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230B1 -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샌드위치 내화패널 - Google Patents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샌드위치 내화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230B1
KR101988230B1 KR1020170082618A KR20170082618A KR101988230B1 KR 101988230 B1 KR101988230 B1 KR 101988230B1 KR 1020170082618 A KR1020170082618 A KR 1020170082618A KR 20170082618 A KR20170082618 A KR 20170082618A KR 101988230 B1 KR101988230 B1 KR 101988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lame retardant
polystyrene foam
expanded graphite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140A (ko
Inventor
정상옥
김상준
Original Assignee
정상옥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옥,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filed Critical 정상옥
Priority to KR1020170082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2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36Forming foamed products using bind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2Inorgan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28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은 전체 중량에 대해서 탄산수소나트륨 5~38중량%, 팽창흑연 5~30중량%, 붕사 5~38중량%, 기타 무기화합물 11~42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산수소나트륨에 의하여 화재초기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부터 질식소화가 이루어지고, 또한 붕사의 사용으로 인하여 팽창흑연의 기여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결정수에 의한 소화가 이루어지며, 뿐만 아니라 붕사가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하여 팽창흑연의 형상유지가 종래보다 더 높은 온도까지 이루어지기 때문에, 탄산수소나트륨, 팽창흑연, 붕사의 유기적인 온도구간별 기능을 통하여 화재 초기부터 높은 온도에 이르기까지 뛰어난 난연성을 발휘하게 된다.

Description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샌드위치 내화패널{Fire retardant expanded-polystyrene foam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sandwich pan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난연제로서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여 화재초기부터 질식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나아가 난연제로서 팽창흑연과 함께 붕사를 사용함으로써 팽창흑연의 형상유지가 종래보다 더 높은 온도까지 이루어지도록 하는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폼을 심재로 이용하는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발포폴리스티렌폼(expanded polystyrene foam, EPS)은 일명 '스티로폼'이라고도 불리며, 건축용 단열재로서의 샌드위치 패널 심재로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샌드위치 패널(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샌드위치 패널(10)은 2개의 강판(11) 사이에 단열재인 심재(12)가 개재된 구조를 가지며, 심재(12)는 접착제(13)에 의해 강판(11)에 단단하게 접합된다. 심재(12)로는 발포우레탄, 스티로폼, 그라스 울(유리섬유), 미네랄 울 등이 사용되며, 접착제(13)로는 폴리우레탄 접착제가 많이 사용된다.
심재(12)로서 발포우레탄이나 스티로폼을 사용하는 경우, 패널이 가볍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방염효과가 떨어져 불이 빠른 속도록 확산됨으로 인해 화재를 진화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연소 시에 탄화 현상이 일어나고 유독가스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울(유리섬유)은 유리를 녹여 섬유형태로 만든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그라스 울을 심재(12)로 사용하는 경우, 발포우레탄이나 스티로폼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내화 성능은 우수하나 미세한 분진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하며 고가인 단점이 있다.
미네랄 울은 돌을 녹여 섬유형태로 만든 것을 말하며, 이러한 미네랄 울을 심재(12)로 사용하는 경우, 그라스 울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저렴하고 내화 성능이 있지만, 무겁고, 그라스 울처럼 분진에 유의하여 시공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심재(12)로서 방염효과가 취약한 스티로폼을 사용하는 경우 심재(12)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많은 시도가 있었다.
그 일환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06533호(2007.04.13.공고)에'난연성 고강도의 발포폴리스티렌 및 그를 이용한 판넬의 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0706533호는 발포폴리스티렌의 어느 한 면 이상에 일정한 깊이로 난연제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난연제로서 트리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TCPP), 트리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TCEP), 디페닐크레실포스페이트(DPCF), 디메틸메틸포스페이트(DMMP), 디페닐크레실포스페이트(DCP), 멜라민시아누레이트(MC), 멜라민포스페이트(MP), 만티모니트리옥시드(Sb2O3), 데카브로모디페닐옥사이드(DBPO),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TBBA) 및 물유리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19407호(2009.02.25.공개)에 개시된 '난연 발포폴리스티로품 및 그를 심재로 사용한 샌드위치판넬'도 이러한 예들 중의 하나이다. 상기 공개특허 제2009-19407호는 발포폴리스티로폼의 적어도 일면에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인계 난연제와, 이산화규소의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지는 무기계 난연제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렇게 유기계 난연제나 금속산화물을 사용하는 것 가지고는 화재의 번짐을 방지하는 내화기능에 여전히 모자람이 많다.
