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156A -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 Google Patents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156A
KR20050089156A KR1020057010011A KR20057010011A KR20050089156A KR 20050089156 A KR20050089156 A KR 20050089156A KR 1020057010011 A KR1020057010011 A KR 1020057010011A KR 20057010011 A KR20057010011 A KR 20057010011A KR 20050089156 A KR20050089156 A KR 20050089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perglycemia
diabetes
disease caused
sglt1
therapeutic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아키 이토
도시히데 시바자키
마사키 도마에
노부히코 후시미
마사유키 이사지
Original Assignee
깃세이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깃세이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깃세이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15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5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abet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범위한 당질 흡수 저해작용을 발현하고, 또 일반적인 식사에 있어서의 프럭토스의 섭취에 기초하는 혈당강하 작용을 겸비하여, 탁월한 혈당강하 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예를 들면, 당뇨병, 내당능력 이상, 당뇨병성 합병증, 비만증)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적합한,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예를 들면, GLUT2 및/또는 GLUT5 저해작용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SGLT1 저해약)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PREVENTIVE OR REMEDY FOR DISEASES CAUSED BY HYPERGLYCEMIA}
본 발명은, 선택적인 나트륨 의존성 글루코스 수송 담체(이하 SGLT라고 칭함) 1 저해약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촉진확산형 글루코스 수송 담체(이하 GLUT라고 칭함) 2 및/또는 GLUT5 저해작용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SGLT1 저해약 등의, 소장으로부터의 프럭토스 흡수를 저해하는 활성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SGLT1 저해약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당뇨병 환자수의 급증, 및 대규모 임상시험에 의해 증명된 엄밀한 혈당 컨트롤의 필요성을 배경으로(예를 들면, 하기 문헌 1∼3 참조), 당뇨병 치료약으로서 여러 약제가 개발 또는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식후 고혈당의 시정에는, 소장에서의 탄수화물의 소화를 억제함으로써 당질 흡수를 지연시키는 약제인, 아카보스, 미글리톨, 보글리보스 등의 α-글루코시다제 저해약이 현재 사용되고 있고, 이들 약제를 2형 당뇨병환자에게 투여한 경우, 의미있게 혈당값이나 HbAIC가 저하된 것이 보고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 문헌 4∼6 참조). 또, 그 하나인 아카보스는, 내당능력 이상자에게 적용함으로써, 당뇨병의 발증을 예방 또는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 문헌 7 참조). 그렇지만, 식사중의 당질 구성의 변화에 따라, 최근에는 글루코스 등의 단당을 직접 섭취하는 기회가 증가하고 있는데, α-글루코시다제 저해약은, 단당에 대해 흡수 저해작용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예를 들면, 하기 문헌 8 참조), 더욱 광범한 당질 흡수 저해작용을 갖는 약제의 개발이 촉망되고 있다.
당질의 흡수를 담당하는 소장에는, SGLT1이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인간 SGLT1에 선천적 이상이 있는 기능부전의 환자에서는, 글루코스 및 갈락토스의 흡수가 불량이 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고(예를 들면, 하기 문헌 9∼11 참조), SGLT1은 글루코스와 갈락토스의 흡수에 관여하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 문헌 12 및 13 참조). 또한, 당뇨병 증상에서는, 일반적으로 당질의 소화·흡수가 항진하고 있고, 예를 들면, OLETF 래트나 스트렙토신 유발 당뇨병 모델 래트에 있어서 SGLT1의 mRNA나 단백이 증가하고, 글루코스 등의 흡수가 항진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 문헌 14 및 15 참조). 또, 인간 소장에서, SGLT1의 mRNA나 단백이 고발현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 문헌 16 참조). 그 때문에, SGLT1 저해약은 소장에서의 글루코스 등의 당질 흡수를 저해하여 혈당값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특히는, 상기 작용기작에 기초하여 당질 흡수를 억제 또는 지연시켜서 식후 고혈당의 시정에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프로리딘은 SGLT 저해제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또, 프로리딘에는, 요당 배설을 촉진함으로써 혈당값을 저하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예를 들면, 하기 문헌 17∼20 참조), 소화관내에서 β-글루코시다제에 의해 재빨리 분해되기 때문에, 이 작용은 경구투여에서는 인정을 받는 것이 확인되어 있지 않다(예를 들면, 하기 문헌 21 및 22 참조).
프럭토스는, 생리적 조건을 초과한 고용량에서는 지질, 푸린 및 구리의 대사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예를 들면, 하기 문헌 23 참조), 최근, 인간, 개 및 래트에서, 소량의 프럭토스 섭취에 의해 식후 고혈당이 억제되는 것이 보고되었다(예를 들면, 하기 문헌 24∼28 참조). 이 작용은, 간에서의 글루코스 세포내 이입 및 글리코겐 축적의 촉진, 및 당 생산의 억제에 기초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예를 들면, 하기 문헌 24, 25, 27, 29 참조). 상세하게 기술하면, 첫째로, 소화관으로부터 흡수된 프럭토스가 간세포내에 이입되고, 프럭토키나제에 의해 프럭토스-1-인산으로 변환되어서 핵내로 이행한다. 핵내에는 글루코키나제가 조절 단백질 및 프럭토스-6-인산과 결합하여 비활성인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이 효소는 당뇨병 환자에 있어서 감소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프럭토스-1-인산은, 글루코키나제 복합체의 프럭토스-6-인산과 치환하고, 이에 따라 조절 단백질이 빠지고 활성화된 글루코키나제가 세포질로 이행하고, 이입된 글루코스를 글루코스-6-인산으로 변환한다. 이렇게 하여 글루코스의 이용이 항진한 결과, 간으로의 글루코스의 세포내 이입이 증대한다(예를 들면, 하기 문헌 23 참조). 또, 인간 또는 개의 프럭토스를 첨가한 포도당 부하시험에 있어서, 혈장중 인슐린 농도가 감소한 것이 보고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 문헌 24 및 26 참조). 이상과 같이, 소량의 프럭토스는, 간에서의 글루코스의 세포내 이입 및 글리코겐 축적을 촉진하고, 인슐린 분비를 억제시키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에 있어서의 혈당값의 저하작용에 더하여, 당뇨병 환자에서 저하되고 있는 글리코겐 합성의 개선, 식후 고혈당에 의한 대혈관 장해의 리스크 저감이나 피폐한 췌장의 보호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적합하다. 소장에서 광범한 당질 흡수 저해작용을 갖는 신규한 약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프로리딘은, 전술한 바와 같이, SGLT 저해작용을 갖는 약제이지만, 소화관내에서 β-글루코시다제에 의해 재빨리 분해되어 프로레틴을 생성시키고(예를 들면, 하기 문헌 30 및 31 참조), 이 프로레틴이 GLUT를 저해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하기 문헌 32 참조). 이와 같이, 프로리딘은 소화관내에서는 SGLT 저해작용 뿐만아니라, GLUT 저해작용도 가지고 있다. 또, 소장 상피세포에서는, 소장관강측의 쇄자연막에는 GLUT5가, 모세혈관측의 기저측 벽부 세포막에는 GLUT2가 국부적으로 존재하고 있고, 이들 GLUT는 소장에 있어서의 프럭토스의 흡수에 관여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하기 문헌 33 참조).
