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703A - 갭, 단차 또는 불연속부가 없는 내부 클램핑 면을 갖는호스 클램프 - Google Patents

갭, 단차 또는 불연속부가 없는 내부 클램핑 면을 갖는호스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3703A
KR20050093703A KR1020047018244A KR20047018244A KR20050093703A KR 20050093703 A KR20050093703 A KR 20050093703A KR 1020047018244 A KR1020047018244 A KR 1020047018244A KR 20047018244 A KR20047018244 A KR 20047018244A KR 20050093703 A KR20050093703 A KR 20050093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lamping band
portions
band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엠. 주니어 크레이그
Original Assignee
폴 엠. 주니어 크레이그
한스 외티커 아게 마쉬넨-운트 아파라테파브리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 엠. 주니어 크레이그, 한스 외티커 아게 마쉬넨-운트 아파라테파브리크 filed Critical 폴 엠. 주니어 크레이그
Publication of KR20050093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70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5Hose-clips fixed by means of teeth or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02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25Hose-clips tightened by deforming radially extending loops or 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78Circumferentially swagged band c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연결부(31, 32, 35; 131, 170)에 의해 연결된 설치 상태에서 내부 및 외부 밴드 부분(11b, 11a, 111a, 111b)의 중첩부를 형성하기 위한 클램프 밴드 부분(11b, 11a, 111a, 111b)과, 피고정물 주위로 클램핑 밴드 수단을 조이기 위한 조임 장치(13, 113)와 내부 밴드 부분의 단부 근처의 수형 부재(61, 161)를 구비한 클램핑 밴드(11)의 단차가 없고 갭이 없는 것을 확실하게 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수형 부재(61, 161)는 외부 밴드 부분의 암형 부재(67, 167)와 협동하도록 구성되었으며, 가이드 장치(21, 63')는 수형 부재(67, 167)의 각각의 측면 상에 상향으로 구부러진 탭형 부재(21, 121)에 의해 더 형성되며, 조임 장치(13, 131)의 조임 중 내부 및 외부 맨드 부분(11a, 11b, 111a, 111b)의 이동에 대한 가이드를 위해 외부 밴드 부분(11a, 111a)의 두 개의 가이드 슬롯(63', 163') 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연결부(31, 32, 131, 170)는 반경방향 치수의 변화 없이 조임 장치(31, 131)의 초기 소성 변형을 허용하는 로스트 모션 장치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청구함.

Description

갭, 단차 또는 불연속부가 없는 내부 클램핑 면을 갖는 호스 클램프 {HOSE CLAMP WITH INTERNAL CLAMPING SURFACES DEVOID OF GAPS, STEPS OR DISCONTINUITIES}
본 발명은 호스 클램프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단순하고 효과적인 수단에 의해 내외부 중첩 밴드 부분 사이의 상대 이동의 안내를 향상시키며, 소정 크기의 클램프에 요구되는 클램핑 밴드의 길이에 관해 경제적인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갭, 단차 또는 불연속부가 없는 내부 클램핑 면을 갖는 개방식 호스 클램프에 관한 것이며, 기존의 활용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여 단순한 제조 공정만으로 이러한 클램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전체 내용이 본원에서 참조로서 합체된 2003년 1월 14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갭, 단차 또는 불연속부가 없는 내부 클램핑 면을 갖는 호스 클램프 및 그 제조 방법"인 미국 가출원 번호 제60/439,799호(D/21588)의 연속 출원이며, 그 발명의 전체적인 주제가 본 발명에 참조되었다. 본 출원과 상기 가출원과의 모든 공통적인 주제에 대해, 상기 출원의 출원일인 2003년 1월 14일을 본 발명의 우선일로 주장한다.
신규하고, 비교적 경질의 얇은 플라스틱 호스 재료의 사용에 있어서, 특히 소위 개방형 호스 클램프는 내부 중첩식 클램핑 밴드 부분의 단부에서 임의의 단차, 갭 또는 불연속부가 없는 내부 클램핑 면을 제공하도록 아연 도금 또는 스테인레스 강 밴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또한, 동일한 갭을 형성하는 조임 장치 예로써, 소위 "웨티커" 이어부(ear)에 있어서는, 클램프의 조임 조건에서 누출 문제를 방지하도록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전체 밴드 폭만큼 조임 장치의 밑으로 갭을 브릿지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수많은 클램프에서 사용되어 상업적으로 성공한 것으로 입증된 효과적인 해법은 본 출원의 도1과 미국 특허 제4,299,012호의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국 특허 제4,299,012호에 개시되고 클램핑 밴드의 두께에 사실상 상응하는 높이를 갖는 단차형 부분(67)의 시작 부분에 있는 외부 밴드 부분(11a)에서 시작되는 암형 부재를 형성하는 개구(62)를 통해 결합하도록 구성된 전체 폭의 내부 밴드 부분(11b)의 단부에서 좁은 설(tongue) 형 연장부 형태의 수형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강화 홈 또는 골부(17)가 제공된 브릿지 부분(16)에 의해 상호 결합된 두 개의 평행하고 외향 연장된 레그 부분(14, 15)으로 구성된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3으로 도시되는 "웨티커" 이어부에 부가하여, 이런 종류의 종래 기술의 클램프(본 발명의 도1)는 소위 가이드 또는 현가 후크(31)와 외부 밴드 부분(11a)의 개방부(35) 내에서 결합하도록 구성된 냉간 성형식 딥-드로잉된 지지 후크(32)로 구성된 기계적 연결이 도시된다. 단차형 부분(67)의 개구에 인접한 채널(63)은 절단에 의해 형성되어 커버(63)는 잔류하는 측방향 밴드 부분(11')에 대해 프레스 가공된다. 그러나, 미국 특허 제4,315,34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커버(36)는 설형 연장부(61)가 외부에 자유롭게 노출되도록 채널 내의 개구를 형성하는 재료를 절단하여 생략할 수 있다.
내부 밴드 부분으로부터 프레스 가공된 탭형 부재에 의해 형성된 소위 조합된 가이드와 지지 후크는 조합된 가이드 및 지지 후크(33)가 내부 밴드 부분(12)의 전체 밴드 폭의 영역에서 펀치 되고 프레스 가공되며, 밴드 재료의 외부 표면에 대해 사실상 직각으로 연장된 미국 특허 제5,305,499호에 개시된다.
