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181A - 차량용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3181A
KR20050093181A KR1020040018432A KR20040018432A KR20050093181A KR 20050093181 A KR20050093181 A KR 20050093181A KR 1020040018432 A KR1020040018432 A KR 1020040018432A KR 20040018432 A KR20040018432 A KR 20040018432A KR 20050093181 A KR20050093181 A KR 20050093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spring
contact
seat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40018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3181A/ko
Publication of KR20050093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18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 B42D15/02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combined with permanently fastened sound-producing or light-emitting means or carrying sound re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 B42D15/04Foldable or multi-part cards or sheets
    • B42D15/045Multi-part cards or sheets, i.e. combined with detachably mounted article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쇽업소버(shock absorber)의 하부스프링시트(lower spring seat)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린더튜브의 외측에 위치하는 완충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해, 그 내주연측의 버링부를 통해 상기 실린더튜브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버링부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부의 상면인 시트면을 통해 상기 완충스프링의 최하위 권선부를 안착하여 지지하는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시트면상에는 원둘레를 따라 상기 완충스프링의 최하위 권선부가 a점을 시작으로 e점까지 감기는 a, b, c, d, e의 기준점이 약 90° 간격으로 위치하는데, 상기 완충스프링의 거동시 상기 완충스프링이 a~c 구간과 e점 부근에만 항상 접촉되고, c~e 구간과는 근본적으로 이격되어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e점 부근의 일정구간을 상부로 높게 돌출되도록 포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완충스프링과 하부스프링시트가 특정구간(c~e 구간)에서 접촉과 미접촉을 반복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접촉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차량의 정숙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접촉에 따른 마모가 방지되어 상호간에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종래 접촉 소음과 마모의 방지를 위해 사용하던 호스 또는 패드와 같은 별도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LOWER SPRING SEAT OF A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차량용 쇽업소버(shock absorber)의 하부스프링시트(lower spring seat)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완충스프링의 최하위 권선부와의 접촉과 미접촉의 반복에 따른 접촉 소음과 마모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방지시킬 수 있는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업소버는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시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방진, 완충장치로서, 그 내부에는 오일 및 가스가 충진되어 감쇠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주로 오일이 충진된 유압식 쇽업소버가 사용된다.
도 1을 참조로, 이러한 종래의 쇽업소버(10)를 간략히 설명하면, 피스톤로드(12)가 상측으로 연장되게 중공의 실린더튜브(11)가 마련되고, 실린더튜브(11)의 상부측에는 먼지 및 이물질이 피스톤로드(12)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커버(13)가 구비된다.
그리고, 나선형의 코일스프링인 완충스프링(14)이 실린더튜브(11)의 외측에 위치하여 쇽업소버(10)와 마찬가지로 차축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감쇠시키며, 특히 쇽업소버(10)의 피스톤로드(12)가 하향 이동되었을 때 이를 복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완충스프링(14)은 쇽업소버(10)의 상하측에 마련된 상, 하부스프링시트(15, 16)에 의해 그 상하측이 각각 지지되는데, 이 중 하부스프링시트(16)는 도 2에 그 구조에 대한 개념을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튜브(11)의 외주면과 용접 고정되는 버링(burring)부(16a)가 내주연측에 형성되고, 버링부(16a)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게 플랜지부(16b)가 형성되어 그 상면인 시트면을 통해 완충스프링(14)의 최하위 권선부를 안착하여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플랜지부(16b)의 시트면상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로 원둘레를 따라 거의 90°간격으로 a, b, c, d, e의 기준점들이 존재하며, 각 기준점의 간격과 높이는 도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완충스프링(14)의 최하위 권선부는 a점을 시작으로 b, c, d, e점을 따라 감기어 안착되게 된다.
이러한 쇽업소버(10)의 하부스프링시트(16)에 있어서,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노면으로부터 외력이 입력되어 완충스프링(14)이 피스톤로드(12)와 연동하여 압축 또는 이완 유동하며, 이때 a~c 구간은 항상 완충스프링(14)과 접촉되나 c~e 구간은 접촉과 미접촉을 반복함으로써, 접촉 소음(noise)이 발생되어 차량의 정숙성을 해치고, 해당 부분에 마모가 발생되게 된다.
즉, 완충스프링(14)과 하부스프링시트(16)는 금속으로 되어 있는데, c~e 구간에서 완충스프링(14)과 하부스프링시트(16)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고, 이 간격이 다시 접촉하게 됨으로써, 금속과 금속간의 부딪힘에 의한 소음과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완충스프링(14)의 최하우 권선부에 고무재 호스(hose)를 끼우거나 시트면상에 고무재 패드(pad)를 삽입하였으나 별도의 제조비용이 소요되고, 완충스프링(14)의 압축시 비틀림으로 인해 호스가 벗겨지거나 패드가 이탈되어 그 장시간 사용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써, 시트면 구조를 개선하여 완충스프링과의 접촉 소음 및 마모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방지시키는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린더튜브의 외측에 위치하는 완충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해, 그 내주연측의 버링부를 통해 상기 실린더튜브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버링부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부의 상면인 시트면을 통해 상기 완충스프링의 최하위 권선부를 안착하여 지지하는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시트면상에는 원둘레를 따라 상기 완충스프링의 최하위 권선부가 a점을 시작으로 e점까지 감기는 a, b, c, d, e의 기준점이 약 90° 간격으로 위치하는데, 상기 완충스프링의 거동시 상기 완충스프링이 a~c 구간과 e점 부근에만 항상 접촉되고, c~e 구간과는 근본적으로 이격되어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e점 부근의 일정구간을 상부로 높게 돌출되도록 포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나선형의 코일스프링인 완충스프링(14)은 실린더튜브(11)의 외측에 위치하여 쇽업소버(10)와 마찬가지로 차축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감쇠시키는데, 이러한 완충스프링(14)은 쇽업소버(10)의 상하측에 마련된 상, 하부스프링시트(15, 160)에 의해 그 상하측이 각각 지지된다.
하부스프링시트(160)는 실린더튜브(11)의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는 형태로, 실린더튜브(11)의 외주면과 용접 결합하기 위한 버링부(160a)가 내주연측에 형성되고, 외주연측에는 완충스프링(14)의 최하위 권선부가 안착되는 시트면을 상면에 형성하는 플랜지부(160b)가 원둘레를 따라 소정 너비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플랜지부(160b)의 시트면상에는 원둘레를 따라 약 90°간격으로 a, b, c, d, e의 기준점이 존재하며, 따라서, 완충스프링(14)의 최하위 권선부가 a점을 시작으로 b, c, d, e점의 원둘레를 따라 감기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e점 부근을 상부로 높게 돌출되도록 시트면을 포밍(forming)함으로써, 완충스프링(14)이 a~c 구간에 항상 접촉됨과 더불어 바로 e점 부근에 항상 접촉되도록 하여, c~e 구간과는 근본적으로 이격되어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써, 종래 c~e 구간에서 접촉과 미접촉을 반복함에 따른 간섭 소음과 마모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기준점들을 수평으로 펼쳐 놓은 경우, 각 기준점의 간격과 높이를 보여주는 도 6을 참조하면, 대응하는 종래의 도 4와 비교하여 e점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e점을 높은 위치에 위치시킴에 있어, 완충스프링(14)과의 견고한 접촉을 위해 e점 이전의 일정부근부터 상부로 돌출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160)의 작용에 대하여 이하 간략히 설명한다.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노면으로부터 외력이 입력되어 완충스프링(14)이 피스톤로드(12)와 연동하여 압축 또는 이완 유동함으로써 일부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데, 이때 하부스프링시트(160)의 a~c 구간 및 e점 부근은 항상 완충스프링(14)과 접촉되나 c~e 구간은 근본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접촉 소음 및 마모의 발생이 방지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면의 e점 부근을 상부로 돌출되도록 포밍시키는 것은 제조시 간단한 변형만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충스프링과 하부스프링시트가 특정구간(c~e 구간)에서 접촉과 미접촉을 반복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접촉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차량의 정숙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접촉에 따른 마모가 방지되어 상호간에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종래 접촉 소음과 마모의 방지를 위해 사용하던 호스 또는 패드와 같은 별도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쇽업소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3은 종래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상의 기준점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종래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상의 각 기준점의 간격과 높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상의 각 기준점의 간격과 높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쇽업소버 11 : 실린더튜브
12 : 피스톤로드 13 : 더스트커버
14 : 완충스프링 15 : 상부스프링시트
16, 160 : 하부스프링시트 16a, 160a : 버링부
16b, 160b : 플랜지부