본 발명은, 프럭토스 섭취에 의한 효과를 발현하고,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에 대해 유용한,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신규한 예방 또는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문헌 1: The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Research Group. 「N. Engl, J. Med.」, 1993년 9월, 제329권, 제14호, p.977-986;
문헌 2: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Group. 「Lancet」, 1998년 9월, 제352권, 제9131호, p.837-853;
문헌 3: 토미나가 마코토, 「내분비·당뇨병과」, 2001년 11월, 제13권, 제5호, p.534-542;
문헌 4: 미야시타 히로시, 외 8명, 「당뇨병」, 1998년, 제41권, 제8호, p.655-661;
문헌 5: 사카모토 노부오, 외 6명, 「임상과 연구」, 1990년, 제61권, 제1호, p.219-233;
문헌 6: 후나마 케이코, 외 8명, 「약리와 치료」, 1997년, 제25권, 제8호, p.2177-2186;
문헌 7: Jean-Louis Chiasson, 외 5명, 「Lancet」, 2002년 6월, 제359권, 제9323호, p.2072-2077;
문헌 8: 코다카 히로유키, 외 3명, 「일본 영양·식량학회지」, 1992년, 제45권, p.27;
문헌 9: 바바 타다오, 외 1명, 「별책 일본 임상영역별 증후군 시리즈」, 1998년, 제19호, p.552-554;
문헌 10: 카사하라 미치히로, 외 2명, 「최신의학」, 1996년 1월, 제51권, 제1호, p.84-90;
문헌 11: 츠치야 토모후사, 외 1명, 「일본임상」, 1997년 8월, 제55권, 제8호, p.2131-2139;
문헌 12: 가나이 요시카쯔, 「신장과 투석」, 1998년 12월, 제45권, 임시증간호, p.232-237;
문헌 13: E.Turk, 외 4명, 「Nature」, 1991년 3월, 제350권, p.354-356;
문헌 14: Y.Fujita, 외 5명, 「Diabetologia」, 1998년, 제41권, p.1459-1466;
문헌 15: J.Dyer, 외 5명, 「Biochem. Soc. Trans.」, 1997년, 제25권, p.479S;
문헌 16: J.Dyer, 외 4명, 「Am. J. Physiol」, 2002년 2월, 제282권, 제2호, p.G241-G248;
문헌 17: O.Blondel, 외 2명, 「Metabolism」, 1990년, 제39권, p.787-793;
문헌 18: A.Khan, 외 1명, 「Am. J. Phisiol.」, 1995년, 제269권, p.E623-E626;
문헌 19: A.Krook, 외 6명, 「Diabetes」, 1997년, 제46권, p.2110-2114;
문헌 20: L.Rossetti, 외 2명, 「Diabetes Care」, 1990년, 제13권, p.610-630;
문헌 21: P.Malathi, 외 1명, 「Biochim.Biophys.Acta」, 1969년, 제173권, p.245-256;
문헌 22: K.Tsujihara, 외 6명, 「Chem.Pham,Bull,(Tokyo)」, 1996년, 제44권, p. 1174-1180;
문헌 23: M.Watford, 「Nutr.Rev.」, 2002년 8월, 제60권, p.253-264,;
문헌 24: M.Shiota, 외 6명, 「Diabetes」, 2002년, 제51권, p.469-478;
문헌 25: M.Shiota, 외 4명, 「Diabetes」, 1998년, 제47권, p.867-873;
문헌 26: M.C.Moor, 외 3명, 「Diabetes Care」, 2001년, 제24권, p.1882-1887;
문헌 27: M.Hawkins, 외 5명, 「Diabetes」, 2002년, 제51권, p606-614;
문헌 28: B.W.Wolf, 외 5명, 「J.Nutr.」, 2002년, 제132권, p.1219-1223;
문헌 29: K.F.Petersen, 외 4명, 「Diabetes」, 2001년, 제50권, p.1263 -1268
문헌 30: P. Malathi, 외 1명, 「Biochim. Biophys. Acta」, 1969년, 제173권, p.245-256;
문헌 31: K.Tsujihara, 외 6명, 「Chem.Pham.Bull.(Tokyo)」, 1996년, 제44권, p.1174-1180;
문헌 32: C.P.Corpe, 외 5명, 「Pflugers Arch.-Eur.J.Physiol.」, 1996년, 제432권, p.192-201;
문헌 33: 다까다 쿠니아키, 「Bio. Clinica」, 1999년, 제14권, 제10호, p.893-898
도 1은 프럭토스 섭취에 의한 각종 약물 글루코스 저하작용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세로축은 수크로스 비첨가 탄수화물 부하시에 대한 수크로스첨가 탄수화물 부하시에 있어서의 글루코스의 혈장중 농도하 면적의 비율(%), 가로축은 약물의 종류를 나타낸다. 약물은, 왼쪽부터 실시예 1 기재의 화합물, 실시예 2기재의 화합물, 아카보스, 미글리톨, 프로리딘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중의 *는 P<0.05을, **는 P<0.01을 나타낸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프럭토스 섭취에 의한 효과를 발현하는, 광범위한 당질 흡수 저해작용을 갖는 신규한 약제를 찾아내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이 우수한 혈당 강하작용을 발휘하여,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매우 적합하다는 놀랄만한 발견을 하여, 본 발명에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1)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2) GLUT2 및/또는 GLUT5 저해작용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SGLT1 저해약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3) 투여 형태가 경구제인, 상기 1) 또는 2)의 예방 또는 치료제;
4)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당뇨병인, 상기 1)∼3)중 어느 하나의 예방 또는 치료제;
5) 당뇨병이 식후 고혈당인, 상기 4)의 예방 또는 치료제;
6)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내당능력 이상(IGT)인, 상기 1)∼3)중 어느 하나의 예방 또는 치료제;
7)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당뇨병성 합병증인, 상기 1)∼3)중 어느 하나의 예방 또는 치료제;
8)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비만증인, 상기 1)∼3)중 어느 하나의 예방 또는 치료제;
