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509A -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509A
KR20180122509A KR1020170056314A KR20170056314A KR20180122509A KR 20180122509 A KR20180122509 A KR 20180122509A KR 1020170056314 A KR1020170056314 A KR 1020170056314A KR 20170056314 A KR20170056314 A KR 20170056314A KR 20180122509 A KR20180122509 A KR 20180122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ident
detection light
display panel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705B1 (ko
Inventor
류승만
이근식
현주봉
윤아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6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705B1/ko
Priority to US15/969,360 priority patent/US10726232B2/en
Priority to CN201810410551.3A priority patent/CN108803781B/zh
Publication of KR20180122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24Sensors therefor by using geometrical optics, e.g. using pr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 인식 센서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 지향성 광 유닛, 검출광 조절 소자, 이미지 센서 그리고 초저 굴절층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유닛은, 표시 패널을 수용하는 길이와 폭 그리고 일정한 두께를 갖고, 표시 패널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되며, 표시 영역으로 일정 방향성을 갖는 검출광을 제공한다. 검출광 조절 소자는, 표시 패널의 하부 표면에 면 부착된다. 이미지 센서는, 검출광 조절 소자의 하부 표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Having Optical Imaging Sensor}
본 발명은 지문 인식 센서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지향성 광을 제공하는 초박막형 기판과 광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의 발달에 따라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피시(Tablet PC),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검색 안내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의 컴퓨터 기반 시스템(Computer Based System)이 개발되어 왔다. 이들 시스템에는 통상적으로 개인 생활과 관련된 개인정보는 물론 영업정보나 영업기밀 등과 같이 비밀을 요하는 많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보안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종래부터 생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보안성을 강화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의 지문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등록이나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지문센서가 알려져 있다. 지문 센서는 인간의 손가락 지문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지문 센서는 광학식 지문 센서(Optical Fingerprint Sensor)와 정전용량식 지문 센서(Capacitive Fingerprint Sensor)로 크게 나누어진다.
광학식 지문 센서(Optical Fingerprint Sensor)는 내부에서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광원을 이용하여 빛을 조사하고 지문의 융선(ridge)에 의해 반사된 빛을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광학식 지문 센서는 LED를 이용해서 스캔을 해야 하기 때문에 스캔을 위한 부가 장비가 필요하다. 광학적 부가 장비를 구성해야 하므로, 스캔 가능한 크기를 크게 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와 결합하는 등 다양한 응용에는 한계가 있다.
종래의 광학식 지문센서로는 2006년 7월 26일자로 등록된 "지문인식 센서를 구비한 영상 표시장치"란 명칭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08171과, 2016년 4월 21일자로 공개된 "지문 인식 소자를 포함한 표시장치"란 명칭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43216이 알려져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공보에 기재된 광학식 지문 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는,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을 터치 영역 및 지문 인식 영역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지문 인식을 위한 센싱용 빛이 지향성(혹은, Directivity)이 현저히 낮은 확산광을 사용한다. 따라서, 정확한 지문의 패턴을 인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지향성이 높은 레이저 적외선과 같은 시준광(Collimated Light)을 사용하는 경우, 넓은 면적에 걸쳐 센싱용 빛을 조사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문 인식 영역의 크기가 극히 한정된다. 또한, 지향성이 높은 시준광을 넓은 스캔 면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스캔 기능을 부가하여야 하므로, 휴대용 평판 표시장치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지문 인식 센서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서는 주로 정전 용량식 지문센서를 적용하는 예가 많다. 하지만,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Capacitive Fingerprint Sensor)는 지문 센서와 접촉되는 융선(Ridge)과 골(Valley) 사이에 대전되는 전기량의 차를 이용한 것이다. 종래의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로는 2013년 11월 21일자로 공개된 "정전 용량식 센서 패키징(Capacitive Sensor Packaging)"이란 명칭의 미국 공개특허 공보 US 2013/0307818가 알려져 있다.
상기 미국 공보에 기재된 정전 용량식 지문센서는 특정 푸시 버튼(Push Button)과 결합한 어셈블리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용량성 플레이트와 사용자의 지문(융선과 골) 사이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가 인쇄된 실리콘 웨이퍼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인간 지문의 융선과 골은 대략 300㎛~500㎛의 크기로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상기 미국 공보의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는 고해상도 센서 어레이와 지문인식 처리를 위한 IC(Integrated Chip) 제작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센서 어레이와 IC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센서 어레이와 IC를 함께 형성할 경우, 푸시 버튼과 함께 지문 센서를 결합하기 위한 어셈블리 구조가 필요하게 되므로 구성이 복잡해 질 뿐 아니라 비 표시 영역(베젤 영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푸시 버튼(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홈 키)과 지문센서가 중첩되게 형성되므로, 그 두께가 증가할 뿐 아니라 지문 센싱 영역이 푸시 버튼의 크기에 좌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터치 센서 스크린의 영역을 지문식별 영역으로 이용하는 기술 등이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기술로서는 "지문식별용 용량성 터치 센서(capacitive touch sensor for identifying a fingerprint)"란 명칭으로 2013년 10월 22일 등록된 미국 등록특허 제 US8,564,314호와, "지문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이란 명칭으로 2014년 8월 18일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2988호가 알려져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표시장치에는 표시 패널 보호를 위한 보호 필름을 추가로 부착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은 기술을 개인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을 지문 인식별 영역으로 적용하는 경우, 보호 필름을 부착하면, 지문 인식 기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호 필름을 부착하더라도 터치 기능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지문 인식은 아주 미세한 지문을 인식하여야 하기 때문에, 정전 용량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해야 한다. 보호 필름의 두께가 아무리 얇더라도, 미세한 지문을 인식하는 데 필요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하는 데에는 심각한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지문센서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장치의 겉 표면에 보호 필름 혹은 강화 유리를 부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인식 능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의 경우, 표시 기판의 두께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광학식 지문 센서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서는, 산란광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인식 능력이 어렵다. 정확한 인식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시준광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잡하고 부피가 큰 광학 기구가 필요하므로 휴대성이 높은 평판용 표시 장치와 결합하기 어렵다.
