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884A -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884A
KR20050090884A KR1020040016187A KR20040016187A KR20050090884A KR 20050090884 A KR20050090884 A KR 20050090884A KR 1020040016187 A KR1020040016187 A KR 1020040016187A KR 20040016187 A KR20040016187 A KR 20040016187A KR 20050090884 A KR20050090884 A KR 20050090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image
fingerprint input
mobile devic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5144B1 (ko
Inventor
김현
서영진
안종우
이승민
홍사향
이태헌
곽병기
Original Assignee
씨큐트로닉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큐트로닉스 (주) filed Critical 씨큐트로닉스 (주)
Priority to KR1020040016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144B1/ko
Priority to EP04774586A priority patent/EP1723577A1/en
Priority to US10/591,853 priority patent/US7403271B2/en
Priority to CNB200480042380XA priority patent/CN100440245C/zh
Priority to PCT/KR2004/002327 priority patent/WO2005086077A1/en
Priority to JP2007501700A priority patent/JP2007527069A/ja
Publication of KR20050090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1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24Sensors therefor by using geometrical optics, e.g. using pr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문입력 장치는 판형태로 이루어진 지문접촉 부재와 왜곡을 보정하는 왜곡보정 부재 그리고 상기 지문접촉 부재에서 경사면과는 다른 양 측면에 각각 배열된 광원 또는 액정표시소자내의 백라이트 광원 및 상기 왜곡보정 부재의 경사면 측에 설치되어 있는 포커싱수단과, 이미지센서로 구성된다. 즉, 각기 설정된 경사각을 가지는 지문접촉 부재와 왜곡보정 부재를 두어 땀(물) 또는 기름을 구분함은 물론, 얇은 지문접촉 매질을 사용하였을 경우의 단점이었던 사다리형 왜곡을 보정하고, 실리더리컬 렌즈와 구면 렌즈로 구성된 렌즈계를 형성하여 이미지의 가로/세로 비율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광학 지문입력 장치가 얇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지문인증에 필요한 정보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사용하는 이미지센서의 영역을 설계에 따라 설정할 수 있어, 고해상도 지문정보 취득이 가능하다. 또한, 얇은 두께의 광학 지문입력 장치의 구현이 가능함에 따라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며 기존의 비밀번호에 의한 보안기능을 지문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어 보안성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 {Fingerprint recognition apparatus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기기에 적용이 가능한 광학 지문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얇으면서도 이미지에 왜곡이 없고 해상도가 높은 지문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광학 지문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생체정보 중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으로는 손가락의 지문부위를 종이에 찍은 후 스캐너나 카메라와 같은 화상 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간접적인 방법과 광학적인 방법, 그리고 전기장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비광학적인 방법이 있다.
이중 가장 효율적이면서 보편화된 방법이 광학적인 방법으로, 광학적으로 지문을 입력하는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의 지문부위에 빛을 비추는 광원(1)과, 이 광원(1)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2)과, 프리즘(3)과, 프리즘의 지문 채취면(3-a)에 형성되는 지문을 결상(結像)하는 렌즈(4)와, 렌즈(4)에 결상된 지문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Image Sensor)(5)로 구성된다.
이러한 광학 지문입력 장치는 프리즘(3)의 지문접촉면(3-a)에 손가락의 지문부위를 접촉시키면 광원(1)의 빛이 지문의 골과 융선에서 반사와 흡수되고 이 중 반사된 빛이 프리즘(3)으로 입사되어 렌즈(4)에 결상되며 렌즈(4)에 결상된 빛이 이미지센서(5)로 입사됨으로써, 지문의 영상을 입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광학 지문입력 장치는, 프리즘의 두께로 인해 기구의 소형화에 제한을 받게 되는 바, 다른 기기와 일체로 구성하기가 곤란하였다.
