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833A -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833A
KR20050090833A KR1020040016106A KR20040016106A KR20050090833A KR 20050090833 A KR20050090833 A KR 20050090833A KR 1020040016106 A KR1020040016106 A KR 1020040016106A KR 20040016106 A KR20040016106 A KR 20040016106A KR 20050090833 A KR20050090833 A KR 20050090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weight
parts
flame
foa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5218B1 (ko
Inventor
김두환
한우섭
Original Assignee
김두환
한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환, 한우섭 filed Critical 김두환
Priority to KR1020040016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218B1/ko
Publication of KR20050090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2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4Surfac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365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09D5/185Intumesce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4Magnesium hyd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55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olybden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스티로폴의 연소성 및 유해가스 발생을 해결하기 위한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염에 반응하여 기포와 불연성 가스가 방출되는 물질을 발포스티로폴의 표면에 코팅하여 연소시에 발생하는 기포가 발포스티로폴의 재료 표면에서 팽창하여 단열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연소 분해 생성물의 확산과 열 전달을 억제하고, 또한 발생된 불연성 가스에 의한 화염의 소염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재료 표면의 기포층의 두께가 커질수록 단열층의 효과가 급격히 증대되는 원리로부터, 재료에의 열적 전달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탄화층 이외에 표면 팽창층에 의한 단열층 형성이라는 난연화 방법을 새롭게 고안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난연화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난연화 코팅제의 배합은 (1)난연화와 저발연효과를 위한 난연제, (2)탄화층 및 기포층을 형성하는 단열층형성제, (3)화염에 대해 불연성인 질소,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를 발생시켜 소염효과를 가지게 하는 불연가스발생제, (4)난연 피막의 기계적인 강도와 내방수성 및 고온에서의 형상 유지의 성능을 높이는 무기충진제, (5)난연화 코팅제를 발포스티로폴 표면에 고정·접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바인더로 구성하여 종래 발포스티로폴의 난연성 및 저발연화를 극적으로 향상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Incombustible coating material for styrofoom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발포스티로폴의 연소성 및 유해가스 발생을 해결하기 위한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염에 반응하여 기포와 불연성 가스가 방출되는 물질을 발포스티로폴의 표면에 코팅하여 연소시에 발생하는 기포가 발포스티로폴의 재료 표면에서 팽창하여 단열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연소 분해 생성물의 확산과 열 전달을 억제하고, 또한 발생된 불연성 가스에 의한 화염의 소염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발포스티로폴 제품은 비 난연처리 제품이 대부분으로 가연성 수지인 폴리스틸렌에 발포제(부탄, 펜탄 등의 가연성가스)를 혼합하여 제조하는데, 다수의 스틸렌 원료입자를 예비 발포시켜 예비 발포된 원료입자를 건조·숙성시킨 후 이 예비 발포된 원료입자를 다시 완전히 발포시켜 제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주택, 빌딩 등의 건축물에는 에너지 절약 및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고단열성 및 고기밀성이 요구되고 있어 거의 모든 건축물의 벽 및 천장 등에는 많은 단열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단열재로는 단열 성능이나 시공성 그리고 비용 측면에서 매우 뛰어난 발포 폴리스티렌이나 발포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유기계 단열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기계 단열재는 가연성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착화원에 의해 연소가 개시되면 폭발적인 연소에 가까운 연소특성을 가지고 있어 건물의 화재 및 폭발재해를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 유기계 단열재는 재료의 종류나 연소 상태에 따라 시안, 일산화탄소 등의 유독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가스 중독의 위험성도 있다. 