따라서, 대면적 감지가 가능하고, 분해능 및 정확도가 우수하며, 초박막 구조를 갖는 새로운 방식의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가 필요하다. 특히, 평판 표시장치와 결합하여, 다양한 정보 처리 장치를 개발하기에 용이한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초박막형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향성 광을 검출광으로 대면적에 고르게 제공하는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향성 광을 사용하며, 광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검출 해상도와 민감도가 우수한 초박막형, 대화면형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검출광이 표시 패널 내부에서 산란되어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여 정확도를 극대화한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 지향성 광 유닛, 검출광 조절 소자, 이미지 센서 그리고 초저 굴절층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유닛은, 표시 패널을 수용하는 길이와 폭 그리고 일정한 두께를 갖고, 표시 패널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되며, 표시 영역으로 일정 방향성을 갖는 검출광을 제공한다. 검출광 조절 소자는, 표시 패널의 하부 표면에 면 부착된다. 이미지 센서는, 검출광 조절 소자의 하부 표면에 배치된다.
일례로, 지향성 광 유닛은, 커버 기판, 출광 소자, 입광 소자, 저 굴절층 그리고 광원을 포함한다. 커버 기판은, 길이와 폭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다. 출광 소자는,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입광 소자는,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출광 소자의 일측변에서 표시 영역 외측에 배치된다. 저 굴절층은, 출광 소자 및 입광 소자의 하부 표면에 배치되며, 표시 패널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되며, 커버 기판 및 출광 소자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는다. 광원은, 표시 패널의 일측변에서 입광 소자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일례로, 광원은, 입광 소자의 표면에 정의된 입사점으로 입사광을 제공한다. 입광 소자는, 입사광을 커버 기판 내부에서 전반사하는 입사각을 갖는 진행광으로 전환하여 커버 기판 내부로 입사시키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한다. 출광 소자는, 진행광의 일부를 커버 기판의 상부 표면에서는 전반사하고 저 굴절층을 투과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반사각을 갖는 검출광으로 전환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한다.
일례로, 진행광은, 폭 방향 축과 길이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수평 평면에서는 확산각을 가지며, 길이 방향 축과 두께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수직 평면에서는 시준된 상태를 유지한다. 입사각은, 출광 소자와 저 굴절 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 큰 값을 갖는다. 반사각은, 커버 기판과 공기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는 크고, 출광 소자와 저 굴절 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는 작은 값을 갖는다.
일례로, 검출광 조절 소자는, 일정 방향성을 갖는 검출광을 표시 패널의 하부 표면에 대한 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홀로그래피 소자를 포함한다.
일례로,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는 초저 굴절층을 더 포함한다. 초저 굴절층은, 검출광 조절 소자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박막 필름 형태로 검출광 조절 소자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개재되며, 굴절율이 1.0 이상 그리고 1.1 이하의 값을 갖는다. 이미지 센서는, 검출광 조절 소자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박막 필름 형태를 갖는다.
일례로,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하우징은, 검출광 조절 소자의 일부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검출광 조절 소자 하부에 배치된다. 이미지 센서는, 하우징 내부에서 검출광 조절 소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검출광 조절 소자와의 사이에 공기층이 개재된다.
본 발명은 지향성(Directional) 광을 검출광으로 제공함으로써, 고 분해능의 이미지 인식 능력을 갖는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시준된 적외선 레이저를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대면적으로 확장시켜 검출광을 제공함으로써 대면적 인식이 가능한,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평판 표시장치의 화면 위에 얇은 필름 형상을 갖는 지향성 광을 검출광으로 제공함으로써, 초박형의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검출광은, 이미지 인식 센서에 대해 수직으로 입사함으로써 검출광의 광량이 저하되지 않아, 정확한 이미지 인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검출광이 표시 패널을 투과하면서 산란된 노이즈 광을 제거하고, 일정 각도 조건을 만족하는 검출광만을 선택적으로 이미지 인식 센서에 대해 수직으로 입사시킴으로써 정확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지향성 광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의한 지향성 광 기판 내부에서의 광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검출 정확도를 극대화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검출 정확도를 극대화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검출 정확도를 극대화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지향성 광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상부 도면은 XZ 평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하부 도면은 XY 평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은, 지향성 광 기판(SLS)과 광원(LS)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커버 기판(CP), 출광 소자(VHOE), 입광 소자(CHOE) 및 저 굴절층(LR)을 포함한다. 커버 기판(CP)은 대략 장방형의 사각 판상 모양으로, 길이와 폭 그리고 두께를 갖는다. 이 출원의 도면들에서 길이는 X축, 폭은 Y축 그리고 두께는 Z축에 대응하여 표시한다.