이에, 프리즘을 얇은 판 형태로 만들 경우 그 두께가 얇을수록 경사면의 각도가 커지면서 이와 비례하여 지문영상의 사다리꼴 왜곡이 심해지므로, 특히 휴대폰과 같이 경박단소화가 중요시되는 모바일기기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폰에 적용시 통화에 따른 손 또는 얼굴의 기름이 지문접촉 부재에 묻게 되는데 이 경우, 기름정보와 지문정보가 구분이 되지 않아 지문인증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땀(물) 또는 기름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지문영상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어 모바일기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지문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지문입력 장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서 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상측에 지문영상을 입사받기 위한 입사면과 이 입사면과 접하는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지문입력 부재와,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서 상자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문입력 부재의 경사면에 대향되는 입사면과 이 입사면의 반대측으로 상기 지문입력 부재의 경사면에 대해 역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왜곡보정 부재와, 상기 왜곡보정 부재의 경사면으로부터 투과되어 나오는 지문영상을 결상하는 결상부와, 상기 결상부를 통해 결상된 지문영상을 입력받아 입력영상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결상부가, 영상의 어느 한쪽 방향 길이를 축소/확대하는 실린더리컬 렌즈 및, 영상을 결상하는 구면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문입력 부재가, 모바일기기의 액정표시소자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모바일기기의 표시장치와 일체화함과 더불어 광원으로서 상기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모듈을 공용으로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결상부로부터 투과되어 나오는 지문영상을 차단함과 동시에 모바일기기의 타측으로부터 입력되는 다른 영상이 상기 이미지 센서로 입력되도록 하는 반사부재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반사부재를 상기 결상부와 상기 이미지센서 간의 광경로를 차단하는 지점과 상기 광경로를 차단하지 않는 지점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지문입력과 모바일기기의 카메라 용으로 공용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의 개략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는, 상기 지문입력 부재(10)와 광원(20)과 왜곡보정 부재(30)와 제1 및 제2 반사부재(40, 41)와 결상부(50)와 이미지센서(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문입력 부재(10)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예컨대,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을 판형태로 얇게 가공하고 손가락(F)의 지문영상을 상측의 입사면(11)과 이 입사면(11)에 접하는 일측에 제1 설정각도(α)로 경사를 준 경사면(1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문입력 부재(10)의 경사면(12)측 각도(α)는 경사면으로부터 투과되어 나오는 지문영상이 땀(물) 또는 기름 등의 노이즈가 구분된 지문이미지만 나오도록 설정된다.
상기 광원(20)은 지문입력 부재(10)의 입사면(11)을 향해 빛을 고르게 발산하는 것으로서, 모바일기기에서 액정표시소자용으로 사용되는 백라이트 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모바일기기의 액정표시소자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모바일기기의 표시장치와 일체화함과 더불어 광원으로서 상기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모듈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3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모듈과는 별개로 지문입력 부재(10)의 양측면에 복수개의 점(點)광원(21a~21d)을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왜곡보정 부재(30)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예컨대, 유리, 플라스틱 등)로서 상자형태로 이루어지고 지문입력 부재(10)의 경사면(12)에 대향되는 입사면(31)과 이 입사면(31)의 반대측으로 제2 설정각도(β)로 경사진 경사면(3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왜곡보정 부재(30)의 경사면(32) 측 경사방향은 지문입력 부재(10)의 경사면(12)의 경사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지문입력 부재(10)의 경사면(12)으로부터 투과되어 나오는 지문영상의 사다리꼴 왜곡을 보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반사부재(41, 42)는 왜곡보정 부재(30)의 경사면(32)으로부터 투과되어 나오는 지문영상 즉, 빛의 진행방향을 전환한다.
상기 결상부(50)는 영상의 어느 한쪽 방향 길이를 축소/확대하는 실린더리컬 렌즈(Cylinderical Lens)(51)와 영상을 결상하는 구면 렌즈(52)를 모듈화한 것이다.
참고적으로, 상기 실린더리컬 렌즈(51)는 원통형의 렌즈를 종축방향으로 절단한 형태를 갖는 렌즈로서, 그 배열 방향에 따라 영상의 어느 한쪽 방향 길이를 축소/확대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왜곡보정 부재(30)를 투과하여 나온 지문 영상의 가로방향을 축소하거나, 세로방향을 확대하도록 실린더리컬 렌즈(51)가 배열된다.