이에 내화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팽창흑연을 접목코자 하는 시도가 많이 있었다. 비록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스티로폼에 관한 것은 아니기는 하지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94801호(2015.02.23.공고)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38719호(2015.07.28.공고)에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제조 시에 팽창흑연과 함께 설탕인산캐러멜을 첨가하여 내화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팽창흑연은 화재발생시 팽창하여 단열층을 형성함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데, 이러한 팽창 시에 낮은 비중과 결속력으로 인하여 쉽게 비산(飛散)되어 지속적인 단열층을 형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상기 특허들은 설탕인산카라멜을 이용하여 팽창흑연의 형상 붕괴를 방지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설탕인산카라멜은 일종의 유기화합물로서 낮은 온도에서 탄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정작 화재가 발생하여 어느 정도 온도가 상승하면 팽창흑연의 형상유지라는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점을 극복하지는 못한다.
역시,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스티로폼에 관한 것이 아니기는 하지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13560호(2015.04.21.공고)에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난연제로서 팽창흑연 등을 첨가할 경우에 이러한 난연제 성분으로 인하여 접착성능이 하락해 버리기 때문에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전체적인 접착력을 향상시켜주기 위하여 유기바인더를 첨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역시 바인더가 유기화합물 계열이므로 낮은 온도에서 탄화되어 버리는 단점으로 인해 방염효과의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팽창흑연은 총 중량 중 20% 정도가 팽창력을 위한 질산 혹은 황산 처리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질산 혹은 황산처리물이 층간에 포함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시에 연소ㅇ가스화 되면서 그 때 생긴 가스의 방출로 인해 층과 층 사이가 폭발적으로 확대되어 팽창하면서 단열층을 형성한다. 이 때 팽창개시온도가 통상 150~500℃ 정도 되므로 그 이하의 온도에 있는 화재 초기에는 제 역할을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06533호(2007.04.13.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19407호(2009.02.25.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94801호(2015.02.23.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38719호(2015.07.28.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13560호(2015.04.21.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재 발생시 온도 대역별로 화재 진화에 최적화된 물질로 난연제를 구성하되 팽창흑연의 형상유지를 위해서 유기화합물이 아닌 무기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화재초기부터 진압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팽창흑연의 형상유지가 이루어져 뛰어난 고온 방염효과를 갖는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을 이용하는 샌드위치 내화패널을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은 난연제로서 탄산수소나트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은 난연제로서 팽창흑연 및 붕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5~38중량%, 상기 팽창흑연은 5~30중량%, 상기 붕사는 5~38중량% 만큼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 제조방법은,
발포된 EPS 비드들의 표면에 탄산수소나트륨, 팽창흑연, 및 붕사가 포함되는 난연 코팅액을 코팅하는 제1단계;
제1단계를 거친 EPS 비드들의 표면에 접착제를 코팅하고 건조시키는 제2단계; 및
제2단계를 거친 EPS 비드들을 성형하여 발포폴리스티렌폼을 얻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난연 코팅액의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해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5~38중량%, 상기 팽창흑연은 5~30중량%, 상기 붕사는 5~38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로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난연패널은 상부기재와 하부기재 사이에 심재로서 상기 발포폴리스티렌폼이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산수소나트륨에 의하여 화재초기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부터 질식소화가 이루어지고, 또한 붕사의 사용으로 인하여 팽창흑연의 기여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결정수에 의한 소화가 이루어지며, 뿐만 아니라 붕사가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하여 팽창흑연의 형상유지가 종래보다 더 높은 온도까지 이루어지기 때문에, 탄산수소나트륨, 팽창흑연, 붕사의 유기적인 온도구간별 기능을 통하여 화재 초기부터 높은 온도에 이르기까지 뛰어난 난연성을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샌드위치 패널(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5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내화패널(6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 성분 및 함량]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은 전체 중량에 대해서 탄산수소나트륨 5~38중량%, 팽창흑연 5~30중량%, 붕사 5~38중량%, 기타 무기화합물 11~42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산수소나트륨, 팽창흑연, 및 붕사는 상호 유기적으로 연관되면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들의 위와 같은 함량비는 매우 중요하다.