소위 이어리스(earless) 클램프의 연결에 있어서, 공구 결합면(33)을 갖는 두 개의 프레스 가공된 공구 결합식 탭형 부재(32)가 미국 특허 제4,712,278호에 개시된다. 또한, 상기 특허는 상기 특허의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공구 결합식 엠보스먼트(30) 대신 도5 및 도5의 두 개의 탭형 부재(130)를 도시한다.
내부 밴드 부분의 프레스 가공된 하나 이상의 탭형 부재의 사용 및 하나 이상의 가이드 슬롯을 가이드 중첩 밴드 부분에 결합하는 것은 미국 특허 제5,339,496호 및 제5,544,392호로부터 공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개시된 탭형 부재들은 내부 밴드 부분의 전체 폭의 중심 영역 내에서 프레스 가공된다.
상기한 모든 종래 기술의 호스 클램프에 있어서, 설형 부분들은 양측에서 측방향 밴드 재료를 단순히 컷팅하여 실현되고, 따라서 이렇게 절단된 측방향 밴드 부분은 사용되지 않고 단순히 폐기되어진다.
도1은 미국 특허 제4,299,012호에 개시된 종래 기술의 클램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평탄하게 표시된, 조임 전의 기계적 연결 상태에서, 소성 변형 가능한 이어부의 위치와, 내부 밴드의 전체 폭의 단부와, 본 발명에 따른 설형 연장부의 단부가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연결 및 가이드 장치를 포함한 외부 밴드 부분의 영역 상에 있는 클램프의 부분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3은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평탄하게 표시된, 도2에 도시된 클램프의 영역을 기계적 연결부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사시도이다.
도4는 도시의 간결성을 위해 기계적 연결부를 생략하고 설형 부분의 자유 단부 근처에만 제공된 설형 연장부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탭형 부재를 도시한, 도3에 도시된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만의 개략 부분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부분 개략 상면도이다.
도6은 공통 계류된 출원 번호가 제10/044,968호이며, 현재는 미국 특허 제6,560,823호 개시된 클램프의 내측면과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에 제공된 이어부의 수축 전에 기계적 연결된 부분을 평탄화하여 도시한 개략 부분 저면도이다.
도7은 도6의 개략 부분 측면 사시도이다.
도8은 도6과 유사한 개략 부분 상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라 탭형 부재의 수정된 실시예를 갖는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개략 부분 측면 사시도이다.
도10은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평탄화되었으며, 예비 조립 위치에 있는 클램프의 수정된 실시예의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부분 상에서 조임 장치의 조임 중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소위 로스트 모션 장치를 갖는 도면이며, 클램프의 조임 전에 기계적 연결부와 결합된 가이드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부분 상면도이다.
도11은 도10에 도시된 클램프의 개략 부분 측면 사시도이다.
도12는 도10의 로스트 모션 장치를 이용한 클램프의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일부에 대한 개략 부분 상면도이다.
도13은 도10의 13-13라인을 따라 취한 도11의 내부 및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확대된 개략 부분 단면 단면도로서, 도10 내지 도12의 클램프에서 얻을 수 있는 예비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4는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평탄화되었으며, 가이드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로스트 모션 장치를 갖는 기계적으로 연결되었으나 아직 조여지지 않은 클램프의 수정된 실시예에 대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15는 도14에 사용된 바와 같이 언더컷이 제공된 기계적 연결부를 위한 탭형 부재를 갖는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을 큰 축척으로 도시한 개략 부분 측면 사시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부가 제공된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자유 단부의 수정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부분 상면도이다.
도17은 도16의 17-17라인을 따라 취한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18은 예비 조립 위치에서 기계적 연결부의 탭형 부재의 위치를 도시한 외부 클램핑 밴드 단부 부분 상의 개략 부분 상면도이다.
도19는 상기 탭형 부재가 초기 소성 변형 위치에 도달했을 때 탭형 부재의 위치에 있는 기계적 연결부의 탭형 부재의 위치를 도시한 외부 클램핑 밴드 단부 부분 상의 개략 부분 상면도이다.
도20은 도18 및 도19와 유사하며, 외부 클램핑 밴드 단부 부분에서의 개략 부분 상면도를 도시하고 부가적인 딥-드로잉된 지지 후크가 기계적 연결부에 사용될 때 공간-세이브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1은 도15와 유사한, 본 발명의 기계적 연결부를 위한 탭형 부재의 수정된 실시예에 대한 개략 측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국 특허 제4,299,012호에 개시된 타입의 호스 클램프에 있어서 클램핑 밴드 재료를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하며, 중첩 밴드 부분의 이동에 대해 단순하고 신뢰성 있는 가이드를 보장하고, 소정의 클램프 크기에 요구되는 클램핑 밴드의 길이를 절약시킬 수 있게 하며, 클램프 크기 허용 범위 특히, 상기 범위의 최대 직경 방향 치수를 이러한 클램프의 경제적인 제조 방법에 대해 최적화시킬 수 있다.
상기 문제점들은 본 발명에 따라, 수형 부재를 형성하는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단부에서 설형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고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슬롯 내의 가이드 슬롯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탭형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에서 해결된다. 이러한 구성은 부가적인 복잡한 제조 단계없이 실현될 수 있고 조임 장치의 조임 중 내부 및 외부 밴드 부분의 중첩 부분을 신뢰성있게 가이드 할 수 있는 단순한 저마찰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며,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한 미국 특허 제6,560,823호에 개시된 교시가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전체 밴드 폭에서의 수형 프로파일의 시작점에 위치에 대하여 적용될 때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성에 따라, 클램프는 클램핑 밴드 재료에서 세이브가 가능한 로스트-모션(lost motion) 장치와 소정의 클램핑 힘이 dmax에 도달한 것을 보장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세이브가 비교적 적을 수는 있으나, 이것은 통상적인 수많은 타입의 클램프에 대한 연간 대량 생산에 있어서 의미있는 것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도시의 목적이며 몇몇 실시예들이 본 발명에 따르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각도에서 도시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 도면들을 참조할 때,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6,240,603호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제적으로 모든 인장력이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에 가해지고, 중첩된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은 사실상 어떠한 인장력도 없지만 조임 장치의 영역을 포함한 두 개의 클램핑 밴드 부분의 중첩 영역 내에 내부 클램핑 면이 제공된다는 것을 상기해야 한다. 또한, "웨티커" 이어부를 사용한 가장 마지막에 언급된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어부가 조임 장치로서 적절히 기능하기 전에 이어부를 소정의 초기 양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다시말해, 호스 재료의 압축성을 무시할 때, 클램프의 허용 범위인 dmax -dmin 에서의 최대 직경 치수, dmax 는 적절한 기능을 얻기 위해, 이후 "초기 소성 변형"으로 언급되는 소성 변형의 초기 수축치 보다 작은 이어형 조임 장치의 총 수축 범위를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초기 소성 변형"량은 이어부의 치수, 클램핑 밴드의 두께 및 클램핑 밴드 재료의 타입에 따라 변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타입의 조임 장치에서 "초기 소성 변형"은 전체 조임 범위 즉, 이어부의 최대 수축량의 40% 내지 60% 사이에 있는 "웨티커" 이어부와 관련된다. 즉, 소정 크기의 클램프의 허용 범위는 이어부의 "초기 소성 변형" 지점에 도달된 이후의 소성 변형량 즉, 이어부가 통상 오메가 형상과 유사한 "초기 소성 변형"과 상응하는 소정의 형상에 도달한 후의 소성 변형량이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소성 변형이 조임 장치로 기능할 수 있는 소성 변형식 이어부의 "초기 소성 변형"에 도달하는 것을 이어부 최대 수축의 약 50%로 가정하였다. 또한, 이어부의 최대 수축의 50%가 도달되었을 때, 소성 변형이 가능한 허용 공차 즉, 본 발명의 클램프를 가정한 예에서의 시작점에 도달하였을 때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단부에서 단차가 없는 연결부를 얻도록,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6,457,212호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호스 재료의 임의의 압축성과 수축 이후의 이어부의 스프링-백을 남길 때, 스텝형 부분(67)을 넘어서 잔류한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10a)의 설형 부분(61)과 축방향 밴드 부분(11') 사이의 중첩부가 필요하다.
