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611Y1 - 운동기구를 이용한 전력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운동기구를 이용한 전력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611Y1
KR200277611Y1 KR2020020004731U KR20020004731U KR200277611Y1 KR 200277611 Y1 KR200277611 Y1 KR 200277611Y1 KR 2020020004731 U KR2020020004731 U KR 2020020004731U KR 20020004731 U KR20020004731 U KR 20020004731U KR 200277611 Y1 KR200277611 Y1 KR 200277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xercise
pedal
relay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식
Original Assignee
이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식 filed Critical 이흥식
Priority to KR2020020004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6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611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기구(예; 고정된 형태의 실내용 싸이클)를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운동기구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를 직류(DC)의 전기에너지로 변환한 후 그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병렬로 구성되는 밧데리에 선택적으로 충전하는 한편, 그 충전된 DC의 전기에너지를 가전제품으로 공급 가능하도록 교류(AC)로 자동 변환하므로서, 운동기구를 통한 건강 증진을 도모함은 물론, 운동량에 따라 발생되면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가정이나 헬스장에 구비된 가전제품으로 공급하여 전기요금을 절약할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를 이용한 전력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운동기구를 이용한 전력 발생장치{Device for power origination the using of a movement sporting}
본 고안은 운동기구(예; 고정된 형태의 실내용 싸이클)를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동기구를 통해 운동을 하면서 소정량의 전력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후 그 생산된 전력을 통해 여러가지의 가전제품을 구동시킬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를 이용한 전력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사람들은 건강한 삶을 얻기 위하여 운동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운동의 경우 특별한 운동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행해지는 달리기와 같은 운동방식과 헬스기구를 이용한 운동방식 등이 있다.
상기 달리기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실외에서 이루어지는 관계로 특별한 전력소비가 필요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운동량에 따라 그 건강효과를 극대화시킬수 있는 잇점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다.
상기 헬스기구를 이용한 운동방식은 한정된 실내 장소에서 이루어질뿐만 아니라 소정량의 전력소비가 수반되는 관계로, 달리기와 같은 운동방식보다는 그 이용빈도가 낮았다.
즉, 종래의 헬스기구는 단지 운동에만 국한되는 관계로, 이를 사용할때의 소비전력에 대해서는 어느 누구도 신경을 쓰지 않았으며, 이로인하여 운동을 통한 건강 증진에는 상당한 장점을 제공하는 반면, 전력의 낭비라는 측면에 있어서는 커다란 손실을 초래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동기구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를 직류(DC)의 전기에너지로 변환한 후 그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병렬로 구성되는 밧데리에 선택적으로 충전하는 한편, 그 충전된 DC의 전기에너지를 가전제품으로 공급 가능하도록 교류(AC)로 자동 변환하므로서, 운동기구를 통한 건강 증진을 도모함은 물론, 운동량에 따라 발생되면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가정이나 헬스장에 구비된 가전제품으로 공급하여 전기요금을 절약할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를 이용한 전력 발생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로 전력을 발생하는 운동기구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로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전력 발생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발전기로 페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
도 4는 발전기로 패달이 회전력을 전달하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
