이용한 발전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KR20230081279A (ko) 2021-11-30 2023-06-07 헥스 주식회사 개인 발전형 운동기구를 이용한 온라인 트레이닝 보상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6076B2 (en) Electricity-generation gymnasium bicycle
TW200529904A (en) Running machine
SE0302401D0 (sv) Free wheel clutch mechanism for bicycle drive train
US9457217B2 (en) Body-building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a method of generating power using the same
KR20050094306A (ko) 발전기능을 갖춘 헬스 사이클
KR200381106Y1 (ko) 자가발전장치가 구비된 헬스기구
US20100013184A1 (en) Manpower-driven device with bi-directional input and constant directional rotation output
CA2688290A1 (en) Bidirectional different speed ratio driving device with bidirectional manpower input
CN115253154B (zh) 一种办公室自动提醒肌肉锻炼带
CN217108055U (zh) 周转式变速机构
KR200245361Y1 (ko) 발전기가 구비된 헬스 싸이클
KR200277611Y1 (ko) 운동기구를 이용한 전력 발생장치
KR200408794Y1 (ko) 발전기능을 갖는 헬스 사이클
US20100190614A1 (en) Training equipments altered speed as the continually and horizontally operate mechanism
KR100737342B1 (ko) 발전기능을 갖는 헬스 사이클
CN2282901Y (zh) 治病健身发电跑步机
CN110898391A (zh) 一种风扇式动感单车
CN219237277U (zh) 一种传动装置及电动助力自行车
KR20120065868A (ko) 운동 기구를 이용한 발전 장치
CN218760271U (zh) 一种人力驱动装置及应用其的健身器材
CN220273458U (zh) 一种健身车用自发电的电机组件
CN215461756U (zh) 动感单车二级传动系统及动感单车
KR102605949B1 (ko) 차량용 ac 전원 발전 장치
CN2513613Y (zh) 运动器材的多选择电动辅助装置
KR200306899Y1 (ko) 보드구동형 킥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