9)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을 유효량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10)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이 GLUT2 및/또는 GLUT5 저해작용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SGLT1 저해약인, 상기 9)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11) 투여 형태가 경구제인, 상기 9) 또는 10)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12)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당뇨병인, 상기 9)∼11)중 어느 하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13) 당뇨병이 식후 고혈당인, 상기 12)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14)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내당능력 이상(IGT)인, 상기 9)∼11)중 어느 하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15)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당뇨병성 합병증인, 상기 9)∼11)중 어느 하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16)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비만증인, 상기 9)∼11)중 어느 하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17)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의 의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의 사용;
18)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이 GLUT2 및/또는 GLUT5 저해작용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SGLT1 저해약인, 상기 17)의 사용;
19) 의약 조성물이 경구제인, 상기 17) 또는 18)의 사용;
20)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당뇨병인, 상기 17)∼19)중 어느 하나의 사용;
21) 당뇨병이 식후 고혈당인, 상기 20)의 사용;
22)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내당능력 이상(IGT)인, 상기 17)∼19)중 어느 하나의 사용;
23)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당뇨병성 합병증인, 상기 17)∼l9)중 어느 하나의 사용;
24)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비만증인, 상기 17)∼19)중 어느 하나의 사용;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이란, 유효성분 또는/및 그 대사물이 소장으로부터의 프럭토스 흡수를 저해하는 활성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지 않고, SGLT1 저해작용을 발휘하는 약제를 의미한다. 프럭토스 흡수를 저해하는 활성이란, 예를 들면 GLUT2 저해작용, GLUT5 저해작용 등을 들 수 있다.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 또는 2 기재의 화합물,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그것들의 수화물을 들 수 있는데, 본 발명에는 상기 활성을 갖는 그 밖의 화합물도 포함된다. 인간 및 그 밖의 포유 동물에 있어서의 SGLT1 저해작용의 평가는, 하기 실시예 3 기재의 시험방법 또는 거기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동일하게, GLUT2 저해작용 및 GLUT5 저해작용의 평가는, 하기문헌 33 및 34 기재의 시험방법 또는 거기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란, 당뇨병(특히 식후 고혈당), 내당능력 이상(IGT), 공복시 혈당 이상(IFG), 당뇨병성 합병증(예를 들면, 망막증, 신경장애, 신증, 궤양, 대혈관증), 비만증, 고인슐린 혈증, 고지질 혈증, 고콜레스테롤 혈증, 고트리글리세리드 혈증, 지방질 대사 이상, 아테로마성 동맥경화증,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부종, 고요산 혈증, 통풍 등의 질환을 들 수 있다.
첫째로,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SGLT 저해약으로서 프로리딘, SGLT1 저해약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 2 기재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프럭토스 부하시험을 실시하고, 프럭토스의 소화관내의 잔존량을 확인했다. 그 결과, 프로리딘이 프럭토스의 흡수를 의미있게 저해하는 것에 반해, 본 발명의 화합물은 프럭토스 흡수 저해활성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것을 알았다.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프럭토스 섭취에 의한 효과의 유무를 검토하기 위해서, 2형 당뇨병의 모델 동물인 Zucker fatty fa/fa rat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약물으로서는, α-글루코시다제 저해약으로서 아카보스와 미글리톨, SGLT 저해약으로서 프로리딘, 및 SGLT1 저해약으로서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 1 및 2 기재의 화합물을 사용했다. 프럭토스 존재군에는, 일반적인 식사중에 있어서의 탄수화물의 비율에 상당하는, 전분:수크로스:유당(6:3:1)의 혼합 탄수화물을 부하했다(예를 들면, 하기 문헌 35 참조). 다른 한편, 프럭토스 비존재군에는, 소화관내에서 프럭토스와 글루코스에 분해되는 이당류인 수크로스의 글루코스 상당분을 전분으로 치환한 것을 부하하고, 비교 검토했다. 그 결과, α-글루코시다제 저해약 및 프로리딘에서는, 수크로스첨가 탄수화물 부하시에 수크로스 비첨가 탄수화물 부하와 비교하여 혈장 글루코스 농도의 저하는 확인되지 않은 것에 반해,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는 의미있는 저하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GLUT2 및 GLUT5에 대해 저해작용을 보이지 않는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은, 프럭토스 섭취에 의해 의미있게 혈장 글루코스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알았다. 다른 한편, α-글루코시다제 저해약에서는 수크로스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프럭토스의 섭취가 저해되기 때문에, 또 프로리딘에서는 소화관내에서의 분해에 의해 생산되는 프로레틴의 GLUT 저해활성에 의해 프럭토스의 흡수가 저해되기 때문에, 혈장중 글루코스 농도의 개선은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이상으로부터,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은, 광범위한 당질 흡수 저해작용에 더하여, 통상의 식사에 있어서의 프럭토스의 섭취에 기초하는 상기의 효과를 겸비하고 있어, 탁월한 혈당강하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고혈당증에 기인한 상기의 각종 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극히 적합하다.
