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160B1 -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160B1
KR100584160B1 KR1020040018261A KR20040018261A KR100584160B1 KR 100584160 B1 KR100584160 B1 KR 100584160B1 KR 1020040018261 A KR1020040018261 A KR 1020040018261A KR 20040018261 A KR20040018261 A KR 20040018261A KR 100584160 B1 KR100584160 B1 KR 100584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weight
starch
building
cor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043A (ko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에스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피테크 filed Critical (주)에스피테크
Priority to KR1020040018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16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1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4Earth or grounding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98Shielding materials for shielding electrical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내장재에 투입되는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용 내장재에 투입되는 난연제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함량 중 물 40~60중량%, 액상 규산나트륨 30~45중량%, 난연첨가제로서 제일인산나트륨, 수산화마그네슘,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안티몬, 몰리브덴산염 및 주석산아연 중 선택된 1종 이상 2~15중량%, 상기 난연첨가제의 중량에 대하여 전분을 3~10중량%, 상기 전분의 중량에 대하여 PVA를 1~5중량% 함유하는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조립식 패널 구조체용 심재 등에 투입하여 난연성능이 뛰어나고 건축용 내장재로 사용가능한 강도가 발현되는 한편, 시공시 분진이 발생되지 않는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난연제, 액상 규산나트륨, 전분, PVA

Description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A fire preventive composition for architecture}
본 발명은 건축용 내장재에 투입되는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용 내장재에 투입되는 난연제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함량 중 물 40~60중량%, 액상 규산나트륨 30~45중량%, 난연첨가제로서 제일인산나트륨, 수산화마그네슘,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안티몬, 몰리브덴산염 및 주석산아연 중 선택된 1종 이상 2~15중량%, 상기 난연첨가제의 중량에 대하여 전분을 3~10중량%, 상기 전분의 중량에 대하여 PVA를 1~5중량% 함유하는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조립식 패널은 약 0.5㎜ 정도의 강판 사이에 흡음성이나 단열성이 있는 심재를 넣어 접착시켜 제조되므로 지지성능을 위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압축강도가 필요하다. 현재 상기 심재로 주로 폴리우레탄폼, 스티로폼과 같은 유기질 재료와, 유리면, 암면과 같은 무기질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질 재료의 경우 필요로하는 압축강도는 발현되나 화재발생시 난연성능이 취약하여 점 차 활용성이 떨어지고 있다. 반면, 무기질 재료의 경우 난연성능은 우수하나 제조공정상의 분진발생 및 인체유해성으로 인하여 작업자나 시공자들이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건축자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흡음단열재는 타 유기질재료와는 달리 연소시에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유리면이나 암면과 같은 무기섬유질 재료에 비하여 시공상의 용이성이나 인체무해성, 환경변화에 따른 형태변형이 없는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각광받고 있으나, 난연성능의 미흡으로 인하여 용도확대에 많은 장애가 있다.
이에 여러종류의 난연성 내장재가 개발되고 있는데, 25㎜ 이하의 두께, 150㎏/㎡ 이상의 고밀도로밖에 제조할 수 없어, 50㎜이상의 두께와 70㎏/㎡이하의 저밀도를 필요로 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의 심재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자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의 심재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난연심재 및 그 제조방법을 개발하여 2003. 4. 11. 제2003-23123호로 대한민국에 특허출원하였다.
그러나 이는 건축용 자재로 사용하기 위한 강도가 떨어지고 시공시 분진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난연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실험을 거듭한 결과, 특허출원 제2003-23123호의 발명보다 압축강도가 강하고 시공시 분진이 발생되지 않는 난연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축용 내장재로써 난연성이 뛰어나면서 압축강도가 발현되고, 시공시 분진이 발생되지 않는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용 내장재에 투입되는 난연제에 있어서, 전체 난연제 조성물 함량 중 물 40~60중량%; 액상 규산나트륨 30~45중량%; 난연첨가제로써 제일인산나트륨, 수산화마그네슘,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안티몬, 몰리브덴산염 및 주석산아연 중 선택된 1종 이상 2~15중량%; 상기 난연첨가제의 중량에 대하여 전분을 3~10중량%; 상기 전분의 중량에 대하여 PVA를 1~5중량% 함유하는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난연제는 연소하기 쉬운 성질을 가진 고분자 재료에 할로겐, 인, 질소, 수산화 금속화합물 등의 난연성 부여효과가 큰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발화를 늦춰주 고, 연소의 확대를 막아주는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난연성분의 물질을 고분자 재료 내에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반응형 난연제와 난연제를 고분자 재료에 물리적으로 첨가하는 첨가형 난연제로 분류된다. 그 중 첨가형 난연제에는 크게 유기난연제 및 무기난연제가 있으며, 유기난연제로 인계, 질소계, 할로겐계 등이 있고, 무기난연제로 붕소화합물, 삼산화안티몬,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건축용 내장재에 투입되는 난연제는 액상 규산나트륨과 난연첨가제로서 제일인산나트륨, 수산화마그네슘,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안티몬, 몰리브덴산염 및 주석산아연 중 선택된 1종 이상 이외에 상기 난연첨가제의 중량에 대하여 전분을 3~10중량% 및 상기 전분의 중량에 대하여 PVA를 1~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전분과 PVA가 혼합되어 난연제에 투입됨으로써 발포된 후에도 폴리에스테르 심재가 견고하고 단단하게 되며, 시공시에도 분진의 발생이 없으므로 건축용 자재로 사용되는 데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전체 난연제 조성물 100g 중 물 55.07중량%; 액상 규산나트륨 38.5중량%; 수 산화알루미늄 2.03중량%, 산화안티몬 2.835중량%, 전분을 1.52중량%; PVA를 0.045중량% 혼합하여 난연제를 제조한다.
