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888A -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그리고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그리고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888A
KR20050088888A KR1020040014676A KR20040014676A KR20050088888A KR 20050088888 A KR20050088888 A KR 20050088888A KR 1020040014676 A KR1020040014676 A KR 1020040014676A KR 20040014676 A KR20040014676 A KR 20040014676A KR 20050088888 A KR20050088888 A KR 20050088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
counselor
terminal
answer
ques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40014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8888A/ko
Publication of KR20050088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88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0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8/00Large container
    • B65D2588/16Large container flexible
    • B65D2588/16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2588/165FIBC on a pallet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질문자의 단말기부터 질문이 제공되면, 상기 질문을 분석하여 상기 질문이 속하는 카테고리를 판별한다. 즉, 질문을 구성하는 문장을 분석하여 카테고리를 판별하거나 또는 질문에 포함된 카테고리 식별 번호에 따라 해당 카테고리를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담자 중에서 답변 가능한 상담자를 선택하여 새로운 질문이 등록되었음을 알리고, 이에 따라 등록 알림을 수신한 상담자가 시스템에 접속하여 답변을 요청하면,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와 상담자 단말기 사이에 호를 연결시켜, 상담자가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질문자는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질문을 하고 질문에 따른 자세한 답변을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그리고 기록매체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network and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 등의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들에게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널리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이러한 공간을 이용하여 친목을 쌓기도 하고, 질문을 통해 다른 사용자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기도 한다. 이처럼 인터넷을 이용하여 어떤 사용자의 질문에 대해 다른 사용자들이 답변을 할 수 있는 지식 공유 서비스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오늘날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지식 공유 서비스로서 네이버(http://www.naver.com)의 지식iN 서비스가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질문이 있는 사용자(질문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신의 질문과 유사한 질문 또는 자신의 질문과 연관된 답변이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거나, 바로 자신의 질문을 정보 제공 시스템에 등록한다.
또 다른 사용자(상담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등록되어 있는 질문을 검색하거나 브라우징(browsing)한다. 그리고, 자신이 답변할 수 있는 질문을 발견한 경우, 상기 상담자는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등록한다. 이후에 질문자가 정보 제공 시스템에 다시 접속하여 자신의 질문을 검색해 보면, 자신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볼 수 있다.
한편, 오늘날 무선 통신의 눈부신 발달은 무선 단말기의 대중화를 급속히 촉진시켜, 이제 대부분의 일반인들이 핸드폰이나 PDA 등의 무선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다니도록 우리의 생활을 변모시켰다. 따라서, 이동 중에 있는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질문 내용을 검색 또는 등록하고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얻고자 요구가 새로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종래의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날이 진보하는 무선 통신 환경에 맞도록 변형시켜 유, 무선 사용자들의 질문 및 답변을 효율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 및 시스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질문자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질문을 한 경우,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이 가능한 상담자를 신속하게 연결시켜, 네트워크를 통한 지식 공유가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정보 제공 방법에서, a) 네트워크를 통하여 질문자의 단말기부터 질문이 제공되면, 상기 질문을 분석하여 상기 질문이 속하는 카테고리를 판별하는 기능; b) 상기 판별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담자 중에서 답변 가능한 상담자를 선택하는 기능; c) 선택된 상담자의 단말기로 새로운 질문이 등록되었음을 알리는 기능; d) 상기 등록 알림을 수신한 상담자가 시스템에 접속하여 답변을 요청하면,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와 상담자 단말기 사이에 호를 연결시켜, 상기 상담자가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c) 기능은 상기 상담자의 단말기로 질문 등록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질문자와의 통화가 가능한 통화 번호를 제공하여, 상기 상담자가 상기 통화 번호를 토대로 시스템에 접속하여 질문자에게 답변을 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스템에 접속하여 질문을 제공하면,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이 실시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답변 가능한 다수의 사용자(이하, "상담자"라고 명명함)를 카테고리별로 확보한 후, 질문의 카테고리에 따라 선택된 상담자에게 질문 등록을 통보하여 시스템에 접속하도록 하며, 상담자의 시스템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담자와 질문을 제공한 사용자(이하, "질문자"라고 명명함) 간에 호를 연결시켜 직접적인 답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질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내용이 속하는 카테고리를 자동으로 판별하고, 판별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답변 가능한 사용자를 선택하여 질문에 대한 답변을 요청한다.
