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2811A -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 장치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 장치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2811A
KR20050092811A KR1020040017903A KR20040017903A KR20050092811A KR 20050092811 A KR20050092811 A KR 20050092811A KR 1020040017903 A KR1020040017903 A KR 1020040017903A KR 20040017903 A KR20040017903 A KR 20040017903A KR 20050092811 A KR20050092811 A KR 20050092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icrophone
mobile terminal
voic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6231B1 (ko
Inventor
유혁
남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씬멀티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씬멀티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씬멀티미디어
Priority to KR1020040017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231B1/ko
Publication of KR20050092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5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for making foa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8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liqu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종래의 이동 단말기는 자체 LCD 화면 및 자체 스피커만으로 멀티미디어를 감상해야 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마이크 음성과 콘텐츠 사운드를 합성하여 출력된 합성음을 오디오로 감상할 수 있고, 내장 카메라로 촬영된 사용자 비디오와 콘텐츠 비디오를 오버레이하여 출력된 오버레이 비디오를 TV로 감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 장치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기(10)는 마이크(100)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과 CPU(110)로부터의 콘텐츠 재생음을 입력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마이크 음성(Voice_Mic)을 바이패스시키거나 마이크 음성(Voice_Mic)과 콘텐츠의 재생음(Sound_Contents)을 합성한 합성음(Sound_synt)을 출력하는 음성 합성부(102); 오디오 장치(12)나 TV 장치(16)에 구비되는 아날로그 음성 입력 단자의 접지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접지 전압 신호에 응답하여 원 출력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키고 상기 음성 합성부(102)로부터 출력된 마이크 음성 또는 합성음을 출력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04); 및 이동 단말기(10) 측면에 구비된 볼륨 조절 스위치(106)를 사용하여 오디오 접속 모드로 전환되고 마이크(100)의 감도를 조절하는 제어부(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 장치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connectable to audio output device and video output device}
이동 단말기나 개인휴대단말(PDA)와 같은 무선 이동 단말기가 음성 통화만을 위한 장치에서 멀티미디어를 처리할 수 있는 단말기로 발전되고 있다. 예를 들면, 게임이나 각종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단말기상에서 재생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노래방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노래방 콘텐츠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이동 단말기의 경우는 단순히 노래방 콘텐츠를 재생하면서 노래를 부르게 되어 있는데 이 과정에서 마이크는 사용하지 않고 노래방 콘텐츠를 재생(play-back)하면서 나오는 음악에 맞추어 노래를 따라 부르는 정도의 서비스에 불과하다.
또한 대부분의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자체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는 그 질이 조악하고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음성은 마이크를 통하지 않아 노래방 콘텐츠를 재생하여 나오는 음악과 별개로 듣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거의 만족을 주지 못하여 노래방 서비스나 이와 유사한 서비스가 그다지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접속 포트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음성 및 영상을 오디오나 TV를 포함한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하여 감상할 수 있고 기존 접속 포트의 규격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마이크 감도 조정도 복잡한 메뉴를 통하지 않고 사용자 편의적(user friendly)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TV 장치(16)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음성과 콘텐츠의 재생음이 합성된 합성음과 함께 플레이되는 동영상도 감상할 수 있으며, 카메라(132)에 의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비디오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9)에서 플레이되는 비디오를 오버레이시켜 출력하여 TV 장치(16)나 컴퓨터 모니터를 통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이동 단말기와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14로 참조되는 부분은 비디오 처리를 위한 부분으로 도면상에서는 CPU(110)와 별도로 표시하였으나 CPU(110)의 성능이 향상된다면 CPU(110)의 제어에 의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동 단말기(10)의 외부에 별도의 외부 장치로써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상의 이동 단말기(10)에 있어서,