지향성 광 유닛(SLS)은 시준된(collimated) 광을 대면적으로 퍼트려 제공하는 광학 장치이다. 따라서, 광원(LS)은 시준된 빛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광원(LS)은 적외선 레이저를 제공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외선 레이저는 시준성이 매우 높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SLS)용 광원(LS)으로 매우 적합하다. 혹은, 확산 각도가 10도 미만으로 매우 좁은 값을 갖는, 적외선을 제공하는 적외선 다이오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적외선 다이오드에서 방출하는 적외선의 확산 각도가 10도 미만일 경우, 시준된 적외선은 아니더라도, 시준성이 높아 본 발명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SLS)용 광원(LS)으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커버 기판(CP)의 하부 표면에는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가 면 부착되어 있다. 출광 소자(VHOE)는 출사광(300)을 제공하는 광학 소자이다. 따라서, 출광 소자(VHOE)는 이미지를 검출 및 인식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또는 지향성 광 유닛(SLS)을 평판 표시장치와 결합하는 경우, 출광 소자(VHOE)는 평판 표시장치의 면적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입광 소자(CHOE)는 광원(LS)에서 제공하는 시준된 빛을 커버 기판(CP)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퍼지면서 시준성을 갖도록 전환하는 광학 소자이다. 입광 소자는(CHOE) 출광 소자(VHOE)의 외측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입광 소자(CHOE)는 광원(LS)과 대향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광 소자(VHOE) 및 입광 소자(CHOE)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공정을 고려하면, 하나의 필름 위에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의 영역을 나누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포함하는 광학 소자일 수 있다. 이 경우, 출광 소자(VHOE)의 패턴을 갖는 마스터 필름과 입광 소자(CHOE)의 패턴을 갖는 마스터 필름을 인접하여 배치한 후, 하나의 홀로그래피 기록 필름에 두 홀로그래피 패턴을 동시에 복사하여, 출광 소자(VHOE) 및 입광 소자(CHOE)를 하나의 필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출광 소자(VHOE) 및 입광 소자(CHOE)의 하부 표면에는 저 굴절층(LR)이 적층되어 있다. 저 굴절층(LR)은, 커버 기판(CP) 및 출광 소자(VHOE)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커버 기판(CP)은 굴절율이 1.5인 투명한 강화 유리로 만들 수 있다.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는 투명한 홀로그래피 기록 필름으로서 굴절율이 커버 기판(CP)과 동일하거나 조금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의 굴절율은 커버 기판(CP)의 굴절율과 동일한 것으로 설명한다. 저 굴절층(LR)의 굴절율은 인지하고자 하는 이미지 객체의 굴절율과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지문 인식에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람의 피부가 갖는 굴절율인 1.39와 유사한 1.4 정도의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입광 소자(CHOE)의 하부 공간에는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도록 광원(LS)이 배치되어 있다. 광원(LS)은 레이저와 같이 시준성이 높은 빛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휴대용 표시장치에 지문 인식 기능을 구비하는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 사람이 인지할 수 없는 빛인 적외선 레이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광원(LS)은 적외선 레이저를 제공하는 적외선 레이저 다이오드 혹은 확산 각도가 10도 미만의 값을 갖는 적외선을 제공하는 적외선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LS)에서 제공된 시준광(Collimated Light)은 입사광(100)으로서 일정한 단면적을 갖고 입광 소자(CHOE)에 정의된 입사점(IP)으로 제공된다. 입사광(100)은 입사점(IP)의 표면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입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입사점(IP) 표면의 법선에 대해 일정 정도 기울어진 각도로 입사할 수도 있다.
입광 소자(CHOE)는 입사광(100)을 입사각을 갖는 진행광(200)으로 전환하여 커버 기판(CP)의 내부로 보낸다. 여기서, 입사각은 커버 기판(CP)의 내부 전반사 임계각(Internal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진행광(200)은 커버 기판(CP)의 내부에서 전반사를 하면서, 커버 기판(CP)의 길이 방향인 X축으로 진행한다.
출광 소자(VHOE)는 진행광(200)의 일부 광량을 출사광(300)으로 전환하여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으로 굴절 시킨다. 진행광(200)의 나머지 광량은 커버 기판(CP) 내부에서 전반사되어 진행한다.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서는 전반사되지만, 하부 표면에서는 저 굴절층(LR)을 투과하여 지향성 광 기판(SLS) 외부로 출광된다. 즉,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서 전반사되어, 하부 표면을 투과하는 검출광(혹은, '센싱광')(400)이 된다.
진행광(200)이 입광 소자(CHOE)에서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출광 소자(VHOE)에 의해 점차적으로 출사광(300)을 방출한다. 이 때, 출사광(300)의 광량은 출광 소자(VHOE)의 광 추출 효율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출광 소자(VHOE)의 광 추출 효율이 3%라고 하면, 첫 번째로 진행광(200)이 출광 소자(VHOE)에 닿은 지점인 첫 번째 발광 영역에서는 초기 입사광(100)의 3%에 해당하는 광량이 출사광(300)으로 추출된다. 97%의 진행광(200)은 계속 전반사되어 진행한다. 그 후, 두 번째 발광 영역에서는, 97%의 3%인 초기 입사광(100) 광량의 2.91%에 해당하는 광량이 출사광(300)으로 추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버 기판(CP)에서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는 끝 변에 다다를 때까지 출사광(300)이 추출된다. 이와 같이 균일한 출광 효율을 갖는 경우, 진행광(200)이 진행할 수록 추출되는 광량이 서서히 줄어든다. 진행광(200)이 진행하면서, 일정한 광량을 갖는 출사광(300)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출광 소자(VHOE)의 광 추출 효율이 지수함수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값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행광(200)을 길이 방향 축과 두께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XZ 평면(혹은, '수직 평면') 상에서 보면, 입사광(100)의 시준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반면에, 폭 방향 축과 길이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XY 평면(혹은, '수평 평면')에서는 확산각(φ)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미지 검출 면적을 커버 기판(CP)의 면적에 대응하도록 설정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출광 소자(VHOE)는 가급적, 커버 기판(CP) 면적의 대부분에 대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확산각(φ)은 입사점(IP)에서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는 커버 기판(CP)의 타측변의 두 끝점(P1, P2)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와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입광 소자(CHOE)가 배치된 영역을 광 입사부(LIN)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출광 소자(VHOE)가 배치된 영역을 광 출사부(LOT)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광 출사부(LOT)는 광이 진행하기도 하는 광 진행부이기도 하다. 도 1에서 입광 소자(CHOE)가 광 입사부(LIN) 전체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입사점(IP)의 크기보다 조금 더 큰 크기를 갖는 정도이어도 충분하다.
