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852A -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 Google Patents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852A
KR20050089852A KR1020057011940A KR20057011940A KR20050089852A KR 20050089852 A KR20050089852 A KR 20050089852A KR 1020057011940 A KR1020057011940 A KR 1020057011940A KR 20057011940 A KR20057011940 A KR 20057011940A KR 20050089852 A KR20050089852 A KR 20050089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roof
trapezoidal
ceil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스즈키
에미코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다카시 스즈키
에미코 스즈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시 스즈키, 에미코 스즈키 filed Critical 다카시 스즈키
Publication of KR20050089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85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04H15/16Ventilating of tent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8Closures; Awnings; Sunshades

Abstract

상부에 천막지붕을 가지는 외주(外周)개방형 야외텐트의 지붕높이를 낮게 억제하여, 갑작스런 강한 횡풍(橫風)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깊이(depth)가 긴, 큰 바닥면적을 가지는 야외텐트의 실현을 도모한다.
상부에 천막지붕을 가지는 외주개방형 야외텐트로서, 천막지붕이, 좌우의 수직인 측면(100)이 사다리꼴(臺形)이고 천정부(100a)가 평탄하고 전후면이 하측으로 내려가는 사면(斜面)인 천막(1)과, 그 천막(1)을 지지하는 좌우의 측면이 사다리꼴골조(臺形骨組)와 동(同) 좌우의 사다리꼴골조 사이에 사다리꼴골조의 코너부에 양단을 고정하여 횡으로 가설(橫架)되는(cross-link) 4개의 가교(架橋; cross-linked) 골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횡풍대응형 야외텐트{Field tent against crosswind}
본 발명은, 상부에 천막지붕을 가지는 외주(外周)개방형 야외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붕의 구조에 특징을 가지는 횡풍(橫風; crosswind)대응형 텐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부에 천막지붕을 가지는 외주개방형 야외텐트에서는,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도 용이하다는 점에서, 좌우의 수직인 측면이 삼각형을 이루는 박공지붕(gable roof)의 것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박공지붕의 야외텐트에서는, 텐트가 대형(大型)이 되어 깊이(depth)가 확대되면 지붕의 높이는 높아져서, 골조에 천막을 씌우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질 뿐 아니라, 횡풍을 받는 지붕면적이 커져서, 갑작스런 강한 횡풍에 대한 위험도가 높아진다고 하는 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상부에 천막지붕을 가지는 외주개방형 야외텐트의 지붕높이를 낮게 억제하여, 갑작스런 강한 횡풍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깊이가 긴, 큰 바닥면적을 야외텐트의 실현을 도모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d)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설명용 사시도이다.
도 3은,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예의 골조의 사시도,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예의 보강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골조의 사시도, (b)는, 제2실시예의 보강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골조의 사시도, (b)는, 제3실시예의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설명용 사시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계지수단의 설명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계지수단의 설명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수직인 측면이 사다리꼴이고 천정부가 평탄한 천막지붕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와, 종래의 박공지붕의 야외텐트의 높이를 비교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수직인 측면이 사다리꼴이고 천정부가 평탄한 천막지붕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와, 종래의 박공지붕의 야외텐트와, 제3실시예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의 높이를 비교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골조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텐트 부상력(blowing-up wind pressure)의 대비표이다.
도 13은, 풍향측 부상력의 대비표이다.
<부호의 설명>
1 : 본 발명의 수직인 측면이 사다리꼴인 천막
1' : 종래의 박공지붕형 천막
2 : 골조
3 : 마룻대(ridge beam)
4 : 대들보(side beam)
5 : 서까래(rafter)
6 : 폴 플레이트(pole plate)
7 : 엔드 플레이트(end plate)
8 : 지주(支柱)(pole)
9 : 버팀대(brace)
10 : 보강재(대들보)
10a : 후크
11 : 보강재(마룻대)
11a : 후크
11b : 보강재의 배부(背部)
13 : 통풍구
14 : 시트 형상의 덮개
15 : 계지수단(tie-down means)
16 ; 고무줄
17 : 링
18 : 고무줄
19 : 방수 시트(sheet)
100 : 천막지붕의 수직인 측면
100a : 천막지붕의 천정부
100b : 돌출부
100c : 천막지붕의 볼록부
100d : 천정부 측면
200 : 골조의 측면
200a : 골조의 천정부
200b : 골조의 볼록부
200c : 골조의 볼록부
본 발명자는 다음의 수단에 의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였다.
(1) 상부에 천막지붕을 가지는 외주(外周)개방형 야외텐트에 있어서, 천막지붕이, 좌우의 수직인 측면이 사다리꼴(臺形)이고 천정부가 평탄하고 전후면이 하측으로 퍼지는 사면(斜面)인 천막과, 그 천막을 지지하는 좌우의 측면이 사다리꼴골조(臺形骨組)와 동(同) 좌우의 사다리꼴골조 사이에 사다리꼴골조의 코너부에 양단을 고정하여 횡으로 가설(橫架)되는 4개의 가교(架橋) 골조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풍(橫風)대응형 야외텐트.