1.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가열하면 화재 진화에 유용한 이산화탄소(CO2)와 물(H2O)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반응은 화재의 발생 직후 온도인 100~200℃ 정도에서 일어나므로, 화재 발생 직후에서부터 불의 전이를 막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팽창흑연의 층간에 포함되어 있는 황산, 질산과 같은 산과 작용하여도 위와 같은 반응이 발생하므로 팽창흑연과도 연동하여 소화에 기여하게 된다.
2. 팽창흑연
팽창흑연은 총 중량 중 20% 정도가 팽창력을 위한 질산 혹은 황산처리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질산 혹은 황산처리물이 층간에 포함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시에 연소·가스화 되면서 이때 생긴 가스의 방출로 인해 층과 층 사이가 폭발적으로 확대되어 팽창하면서 단열층을 형성하여 화재의 번짐을 차단한다.
화재 발생 5-10분 후의 초기단계에서는 온도가 500~600℃까지 올라가는데, 이러한 초기단계에서 많은 유기물이 열분해해 가연가스를 발생시키고 그로 인해 불이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화재 초기 단계인 500~600℃에서의 난연 성능이 중요하다. 이 때, 상술한 팽창흑연의 팽창개시온도가 약 150~300℃ 정도이므로 팽창흑연은 화재의 초기 진압에 큰 역할을 한다.
3. 붕사
팽창흑연은 팽창 시에 낮은 비중과 결속으로 인하여 쉽게 비산되어 지속적인 단열층을 형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팽창흑연의 비산방지를 위한 비산방지제로서 종래와 같이 설탕인산카라멜 등과 같은 유기화합물을 사용할 경우, 화재가 발생하여 어느 정도 온도가 상승하면 유기화합물이 탄화되어 버려 팽창흑연의 형상 붕괴를 제대로 막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기화합물인 붕사(Borax, 4붕산나트륨 10수화물, NaB4O7ㆍ10H2O)를 팽창흑연의 비산방지제로 사용한다.
붕사 결정은 10분자의 물을 함유하며 300~450℃로 가열하면 결정수를 잃고 팽창하여 무수물이 된다. 계속 가열하면 900℃에서 융해하여 투명한 유리상이 된다. 따라서 팽창흑연의 기여 온도보다 높은 300~450℃의 온도에서도 결정수에 의한 소화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거의 900℃에서도 팽창흑연의 형상유지를 위한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4. 기타 무기화합물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발포 폴리우레탄에는 기타 무기화합물로서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 하이드록시탄산마그네슘(magnesium hydroxycarbonate), 탄산칼슘(CaCO3), 규산염(silicate)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하이드로탈사이트는 수산화물의 일종으로, 2가 또는 3가의 금속 양이온이 가운데 중심에 위치하고 6개의 수산화 이온(OH-)이 금속 양이온을 둘러싸는 팔면체 구조를 기본 단위체로 하여, 팔면체 단위체가 반복됨으로써 두개의 층을 형성하는 2중층(double layer) 구조를 가지며, 2중층 사이에 음이온과 물 분자가 위치하여 하전량의 평형을 유지하고 있는 물질이다. [M 1-XM x(OH)2(An-)2/nㅇmH2O]의 일반식으로 통상 표현된다. 여기서, M는 2가 금속이고, M는 3가 금속이며, An-은 n의 원자가를 갖는 음이온이다.
하이드로탈사이트는 2중층 사이의 물 분자(결정수) 외에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물 분자를 함유하고 있으며, 하이트로탈사이트에 열이 가해지면 먼저 표면에 흡착된 물 분자가 제거되고, 이 보다 더 높은 온도로 가열되면 2중층 사이의 물 분자(결정수)가 제거된다. 따라서 불이 번지는 것이 이러한 물에 의하여 방지된다.