예를 들어, 광원(LS)에서 제공하는 시준된 빛의 단면적이 0.5mm x 0.5mm인 정원인 경우, 입광 소자(CHOE)는 커버 기판(CP)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와 3mm ~ 5mm 정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입광 소자(CHOE)는 커버 기판(CP)의 폭 방향으로 가로 질러 배치된다. 또는 입광 소자(CHOE)는 커버 기판(CP)의 폭 중에서, 중앙부 혹은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쪽으로 치우친 일부 영역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광원에서 제공된 시준된(Collimated) 적외선이 지향성 광 기판(SLS) 내부에서 어떠한 경로를 거쳐, 이미지 검출에 사용하는 지향성(Directional) 적외선으로 전환되는지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의한 지향성 광 기판 내부에서의 광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광원(LS)에서 제공된 입사광(100)은 입광 소자(CHOE)의 입사점(IP)의 표면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입사한다. 입광 소자(CHOE)는 입사광(100)을 입사각(θ)을 갖도록 굴절시킨 진행광(200)으로 전환하여 커버 기판(CP)의 내부로 보낸다.
진행광(200)의 입사각(θ)은 출광 소자(VHOE)와 저 굴절층(L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VHOE _ LR)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커버 기판(CP) 및 출광 소자(VHOE)의 굴절율이 1.5이고, 저 굴절층(LR)의 굴절율이 1.4일 경우, 출광 소자(VHOE)와 저 굴절층(L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VHOE _ LR)은 약 69도로 계산된다. 따라서, 입사각(θ)은 69도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입사각(θ)은 70도 내지 75 중 어느 한 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은 공기층(AIR)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진행광(2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서 역시 전반사된다. 이는, 커버 기판(CP)과 공기층(AI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CP_AIR)은 약 41.4도이기 때문이다. 즉, 입사각(θ)이 출광 소자(VHOE)와 저 굴절층(L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VHOE_LR)보다 큰 값을 가지면, 이는 항상 커버 기판(CP)과 공기층(AI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CP_AIR)보다 큰 값이다.
출광 소자(VHOE)는 진행광(200)의 일정 광량을 반사각(α)을 갖는 출사광(300)으로 전환시켜 커버 기판(CP)의 내부로 되돌려 보낸다.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 이미지를 갖는 객체가 접촉하는 경우, 그 이미지의 상을 인지하기 위한 광이다.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의 표면에 아무 물체도 없는 경우에는, 전반사되어, 지향성 광 기판(SLS)의 하면 외부에 위치한 광 센서로 보내어져야 한다. 즉,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서 전반사된 후에는 검출광(400)으로서 지향성 광 기판(SLS)의 하부 표면을 통해 외부로 출광된다.
특히,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 표면 내에서 여러 지점에서 출광된다. 하지만, 출사광(300)들의 출광 방향은 항상 일정하다. 이와 같이 방향이 일정한 출사광(300)을 지향성(directional) 광이라고 한다. 또한, 일정 방향성을 갖는 출사광(300)은 일정 방향성을 갖는 검출광(400)으로 제공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지향성 광 기판(SLS)은 일정 방향성을 갖는 출사광(300) 및 검출광(400)을 제공하는 광소자를 의미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하부 표면에 배치된 저 굴절층(LR)을 통해 외부로 출광된 검출광(400)을 인식함으로써,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 배치된 물체의 이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설명한 지향성 광 유닛을 응용한 이미지 인식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지문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DP), 지향성 광 기판(SLS), 광원(LS) 및 이미지 센서(SE)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DP)에는 표시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A)이 정의되어 있다. 표시 영역(AA)은 표시 패널(DP)의 중앙부 대부분을 차지하고, 비 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다. 표시 영역(AA)에는, 표시 패널(DP)이 나타내고자 하는 영상들이 표시되는 소자들이 배치되어 있다. 비 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에 배치된 소자들을 구동하기 위한 소자들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표시 영역(AA)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 개의 화소 영역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표시 패널(DP)의 하면에는 이미지 센서(SE)가 배치되어 있다. 이미지 센서(SE)는 장방형의 얇은 필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미지 센서(SE)는 표시 패널(DP)의 표시 영역(AA)에 대응하여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여러 개의 화소 영역들을 기본 단위로 하여, 하나의 광 센서가 배열된 박막 형상을 갖는 이미지 센서(SE)가 표시 패널(DP)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2x2, 3x3 혹은 4x4 화소들마다 하나씩 대응되도록 광 센서가 배치된 이미지 센서(SE)가 표시 패널(DP)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일정 길이, 일정 폭 및 일정 두께를 갖는 얇고 넓은 판상형이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길이와 폭은 표시 패널(DP)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표시 패널(DP)의 전체 크기보다 조금 더 큰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표시 패널(DP)의 한쪽 변으로 더 연장된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의 한쪽 변으로 더 연장된 부분에는 광원(LS)을 배치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에 면 합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앞에서 설명했듯이, 커버 기판(CP), 입광 소자(CHOE), 출광 소자(VHOE) 및 저 굴절층(LR)을 포함한다. 저 굴절층(LR)이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과 면 합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은, 표시 패널(DP)에서 제공되는 영상 정보가 출광되는 면을 말한다. 즉, 사용자가 영상을 관람할 때 바라보는 표시 패널(DP)의 표면을 말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향성 광 기판(SLS)에서는 하부 표면으로 즉,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으로, 이미지 검출광(400)을 제공한다. 검출광(400)은 표시 패널(DP)을 관통하여, 하부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SE)로 전달된다. 이미지 센서(SE)의 광 센서에 의해 검출광(400)을 인지함으로써, 지향성 광 기판(SLS)의 상부 표면에 접촉하는 물체의 이미지를 재현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향성 광 기판(SLS)의 출광 소자(VHOE)에 의해 만들어지 출사광(300)이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 다다른다. 특히, 커버 기판(CP) 위에 이미지 객체(IM)가 놓여진 상태에서, 객체(IM)가 직접 커버 기판(CP)과 접촉하지 않은 곳에 다다른 출사광(300)은 전반사되어 검출광(400)으로서 표시 패널(DP)로 제공된다. 한편, 커버 기판(CP) 표면에서 객체(IM)가 직접 커버 기판(CP)과 접촉하는 부분에 다달은 출사광(300)은 외부로 굴절되어 나간다.
