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333B1 -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333B1
KR101493333B1 KR20140013213A KR20140013213A KR101493333B1 KR 101493333 B1 KR101493333 B1 KR 101493333B1 KR 20140013213 A KR20140013213 A KR 20140013213A KR 20140013213 A KR20140013213 A KR 20140013213A KR 101493333 B1 KR101493333 B1 KR 101493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ght
fingerprint
optical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3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요식
이경락
안종우
이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riority to KR20140013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333B1/ko
Priority to JP2015546405A priority patent/JP2016507800A/ja
Priority to PCT/KR2014/001344 priority patent/WO201506890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24Sensors therefor by using geometrical optics, e.g. using pr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6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illumination properties, e.g. using a reflectance or lighting mod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휴대 단말기가 광학식 지문입력을 위한 구성을 내장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외장 광학기기를 이용하여 지문 이미지를 광학식 지문입력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장 광학기기는 카메라가 구비된 기존의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외장형으로 마련되며, 광굴절기 및 미러(Mirror) 등을 내장한다. 외장 광학기기는 기존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와 엘이디의 주된 사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광학식 지문입력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Fingerprint Input Apparatus Using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and External-Optical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폰처럼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문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는 지문입력장치와, 그 지문입력장치를 위한 외장 광학기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기기를 이용한 개인 인증에 불변성과 유일성이 뛰어난 사용자 생체 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이미 일반화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지문인식은 간단한 구조와 대비되는 뛰어난 성능 때문에 다른 수단에 비해 가장 주목되고 일반화된 인증수단이 되고 있다.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으로 보편화된 방법이 프리즘과 같은 광굴절기를 사용하는 광학적인 방법이다.
종래의 광학식 지문입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용 광을 조사하는 광원(1)과, 손가락이 접촉하는 프리즘(3)과, 프리즘(3)으로부터 출사되는 지문 영상을 결상하기 위한 렌즈(4)와, 렌즈(4)에 결상된 지문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5)로 구성된다. 광학식 지문입력장치에는 프리즘(3)과 광원(1)의 배치구조에 따라 산란식 장치와 흡수식 장치가 있다.
광원(1)에서 출사된 광은 프리즘(3)으로 입사하여 프리즘(3)의 지문접촉면(3a)에 접촉된 지문의 골과 융선에서 반사, 흡수 또는 산란되면서 지문 영상을 형성한 후, 프리즘(3)의 출사면(3b)을 통해 출사된다. 프리즘(3)에서 출사된 지문 영상은 렌즈(4)를 통해 이미지 센서(5)에 결상됨으로써 디지털 지문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프리즘(3)은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광 경로를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변경시키기 때문에, 어떠한 방식에 의하더라도 프리즘(3)을 사용하는 지문입력장치는 반도체 타입 등에 비해 큰 부피를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광학식 지문입력장치를 비교적 얇은 패널 형상의 모바일 기기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대안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90884호는 삼각형 형상이 아닌 판상의 광굴절기를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얇은 두께의 지문입력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해당 지문입력장치는 광굴절기의 측면에 광원을 배치하여 광굴절기 내에서 산란된 광을 이용하여 지문영상을 획득한다. 이 장치가 얇은 광굴절기를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얇은 지문입력장치를 구현한 성과가 있다.
그러나, 해당 발명의 도 13과 그 설명 등을 참조하면, 이 발명이 제시하는 지문입력장치는 여전히 모바일 기기 내에 내장하는 방법으로 구현됨을 알 수 있다. 지문입력장치를 단말기에 내장하게 되면, 단말기의 두께는 그 지문입력장치에 의해 일정한 크기 이상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최근에 단말기들의 두께가 얇아지는 경향에 부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당연히 기존에 생산되어 사용 중인 휴대 단말기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도 있다.
[관련 기술 문헌]
1.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장치(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9088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처럼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그대로 이용하여 광학식 지문입력방법으로 사용자 지문을 휴대 단말기 내에 입력하고 그 사용자 지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외장 광학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러한 외장 광학기기와 휴대 단말기에 의한 광학식 지문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일한 외면에 카메라부와 엘이디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외면에 장착되는 외장 광학기기를 포함하는 광학식 지문입력장치를 제시한다.
제1 실시 예에 의한 외장 광학기기는 광굴절기, 제1 미러(Mirror) 및 복수 개의 미러를 포함한다.