도 5는 발전기로 복수개의 페달로 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
도 6은 에어펌프 및 에어탱크를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LCD계기판 2 ; 의자
3 ; 페달 4,4',4"; 제 1 회전기어
5,5'; 제 2 회전기어 6 ; 체인
7 ; 손잡이 8 ; 벨트
9 ; 연동기어 10; 발전기
10a; 발전기축 20; 트랜스
30; 정류부 40; 스위칭부
50; 충방전부 60; 전원변환부
100; 싸이클 운동기구 200; 에어펌프
201; 파이프 202; 에어탱크
RY1,RY2,RY3; 제 1,2,3 릴레이스위치
PL1,PL2,PL3; 제 1,2,3 위상동기부
BD; 브리지 다이오드 C1,C2,C3; 충방전용 콘덴서
C4∼C7; 평활콘덴서 D1∼D11; 다이오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로 전력을 발생하는 운동기구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로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전력 발생장치의 회로도 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개의 기능버튼을 가지는 LCD계기판(1)과 의자(2) 및 페달(3)은 물론, 상기 페달(3)의 싸이클 운동으로 부터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다른 회전비를 가지면서 체인(6)으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회전기어(4)(5)를 포함하는 싸이클 운동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기어(5)를 발전축(10a)에 일체로 연결시키되, 상기 제 2 회전기어(5)로 부터 발전축(10a)으로 전달되는 회전에너지를 직류(DC)의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10);
상기 발전기(10)로 부터 변환된 DC전원을 승압시키는 트랜스(20);
상기 트랜스(20)로 부터 승압된 DC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30);
상기 정류부(30)로 부터 정류된 DC전원의 레벨에 따라 선택적인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는 스위칭부(40);
상기 스위칭부(40)의 선택적인 스위칭 동작으로 부터 소정량의 DC전원을 충전하는 충방전부(50); 및,
상기 충방전부(50)에 충전된 DC전원이 가전제품으로 공급 가능하도록 DC전원을 교류전원(AC)으로 변환시키는 전원변환부(60);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류부(20)는 브리지다이오드(BD)와 평활콘덴서(C4) 및 정류다이오드(D1)로 구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스위칭부(40)는 일차측에 각각 다이오드(D2)(D3)(D4)와 콘덴서(C5)(C6)(C7)가 연결되고 그 일차측에 유기되는 DC전원의 전류레벨에 따라 릴레이의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지는 제 1 내지 제 3 릴레이스위치(RY1)(RY2)(RY3)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릴레이스위치(RY1)(RY2)(RY3)가 각각 고속/중속/저속의 설정값을 기준으로 릴레이 스위칭동작하도록 구동하는 제 1 내지 제 3 위상동기부(PL1)(PL2)(PL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릴레이스위치(RY1)는 페달(3)의 싸이클 운동량(고속회전)이 고속으로 이루어질 때 그 릴레이스위칭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릴레이스위치(RY2)는 페달(3)의 싸이클 운동량(중속회전)이 중속으로 이루어질 때 릴레이스위칭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 3 릴레이스위치(RY3)는 페달(3)의 싸이클 운동량(저속회전)이 저속으로 이루어질 때 릴레이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즉, 사용자가 페달(3)을 밟아 발전기(10)로 부터 DC전원을 발생시킬 때, 상기 페달(3)의 싸이클 운동이 저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발전기(10)로 발생되는 DC전원도 소량으로 그치게 되는 바,
상기 제 1 릴레이스위치(RY1)는 일차측에 유기되는 DC전원의 전류값이 고속설정값보다 적으면 오프의 릴레이스위칭 동작을 하여 일차측에 유기되는 DC전원을 제 2 릴레이스위치(RY2)의 일차측에 유기시키고, 일차측에 유기되는 DC전원의 전류값이 고속설정값보다 크면 온의 릴레이스위칭 동작을 하여 일차측에 유기된 DC전원을 이차측으로 공급하여 그 DC전원이 충방전부(50)로 충전될수 있도록 하는 회로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제 2 릴레이스위치(RY2)는 제 1 릴레이스위치(RY1)의 오프 릴레이스위칭 동작에 따라 일차측에 유기된 DC전원의 전류값이 중속설정값보다 적으면 오프의 릴레이스위칭 동작을 하여 일차측에 유기되는 DC전원을 제 3 릴레이스위치(RY3)의 일차측에 유기시키고, 일차측에 유기되는 DC전원의 전류값이 중속설정값보다 크면 온의 릴레이스위칭 동작을 하여 일차측에 유기된 DC전원을 이차측으로 공급하여 그 DC전원이 충방전부(50)로 충전될수 있도록 하는 회로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제 3 릴레이스위치(RY3)는 제 2 릴레이스위치(RY2)의 오프 릴레이스위칭 동작에 따라 일차측에 유기된 DC전원의 전류값이 저속설정값보다 적으면 오프의 릴레이스위칭 동작을 하고, 일차측에 유기되는 DC전원의 전류값이 저속설정값보다 크면 온의 릴레이스위칭 동작을 하여 일차측에 유기된 DC전원을 이차측으로 공급하여 그 DC전원이 충방전부(50)로 충전될수 있도록 하는 회로를 이루고 있다.