상기 유기계 단열재 중 발포 폴리스티렌은 발포스티로폴 또는 스티로폼이라는 상품명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현재 한국을 비롯한 세계적으로 발포스티로폴의 생산량은 연간 수 백만 톤으로 용기, 제품의 보호 완충제, 건축 단열 자재용 등으로 광범위한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생산량도 매년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발포스티로폴은 경량, 가공의 용이성, 고단열성, 내충격성, 내수성 등이 뛰어난 반면 높은 연소성, 연소시의 유독성 그리고 연소에 의한 형태 변형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난연처리 제품에는 무기계열 및 유기계열의 난연제가 사용되고 있다. 무기계열 난연제에는 안티몬 및 그 대체품 등이 있는데, 예를 들면 메타붕산바륨(Ba(BO2)2·H2O)이 여기에 해당되며, 안티몬 계열 난연제는 유리 피막을 형성시켜 공기를 차단하여 난연성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유기계열 난연제에는 브롬, 염소 등의 할로겐 화합물, 인산 에스테르가 있다. 할로겐 화합물은 공기의 공급을 막고 연소계의 온도를 낮추어 난연성의 효과가 높지만, 지구 오존층 파괴 및 온난화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브롬 화합물은 처리법에 따라 브롬계 다이옥신류의 생성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으며, 연소시 발암성 물질의 발생 가능성으로 적절한 처리법의 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에 높은 난연성을 요구하는 제품의 개발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의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에 관련된 발명을 살펴보면 붕산계 무기물을 주원료로 하는 난연제를 발포스티로폴 입자 표면에 난연 처리하는 방식의 제조 방법이 개발(일본 특 3163282호)되었으며, 이는 발포스티로폴에 응용 가능한 기술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포스티로폴은 열을 받으면 난연 처리된 발포스티로폴 입자 표면에는 대량의 탄화층을 형성하며 변형이 적고 내열성을 유지하고 있으나, 10초 이상의 지속된 화염에 대해서는 난연 처리 피막 내부의 발포스티로폴 입자가 열에 대해 쉽게 용융, 열분해되어 공기 공급이 희박한 피막 내부에서 연소하기 때문에 유해 위험성 가스가 발생할 수 있으며, 피막 내의 구형 발포스티로폴의 연소에 의해 발포스티로폴 내부가 공동화(空洞化)되고 탄화층 피막이 구조적으로 약해지며 외력에 의해 쉽게 붕괴되어 변형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이 기술에 의한 샘플의 연소 실험 결과로부터 발포스티로폴의 연소면의 심각한 탄화층 형성에 의한 미관적(美觀的)인 문제, 연소가스 발생에 의한 심한 냄새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기술은 예비 발포 원료입자에 난연 코팅을 해야 하므로 종래의 발포스티로폴 제조 공정 중간에 별도의 새로운 제조 프로세스를 추가해야 하며, 이 때문에 고비용의 신규 설비 투자가 불가결하다. 또한, 예비 발포 원료입자 하나하나의 전체 표면에 난연 코팅하는 방식이므로 난연 약품을 대량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제조 비용이 높아져 보급 및 실용화에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 시멘트, 발포스티로폴의 분쇄 입자 및 유기물 바인더 등을 이용하여 단열재에 발포스티로폴의 분쇄 입자와 난연제 혼합물은 분사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난연 단열재를 만드는 방법이 개발되었다(일본 특개 2002-226250). 이 난연화 방법은 폐기 처분된 발포스티로플의 재활용에 관련된 것으로, 부드럽고 탄력성이 있는 연질우레탄 폼의 성형에 적합하며 건축 현장에서 건물의 콘크리트 외벽에 직접 시멘트, 발포스티로폴 분쇄입자 및 난연제를 함께 분사하여 부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일반인이 손쉽게 사용하기는 힘들며, 발포스티로폴의 성형품의 난연화 방법에는 적합하지 않고, 그 사용범위가 건축물의 외벽 등 외에는 사용할 수 없어 용도가 제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난연화 코팅제를 발포스티로폴의 표면에 코팅하여 발포스티로폴의 연소를 방지하고 가열에 의한 형태 변형을 극소화 시키며 유독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해물질 흡착 및 냉각효과를 갖는 난연제와 고열에서 형상을 유지시키는 무기충진제와 화염에 반응하여 기포층 및 탄화층을 형성하는 단열층형성제와 불연성 가스가 방출하는 불연가스발생제와 바인더를 균일하게 혼합한 난연화 코팅제를 발포스티로폴의 표면에 코팅하여 연소시에 발포스티로폴의 재료 표면에서 기포가 팽창하여 열 전도가 낮은 기포의 단열층 피막을 형성시키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가열에 의해 기포 및 불연성 가스가 발생하는 물질을 발포스티로폴의 표면에 코팅하여 화염에 접촉되었을 때 발포스티로폴의 재료 표면에 기포가 발생하여 팽창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연소를 방해하고 열의 전달을 억제하며, 발생되는 불연성 가스에 의하여 화염이 소염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열전도가 낮은 난연성 기포층이 발포스티로폴의 표면에서 화염에 반응하여 생성되도록 하고 화염으로부터의 복사열이 발포스티로폴의 내부로 열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층 작용을 하도록 하는 동시에 난연화 코팅제로부터 발생되는 불연성 가스가 재료의 열적 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의 연소를 방해하고, 연소 유해가스의 발생을 억제하여 다중의 연소 억제 효과를 갖도록 하는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난연 피막 형성용 난연화 코팅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난연화 코팅제는 난연제, 무기충진제, 단열층 형성제(표면팽창제 및 기포상승효과제), 불연가스발생제, 바인더를 믹서기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하며, 상기 난연화 코팅제를 발포스티로폴 표면에 스프레이 또는 도포하여 난연 코팅막을 형성한다.