광굴절기는 상부에 상기 지문이 접촉하는 지문접촉면과, 하부에 상기 엘이디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지문 이미지 획득을 위한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과, 상기 지문접촉면에 이어지는 전단부에 상기 지문접촉면과 일정한 각도로 배치된 출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엘이디의 윗쪽에 장착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제1 미러는 상기 카메라부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을 상기 카메라부로 반사시킨다.
상기 복수 개의 미러는 상기 출사면에서 상기 제1 미러로 이어지는 광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출사면에서 상기 카메라부까지의 광 경로의 길이가 상기 카메라부의 최소 초점거리 이상이 되도록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을 반복적으로 반사시켜 상기 제1 미러로 입사시킨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미러는,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의 진행 방향을 90°바꾸는 제3 미러; 및 상기 제3 미러에서 반사되는 지문 영상의 진행 방향을 90°바꾸어 상기 제1 미러로 입사시키는 제4 미러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장 광학기기는 상기 광굴절기, 제1 미러 및 복수 개의 미러를 포함한다. 다만, 광굴절기는 하부가 아닌 양 측부 중 하나에 광입사면을 가진다. 이에 따라, 외장 광학기기는 상기 엘이디에서 출사된 광을 반사시켜 상기 광입사면에 입사시키는 제2-1 미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1 미러로부터 상기 광입사면으로 입사되는 광의 광축이 상기 광입사면에 수직하게 입사되는 경우라면, 상기 복수 개의 미러는,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의 진행 방향을 90°바꾸는 제3-1 미러와, 상기 제3-1 미러에서 반사된 지문 영상의 진행 방향을 다시 90°바꾸어 상기 제1 미러로 입사시키는 제4-1 미러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외장 광학기기는 상기 광굴절기와 상기 제1 미러 사이에 형성된 광 경로 상에 마련되는 보정렌즈 및 광경로보정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휴대 단말기가 광학식 지문입력을 위한 구성을 내장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외장 광학기기를 이용하여 지문 이미지를 광학식 지문입력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외장 광학기기는 카메라가 장착된 기존의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외장형으로 마련되어 기존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와 엘이디의 주된 사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광학식 지문입력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지문입력장치를 내장하지 않은 많은 휴대 단말기들에서도 사용자 지문을 이용한 인증방법을 사용할 수 있어서 장치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문입력장치는 지문 이미지 획득을 위한 광학계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하여 외장하는 형식으로 구현하고 휴대 단말기가 광학계를 내장하지 않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두께가 적어도 광학계에 의해 제한받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종래의 광학식 지문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과식 지문입력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수식 지문입력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외장 광학기기의 장착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장 광학기기의 장착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투과식 지문입력장치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투과식 지문입력장치의 블록도,
도 8은 도 7의 A-A'로 절개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9는 도 7의 지문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문입력장치(200)는 카메라부(211)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210)와 그 휴대 단말기(210)에 외장하는 외장-광학기기(230)를 포함하며, 휴대 단말기(210)가 외장-광학기기(230)에 접촉한 사용자 지문으로부터 지문 이미지를 획득한다.
휴대 단말기(210)는 외부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부(211)를 내장하고, 그 카메라부(211)가 생성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이동통신 단말기나 개인 디지털 단말기처럼 본 발명의 지문입력과 관계없는 다른 주된 기능을 가진 것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휴대 단말기(210)는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엘이디(LED)(213)도 함께 내장할 수 있다. 예컨대, 최근의 스마트 폰(Smart Phone)은 그 전면 및/또는 후면에 카메라부(211)가 마련되어 있고, 엘이디도 전면 및/또는 후면에 마련되어 외부로 광을 출사한다.
본 발명의 지문입력장치(200)는 휴대 단말기(210)의 카메라부(211)를 광학식 지문입력을 위한 기본 렌즈와 이미지 센서로 활용하고, 엘이디(213)를 광학식 지문입력을 위한 광원으로 활용한다. 우선, 휴대 단말기(210)가 카메라부(211)와 엘이디(213)를 모두 가진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210)는 카메라부(211), 엘이디(213) 및 제어부(215)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10)는 당연히 자신의 주된 기능과 관련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 또는 기능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설명에 기여하지도 않으므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고 그 설명도 생략한다.
카메라부(211)는 기본 렌즈(211a)와 이미지 센서(211b)를 구비하여 외부의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래의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외장-광학기기(230)로부터 입사되는 지문 영상으로 지문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어부(215)에 제공한다.
카메라부(211)는 일반적으로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을 구비하여, 설정된 최소 초점거리 이상의 피사체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이미지를 생성한다. 따라서 '최소 초점거리' 이내의 피사체를 촬영(이른바, 접사 촬영)의 경우에 이미지의 초점이 맞지 않게 된다.