한편, 상기 충방전부(50)는 제 1 내지 제 3 릴레이스위치(RY1)(RY2)(RY3)의 릴레이 스위칭 동작으로 부터 이차측에 유기된 DC전원이 충전되는 한편, 그 충전된 DC전원을 가전제품으로 공급하기 위해 방전되는 충방전용 콘덴서(C1)(C2)(C3)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각 충방전용 콘덴서(C1)(C2)(C3)에는 그 충방전상태를 감지하는 충전감지부와 방전감지부를 회로적으로 연결한 후 그 감지정보를 LCD계기판(1)에 표시하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의 운동량에 따른 전원의 충방전상태를 외부에서 보다 쉽게 판별할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싸이클 운동기구(100)에는 통상적으로 운동량(예; 칼로리와 열량의 소모량 등)을 체크하는 기능은 물론, 도시하지 않았지만 맥박센서와 혈압센서 및 AM/FM의 라디오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할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싸이클 운동기구(100)에는 상기와 같은 여러기능을 동시에 제어할수 있는 마이컴을 탑재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미설명된 도면부호 D5∼D11은 역류방지용 다이오드 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싸이클 운동기구(100)의 의자(2)에 앉은 후 페달(3)을 밟으면, 상기 페달(3)의 싸이클 운동으로 부터 서로 다른 회전비를 가지면서 체인(6)으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회전기어(4)(5)는 소정의 속도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회전기어(5)에는 발전축(10a)이 일체로 연결된 발전기(10)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발전기(10)는 제 2 회전기어(5)로 부터 발전축(10a)으로 전달되는 회전에너지를 직류(DC)의 전기에너지로 변환한 후 그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트랜스(20)의 일차측에 유기시킨다.
그러면, 상기 트랜스(20)는 일차측에 유기된 전기에너지 즉, DC전원을 승압시키게 되고, 상기 승압된 DC전원은 브리지다이오드(BD)와 평활콘덴서(C4) 및 정류다이오드(D1)로 구성되는 정류부(30)를 통해 정류 및 평활된 후 스위칭부(40)의 일차측에 유기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부(40)는 일차측에 각각 다이오드(D2)(D3)(D4)와 콘덴서(C5)(C6)(C7)가 연결되고 그 일차측에 유기되는 DC전원의 전류레벨에 따라 릴레이의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지는 제 1 내지 제 3 릴레이스위치(RY1)(RY2)(RY3)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릴레이스위치(RY1)(RY2)(RY3)가 각각 고속/중속/저속의 설정값을 기준으로 릴레이 스위칭동작하도록 구동하는 제 1 내지 제 3 위상동기부(PL1)(PL2)(PL3)를 포함하고 있는 바,
상기 제 1 릴레이스위치(RY1)는 페달(3)의 싸이클 운동량(고속회전)이 고속으로 이루어질 때 그 릴레이스위칭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릴레이스위치(RY2)는 페달(3)의 싸이클 운동량(중속회전)이 중속으로 이루어질 때 릴레이스위칭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 3 릴레이스위치(RY3)는 페달(3)의 싸이클 운동량(저속회전)이 저속으로 이루어질 때 릴레이스위칭이 이루어지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페달(3)을 밟아 발전기(10)로 부터 DC전원을 발생시킬 때, 상기 페달(3)의 싸이클 운동이 저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발전기(10)로 발생되는 DC전원도 소량으로 그치므로,
상기 제 1 릴레이스위치(RY1)는 일차측에 유기되는 DC전원의 전류값이 고속설정값보다 적으면 오프의 릴레이스위칭 동작을 하여 일차측에 유기되는 DC전원을 제 2 릴레이스위치(RY2)의 일차측에 유기시키고, 일차측에 유기되는 DC전원의 전류값이 고속설정값보다 크면 온의 릴레이스위칭 동작을 하여 일차측에 유기된 DC전원을 이차측으로 공급하여 그 DC전원을 다이오드(D5)를 통해 충방전부(50)의 충방전용 콘덴서(C1)에 충전시킨다.
