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644Y1 - 전력발생장치를 구비한 런닝머신 - Google Patents

전력발생장치를 구비한 런닝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644Y1
KR200285644Y1 KR2020020009842U KR20020009842U KR200285644Y1 KR 200285644 Y1 KR200285644 Y1 KR 200285644Y1 KR 2020020009842 U KR2020020009842 U KR 2020020009842U KR 20020009842 U KR20020009842 U KR 20020009842U KR 200285644 Y1 KR200285644 Y1 KR 200285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mill
generator
power
rechargeable battery
r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성
Original Assignee
김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성 filed Critical 김유성
Priority to KR2020020009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6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644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력발생장치를 구비한 런닝머신에 관한 것으로, 런닝머신발판 회전축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작동시켜 소정량의 전력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충전지에 충전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여러 가지 가전제품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 런닝머신은 사용자가 회전하는 발판 위에 올라서서 달릴 수 있도록 한 형태의 것으로 실외에서 달리기를 할 수 없는 형편에 있을 때 실내에서 달리기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런닝머신은 사용자가 달리기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것에만 치중하고 있을 뿐 별다른 기능이 없어 운동을 하지 않을 때는 실내공간만 차지한 상태로 방치되어지는 문제가 있었던 바,
런닝머신의 발판을 회전시켜 주는 회전축 일단에 발전기를 연결 설치하는 한편,
별도의 승압부, 정류부, 충전지, 전환부, 접속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하면,
런닝머신을 이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어 건강 증진을 도모함은 물론,
운동중에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를 발전기를 통해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를 충전지에 충전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각종 가전제품을 구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전기를 절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력발생장치를 구비한 런닝머신 { Running machine equipped with apparatus generating an electric power }
본 고안은 전력발생장치를 구비한 런닝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런닝머신의 발판 회전축 일단과 발전기의 회전축 일단을 연결하여 운동중 발생하는 운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전환되도록 하고,
상기 발전기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별도의 충전지에 충전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여러 가지 가전제품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헬스클럽 등지에서 사용되어지는 일반적인 런닝머신은 사용자가 회전하는 발판 위에 올라서서 달릴 수 있도록 한 형태의 것으로 발판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모터가 설치되어진 전동식과 모터 없이 경사각에 의해 밀려나면서 회전되는 수동식이 있고,
실외에서 달리기를 할 수 없는 형편에 있을 때 실내에서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런닝머신은 사용자가 달리기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것에만 치중하고 있을 뿐 별다른 기능이 없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실내공간만 차지한 상태로 방치되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런닝머신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런닝머신을 이용하여 운동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발전기를 통해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를 별도의 충전지를 통해 충전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각종 가전제품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력발생장치를 구비한 런닝머신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동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보인 평단면도
도 3은 동실시예에서 발전기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 분리사시도
도 4는 동실시예의 계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발판 2, 2' : 회전축
3, 3' : 풀리 4 : 벨트
10 : 발전기 20 : 승압부
30 : 정류부 40 : 충전지
50 : 전환부 60 : 접속부
70 : 충전량 감지부 80 : 표시부
90 : 손잡이 100 : 런닝머신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런닝머신 발판의 회전축 일단에 발전기의 회전축 일단을 연결 설치하는 한편,
별도의 승압부, 정류부, 충전지, 전환부, 접속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동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보인 평단면이다.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력발생장치를 구비한 런닝머신(100)을 구성함에 있어서,
런닝머신(100)의 발판(1)을 회전시켜주는 회전축(2) 일단에 풀리(3)를 형성하고,
상기 풀리(3)와 발전기(10) 회전축(2') 일단에 형성되어진 풀리(3')를 별도의 밸트(4)로 연결하여 두 개의 회전축(2, 2')이 동시에 회전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발전기(10)로부터 발생되는 DC전원을 승압시켜주는 승압부(20)와,
상기 승압부(20)를 통해 승압된 DC전원을 정류시켜주는 정류부(30)와,
상기 정류부(30)를 거친 DC전원이 소정량 충전되어지는 충전지(40)와,
상기 충전지(40)에 충전되어진 DC전원을 AC전원으로 변환시켜주는 전환부(50)와,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진 접속부(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있어서,
사용자가 런닝머신(100)의 발판(1)에 올라선 상태에서 달리기 시작하면 발판(1)의 회전축(2)이 회전되어지고 동시에 이와 연결되어진 발전기(10)의 회전축(2')이 회전되면서 발전기(10)에서 DC전원이 발생되어 진다.
이후, 도 4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발전기(10)에서 발생되어진 DC전원은 승압부(20)를 거치면서 승압되고,
상기 승압된 DC전원은 브릿지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정류부(30)를 통해 정류되며, 충전지(40)에 충전되어진다.
이때, 충전지(40)에는 충전량 감지부(70)가 연결 설치되어 있어 충전지(40)에 충전되는 정도를 런닝머신(100)의 손잡이(90) 중앙부에 형성되어진 표시부(80)를 통해 나타내주게 되므로 사용자는 각종 운동정보(예: 운동시간, 칼로리 소모량 등)와 함께 충전지(40)의 충전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된다.
한편, 충전지(40)에 충전되어진 DC전원은 전환부(50)를 거치면서 가전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AC전원(예: 220V, 110V)으로 변환되어지고,
런닝머신(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진 접속부(60)에 가전제품의 플러그가 결합되면 가전제품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도 3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발전기(10)의 회전축(2')과 발판(1)의 회전축(2)을 풀리(3, 3')와 벨트(4)를 사용하여 연결하였으나, 이는 기어와 같은 다른 연결수단으로 대체되어지거나 변형되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런닝머신의 발판을 회전시켜주는 회전축과 별도의 발전기 회전축을 풀리와 벨트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한편, 별도의 승압부, 정류부, 충전지, 전환부, 접속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운동에너지를 직류의 전기에너지로 변환한 후,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충전지에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충전된 DC전원은 다시 AC전원으로 전환하여 가전제품에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운동을 통해 건강 증진을 도모함은 물론, 운동중 충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로 가전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전기를 절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발판 위에 올라서서 걷거나 달릴 수 있도록 되어진 런닝머신에 있어서,
    발판(1)을 회전시켜주는 회전축(2) 일단에 풀리(3)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 일단의 풀리(3)와 발전기(10) 회전축(2') 일단에 형성되어진 풀리(3')를 별도의 밸트(4)로 연결하여 두 개의 회전축(2, 2')이 동시에 회전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발전기(10)로부터 발생되는 DC전원을 승압시켜주는 승압부(20)와,
    상기 승압부(20)를 통해 승압된 DC전원을 정류시켜주는 정류부(30)와,
    상기 정류부(30)를 거친 DC전원이 소정량 충전되어지는 충전지(40)와,
    상기 충전지(40)에 충전되어진 DC전원을 AC전원으로 변환시켜주는 전환부(50)와,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진 접속부(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발생장치를 구비한 런닝머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40)에 충전량 감지부(70)를 연결 설치하여 충전지(40)에 충전되는 정도를 별도의 표시부(80)를 통해 나타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발생장치를 구비한 런닝머신.
KR2020020009842U 2002-04-02 2002-04-02 전력발생장치를 구비한 런닝머신 KR200285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842U KR200285644Y1 (ko) 2002-04-02 2002-04-02 전력발생장치를 구비한 런닝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842U KR200285644Y1 (ko) 2002-04-02 2002-04-02 전력발생장치를 구비한 런닝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644Y1 true KR200285644Y1 (ko) 2002-08-13