마이크(100)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과 CPU(110)로부터의 콘텐츠 재생음을 입력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마이크 음성(Voice_Mic)을 바이패스시키거나 마이크 음성(Voice_Mic)과 콘텐츠의 재생음(Sound_Contents)을 합성한 합성음(Sound_synt)을 출력하는 음성 합성부(102);
오디오 장치(12)나 TV 장치(16)에 구비되는 아날로그 음성 입력 단자의 접지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접지 전압 신호에 응답하여 원 출력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키고 상기 음성 합성부(102)로부터 출력된 마이크 음성 또는 합성음을 출력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04); 및
이동 단말기(10) 측면에 구비된 볼륨 조절 스위치(106)를 사용하여 오디오 접속 모드로 전환되고 마이크(100)의 감도를 조절하는 제어부(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오디오 장치(12)나 TV 장치(16)에 구비되는 아날로그 음성 입력 단자의 접지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접지 전압 신호에 응답하여 원 출력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키는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기존 접속 포트의 규격과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TV 종류 및 폰 CPU(110) 성능을 고려하여 프레임 메모리를 할당하는 메모리 할당 제어부(142);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와 초당 프레임 수를 고려한 디코딩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동영상 파일을 적응적 디코딩하여 영상 프레임을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9);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9)로부터 출력된 영상 프레임을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144); 및
CPU(110) 성능과 사용자가 설정한 출력 TV 장치(16)의 주사선 정보를 기초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스캔하여 RGB 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 스캔부(14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통상의 카메라폰에 구비되는 카메라(132)와;
TV 종류 및 폰 CPU 성능을 고려하여 프레임 메모리를 할당하는 메모리 할당 제어부(142);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와 초당 프레임 수를 고려한 디코딩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동영상 파일을 적응적 디코딩하여 영상 프레임을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9);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9)로부터 출력된 영상 프레임과 카메라(132)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 프레임을 오버레이하는 비디오 오버레이부(140);
오버레이된 영상 프레임을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144);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스캔하여 RGB 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 스캔부(146); 및
RGB신호를 TV 신호로 변환하는 RGB-to-TV 변환부(148);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디오 오버레이부(140)는,
노래방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배경을 최하위 레이어로 위치시키고 그 상위에는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위치시키며, 자막 영상을 최상위로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블록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무선망을 통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상의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마이크(100)와, 마이크(100)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과 CPU(110)로부터의 콘텐츠 재생음을 입력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마이크 음성(Voice_Mic)을 바이패스시키거나 마이크 음성(Voice_Mic)과 콘텐츠의 재생음(Sound_Contents)을 합성한 합성음(Sound_synt)을 출력하는 음성 합성부(102);
오디오 장치(12)나 TV 장치(16)에 구비되는 아날로그 음성 입력 단자의 접지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접지 전압 신호에 응답하여 원 출력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키고 상기 음성 합성부(102)로부터 출력된 마이크 음성 또는 합성음을 출력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04); 및
이동 단말기(10) 측면에 구비된 볼륨 조절 스위치(106)를 사용하여 오디오 접속 모드로 전환되고 마이크(100)의 감도를 조절하는 제어부(108);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통상의 카메라폰에 구비되는 카메라(132)와;
TV 종류 및 폰 CPU(110) 성능을 고려하여 프레임 메모리를 할당하는 메모리 할당 제어부(142);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와 초당 프레임 수를 고려한 디코딩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동영상 파일을 적응적 디코딩하여 영상 프레임을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9)와;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9)로부터 출력된 영상 프레임과 카메라(132)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 프레임을 오버레이하는 비디오 오버레이부(140)와;
오버레이된 영상 프레임을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144)와;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스캔하여 RGB 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 스캔부(146); 및
RGB신호를 TV 신호로 변환하는 RGB-to-TV 변환부(148)을 구비한다.