엘이디(213)는 휴대 단말기(210) 내에서의 그 주된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외장-광학기기(230)로 광학식 지문이미지 생성을 위한 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엘이디(213)는 도 2에서처럼 카메라부(211)가 노출된 면(210a)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함께 노출될 수도 있고, 도 5에서처럼 카메라부(211)가 노출된 면과 다른 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10)가 반드시 지문 입력용 광원으로 사용될 엘이디(213)를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엘이디가 외장-광학기기(230)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15)는 엘이디(213)와 카메라부(211)를 이용한 광학식 지문입력 과정 전체를 제어하는 지문획득제어부(215)를 포함한다. 제어부(215)는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치된 구성으로 해석될 수도 있으나, 앞서 설명한 휴대 단말기(210)의 주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된 구성일 수도 있다.
이처럼 제어부(215)가 휴대 단말기(210)의 주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된 구성일 경우, 제어부(215)는 휴대 단말기가 기본적으로 보유한 하드웨어인 프로세서 칩(Processor Chip)과, 그 칩에 의해 처리되는 소프트웨어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현되는 구성을 기능적으로 지시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에 의해 해석되어 그 지정된 일련의 명령들을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 언어로 기록된 소프트웨어이다.
그리고 지문획득제어부(215)는 그 어플리케이션의 하나로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설치되어 프로세서 칩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 집합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문획득제어부(215)는 엘이디(213)로 하여금 지문입력을 위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한 다음, 카메라부(211)가 생성하여 제공하는 지문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한다. 지문획득제어부(215)는 다양한 필요에 따른 지문 인증과정을 직접 수행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210)의 다른 외부 장치(예컨대 컴퓨터)로 지문 이미지 또는 특징점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외장-광학기기(230)는 기본적으로 광굴절기, 적어도 하나의 미러(Mirror)와 함께 이들을 수용할 하우징을 포함하며, 휴대 단말기(210)에 대하여 정해진 자세로 위치(이하, 간단히 '장착'이라 함)할 수 있는 외장형으로 마련된다. 이하에서 '장착'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더라도, 외장-광학기기(230)가 휴대 단말기(210)와 직접적이고 기구적인 결합이 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외장-광학기기(230)는 그 밖에도 광굴절기에서 출사되는 광을 카메라부(211)로 입사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정 렌즈나 광경로 보정수단(예컨대, 프리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필수 구성은 아니다.
도 2의 외장-광학기기(230)는 광굴절기(231), 보정 렌즈(233), 제1 미러(235) 및 하우징(237)을 포함한 예이다.
우선, 하우징(237)은 광굴절기, 적어도 하나의 보정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미러를 수용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210)의 후면(210a)에 위치하기 위한 결합 구조를 가져야 한다. 다만, 그러한 결합 구조가 하우징(237)과 휴대 단말기(210)의 직접적이고 기구적인 결합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도 4에서처럼 휴대 단말기(210)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한 외장 보호 케이스(401)를 구비한 경우에 그 케이스에 장착될 수도 있다.
광굴절기(231)는 손가락(F)이 접촉하는 지문접촉면, 엘이디(213)에서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 그리고 지문영상이 최종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하는 어떠한 종류의 광굴절기 또는 프리즘(Prism)도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정 렌즈(233)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보정 렌즈(233)는 광 경로의 길이를 조정하거나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부(211)와 엘이디(213)의 배치관계에 따라, 또는 광굴절기(231)와 제1 미러(235) 사이의 추가적으로 마련된 미러(예컨대 도 5의 501, 503)에 따라, 광굴절기(231)와 카메라부(211) 사이의 광 경로의 길이가 '최소 초점거리' 이상이 되는 경우, 보정 렌즈(233)가 불필요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부(211)의 기본 렌즈(211a)가 이미지의 크기를 적당하게 조절하게 설계된 경우에도, 보정렌즈(233)는 불필요하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보정 렌즈와 미러는 외장-광학기기(230)가 지문 입력을 위해 휴대 단말기(210)에 대해 정해진 자세로 장착한 때에 광굴절기(231)의 출사면과 카메라부(211) 사이의 광 경로를 형성하여, 광굴절기(231)로부터 출사되는 광(즉, 지문 영상)을 카메라부(211)로 입사시킨다. 도 2에는 보정 렌즈(233)가 제1 미러(235) 전단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배치는 당연히 예시적인 것이다.
또한, 엘이디(213)와 광굴절기(231)의 광입사면 사이에도 광 경로가 형성되는데, 그 광 경로 형성을 위해 다른 렌즈나 미러가 사용될 수 있다.