<난연화 코팅제>
난연제는 수산화알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몰리브덴, 몰리브덴산 안티몬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10~30중량부 사용한다. 특히 수산화알미늄(Al(OH)3)은 발포스티로폴에 열이 가해져서 600℃ 이상이 되면 미세 다공질이 무수히 많은 활성알루미나로 변화되어 흡착 성능을 가지게 되므로 연소시 발생하는 다이옥신, 염화수소가스(HCl) 등 유해물질을 흡착하며 열 분해시 흡열 반응을 하여 냉각 효과도 있고 불연성으로서 내수, 내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난연제들을 병용 사용하여 난연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무기충진제는 내연성 점토인 규산마그네슘(Sepiolite), 산화티탄, 알루미나, 중공(中空)된 세라믹분말, 규석(SiO2), 질화규소분말(Si3N4), 탄소섬유, 고열로 가열하여 발포 중공(中空)된 화산재분말(Maarlite : 일본 丸中白士사 제품 상품명, 또는 Shiras balloon : 일본 淺間經石사 제품 상품명), 규조토, 활석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5~30중량부 사용한다. 상기 무기충진제는 난연 피막의 기계적 강도, 내방수성, 고온에서 발포스티로폴에 대하여 형상 유지의 성능을 높인다. 상기 화산재분말(Maarlite 또는 Shiras balloon)은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소성시킨 인공화산제로 주성분은 산화규소(SiO2), 산화알미늄(Al2O3)으로서 가볍고 공극성(空隙性), 흡수성이 있으며 안정한 재료 강도를 가지고 있어 난연제의 충진성, 단열성, 내화성, 내구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방수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도 중공(中空)된 공극성의 세라믹 분말을 사용할 경우 열차단 능력이 향상된다.
단열층형성제는 표면팽창제와 기포상승효과제로 되어 있으며 상기 표면팽창제는 마이크로캡슐형 폴리인산암모늄, 폴리인산멜라민, 인산멜라민, 인산암모늄, 인산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5~20중량부 사용하고, 상기 기포 상승 효과제는 덱스트린, 펜타에리스리톨, 폴리초산비닐수지, 아라비톨, 초산비닐,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중 어느 하나를 5~10중량부 사용한다.
상기 표면팽창제 및 기포상승효과제는 기포층을 형성하여 탄화층 이외의 기체단열층에 의한 단열효과를 높인다.
또한, 상기 단열층 형성제에는 단열층 형성 촉진과 안정화 효과 보조제로서 초산망간, 초산아연, 유산망간, 유산아연 중 어느 하나를 0.2~1.5중량부 첨가할 수 있다.
불연가스발생제는 디시안디아마이드(Dicyandiamide), 멜라민, 글리이신(Glycine), 구아니딘(Guanidin), 요소 중 어느 하나를 5~12중량부 첨가한다.
불연가스발생제는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된 표면이 화염에 접촉하게 될 때 불연성의 질소(N2), 암모니아(NH3), 이산화탄소(CO2) 등을 발생시켜 소염 효과를 가지게 된다.