여기서, 오디오 장치(12)나 TV 장치(16)에 구비되는 아날로그 음성 입력 단자는 콤포지트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경우 콤포지트 케이블의 외측은 접지 전압이 되는데 이 접지 전압은 이동 단말기의 접속 포트에 구비된 신호 핀중에서 하나의 입력핀에 접속되어 접지 전압을 스위칭부(104)에 공급하고 중심축 부분은 이동 단말기(10)의 접속 포트에 구비된 신호 핀중에서 하나의 출력핀에 접속되어 상기 스위칭부(104)로부터 출력된 마이크 음성 또는 합성음을 오디오 장치(12) 또는 TV 장치(16)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디오 오버레이부(140)는 노래방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배경을 최하위 레이어로 위치시키고 그 상위에는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위치시키며, 자막 영상을 최상위로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오버레이 처리된 영상은 노래방 배경 화면상에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위치하고 이러한 영상위에 자막이 위치함으로써 가장 이상적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08)에서 수행되는 오디오 출력 모드로의 전환 및 마이크 감도 제어 과정을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들이 CPU(110)에 의하여 읽혀져 실행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2에는 제어부(108)에서 수행되는 오디오 출력 모드로의 전환 및 마이크 감도 제어 과정을 흐름도로써 나타내었다.
먼저, 제어부(108)는 오디오 단자가 접속되었는지를 감지(단계 200)하여, 오디오 단자가 접속된 것으로 감지되면 오디오 출력 모드(단계 201a)로 들어가 CPU(110)에서 인에이블 신호(out_en)을 공급함으로써 음성 합성부(102)와 스위칭부(104)가 인에이블 상태로 천이되어 오디오 출력이 이루어진다. 오디오 단자가 접속되었는지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2)나 TV 장치(16)에 구비되는 아날로그 음성 입력 단자의 접지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접지 전압 신호를 감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스위칭부(104)에는 접속 포트의 해당 단자 고유의 기능, 예를들어 데이터 출력 신호(Tx)가 접속되어 스위칭부(104)가 인에이블 상태로 천이되었을 경우에는 바이패스된 마이크 음성(Voice_Mic) 또는 마이크 음성(Voice_Mic)과 콘텐츠의 재생음(Sound_Contents)이 합성된 합성음(Sound_synt)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위칭부(104)는 접속 포트의 고유 기능을 수행(단계 201b), 예를들어 데이터 출력 신호(Tx)를 출력하도록 스위칭된다.
또한, 비디오 처리부(14)는 카메라(132)에 의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비디오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9)에서 플레이되는 비디오를 오버레이시켜 출력하여 TV 장치(16)나 컴퓨터 모니터(미도시)를 통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비디오 처리부(14)의 세부 동작은 이후에 설명된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 측면에 구비된 볼륨 조절 스위치(106)가 눌리어졌는지를 체크(단계 202)하며, 볼륨 조절 스위치(106)가 눌리어지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일반 모드로 동작(단계 203)하고, 볼륨 조절 스위치(106)가 눌리어진 것으로 체크되면 눌리어진채로 소정 시간 이상이 경과하였는지를 체크(단계 204)한다.
다음으로, 단계(204)에서 볼륨 조절 스위치(106)가 눌리어진채로 소정 시간 미만, 예를 들어 3초가 경과하지 않았으면 원래의 기능인 버튼음 또는 수신음과 같은 음의 볼륨 조절을 수행(단계 205)하고, 단계(204)에서 볼륨 조절 스위치(106)가 눌리어진채로 소정 시간 이상, 예를들어 3초가 경과한 것으로 체크되면 CPU(110)는 마이크 감도 조절을 위한 버튼 누름으로 인식하면서 마이크 감도 조정 모드(단계 206)로 들어가 마이크 감도를 소정의 제1량, 본 실시예에서는 0.1dB씩 업/다운한다.
다음으로, 볼륨 조절 스위치(106)가 눌리어진채로 소정 시간 이상이 더 경과하였는지를 체크(단계 210)하여, 소정 시간 이상이 더 경과한 것으로 체크되면 고속 감도 조정 모드로 들어가 볼륨 조절 스위치(106)가 눌리어진 상태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마이크의 감도를 소정의 제2량, 바람직하게는 0.5dB씩 업 또는 다운시킨다(단계 212).