굴절율이 공기보다 큰 값을 갖는 객체(IM)가 커버 기판(CP)에 접촉한 부위에서는, 검출광(400)이 전반사되지 않고, 객체(IM) 쪽으로 굴절된다. 즉, 이미지 객체(IM)가 커버 기판(CP)과 접촉하는 부분에서는 출사광(300)이 흡수광(500)으로 되어 이미지 센서(SE)의 광 센서로 제공되는 광량이 거의 없다.
그 결과, 이미지 센서(SE)는 출사광(300) 중에서 검출광(400)만 인지하고, 흡수광(500)은 인지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이미지 센서(SE)의 광 센서들은, 커버 기판(CP)의 표면에서 반사된 검출광(400)의 반사 패턴을 인지함으로써 이미지의 패턴을 재현(reproduce)할 수 있다.
지향성 광 유닛을 지문 인식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이미지 객체(IM)는 사람의 손가락(finger)이 된다. 그리고 지문의 융기(R) 부분은 커버 기판(CP)의 표면과 접촉하고, 골(V) 부분은 커버 기판(CP)의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골(V) 부분으로 간 출사광(300)은 전반사되어 검출광(400)으로 된다. 반면에, 융기(R) 부분으로 간 출사광(300)은 굴절되어 커버 기판(CP)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흡수광(500)이 된다.
도 3의 아래에 도시된 사시도를 더 참조하여 XY 평면상에서의 이미지 인식에 대해 설명한다. 입사광(100)은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시준된 적외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원(LS)은 적외선 레이저를 제공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일 수 있다.
입사광(100)은 입광 소자(CHOE)에 의해 진행광(200)으로 변환된다. 이 때, 진행광(200)은, 길이 방향 축인 X축과 폭 방향 축인 Y축으로 이루어진 수평 평면인 XY 평면에서는 확산각(φ)을 가지도록 변환된다. 또한, 길이 방향 축인 X과 두께 방향 축인 Z축으로 이루어진 수직 평면인 XZ 평면에서는 원래의 시준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확산각(φ)은, 입사점(IP)에서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는 커버 기판(CP)의 타측변의 두 끝점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와 같거나 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진행광(200)은 확산각(φ)을 갖는 삼각형 형상으로 퍼지면서 진행한다. 이에 따라, 출사광(300) 역시 진행광(200)과 동일한 범위에 걸쳐 제공된다. 그 결과, 이미지 인식 영역은 삼각형 내부 영역이 된다. 따라서, 지문 인식 장치로 적용하는 경우, 도 3에서 빗금 친 원형으로 표시한 부분에 인식 영역(SA)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표시 패널의 중앙부 혹은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는 상단변의 일부에 인식 영역(SA)을 설정할 경우, 인식 영역(SA)에서 출사광(300)의 광량이 최대 값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출광 소자(VHOE)의 광 추출 효율이 인식 영역(S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최대 값을 갖고, 다른 부분에서는 최소 값 혹은 '0'에 가까운 값을 갖도록 위치에 따른 함수 관계로 설계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에서는, 검출광(400)이 이미지 센서(SE)의 상부 표면으로 입사될 때, 일정 각도를 갖고 입사된다. 즉, 이미지 센서(SE)의 상부 표면에 대한 법선에 대해 일정 각도로 입사된다. 여기서, 검출광(400)의 입사 각도는 도 2에서 설명한 반사각(α)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검출광(400)이 이미지 센서(SE)의 상부 표면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입사하기 때문에, 광 센서로 제공되는 광량이 저하된다. 이로써, 검출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다. 검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검출광(400)을 이미지 센서(SE)의 상부 표면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입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검출광(400)의 진행 방향을 이미지 센서(SE)의 상부 표면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구조를 제안한다.
<제2 실시 예>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에서 검출광의 정확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검출 정확도를 극대화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DP), 지향성 광 기판(SLS), 광원(LS) 및 이미지 센서(SE)를 포함한다. 특히, 표시 패널(DP)과 이미지 센서(SE) 사이에는 검출광 조절 소자(GHOE)와 초저 굴절층(LRA)이 개재된 특징을 갖는다.
표시 패널(DP)에는 표시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A)이 정의되어 있다. 표시 영역(AA)은 표시 패널(DP)의 중앙부 대부분을 차지하고, 비 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다. 표시 영역(AA)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 개의 화소 영역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비 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에 배치된 소자들을 구동하기 위한 소자들이 배치되어 있다.
표시 패널(DP)의 하면에는 검출광 조절 소자(GHOE)가 면 합착되어 있다. 검출광 조절 소자(GHOE) 하면에 초저 굴절층(LRA)이 면 합착되어 있다. 또한, 초저 굴절층(LRA)의 하면에 이미지 센서(SE)가 면 합착되어 있다.