결국 외장-광학기기(230) 내에 마련되는 보정 렌즈와 미러의 개수와 배치관계는,
(a) 휴대 단말기(210)의 카메라부(211)와 엘이디(213)의 배치관계,
(b) 광굴절기(231)의 형태와 배치 방향,
(c) 지문입력방식이 투과식(산란식) 인지, 혹은 흡수식(반사식) 인지 여부,
(d) 카메라부(211)의 최소 초점거리,
(e) 엘이디(213)가 휴대 단말기(210)와 외장-광학기기(230) 중 어디에 내장된 것인지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외장-광학기기(230)의 각 구성과 그 결합구조를 더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 1, 투과식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외장-광학기기(230)는 투과식 광학지문입력 방식에 의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광굴절기(231), 렌즈(233), 제1 미러(235) 및 하우징(237)을 포함한다.
지문입력방식이 투과식(산란식) 인지 흡수식(반사식) 인지에 따라 보정렌즈와 미러의 개수 및 배치관계가 달라지는 것은 광굴절기(231)와 엘이디(213)의 배치관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우선, 외장-광학기기(230)가 휴대 단말기(210)에 추가적으로 장착되는 형식이므로 그 두께나 그 내부 구성의 배치관계 등을 고려하여, 광굴절기(231)는 얇고 평평한 판(版) 상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문접촉면은 휴대 단말기(210)의 면(210a)과 평행할 수 있다.
도 2의 광굴절기(231)는, '윗면'인 지문접촉면(231a)과, 지문접촉면(231a)과 소정의 각도(α)로 접하여 경사지게 전단부에 배치된 출사면(231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광굴절기(231)는 하부에 아랫면(231c)과, 뒤쪽에 후면(231d)과, 출사면(231b)과 후면(231d)을 연결하는 양 측면(231e)을 가지는 널판지 형상이다.
투과식(즉, 산란식)으로 광을 처리하기 위해, 광굴절기(231)는 외장-광학기기(230)가 휴대 단말기(210)에 장착되었을 때 엘이디(213)에서 출사되는 광이 광굴절기(231)의 아랫면(231c)으로 직접 입사하도록 배치되거나, 미러에 반사되어 양 측면 중 한 면(231e)으로 입사하도록 배치된다.
도 2는 광굴절기(231)의 아랫면(231c)이 광입사면이 되고, 아랫면(231c)이 휴대 단말기(210)에 마련된 엘이디(213)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이다. 엘이디(213)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축이 광입사면인 아랫면(231c)에 수직으로 입사된다.
실시 예에 따라, 광굴절기(231)의 광입사면과 엘이디(213) 사이에 확산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확산판은 엘이디(213)에서 출사되는 광이 광입사면 전체를 향해 고르게 입사되도록 돕는다.
엘이디(213)에서 출사된 광은 아랫면(231c)을 통과하면서 광굴절기(231)의 지문접촉면(231a)에 임계각보다 작은 각으로 입사되기 때문에, 지문 이미지는 지문접촉면(231a)에 접촉한 지문의 융선 부분에서 산란된 광에 의해 주로 형성되어 골이 어둡고 융선 부분이 밝게 나타나 콘트라스트(Contrast)가 좋은 이미지가 된다. 지문접촉면(231a)에서 산란되어 출사면(231b)을 통해 출사되는 광은 보정 렌즈(233)를 통과한 후 제1 미러(235)에서 반사되어 카메라부(211)로 입사된다.
<실시 예 2, 투과식의 다른 실시 예>
도 6에는 투과식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실시 예는, 카메라부(211)와 엘이디(213)가 휴대 단말기(210)의 동일한 면(210a)에 인접하여 배치된 경우로서, 엘이디(213)와 카메라부(211) 사이의 직선 거리가 '최소 초점거리'에 미치지 못하지만, 광굴절기(231)를 엘이디(213)의 윗쪽에 배치해도 충분할 만큼 엘이디(213)와 카메라부(211)가 상호 이격된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지문입력장치(600)는 광굴절기(231), 제1 미러(235), 제3 미러(601) 및 제4 미러(603)를 포함하는 외장-광학기기를 구비한다.
광굴절기(231)와 제1 미러(235)는 도 2의 광굴절기(231)와 제1 미러(235)와 동일한 구성이다. 도 2의 렌즈(233)는 도 6의 외장-광학기기에서 역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은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외장-광학기기에는 적용하지 않았다.