도면 중 도2 내지 도5에서, 외부 밴드 부분(11a)은 예로써, 미국 특허 제5,305,499호, 제5,339,406호 및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6,243,92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임의의 공지된 타입의 강화부(도시 생략)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브릿지 부분(16)에 의해 상호 연결된 외향 연장된 두 개의 레그 부분(14, 15)을 갖는 도면 부호 13의 이어부를 구비한다. 내부 레그 부분(14, 15)이 외부 밴드 부분(11a) 위로 통과하는 내부 레그 부분의 단부는 도면 부호, B 및 C로 도시되었으며, 지점(B 및 C)에 의해 서로 접촉되어 제한된 최대 소성 변형 부분은 거리(a)로 도시되어진다. 따라서, 가정된 예에 있어서, "초기 소성 변형"은 수축이 약 a/2에 도달되었을 때 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밴드 부분(11b)은 가이드 슬롯들(63') 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부러진 탭형 부재(21)의해 한정된 측면들의 설형 연장부(61)의 형태인 수형 부재를 구비한다. 이어부의 임의의 수축 전에 결합되지만 기계적 연결부와 결합된, 내부 밴드 부분의 전체 밴드 폭의 단부는 도면 부호, D로 도시되었으며, 작은 거리(e) 만큼 레그 부분(15)으로부터 이격된다. 도면 부호(F)로 표시된 단차형 부분(67)의 시작부분은 적어도 이어부의 최대 수축에 상응하는 거리인 a만큼, 바람직하게는 예비 측정된 거리(a)를 초과하는 거리(a+) 만큼 떨어진 점(D)으로부터 위치해야만 한다.
설형 부분의 길이는 조임 장치가 주어진 예에서 50% 만큼 "초기 소성 변형" 지점으로 조여질 때 내부 밴드 부분으로부터 외부 밴드 부분까지의 단차없는 변화 부를 보장하기 위해 소정의 거리만큼 단차형 부분(67)을 결합하고 중첩하도록 되어야 한다. 이는 설형 부분(61)의 길이를 나타내는 도면 부호(D)로 표시한 설형 연장부의 내부 시작점으로부터 도면 부호, G로 표시한 그 자유 단부까지의 거리가 적어도 거리(a)의 절반보다 다소 커야한다는 것을 뜻한다. 다시 말해, 설형 연장부의 자유 단부(G)는 조임 장치가 a/2 만큼 소성 변형할 때 단차형 부분(67)을 넘는 소정의 거리에서 지점(E)에 도달되어야 한다. 도2 및 도3은 탭형 부재(21)가 설형 연장부(61)의 사실상 전체 길이를 넘어 연장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탭형 부재(21)의 길이 및 위치는 조임 공구의 죠(jaw)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임의의 경우 설형 연장 부재의 단부의 중간 영역에 개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형 연장부의 자유 단부 영역에 근접할 수 있다(도4 및 도5). 이러한 탭형 부재들의 길이는 클램프의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즉, 매우 작은 클램프를 갖는 탭형 부재는 대부분 큰 크기를 갖는 설형 연장부의 사실상 전체 길이를 넘어 연장되며, 이어부의 수축 중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설형 연장부(61)의 길이의 일부분을 넘어 연장되며, 적절한 가이드를 보장하도록 설형 연장부의 자유 단부를 넘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계적 연결부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간결성을 위해 도2 및 도3에서 생략되었으며, 여기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입이거나 또는 공지된 다른 타입이 될 수 있다. 예로써, 영구적인 연결이 요구된다면, 스팟 용접 연결이 스테인레스 강 클램핑 밴드 재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레이저 타입 점 용접이 아연 도금 강의 클램핑 밴드 재료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계적 연결부는 미국 특허 제4,315,348호, 제5,305,499호 또는 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른 타입이 될 수 있다.
도2 내지 도5에 관해 설명된 본 발명은 설형 연장부가 이어부의 수축 중 단차형 부분(67)내의 윈도우에 적절히 정렬되어 잔류하는 것에 있어서 중요한 단순한 저마찰 가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11b)은 측방향으로 어긋남으로써 윈도우에 정렬되지 않을 수 있어서, 클램프의 적절한 기능에 문제를 일으킨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라 단차형 부분(67)의 윈도우를 위한 컷팅부를 슬롯(63')을 형성하는 단순한 컷팅부로 변경하는 이미 존재하는 컷팅 작업 및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6,240,603 B1호의 수준에서 획득 가능한 클램핑 밴드 재료를 세이브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굽힘 작업에 의해 부가적인 재료없이 달성된다. 가이드 슬롯(63')의 존재는 단차형 부분(67)을 실현시키고 커버 부분(63)을 잔류시킨다. 또한, 단차형 부분(67)의 영역에 있는 가이드 슬롯(63')의 사용은 영역 즉, 설형 연장부(61)의 폭에 대해 잔류한 측방향 밴드 부분(11')의 폭과 같은 영역을 최적화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장치는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전체 밴드 폭의 단부가 그 발명이 본 명세서에 완전히 합체된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6,560,82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허용 범위, dmax 내지 dmin의 영역 내에 위치한다는 것은 클램프의 적절한 조임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것이다. 이것은 또한,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11b)의 전체 폭이 레그 부분(15)을 지나 통과한 후에만 외부 클램프 밴드 부분의 전체 폭에 도달하고, 따라서 단차형 부분(67)의 윈도우에 설형 부분(61)이 안전하게 연속적으로 정렬되기 때문이다.