Claims (1)

  1. 실린더튜브의 외측에 위치하는 완충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해, 그 내주연측의 버링부를 통해 상기 실린더튜브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버링부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부의 상면인 시트면을 통해 상기 완충스프링의 최하위 권선부를 안착하여 지지하는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시트면상에는 원둘레를 따라 상기 완충스프링의 최하위 권선부가 a점을 시작으로 e점까지 감기는 a, b, c, d, e의 기준점이 약 90° 간격으로 위치하는데, 상기 완충스프링의 거동시 상기 완충스프링이 a~c 구간과 e점 부근에만 항상 접촉되고, c~e 구간과는 근본적으로 이격되어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e점 부근의 일정구간을 상부로 높게 돌출되도록 포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
KR1020040018432A 2004-03-18 2004-03-18 차량용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 KR200500931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432A KR20050093181A (ko) 2004-03-18 2004-03-18 차량용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432A KR20050093181A (ko) 2004-03-18 2004-03-18 차량용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181A true KR20050093181A (ko) 2005-09-23

Family

ID=37274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432A KR20050093181A (ko) 2004-03-18 2004-03-18 차량용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31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4638B2 (en) Spring rubber seat and strut-type suspension
CN111677812A (zh) 一种汽车动力总成用减振缓冲装置
JP4567987B2 (ja) 車両用の緩衝器
KR20050093181A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
JP4989382B2 (ja) 車両用軸ばね
KR20060022829A (ko) 쇽업소버의 하부스프링시트
KR100791469B1 (ko) 쇽 업소버
KR100766005B1 (ko) 현가장치
KR200307278Y1 (ko) 차량용 쇽업소버
KR20050031519A (ko) 쇽 업소버의 리바운드 스프링 설치 구조
KR101194985B1 (ko) 리바운드 코일스프링을 갖는 쇽업소버 및 쇽업소버의리바운드 코일스프링 설치방법
KR101263476B1 (ko) 쇽업소버
KR20060089000A (ko) 쇽업소버용 범퍼러버
KR100775515B1 (ko) 쇽업소버의 오일씰
KR100776220B1 (ko) 쇽업소버의 스톱러버
KR101619183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KR200286148Y1 (ko) 차량용 쇽업소버
KR20060018067A (ko) 에어 서스펜션
KR200296123Y1 (ko) 오일댐퍼
KR101875967B1 (ko) 범프 스토퍼 내장형 쇽업소버
KR20190107860A (ko) 좌굴 방지 쇽업쇼버 더스트커버
KR20130064185A (ko) 차량용 에어 스프링
KR20050092516A (ko) 쇽업소버 일체형 에어스프링 시스템
KR19980067934U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하부마운트
KR19980053643U (ko) 쇽업소버의 감쇄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