한편, 광굴절기(231)의 후면(231d)에는 지문 인식용 광이 산란 또는 반사하지 못하도록 빛을 흡수하는 흡수막(Layer)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흡수막은 검은색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광 흡수성 필름을 부착할 수도 있다. 후면(231d)에서 산란되거나 반사된 빛은 출사면(231b)을 통해 출사되는 지문 영상의 콘트라스트에 좋지 않기 때문이다.
제3 미러(601)는 출사면(231b)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의 진행 방향을 90°바꾸어 제4 미러(603)로 입사시키고, 제4 미러(603)는 제3 미러(601)에서 반사된 지문 영상의 진행 방향을 다시 90°바꾸어 제1 미러(235)로 입사시킨다. 이러한 배치는 출사면(231b)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의 광축이 카메라부(211)의 중심을 지나지 않으면 가능하다.
엘이디(213)의 광은 광굴절기(231)의 아랫면(231c)으로 입사되고, 출사면(231b)에서 출사된 지문 영상은 제3 미러(601)와 제4 미러(603)에서 각각 반사되어 제1 미러(235)로 입사된다. 제1 미러(235)는 제4 미러(603)에서 반사되어 입사된 지문 영상을 카메라부(211)로 반사시킨다.
제3 미러(601)와 제4 미러(603)의 배치는 광굴절기(231)의 출사면(231b) → 제3 미러(601) → 제4 미러(603) → 제1 미러(235) → 카메라부(211)에 이르는 광 경로가 최소 초점거리 이상이 되도록 배치한다.
<실시 예 3, 투과식의 다른 실시 예>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투과식(산란식) 지문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엘이디(213)의 광이 출사면(231b)에 접한 양 측면 중 한 면(231e)을 통해 광굴절기(231) 내부로 입사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도 6처럼 카메라부(211)와 엘이디(213)가 휴대 단말기(210)의 동일한 면(210a)에 인접하여 배치된 경우에 유용하며, 특히 엘이디(213)와 카메라부(211)가 밀착되어 광굴절기(231)를 엘이디(213)의 윗쪽에 배치하기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지문입력장치(700)는 광굴절기(231), 제1 미러(235), 제2-1 미러(701), 제3-1 미러(703) 및 제4-1 미러(705)를 포함하는 외장-광학기기를 구비한다. 광굴절기(231), 제1 미러(235)는 도 2의 광굴절기(231)와 제1 미러(235)를 동일한 구성이다.
광굴절기(231)는, 상부에 배치된 지문접촉면(231a)과, 지문접촉면(231a)과 소정의 각도(α)로 접하여 경사지게 전단부에 배치된 출사면(231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광굴절기(231)는 하부에 아랫면(231c)과, 뒷쪽에 후면(231d)과, 출사면(231b)과 후면(231d)을 연결하는 양 측면(231e)을 가지는 널판지 형상이다. 역시, 후면(231d)에는 지문 인식용 광이 산란 또는 반사하지 못하도록 빛을 흡수하는 흡수막(70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1 미러(701)는 엘이디(213)의 상측에 광굴절기(231)의 양 측면 중 한 면(231e)을 향해 45° 기울어진 자세로 배치되어, 엘이디(213)의 광을 광굴절기(231)의 측면 중 한 면(231e)으로 입사시킨다. 광굴절기(231)의 양 측면 중 한 면(231e)이 '광입사면'이 되면서, '장착'된 상태의 광굴절기(231)는 그 아랫면(231c)이 엘이디(213)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없고 엘이디(213)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시된 것처럼 엘이디(213)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축이 광입사면(231e)에 수직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광굴절기(231)의 출사면(231b)은 엘이디(213)와 광입사면(231e)을 연결하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엘이디(213)와 카메라부(211)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엘이디(213)와 광입사면(231e)을 연결하는 광축과 일치하거나 적어도 평행한 것이 외장-광학기기가 소형화되는데 바람직하다.
제3-1 미러(703)와 제4-1 미러(705)는 광굴절기(231)의 출사면을 통해 출사된 지문 영상의 경로, 즉 광 경로를 카메라부(211) 쪽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지문 영상의 광 경로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3-1 미러(703)는 출사면(231b)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의 진행 방향을 90°바꾸어 제4-1 미러(705)로 입사시키고, 제4-1 미러(705)는 제3-1 미러(703)에서 반사된 지문 영상의 진행 방향을 다시 90°바꾸어 제1 미러(235)로 입사시킨다.