즉, 손가락의 지문은 가로방향으로 길고 세로방향은 상대적으로 좁은 형태를 갖는데, 이와 같이 가로/세로비가 다른 지문 영상이 그대로 이미지센서(60)에 입력될 경우, 이미지센서(60)의 촬상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지문영상이 입력되지 않는 공백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이미지센서(60)의 촬상면에 발생하는 공백은 이용되지 않는 공간이 되는데, 대개의 이미지센서(60)는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반도체 소자는 단위면적당 제조비용이 매우 비싼 특징이 있어, 이용되지 않는 촬상면은 큰 낭비요소가 된다.
다른 한편, 가로/세로비가 다른 지문 영상이 그대로 이미지센서(60)로 입력될 경우, 지문 정보영역을 받아들이는 이미지센서의 픽셀 수가 적어지므로 지문 정보의 분해능이 저하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실린더리컬 렌즈(51)를 이용하여 지문 영상을 가로방향으로 축소하거나, 세로방향으로 확장시켜 이미지센서(60)의 촬상면에 가득차게 영상이 입력되도록 하였다.
상기 이미지센서(60)는 상기 결상부(50)를 통해 결상된 지문영상을 입력받아 입력영상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센서(60)로는 상보성금속산화막(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방식의 촬상소자이거나 고체촬상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등이 이용될 수 있는데, 이중 상보성금속산화막 방식의 촬상소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장치에서, 지문입력 부재(10)에 의해 땀(물) 또는 기름이 구분되는 작용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빛이 입사되는 매질의 굴절률이 투과되는 매질의 굴절률보다 클 경우 도 4에서 광경로 1을 따라 굴절되어 나아간다. 그러나 입사각 θi가 임의의 각 이후는 매질 밖으로 굴절되어 투과되는 빛이 없어진다. 이 현상을 내부전반사가 되었다고 하고, 이때의 각도를 임계각이라고 하며 경계면을 이루는 두 매질의 굴절률에 의해 결정된다.
임계각은 굴절각인 θt = 90°일 때의 입사각 θi를 말하며, 하기의 수학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넬의 법칙(Snell's law)에 의한 공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수학식 1에서 ni는 입사되는 매질의 굴절률, nt는 투과되는 매질의 굴절률, θi는 입사각, 그리고 θt는 투과각(또는 굴절각이라고도 함)이다. 즉, 굴절률이 다른 매질 내에서 빛의 진행은 스넬의 법칙에 의해 그 최대각도가 결정된다. 도 5와 같이 지문접촉 매질에 땀이나 기름이 묻은 손가락을 접촉시 지문의 골(V)부분에서는 빛이 반사가 없고, 융선(R)에서는 반사가 되어 광경로 ③을 따라 지문정보가 진행한다. 그리고 땀(M) 또는 기름(M)에서 반사된 빛은 스넬의 법칙에 의해 광경로 ②로 진행하며, 이때 광경로 ②보다 큰 각도로는 진행하지 못한다. 따라서 광경로 ③을 따르는 지문정보만을 받아들인다면 땀 또는 기름에 의한 잔상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지문입력 부재(10)의 경사면(12)측, 설정각도(α)는 상기 광경로 ③을 따르는 지문정보만이 이미지센서로 입사되도록 설정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장치에서, 지문입력 부재(10)에 의해 사다리꼴로 왜곡된 지문 이미지가 왜곡보정부재(30)에 의해 보정되는 작용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의 선분 ㉠'㉡'이 광축에 대해 렌즈와 이루는 거리가 다르면 렌즈를 통과한 이미지는 선분 ㉠"㉡"으로 사다리형 왜곡을 형성하며 결상된다.
이 사다리형 왜곡은 물체와 광축이 이루는 각이 작아질수록 커진다. 즉, 지문입력 부재(10)의 두께가 얇아지기 위해서는 이 각이 작아질 수밖에 없고, 그 만큼 사다리형 왜곡이 커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세로길이에 비해 가로길이가 긴 사다리형 이미지가 된다.