이미지 센서(SE)는 장방형의 얇은 필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미지 센서(SE)는 표시 패널(DP)의 표시 영역(AA)에 대응하여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검출광 조절 소자(GHOE) 및 초저 굴절층(LRA)도 이미지 센서(SE)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필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여러 개의 화소 영역들을 기본 단위로 하여, 하나의 광 센서가 배열된 박막 형상을 갖는 이미지 센서(SE)가 초저 굴절층(LRA)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2x2, 3x3 혹은 4x4 화소들마다 하나씩 대응되도록 광 센서가 배치된 이미지 센서(SE)가 초저 굴절층(LRA)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제1 실시 예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에 면 합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앞에서 설명했듯이, 커버 기판(CP), 입광 소자(CHOE), 출광 소자(VHOE) 및 저 굴절층(LR)을 포함한다. 저 굴절층(LR)이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과 면 합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향성 광 기판(SLS)에서는 하부 표면으로 즉,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으로, 이미지 검출광(400)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향성 광 기판(SLS)의 출광 소자(VHOE)에 의해 만들어지 출사광(300)이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 다다른다. 특히, 커버 기판(CP) 위에 이미지 객체(IM)가 놓여진 상태에서, 객체(IM)가 직접 커버 기판(CP)과 접촉하지 않은 곳에 다다른 출사광(300)은 전반사되어 검출광(400)으로서 표시 패널(DP)로 제공된다. 한편, 커버 기판(CP) 표면에서 객체(IM)가 직접 커버 기판(CP)과 접촉하는 부분에 다달은 출사광(300)은 흡수광(500)으로 되어 표시 패널(DP)로 제공되는 광량이 거의 없다.
즉, 표시 패널(DP)로는 출사광(300) 중에서 검출광(400)만 제공되고, 흡수광(500)은 제공되지 않는다. 검출광(400)은 표시 패널(DP)을 투과하여, 검출광 조절 소자(GHOE)로 입사한다.
검출광 조절 소자(GHOE)는, 반사각(α)으로 입사되는 검출광(400)을 표시 패널(DP)의 표면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굴절 시키는 홀로그래피 소자일 수 있다. 즉, 검출광 조절 소자(GHOE)에 의해 검출광(400)은 수직 검출광(410)으로 변환된다. 수직 검출광(410)은 검출광 조절 소자(GHOE) 하면에 면 부착된 초저 굴절층(LRA)을 투과하여 이미지 센서(SE)로 입사된다.
지향성 광 기판(SLS)에서 제공된 검출광(400)은, 표시 패널(DP)을 투과하고, 검출광 조절 소자(GHOE)에 의해 수직 검출광(410)으로 전환된 후 이미지 센서(SE)로 제공된다. 이미지 센서(SE)는 커버 기판(CP)의 표면에서 반사된 검출광(400)의 패턴을 인지함으로써 이미지의 패턴을 재현(reproduce)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SE)는, 수직 방향으로 진행 방향이 전환된 수직 검출광(410)을 수광하기 때문에, 최대 광량을 수광한다. 따라서, 검출 정확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검출광 조절 소자(GHOE)와 이미지 센서(SE) 사이에는 초저 굴절층(LRA)이 개재되어 있다. 초저 굴절층(LRA)은 굴절율이 공기와 거의 동일한 아주 낮은 굴절율을 갖는다. 예를 들어, 초저 굴절층(LRA)은 굴절율이 1.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초저 굴절층(LRA)은 굴절율이 1.0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초저 굴절층'은 굴절율이 공기의 굴절율 1.0과 거의 동일한 굴절율을 갖는다는 의미로 사용한 용어이다.
초저 굴절층(LRA)을 구비한 이유는 검출광(400)이 표시 패널(DP)을 투과하면서 산란되어 발생한 노이즈(noise) 광을 제거함으로써, 검출 정확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에서, 검출의 정확도를 극대화하는 구조적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검출 정확도를 극대화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도면이다.
검출광(400)이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을 통해 입사된다. 특히, 검출광(400)은 반사각(α)을 입사각으로 하여 입사된다. 즉, 표시 패널(DP) 상부 표면에 대한 법선에 대하여 각도 α로 기울어진 상태로 입사된다. 검출광(400)이 표시 패널(DP)로 입사된 후에 내부에서 난반사가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광(400)의 대부분은 검출광(400) 상태를 유지하여 표시 패널(DP)을 통과하며, 일부는 제1 확산광(401) 및/또는 제2 확산광(402)으로 광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확산광(401)은 표시 패널(DP) 내로의 입사각이 α1인 것과 동일한 상태로서 검출광(400)의 입사각 α보다 큰 입사각을 갖는다. 또한, 제2 확산광(402)은 입사각이 α2인 것과 동일한 상태로서 검출광(400)의 입사각 α보다 작은 입사각을 갖는다.
입사각 α를 유지하는 검출광(400)은 검출광 조절 소자(GHOE)에 의해 표시 패널(DP)의 법선 방향으로 굴절된다. 검출광 조절 소자(GHOE)는 입사각 α를 갖는 참조광과 법선 방향과 평행한 물체광을 이용하여 형성한 홀로그래피 소자일 수 있다. 따라서, 검출광(400)은 검출광 조절 소자(GHOE)에 의해 수직 검출광(410)으로 변환되어 이미지 센서(SE)로 전달된다. 반면에, 검출광(400)과 다른 입사각을 갖는 제1 확산광(401) 및 제2 확산광(402)들은 검출광 조절 소자(GHOE)에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투과한다.