또,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서는, 유효성분으로서 선택적인 SGLT1 저해약 이외에, 프럭토스 흡수를 실질적으로 저해하지 않는 그 밖의 혈당강하약 및/또는 당뇨병성 합병증 치료약을 적당하게 배합하거나, 혹은 조합하여 동시에 또는 간격을 두고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배합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혈당강하약으로서는, 예를 들면 인슐린 감수성 증강약(염산 피오글리타존, 말레산 로시글리타존 등), SGLT2 저해약, 비구아나이드약(염산 메토포르민, 염산 부포르민 등), 인슐린 분비 촉진약(톨루부타미도, 아세토헥사미드, 토라자미드, 글리클로피라미드, 글리부졸, 글리블리드/글리벤클라미드, 글리클라지드, 나테글리니드, 레파글리니드, 미티글리니드, 글리메피리드 등), 인슐린 제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당뇨병성 합병증 치료약으로서는, 예를 들면, 알도스 환원 효소 저해약(에팔레스타트 등), 나트륨채널 안타고니스트(염산 멕실레틴 등), 안지오텐신 변환효소 저해약(염산 이미다푸릴, 리시노푸릴 등), 안지오텐신II 수용체 길항약(로살탄칼륨, 이르베사르탄 등), 지사약 또는 사하약(폴리카르보필칼슘, 탄닌산알부민, 차질산비스머스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의약 조성물로서는, 여러 제형의 의약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정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캡슐제, 드라이시럽제, 물약 등의 경구의 의약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는, 소화관 점막부착성 제제, 위체류형 제제 등을 포함하는 서방성 제재(예를 들면, 하기 문헌 36∼39 참조)도 포함된다.
이들 의약 조성물은, 그 제형에 따라 조제학상 사용되는 수법에 의해 적당한 부형제, 붕괴제, 결합제, 활택제, 희석제, 완충제, 등장화제, 방부제, 습윤제, 유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용해보조제 등의 의약물 첨가물과 적당하게 혼합 또는 희석·용해하여, 상법에 따라 조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약제와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활성성분을 동시에 또는 별개로 상기한 바와 동일하게 제제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의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의 투여량은, 대상이 되는 환자의 성별, 연령, 체중, 질환 및 치료의 정도 등에 따라 적당하게 결정된다. 예를 들면, 실시예 1 또는 2 기재의 화합물은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대략 성인 1일당 0.1∼1000mg의 범위내에서, 1회 또는 수차례에 나누어서 적당하게 투여할 수 있다. 또, 그 밖의 약제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량은, 다른 약제의 투여량에 따라 감량할 수 있다.
문헌 33: Christopher P. Corpe, 외 5명, 「Pflugers Arch.-Eur. J. Physiol.」, 1996년, 제432권, p.192-201;
문헌 34: Mueckler M, 외 5명, 「J. Biol. Chem.」, 1994년, 제269권, 제27호, p.17765-17767;
문헌 35: 무토 야스토시, 「소화·흡수-소화관 기능의 조절과 적응-」, 1988년, 제일출판주식회사, p.228;
문헌 36: 국제공개 제 WO99/10010호 팸플릿;
문헌 37: 국제공개 제 WO99/26606호 팸플릿;
문헌 38: 국제공개 제 WO98/55107호 팸플릿;
문헌 39: 국제공개 제 WO01/97783호 팸플릿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하의 실시예 및 시험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3,5-디메톡시-2-(4-니트로 벤조일)톨루엔
3,5-디메톡시톨루엔(8g)과 4-니트로벤조일클로라이드(10.7g)의 염화 메틸렌(150mL) 용액에 빙냉하에 염화알루미늄(7.36g)을 가하고, 실온에서 14시간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에 빙수를 가한 후, 혼합물을 1mo1/L 염산중에 붓고, 유기층을 분취했다. 유기층을 1mo1/L 염산, lmo1/L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했다. 잔사를 n-헥산으로 처리하고,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고, 감압하에 건조함으로써 표기 화합물(8.72g)을 얻었다.
참고예 2
5-히드록시-3-메틸-2-(4-니트로벤조일)페놀
3,5-디메톡시-2-(4-니트로벤조일)톨루엔(8.65g)의 염화메틸렌(140mL) 용액에 빙냉하에 3브롬화붕소(6.79mL)를 가하고, 40℃로 승온하고, 15시간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에 빙수를 가하고, 유기층을 분취했다. 유기층을 1mo1/L 염산,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용매: n-헥산/아세트산에틸=7/1∼3/1)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6.3g)을 얻었다.
참고예 3
5-메톡시카르보닐옥시-3-메틸-2-(4-니트로벤질)페놀
5-히드록시-3-메틸-2-(4-니트로벤조일)페놀(1.65g) 및 트리에틸아민(2.1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20mL) 용액에 빙냉하 클로로포름산 메틸(1.03mL)을 가하고, 실온에서 4시간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에 물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추출액을 포화식염수로 세정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함으로써 3,5-디메톡시카르보닐옥시-2-(4-니트로벤조일)톨루엔(2.37g)을 얻었다. 이것을 테트라히드로푸란(20mL)-물(20mL)에 현탁하고, 빙냉하에 수소화붕소나트륨(921mg)을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에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용매: n-헥산/아세트산에틸=3/1)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1.62g)을 얻었다.
참고예 4
5-메톡시카르보닐옥시-3-메틸-2-(4-니트로벤질)페닐 2,3,4,6-테트라- O -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시드
5-메톡시카르보닐옥시-3-메틸-2-(4-니트로벤질)페놀(1g) 및 2,3,4,6-테트라-O-아세틸-1-O-트리클로로아세토이미도일-α-D-글루코피라노스(2.02g)의 염화 메틸렌(30mL) 용액에 빙냉하 3불화붕소·디에틸에테르 착체(0.2mL)를 가하고, 실온에서 4시간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수중에 붓고,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했다. 추출액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후,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용매: n-헥산/아세트산에틸 2/1∼3/2)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1.93g)을 얻었다.
참고예 5
2-(4-아미노벤질)-5-메톡시카르보닐옥시-3-메틸페닐 2,3,4,6-테트라- O -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시드
5-메톡시카르보닐옥시-3-메틸-2-(4-니트로벤질)페닐 2,3,4,6-테트라-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시드(0.61g)의 아세트산 에틸(7mL)용액에 10%팔라듐 탄소 분말(0.2g)을 가하고, 수소분위기하에 실온에서 13시간 교반했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액의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여 표기 화합물(0.58g)을 얻었다.