(2) 상부에 천막지붕을 가지는 외주개방형 야외텐트에 있어서, 천막지붕이, 좌우의 수직인 측면이 사다리꼴이고 천정부가 평탄하고 전후면이 하측으로 퍼지는 사면인 천막과, 그 천막을 지지하는 좌우의 측면이 사다리꼴골조와 동 좌우의 사다리꼴골조 사이에 사다리꼴골조의 코너부에 양단을 고정하여 횡으로 가설되는 4개의 가교 골조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횡풍대응형 야외텐트로서,
상기 천막지붕에, 하나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통풍구 또는 복수의 구멍이 인접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통풍구를 1 또는 복수개 설치하고, 또한 상기 통풍구에, 그 외면부에 1매 또는 복수매의 시트(sheet) 형상의 덮개를, 그 상단둘레를 텐트 천정부의 중심부 부근에 재봉 부착(逢着), 접착제 본딩 등 하여 고착하고, 동 덮개의 다른 단 둘레는 1 또는 복수의 중간 정도의 고정력을 발현하는 계지수단(tie-down means)에 의해서 통풍구에 인접하는 천막 단 둘레부에 계지하여 이루어져서, 돌풍 또는 강풍을 받으면 상기 덮개가 자동적으로 개구하여, 천막이 날아가 버리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3) 측면이 사다리꼴을 이루는 천막의 평탄한 천정부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막기 위해서, 그 천정부에 1 또는 복수개의 보강재를 배부(背部)에 상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가설(架設)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4) 측면이 사다리꼴을 이루는 천막의 평탄한 천정부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막기 위해서, 그 천정부에 볼록부가 마련되고 동 천정부 측면이 삼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5) 측면이 사다리꼴을 이루는 천막지붕의 골조가, 그 천정부는 모두 금속파이프제의 2개 또는 3개의 마룻대(ridge beam)와 2개의 대들보(side beam)로, 또한 지붕의 바닥부는 모두 금속파이프제의 2개의 폴 플레이트(pole plate)와 2개의 엔드 플레이트(end plate)로 구성되고, 상기 지붕 천정부의 골조와 상기 지붕 바닥부의 골조가 금속파이프제의 4개의 서까래(rafter)에 의해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6) 측면이 사다리꼴을 이루는 천막지붕의 골조 및 이 지붕의 골조를 지지하는 지주(支柱)가, 각각의 결합부에 적합한 조립수단에 의해서 조립, 해체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7) 인접 배치된 구멍과 구멍 사이에 남겨진 천막지붕의 부분이, 천막지붕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 개수(個數) 및 폭을 가지며, 또한 상기 통풍구의 총면적이, 돌풍 또는 강풍을 받았을 때에 상기 덮개가 개구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8) 시트(sheet) 형상의 덮개가, 방수처리되어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9) 시트 형상의 덮개가, 천막과 마찬가지의 범포(帆布; sail cloth)제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10) 덮개의 계지수단이, 통풍구에 인접하는 천막 단 둘레부(端緣部)에 일부를 자유롭게 남기고서 계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11) 천막지붕에 설치한 덮개가, 그 하부 양단을 고무줄을 통하여 계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12) 천막지붕에 설치한 덮개가, 그 하부 양단 또는 통풍구의 하부 양 구석 부근의 천막에 고정된 끈, 금속, 플라스틱 등의 링에 삽입 관통되어, 통풍구의 하부 양단 부근의 천막 또는 상기 덮개의 하부 양단부의 2지점에 그 양단이 고착된 고무줄을 통하여 계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13) 시트 형상의 덮개의 좌우 단 둘레부(端緣部)가, 통풍구의 좌우 단 둘레(端緣)에 벨로스(bellows)에 의해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방수 시트를 개재하여 고착되고, 상기 덮개의 개구시에 통풍구의 좌우단으로부터의 텐트 안으로의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실시예의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d)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설명용 사시도, 도 3은,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예의 골조의 사시도,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예의 보강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골조의 사시도, (b)는, 제2실시예의 보강재의 사시도, 도 5는,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골조의 사시도, (b)는, 제3실시예의 설명용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설명용 사시도이며,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계지수단의 설명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계지수단의 설명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수직인 측면이 사다리꼴이고 천정부가 평탄한 천막지붕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와, 종래의 박공지붕의 야외텐트의 높이를 비교한 모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수직인 측면이 사다리꼴이고 천정부가 평탄한 천막지붕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와, 종래의 박공지붕의 야외텐트와, 제3실시예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의 높이를 비교한 모식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골조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텐트 부상력(blowing-up wind pressure)의 대비표, 도 13은, 풍향측 부상력의 대비표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본 발명의 수직인 측면이 사다리꼴(臺形)인 천막, 1'은 종래의 박공지붕형의 천막, 2는 골조, 3은 마룻대(ridge beam), 4는 대들보(side beam), 5는 서까래(rafter), 6은 폴 플레이트(pole plate), 7은 엔드 플레이트(end plate), 8은 지주(支柱)(pole), 9는 버팀대(brace), 10은 보강재(대들보), 10a는 후크, 11은 보강재(마룻대), 11a는 후크, 11b는 보강재의 배부(背部), 13은 통풍구, 14는 시트 형상의 덮개, 15는 계지수단(tie-down means), 16은 고무줄, 17은 링, 18은 고무줄이다.
또한, 100은 천막지붕의 수직인 측면, 100a는 천막지붕의 천정부, 100b는 돌출부, 100c는 천막지붕의 볼록부, 100d는 천정부 측면, 200은 골조의 측면, 200a는 골조의 천정부, 200b는 골조의 볼록부이다.