이 지문이미지는 왜곡보정 부재(30)를 통과하면서 사다리형 왜곡이 보정되는데, 이에 대한 원리는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입력 부재의 입사면에 놓인 물체의 선분 ㉠㉡은 관찰자에게 선분 ㉠'㉡'의 위치에 있는 것처럼 보이며, 프리즘 내에 생긴 물체를 허상이라고 하자.
이러한 허상이 생기는 위치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속에 물체가 있고, 공기 중에 관찰자가 있다면, 그 물체의 위치는 실제 깊이보다 떠 보이게 되고, 반대로 물속에서 보는 공기 중의 물체는 실제 위치보다 더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또한, 물체의 위치는 관찰자와 수면이 이루는 각도 및 두 매질의 굴절률에도 영향을 받는다. 이와 같은 점을 이용하여 왜곡 보정 부재(30)의 두께, 각도, 굴절률의 설정에 따라 사다리형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허상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도 9와 같이 매질의 경계면으로부터 s의 깊이에 있는 물체(Q)는 경계면 밖에서 보는 관찰자에게는 s'의 위치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굴절되는 빛의 경로와 광축이 이루는 각도를 φ라 하고 허상(Q')의 광경로와 광축이 이루는 각도를 φ'라 하면, 이때 허상(Q')의 위치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2의 (1)에 Snell's law를 대입하면 다음의 수학식 3이 유도되고, 허상(Q')이 매질의 경계면과 이루는 거리 s'이 나온다.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서 지문영상의 입사면 즉, 지문입력 부재(10)의 입사면(11)이 이미지센서(60)에 대해 수직된 광축에 놓이지 않아도 왜곡보정 부재(30)에 의한 굴절률 및 허상의 위치를 고려하여 왜곡보정 부재(30)의 경사면(32)에 대한 경사각도(β)를 설정하는 것으로, 지문이미지의 허상이 광축과 수직으로 위치하게 되어 사다리형 왜곡을 없앨 수 있다.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광학 지문입력 장치를 휴대폰에 적용한 예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 10에서, 지문입력 부재(10)와 광원(20)과 왜곡보정 부재(30)와 제1 및 제2 반사부재(40, 41)와 결상부(50)와 이미지센서(60)를 휴대폰(H) 본체 내에 내장하되, 지문입력 부재(10)를 휴대폰(H)의 액정표시소자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그 광원으로서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모듈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액정표시소자의 보호창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지문입력 부재(10)가 액정표시소자의 보호창을 겸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지문입력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H)의 액정표시소자를 통해 일반적인 휴대폰의 기능을 표시하고, 지문입력 기능을 사용할 경우는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소자 상에 지문입력 부재(10)의 지문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에 대응하는 지문입력창(FIW)을 표시하여 손가락(F)의 지문부위를 갖다대도록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지문입력창(FIW)은, 왜곡보정 부재(30)와 제1 및 제2 반사부재(40, 41)의 설치 위치에 따라, 지문입력 부재(10)의 면적 내에서 좌하단, 우하단, 중간부위, 좌상단, 우상단 등 그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지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문입력 부재(10)를 액정표시소자의 상부에 배치하여 일체화하면, 겉으로는 지문입력 장치가 내장된 것을 알 수 없어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접촉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3의 (a) 및 (b)는 도 12의 (a) 및 (b)에 도시한 광학 지문접촉 장치를 휴대폰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접촉 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를 응용한 것으로, 하나의 이미지센서(60)를 통해 휴대폰의 카메라 기능과 지문입력 장치의 지문입력 기능을 공용화한 것이다.