실시예 1
5-히드록시-3-메틸-2-{4-[3-(3-피리딜메틸)우레이도]벤질}페닐 β-D-글루코피라노시드
2-(4-아미노벤질)-5-메톡시카르보닐옥시-3-메틸페닐 2,3,4,6-테트라-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시드(0.25g) 및 피리딘(0.043mL)의 염화메틸렌(10mL) 용액에 클로로포름산 4-니트로페닐(90mg)을 가하고,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에 3-아미노메틸피리딘(0.045mL) 및 트리에틸아민(0.11mL)을 가하고, 실온에서 5시간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후, 잔사를 메탄올(8mL)에 용해하고, 나트륨메톡시드(28% 메탄올 용액, 0.39mL)를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후, 잔사를 ODS 고상추출법(세정용매: 증류수, 용출용매: 메탄올) 및 VARIAN사제 BOND ELUT-SCX(용출용매: 메탄올)로 순차 정제함으로써 표기 화합물(0.17g)을 얻었다.
참고예 6
[4-(2-벤질옥시에톡시)-2-메틸페닐]메탄올
4-브로모-3-메틸페놀(3g)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16mL) 용액에 탄산세슘(5.75g), 벤질2-브로모에틸에테르(2.66mL) 및 촉매량의 요오드화 나트륨을 가하고, 실온에서 16시간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수중에 붓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수세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후,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함으로써 4-(2-벤질옥시에톡시)-1-브로모-2-메틸벤젠을 얻었다. 이것을 테트라히드로푸란(80mL)에 용해하고, -78℃ 아르곤 분위기하에 n-부틸리튬(2.66mol/Ln-헥산 용액, 6.63mL)을 가하고, 5분간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3.09mL)를 더하고, 0℃로 승온하고, 1시간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수중에 붓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 포화 식염수로 순차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후,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함으로써 4-(2-벤질옥시에톡시)-2-메틸벤즈알데히드를 얻었다. 이것을 에탄올(40mL)에 용해하고, 수소화붕소나트륨(607mg)을 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에 메탄올을 가하고, 감압하에 농축한 후, 잔사에 물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후,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용매: n-헥산/아세트산에틸=6/1∼1.5/1)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3.34g)을 얻었다.
참고예 7
4-{[4-(2-벤질옥시에톡시)-2-메틸페닐]메틸}-1,2-디히드로-5-이소프로필-3 H -피라졸-3-온
[4-(2-벤질옥시에톡시)-2-메틸페닐]메탄올(3.34g)의 테트라히드로푸란(22mL) 용액에 빙냉하 트리에틸아민(1.97mL) 및 메탄술포닐클로리드(1.04mL)를 가하고, 1시간 교반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했다. 얻어진 메실산 [4-(2-벤질옥시에톡시)-2-메틸페닐]메틸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을, 수소화나트륨(60%, 564mg) 및 4-메틸-3-옥소발레르산 에틸(2.13g)의 테트라히드로푸란(40mL) 현탁액에 가하고, 8시간 가열 환류했다. 반응혼합물에 1mol/L 염산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수세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후,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했다. 잔사의 톨루엔(5mL) 용액에 히드라진1수화물(1.79mL)을 가하고, 100℃에서 밤새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용매: 염화메틸렌/메탄올=40/1∼15/1)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3.72g)을 얻었다.
참고예 8
3-(2,3,4,6-테트라- O -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4-{[4-(2-벤질옥시에톡시)-2-메틸페닐]메틸}-5-이소프로필-1 H -피라졸
4-{[4-(2-벤질옥시에톡시)-2-메틸페닐]메틸}-1,2-디히드로-5-이소프로필-3H-피라졸-3-온(3.72g), 아세토브로모-α-D-글루코스(6.03g) 및 벤질트리(n-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1.52g)의 염화메틸렌(18mL) 용액에 5mol/L 수산화나트륨 수용액(5.9mL)을 가하고, 실온에서 5시간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아미노프로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용매: n-헥산/아세트산 에틸=1/1∼1/3)으로 정제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용매: n-헥산/아세트산에틸=1/2∼1/3)로 더욱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4.33g)을 얻었다.
참고예 9
3-(2,3,4,6-테트라- O -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4-{[4-(2-히드록시에톡시)-2-메틸페닐]메틸}-5-이소프로필-1 H -피라졸
3-(2,3,4,6-테트라-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4-{[4-(2-벤질옥시에톡시)-2-메틸페닐]메틸}-5-이소프로필-1H-피라졸(4.33g)을 메탄올(24mL)에 용해하고, 10% 팔라듐 탄소분말(800mg)을 가하고, 수소분위기하 실온에서 8시간 교반했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과액의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함으로써 표기 화합물(3.7g)을 얻었다.
참고예 10
3-(2,3,4,6-테트라- O -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4-{[4-(2-아지드에톡시)-2-메틸페닐]메틸}-5-이소프로필-1 H -피라졸
3-(2,3,4,6-테트라-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4-{[4-(2-히드록시에톡시)-2-메틸페닐]메틸}-5-이소프로필-1H-피라졸(1g)의 염화메틸렌(10mL)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34mL) 및 메탄술포닐클로라이드(0.15mL)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0.5mo1/L 염산중에 붓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후,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함으로써 3-(2,3,4,6-테트라-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이소프로필-4-({4-[2-(메탄술포닐옥시)에톡시]-2-메틸페닐}메틸)-1H-피라졸를 얻었다. 이것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7mL)에 용해하고, 아지화나트륨(0.31g)을 가하고, 100℃에서 3시간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수중에 붓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물로 3회 세정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했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용매: n-헥산/아세트산에틸=2/3∼1/2)로 정제하여 표기 화합물(0.79g)을 얻었다.