본 발명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는, 도 1의 (a) 내지 (d)의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2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설명용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천막지붕을 가지는 외주개방형 야외텐트로서, 천막지붕은 천막(1)과 골조(2)로 구성되고, 상기 천막지붕은, 좌우의 수직인 측면(100)이 사다리꼴(臺形)이고 천정부(100a)가 평탄하고 전후면이 하측으로 퍼지는 사면(斜面)인 천막(1)이고, 상기 천막(1)을 지지하는 좌우의 측면(200)이 사다리꼴골조(臺形骨組)와 동 사다리꼴골조 사이에 사다리꼴골조의 코너부에 양단을 고정하여 횡으로 가설되는 4개의 가교 골조(마룻대(3))로 구성되는 횡설(橫設) 사각기둥 형상의 골조(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200)이 사다리꼴골조를 이루는 천막지붕의 골조(2)는, 그 천정부(200a)는 모두 금속파이프제의 2개 또는 3개의 마룻대(3)(도 5 참조)와 2개의 대들보(4)로 구성되고, 지붕의 바닥부는 모두 금속파이프제의 2개의 폴 플레이트(6)와 2개의 엔드 플레이트(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마룻대(3)와 대들보(4)로 구성되는 상기 지붕 천정부(200a)의 골조와, 폴 플레이트(6)와 엔드 플레이트(7)로 구성되는 상기 지붕 바닥부의 골조는, 금속파이프제의 서까래(5)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천막지붕의 골조(2)는, 복수개(4개 이상)의 지주(8)로 지지되고, 지붕의 골조(2)와 지주(8)는, 버팀대(9)로 결합되어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의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낸다.
<실시예1>
도 1(a)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두 금속파이프제의 마룻대(3), 대들보(4), 서까래(5), 폴 플레이트(6), 엔드 플레이트(7), 및 지주(8)를 조립하여 구성한 골조(2)에, 수직인 측면(100)이 사다리꼴(臺形)이고 천정부(100a)가 평탄하고 전후면이 하측으로 퍼지는 사면(斜面)으로 이루어지는 천막(1)을 씌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골조(2)의 조립에 관해서는, 도 11의 골조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도면에 있는 바와 같이, 천정부의 마룻대(3)와 대들보(4), 서까래(5)의 조립은 도 11(a)에 나타낸 수단으로, 또한 지붕 바닥부의 폴 플레이트(6), 엔드 플레이트(7) 및 서까래(5)의 지주(8)에 대한 설치는 도 11(b)에 나타낸 수단으로, 모두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수단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100)이 사다리꼴을 이루는 천막지붕의 골조(2) 및 이 지붕의 골조를 지지하는 지주(8)가, 각각의 결합부에 적합한 조립수단에 의해서 조립, 해체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버팀대(9)는, 그 한쪽 끝이 지주(8)에 상시(常時) 계지되고, 야외텐트 조립시에 다른 한쪽 끝을 폴 플레이트(6), 및 엔드 플레이트(7)에 계지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천막지붕과 지주(8)의 결합을 강화하여, 야외텐트의 붕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해서 천막지붕의 수직인 측면(100)을 사다리꼴골조로 하고 천정부(100a)를 평탄하게 또한 전후면이 하측으로 퍼지는 사면(斜面)으로 하였으므로, 도 9의 본 발명의 수직인 측면(100)이 사다리꼴골조이고 천정부(100a)가 평탄한 천막(1)의 지붕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의 높이(h1)와, 종래의 박공지붕(1')의 야외텐트의 높이(h1')를 비교한 모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박공지붕(1')의 천막지붕에 비하여, 본 발명의 천막(1)의 지붕은, 그 높이(h1)를 70∼20%로 줄일 수 있어서, 갑작스런 강한 횡풍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깊이가 넓은 텐트의 구축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a)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예의 골조의 사시도 및, 도 3(b)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른 예의 보강재의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조(2) 천정부(200a)의 2개의 마룻대(3, 3) 사이에 1 또는 복수개의 보강재(대들보)(10)를 가설(架設)하여 천막(1)(도 1(a) 참조)을 지지하여, 천막(1)이 늘어져 내림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1(a) 및 도 2에 나타낸 실시예1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는, 천막지붕의 천정부(100a)가 평탄하므로, 우천시 그 천정부분에 빗물이 고여서 천막이 늘어져 내릴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도 3(a)에 나타낸 제1실시예의 다른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재(대들보)(10)를 가설함으로써,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야외텐트 전체의 강도를 부가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다만, 상기 보강재(대들보)(10)로서는, 도 3(b)의 제1실시예의 다른 예의 보강재의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양단에 마룻대(3)의 금속파이프에 계지하는 후크(10a)를 가지는 경금속제의 중공 각재(角材) 등이 제안될 수 있다. 그 결과, 미리 마룻대(3)에 보강재(대들보)(10)를 장착하기 위한 금구(金具) 등을 준비하여 놓을 필요가 없고, 게다가 필요에 따라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특히 바람직한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물론, 볼트나 금구(金具) 등에 의해서 고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1(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b)에 나타낸 제2실시예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는, 측면(100)이 사다리꼴을 이루는 천막의 평탄한 천정부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막기 위하여, 그 천정부에 1 또는 복수개의 보강재(마룻대)(11)(도 4(a) 참조)를 배부(背部)(11b)를 상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가설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골조의 사시도, 도 4(b)는 제2실시예의 보강재의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에서는 천막지붕의 천정부(100a)가 평탄하므로, 우천시 그 천정부분에 빗물이 고여서 천막(1)이 늘어져 내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 4(a)에 나타낸 제2실시예와 같이, 골조 천정부(200a)의 2개의 대들보(4, 4) 사이에 1 또는 복수개의 보강재(마룻대)(11)를 배부(背部)(11b)를 상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가설하여 천막(1)(도 1 참조)을 지지하여, 천막(1)의 늘어져 내림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재(마룻대)(11)로서는, 도 4(b)의 제2실시예의 보강재의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양단에 대들보(4)의 금속파이프에 계지하는 후크(11a)를 가지는 경금속제의 장척재(長尺材; long block) 등이 제안될 수 있다. 