Family

ID=7307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842U KR200285644Y1 (ko) 2002-04-02 2002-04-02 전력발생장치를 구비한 런닝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6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2193A2 (ko) * 2009-06-30 2011-01-06 Chung Sooyong 에너지 체험 시설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2193A2 (ko) * 2009-06-30 2011-01-06 Chung Sooyong 에너지 체험 시설물
WO2011002193A3 (ko) * 2009-06-30 2011-03-31 Chung Sooyong 에너지 체험 시설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65301A1 (en) Method of Harvesting Energy from Exercise Equipment
US20120112470A1 (en) Portable power generator
US20090111658A1 (en) Loading apparatus for exercise machine
EP2638936B1 (en) Device and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for sports training apparatuses
CN201482065U (zh) 椭圆健身机的自励发电装置
CN102091393A (zh) 一种多功能发电式踏步机
KR200285644Y1 (ko) 전력발생장치를 구비한 런닝머신
CN102886118B (zh) 自发电椭圆机
CN102302839A (zh) 一种新型太阳能环保自发电运动健身器
CN201896707U (zh) 健身发电车
CN113332667B (zh) 一种基于直驱电机的滑板健身装置
CN2282901Y (zh) 治病健身发电跑步机
CN202105363U (zh) 一种新型太阳能环保自发电运动健身器
KR200277611Y1 (ko) 운동기구를 이용한 전력 발생장치
CN201763551U (zh) 踏板式发电装置
CN211296206U (zh) 健身器材自发电系统
KR101700650B1 (ko) 자가발전기가 구비된 스텝퍼 운동기구
JP3096472U (ja) 運動器具
CN218076176U (zh) 一种发电式划船机
CN213313158U (zh) 一种根据人体体型变化运动光效灯
CN201399205Y (zh) 一种具有发电功能的健身装置
CN206295546U (zh) 一种健身发电车和健身发电系统
CN102062065B (zh) 健身发电车
KR100772655B1 (ko) 전기발생 스텝퍼
KR101023221B1 (ko) 다용도 발전시스템을 가지는 헬스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