본 출원인의 특허를 근거로 한 도6 및 도6의 측면 사시도인 도7은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6,560,823호의 재료 세이브형 클램프에 적용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탭형 부재(21) 및 가이드 슬롯(63')을 갖는 가이드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특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11b)의 전체 밴드 폭 부분 및 설형 부분(61)의 시작부의 단부는 지점(D')이 "초기 소성 변형"에 도달시 이어부(13)의 레그 부분(15)의 적어도 내단부(C)를 넘는 작은 거리에 있게 되도록, 기계적 연결부가 결합되지만 이어부(13)의 수축 이전에 허용 범위, dmax 및 dmin으로 한정된 영역 내에 있는 지점(D)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장치(21, 63')는 "초기 소성 변형" 동안 소정의 선형 경로를 따라 진행되도록 설형 연장부(61)를 프레스 가공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설형 연장부(61)와 단차형 부분(67)에 형성된 개구 또는 윈도우 사이의 오정렬이 방지된다. 클램핑 밴드 재료의 경제성에 있어서, 탭형 부재(21)는 조임 공구가 레그 부분(14, 15)에 가해질 때 조임 공구와 탭형 부재(21)의 죠들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을 만큼의 길이인 설형 연장부(61)의 자유 단부 영역에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탭형 부재(21)가 단지 가이드 기능만을 수행할 때, 이것은 제한된 높이가 될 수 있으며, 경사부를 갖는 형상이 될 수 있고, 도9에 개략적으로 도면 부호 21a로 도시된 집게형 조임 공구의 죠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죠의 형태와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10 내지 도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로스트 모션 장치를 갖는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서, 몇가지 용어들이 본 발명의 이론적 원리에 내재된 것들을 설명하기에 적절하다. "웨티커" 타입 이어부의 "초기 소성 변형"은 예로써, 스테인레스 강 또는 아연 도금 강과 같은 클램핑 밴드의 두께 및 재료와, 소성 변형식 이어부의 크기와, 클램프의 크기와 같은 변수 요인에 따라 변화하지만, 약 40% 내지 60%의 소성 변형은 초기 탄성 변형에 이르는 일반적인 제1 원칙이다. 설명의 목적으로, 이어부의 "초기 소성 변형"이 50% 즉, 도10의 이어부의 최대 소성 변형, a가 a/2이 되는 것은 지점(B, C)(도3)들이 서로 접촉될 때 도달된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또한, 소성 변형 후 임의의 제한된 스프링-백을 갖는 호스의 압축성은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무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어진 예에서 50%에 이르는 소성 변형식 이어부의 "초기 소성 변형"은 이용 가능한 허용 범위인 dmax - dmin을 이어부의 잔류한 변형 범위의 50%에 이르는 이론적 최대 값으로 제한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주어진 클램프 크기 즉, 주어진 모멘트에서 클램프에 의해 형성된 원에 요구되는 클램프 밴드의 주연부 길이(l)는 직경(d)의 함수이며 다음의 공식으로 표현된다.
l = πd
여기서 l은 클램프 원의 클램핑 면의 주연부 길이이며, d는 이어부의 수축의 주어진 모멘트에서의 클램프 직경 치수이다. 직경 치수의 감소가 이어부 즉, 거리(a)를 넘어 전체 수축 중 발생된다면, 클램핑 면의 원호에 대한 클램핑 밴드의 재료 길이는 초기 원호 길이(l0)로부터 감소될 수 있다.
l0 = πd0
여기서 d0 는 기계적 연결부가 결합되었으나 이어부의 수축 전의, 이어부의 최대 수축 길이 전의 것을 갖는 클램프의 직경 치수이며,
lmin = πdmin
여기서 dmin은 주어진 클램프 크기 즉, 지점(B, C)들이 서로 접촉하는 할 때의 허용 범위의 최소 직경 치수이다.
l0 - lmin이 약 a와 같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클램프에서 직경 치수의 최대 감소치(Δdmax)는
d0 - dmin = Δlmax/π (1)
여기서 Δlmax는 종래 기술 클램프의 클램프에 의해 형성된 원호의 주연부 길이의 최대 변화 값이다. 이러한 논의의 목적으로 중첩된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필요한 길이는 주어진 클램프 크기의 상이한 직경 치수와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은 중첩된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필요 길이가 이러한 가정이 본 발명을 선호하도록 클램프의 크기가 감소됨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식(1)은 다음과 같이 다시 표현할 수 있다.