상기 제 2 릴레이스위치(RY2)는 제 1 릴레이스위치(RY1)의 오프 릴레이스위칭 동작에 따라 일차측에 유기된 DC전원의 전류값이 중속설정값보다 적으면 오프의 릴레이스위칭 동작을 하여 일차측에 유기되는 DC전원을 제 3 릴레이스위치(RY3)의 일차측에 유기시키고, 일차측에 유기되는 DC전원의 전류값이 중속설정값보다 크면 온의 릴레이스위칭 동작을 하여 일차측에 유기된 DC전원을 이차측으로 공급하여 그 DC전원을 다이오드(D6)를 통해 충방전부(50)의 충방전용 콘덴서(C2)에 충전시킨다.
상기 제 3 릴레이스위치(RY3)는 제 2 릴레이스위치(RY2)의 오프 릴레이스위칭 동작에 따라 일차측에 유기된 DC전원의 전류값이 저속설정값보다 적으면 오프의 릴레이스위칭 동작을 하고, 일차측에 유기되는 DC전원의 전류값이 저속설정값보다 크면 온의 릴레이스위칭 동작을 하여 일차측에 유기된 DC전원을 이차측으로 공급하여 그 DC전원을 다이오드(D7)를 통해 충방전부(50)의 충방전용 콘덴서(C3)에 충전시킨다.
한편, 상기 충방전부(50)의 각 콘덴서(C1)(C2)(C3)에 충전된 DC전원을 가전제품으로 공급할수 있도록, 상기 각 콘덴서(C1)(C2)(C3)에 충전된 DC전원은 다이오드(D11)를 통해 전원변환부(60)로 입력되는 바,
상기 전원변환부(60)에서는 입력되는 DC전원을 220V 60㎐의 AC전원으로 변환하므로서, 상기 가전제품은 변환된 AC전원을 통해 그 가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는 사용자가 싸이클 운동기구(100)로 운동을 할 때 그 싸이클 운동으로 부터 전력을 발생시키는 잇점을 제공하였는 바, 건강을 유지하면서 발생된 전력을 가정에 활용하여 전기료를 절감하도록 함은 물론, 정전 및 비상시에 상당한 도움이 되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상기 각 충방전용 콘덴서(C1)(C2)(C3)에는 그 충방전상태를 감지하는 충전감지부와 방전감지부를 회로적으로 연결한 후 그 감지정보를 LCD계기판(1)에 표시하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의 운동량에 따른 전원의 충방전상태를 외부에서 보다 쉽게 판별할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상기 싸이클 운동기구(100)에는 통상적으로 운동량(예; 칼로리와 열량의 소모량 등)을 체크하는 기능에 더하여, 맥박센서와 혈압센서 및 AM/FM의 라디오 기능을 부가함은 물론, 상기와 같은 여러기능을 동시에 제어할수 있는 마이컴을 탑재하므로서, 싸이클 운동기구(100)를 통해 운동을 하는 사람이 운동중에 지루함을 달래면서 그 운동효율을 높일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싸이클 운동기구(100)를 통해 싸이클 운동을 할 때, 그 운동량에 따른 주행속도와 주행거리 및 운동시간 등을 LCD계기판(1)에 표시하는 한편, 상기 운동기구(100)의 손잡이(7)에 형성된 맥박센서가 현재 운동하고 있는 사용자의 맥박상태를 상기 LCD계기판(1)에 표시하므로서, 사용자는 현재 자신의 운동상태를 표시된 맥박을 통해 확인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로, 페달(3)의 싸이클 운동에 따른 제 1 회전기어(4)의 회전을 제 2 회전기어(5)로 전달하는 매체로서, 상기 제 1 및 제 2회전기어(4')(5')를 풀리 형태로 형성한 후, 그 풀리형태의 제 1 및 제 2 회전기어(4')(5')를 벨트(8)로 연결한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와 그 작용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로, 페달(3)의 싸이클 운동에 따른 제 1 회전기어(4)의 회전을 제 2 회전기어(5)로 전달하는 매체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기어(4)(5)를 서로 맞물리도록 한 연결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와 그 작용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로, 싸이클 운동기구(100)의 페달(3)과 의자(2)를 대칭되게 구성한 후, 상기 페달(3)에는 제 1 회전기어(4)(4")를 각각 구성하고, 상기 복수개로 이루어진 제 1 회전기어(4)(4")의 사이에는 발전기(10)의 축(10a)과 일체화된 하나의 제 2 회전기어(5)를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복수개로 이루어진 제 1 회전기어(4)(4")와 제 2 회전기어(5)를 여러개의 연동기어(9)로 연결하므로서, 전력생산이 보다 극대화될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와 그 작용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복수개로 이루어진 제 1 회전기어(4)(4")와 제 2 회전기어(5)를 체인(6)으로 연결할수도 있을뿐만 아니라,