바인더는 규산나트륨 3종 37~40% 수용액, 규산리튬 24~30% 수용액으로 하여 어느 하나 또는 2종 혼합한 것을 10~40중량부 사용한다. 바인더는 상기 난연화 코팅제를 발포스티로폴에 고정·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바인더의 경화시간 제어 및 경화 후의 수용성 방지를 위하여 붕산 아연 6~18중량부, 트리폴리인산나트륨 2~10중량부 중 하나를 첨가할 수 있고, 바인더의 경화 시간만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중 하나를 5~10중량부 첨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바인더의 고착 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알킬나프탈렌 설포네이트(Alkyl naphthalene sulfonate), 소듐디알킬 설포석시네이트(Sodium aialkyl sulfsuccinate) 중 하나를 0.1~2.0중량부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난연화 코팅제들의 혼합 및 도포시의 필요 점도에 따라 물 2~20중량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난연화 코팅된 발포스티로폴에 0.5~1.0mm 두께로 코팅된 난연화 코팅층(2) 피막은 열원(3)으로부터의 초기 화염(4)에 의하여 난연 재료 표면이 온도가 상승하면서 분해·연소가 일어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재료 표면에 탄화층(5)이 형성된다. 재료에의 열적 전달을 어느 정도 방지하는 탄화층(5)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보다 효율 높은 단열층의 형성을 위하여 난연 피막에 기포상승효과제를 첨가하고 난연 피막 표면을 팽창시켜 기포층(6)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기포층(6)의 두께가 커질수록 단열층의 효과는 기하 급수적으로 증대되어 재료의 연소를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온도의 화염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기포층(6)의 두께가 1mm인 경우 연소를 유지하기 위한 외부 화염온도는 743℃가 되어야 하며, 7mm인 경우는 1500℃ 그리고 10mm인 경우는 4600℃의 지속적인 화염의 공급이 있어야만 연소가 유지될 수 있다. 일반적인 주택, 건축물 화재의 경우는 700~1200℃의 화염온도가 발생하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발포스티로폴의 표면 피막에 5mm이상의 기포층(6)을 형성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재료의 열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7)로 인한 화염 확대에도 대처할 필요가 있으므로, 열분해에 의해 탄산가스(CO2), 질소가스(N2), 암모니아가스(NH3)와 같은 불연성 가스(8)를 방출하는 성분 및 연기발생 억제효과(저발연효과)가 큰 수산화알미늄 등의 난연제를 첨가하여 유해가스 발생을 저감시킨다. 이와 같이 난연화 코팅층(2) 피막의 표면팽창 경계면(9)은 화염에 의해 열분해하면서 분해층 경계면(10)을 거쳐 팽창층 표면(11)을 형성하며 기포층(6)을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난연화 처리로 발포스티로폴(1)의 표면에 대하여 화염(4) 방향이 수평방향(도 2) 또는 수직방향(도 3)으로 작용하였을 때 난연화 코팅층(2) 피막이 형성된 본 발명의 발포스티로폴(1)은 변형이나 붕괴되지 않고 본래의 형상을 유지하나 종래의 일반 발포스티로폴이나 자기 소화성 난연 발포스티로폴(일본 日立化成工業社 제품)은 도 4에서와 같이 붕괴 또는 축소·변형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난연제로서 수산화알미늄 150g 및 수산화마그네슘 40g, 무기충진제로서 발포 중공된 화산재분말(Maarlite : 일본 丸中白土株式會社 제품) 50g, 표면팽창제로서 폴리인산암모늄 150g, 기포상승효과제로서 펜타에리스리톨 100g, 불연가스발생제로서 멜라민 50g 및 요소 50g 등의 각 분말을 혼합하고, 바인더로서 규산나트륨 3종 40% 수용액 400g, 물 100g을 상기 난연제, 무기충진제, 표면팽창제, 기포상승효과제, 불연가스발생제 등의 혼합물과 함께 교반기에 넣고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500rpm에서 2시간 동안 충분히 교반하고 발포스티로폴 표면에 1.0mm 두께로 코팅한 후 24시간 이상 자연 건조시킨다.