이외에도, 상담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질문자에게 제공받은 수수료의 일부를 상담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상담자가 답변을 제공하는 방법은 호 연결에 따른 통화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네트워크(200, 유무선 네트워크 포함)를 통하여 다수의 질문자 단말기(300)와 상담자 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질문자와 상담자 사이의 연결 처리를 수행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한 지식 공유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질문자 및 상담자의 단말기(300,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이다. 본 실시 예에서, 단말기(300,400)는 휴대폰 등의 무선 단말기가 사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선 전화, 전화 통화가 가능한 컴퓨터 등의 다른 통신 장치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질문을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거나,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질문을 제공하거나, 단말기에 내장된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시스템(100)에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300,400)에 연결되어 있는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접속 서버(10), 질문 처리 서버(30), 통화 연결 서버(40), 알림 서버(20)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구동 서버(60) 및 평가 서버(5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서버(10)는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등)를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접속 처리를 수행하며, 일명 왑 서버라고 명명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접속 서버(10)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 처리를 수행하는 별도의 서버 예를 들어, 웹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알림 서버(2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하며, 특히,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를 질문 처리 서버(30)로 전송하여 처리되도록 하거나, 질문 처리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특정 수신인(질문자 또는 상담자)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형태로 처리되어 송수신되지만, 이와는 달리 LMS(Long Message Service), 또는 EMS(Enhanced Messag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형태로 처리되어 송수신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시스템의 소정 왑 페이지로의 접속을 위한 콜 백 URL(Call Back URL) 또는 시스템과의 호 연결을 위한 콜 백 넘버(Call Back Number)를 포함하는 메시지 형태로 처리될 수도 있다.
질문 처리 서버(30)는 접속 서버(10)를 통하여 접속하거나 상기 알림 서버(20)를 통하여 제공되는 질문의 내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상담자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질문 처리 서버(30)는 제공되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질문의 내용이 어떠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것인지를 판별하는 내용 분석부(31), 내용 분석 결과에 따라 판별된 카테고리내에 속하는 다수의 상담자 중 답변 가능한 상담자를 선택하는 상담자 선택부(32), 질문의 카테고리별로 상담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담자 데이터베이스(33),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34), 제공되는 질문을 카테고리별로 저장하는 질문 데이터베이스(35)를 포함한다.
상담자 데이터베이스(3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0)에 등록된 다수의 상담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예를 들어, 상담자의 단말기 번호(예: 무선 번호), 상담자의 신뢰도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신뢰도 정보는 상담자의 상담 결과에 따라 산출되는 것으로, 해당 상담자의 답변이 얼마나 신뢰성이 있는지를 나타낸다.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34)에는 카테고리별로 부여된 식별 번호에 대응하여 해당 카테고리에 대한 키워드, 설명 등이 저장되어 있다. 질문 데이터베이스(35)에는 카테고리별로 질문자의 식별 번호(예를 들어 ID, 또는 무선 번호 등)에 대응하여 질문한 내용, 질문자 단말기 번호들이 저장될 수 있다.
통화 연결 서버(40)는 소정의 답변을 원하는 질문자의 단말기와 상담자의 단말기 사이의 호를 설정하여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사이에 호를 설정하여 연결시키는 호 연결부(41), 그리고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부(42)를 포함한다. 이러한 통화 연결 서버(40)에 의하면 질문자와 상담자는 설정된 호를 통하여 질문 또는 답변을 실시간으로 음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지는 질문/답변 서비스와 달리 질문자는 자신의 질문에 대해 실시간 답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질문자는 답변을 제공받은 후 상담자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평가 서버(50)가 처리한다. 평가 서버 (50)는 질문자로부터 제공되는 평가 데이터를 토대로 상담자의 신뢰도를 산출하며, 상담자별로 평가 데이터, 상기 평가 데이터를 제공하는 질문자의 식별 번호가 대응되어 저장되는 평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 서버(50)는 질문자의 단말기와 상담자 단말기 사이의 호가 종료된 경우에도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와 호를 유지하고, 질문자에게 ARS부(42)를 이용하여 "답변에 만족하시는 경우 1번 버튼을, 답변이 불만족스러운 경우 2번 버튼을 눌려주십시오"와 같은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음성 안내 메시지에 응답하여 질문자가 입력한 버튼의 종류를 판별하여 신뢰도 정보에 반영한다.