상기 복수개로 이루어진 제 1 회전기어(4)(4")와 하나의 제 2 회전기어(5)를 풀리형태로 형성한 후, 상기 제 1 회전기어(4)(4")와 제 2 회전기어(5)를 벨트(8)로 연결 구성할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로, 페달(3)의 싸이클 운동에 따른 회전력이 제 1 및 제 2 회전기어(4)(5)와 벨트(8)를 통해 에어펌프(200)로 전달되고, 상기 에어펌프(200)에서는 전달되어져 오는 회전력에 의해 압축공기를 생성하며, 상기 에어펌프(200)에 의해 생성된 압축공기는 파이프(201)를 통해 에어탱크(202)로 저장하고, 상기 에어탱크(202)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다시 파이프(201)를 통해 발전기(10)로 유입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발전기(10)는 파이프(201)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발전하여 소정량의 DC전원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와 그 작용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운동기구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를 직류(DC)의 전기에너지로 변환한 후 그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병렬로 구성되는 밧데리에 선택적으로 충전하는 한편, 그 충전된 DC의 전기에너지를 가전제품으로 공급 가능하도록 교류(AC)로 자동 변환하므로서, 운동기구를 통한 건강 증진을 도모함은 물론, 운동량에 따라 발생되면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가정이나 헬스장에 구비된 가전제품으로 공급하여 전기요금을 절약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다수개의 기능버튼을 가지는 LCD계기판과 의자 및 페달은 물론, 상기 페달의 싸이클 운동으로 부터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다른 회전비를 가지면서 체인으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싸이클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기어를 발전축에 일체로 연결시키되, 상기 제 2 회전기어로 부터 발전축으로 전달되는 회전에너지를 DC의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로 부터 변환된 DC전원을 승압시키는 트랜스;
    상기 트랜스로 부터 승압된 DC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 부터 정류된 DC전원의 레벨에 따라 선택적인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선택적인 스위칭 동작으로 부터 소정량의 DC전원을 충전하는 충방전부; 및,
    상기 충방전부에 충전된 DC전원이 가전제품으로 공급 가능하도록 DC전원을 AC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원변환부;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를 이용한 전력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페달의 싸이클 운동량(고속회전)이 고속으로 이루어질 때 릴레이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는 제 1 릴레이스위치, 페달의 싸이클 운동량(중속회전)이 중속으로 이루어질 때 릴레이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는 제 2 릴레이스위치, 페달의 싸이클 운동량(저속회전)이 저속으로 이루어질 때 릴레이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는 제 3 릴레이스위치 및, 상기 제 1,2,3 릴레이스위치가 각각 고속/중속/저속의 설정값을 기준으로 릴레이 스위칭동작하도록 구동하는 제 1,2,3 위상동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를 이용한 전력 발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싸이클 운동기구의 페달과 의자를 대칭되게 구성하되,
    상기 복수개로 이루어진 페달에는 각각 제 1 회전기어를 구성하고, 상기 복수개로 이루어진 제 1 회전기어의 사이에는 발전기의 축과 일체화된 하나의 제 2 회전기어를 위치시키며, 상기 복수개로 이루어진 제 1 회전기어와 제 2 회전기어를 여러개의 연동기어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를 이용한 전력 발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의 싸이클 운동에 따른 발전기의 발전은,
    회전기어와 벨트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따라 소정의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에어펌프와, 상기 에어펌프에 의해 생성된 압축공기를 저장한 후 그 저장된 압축공기를 발전기로 유입시키는 에어탱크로 부터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를 이용한 전력 발생장치.