건축용 내장재로써 폴리에스테르 심재에 상기의 조성에 의한 난연제를 노즐식 스프레이로 분사하여 침투시키고, 롤러에 의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심재를 압축하여 내장재 내부에 난연제를 침투시킨 후 흡인력 조절이 가능한 타공롤러를 통해 상기 심재의 잉여투입액을 제거하고, 상기 제거공정에서 반건조된 폴리에스테르 심재를 열풍건조 및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완전건조시킨 후 발포용 콘베이어 벨트를 지나면서 발포시켜 폴리에스테르 심재를 제조한다.
<비교예 1>
전체 난연제 조성물 100g 중 물 54.5중량%; 액상 규산나트륨 43.19중량%; 수산화알루미늄 1.503중량%, 산화안티몬 0.807중량% 혼합하여 난연제를 제조하고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같은 크기의 폴리에스테르 심재를 제조한다.
<비교예 2>
전체 난연제 조성물 100g 중 물 62.8중량%; 액상 규산나트륨 25.7중량%; 수산화알루미늄 1.103중량%, 산화안티몬 0.505중량%, 전분 9.892중량% 혼합하여 난연제를 제조하고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같은 크기의 폴리에스테르 심재를 제조한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심재와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심재에 대하여 연소실험을 하여 시간에 따른 연기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육안검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구 분 0~10sec 10~30sec 30~100sec 100sec~150sec 150sec 이상
통상의 심재 × × ×
비교예 1
비교예 2 ×
실시예
(○: 연기발생량 없음, △ : 연기발생량이 육안으로 확인되지는 않으나 냄새로 확인됨, × : 연기발생량 육안으로 확인됨)
상기 실험결과 통상의 심재는 10초가 경과되면서 냄새가 나면서 30초 경과시 연기가 발생되는 상태가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비교예 1의 난연제가 투입된 심재는 100초가 경과된 후에 냄새가 나는 데 그쳤으며, 비교예 2의 난연제가 투입된 심재는 30초 경과시 냄새로 확인된 후 100초가 지나면서 연기가 발생되는 것이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난연제를 사용한 경우 100초가 경과되면서 냄새가 나는데 그쳤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액상 규산나트륨과 난연첨가제의 함량비율이 낮은 비교예 2의 경우 난연성능이 낮았으며, 실시예와 비교예 1의 경우 난연성이 양호함이 입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심재와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심재에 대하여 밀도측정기를 이용하여 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구 분 밀도(g/㎤)
통상의 심재 0.240
비교예 1 0.710
비교예 2 0.710
실시예 0.710
상기 실험결과 통상의 심재의 밀도는 0.240g/㎤ 였으며,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의 난연제가 투입된 심재의 밀도는 0.710g/㎤로써 모두 동일하였다.