그 결과, 미리 대들보(4)에 보강재(마룻대)(11)를 장착하기 위한 금구(金具) 등을 준비하여 놓을 필요가 없고, 게다가 필요에 따라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물론, 볼트나 금구(金具) 등에 의해서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강재(마룻대)(11)의 배부(背部)(11b)를 상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가설하고, 천막(1)을 골조(2)에 씌움으로써,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막(1)의 천정부(100a)에는, 돌출부(100b)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00b)의 형성에 의해서, 천막(1)의 천정부(100a)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구성이 된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수직인 측면(100)이 사다리꼴이고 천정부(100a)가 평탄한 천막(1)의 지붕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와, 종래의 박공지붕 천막(1')의 야외텐트와, 제2실시예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의 높이(돌출부(100b)의 정점(頂点))를 비교한 모식도인데, 종래의 박공지붕 천막(1')의 야외텐트의 높이(h1')와 비교하여, 제2실시예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의 높이(h1b)는, 천정부(100a)가 평탄한 천막(1) 지붕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의 높이(h1)와 마찬가지로 70∼20%로 줄일 수 있고, 상기 빗물이 고이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갑작스런 강한 횡풍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보다 깊이가 넓은 텐트의 구축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실시예 3>
도 1(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c)에 나타낸 제3실시예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는, 측면(100)이 사다리꼴을 이루는 천막(1)의 평탄한 천정부(100a)(도 1(a) 참조)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막기 위하여, 그 천정부(100a)에 볼록부를 마련하여, 동 천정부 측면(100d)이 삼각형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골조의 사시도인데,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1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에서는 천막지붕의 천정부(100a)가 평탄하므로, 우천시 그 천정부분에 빗물이 고여서 천막(1)이 늘어져 내릴 우려가 있으므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조(2) 측면(200)의 상변(上邊)에 볼록부(200b)를 마련하여, 삼각형(200c)을 형성하고, 동 골조(2)의 좌우의 측면(200)의 삼각형(200c)의 천정부(200d)에 마룻대(3)(도 5(a) 참조)를 횡으로 가설함으로써,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조의 천정부(200a)에 볼록부(200b)를 형성하여, 천막(1)(도 1(c) 참조)을 지지하여, 빗물 등에 의한 천막(1)의 늘어져 내림을 억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실시예 4>
도 1(d)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d)에 나타낸 제4실시예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는, 상기 실시예 3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의 천막지붕에, 복수의 구멍이 인접 배치된 통풍구(13)가 마련되고, 또한 상기 통풍구(13)에, 그 외면(外面)부에 시트 형상의 덮개(14)가, 그 상단둘레를 천막지붕의 천정부(100a)의 중심부 부근에 재봉 부착(逢着), 접착제 본딩 등 하여 고착되고, 동 덮개(14)의 다른 단 둘레(端緣)는 1 또는 복수의 중간 정도의 고정력을 발현하는 계지수단(tie-down means)(15)에 의해서, 통풍구(13)에 인접하는 천막 단 둘레부에 계지되어 형성되어, 돌풍 또는 강풍을 받으면 상기 덮개(14)가 자동적으로 개구하여, 천막(1)이 날아가 버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제4실시예에서 구성되는 횡풍대응형 야외텐트는, 도 6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설명용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풍(화살표)이 분 경우에, 바람이 통풍구(13)를 통해, 시트 형상의 덮개(14)를 밀어 올려서 빠져나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횡풍에 의한 천막지붕에 관련된 부상력을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만, 상기 통풍구(13)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1 또는 복수개로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통풍구(13)의 외면부에 배치되는 시트 형상의 덮개(14)도 1 또는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이들은, 천막지붕에 관련된 부상력을 저감할 수 있는 충분한 통기성을 가지는 것이면 좋다.
다만, 복수개의 통풍구(13)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인접 배치된 구멍과 구멍 사이에 남겨진 천막지붕 부분이, 천막지붕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 개수 및 폭을 가지고, 또한 상기 통풍구(13)의 총면적이, 돌풍 또는 강풍을 받았을 때에 상기 덮개(13)를 개구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또한, 시트 형상 덮개(14)는, 방수처리된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트 형상 덮개(14)는, 천막(1)과 마찬가지의 소재, 예컨대 범포(帆布; sail cloth)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에 있어서의 시트 형상 덮개(14)의 단 둘레(端緣)는, 1 또는 복수의 중간정도의 고정력을 발현하는 계지수단(15)에 의해서, 통풍구(13)에 인접하는 천막 단 둘레부(端緣部)에 계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계지수단(15)으로서는, 통풍구(13)에 인접하는 천막 단 둘레부에 일부를 자유롭게 남기고 계지하는 것이나, 면(面) 패스너(hook-and-loop fastener)를 이용한 것, 자석의 흡착력에 의한 것, 혹은 도 7(a)의 제4실시예의 계지수단의 설명용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덮개(14)의 하부 양단을 고무줄(16)을 통하여 계지하는 것, 도 7(b)의 제4실시예의 계지수단의 설명용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덮개(14)의 하부 양단 또는 통풍구(13)의 하부 양 구석 부근의 천막(1)에 고착된 끈, 금속, 플라스틱 등의 링(17)에 삽입 관통되어, 통풍구(13)의 하부 양단 부근의 천막(1) 또는 상기 덮개(14)의 하부 양단부의 2지점에 그 양단이 고착된 고무줄(18)을 통하여 계지하는 수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무줄(18)은, 돌풍 또는 강풍에 의해서 상기 덮개(14)가 통풍구(13)로부터 풍압을 벗어나게 함에 필요한 높이까지 불려 올라가는 길이를 가지도록 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풍 또는 강풍에 의해서 떠오른 덮개(14)가, 말려 올라간 채 통풍구(13)가 닫히지 않는 상황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상기 덮개(14)의 하부 양단을 고무줄(16)을 통하여 천막에 계지하거나, 그 하부 양단 또는 통풍구(13)의 하부 양 구석 부근의 천막에 고착된 끈, 금속, 플라스틱 등의 링(17)에 삽입 관통되어, 통풍구(13)의 하부 양 구석 부근의 천막 또는 상기 덮개(14)의 하부 양단부의 2지점에 그 양단이 고착된 고무줄(18)을 통하여 계지하거나 하는 것도 효과가 있다.