<실시예 2>
난연제로서 수산화알미늄 200g, 무기충진제로서 산화티탄 180g, 표면팽창제로서 폴리인산멜라민 110g, 기포상승효과제로서 펜타에리스리톨 100g, 단열층 형성 촉진과 안정화 효과 보조제로서 초산망간 10g, 불연가스발생제로서 멜라민 50g 및 요소 50g 등의 각 분말 을 혼합한 후, 바인더로서 규산나트륨 3종 40% 수용액 100g 및 규산리튬 24% 수용액 200g, 물 120g을 교반기에 넣고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상기 난연제, 무기충진제, 기포상승효과제, 단열층 형성촉진과 안정화 효과보조제, 불연가스발생제 등의 혼합물과 다시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500rpm에서 2시간 동안 충분히 교반하고 발포스티로폴 표면에 1.0mm 두께로 코팅한 후 24시간 이상 자연 건조시킨다.
<실시예 3>
난연제로서 수산화알미늄 150g, 무기충진제로서 발포 중공된 화산재분말(Maarlite : 일본 丸中白土사 제품) 150g, 표면팽창제로서 폴리인산멜라민 150g, 기포상승효과제로서 펜타에리스리톨 100g, 단열층형성촉진과 안정화 보조제로서 초산망간 15g, 불연가스발생제로서 멜라민 50g 등의 각 분말을 혼합한 후, 바인더로서 규산나트륨 3종 40% 수용액 200g 및 규산리튬 24% 수용액 100g, 물 150g, 바인더의 경화시간 제어 및 경화 후의 수용성 방지제로서 붕산아연 80g, 바인더의 고착능력 증대를 위한 전착제로서 알킬나프탈렌설포테이트 5g을 교반기에 넣고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상기 난연제, 표면팽창제, 기포상승효과제, 단열층형성촉진과 안정화 보조제, 불연가스발생제 등의 혼합물을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균일하게 혼합하고 발포스티로폴 표면에 0.5mm 두께로 코팅한 후 24시간 이상 자연 건조시킨다.
<실험 결과>
일반 건물 화재 온도와 유사한 1000℃의 가스 버너 화염으로 실시예 1, 2, 3에 의하여 제조된 난연화 발포스티로폴에 대하여 연소 실험한 결과, 본 발명에 의하여 난연처리한 상기 실시예 1, 2, 3의 발포스티로폴들은 모두 연소 및 형상 붕괴가 없었고 연기의 발생도 거의 없었으며, 특히 실시예 2로 제조된 난연화 발포스티로폴은 난연 피막의 강도가 양호하였고 실시예 3으로 제조된 난연화 발포스티로폴은 난연제의 건조 속도 및 부착 상태가 아주 양호함을 볼수 있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로 제조된 난연화 발포스티로폴과 종래 발포스티로폴들을 각각 30초 동안 동일한 조건으로 가열하였으나 본 발명의 난연화 처리된 발포스티로폴은 변형이 없었는데 대하여 종래 일반 발포스티로폴과 자기 소화성 난연 발포스티로폴은 형체가 없어지거나(일반 발포스티로폴의 경우) 주위가 완전히 연소되어 형태가 축소 변형되는 자기 소화성 난연 발포스티로폴(일본 日立化成工業社 제품의 경우)의 실험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여 난연화 코팅된 발포스티로폴의 난연 피막의 표면 팽창층이 단열층을 형성하여 발포스티로폴에의 연소 확대를 방지하고 불연성 가스가 발생하여 소염 작용을 하며 유독가스를 흡착함으로써 발포스티로폴의 형상 붕괴를 차단하고 유해연소 가스의 발생을 극소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난연화 코팅된 발포스티로폴의 표면에 화염이 가해진 경우 연소 차단이 이루어지는 상태의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난연화 코팅된 발포스티로폴의 표면에 화염이 평행한 방향으로 가해진 경우의 실험예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난연화 코팅된 발포스티로폴의 표면에 화염이 수직 방향으로 가해진 경우의 실험예
도 4는 화염이 수평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발포스티로폴과 종래의 발포스티로폴들과의 실험예 비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난연화 코팅된 발포스티로폴 2. 난연화 코팅층
3. 열원 4. 화염
5. 탄화층 6. 기포층
7. 가연성 가스 8. 불연성 가스
9. 표면팽창 경계면 10. 분해층 경계면
11. 팽창층 피막

Claims (9)

  1. 난연성 발포스티로폴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산화알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몰리브덴, 몰리브덴산 안티몬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난연제 10~30중량부; 규산마그네슘(Sepiolite), 산화티탄, 알루미나, 세라믹분말, 규석(SiO2), 질화규소분말(Si3N4), 탄소섬유, 화산재분말(Maarlite), 규조토, 활석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무기충진제 5~30중량부; 단열층형성제로서 마이크로캡슐형 폴리인산암모늄, 폴리인산멜라민, 인산멜라민, 인산암모늄, 인산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표면팽창제 5~20중량부와 덱스트린, 펜타에리스리톨, 폴리초산비닐수지,아라비톨,초산비닐, 클루코오스, 말토오스 중 어느 하나인 기포상승효과제 5~10중량부; 디시안디아마이드, 멜라민, 글리이신, 구아니딘, 요소 중 어느 하나인 불연가스발생제 5~12중량부; 규산나트륨 3종 37~40% 수용액, 규산리튬 24% 수용액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혼합된 바인더 10~4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난연화 코팅제를 제조하고 발포스티로폴 표면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의 제조방법.