상기와 같이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난연제가 투입된 심재의 밀도를 0.710g/㎤로 동일하게 하여 하기의 강도 측정 및 분진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심재와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심재에 대하여 통상의 강도측정방법을 이용하여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구 분 강도(kgf/㎠)
통상의 심재 11.5
비교예 1 78.4
비교예 2 103.2
실시예 106.4
상기 실험결과, 통상의 심재의 강도는 매우 미약함을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조립식 패널의 제작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에 의하여 제조된 난연제를 투입시킨 심재의 경우, 통상의 심재에 비하여 강도는 많이 높아졌으며, 건축법의 기준강도보다 높아 조립식 패널로의 제작은 가능하나, 예컨대 6m 이상의 조립식 패널로의 제작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한편 비교예 2 및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난연제를 투입시킨 심재의 경우, 상기 비교예 1에 의하여 제조된 난연제를 투입시킨 경우보다도 강도가 두 배로 증가되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12m 이상의 장판 조립식 패널로의 제작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심재와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심재를 절단하면서 분진의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구 분 제품 절단작업 3분경과 제품절단작업 6분경과 제품 절단작업 9분경과
통상의 심재
비교예 1 × ×
비교예 2
실시예
(○ : 분진 발생량 없음, △ : 분진 발생량이 육안으로 확인됨, × : 분진 발생량이 많아 시계가 흐림)
상기 실험결과, 통상의 심재는 제품을 절단한 후 9분이 경과하였을 때 분진이 미세하게 육안으로 관찰될 정도로 분진 발생정도가 양호하나 난연성 제품이 아니며, 비교예 1에 의하여 제조된 난연제를 투입시킨 심재의 경우 제품을 절단하자마자 분진이 발생되기 시작하여 분진이 과다하게 발생되어 건축용 조립식 패널을 제조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 및 비교예 2에 의하여 제조된 난연제를 투입시킨 심재의 경우 분진 발생량이 양호함을 볼 수 있으며, 따라서 난연성 건축용 조립식 패널의 제조가 용이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투입액 조성물은 조립식 패널 구조체용 심재 등에 투입하여 난연성능이 뛰어나면서 건축용 내장재로 사용가능한 강도가 발현되는 한편, 시공시 분진이 발생되지 않는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건축용 내장재에 투입되는 난연제 조성물에 있어서,
    전체 난연제 조성물 함량 중 물 40~60중량%;
    액상 규산나트륨 30~45중량%;
    난연첨가제로서 제일인산나트륨, 수산화마그네슘,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안티몬, 몰리브덴산염 및 주석산아연 중 선택된 1종 이상 2~15중량%;
    상기 난연첨가제의 중량에 대하여 전분을 3~10중량%;
    상기 전분의 중량에 대하여 PVA를 1~5중량% 함유하는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
KR1020040018261A 2004-03-18 2004-03-18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 KR100584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261A KR100584160B1 (ko) 2004-03-18 2004-03-18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261A KR100584160B1 (ko) 2004-03-18 2004-03-18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043A KR20050093043A (ko) 2005-09-23
KR100584160B1 true KR100584160B1 (ko) 2006-05-26

Family

ID=3727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261A KR100584160B1 (ko) 2004-03-18 2004-03-18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1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9100B1 (en) * 2017-08-30 2018-05-15 Paul Moran Fire retardant compos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0301A1 (en) * 2005-10-05 2007-04-12 Ik Steel Co.,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sulation board with noninflammab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38822B1 (ko) * 2007-11-20 2008-06-17 듀라케미 (주) 발포 팽창성 난연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856329B1 (ko) * 2007-12-12 2008-09-03 이재만 수성 난연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231A (ko) * 1997-10-23 1999-05-15 채영훈 난연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231A (ko) * 1997-10-23 1999-05-15 채영훈 난연제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3323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9100B1 (en) * 2017-08-30 2018-05-15 Paul Moran Fire retardant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043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000B1 (ko) 재활용 준불연 단열재
KR101796067B1 (ko) 발포폴리스티렌 입자를 이용한 포장용 스티로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포장용 스티로폼
WO200810559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ame-retardant expanded polystyrene blocks and molded products
KR100873652B1 (ko) 난연화 도포제, 이의 제조방법 및 발포 스티로폼 입자 난연처리 방법
KR20180117511A (ko) 난연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JP2023514083A (ja) フェノール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07647A (ko) 건축물 외벽 단열층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내화성 표면마감재의 조성물 및 시공방법
KR100584160B1 (ko)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
KR101321901B1 (ko) 발포 폴리스티렌 폼 단열재의 난연성 조성물
KR101489583B1 (ko)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난연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10877B1 (ko) 케나프 부직포를 이용한 준불연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07245B1 (ko) 불연성 무기질 단열재
KR101532274B1 (ko) 스티로폼 코팅용 난연재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 코팅된 스티로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5750B1 (ko) 난연제 조성물, 난연성 스티로폼 및 그 제조방법
KR102334180B1 (ko) 다공성 폼 단열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폼 단열보드
KR20010014221A (ko) 내화액 및 그 제조방법과 그 내화액을 사용한 내화재,내화건재와 내화성 접착제
KR20060081492A (ko) 폴리에스테르 보온단열재
KR100479970B1 (ko) 무기질 발포체를 포함하는 무기질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37301B1 (ko)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 조성물
KR100865177B1 (ko) 발포 스티로폼 입자용 난연화 도포제 조성물, 그 제조방법,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난연화 도포제 조성물을이용한 난연처리방법
JPH02209229A (ja) 断熱複合パネル
KR860002059B1 (ko) 건축용 섬유판
KR20100045114A (ko) 불연성 무기질 단열재
KR100690283B1 (ko) 환경친화형 내화경량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로써 제조된내화경량패널
KR20090095889A (ko) 난연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