하이드록시탄산마그네슘(3MgCO3ㆍMg(OH)2ㆍ3H2O)은 200~300℃ 부근에서 OH기가 탈락하며 H2O를 생성하여 난연 기능을 발휘하며, 또한 400~500℃에서 CO2를 방출하여 난연 기능을 발휘한다.
탄산칼슘은 가열되면 소화에 유용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킬 뿐 만 아니라 팽창흑연에 포함되어 있는 질산과 황산과 같은 산과 반응하여서도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킨다.
규산염은 각종 규산의 수소가 금속 원자와 치환된 중성염을 의미하며, 일반식 xMI 2OㅇySiO2 (M은 1가의 금속)로 표현된다. 그 자체로도 방화성을 가지며, 가열되면 유리상을 형성하여 팽창흑연의 형상 유지에 기여한다.
본 발명자는 여러 실험을 통하여 규산칼륨(potassium silicate)과 규산소다(sodium silicate) 등의 경우 액체 상태(물유리)에서 강알칼리성을 나타내어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의 제조과정에서 사용되는 바인더의 안정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규산염 계열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선택을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폴리스티렌폼(500)의 제조방법]
발포폴리스티렌폼에 위와 같은 난연제를 부여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째는 이미 성형된 발포폴리스티렌폼에 난연 코팅액을 주입하여 코팅하는 방법이며, 둘째는 발포된 EPS 비드(bead)를 난연 코팅액으로 코팅한 후 성형하여 발포폴리스티렌폼을 얻는 방법이다.
전자의 경우, 공정과정이 단순하고 충분한 양의 코팅액을 주입하여 난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코팅 과정에서 몰드 밖으로 난연 코팅액이 흘러나와 샌드위치 내화패널의 제작 과정 중에 철판을 붙일 때 접착성을 저해할 수 있으며, 난연 코팅액 주입 이후 수일간의 건조시간이 필요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후자의 경우, EPS 비드에 골고루 난연 코팅액을 코팅시킬 수 있으며 첨가하는 난연제의 종류와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잘못된 난연 코팅액으로 코팅하였을 때에 발포폴리스티렌폼의 성형이 아예 불가하기 때문에 알맞은 난연 코팅액을 선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자는 위 두 가지 공정의 장단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에, 알맞은 난연 코팅액이 전제만 된다면 도 2에서와 같이 후자의 경우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연구 및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제인 탄산수소나트륨, 팽창흑연, 붕사, 기타 무기화합물을 적절한 방법으로 예컨대 바인더 및 물과 함께 혼합함으로써 원하는 함량 및 성분을 갖는 난연 코팅액(110)을 제조한다.
이 때, 난연 코팅액(110)은 코팅액의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해 탄산수소나트륨 5~38중량%, 팽창흑연 5~30중량%, 붕사 5~38중량%, 기타 무기화합물 11~42중량% 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 일부 성분은 제외될 수도 있다. 바인더로서는 EVA(Ethylene-Vinyl Acetate) 또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EPS 비드(120)를 발포기(200)로 제공하여 발포시킨 후, 발포기(200)에 난연 코팅액(110)을 제공함으로써, 발포된 EPS 비드(120)의 표면이 난연 코팅액(110)으로 코팅되도록 한다. 이 때 난연 코팅액(110)은 EPS 비드(120) 100중량부에 대하여 50~150 중량부 만큼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 코팅액(110)이 EPS 비드(120)에 골고루 코팅되도록 난연 코팅액(100)은 발포기(200)에 스프레이 분사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 코팅액(110)으로 코팅된 발포 EPS 비드(120)는 혼합건조기(300)에 제공된다. 혼합건조기(300)에서는 EPS 비드(120)에 유기접착제를 스프레이 형식으로 분사하며 그와 동시에 열을 가하여 코팅된 EPS 비드(120)를 건조시킨다. 유기접착제로서는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등이 선택될 수 있다.