기타, 도 8의 제4실시예의 계지수단의 설명용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형상의 덮개(14)의 좌우 단 둘레부가, 통풍구(13)의 좌우 단 둘레를 벨로스(bellows)에 의해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방수 시트(19)를 개재하여 고착되어, 상기 덮개(14)의 개구시에 통풍구(13)의 좌우단으로부터의 텐트 안으로의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방법 등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풍구(13)와 통풍구(13)를 덮는 덮개(14)의 면적비는, 우천시에 돌풍 또는 강풍에 의해서 상기 덮개(14)가 불려 올라간 경우의 빗물의 유입 정도를 고려하여 정하여지는데, 상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트 형상의 덮개(14)의 좌우 단 둘레부를, 벨로스에 의해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주름(pleats) 형상의 방수 시트(19)를 개재하여 천막(1)에 고착하여, 상기 덮개(14)의 개구시에 통풍구(13)의 좌우단으로부터 빗물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수단 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통풍구(13)는 모두 동일 형상, 동일 면적일 필요는 없고, 천막(1)과 덮개(14)의 계지수단(15)에 의한 고정력도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돌풍 또는 강풍이 텐트 내에 불어 들어왔을 때, 그 풍압의 대소에 따라서 덮개(14)가 자동적으로 또한 효과적으로 개구하는 형태이면 좋다.
다만, 도 1(d)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3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의 천막지붕에, 복수의 구멍이 인접 배치된 통풍구(13)가 마련되고, 또한 상기 통풍구(13)에, 그 외면부에 시트 형상의 덮개(14)가, 그 상단둘레를 천막지붕의 천정부(100a)의 중심부 부근에 재봉 부착(逢着), 접착제 본딩 등 하여 고착되고, 동 덮개(14)의 다른 단 둘레(端緣)는 1 또는 복수의 중간 정도의 고정력을 발현하는 계지수단(15)에 의해서, 통풍구(13)에 인접하는 천막 단 둘레부에 계지되어 형성되어 있지만, 상술한 실시예 1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나, 실시예 2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에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통풍구 또는 복수의 구멍을 인접 배치하여 통풍구(13)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통풍구(13)에, 그 외면부에 시트 형상의 덮개(14)를, 그 상단둘레를 천막지붕의 천정부(100a)의 중심부 부근에 재봉 부착, 접착제 본딩 등 하여 고착하고, 동 덮개(14)의 다른 단 둘레를 1 또는 복수의 중간정도의 고정력을 발현하는 계지수단(15)에 의해서, 통풍구(13)에 인접하는 천막 단 둘레부에 계지되어 형성할 수 있고, 돌풍 또는 강풍을 받으면 상기 덮개(14)가 자동적으로 개구하여, 천막(1)이 날아가 버리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d)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통풍구(13)를 천정부(100a) 근방에 배치하였지만,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의 설치장소나 사용환경에 따라서는, 천막지붕의 좌우의 수직인 측면에 통풍구(13)를 마련하고, 시트 형상의 덮개(14)를 고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에 관하여, 도 12에 텐트 부상력(blowing-up wind pressure)의 대비표, 도 13에, 풍향측 부상력의 대비표를 나타낸다.
상기 대비표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좌우의 수직인 측면이 삼각형을 이루는 박공지붕의 야외텐트(재래형(在來型) 박공지붕 타입)와, 상기 실시예 3의 좌우의 수직인 측면이 사다리꼴(臺形)이고, 천정부에 볼록부가 마련되어 동(同) 정점부 측면이 삼각형을 이루는 야외텐트(사다리꼴 지붕 타입: 시트덮개 없음)와, 상기 실시예 4의 좌우의 수직인 측면이 사다리꼴이고, 천정부에 볼록부가 마련되고 동 정점부 측면이 삼각형을 이루고, 복수의 통풍구(13)가 천정부 근방에 배치된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사다리꼴 지붕 타입: 시트덮개 있음)를, 각각 풍속 5∼20 m/s인 경우에 관하여, 텐트 부상력 및 풍향측 부상력을 산정하여, 텐트 부상력에 관해서는 개선(改善)율을, 풍향측 부상력에 관해서는, 전도(轉倒)성에 있어서의 전도(轉倒)(NG), 내전도(耐轉倒)(OK)를 나타내고 있다.
산정의 전제조건으로서는,
1. 텐트를 가설(假設) 건축물로 하고, 일본국 건축기준법 시행령 제87조에 의한 풍압력 산정(풍속에 대해서는 본 검토용으로 별도로 정한다)을 적용한다.