제3-1 미러(703)와 제4-1 미러(705)의 배치는 광굴절기(231)의 출사면(231b) → 제3-1 미러(703) → 제4-1 미러(705) → 제1 미러(235) → 카메라부(211)에 이르는 광 경로가 최소 초점거리 이상이 되도록 배치한다.
<실시 예 3, 흡수식의 경우>
도 3은 흡수식(또는 반사식) 광학 지문입력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외장-광학기기(230)는 광굴절기(231), 보정 렌즈(233) 및 제1 미러(235) 이외에 제2 미러(301)를 더 포함한다.
광굴절기(231), 보정 렌즈(233) 및 제1 미러(235)는 도 2의 광굴절기(231), 보정 렌즈(233) 및 제1 미러(235)와 동일한 구성이다. 다만, 흡수식의 경우, 광굴절기(231)로 입사된 광이 지문접촉면(231a)에서 반사되어야 하므로 그 입사각을 확보하기 위하여 후면(231d)을 통해 광이 입사된다. 즉, 광굴절기(231)에서 광입사면은 아랫면(231c)이 아니라 후면(231d)이 되고, 외장-광학기기(230)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광굴절기(231)는 그 아랫면(231c)이 엘이디(213)의 위쪽으로부터 비킨 위치에 장착된다. 또한, 흡수막도 광굴절기(231)의 아랫면(231c)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미러(301)는 엘이디(213)와 광굴절기(231)의 후면(231d) 사이에 마련되어 엘이디(213)에서 출사되는 광을 광굴절기(231)의 후면(231d)으로 반사시킨다. 제2 미러(301)에서 반사된 광은 후면(231d)을 통해 광굴절기(231)의 지문접촉면(231a)에 임계각보다 큰 각으로 입사되기 때문에 지문의 골에서는 반사가 일어난다. 따라서 지문 이미지는 지문의 골 부분이 밝고 융선 부분이 어두운 이미지가 된다.
또한, 입사각 때문에 융선에서 흡수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콘트라스트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상이 되기 쉬우므로 광이 균일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제2 미러(301)와 광굴절기(231) 사이에 광을 고르게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303)이 구비될 수 있다.
<실시 예 4, 흡수식의 다른 경우>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외장-광학기기(230)는 광굴절기(231)의 후면(231d)으로 지문입력용 광을 조사하는 별도의 엘이디(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미러(301)가 필요 없고, 휴대 단말기(210)는 엘이디(213)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당연히 외장-광학기기(230) 내에 배터리를 구비하거나 휴대 단말기(210)로부터 직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케이블, 예컨대 유에스비(USB) 케이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실시 예 5, 외장-광학기기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
이하에서는 외장-광학기기(230)와 휴대 단말기(210)의 결합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휴대 단말기(210)의 카메라부(211)와 엘이디(213)가 휴대 단말기(210)가 가진 주된 목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평상시에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외장-광학기기(230)는 지문 이미지를 입력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210)에 장착한 때 이외에는 휴대 단말기(210)의 카메라부(211)와 엘이디(213)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방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첫 번째 방식은 외장-광학기기(230)가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장착되고 탈착되는 방식이다. 도 4는 그 일 예로서, (a)는 카메라부(211)와 엘이디(213)가 외부에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외장-광학기기(230)가 슬라이딩하여 휴대 단말기(210)에 장착됨으로써 카메라부(211)와 엘이디(213)를 덮은 상태로 사용자가 지문을 입력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외장-광학기기(230)는 휴대 단말기(210)의 외장 보호 케이스(401)에 슬라이딩 결합 구조를 만들어 결합한 형태이다. 슬라이딩 구조는 종래에 알려진 다양한 슬라이딩 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며, 장착시의 외장-광학기기(230)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에 오도록 구조화하면 된다.
<실시 예 6, 외장-광학기기의 착탈식 결합 구조>
두 번째 방식은, 지문입력이 필요할 때마다 외장-광학기기(230)를 휴대 단말기(210)의 일 측에 끼워 장착하는 방식이다. 특별히, 도 5는 휴대 단말기(210)의 엘이디(213)가 전면에 배치되고 카메라부(211)가 후면에 배치된 예이다.