Δlmax = l0 - lmin = Δdmax·π (2)
lmin은 지점들(B,C)이 서로 접촉됨에 의한 고정된 수치이기 때문에, Δl은 l0 에 따라 변한다. 이것은 "초기 소성 변형" 중 직경 치수의 감소를 피할 수 있으면, 초기에 감소된 클램핑 밴드 길이(l0)에서 시작할 수 있음을 뜻한다. 다시 말해, 주어진 클램프 크기의 클램핑 밴드 길이는 초기 소성 변형 즉, 주어진 예에서는 a/2에 해당하는 이어부의 초기 수축 동안 발생된 직경 치수의 감소가 없다면 주어진 예에서는 약 a/2 만큼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정된 예에서는 초기 클램핑 밴드 길이에서 시작할 수 있으며, 즉,
l0' = l0 - a/2
이는 밴드 재료의 약 a/2를 세이브할 수 있음을 뜻한다. 이것은 도2 내지 도5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부품에 해당하는 100번대 도면 부호로 나타낸 도10 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위 "로스트 모션 장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클램프의 수정된 실시예로부터 달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내부 및 외부 클램핑 밴드 사이의 기계적 연결은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111b)의 양쪽 측면에서 절단되고 프레스 가공되어 클램핑 밴드 면의 직각으로 위치된 탭형 부재(131) 형태의 후크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후크를 지지하도록 작동할 수 있고 종래 기술의 조합된 가이드 및 지지 후크 형태가 바람직한 탭형 부재들(131)들은 탭형 부재(131)의 길이보다 길이(n) 만큼 큰 길이의 가이드 슬롯(170) 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논의되는 예의 가이드 슬롯(170)들의 초과 길이(n)는 a/2로 주어진 예에서 "초기 소성 변형" 값과 대부분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요구되는 dmax, 주어진 클램프의 용인할 수 있는 밴드 길이 및 "초기 소성 변형"의 실제 값과 같은 변수 요인에 따라 변하며, 실험적으로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탭형 부재(121)의 단부와 조임 장치(113) 근처의 탭형 부재(131)의 단부들 사이의 거리(m)(도13)는 탭형 부재(131)가 조임 장치(113) 근처의 단부 영역의 가이드 슬롯(170)에 위치될 때와, 탭형 부재(121)가 조임 장치(113) 근처의 단부 영역의 가이드 슬롯(163')에 위치될 때만 각각의 슬롯(170, 163')을 결합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도13). 이어부(113)가 소성 변형할 때, 중첩된 밴드 부분 사이의 큰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가정하면, 클램프의 직경 치수(d)의 감소가 발생하지 않고, 로스트 모션 장치는 작동될 수 있다. 이어부(113)의 레그들(114, 115)이 동일한 양으로 소성 변형하는 것을 가정할 때, 이것은 레그 부분(115)의 내단부 및 탭형 부재(121)의 상대 위치가 변화될 수 있는 도11의 좌측으로의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111a)의 이동이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111b)의 반시계 방향의 동일한 이동량 만큼 동반되어 탭형 부재(121)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가이드 슬롯(163')의 내단부를 결합하는 상대 위치에서의 로스트 모션 작동 중 탭형 부재(121)가 잔류한다는 것을 뜻한다. 한편, 레그 부분(114) 및 이것을 갖는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111a)의 자유 단부의 도10의 좌측으로의 이동은 가이드 부재(131)가 가이드 슬롯(170) 내에서 상대 이동하지만 가이드 슬롯(170) 내에서 여전히 자유 이동하는 탭형 부재(131)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탭형 부재(131)가 레그 부분(114)으로부터 떨어진 가이드 슬롯(170)의 단부와 결합할 때만 이어부(113)의 부가적인 수축이 클램프의 주연부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은 허용 범위에서 dmax의 값을 갖는 주어진 크기의 클램프에 있어서, 초기 직경 치수가 주어진 예에서는 이어부의 최대 수축 거리의 약 절반 즉, 주어진 예에서는 a/2 또는 호스 직경, dmax에 필요한 간극에 따라서는 다소 작게 감소될 수 있도록 클램프를 디자인 할 수 있게 한다. 이점에 있어서, 클램프의 수축 즉, d의 감소가 시작된다. 이러한 점에서, 이어부의 수축은 이어부의 양 측 상에서의 외부 밴드 부분을 로스트 모션의 가능성 없이 이어부의 레그 부분(114, 115)을 향한 대향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며, 또한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111b)은 도10의 좌측에 도시한 방향을 향한 조임 장치(113)의 레그 부분(115) 근처의 가이드 슬롯(163')의 단부로부터 그 탭형 부재(131)를 멀리 이동시킨다. 탭형 부재(131)의 길이를 넘는 가이드 슬롯(170)의 초과 길이는 선택될 수 있으나 불필요하게 허용 범위를 감소시키지 않을 정도의 "초기 소성 변형"에 상응하는 정도의 거리보다 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가이드 슬롯(170)의 초과 길이(n)는 이어부의 "초기 소성 변형" 길이보다 약간 작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탭형 부재(121)가 로스트 모션 장치가 작동되는 이어부의 "초기 소성 변형" 중 가이드 슬롯(163')에 대한 위치에 고정되어 남아있을 때, 단차형 부분(167)은 예방 조치의 목적으로 지점(D)과 단차형 부분(167) 사이의 a/2 또는 다소 크게 남아있는 거리(a/2+)와 같은 거리만큼 레그 부분(115)을 향해 이동될 수 있으며, 도2 내지 도5의 지점들(D, F) 사이의 거리는 약 a/2 만큼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설형 부재(161)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스트 모션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주어진 크기의 클램프에 대한 소정의 허용 범위 만큼 최대 직경 치수(dmax)를 정확하게 최적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거리(m)가 주어진 공칭 클램프 크기에 있어서 최대 직경(dmax)을 갖는 클램프의 원호 길이에 사실상 상응한다면, 탭형 부재(121)가 호스의 증가된 직경에 의해 요구되는 외부 밴드 부분(111a)에 대한 내부 밴드 부분(111b)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더 이상 가이드 슬롯(163')에 결합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클램프는 실제 길이가 dmax 보다 큰 호스에는 설치될 수 없다. 길이(n)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가이드 장치와의 기계적 연결부를 사용하는 것은 직경이 주어진 클램프 크기의 dmax보다 큰 호스에 주어진 크기의 클램프를 설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지지 후크(131)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연결부로만 사용되면, 레그 부분(114)으로부터 외부 밴드 부분(111a)까지의 외부 밴드 부분의 길이는 도1의 기계적 연결부(31, 32, 35)에 비해 다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의 축방향 설치가 필요하다면, 클램프는 탭형 부재(131)의 적어도 외단부를 단순하게 구부린 폐쇄 상태에서 예비 조립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탭형 부재(121)에 대해서도 동일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클램프 및 클램핑 밴드 재료의 타입의 최대 인장력에 따라, 로스트 모션 장치는 탭형 부재의 형태인 단일 지지 후크만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도13의 로스트 모션 장치는 탭형 부재(121, 131)가 표면(121a, 167a)들 사이와 표면(131a, 179a)들 사이의 마찰 결합의 결과로 각각의 가이드 슬롯(163', 170)을 결합하면 클램프의 예비 조립 위치를 제공한다(도13). 상기 표면들 사이의 마찰량은 치수(m) 및/또는 예로써, 표면을 거칠게하는 다이 내의 무딘 컷팅 에지를 사용한 종래 방식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를 거칠게 한 것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마찰에만 의지한 것보다는 더욱 적극적인 예비 조립이 필요하면, 탭형 부재(131')에는 클램핑 밴드의 두께보다 다소 큰 반경 방향 높이를 갖는 에지(131a)의 내단부를 따라 언더컷(132)(도4 및 도5)이 제공될 수 있다. 치수(m)가 도14에 도시된 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는 한, 언더컷(132)의 주연부 깊이는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공지된 기술과 같이 선단 에지(131b)는 가이드 기능을 제공하도록 전방으로 경사질 수 있고 후미 에지(131a)는 클램핑 밴드의 표면에 직각이 될 수 있다. 또한, 후미 에지(131a)에는 언더컷(132) 부분과 결합하여 또는 그 대신 예비 조립 위치의 달성을 위한 보조 기능을 할 수 있는 이어부(113)를 향한 외부 방향으로 약간의 경사부[도15의 각도(α)]가 제공된다. 에지 면(131a)(도21)의 너브(nub)형 돌출부(160)가 동일한 목적으로 제공된다.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111a)의 자유 단부 근처의 가이드 슬롯(170)의 단부에서 클램핑 밴드 재료가 바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에는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111a)과 슬롯(170)의 자유 단부 사이 영역에 있는 하나 이상의 주름형 엠보스먼트(150)(도16 및 도17) 형태의 몇몇의 냉간 성형식 딥-드로잉된 강화 수단이 제공된다. 또한, 대향 배향된 만입부가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두 개의 측방향 이격된 지지 후크(131)의 사용이 부적절할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딥-드로잉된 지지 후크(32)가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딥-드로잉된 지지 후크(32)용 개방부에는 탭형 부재(131)에 대한 로스트 모션과 동일한 정도로 이러한 지지 후크에 대해 로스트 모션을 제공한다. 또한, 두 개의 지지 후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로스트 모션 장치는 도1에 도시된 종래 클램프와 같이 기계적 연결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개방부(35)의 주연부 길이는 연장되어질 수 있다.