2. 텐트의 준비는 지상에 배치하고, 4코너를 앵커로 지면에 박아 넣어 고정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3. 텐트의 자체중량은 80㎏, 앵커 1개의 인발(引拔)내력(耐力)은 20㎏으로 한다.
4. 텐트의 내(耐)전도(轉倒)성 검토에 있어서는, 기둥(pole)ㆍ대들보 등의 개개의 부재 및 접속부의 강도는 충분히 확보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5. 부재 등의 파괴보다 먼저 풍압에 의한 텐트 자체의 부상(浮上)ㆍ전도(轉倒)가 발생하는 것으로 한다.
6. 한 방향만의 바람을 대상으로 하고, 빌딩풍(tall building blow) 등 복합적인 바람에 대한 풍압력 및 내전도성은 고려하지 않는다.
7. 속도압(速度壓)은 일본국 건축기준법 시행령 제87조, 일본국 건설성(建設省) 고시 제1454호에 기하여 산정하고, 지표면 조도(粗度) 구분은 ⅠⅠ로 하여 계산한다.
ㆍ풍속 5 m/S : 속도압 27 N/㎡
ㆍ풍속 6 m/S : 속도압 38 N/㎡
ㆍ풍속 7 m/S : 속도압 52 N/㎡
ㆍ풍속 8 m/S : 속도압 68 N/㎡
ㆍ풍속 9 m/S : 속도압 86 N/㎡
ㆍ풍속 10 m/S : 속도압 107 N/㎡
ㆍ풍속 11 m/S : 속도압 129 N/㎡
ㆍ풍속 12 m/S : 속도압 154 N/㎡
ㆍ풍속 13 m/S : 속도압 180 N/㎡
ㆍ풍속 14 m/S : 속도압 209 N/㎡
ㆍ풍속 15 m/S : 속도압 240 N/㎡
ㆍ풍속 16 m/S : 속도압 273 N/㎡
ㆍ풍속 17 m/S : 속도압 308 N/㎡
ㆍ풍속 18 m/S : 속도압 345 N/㎡
ㆍ풍속 19 m/S : 속도압 385 N/㎡
ㆍ풍속 20 m/S : 속도압 426 N/㎡
텐트 부상력은, 도 12의 텐트 부상력의 대비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래형 박공지붕 타입에 관련된 텐트 부상력이 가장 크고, 이어서 사다리꼴(臺形) 지붕 타입(시트덮개 없음)에 관련된 텐트 부상력이 크고, 사다리꼴 지붕 타입(시트덮개 있음)에 관련된 텐트 부상력이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개선율은, 재래형 박공지붕 타입과 비교하여, 사다리꼴 지붕 타입의 시트덮개 없음에서, 74.5%, 시트덮개 있음에 있어서는, 72.4∼66.0%가 되어, 대략 45% 정도, 텐트 부상력이 저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풍향측 부상력에 관해서도, 도 13의 풍향측 부상력의 대비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래형 박공지붕 타입에 관련된 텐트 부상력이 가장 크고, 이어서 사다리꼴 지붕 타입(시트덮개 없음)에 관련된 텐트 부상력이 크고, 사다리꼴 지붕 타입(시트덮개 있음)에 관련된 텐트 부상력이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재래형 박공지붕 타입이 풍속 10 m/s에서 전도(轉倒)(NG)가 되는 것에 비하여, 사다리꼴 지붕 타입(시트덮개 없음 및 시트덮개 있음)의 경우에는, 풍속 13 m/s에서 전도(NG)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에 의하면, 천막의 수직 단면적이 감소하므로, 횡풍에 의해서 받는 풍압이 감소하여, 갑작스런 강한 횡풍에도 대응 가능한 야외텐트를 실현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에 의하면, 텐트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높은, 깊이가 긴, 바닥면적이 큰 텐트의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3. 본 발명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에 의하면, 텐트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교량 아래의 하천부지 등 상부에 구조물이 존재하여 통상의 야외텐트로는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에 있어서의 야외텐트의 사용기회가 증가한다.
4. 본 발명의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에 의하면, 텐트 내에 돌풍이나 강풍이 불어 들어왔을 때, 천막지붕에 인접 배치한 1 또는 복수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통풍구, 및 측면에 마련한 통풍구의 외면부를 덮는 덮개가 자동적으로 개구함으로써, 돌풍 또는 강풍에 의한 텐트의 무너짐(倒壞)이나 떠오름(浮上)을 방지할 수 있어서, 이에 따르는 사람에 대한 위해(危害)의 우려가 감소한다.
5. 통풍구의 덮개의 좌우 단 둘레(端緣)가, 벨로스에 의해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방수 시트를 개재하여 천막에 고착되는 횡풍대응형 야외텐트에 있어서는, 통풍구 개구시에 통풍구 좌우단으로부터의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6. 복수의 구멍과 구멍 사이에 남겨진 천막부분의 장력(張力)이, 천막의 형상을 유지하므로, 통풍구 부근의 천막이 늘어져 내리는 등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 생기지 않고, 또한 통풍구 외면부에 설치한 덮개의 천막 안으로의 함입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3)

  1. 상부에 천막지붕을 가지는 외주(外周)개방형 야외텐트에 있어서, 천막지붕이, 좌우의 수직인 측면이 사다리꼴(臺形)이고 천정부가 평탄하고 전후면이 하측으로 퍼지는 사면(斜面)인 천막과, 그 천막을 지지하는 좌우의 측면이 사다리꼴골조(臺形骨組)와 동(同) 좌우의 사다리꼴골조 사이에 사다리꼴골조의 코너부에 양단을 고정하여 횡으로 가설되는 4개의 가교(架橋) 골조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풍(橫風)대응형 야외텐트.