즉, 결상부(50)와 이미지센서(60)의 사이에, 휴대폰 카메라용 영상 입력모듈(100)과,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영상 입력모듈(100)을 결상부(50)와 이미지센서(60) 간의 광경로를 차단하는 지점과 상기 광경로를 차단하지 않는 지점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영상 입력모듈(100)은 지문입력부재(10)와는 다른 방향에서 입력되는 영상(AI)의 경로를 전환하기위한 반사부재(110)와 영상을 결상하기 위한 렌즈모듈(120)을 일체화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도 12의 (a) 및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상부(50)와 이미지센서(60) 간의 광경로를 차단하지 않는 지점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이용자가 휴대폰용 카메라를 사용하고자 휴대폰(H)의 키패널 등을 조작하면 이동수단에 의해, 도 12의 (b) 및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입력모듈(100)이 결상부(50)와 이미지센서(60) 간의 광경로를 차단하는 지점으로 이동하는 바, 지문입력부재(10)와는 다른 방향에서 입력되는 영상(AI)이 영상 입력모듈(100)을 통해 이미지센서(60)로 입력된다. 즉, 이미지센서(60)가 휴대폰 카메라용으로 사용되게 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 도 1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접촉 장치의 개략도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접촉 장치는, 상기한 도 12 및 도 13의 장치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이미지센서(60)를 통해 휴대폰의 카메라 기능과 지문입력 장치의 지문입력 기능을 공용화한 것인데, 차이점은 휴대폰카메라용의 반사부재(210)와 휴대폰카메라용의 렌즈모듈(220)을 분리한 것으로, 렌즈모듈(220)은 고정하고 반사부재(210)를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기 설정된 경사각을 가지는 지문접촉 부재와 왜곡보정 부재를 두어 광학 지문입력 장치가 얇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사다리형 왜곡을 보정하고, 실리더리컬 렌즈와 구면 렌즈로 구성된 렌즈계를 형성하여 이미지의 가로/세로 비율을 조정한 것이다. 또한, 지문접촉 부재의 설정각도를 통해, 휴대폰에 적용시 지문접촉면에 묻게 되는 땀(물) 또는 기름에 의한 노이즈가 제거된 지문이미지만을 얻도록 하였다.
이로써 얇은 두께의 광학 지문입력 장치의 단점을 해결하여 지문인증에 필요한 정보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사용하는 이미지센서의 영역을 설계에 따라 설정할 수 있어, 고해상도 지문정보 취득이 가능하다.
또한, 얇은 두께의 광학 지문입력 장치의 구현이 가능함에 따라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며 기존의 비밀번호에 의한 보안기능을 지문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어 보안성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의 이미지센서를 이용하여 지문입력과 휴대폰 카메라를 함께 사용할 수 있어, 휴대폰 단말기의 부피를 줄이고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학 지문입력 장치에 대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의 개략도,
도 3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된 지문입력 부재에 대한 광원의 다른 설치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이종의 매질 경계면에서 생기는 빛의 굴절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땀(물) 또는 기름이 구분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사다리형 왜곡의 형성 원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프리즘 내에 생성되는 허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및 8b는 허상의 형성 원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허상이 생성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광학 지문입력 장치를 휴대폰에 적용한 예를 보인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에서 휴대폰의 액정표시장치를 통해 휴대폰 고유의 표시기능과 지문입력 기능을 함께 구현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접촉 장치의 개략도,
도 13의 (a) 및 (b)는 도 12의 (a) 및 (b)에 도시한 광학 지문접촉 장치를 휴대폰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접촉 장치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문입력부재 20: 광원
30: 왜곡보정 부재 40, 41: 반사부재
50: 결상부 60: 이미지센서

Claims (7)

  1.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에 있어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서 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상측에 지문영상을 입사받기 위한 입사면과 이 입사면과 접하는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지문입력 부재와,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서 상자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문입력 부재의 경사면에 대향되는 입사면과 이 입사면의 반대측으로 상기 지문입력 부재의 경사면에 대해 역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왜곡보정 부재와,
    상기 왜곡보정 부재의 경사면으로부터 투과되어 나오는 지문영상을 결상하는 결상부와,
    상기 결상부를 통해 결상된 지문영상을 입력받아 입력영상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부는, 영상의 어느 한쪽 방향 길이를 축소/확대하는 실린더리컬 렌즈 및, 영상을 결상하는 구면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