또한, 평가 서버(50)는 소정의 평가 웹 페이지를 통하여 질문자로부터 상담자의 답변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또는 질문자의 단말기로 콜 백 URL 또는 콜 백 넘버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질문자가 문자 메시지를 토대로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평가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구동 서버(60)는 질문자 또는 상담자 단말기(300, 400)에 내장되어 있는 질문 및 답변을 위한 모듈을 구동시키고, 상기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처리하거나 소정 정보를 상기 모듈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동 서버(60)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서버 이외에도 질문자가 답변을 제공받는 것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서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각 서버(10∼60)들은 그 기능상 분류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 서버들이 소정 데이터베이스(33∼35)를 각각 포함하는 형태로 기술하였으나, 각 데이터베이스(33∼35)들은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서버(10∼60)의 구성 요소들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 요소들도 각각 독립적인 서버로서 구현되어 해당 기능을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3∼35)도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분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를 토대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들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 각 서버들간의 동작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질문자가 무선 단말기(300)를 통하여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질문을 전달한다(S10). 여기서 질문자는 무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을 이용하여 질문을 시스템(100)으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질문을 입력한 후 SMS 형태로 시스템(100)으로 전달한다. 이 경우, 해당 질문의 카테고리가 어떤 것인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질문 내용에 카테고리 식별을 위한 별도의 식별 번호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질문자는 음성으로 질문을 등록할 수도 있다.
질문 처리 서버(30)가 질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어떠한 카테고리에 속하는지를 판별한다(S20∼S30). 질문에 카테고리 식별을 위한 기호 또는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기호 또는 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질문의 카테고리를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다수의 상담자 중에서 답변 가능한 상담자(하나 이상일 수 있음)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담자의 단말기로 질문이 등록되었음을 알려준다(S40∼S50). 이 때, 상담자들에게 부여된 신뢰도 정보를 토대로 하여 질문에 답변할 상담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상담자들의 통화 가능 여부를 체크한 후 통화가 가능한 상담자만을 선택할 수도 있다. 상담자들의 통화 가능 여부를 체크하는 방법으로는 상담자들의 단말기로 콜 백 URL 또는 콜 백 넘버를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보낸 후, 이 메시지에 대한 답변이 있는 경우에는 통화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외에도 다른 방법으로 상담자의 통화 가능 여부를 체크할 수도 있다.
이후, 상담자가 유선 단말기 또는 무선 단말기를 통하여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접속하여 등록되어 있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한다(S60∼S70). 예를 들어, 상담자는 시스템을 통하여 질문자 단말기와의 호 연결이 이루어지면 질문자와 통화하여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거나, 질문자 단말기의 무선 번호로 직접 전화를 걸어서 답변을 한다. 이외에도, 상담자는 시스템의 왑 서버 특히, 왑 채팅 서버에 접속하여 웹 채팅과 같은 방식으로 질문답변을 주고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질문자는 항상 무선 단말기를 통하여 용이하게 질문을 할 수 있으며, 질문자와 상담자의 연결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질문에 대한 답변을 보다 정확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에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되는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질문자가 질문을 등록하고 질문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질문 등록 및 분석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질문자가 무선 단말기 상에 질문하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한 후 이를 전송한다. 즉, 질문자는 무선 단말기(300)의 "메시지 보내기"를 선택한 후 수신인으로 시스템(100)의 알림 서버(20)에 대응하는 번호를 입력하고, 질문하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한 후, 상기 질문을 SMS 형태로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전송된 SMS 메시지는 도시하지 않은 이동 통신 시스템(100)에 의하여 시스템(100)의 알림 서버(20)로 수신되며, 알림 서버(20)는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질문을 질문 처리 서버(30)로 전달하여 처리되도록 한다(S100∼S110).