참고예 11
3-(2,3,4,6-테트라- O -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4-{[4-(2-아미노에톡시)-2-메틸페닐]메틸}-5-이소프로필-1H 1피라졸
3-(2,3,4,6-테트라-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4-{[4-(2-아지드에톡시)-2-메틸페닐]메틸}-5-이소프로필-1H-피라졸(0.79g)의 테트라히드로푸란(8mL) 용액에 10%팔라듐 탄소분말(50mg)을 가하고, 수소분위기하 실온에서 1시간 교반했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과액의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함으로써 표기 화합물(0.75g)을 얻었다.
실시예 2
3-(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4-{[4-(2-구아니디노에톡시)-2-메틸페닐]메틸}-5-이소프로필-1 H -피라졸
3-(2,3,4,6-테트라-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4-{[4-(2-아미노에톡시)-2-메틸페닐]메틸}-5-이소프로필-1H-피라졸(0.6g)의 테트라히드로푸란(5mL)-N,N-디메틸포름아미드(1mL) 용액에 N-(벤질옥시카르보닐)-1H-피라졸-1-카르복시아미딘(1.89g)을 첨가하고, 60℃에서 20시간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용매: n-헥산/아세트산에틸=1/1∼아세트산에틸∼아세트산에틸/에탄올=10/1)로 정제하여 3-(2,3,4,6-테트라-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4-({4-[2-(N'-벤질옥시카르보닐구아니디노)에톡시]-2-메틸페닐}메틸)-5-이소프로필-1H-피라졸(0.31g)을 얻었다. 이것을 메탄올(6mL)에 용해하고, 나트륨메톡시드(28% 메탄올 용액, 0.023mL)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했다. 반응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잔사를 ODS 고상추출법(세정용매: 증류수, 용출용매: 메탄올)으로 정제함으로써 4-({4-[2-(N'-벤질옥시카르보닐구아니디노)에톡시]-2-메틸페닐}메틸)-3-(β-D-글루코피라노실옥시)-5-이소프로필-1H-피라졸(0.2g)을 얻었다. 이것을 메탄올(3mL)에 용해하고, 10% 팔라듐 탄소분말(50mg)을 가하고, 수소분위기하 실온에서 1시간 교반했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과액의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함으로써 표기 화합물(0.15g)을 얻었다.
실시예 3
래트 SGLT1 활성저해작용 확인 시험
1) 래트 SGLT1의 클로닝 및 발현 벡터에의 재조합
Kasahara 등에 의해 보고된 래트의 SGLT1 유전자(ACCESSION: M16101)의 111번부터 2203번까지의 염기배열을, 래트 신장의 cDNA(QUICK-Clone(등록상표) cDNA; Clontech)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PCR법에 의해 증폭하고, pCMV-Script(Stratagene)의 SrfI 부위에 삽입했다. 삽입한 DNA의 염기배열은, 보고되어 있는 염기배열과 아미노산 레벨에서 일치하고 있었다.
2) 래트 SGLT1 안정 발현주의 수립
래트 SGLT1 발현 벡터를 MluI로 소화하여 직쇄상 DNA로 한 후, CHO-K1 세포에 리포펙션법(Superfect Transfection Reagent: QIAGEN)으로 도입했다. 1mg/mLG418(LIFE TECNOLOGIES)으로 네오마이신 내성 세포주를 얻고, 후술하는 방법으로 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의 세포내 이입 활성을 측정했다. 가장 강한 세포내 이입 활성을 나타낸 주를 선택하여 CrS1으로 하고, 이후, 200μg/mL의 G418 존재하에서 배양했다.
3) 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α-MG) 세포내 이입 저해활성의 측정
96구멍 플레이트에 CrS1을 3×104개/구멍으로 파종하고, 200μg/mL의 G418 존재하에서 2일간 배양한 후에 세포내 이입 실험에 제공했다. 세포내 이입용 완충액(140mM 염화나트륨, 2mM 염화칼륨, 1mM 염화칼슘, 1mM 염화마그네슘, 10mM2-[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지닐]에탄술폰산, 5mM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을 포함하는 완충액 pH7.4)에는, 비방사 라벨체(Sigma)와 14C 라벨체(Amersham Pharmacia Biotech)의 α-MG를 최종 농도가 1mM이 되도록 혼화하여 첨가했다. 시험화합물은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한 후, 증류수로 적당히 희석하여 1mMα-MG를 포함하는 세포내 이입용 완충액에 첨가하고, 저해활성 측정용 완충액으로 했다. 대조군용에는 시험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측정용 완충액을, 기초 세포내 이입 측정용에는 염화나트륨으로 바꾸어서 140mM의 염화 콜린을 포함하는 기초 세포내 이입 측정용 완충액을 조제했다. 배양한 CrS1의 배지를 제거하고, 전처치용 완충액(α-MG를 포함하지 않는 기초 세포내 이입용 완충액)을 1구멍당 180μL 가하고, 37℃에서 10분간 정치했다. 동일 조작을 다시 한번 되풀이한 후, 세포내 이입용 완충액을 제거하고, 측정용 완충액 및 기초 세포내 이입용 완충액을 1구멍당 75μL씩 가하고 37℃에서 정치했다. 1시간 후에 측정용 완충액을 제거하고, 1구멍당 180μL의 세정용 완충액(10mM 비라벨체 α-MG을 포함하는 기초 세포내 이입용 완충액)으로 2회 세정했다. 1구멍당 75μL의 0.2moI/L 수산화 나트륨으로 세포를 용해하고, 그 액을 피코 플레이트(Packard)에 옮겼다. 150μL의 마이크로신티 40(Packard)를 가하여 혼화하고, 마이크로신틸레이션 카운터(Packard)로 방사활성을 측량했다. 대조군의 세포내 이입으로부터 기초 세포내 이입량을 뺀 값을 100%로 하고, 시험화합물의 각 농도에 있어서의 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의 세포내 이입량을 산출했다. 시험화합물이 메틸-α-D-글루코피라노시드의 세포내 이입을 50% 저해)하는 농도(IC50값)을 논리도에 의해 산출했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시험예 1
SGLTl 저해약의 프럭토스 흡수에 대한 영향
위스터계 수컷 래트(8주령)에, 실시예 2(0.3mg/g) 또는 프로리딘(40 또는 100mg/kg)을 경구투여 하고, 그 직후에 프럭토스를 0.2g/kg 부하했다. 30분 후에, 에테르 마취하에서 방혈 치사시키고, 재빨리 위 및 소장을 적출하고, 각각 10mL의 차가운 생리 식염수로 내용물을 씻었다. 프럭토스 측정 키트(D-글루코스/D-프럭토스; 로슈·다이아그노스틱스사제)를 사용하여 프럭토스 농도를 측정하고, 소화관내 잔존량을 산출하여 투여량에 대한 비율로 나타냈다. 통계처리는 대조군에 대해 T 검정으로 행했다. 결과는 표 2와 같다. 또한, 표중의 **는 P < 0.01을, ***는 P < 0.001을 나타낸다.