다음으로, 볼륨 조절 스위치(106)가 해제된 채로 소정 시간 이상이 더 경과하였는지를 체크(단계 214)하여, 소정 시간 이상이 더 경과한 것으로 체크되면 마이크 감도 조절을 완료한다(단계 216).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단계들(200 ~ 216)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들이 CPU(110)에 의하여 읽혀져 실행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내에서 수행되는 TV 종류 및 폰 CPU(110) 성능에 따른 프레임 메모리 할당 과정, 적응적 디코딩 과정, 및 프레임 메모리 스캔 과정을 흐름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기 설정 메뉴에서 출력 장치를 설정(단계 302)한다. 이 과정에서 출력 장치를 오디오만 선택하거나 LCD 또는 TV를 선택한다. 오디오만을 선택한 경우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과 같고, TV를 선택한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과정과 동시에 다음의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된다. 도 2의 과정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04307호에 개시된 과정과 동일하며 본 명세서에 참조로써 통합된다.
먼저, 사용자가 단계(302)에서 출력 장치로써 TV를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10)에 내장된 CPU(110)의 성능에 따라서 디코딩 프레임수를 일반적으로 초당 3 프레임, 15 프레임에서 25 프레임 이상까지 선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 할당 제어부(142)는 이동 단말기 설정에서 LCD를 선택하였는지 TV를 선택하였는지를 식별(단계 304)하여 TV를 선택한 것으로 식별되면 TV 종류 및 폰 CPU(110) 성능을 고려하여 프레임 메모리를 할당한다(단계 306). 하지만, 사용자가 단계(302)에서 출력 장치로써 이동 단말기의 LCD를 선택한 경우에는 고정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단계 326)하고, 통상의 디코딩(단계 330)하며, RGB 신호를 출력(단계 332)하여 LCD 디스플레이(단계 336)만을 처리한다.
한편, TV 출력 모드에서 무선 송수신부(184)는 안테나(182)를 통하여 콘텐츠를 수신하고,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9)는 단계(306)에서 할당된 프레임 메모리의 크기와 초당 프레임수를 고려한 디코딩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동영상 파일을 적응적 디코딩(단계 310)하여 영상 프레임을 출력하고, 프레임 메모리(144)는 영상 프레임을 저장한다. 적응적 디코딩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출력 TV의 사양과 사용자 이동 단말기의 CPU(110) 성능을 고려하여 결정된 매핑 테이블(186)을 기초로 한 디코딩 파라미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디코딩시 초당 프레임수가 결정되면 설정된 프레임수이상의 동영상 프레임에 해당하는 화면은 스킵할 수 도 있다. 디코딩 파라미터는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9)가 따르고 있는 규격, 예를 들어, MPEG-4, H.264, 또는 특정 자체 규격인 것에 따라 다양하므로 본원 발명의 핵심을 흐뜨러트리지 않는 범위내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가 출력 장치를 HD급의 TV를 선택한 경우에는 1024 ×768 도트 픽셀을 선택한다. SD급의 TV를 선택한 경우에는 CPU(110) 성능(CPU_Info)에 따라 640 ×480 이상에서 1024 ×768 도트 픽셀 미만을 할당한다. 또한, 아날로그 TV를 선택한 경우에는 CPU(110) 성능(CPU_Info)에 따라 640 ×480 미만의 도트 픽셀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프레임 메모리 스캔 과정(단계 312)에서는 할당된 프레임 메모리(144)에 저장된 RGB 도트 픽셀을 읽어들인다. 