  2. 난연성 발포스티로폴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산화알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몰리브덴, 몰리브덴산 안티몬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난연제 10~30중량부; 규산마그네슘(Sepiolite), 산화티탄, 알루미나, 세라믹분말, 규석(SiO2), 질화규소분말(Si3N4), 탄소섬유, 화산재분말(Maarlite), 규조토, 활석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무기충진제 5~30중량부; 단열층형성제로서 마이크로캡슐형 폴리인산암모늄, 폴리인산멜라민, 인산멜라민, 인산암모늄, 인산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표면팽창제 5~20중량부와 덱스트린, 펜타에리스리톨, 폴리초산비닐수지,아라비톨,초산비닐, 클루코오스, 말토오스 중 어느 하나인 기포상승효과제 5~10중량부와 초산망간, 초산아연, 유산망간, 유산아연 중 어느 하나인 단열층형성촉진과 안정화 효과보조제 0.2~1.5중량부; 디시안디아마이드, 멜라민, 글리이신, 구아니딘, 요소 중 어느 하나인 불연가스발생제 5~12중량부; 규산나트륨 3종 37~40% 수용액, 규산리튬 24% 수용액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혼합된 바인더 10~40중량부; 붕산아연 6~18중량부 또는 트리폴리인산나트륨 2~10중량부 중 어느 하나인 바인더의 경화시간 제어 및 경화 후 수용성방지제;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중 어느 하나인 경화시간개선제 5~10중량부; 알킬나프탈렌 설포네이트(Alkyl naphthalene sulfonate), 소듐디알킬 설포석시네이트(Sodiunaialkyl sulfsuccinate) 중 어느 하나인 바인더 고착능력증가제 0.1~2.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난연화 코팅제를 제조하고 발포스티로폴 표면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의 제조방법.
  3. 난연성 발포스티로폴에 있어서, 난연제 10~30중량부, 무기충진제 5~30중량부, 단열층형성제로서 표면팽창제 5~20중량부 및 기포상승효과제 5~10중량부, 불연가스발생제 5~12중량부, 바인더 10~40중량부가 균일하게 혼합된 난연화 코팅제가 발포스티로폴 표면에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4. 제 3항에 있어서, 난연제는 수산화알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몰리브덴, 몰리브덴산 안티몬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5. 제 3항에 있어서, 무기충진제는 규산마그네슘(Sepiolite), 산화티탄, 알루미나, 세라믹분말, 규석(SiO2), 질화규소분말(Si3N4), 탄소섬유, 화산재분말(Maarlite), 규조토, 활석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6. 제 3항에 있어서, 표면팽창제는 마이크로 캡슐형 폴리인산암모늄, 포리인산멜라민, 인산멜라민, 인산암모늄, 인산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7. 제 3항에 있어서, 기포상승효과제는 덱스트린, 펜타에리스리톨, 포리초산비닐수지, 아라비아틀, 초산비닐,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8. 제 3항에 있어서, 불연가스발생제는 디시안디아마이드, 멜라민, 글리이신, 구아니딘, 요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9. 제 3항에 있어서, 바인더는 규산나트륨 3종 37~40% 수용액, 규산리튬 20~30% 수용액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KR1020040016106A 2004-03-10 2004-03-10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585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106A KR100585218B1 (ko) 2004-03-10 2004-03-10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106A KR100585218B1 (ko) 2004-03-10 2004-03-10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833A true KR20050090833A (ko) 2005-09-14
KR100585218B1 KR100585218B1 (ko) 2006-05-30

Family

ID=3727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106A KR100585218B1 (ko) 2004-03-10 2004-03-10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21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177B1 (ko) * 2007-03-22 2008-10-24 리머스(주) 발포 스티로폼 입자용 난연화 도포제 조성물, 그 제조방법,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난연화 도포제 조성물을이용한 난연처리방법
KR100865176B1 (ko) * 2007-03-22 2008-10-24 리머스(주) 수용성 난연제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해 제조된 난연제 조성물을 이용한 난연 처리 방법