검출광 조절 소자(GHOE)를 투과한 제1 확산광(401) 및 제2 확산광(402)들은 초저 굴절층(LRA)과의 계면에서 전반사되어 표시 패널(DP) 상부로 반사된다. 예를 들어, 제1 확산광(401)은 검출광 조절 소자(GHOE)와 초저 굴절층(LRA)의 계면에서 반사각(α1)을 갖는 제1 반사광(411)으로 전환되므로, 이미지 센서(SE)로 전달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2 확산광(402)은 검출광 조절 소자(GHOE)와 초저 굴절층(LRA)의 계면에서 반사각(α2)을 갖는 제2 반사광(412)으로 전환되므로, 이미지 센서(SE)로 전달되지 않는다.
즉, 초저 굴절층(LRA)은 검출광(400) 중에서 검출광(400)의 입사각 α과 다른 입사각으로 난반사된 빛들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검출광(400)의 입사각 α보다 작은 입사각을 갖고 난반사되는 빛들을 전반사 시키기 위해서는, 초저 굴절층(LRA)의 굴절율은 공기의 굴절율에 근접하는 굴절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유사 공기 굴절율" 혹은 "air-like refractive index"라고 명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이러한 의미를 갖는 용어로 "초저 굴절층"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표시 패널(DP)의 하부 표면에 면 합착된 검출광 조절 소자(GHOE) 및 초저 굴절층(LRA)에 의해 검출광(400) 중에서 산란된 노이즈(noise) 광을 제거하고, 순수한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이미지 센서(SE)로 전달한다. 그 결과, 검출 정확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 예에서는, 제2 실시 예와 다른 구조를 갖는 이미지 센서(SE)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 예에서는, 박막 필름형상이 아닌 일반적인 광 이미지 센서(SE)를 구비한 경우를 설명한다. 제3 실시 예에 의한 광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의상 지향성 광 유닛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 하부 표면에는 검출광 조절 소자(GHOE)가 면 합착되어 있다. 검출광 조절 소자(GHOE)의 하면의 일부에는 이미지 센서(SE)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SE)는 하우징(HS) 내부에 장착되고, 하우징(HS)이 검출광 조절 소자(GHOE)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 결과, 검출광 조절 소자(GHOE)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이미지 센서(SE)가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즉, 전체적인 구조를 보면, 검출광 조절 소자(GHOE)와 이미지 센서(SE) 사이에는 공기층(AIR)이 개재되어 있다.
이하, 제3 실시 예에서의 검출광(400) 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검출광(400)이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을 통해 입사된다. 특히, 검출광(400)은 반사각(α)을 입사각으로 하여 입사된다. 즉, 표시 패널(DP) 상부 표면에 대한 법선에 대하여 각도 α로 기울어진 상태로 입사된다. 검출광(400)이 표시 패널(DP)로 입사된 후에 내부에서 난반사가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광(400)의 대부분은 검출광(400) 상태를 유지하여 표시 패널(DP)을 통과하며, 일부는 제1 확산광(401) 및/또는 제2 확산광(402)으로 광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확산광(401)은 표시 패널(DP) 내로의 입사각이 α1인 것과 동일한 상태로서 검출광(400)의 입사각 α보다 큰 입사각을 갖는다. 또한, 제2 확산광(402)은 입사각이 α2인 것과 동일한 상태로서 검출광(400)의 입사각 α보다 작은 입사각을 갖는다.
입사각 α를 유지하는 검출광(400)은 검출광 조절 소자(GHOE)에 의해 표시 패널(DP)의 법선 방향으로 굴절된다. 검출광 조절 소자(GHOE)는 입사각 α를 갖는 참조광과 법선 방향과 평행한 물체광을 이용하여 형성한 홀로그래피 소자일 수 있다. 따라서, 검출광(400)은 검출광 조절 소자(GHOE)에 의해 수직 검출광(410)으로 변환되어 이미지 센서(SE)로 전달된다. 반면에, 검출광(400)과 다른 입사각을 갖는 제1 확산광(401) 및 제2 확산광(402)들은 검출광 조절 소자(GHOE)에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투과한다.
검출광 조절 소자(GHOE)를 투과한 제1 확산광(401) 및 제2 확산광(402)들은 공기층(AIR)과의 계면에서 전반사되어 표시 패널(DP) 상부로 반사된다. 예를 들어, 제1 확산광(401)은 검출광 조절 소자(GHOE)와 공기층(AIR)의 계면에서 반사각(α1)을 갖는 제1 반사광(411)으로 전환되므로, 이미지 센서(SE)로 전달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2 확산광(402)은 검출광 조절 소자(GHOE)와 공기층(AIR)의 계면에서 반사각(α2)을 갖는 제2 반사광(412)으로 전환되므로, 이미지 센서(SE)로 전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표시 패널(DP)의 하부 표면에 면 합착된 검출광 조절 소자(GHOE) 및 공기층(AIR)에 의해 검출광(400) 중에서 산란된 노이즈(noise) 광을 제거하고, 순수한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이미지 센서(SE)로 전달한다. 그 결과, 검출 정확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공기층(AIR)을 이용하여, 검출광(400)에서 난반사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지만, 제2 실시 예에서 사용한 초저 굴절층을 공기층(AIR) 대신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DP: 표시 패널 SLS: 지향성 광 기판
CP: 커버 기판 CHOE: 입광 소자
VHOE: 출광 소자 LS: 광원
GHOE: 검출광 조절 소자 SE: 이미지 센서
HS: 하우징 LRA: 초저 굴절층
LR: 저 굴절 층 100: 입사광
200: 진행광 300, 310: 출사광
400: 검출광 410: 수직 검출광
401, 402: 제1 및 제2 확산광 500, 510: 흡수광
SEA: 센서(검출 소자) 영역 SA: (이미지) 센싱 영역

Claims (7)

  1.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수용하는 길이와 폭 그리고 일정한 두께를 갖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되며, 상기 표시 영역으로 일정 방향성을 갖는 검출광을 제공하는 지향성 광 유닛;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 표면에 면 부착된 검출광 조절 소자; 그리고
    상기 검출광 조절 소자의 하부 표면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광 유닛은,
    상기 길이와 상기 폭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 출광 소자;
    상기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상기 출광 소자의 일측변에서 상기 표시 영역 외측에 배치된 입광 소자;
    상기 출광 소자 및 상기 입광 소자의 하부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되며, 상기 커버 기판 및 상기 출광 소자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는 저 굴절층;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변에서 상기 입광 소자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광원을 포함하는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입광 소자의 표면에 정의된 입사점으로 입사광을 제공하며;
    상기 입광 소자는, 상기 입사광을 상기 커버 기판 내부에서 전반사하는 입사각을 갖는 진행광으로 전환하여 상기 커버 기판 내부로 입사시키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출광 소자는, 상기 진행광의 일부를, 상기 커버 기판의 상부 표면에서는 전반사되고 상기 저 굴절층은 투과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반사각을 갖는 상기 검출광으로 전환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하는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광은, 상기 폭 방향 축과 상기 길이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수평 평면에서는 확산각을 가지며, 상기 길이 방향 축과 상기 두께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수직 평면에서는 상기 시준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입사각은, 상기 출광 소자와 상기 저 굴절 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 큰 값을 갖고; 그리고