이 과정에서는 설정된 TV 해상도 정보를 참조하여 스캔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CPU(110) 성능 정보(CPU_Info)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의 CPU 성능이 우수하여 800 ×600 도트 픽셀이 할당되었고, 주사선수 정보(Res_Info)에 따르면 출력 장치로 NTSC 방식의 아날로그 TV가 선택된 경우에 메모리 스캔부(146)는 프레임 메모리(144)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수직 방향으로 600 라인을 모두 읽어들이지 않고 한 라인씩 건너뛰어 300 라인만을 읽어들여 RGB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디코딩된 영상의 도트 픽셀수가 결정되고 출력 장치 TV 장치(16)의 주사선(Res_Info)이 결정되면 디코딩된 영상의 도트 픽셀수의 수직 픽셀수와 출력 장치 TV 장치(16)의 유효 주사선수를 고려하여 일정 비율로 라인을 건너뛰어 표시하거나 이전 라인과 다음 라인의 평균값을 중간 라인의 데이터로 사용하여 채워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기의 CPU(110) 성능이 우수하여 800 ×600 도트 픽셀이 할당되었고, 이동 단말기 설정에서 사용자가 출력 장치를 720p 주사선에 대응되는 SD급의 아날로그 TV로 선택한 경우에 메모리 스캔부(146)가 프레임 메모리(144)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수직 방향으로 600 라인을 모두 읽어들여 720p 주사선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RGB 신호를 위한 프레임 영상의 수직 해상도 600은 720 라인에 비하여 120 라인만큼 적다. 따라서, 600 / 120 = 5 라인을 채워 넣은후 5 번째 라인에 해당하는 픽셀과 6번째 라인에 해당하는 픽셀의 평균값을 각각의 픽셀값으로 설정하여 6 번째 라인을 구성하여 RGB 신호를 출력한다. 일반화하면, RGB 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프레임 영상의 수직 해상도를 M이라 하고, TV의 수직 방향 주사선수를 N이라 할 때, 라인 마다 이전 라인과 다음 라인의 픽셀값의 평균에 해당하는 픽셀값을 새로운 픽셀값으로 설정하여 +1 번째 라인을 구성한다. 라인 구성이 완료되면 RGB-to-TV 변환부(148)는 RGB 신호를 TV 신호로 변환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유효 주사선수의 개념을 고려하지 않았으나 실제로는 유효 주사선수에 따라 적절히 변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의 CPU(110) 성능이 우수하여 800 ×600 도트 픽셀이 할당되었고, 이동 단말기 설정에서 사용자가 출력 장치를 1080i 주사선에 대응되는 HD급의 아날로그 TV로 선택한 경우에 메모리 스캔부(146)가 프레임 메모리(144)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수직 방향으로 600 라인을 모두 읽어들여 1080i 주사선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RGB 신호를 위한 프레임 영상의 수직 해상도 600은 1080 라인에 비하여 480 라인만큼 적다. 따라서, 600 / 480 = 1.25 라인이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1 라인후 1/4 라인만큼의 차이가 있으므로, 1 번째 라인은 그대로 TV 신호로 변환할 1 번째 라인으로 사용하고 TV 신호로 변환할 2 번째 라인의 신호는 RGB 신호측의 1 번째 라인과 2 번째 라인의 평균값을, 3 번째 라인의 신호는 RGB 신호측의 2 번째 라인을 그대로 TV 신호로 변환할 신호로 사용하며, 4 번째 라인의 신호는 RGB 신호측의 2 번째 라인과 3 번째 라인의 평균값을 TV 신호로 변환할 신호로 사용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규칙으로 지속할 경우 1 라인후 1/4 라인만큼의 차이가 있으므로, 4 라인을 교번적으로 적용한 후에는 TV 출력 신호로 사용한 라인과 5 번째 라인의 평균값을 다음번 TV 출력 신호로 사용할 라인을 설정한다.