KR2020020004731U 2002-02-18 2002-02-18 운동기구를 이용한 전력 발생장치 KR200277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731U KR200277611Y1 (ko) 2002-02-18 2002-02-18 운동기구를 이용한 전력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731U KR200277611Y1 (ko) 2002-02-18 2002-02-18 운동기구를 이용한 전력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611Y1 true KR200277611Y1 (ko) 2002-06-14

Family

ID=73117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731U KR200277611Y1 (ko) 2002-02-18 2002-02-18 운동기구를 이용한 전력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61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891B1 (ko) * 2002-04-01 2006-08-11 주식회사 효성 셀룰로오즈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KR100945460B1 (ko) * 2009-06-30 2010-03-05 정수용 에너지 체험 시설물
KR200453342Y1 (ko) * 2010-01-22 2011-04-27 임동규 발판형 운동기구
KR101132711B1 (ko) 2011-10-05 2012-04-06 정영곤 자가발전용 근력운동기구 제어를 위한 기어구동장치
KR101132709B1 (ko) 2011-10-05 2012-04-09 정영곤 자가발전용 근력운동기구 제어를 위한 기어구동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891B1 (ko) * 2002-04-01 2006-08-11 주식회사 효성 셀룰로오즈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KR100945460B1 (ko) * 2009-06-30 2010-03-05 정수용 에너지 체험 시설물
WO2011002193A2 (ko) * 2009-06-30 2011-01-06 Chung Sooyong 에너지 체험 시설물
WO2011002193A3 (ko) * 2009-06-30 2011-03-31 Chung Sooyong 에너지 체험 시설물
KR200453342Y1 (ko) * 2010-01-22 2011-04-27 임동규 발판형 운동기구
KR101132711B1 (ko) 2011-10-05 2012-04-06 정영곤 자가발전용 근력운동기구 제어를 위한 기어구동장치
KR101132709B1 (ko) 2011-10-05 2012-04-09 정영곤 자가발전용 근력운동기구 제어를 위한 기어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8660B1 (en) Energy harvester for exercise equipment
CN201949551U (zh) 一种多功能发电式踏步机
EP2638936B1 (en) Device and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for sports training apparatuses
CN102688582B (zh) 自发电健身车
CN102091393B (zh) 一种多功能发电式踏步机
KR200277611Y1 (ko) 운동기구를 이용한 전력 발생장치
CN103973029B (zh) 一种模块化及模块化可扩展飞轮的发电装置
KR200381106Y1 (ko) 자가발전장치가 구비된 헬스기구
CN205782597U (zh) 一种楼梯自发电照明装置
CN202654600U (zh) 自发电健身车
CN201096058Y (zh) 家用人力电源
KR20120005095A (ko)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어 활용하는 운동기구
CN101862521B (zh) 发电式健身车
CN103127654A (zh) 一种利用跑步机发电的装置
CN2185619Y (zh) 一种具有蓄能装置的健身器
KR200285644Y1 (ko) 전력발생장치를 구비한 런닝머신
JP3096472U (ja) 運動器具
CN201735117U (zh) 用于健身器械的发电装置及健身器械
KR101700650B1 (ko) 자가발전기가 구비된 스텝퍼 운동기구
CN214860854U (zh) 一种发光跳绳
JPH1118162A (ja) リモートコマンダ
CN203871979U (zh) 一种模块化及模块化可扩展飞轮的发电装置
KR200408794Y1 (ko) 발전기능을 갖는 헬스 사이클
JP2000308697A (ja) 蓄電装置とゲームを兼ね備えたフィットネス器具
CN213313158U (zh) 一种根据人体体型变化运动光效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