건조된 EPS 비드(120)는 몰드(400)에 제공된다. EPS 비드(120)가 몰드(400)의 모양에 맞게 모두 주입되면 몰드에 110~130kPa의 압력과 함께 110~120℃의 스팀(steam)을 가한다. 그러면 EPS 비드(120)가 몰드(400)의 모양에 맞게 성형됨으로써 난연액으로 코팅된 발포폴리스티렌폼(EPS, 500)이 얻어진다.
성형이 완료된 발포폴리스티렌폼(500)을 몰드(400)에서 탈형시키면 발포폴리스티렌폼(500)의 제조가 완료되며, 발포폴리스티렌폼(500)의 단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코팅공정이 수반될 수 있다.
[샌드위치 내화패널(600)의 제조방법]
위의 몰드(400)의 성형이 상부기재(601)와 하부기재(602) 사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면 별도의 접착제가 부가적으로 사용되지 않더라도 위 MDI(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와 같은 접착제 성분에 의해서 발포폴리스티렌폼(500)이 상부기재(601)와 하부기재(602)에 접착된 상태의 도 3a와 같은 샌드위치 내화패널(600)이 얻어진다. 상부기재(601)와 하부기재(602)는 종래와 같이 강판이 사용될 것이다.
한편, 도 3b에서와 같이 발포폴리스티렌폼(500)과 상하부기재(601, 602) 사이에 접착제(603), 예컨대 폴리우레탄이 별도로 더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예컨대 도 4에서와 같이 롤러(250)를 사이에 두고 발포폴리스티렌폼(500)을 이송시키면서 상하부기재(601, 602)와 발포폴리스티렌폼(500) 사이의 틈에 접착제(603)를 주입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발포폴리스티렌 단열재를 이용한 종래의 샌드위치 패널의 경우 열에 약해 수축변형이 크고 작은 불씨에 의해 전체 형상이 순간적으로 변해버릴 뿐 아니라 연소 시에 대량의 연기를 발생하게 되어 대형화재 참사로 이어져 많은 인명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탄산수소나트륨에 의하여 화재초기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부터 질식소화가 이루어지고, 또한 붕사의 사용으로 인하여 팽창흑연의 기여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결정수에 의한 소화가 이루어지며, 뿐만 아니라 붕사가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하여 팽창흑연의 형상유지가 종래보다 더 높은 온도까지 이루어지기 때문에, 탄산수소나트륨, 팽창흑연, 붕사의 유기적인 온도구간별 기능을 통하여 화재 초기부터 높은 온도에 이르기까지 뛰어난 난연성을 발휘하게 된다.
110: 난연 코팅액 120: EPS 비드
200: 발포기 250: 롤러
300: 혼합건조기 400: 몰드
500: 발포폴리스티렌폼(EPS) 600: 샌드위치 내화패널
601: 상부기재 602: 하부기재
603: 접착제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발포된 EPS 비드들의 표면에, 바인더, 물 및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 코팅액을 코팅하는 제1단계;
    제1단계를 거친 EPS 비드들의 표면에 접착제를 코팅하고 건조시키는 제2단계; 및
    제2단계를 거친 EPS 비드들을 성형하여 발포폴리스티렌폼을 얻는 제3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난연 코팅액은 상기 난연 코팅액의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해서 탄산수소나트륨 5~38중량%, 팽창흑연 5~30중량%, 붕사 5~38중량% 및 기타 무기화합물 11~42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기타 무기화합물은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 하이드록시탄산마그네슘(magnesium hydroxycarbonate), 탄산칼슘(CaCO3) 및 규산염(silicat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 제조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난연 코팅액의 양이 상기 EPS 비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50~15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 제조방법.
  7. 상부기재와 하부기재 사이에 심재로서 제4항에 의하여 제조된 발포폴리스티렌폼이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내화패널.