한편, CPU(110)의 성능이 우수하여 800 ×600 도트 픽셀이 할당되었는데, 만일 사용자가 출력 장치로 NTSC 방식의 아날로그 TV를 선택한 경우에는 수직 방향으로 600 라인을 모두 읽어들일 필요가 없으므로 한 라인씩 건너뛰어 300 라인만을 읽어들여 TV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디코딩의 효율이 낮으므로 800 ×600 도트 픽셀을 할당하지 않고 640 ×480 도트 픽셀 이하로 할당하고 대신에 프레임수를 높게 디코딩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링크하고자 하는 TV가 RGB 입력을 지원하는 TV인지 판단(단계 313)하여 선택적으로 RGB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여 RGB 신호를 TV 링크(단계 318)하거나 RGB 신호를 TV 신호로 변환하여 TV 신호를 링크(단계 316)한다. 즉, 메모리 스캔부(146)는 CPU(110) 성능과 사용자가 설정한 출력 TV의 주사선 정보(Res_Info)를 기초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스캔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의 경우,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사용자 설정 및 CPU 성능에 따라 동영상 파일을 ISP 서버로부터 적응적으로 다운로드 받는다. 즉, 사용자의 단말기 CPU(110)의 성능 또는 출력 TV의 사양이 낮은 경우에는 프레임수 및/또는 해상도가 낮은 파일을 선택하여 전송하며 사용자의 단말기 CPU(110)와 출력 TV의 사양이 높은 경우에는 프레임수와 해상도가 높은 파일을 적응적으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용 상태도에서와 같이 이동 단말기(40)에 구비된 마이크(402)와 상기 이동 단말기(40)의 접속 포트(404)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음성 또는 사용자의 음성과 콘텐츠의 재생음이 합성된 합성음을 오디오(410)를 통하여 감상할 수 있고, 특히 이동 단말기(40)의 측면에 구비된 볼륨 스위치(406)의 조작만으로도 오디오(410)를 포함한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하여 감상하는 모드로 신속히 이동 및 마이크의 감도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접속 포트의 규격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마이크 감도 조정도 복잡한 메뉴를 통하지 않고 사용자 편의적(user friendly)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TV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음성과 콘텐츠의 재생음이 합성된 합성음과 함께 플레이되는 동영상도 감상할 수 있으며, 카메라(132)에 의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비디오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9)에서 플레이되는 비디오를 오버레이시켜 출력하여 TV나 컴퓨터 모니터를 통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이동 단말기과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14로 참조되는 부분은 비디오 처리를 위한 부분으로 도면상에서는 CPU(110)와 별도로 표시하였으나 CPU(110)의 성능이 향상된다면 CPU(110)의 제어에 의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동 단말기(10)의 외부에 별도의 외부 장치로써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 장치를 통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를 감상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는 마이크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접속 포트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음성 또는 사용자의 음성과 콘텐츠의 재생음이 합성된 합성음을 오디오를 통하여 감상할 수 있고, 특히 이동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된 볼륨 스위치의 조작만으로도 오디오나 TV를 포함한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하여 감상하는 모드로 신속히 이동 및 마이크의 감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TV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음성과 콘텐츠의 재생음이 합성된 합성음과 함께 플레이되는 동영상도 감상할 수 있으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비디오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서 플레이되는 비디오를 오버레이시켜 출력하여 TV나 컴퓨터 모니터를 통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이동 단말기과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기존 접속 포트의 규격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마이크 감도 조정도 복잡한 메뉴를 통하지 않고 사용자 편의적(user friendly)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제어부(108)에서 수행되는 오디오 출력 모드로의 전환 및 마이크 감도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에서 TV 출력 모드의 제어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용 상태도.

Claims (4)

  1.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상의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마이크(100)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과 CPU(110)로부터의 콘텐츠 재생음을 입력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마이크 음성(Voice_Mic)을 바이패스시키거나 마이크 음성(Voice_Mic)과 콘텐츠의 재생음(Sound_Contents)을 합성한 합성음(Sound_synt)을 출력하는 음성 합성부(102);
    오디오 장치(12)나 TV 장치(16)에 구비되는 아날로그 음성 입력 단자의 접지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접지 전압 신호에 응답하여 원 출력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키고 상기 음성 합성부(102)로부터 출력된 마이크 음성 또는 합성음을 출력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04); 및
    이동 단말기 측면에 구비된 볼륨 조절 스위치(106)를 사용하여 오디오 접속 모드로 전환되고 마이크(100)의 감도를 조절하는 제어부(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 장치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8)는,
    이동 단말기 측면에 구비된 볼륨 조절 스위치(106)가 눌리어졌는지를 체크(단계 202)하며, 볼륨 조절 스위치(106)가 눌리어진 것으로 체크되면 눌리어진 채로 소정 시간 이상이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하는 단계(단계 204);
    단계(204)에서 볼륨 조절 스위치(106)가 눌리어진채로 소정 시간 이상, 예를들어 3초가 경과한 것으로 체크되면 CPU(110)는 마이크 감도 조절을 위한 버튼 누름으로 인식하면서 마이크 감도 조정 모드(단계 206)로 들어가 마이크 감도를 소정의 제1량씩 업/다운시키는 단계(단계 206);
    볼륨 조절 스위치(106)가 눌리어진채로 소정 시간 이상이 더 경과하였는지를 체크(단계 210)하여, 소정 시간 이상이 더 경과한 것으로 체크되면 볼륨 조절 스위치(106)가 눌리어진 상태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마이크의 감도를 소정의 제2량씩 업 또는 다운시키는 단계(단계 212);