부가적인 딥-드로잉된 지지 후크가 클램프에 대해 사용된다면, 공간-세이브형 장치는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후크(32)의 인접 에지가 외부 클램프 부분의 개구(180)를 통해 연장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계적으로 결합되었으나 조임 장치를 조이기 전의 상태에 있는 탭형 부재(131)의 위치는 도20의 윗부분에 도시되고, 아랫부분의 탭형 부재의 위치는 이어부의 수축부에 상응하며 "초기 소성 변형"을 초과한다. 공간부(180)가 가이드 슬롯(170)들 사이의 내부 클램핑 밴드 재료를 모두 제거한다면, 탭형 부재(131)의 길이(P)는 탭형 부재가 각각의 가이드 슬롯의 완전히 형성된 부분으로 연장되도록 가이드 슬롯들의 제거된 내부 벽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어부의 수축 시작부에 있는 가이드 슬롯 내에서 탭형 부재의 적절한 이동을 보장한다.
탭형 부재(121 및/또는 131)는 집게형 장치(도9) 형태인 조임 공구 죠의 설치를 원활히 하도록 조임 장치(113)를 향한 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의 감소는 탭형 부재(121)가 조임 장치와 되도록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고려되는 점에서 조임 공구 죠의 형상과 유사하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들에게는 많은 변경 및 수정물들이 가능하다. 예로써, 이어부는 본 출원인의 레그 부분의 내단부에서 가이드 만입부가 있거나 또는 없는 미국 특허 제6,247,206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연장된 허용 범위를 제공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로써, 미국 특허 제4,521,940호에 개시된 스크류 타입의 조임 장치와 같은 다른 조임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출원인은 설명되고 도시된 것에 제한 받기를 원치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이러한 변경 및 수정물들을 포함하도록 한다.

Claims (24)

  1. 설치 상태에서 내부 밴드 부분과 외부 밴드 부분(11b, 11a, 111a, 111b)의 중첩부를 형성하기 위한 클램프 밴드 단부 부분을 갖는 클램핑 밴드 수단(11)과,
    상기 중첩된 밴드 부분을 작동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1, 32, 35; 131, 170)와,
    피고정물 주위로 클램핑 밴드 수단을 조이기 위한 것이며, 상기 클램핑 밴드 수단의 주연 방향으로의 갭을 형성하는 조임 장치(13, 113)와,
    상기 외부 밴드 부분의 암형 부재(67; 167)와 협동하도록 구성된 내부 밴드 부분의 단부 근처에 있으며, 전체 밴드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수형 부재(61; 161)를 구비한 클램핑 밴드 수단의 갭이 없고 단차가 없는 내부 클램핑 면을 보장하는 부가적인 수단(61, 62, 63; 67; 163, 167, 161)을 포함하는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61; 161)는 각각의 측면 상에 상향으로 구부러진 탭형 부재(21; 121)가 제공되고, 상기 외부 밴드 부분(11a, 111a)에는 조임 장치의 조임 중 내부 및 외부 밴드 부분의 상대 이동을 탭형 가이드 부재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두 개의 가이드 슬롯(63', 163')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수형 부재(61; 161)의 각각의 측면 상에 상향으로 구부러진 탭형 부재(21; 121)는 수형 부재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소정의 탭형 부재(21; 121)는 수형 부재의 자유 단부 영역에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탭형 부재(21; 121)는 조임 장치를 향한 방향으로 높이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의 감소는 곡선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장치는 소정의 클램핑 힘을 마련하는 조임 장치로서 적절히 기능하도록 소정의 초기 소형 변형이 요구되는 소성 변형식 이어부이며, 브릿지 부분(16)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두 개의 외향 연장된 레그 부분(14, 15)에 의해 한정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클램프의 직경 치수의 변화없이 초기 소성 변형에 도달하도록 조임 장치의 부분적인 조임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131, 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 연장 레그 부분들(14, 15; 114, 115)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 연장 레그 부분들(14, 15; 114, 115)은 서로 평행하지 않으며, 레그 부분의 내단부들 사이의 공간은 브릿지 부분(16, 116)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밴드 부분을 작동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클램프를 연결부에 조이지 않은 상태에서,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11b; 111b)의 전체 밴드 폭은 상기 갭을 커버하고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자유 단부에 대향한 조임 장치의 측면으로부터의 소정 거리를 종결시키며, 상기 암형 부재는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11a, 111a) 내의 단차형 부분(67; 167)에 의해 형성되고 단차형 부분(67; 167)의 시작부는 조임 장치의 최대 조임에 상응하는 거리와 적어도 동일한 거리만큼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전체 폭의 단부로부터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가이드 슬롯(63', 163')은 적어도 이어부가 소정의 초기 소성 변형에 도달할 때 수형 부재(61; 161)가 단차형 부분(67; 167)을 중첩하는 방식으로 외부 밴드 부분(11a, 111a)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밴드 부분을 작동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클램프를 연결부에 조이지 않은 상태에서,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11b, 111b)의 전체 밴드 폭으로부터 수형 부재(61; 161)에 이르는 변화부는 초기 소성 변형에 의해 결정된 위치에 있는 레그 부분들(14, 15)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암형 부재는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11a, 111a)의 단차형 부분(67, 167)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레그 부분(12; 115)으로부터 위치된 단차형 부분의 시작부는 소정의 초기 소성 변형에 의해 결정된 거리만큼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자유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가이드 슬롯(63, 63')은 적어도 이어부가 소정의 초기 소성 변형에 도달할 때 수형 부재(61; 161)가 단차형 부분(67; 167)을 중첩하는 방식으로 외부 밴드 부분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11a)의 개방부(35)에 작동식으로 결합하도록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11b) 내의 적어도 하나의 딥-드로잉된 지지 후크(32)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후크(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각각의 측면 상에서 상향으로 굴곡되고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가이드 슬롯 수단(170)에서 결합하는 내부 밴드 부분의 지지 후크를 형성하는 두 개의 횡방향 이격된 탭형 수단(131, 131', 131")을 포함하고, 지지 후크(131, 131', 131")는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상향으로 구부려진 탭형 부재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4. 