시험예 2
SGLT1 저해약, SGLT 저해약과 α-글루코시다제 저해약의 수크로스함유 혼합 탄수화물 부하에의 영향
Zucker fa/fa 래트(15∼17주령)을 하룻밤 절식한 후, SGLT1 저해약(실시예 1 기재의 화합물, 0.5mg/kg; 실시예 2 기재의 화합물, 0.3mg/kg), α-글루코시다제 저해약(아카보스, 5mg/kg; 미글리톨, 5mg/kg), 또는 SGLT 저해약(프로리딘, 100mg/kg)을 경구투여 했다. 그 직후에 수크로스첨가 혼합 탄수화물(전분: 수크로스:유당=6:3:1) 또는 수크로스 비첨가 혼합 탄수화물(전분:유당=7.5:1)을 1.6g 글루코스/kg으로 부하했다. 0, 0.5, 1, 2, 3시간 후에 채혈하고, 혈장을 분리하여 혈장중 글루코스 농도를 정량했다. 사다리꼴법으로 0부터 3시간째 까지의 글루코스 혈중 농도 하면적을 산출했다. 통계처리는, 각각의 약물 마다 수크로스 비첨가 혼합 탄수화물 부하군과 수크로스첨가 혼합 탄수화물 부하군을 T검정으로 행했다. 결과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은, 광범위한 당질 흡수 저해작용에 더하여, 일반적인 식사에 있어서의 프럭토스의 섭취에 기초하는 상기의 효과를 겸비하고 있어, 탁월한 혈당강하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상기의 각종 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매우 적합하다.

Claims (24)

  1.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이 GLUT2 및/또는 GLUT5 저해작용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SGLT1 저해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투여 형태가 경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당뇨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제.
  5. 제 4 항에 있어서, 당뇨병이 식후 고혈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내당능력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당뇨병성 합병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제.
  8.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비만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제.
  9.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을 유효량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이 GLUT2 및/또는 GLUT5 저해작용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SGLT1 저해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투여 형태가 경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당뇨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당뇨병이 식후 고혈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내당능력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방법.
  15. 제 9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당뇨병성 합병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방법.
  16. 제 9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비만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방법.
  17.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의 의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의 사용.
  18. 제 17 항에 있어서, 선택적인 SGLT1 저해약이 GLUT2 및/또는 GLUT5 저해작용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SGLT1 저해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의약 조성물이 경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당뇨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21. 제 20 항에 있어서, 당뇨병이 식후 고혈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22. 제 17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내당능력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23. 제 17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당뇨병성 합병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24. 제 17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이 비만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KR1020057010011A 2002-12-04 2003-12-04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KR200500891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52201 2002-12-04
JP2002352201 2002-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156A true KR20050089156A (ko) 2005-09-07

Family

ID=3246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011A KR20050089156A (ko) 2002-12-04 2003-12-04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035844A1 (ko)
EP (1) EP1568380A4 (ko)
JP (1) JPWO2004050122A1 (ko)
KR (1) KR20050089156A (ko)
CN (1) CN1744916A (ko)
AU (1) AU2003289156A1 (ko)
CA (1) CA2507665A1 (ko)
WO (1) WO20040501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77317A4 (en) * 2002-12-25 2007-05-09 Kissei Pharmaceutical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DERIVATIVES, MEDICINAL COMPOSITIONS COMPRISING SAID DERIVATIVES AND MEDICAL USE OF SAID DERIVATIVES
US7576064B2 (en) * 2003-06-20 2009-08-18 Kissei Pharmaceutical Co., Ltd. Pyrazole derivative, drug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production intermediate therefor
DE102004028241B4 (de) * 2004-06-11 2007-09-13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Neue Fluorglykosidderivate von Pyrazolen,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und Herstellung dieser Arzneimittel
CA2609728A1 (en) * 2005-05-27 2006-11-30 Five Prime Therapeutics, Inc. Methods of and compositions for stimulation of glucose uptake into muscle cells and treatment of diseases
UY30082A1 (es) 2006-01-11 2007-08-31 Boehringer Ingelheim Int Forma cristalina de 1-(1-metiletil)-4`-((2-fluoro-4-metoxifenil)metil)-5`- metil-1h-pirazol-3`-o-b-d-glucopiranosido, un metodo para su preparacion y el uso de la misma para preparar medicamentos
MX2008014512A (es) * 2006-05-19 2008-11-27 Taisho Pharma Co Ltd Compuesto de c-fenil glucitol para el tratamiento de diabetes.
JP5152519B2 (ja) 2006-06-29 2013-02-27 大正製薬株式会社 C−フェニル1−チオグルシト−ル化合物
TWI499414B (zh) 2006-09-29 2015-09-11 Lexicon Pharmaceuticals Inc 鈉與葡萄糖第2型共同運輸體(co-transporter 2)的抑制物與其應用方法
AU2007332476A1 (en) 2006-12-14 2008-06-19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1-phenyl 1-thio-D-glucitol derivative
US7846945B2 (en) * 2007-03-08 2010-12-07 Lexicon Pharmaceuticals, Inc. Piperdine-based inhibitors of sodium glucose co-transporter 2 and methods of their use
EP2197433A4 (en) * 2007-08-20 2010-09-08 Sinai School Medicine REGULATION OF GLP-1 AND SGLT-1 IN GASTROINTESTINAL CELLS
BRPI0918841B8 (pt) * 2008-08-28 2021-05-25 Pfizer derivados de dioxa-biciclo[3.2.1]octano-2,3,4-triol, seus cristais,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e usos
WO2010095768A1 (en) 2009-02-23 2010-08-26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4 -isopropylphenyl glucitol compounds as sgltl inhibitors
IN2012DN02333A (ko) * 2009-10-16 2015-08-21 Dow Agrosciences Llc
US8163704B2 (en) 2009-10-20 2012-04-24 Novartis Ag Glycosid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ME02016B (me) 2009-11-02 2015-05-20 Pfizer Derivati dioksabiciklo[3.2.1]oktan-2,3,4-triola
CA2807755A1 (en) 2010-08-20 2012-02-23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Crystal form of 4-isopropylphenyl glucitol compound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EP2607360B1 (en) 2010-08-20 2015-08-19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4-Isopropyl-6-methoxyphenyl glucitol compound
MX346453B (es) 2013-02-04 2017-03-17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Medicamento profilactico o terapeutico para el estreñimiento.