KR100898418B1 (ko) * 2008-12-15 2009-05-21 (주)선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3073788A1 (ko) * 2011-11-17 2013-05-23 Sin Yong-Soon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21901B1 (ko) * 2012-01-31 2013-10-28 임홍빈 발포 폴리스티렌 폼 단열재의 난연성 조성물
KR101386396B1 (ko) * 2012-11-28 2014-04-17 김태경 난연성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438B1 (ko) 2011-09-29 2013-11-29 (주)폴머 상이한 난연성 스킨층을 갖는 발포 수지 입자의 복합에 의한 난연성 발포 수지 성형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177B1 (ko) * 2007-03-22 2008-10-24 리머스(주) 발포 스티로폼 입자용 난연화 도포제 조성물, 그 제조방법,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난연화 도포제 조성물을이용한 난연처리방법
KR100865176B1 (ko) * 2007-03-22 2008-10-24 리머스(주) 수용성 난연제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해 제조된 난연제 조성물을 이용한 난연 처리 방법
KR100898418B1 (ko) * 2008-12-15 2009-05-21 (주)선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0071298A2 (ko) * 2008-12-15 2010-06-24 (주)선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0071298A3 (ko) * 2008-12-15 2010-08-12 (주)선만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3073788A1 (ko) * 2011-11-17 2013-05-23 Sin Yong-Soon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21901B1 (ko) * 2012-01-31 2013-10-28 임홍빈 발포 폴리스티렌 폼 단열재의 난연성 조성물
KR101386396B1 (ko) * 2012-11-28 2014-04-17 김태경 난연성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5218B1 (ko)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1477A (en) Fire protected foamed polymeric materials
US11608472B2 (en) Method for imparting flame retardancy to a substrate material
KR101034033B1 (ko) 발포 스티렌폼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KR100919968B1 (ko) 발포성 내화피복재 조성물
KR100585218B1 (ko)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CN113150235A (zh) 一种可膨胀型石墨硬质聚氨酯复合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KR20080001702A (ko) 열발포성 방염조성물
KR20100120088A (ko) 불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 입자로 제조된 불연성 스티로폴
KR101093995B1 (ko)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KR101988230B1 (ko)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샌드위치 내화패널
JP2006525406A (ja) 耐火性に優れた発泡プラスチック成形体
KR20120075821A (ko) 난연 조성물
KR101979449B1 (ko) 단열재용 난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난연 단열재
ES2256519T3 (es) Espuma inorganica elastica.
KR101532274B1 (ko) 스티로폼 코팅용 난연재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 코팅된 스티로폼 및 이의 제조방법
JP6567295B2 (ja) 断熱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130257B2 (ja) 不燃性耐火組成物及び不燃性耐火発泡プラスチック
JPH108595A (ja) 防火付与組成物
TWI434917B (zh) 無害防火劑無蛋白質組成物及其製造方法
JP4077941B2 (ja) 難燃性有機断熱材
KR100865177B1 (ko) 발포 스티로폼 입자용 난연화 도포제 조성물, 그 제조방법,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난연화 도포제 조성물을이용한 난연처리방법
KR20130066455A (ko) 고단열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JP6209432B2 (ja) 火災延焼防止方法及び火災延焼防止装置
JP2006160858A (ja) 難燃被覆合成樹脂発泡体
KR20110060980A (ko) 포비성 알칼리 규산염계 내화피복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