  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부는, 빛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입력 부재는, 모바일기기의 액정표시소자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모바일기기의 표시장치와 일체화함과 더불어 광원으로서 상기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모듈을 공용으로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입력 부재의 경사면 각도는, 땀(물) 또는 기름을 구분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부로부터 투과되어 나오는 지문영상을 차단함과 동시에 모바일기기의 타측으로부터 입사되는 다른 영상이 상기 이미지 센서로 입력되도록 하는 반사부재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반사부재를 상기 결상부와 상기 이미지센서 간의 광경로를 차단하는 지점과 상기 광경로를 차단하지 않는 지점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지문입력과 모바일기기의 카메라 용으로 공용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모바일기기의 타측으로부터 입력되는 다른 영상을 결상하는 렌즈모듈과 일체로 구성하여,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반사부재와 상기 렌즈모듈이 함께 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
KR1020040016187A 2004-03-10 2004-03-10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 KR100575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187A KR100575144B1 (ko) 2004-03-10 2004-03-10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
EP04774586A EP1723577A1 (en) 2004-03-10 2004-09-14 Optical finger print input device for mobile apparatus
US10/591,853 US7403271B2 (en) 2004-03-10 2004-09-14 Optical finger print input device for mobile apparatus
CNB200480042380XA CN100440245C (zh) 2004-03-10 2004-09-14 用于移动设备的光学指纹输入装置
PCT/KR2004/002327 WO2005086077A1 (en) 2004-03-10 2004-09-14 Optical finger print input device for mobile apparatus
JP2007501700A JP2007527069A (ja) 2004-03-10 2004-09-14 モバイル機器用光学指紋入力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187A KR100575144B1 (ko) 2004-03-10 2004-03-10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884A true KR20050090884A (ko) 2005-09-14
KR100575144B1 KR100575144B1 (ko) 2006-04-28

Family

ID=34918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187A KR100575144B1 (ko) 2004-03-10 2004-03-10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03271B2 (ko)
EP (1) EP1723577A1 (ko)
JP (1) JP2007527069A (ko)
KR (1) KR100575144B1 (ko)
CN (1) CN100440245C (ko)
WO (1) WO200508607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333B1 (ko) * 2014-02-05 2015-02-13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CN111008593A (zh) * 2019-03-04 2020-04-1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指纹辨识装置
CN111357010A (zh) * 2019-06-28 2020-06-3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屏下光学指纹传感器的增强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3346A1 (en) * 2006-01-05 2007-07-05 Peng-Chia Kuo Planar Light Source Module for Fingerprint Recognition Apparatus
US20080239285A1 (en) * 2007-03-30 2008-10-02 Chuan Liang Industrial Co., Ltd.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KR100879381B1 (ko) * 2007-06-04 2009-01-20 테스텍 주식회사 프리즘을 이용한 광학식 지문획득장치
US8406736B2 (en) * 2008-12-30 2013-03-26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locating wireless devices that are being operated by unauthorized users
JP2011114506A (ja) * 2009-11-26 2011-06-09 Funai Electric Co Ltd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JP5080660B2 (ja) * 2011-01-05 2012-11-21 エイエスディ株式会社 指紋読取りセンサ
TWI472962B (zh) * 2011-11-17 2015-02-11 Pixart Imaging Inc 輸入裝置
JP6257252B2 (ja) 2012-10-04 2018-01-10 アイビー コリア リミテッドIB Korea Ltd. 隆起紋様の抗ショック読取
US9228824B2 (en) 2013-05-10 2016-01-05 Ib Korea Ltd. Combined sensor arrays for relief print imaging
WO2015068900A1 (ko) * 2013-11-08 2015-05-14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KR101479609B1 (ko) * 2014-02-26 2015-01-12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WO2015157423A1 (en) 2014-04-10 2015-10-15 Ib Korea Ltd. Biometric sensor for touch-enabled device