KR1020170082618A 2017-06-29 2017-06-29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샌드위치 내화패널 KR101988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618A KR101988230B1 (ko) 2017-06-29 2017-06-29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샌드위치 내화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618A KR101988230B1 (ko) 2017-06-29 2017-06-29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샌드위치 내화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40A KR20190002140A (ko) 2019-01-08
KR101988230B1 true KR101988230B1 (ko) 2019-06-12

Family

ID=6502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618A KR101988230B1 (ko) 2017-06-29 2017-06-29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샌드위치 내화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2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093B1 (ko) 2022-11-30 2023-10-04 임상수 가결합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272B1 (ko) * 2019-02-25 2019-08-20 주식회사 디케이보드 난연비드 및 난연성 보드
KR102488187B1 (ko) * 2022-05-18 2023-01-12 이희구 나트륨이 함유된 포말 소화액을 이용한 침전식 난연 스티로폼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646584A (en) * 1984-09-13 1986-03-20 Hicks, H. Fire-retardant polyurethane foam
KR100706533B1 (ko) 2005-07-26 2007-04-13 보경판넬(주) 난연성 고강도의 발포폴리스티렌 및 그를 이용한 판넬의제조방법
KR20090019407A (ko) 2007-08-21 2009-02-25 (주)이씨씨비앤피 난연 발포폴리스티로폼 및 그를 심재로 사용한 샌드위치판넬
KR100986100B1 (ko) * 2008-10-29 2010-10-07 정우화인 주식회사 난연성 이피에스 예비발포체의 코팅 방법
KR20130136625A (ko) * 2012-06-05 2013-12-13 (주)실빅스 난연 코팅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 폼
KR101536645B1 (ko) * 2013-10-01 2015-07-14 이제훈 물을 사용하지 않는 난연성능 향상 스티로폼 건식제조방법
KR101494801B1 (ko) 2013-12-10 2015-02-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설탕가인산분해반응 및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성 접착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538719B1 (ko) 2014-04-25 2015-07-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열팽창성 접착제를 이용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KR101513560B1 (ko) 2014-10-31 2015-04-21 김유석 난연성 이액형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093B1 (ko) 2022-11-30 2023-10-04 임상수 가결합 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40A (ko) 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230B1 (ko) 난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샌드위치 내화패널
KR100799282B1 (ko) 난연 발포폴리스티렌 블록 및 형물의 제조방법
NO145957B (no) Flamme- og varmehemmende paneler.
KR20180120383A (ko) 난연성 발포 폴리우레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폴리우레탄 내화보드 및 샌드위치 내화패널
KR20180117511A (ko) 난연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20090019087A (ko) 건축 보온 단열재용 난연 질석 스티로폼 보드
KR101372517B1 (ko) 내화성 커튼월용 경량 무기발포 내화보드
KR101618654B1 (ko) 친환경 및 무독성 발포방염제가 코팅된 방염망
KR101075141B1 (ko) 난연성제가 주입된 스치로폼과 불연 단열재가 결합된 판넬
KR101321901B1 (ko) 발포 폴리스티렌 폼 단열재의 난연성 조성물
JP2006525406A (ja) 耐火性に優れた発泡プラスチック成形体
KR102237988B1 (ko)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
KR101489583B1 (ko)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난연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S5815577B2 (ja) 防火パネル
KR101795750B1 (ko) 난연제 조성물, 난연성 스티로폼 및 그 제조방법
KR101532274B1 (ko) 스티로폼 코팅용 난연재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 코팅된 스티로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8033B1 (ko) 난연성 스티로폼이 적용된 내화 충전벽체구조
KR100585218B1 (ko) 발포스티로폴의 난연화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556207B1 (ko) 난연성 eps 비드 제조용 유무기복합 난연성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난연성 eps 비드 및 상기 난연성 eps 비드 제조방법
KR100699592B1 (ko) 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의 불연성 침투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20100115916A (ko) 내열성 및 단열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102103775B1 (ko) 팽창질석과 발포수지를 이용한 단열패널 제조방법
KR20180137317A (ko) 폐스티로폼, 폐우레탄을 분쇄할용하는 무기질난연제 첨가 단열판넬 제조방법
KR20120077746A (ko) 내화성 커튼월용 무기발포 내화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량 무기발포 내화보드
KR100584160B1 (ko)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