    상기 반사각은, 상기 커버 기판과 공기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는 크고, 상기 출광 소자와 상기 저 굴절 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는 작은 값을 갖는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광 조절 소자는,
    상기 일정 방향성을 갖는 상기 검출광을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 표면에 대한 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홀로그래피 소자를 포함하는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광 조절 소자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박막 필름 형태로 상기 검출광 조절 소자와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개재되며, 굴절율이 1.0 이상 그리고 1.1 이하의 값을 갖는 초저 굴절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검출광 조절 소자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박막 필름 형태를 갖는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광 조절 소자의 일부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상기 검출광 조절 소자 하부에 배치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검출광 조절 소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검출광 조절 소자와의 사이에 공기층이 개재된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KR1020170056314A 2017-05-02 2017-05-02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KR102375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314A KR102375705B1 (ko) 2017-05-02 2017-05-02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US15/969,360 US10726232B2 (en) 2017-05-02 2018-05-02 Flat panel display having optical sensor
CN201810410551.3A CN108803781B (zh) 2017-05-02 2018-05-02 具有光学成像传感器的平板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314A KR102375705B1 (ko) 2017-05-02 2017-05-02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509A true KR20180122509A (ko) 2018-11-13
KR102375705B1 KR102375705B1 (ko) 2022-03-18

Family

ID=6401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314A KR102375705B1 (ko) 2017-05-02 2017-05-02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26232B2 (ko)
KR (1) KR102375705B1 (ko)
CN (1) CN1088037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553B1 (ko) * 2016-11-30 2020-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CN110879492A (zh) * 2018-12-07 2020-03-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CN113641023A (zh) * 2021-08-06 2021-11-1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电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2550A1 (en) * 2009-06-18 2010-12-23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Optical fingerprint navigation device with light guide film
KR20110095565A (ko) * 2010-02-19 2011-08-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지문 인식 또는 멀티 터치가 가능한 센서 그리드 방식의 투명 패널 사용자 입력 장치, 사용자 지문 인식 방법, 및 사용자 터치 인식 방법
KR20150078823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형 백 라이트 유닛
US20160342282A1 (en) * 2014-01-16 2016-11-24 Flatfrog Laboratories Ab Touch-sensing quantum dot lcd pane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5788B2 (ja) * 2010-01-13 2012-07-25 オムロン株式会社 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5027323B2 (ja) * 2011-05-17 2012-09-19 直史 山内 スクリーン及び画像投影システム
US10261233B2 (en) * 2014-11-25 2019-04-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acklight unit with controlled light extraction
CN104751121B (zh) * 2015-03-05 2019-04-05 上海交通大学 基于光栅结构的光波导式指纹识别系统
US10042324B2 (en) * 2015-06-30 2018-08-07 Synaptics Incorporated Optical fingerprint imaging using holography
CN106154398A (zh) * 2016-07-27 2016-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侧入式背光模组及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2550A1 (en) * 2009-06-18 2010-12-23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Optical fingerprint navigation device with light guide film
KR20110095565A (ko) * 2010-02-19 2011-08-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지문 인식 또는 멀티 터치가 가능한 센서 그리드 방식의 투명 패널 사용자 입력 장치, 사용자 지문 인식 방법, 및 사용자 터치 인식 방법
KR20150078823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형 백 라이트 유닛
US20160342282A1 (en) * 2014-01-16 2016-11-24 Flatfrog Laboratories Ab Touch-sensing quantum dot lcd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803781B (zh) 2021-04-27
CN108803781A (zh) 2018-11-13
US20180322324A1 (en) 2018-11-08
US10726232B2 (en) 2020-07-28
KR102375705B1 (ko)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802B1 (ko) 표시장치
KR102515292B1 (ko) 박막 평판형 광학 이미지 센서 및 광학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20180061523A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20170124160A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20180003702A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CN108182873B (zh) 嵌入有光学图像传感器的平板显示器
TWI486844B (zh) 光學觸控掃描裝置
US10776598B2 (en) Display device with optical image sensor device for fingerprint detection
KR20180068040A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460111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CN112867954B (zh) 用于光学直接记录用于移动应用的皮肤印纹的设备
KR102375705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KR20190018972A (ko) 표시장치
KR20180073763A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20190073107A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KR20180065853A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503747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