제13항에 있어서, 가이드 슬롯 수단(170)은 조임 장치(113)의 초기 조임 동안 클램프의 직경 방향 치수의 감소를 최소화하도록 조임 장치의 조임 동안 중첩된 밴드 부분들 사이의 로스트 모션을 실현하기 위해 탭형 수단(131, 131', 131")보다는 클램프의 주연부 방향으로 더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5. 제1항에 있어서, 조임 장치(113)는 클램프가 허용 범위 치수 dmax에 도달할 때 적절한 기능을 위해 소정의 초기 소성 변형이 요구되는 소성 변형식 이어부이며, 상기 연결부는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111a)의 가이드 슬롯 수단(170) 내에서 결합하는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111b)의 지지 후크 수단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으로 구부려진 탭형 부재(131, 131', 131")를 구비하며, 각각의 가이드 슬롯 수단들(170)은 이어부의 초기 수축 중 내부와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들 사이의 로스트 모션을 얻기 위해 지지 후크 수단(131, 131', 131")보다 클램프의 직경 방향으로 더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6. 제15항에 있어서, 가이드 슬롯 수단(170)의 길이는 이어부의 소정의 소성 변형을 얻기에 필요한 조임 거리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지지 후크 수단(131, 131', 131")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7. 제16항에 있어서, 지지 후크 수단(131, 131', 131")은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111b)의 각각의 측면 상의 상향으로 구부려진 탭형 부재에 의해 각각 형성된 두 개의 횡방향 이격된 지지 후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8. 제16항에 있어서, 수형 부재(161)의 탭형 부재(123) 및 지지 후크 수단(131, 131', 131")은 조임 장치에 근접한 단부 영역 내의 가이드 슬롯 수단들을 결합하는 지지 후크 수단의 위치에 있는 서로로부터의 주연부 거리에서의 클램핑 밴드 수단에 위치되며, 상기 수형 부재의 탭형 부재들은 조임 장치 근처의 단부 영역 내의 가이드 슬롯들을 결합하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의 탭형 부재들(21, 121)은 수형 부재(61, 161)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탭형 수단이 가이드 슬롯 수단 내에 결합된 후 클램프가 재개방될 위험을 감소시키는 예비 조립 수단을 더 포함하는(도13)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조립 수단은 조임 장치 근처의 탭형 수단의 에지 내에 언더컷(1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2. 제13항에 있어서, 가이드 슬롯(163')과 가이드 슬롯 수단(170) 사이의 거리는 호스의 직경이 주어진 클램프 크기의 dmax를 초과하지 않을 때만 탭형 부재(121) 및 탭형 수단(131)이 각각의 가이드 슬롯들과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조립 수단은 조임 장치를 향해 연장되는 너브(nub)형 돌출부(160)를 갖는 후방 에지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의 자유 단부에 대향한 방향으로 탭형 수단을 따르는 내부 클램핑 밴드 부분 내에 냉간 성형식으로 딥-드로잉된 지지 후크(32)를 더 구비하며, 개구(180)는 딥-드로잉된 지지 후크가 연결부의 로스트 모션 작동 중 연장될 수 있고 이동될 수 있는 조임 장치 근처의 가이드 슬롯 수단들의 영역에 있는 외부 클램핑 밴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KR1020047018244A 2003-01-14 2003-10-14 갭, 단차 또는 불연속부가 없는 내부 클램핑 면을 갖는호스 클램프 KR200500937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3979903P 2003-01-14 2003-01-14
US60/439,799 2003-01-14
US10/392,952 US20040134041A1 (en) 2003-01-14 2003-03-21 Open hose clamp with plastically deformable ear
US10/392,952 2003-03-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703A true KR20050093703A (ko) 2005-09-23

Family

ID=327170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244A KR20050093703A (ko) 2003-01-14 2003-10-14 갭, 단차 또는 불연속부가 없는 내부 클램핑 면을 갖는호스 클램프
KR1020047018239A KR20050093702A (ko) 2003-01-14 2003-10-14 소성 변형 가능한 이어부를 구비한 개방 호스 클램프 및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239A KR20050093702A (ko) 2003-01-14 2003-10-14 소성 변형 가능한 이어부를 구비한 개방 호스 클램프 및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40134041A1 (ko)
EP (2) EP1583704B1 (ko)
JP (2) JP4262683B2 (ko)
KR (2) KR20050093703A (ko)
AT (1) ATE433548T1 (ko)
BR (2) BR0309960A (ko)
CA (2) CA2481469C (ko)
DE (1) DE60327950D1 (ko)
ES (1) ES2326642T3 (ko)
MX (2) MXPA04011158A (ko)
WO (2) WO20040652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293B1 (ko) * 2010-07-09 2015-02-27 한스 외티커 아게 마쉬넨-운트 아파라테파브리크 호스 클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4843B2 (ja) * 2006-05-09 2012-12-12 ハンス・エーテイケ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マシイネン−ウント・アパラーテフアブリーク バンドクランプ
US7721393B2 (en) * 2007-01-03 2010-05-25 Craig Jr Paul M Size-conscious hose clamp
KR101268754B1 (ko) * 2008-06-18 2013-05-29 한스 외티커 아게 마쉬넨-운트 아파라테파브리크 호스 클램프
DE102009007821A1 (de) * 2009-02-07 2010-08-12 Rehau Ag + Co Rohrverbindungsvorrichtung
JP6012556B2 (ja) * 2013-07-02 2016-10-25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ホースクランプ
USD756765S1 (en) * 2013-11-09 2016-05-24 Mark J. Zaharis Set of components for a crimpable separable tubing clamp
WO2018082763A1 (de) * 2016-11-02 2018-05-11 Oetiker Schweiz Ag Spannschelle
KR102066695B1 (ko) * 2017-07-25 2020-01-15 (주)동아금속 영구 변형량을 고려한 호스 고정용 탄성 클램프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77076A (en) * 1918-03-12 1918-08-27 Harvey Ireland Sheet-metal shock-binder.