  2. 상부에 천막지붕을 가지는 외주개방형 야외텐트에 있어서, 천막지붕이, 좌우의 수직인 측면이 사다리꼴이고 천정부가 평탄하고 전후면이 하측으로 퍼지는 사면인 천막과, 그 천막을 지지하는 좌우의 측면이 사다리꼴골조와 동 좌우의 사다리꼴골조 사이에 사다리꼴골조의 코너부에 양단을 고정하여 횡으로 가설되는 4개의 가교 골조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횡풍대응형 야외텐트로서,
    상기 천막지붕에, 하나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통풍구 또는 복수의 구멍이 인접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통풍구를 1 또는 복수개 설치하고, 또한 상기 통풍구에, 그 외면(外面)부에 1매 또는 복수매의 시트 형상의 덮개를, 그 상단둘레를 텐트 천정부의 중심부 부근에 재봉 부착(逢着), 접착제 본딩 등 하여 고착하고, 동 덮개의 다른 단 둘레(端緣)는 1 또는 복수의 중간 정도의 고정력을 발현하는 계지수단(tie-down means)에 의해서 통풍구에 인접하는 천막 단 둘레부에 계지되어 이루어져서, 돌풍 또는 강풍을 받으면 상기 덮개가 자동적으로 개구하여, 천막이 날아가 버리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측면이 사다리꼴을 이루는 천막의 평탄한 천정부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막기 위해서, 그 천정부에 1 또는 복수개의 보강재를 배부(背部)를 상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가설(架設)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측면이 사다리꼴을 이루는 천막의 평탄한 천정부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막기 위해서, 그 천정부에 볼록부가 마련되고 동 천정부 측면이 삼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이 사다리꼴을 이루는 천막지붕의 골조가, 그 천정부는 모두 금속파이프제의 2개 또는 3개의 마룻대(ridge beam)와 2개의 대들보(side beam)로, 또한 지붕의 바닥부는 모두 금속파이프제의 2개의 폴 플레이트(pole plate)와 2개의 엔드 플레이트(end plate)로 구성되고, 상기 지붕 천정부의 골조와 상기 지붕 바닥부의 골조가 금속파이프제의 4개의 서까래(rafter)에 의해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이 사다리꼴을 이루는 천막지붕의 골조 및 이 지붕의 골조를 지지하는 지주(支柱)가, 각각의 결합부에 적합한 조립수단에 의해서 조립, 해체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 배치된 구멍과 구멍 사이에 남겨진 천막지붕의 부분이, 천막지붕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 개수(個數) 및 폭을 가지며, 또한 상기 통풍구의 총면적이, 돌풍 또는 강풍을 받았을 때에 상기 덮개가 개구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 형상의 덮개가, 방수처리되어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 형상의 덮개가, 천막과 마찬가지의 범포(帆布; sail cloth)제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10.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덮개의 계지수단이, 통풍구에 인접하는 천막 단 둘레부(端緣部)에 일부를 자유롭게 남기고서 계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11.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막지붕에 설치한 덮개가, 그 하부 양단을 고무줄을 통하여 계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12.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막지붕에 설치한 덮개가, 그 하부 양단 또는 통풍구의 하부 양 구석 부근의 천막에 고정된 끈, 금속, 플라스틱 등의 링에 삽입 관통되어, 통풍구의 하부 양단 부근의 천막 또는 상기 덮개의 하부 양단부의 2지점에 그 양단이 고착된 고무줄을 통하여 계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13.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 형상의 덮개의 좌우 단 둘레부(端緣部)가, 통풍구의 좌우 단 둘레(端緣)에 벨로스(bellows)에 의해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방수 시트를 개재하여 고착되고, 상기 덮개의 개구시에 통풍구의 좌우단으로부터의 텐트 안으로의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KR1020057011940A 2002-12-26 2003-12-26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KR200500898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78414 2002-12-26
JPJP-P-2002-00378414 2002-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852A true KR20050089852A (ko) 2005-09-08

Family

ID=3267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940A KR20050089852A (ko) 2002-12-26 2003-12-26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50081904A1 (ko)
EP (1) EP1577462A1 (ko)
JP (1) JP3797377B2 (ko)
KR (1) KR20050089852A (ko)
CN (1) CN1732321A (ko)
AU (1) AU2003292712A1 (ko)
BR (1) BR0317213A (ko)
WO (1) WO200405910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005A (ko) 2018-04-19 2019-10-29 이병협 영어도서관 온라인 리딩 코칭 시스템 및 학습방법
KR20200117263A (ko) 2019-04-03 2020-10-14 (주) 코웰메디 의료영상 리코딩 시스템 및 리코딩 로봇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9309A1 (en) * 2005-01-22 2006-08-03 Eastman Holding Company Outdoor enclosure with magnetic flap closure
US20100258151A1 (en) * 2007-08-31 2010-10-14 Vogt Jeffrey A Wind-resistant umbrella
US20090056884A1 (en) * 2007-08-31 2009-03-05 Vogt Jeffrey A Wind resistant awning
US20090056883A1 (en) * 2007-08-31 2009-03-05 Vogt Jeffrey A Wind resistant awning
US7784480B2 (en) * 2007-09-13 2010-08-31 Bravo Sports Canopy with ventilation
WO2013116545A1 (en) * 2012-02-03 2013-08-08 Bravo Sports Canopy structure
US9103138B2 (en) 2012-10-02 2015-08-11 Bravo Sports Sliding-eave mount mechanism for canopy structure
WO2014089496A2 (en) 2012-12-07 2014-06-12 Bravo Sports Canopy shelter link point
USD736884S1 (en) 2013-07-16 2015-08-18 Bravo Sports Adjustable locking leg assembly
US9528292B1 (en) 2013-08-09 2016-12-27 Bravo Sports Canopy with overhang
US9395514B2 (en) 2013-11-04 2016-07-19 Skyfuel, Inc. Pyramidal space frame and associated methods
US9797157B2 (en) 2014-03-04 2017-10-24 Shelterlogic Corp. Canopy with detachable awning
USD737066S1 (en) 2014-03-06 2015-08-25 Bravo Sports Chair with integrated shade cover
CN104258516B (zh) * 2014-10-14 2017-02-22 中国中元国际工程有限公司 罩式消防作业防护装置
WO2016100315A1 (en) 2014-12-15 2016-06-23 Bravo Sports Foldable chair
CN107047134A (zh) * 2017-05-17 2017-08-18 天津大学 一种大棚结构补气装置
CN208456255U (zh) * 2018-06-26 2019-02-01 常州新亚奥特多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通风型帐篷
CN108684340A (zh) * 2018-07-25 2018-10-23 青岛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甘薯贮藏窖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16A (en) * 1863-08-04 Improvement in ventilating-caps for tents
US1124263A (en) * 1908-07-25 1915-01-12 John Bentley Bemis Collapsible tent.