US9582117B2 (en) 2014-04-28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Pressure, rotation and stylus functionality for interactive display screens
US10116868B2 (en) * 2014-04-28 2018-10-30 Qualcomm Incorporated Display-integrated user-classification, security and fingerprint system
CN104077586B (zh) * 2014-06-20 2017-12-12 深圳百佳安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光学指纹传感器的实时梯形失真校正方法及其系统
US10726235B2 (en) * 2014-12-01 2020-07-28 Zkteco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multimodal biometric information
CN105809756A (zh) * 2014-12-31 2016-07-27 青岛中科软件股份有限公司 智能考勤装置
CN106156694B (zh) * 2015-03-27 2021-09-17 深圳印象认知技术有限公司 图像采集器支架部件及图像采集器
CN107609540B (zh) * 2015-10-19 2024-01-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指纹传感器的校准参数的获取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180023097A (ko) 2016-08-23 2018-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282346A (zh) * 2017-03-29 2021-08-20 上海耕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指纹识别控制应用程序的方法、装置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8162A3 (en) 1987-09-15 1990-06-06 Identix Incorporated Optical system for fingerprint imaging
KR930005570B1 (ko) * 1989-11-13 1993-06-23 주식회사 금성사 홀로그램(hologram)을 이용한 지문인식장치
JPH056423A (ja) * 1991-01-29 1993-01-14 Chinon Ind Inc 画像読取装置
US5629764A (en) * 1995-07-07 1997-05-13 Advanced Precision Technology, Inc. Prism fingerprint sensor using a holographic optical element
CN2318977Y (zh) * 1998-01-20 1999-05-19 海南通霸实业发展公司 一种无离焦无畸变指纹采集仪
KR20040042727A (ko) 2002-11-15 2004-05-20 주식회사 씨크롭 광학 지문입력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333B1 (ko) * 2014-02-05 2015-02-13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CN111008593A (zh) * 2019-03-04 2020-04-1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指纹辨识装置
CN111008593B (zh) * 2019-03-04 2023-12-29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指纹辨识装置
CN111357010A (zh) * 2019-06-28 2020-06-3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屏下光学指纹传感器的增强膜
CN111357010B (zh) * 2019-06-28 2023-09-22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屏下光学指纹传感器的增强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5144B1 (ko) 2006-04-28
EP1723577A1 (en) 2006-11-22
US7403271B2 (en) 2008-07-22
WO2005086077A1 (en) 2005-09-15
US20070189588A1 (en) 2007-08-16
CN1926556A (zh) 2007-03-07
JP2007527069A (ja) 2007-09-20
CN100440245C (zh)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5144B1 (ko)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
US11386691B2 (en) Optical device, module, apparatus, and system for fingerprint identification
JP6340480B2 (ja) 画像取得装置、端末装置、及び画像取得方法
WO2020035021A1 (zh) Lcd指纹识别系统、屏下光学指纹识别装置和电子装置
US5446290A (en) Fingerprint image input device having an image sensor with openings
KR100295773B1 (ko) 지문입력장치
US20180211085A1 (en) Optical fingerprint identification display screen and display device
CN108418918B (zh) 电子设备
US20120170072A1 (en) Display device
US7394529B2 (en) Fingerprint sensor using microlens
CN110245631B (zh) 显示面板及指纹识别显示装置
CN112867954B (zh) 用于光学直接记录用于移动应用的皮肤印纹的设备
KR100608171B1 (ko)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US1189382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10573823U (zh) 屏下指纹识别模组、lcd光学指纹识别系统及电子设备
KR20180122509A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CN111095274A (zh) 屏下指纹识别模组、lcd光学指纹识别系统及电子设备
TWI766583B (zh) 生物特徵感測裝置以及生物特徵感測群體
CN212411217U (zh) 电子装置
US11656700B2 (en) Image captur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KR100231905B1 (ko) 비접촉형 반도체 촬영소자
KR100423522B1 (ko) 광학 지문입력 장치
JPH0581414A (ja) 指画像入力装置
KR20190122492A (ko) 지문 센서
WO2004021278A1 (ja) 光学素子および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