외장-광학기기(230)는 광굴절기(231)에서 출사된 광은 후면에 위치한 카메라부(211)에 입사시키기 위해 제1 미러(235) 이외에 2개의 미러(501, 503)를 더 포함한다. 하우징(237)은 전체 3개의 미러(235, 501, 503)를 수용하면서 휴대 단말기(210)에 결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0)

  1.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 획득을 위해, 동일한 외면에 엘이디와 카메라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상기 외면에 장착되는 외장 광학기기로서,
    상부에 상기 지문이 접촉하는 지문접촉면과, 하부에 상기 엘이디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지문 이미지 획득을 위한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과, 상기 지문접촉면에 이어지는 전단부에 상기 지문접촉면과 일정한 각도로 배치된 출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엘이디의 윗쪽에 장착되는 판상의 광굴절기;
    상기 카메라부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을 상기 카메라부로 반사시키는 제1 미러(Mirror); 및
    상기 출사면에서 상기 제1 미러로 이어지는 광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출사면에서 상기 카메라부까지의 광 경로의 길이가 상기 카메라부의 최소 초점거리 이상이 되도록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을 반복적으로 반사시켜 상기 제1 미러로 입사시키는 복수 개의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광학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러는,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의 진행 방향을 90°바꾸는 제3 미러; 및
    상기 제3 미러에서 반사되는 지문 영상의 진행 방향을 90°바꾸어 상기 제1 미러로 입사시키는 제4 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광학기기.
  3.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 획득을 위해, 동일한 외면에 엘이디와 카메라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상기 외면에 장착되는 외장 광학기기로서,
    상부에 상기 지문이 접촉하는 지문접촉면과, 양 측부 중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엘이디에서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과, 상기 지문접촉면에 이어지는 전단부에 상기 지문접촉면과 일정한 각도로 배치된 출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엘이디의 윗쪽으로부터 이격되어 장착되는 판상의 광굴절기;
    상기 카메라부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을 상기 카메라부로 반사시키는 제1 미러(Mirror); 및
    상기 엘이디에서 출사된 광을 반사시켜 상기 광입사면에 입사시키는 제2-1 미러; 및
    상기 출사면에서 상기 카메라부로 이어지는 광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광 경로의 길이가 상기 카메라부의 최소 초점거리 이상이 되도록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을 반복적으로 반사시켜 상기 제1 미러로 입사시키는 복수 개의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광학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미러로부터 상기 광입사면으로 입사되는 광의 광축이 상기 광입사면에 수직하게 입사되고,
    상기 복수 개의 미러는,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의 진행 방향을 90°바꾸는 제3-1 미러와, 상기 제3-1 미러에서 반사된 지문 영상의 진행 방향을 다시 90°바꾸어 상기 제1 미러로 입사시키는 제4-1 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광학기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굴절기와 상기 제1 미러 사이에 형성된 광 경로 상에 마련되는 보정렌즈 및 광경로보정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광학기기.
  6. 광학식 지문입력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외면에 카메라부와 엘이디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외면에 장착되는 외장 광학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 광학기기는,
    상부에 상기 지문이 접촉하는 지문접촉면과, 하부에 상기 엘이디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지문 이미지 획득을 위한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과, 상기 지문접촉면에 이어지는 전단부에 상기 지문접촉면과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어 상기 지문에 대한 지문 영상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엘이디의 윗쪽에 장착되는 광굴절기;
    상기 카메라부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을 상기 카메라부로 반사시키는 제1 미러(Mirror); 및
    상기 출사면에서 상기 카메라부로 이어지는 광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광 경로의 길이가 상기 카메라부의 최소 초점거리 이상이 되도록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을 반복적으로 반사시켜 상기 제1 미러로 입사시키는 복수 개의 미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러는,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의 진행 방향을 90°바꾸는 제3 미러; 및
    상기 제3 미러에서 반사되는 지문 영상의 진행 방향을 90°바꾸어 상기 제1 미러로 입사시키는 제4 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8. 광학식 지문입력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외면에 카메라부와 엘이디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외면에 장착되는 외장 광학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 광학기기는,
    상부에 상기 지문이 접촉하는 지문접촉면과, 양 측부 중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엘이디에서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과, 상기 지문접촉면에 이어지는 전단부에 상기 지문접촉면과 일정한 각도로 배치된 출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엘이디의 윗쪽으로부터 이격되어 장착되는 판상의 광굴절기;
    상기 카메라부의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을 상기 카메라부로 반사시키는 제1 미러(Mirror); 및
    상기 엘이디에서 출사된 광을 반사시켜 상기 광입사면에 입사시키는 제2-1 미러; 및
    상기 출사면에서 상기 카메라부로 이어지는 광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광 경로의 길이가 상기 카메라부의 최소 초점거리 이상이 되도록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을 반복적으로 반사시켜 상기 제1 미러로 입사시키는 복수 개의 미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미러로부터 상기 광입사면으로 입사되는 광의 광축이 상기 광입사면에 수직하게 입사되고,