WO2015043473A1 (en) * 2013-09-25 2015-04-02 Sunshine Lake Pharma Co., Ltd. Glucopyranosyl derivatives and their uses in medicine
EP2944311A1 (de) * 2014-05-16 2015-11-18 BioActive Food GmbH Kombination von biologisch aktiven Substanzen zur Behandlung von hyperglykämischen Erkrankungen
CN108882742A (zh) * 2016-02-10 2018-11-23 Pm国际股份公司 用以减少和/或阻止肠道葡萄糖吸收的含有番石榴苷的组合物、膳食补充剂、组合物的用途和膳食补充剂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82330B2 (en) * 1999-08-31 2005-07-21 Kissei Pharmaceutical Co. Ltd. Glucopyranosyloxypyrazole derivatives, medicin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nd intermediates in the production thereof
JP3798375B2 (ja) * 2000-09-29 2006-07-19 キッセイ薬品工業株式会社 グルコピラノシルオキシベンジルベンゼン誘導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WO2002036602A1 (fr) * 2000-11-02 2002-05-10 Ajinomoto Co., Inc. Nouveaux derives du pyrazole et remedes au diabete contenant ces derniers
CA2429833A1 (en) * 2000-11-30 2002-06-06 Kissei Pharmaceutical Co., Ltd. Glucopyranosyloxybenzylbenzene derivatives, medicin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nd intermediates in the production thereof
ATE431830T1 (de) * 2000-12-28 2009-06-15 Kissei Pharmaceutical Glucopyranosylpyrazolderivate und deren verwendung in arzneimitteln
TWI255817B (en) * 2001-02-14 2006-06-01 Kissei Pharmaceutical Glucopyranosyloxybenzylbenzene derivatives and medicinal use thereof
ES2319263T3 (es) * 2001-02-26 2009-05-06 Kissei Pharmaceutical Co., Ltd. Derivados de glucopiranosilooxipirazol y su utilizacion como medicamentos.
EP1400529A4 (en) * 2001-05-30 2007-12-19 Kissei Pharmaceutical GLUCOPYRANOSYLOXYPYRAZOLE DERIVATIVE, MEDICIN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MEDICINAL AND INTERMEDIARY USE THEREOF
EP1544208B1 (en) * 2002-08-08 2010-05-26 Kissei Pharmaceutical Co., Ltd. Pyrazole derivative, medicin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medicinal use thereof, and intermediate for production thereof
JP2004137245A (ja) * 2002-08-23 2004-05-13 Kissei Pharmaceut Co Ltd ピラゾール誘導体、それ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その医薬用途及びその製造中間体
AU2003262262A1 (en) * 2002-08-27 2004-03-19 Kissei Pharmaceutical Co., Ltd. Pyrazole derivatives, medicin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medicinal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44916A (zh) 2006-03-08
WO2004050122A1 (ja) 2004-06-17
AU2003289156A1 (en) 2004-06-23
EP1568380A4 (en) 2009-10-21
JPWO2004050122A1 (ja) 2006-03-30
US20060035844A1 (en) 2006-02-16
EP1568380A1 (en) 2005-08-31
CA2507665A1 (en) 200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9156A (ko) 고혈당증에 기인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AU2007316613B2 (en) Combination therapy with SGLT-2 inhibitors and thei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WI472325B (zh) 包含經葡萄糖哌喃基取代之苯衍生物的醫藥組合物
TWI231298B (en) Glucopyranosyloxypyrazol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in medicines
US2014008799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methods for treating and uses thereof
EP3362055B1 (en) Sglt-2 inhibitor for use in the treatment of a metabolic myopathy
KR20090107543A (ko) 피라졸-o-글리코사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JP2019531320A (ja) Ssao/vap−1阻害剤とsglt2阻害剤とを含む組合せ、その使用
CA2616702A1 (en) Method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orders and new pyrazole-o-glycoside derivatives
KR20020033781A (ko) 글루코피라노실옥시피라졸 유도체, 그것을 함유하는 의약조성물 및 그 제조 중간체
KR20080055874A (ko) 당뇨병 치료용 디펩티딜 펩티다아제 억제제
JP2009538898A (ja) 糖尿病の進行を遅らせるためのgpcrアゴニストの使用
Manoj et al. SGLT2 inhibitors, an accomplished development in field of medicinal chemistry: an extensive review
Maccari et al. Sodium-glucose cotransporter inhibitors as antidiabetic drugs: current development and future perspectives
CN115671105B (zh) Ly2922470在制备预防或治疗肾脏疾病药物中的应用
Calado Dapagliflozin, an oral sodium glucose cotransporter type 2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US20230060422A1 (en) Combination treatment of liver diseases using integrin inhibitors
WO2022269439A1 (en) Method of controlling blood sugar level and treatment of diabetes and related conditions
BG64817B1 (bg) Комбинация от тиазолидиндион и сулфонилуреа, състав и използване
CN109498623A (zh) 改善肝功能的方法
Polakof Diabetes therapy: novel patents targeting the glucose-induced insulin secretion
KR101898610B1 (ko) PPARδ 활성물질의 태자 재프로그래밍 용도
US2021011356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methods for treating and uses thereof
Guo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small-molecule drugs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Synthetic approaches and clinical applications
KR100720055B1 (ko) 육탄당 모노인산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