    볼륨 조절 스위치(106)가 해제된 채로 소정 시간 이상이 더 경과하였는지를 체크(단계 214)하여, 소정 시간 이상이 더 경과한 것으로 체크되면 마이크 감도 조절을 완료하는 단계(단계 216);를 포함하는 단계들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들이 CPU(110)에 의하여 읽혀져 실행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 장치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통상의 카메라폰에 구비되는 카메라(132)와;
    TV 종류 및 폰 CPU(110) 성능을 고려하여 프레임 메모리를 할당하는 메모리 할당 제어부(142);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와 초당 프레임 수를 고려한 디코딩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동영상 파일을 적응적 디코딩하여 영상 프레임을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9);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09)로부터 출력된 영상 프레임과 카메라(132)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 프레임을 오버레이하는 비디오 오버레이부(140);
    오버레이된 영상 프레임을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144);
    프레임 메모리(144)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스캔하여 RGB 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 스캔부(146); 및
    RGB신호를 TV 신호로 변환하는 RGB-to-TV 변환부(14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 장치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오버레이부(140)는,
    노래방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배경을 최하위 레이어로 위치시키고 그 상위에는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위치시키며, 자막 영상을 최상위로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 장치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기.
KR1020040017903A 2004-03-17 2004-03-17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 장치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기 KR100666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903A KR100666231B1 (ko) 2004-03-17 2004-03-17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 장치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903A KR100666231B1 (ko) 2004-03-17 2004-03-17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 장치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811A true KR20050092811A (ko) 2005-09-23
KR100666231B1 KR100666231B1 (ko) 2007-01-09

Family

ID=37273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903A KR100666231B1 (ko) 2004-03-17 2004-03-17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 장치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2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515B1 (ko) * 2004-11-24 2006-12-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노래방 서비스 장치 및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533A (ko) * 2000-01-26 2001-08-16 강원희 휴대전화 단말기의 노래방 기능 구현 및 사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515B1 (ko) * 2004-11-24 2006-12-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노래방 서비스 장치 및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231B1 (ko) 200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3472B2 (ja) 携帯情報端末
US76828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strument playing service
JP2010109614A (ja) 録音装置
CN101272570A (zh) 一种实现网络卡拉ok的方法及便携式设备
JP2012075039A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5850265A (en) Intelligent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rein
US7974513B2 (en) Optical disk player
JP4289153B2 (ja) 移動体通信装置、移動体通信装置の表示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4795001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装置
KR100666231B1 (ko)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 장치에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기
JP4369400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
KR101000720B1 (ko) 오디오신호 출력레벨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무선 노래반주기
KR100518125B1 (ko)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을 다양한 규격의 티브이로 감상하기위한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1143164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동영상 촬영 시 오디오 입력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15015728A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4406583B2 (ja) 携帯通信端末
KR100680914B1 (ko) 텔레비전 방송의 녹화/재생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이를 이용한 방송 녹화/재생 방법
KR10076263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미디어데이터 생성 및 디스플레이 방법
JP2005151067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再生方法
EP2051240A1 (en) Wireless music accompaniment apparatus having control function of audio signal output level
KR100615678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음원 재생 방법
KR0147585B1 (ko) 자동응답기능을 수행하는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 및 그 수행방법
KR20050093660A (ko)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처리방법
KR100654995B1 (ko) 오디오 신호의 선택적 출력을 위한 텔레비젼 수상기 및 방법
KR20060017982A (ko) 티브이 녹화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