US1705895A (en) * 1928-02-18 1929-03-19 George O Blair Hose clamp
US4312101A (en) * 1978-09-26 1982-01-26 Hans Oetiker Hose clamp with insert member
US4315348A (en) * 1979-05-08 1982-02-16 Hans Oetiker Mechanical lock for clamps
US4299012A (en) * 1979-05-08 1981-11-10 Hans Oetiker Hose clamp
US4402113A (en) * 1981-12-30 1983-09-06 Communications Technology Corporation Flexible clamp for hose, cable and the like
US5437081A (en) * 1984-06-20 1995-08-01 Hans Oetiker Ag Maschinen-Und Apparate-Fabrik Hose clamp
US5339496A (en) * 1984-06-20 1994-08-23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Self-aligning clamp structure
US4711001A (en) * 1984-06-20 1987-12-08 Hans Oetiker Fastening arrangement for open hose clamp
CA1274069A (en) * 1984-06-20 1990-09-18 Hans Oetiker Hose clamp
US5564167A (en) * 1984-06-20 1996-10-15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Reinforced ear structure for clamps
US4712278A (en) * 1986-10-22 1987-12-15 Hans Oetiker Earless clamp structure
US4843686A (en) * 1987-06-23 1989-07-04 Proprietary Technology, Inc. Hose clamp
IT1217723B (it) * 1988-05-26 1990-03-30 Arcelli & Bernacchi Fascetta metallica per giunzione di tubi
US5177836A (en) * 1990-10-31 1993-01-12 Kemmerich & Co. Kg Hose clamp
US5544392A (en) * 1995-03-01 1996-08-13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Clamp structure with spring element
DE19612064A1 (de) * 1996-03-27 1997-10-0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icherungselement
US5669113A (en) * 1996-08-05 1997-09-23 Murray Corporation Hose clamp
DE19750010C1 (de) * 1997-11-12 1999-05-12 Rasmussen Gmbh Schelle
US6247206B1 (en) * 1999-04-07 2001-06-19 Paul M. Craig, Jr. Tightening means for hose clamps
US6243924B1 (en) * 2000-05-31 2001-06-12 Paul M. Craig, Jr. Reinforcing arrangement in a plastically deformable ear for a hose clamp
US6240603B1 (en) * 2000-05-31 2001-06-05 Paul M. Craig, Jr. Hose clamp with stepless internal clamping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TE283442T1 (de) * 2000-09-26 2004-12-15 Oetiker Hans Maschinen Schlauchklemme
US6463632B2 (en) * 2001-02-07 2002-10-15 Hans Oetiker Ag Maschinen-Und Apparatefabrik Guide arrangement for tightening tool emplacement in hose clamps provided with plastically deformable ears
US6457212B1 (en) * 2001-02-07 2002-10-01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Method of making hose clamps with internal clamping surfaces devoid of steps or gaps and products made by such method
US6560823B1 (en) * 2002-01-15 2003-05-13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Method for optimizing the length of the blank for an open-type clamp and clamp made with the use of this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293B1 (ko) * 2010-07-09 2015-02-27 한스 외티커 아게 마쉬넨-운트 아파라테파브리크 호스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65250A1 (en) 2004-08-05
MXPA04011157A (es) 2005-08-15
CA2481469A1 (en) 2004-08-05
JP2006513104A (ja) 2006-04-20
CA2481469C (en) 2008-07-29
JP2006514228A (ja) 2006-04-27
DE60327950D1 (de) 2009-07-23
US20040134041A1 (en) 2004-07-15
ES2326642T3 (es) 2009-10-16
JP4262683B2 (ja) 2009-05-13
WO2004065250A8 (en) 2004-11-25
EP1583705A4 (en) 2010-03-10
BR0309961A (pt) 2005-08-23
MXPA04011158A (es) 2005-08-15
KR20050093702A (ko) 2005-09-23
CA2485625C (en) 2008-01-15
CA2485625A1 (en) 2004-08-05
ATE433548T1 (de) 2009-06-15
WO2004065251A1 (en) 2004-08-05
BR0309960A (pt) 2005-02-22
EP1583705A1 (en) 2005-10-12
EP1583704A1 (en) 2005-10-12
EP1583704A4 (en) 2007-04-25
EP1583704B1 (en)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210B1 (ko) 레버방식의 클램프
JP4275414B2 (ja) 隙間のないクランプ面を有するホースクランプ
US4299012A (en) Hose clamp
US7024731B2 (en) Hose clamp with internal clamping surfaces devoid of gaps, steps or discontinuities
US5299344A (en) Reinforcing arrangement for open hose clamps, especially screw-type hose clamps
KR20050093703A (ko) 갭, 단차 또는 불연속부가 없는 내부 클램핑 면을 갖는호스 클램프
KR100410814B1 (ko) 공차보완호스클램프구조물
JP5580446B2 (ja) 円錐形状のフランジ接続部のための接続構成および円錐形状のフランジ接続部
KR20190087612A (ko) 프로파일된 클램프
CZ310494A3 (en) Clamp
KR100358259B1 (ko) 이와단이없는클램프구조물
KR100318628B1 (ko) 이어리스클램프구조물
KR0159956B1 (ko) 클램프 구조물
JPH0587280A (ja) ばね作用を改良したクランプ構造体
JPH08312861A (ja) ばね要素を備えたクランプ構造体
US6584654B1 (en) T-bolt hose clamp
JPH11230448A (ja) クリップ
US20060117534A1 (en) Open hose clamp with plastically deformable ear
US6560823B1 (en) Method for optimizing the length of the blank for an open-type clamp and clamp made with the use of this method
RU183286U1 (ru) Хомут червячный
WO2023194314A1 (en) Band clamp with ribs on its inner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