US1003370A (en) * 1911-03-16 1911-09-12 Minerva E Priest Screen.
US1428343A (en) * 1921-09-01 1922-09-05 Runcie William Thackeray Tent ventilator
US2036482A (en) * 1934-11-17 1936-04-07 Philip R S Larson Elastic shoe lace
US3233617A (en) * 1961-11-30 1966-02-08 Morton M Rosenfeld Temporary enclosure
US3456661A (en) * 1967-02-13 1969-07-22 Francois C Vigier Windproof umbrella
JPS48107506U (ko) * 1972-03-15 1973-12-13
JPS5349550Y2 (ko) * 1976-01-09 1978-11-28
JPS5914547U (ja) * 1982-07-21 1984-01-28 渡辺パイプ株式会社 栽培用ハウス
JPS5975803U (ja) * 1982-11-12 1984-05-23 鈴木 義雄 組立式雨覆い
JPH0331806Y2 (ko) * 1985-06-19 1991-07-05
JPH082331Y2 (ja) * 1989-04-08 1996-01-2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膨脹式テント
US5115828A (en) * 1991-03-18 1992-05-26 Shaffer Tent & Awning Co. Demountable frame structure
SE9102285L (sv) * 1991-08-05 1992-10-26 Svensson Ludvig Int Vaevt insektsnaet foer avskaerning av luftpassage
JPH0666053A (ja) * 1992-08-21 1994-03-08 Chisso Corp 風孔を設けたテント
JPH09125747A (ja) * 1995-10-27 1997-05-13 Kaijirushi Hamono Kaihatsu Center:Kk テントカバーにおける通風構造
US5711337A (en) * 1996-05-15 1998-01-27 Mckenney; Joseph E. Tent frame and party tent
JP2002004643A (ja) * 2000-06-16 2002-01-09 Sekisui House Ltd テント
US6662816B1 (en) * 2002-06-17 2003-12-16 George C. Cunningham Canopy v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005A (ko) 2018-04-19 2019-10-29 이병협 영어도서관 온라인 리딩 코칭 시스템 및 학습방법
KR20200117263A (ko) 2019-04-03 2020-10-14 (주) 코웰메디 의료영상 리코딩 시스템 및 리코딩 로봇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59106A1 (ja) 2004-07-15
CN1732321A (zh) 2006-02-08
BR0317213A (pt) 2005-11-01
JPWO2004059106A1 (ja) 2006-04-27
EP1577462A1 (en) 2005-09-21
AU2003292712A1 (en) 2004-07-22
JP3797377B2 (ja) 2006-07-19
US20050081904A1 (en)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9852A (ko) 횡풍대응형 야외텐트
US6345638B1 (en) Multiple peak cable tent
US20050194030A1 (en) Shelter having an extendable roof
US20020184837A1 (en) Weather shelter
US6374842B1 (en) Triangular erectable shelter with flexible roof assembly
US4367761A (en) Portable fabric shelter
US10858856B1 (en) Modular tent construction and components thereof
KR101018641B1 (ko) 조립식 천막 및 그 조립방법
US20070245639A1 (en) Circular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742476B1 (ko) 몽골텐트형 조립식 천막
US8701689B2 (en) Saddle shaped tent with portico
JP2006090124A (ja) 横風対応型野外テント
KR101061823B1 (ko) 조립식 천막
KR20090011077A (ko) 옥외용 천막 구조물
JP2023107173A (ja) 吹抜け構造省力片流れテント
JP2012062680A (ja) テント
JP2623072B2 (ja) ドーム型仮設テントとその組立方法
KR20150070569A (ko) 공기 주입형 공사용 덮개 구조물
CN209874041U (zh) 一种锚固装配式建筑
JP4199162B2 (ja) 膜屋根構造およびその敷設方法
RU76054U1 (ru) Павильон с тентовым покрытием
JPH06123174A (ja) 土木工事用テント式屋根ならびにその架設方法
KR101202075B1 (ko) 연속 연결형 텐트
JP3738862B2 (ja) 仮設屋根架構
JP3069773B2 (ja) 仮設建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