    상기 복수 개의 미러는,
    상기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의 진행 방향을 90°바꾸는 제3-1 미러와, 상기 제3-1 미러에서 반사된 지문 영상의 진행 방향을 다시 90°바꾸어 상기 제1 미러로 입사시키는 제4-1 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10.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굴절기와 상기 제1 미러 사이에 형성된 광 경로 상에 마련되는 보정렌즈 및 광경로보정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KR20140013213A 2013-11-08 2014-02-05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KR101493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3213A KR101493333B1 (ko) 2014-02-05 2014-02-05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JP2015546405A JP2016507800A (ja) 2013-11-08 2014-02-19 カメラが装着された携帯端末機を利用した指紋入力装置及びその指紋入力用外装光学機器
PCT/KR2014/001344 WO2015068900A1 (ko) 2013-11-08 2014-02-19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3213A KR101493333B1 (ko) 2014-02-05 2014-02-05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333B1 true KR101493333B1 (ko) 2015-02-13

Family

ID=5259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3213A KR101493333B1 (ko) 2013-11-08 2014-02-05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3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749A1 (ko) *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 외장하는 확대용 외장 광학모듈과 그 모듈을 구비한 확대촬영장치
US10380404B2 (en) 2016-08-23 2019-08-13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three-dimensional pattern information of a touch objec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0900A (ja) * 1997-02-21 1998-09-11 Hitachi Eng Co Ltd 光学式指紋等読取り装置及びその読取り方法
KR20050090884A (ko) * 2004-03-10 2005-09-14 씨큐트로닉스 (주)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
KR20120116088A (ko) * 2011-04-12 2012-10-22 남궁종 망원렌즈 및 광학줌렌즈, 보조전원장치, 적외선 조명장치 와 선택필터 슬라이딩 셔터장치를 갖는 홍채인식용 휴대용 단말기 일체형 케이스의 착탈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0900A (ja) * 1997-02-21 1998-09-11 Hitachi Eng Co Ltd 光学式指紋等読取り装置及びその読取り方法
KR20050090884A (ko) * 2004-03-10 2005-09-14 씨큐트로닉스 (주)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 장치
KR20120116088A (ko) * 2011-04-12 2012-10-22 남궁종 망원렌즈 및 광학줌렌즈, 보조전원장치, 적외선 조명장치 와 선택필터 슬라이딩 셔터장치를 갖는 홍채인식용 휴대용 단말기 일체형 케이스의 착탈식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749A1 (ko) *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 외장하는 확대용 외장 광학모듈과 그 모듈을 구비한 확대촬영장치
KR101791003B1 (ko) * 2016-04-18 2017-11-21 신요식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 외장하는 확대용 외장 광학모듈과 그 모듈을 구비한 확대촬영장치
US10139712B2 (en) 2016-04-18 2018-11-27 Yo Shik Shin Magnification-purpose external optical module external to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and magnification image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380404B2 (en) 2016-08-23 2019-08-13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three-dimensional pattern information of a touch obje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609B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TW511038B (en) High contrast, low distortion optical acquisition systems for image capturing
KR101441331B1 (ko) 광학식 지문 인식 장치
KR20210126766A (ko) 카메라 조립체 및 전자 장치
US8027519B2 (en) Imaging module for biometrics authentication, biometrics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prism
KR101707861B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근접촬영장치 및 그 근접촬영용 외장 광학모듈
JPWO2006077718A1 (ja) レンズアレイ及びレンズアレイを備えるイメージセンサ
CN101964058B (zh) 一种薄型光学指纹采集仪
KR101493333B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KR20160105648A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 외장하는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및 그 외장 광학기기 장착용 플레이트
TWI594727B (zh) 皮膚分析裝置及其影像擷取模組
KR101415644B1 (ko) 광학식 지문 입력 장치 및 그 지문입력방법
TWI380220B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93332B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KR102493028B1 (ko) 가시광선 대역의 빛을 흡수할 수 있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적외선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60103598A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EP2490153A1 (en) Vein authentication module
JP2008036226A (ja) 静脈認証用撮像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KR101674555B1 (ko) 광학식 지문 인식 장치
KR20160105571A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JP2016507800A (ja) カメラが装着された携帯端末機を利用した指紋入力装置及びその指紋入力用外装光学機器
KR100379179B1 (ko)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KR101457482B1 (ko) 지문영상의 초점 거리 조정할 수 있는 광학식 지문 입력 센서 및 그 조정방법
JP2004234178A (ja) 画像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009157A (ja) 指静脈認証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