질문 처리 서버(30)의 내용 분석부(31)는 알림 서버(20)로부터 전달된 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내용이 어떠한 카테고리에 속하는지를 판별한다(S12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용 분석부(31)는 메시지의 내용을 문서 요약 기법을 이용하여 카테고리화 한다. 도 5에 질문의 내용을 분석하는 과정이 예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내용 분석부(31)는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장의 단위로 문장의 내용이나 특징을 잘 반영하는 단어인 내용어를 추출한다(S121). 그리고, 추출된 내용어를 사용하여 문장 벡터를 구성하며, 이러한 문장 벡터에 해당 문장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가중치를 부여한다(S122∼S123). 문장의 중요도는 제목과 문장의 유사도에 따라 산출되거나, 문장에 나타내는 자질(feature)의 중요도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중치가 부여된 문장 벡터를 모두 합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메시지가 각 카테고리에 속할 확률을 단순 베이지언 확률 모델 등을 이용하여 구한다(S124∼S125). 그리고 구해진 확률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가지는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상기 메시지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설정한다(S126).
이러한 내용 분석 방법은 예시된 것이며, 이외에도 메시지를 구성하는 문장을 분석하여 해당 메지시가 어떤 카테고리에 속하는지를 알아내는 다수의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 분석부(31)는 형태소 분석 방법 등 소정의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질문으로부터 소정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 (34)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와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검색하여, 상기 질문에 대한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시스템이 자동으로 내용을 분석하지 않고 오퍼레이터(operator)가 메시지를 읽어서 내용을 확인한 후 카테고리를 입력하면, 입력된 카테고리를 해당 질문의 카테고리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메시지 전송 단계에서 사용자는 메시지에 해당 질문이 어떠한 카테고리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별도의 식별 문자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S130). 이 경우, 사용자는 카테고리의 식별 문자를 웹 또는 왑을 통하여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카테고리의 식별 문자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전송되면, 질문 처리 서버(30)의 내용 분석부(31)는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문자를 추출한 후, 추출된 식별 문자를 토대로 해당 질문이 속하는 카테고리를 판단한다(S140).
또한, 메시지 전송 단계에서 사용자는 직접 상담하고자 하는 상담자를 지정하면서 질문을 제공할 수 있다. 상담자의 식별 번호 등을 지정한 후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면, 질문 처리 서버(30)의 상담자 선택부(32)는 상기 상담자의 식별 번호를 토대로 답변할 상담자를 선택한다(S150∼S160).
한편, 위의 메시지 전송 단계에서 카테고리별로 메시지를 수신할 대상이 되는 전화 번호를 다르게 줄 수 있다. 즉, 시스템(100)이 각 카테고리별로 다수의 전화 번호를 확보 및 관리하는 경우에, 질문자는 질문하고자 하는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전화 번호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여 질문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는 555-1000, 영화는 555-1001과 같이 카테고리별로 전화 번호가 다르게 부여되고, 질문자는 스포츠 분야에 대해 질문을 하고자 하는 경우, 수신인은 555-1000으로 하면서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시스템은 555-1000으로 수신된 메시지는 모두 스포츠 분야에 대한 질문으로 처리하여, 스포츠 분야의 상담자들을 선택하게 된다.
또한, 상담자를 직접 지정하여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에도 상담자별로 전화 번호를 다르게 하여 질문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상담자는 555-1000, B 상담자는 555-1001과 같은 형식으로 전화 번호를 다르게 부여하고, 질문자는 선택한 상담자에 해당하는 전화 번호로 질문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는 질문을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여 시스템(100)에 용이하게 질문을 등록할 수 있으며, 또한, 시스템(100)은 전송된 메시지를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해당 질문이 속하는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다. 카테고리가 설정된 질문들은 질문 데이터베이스(35)의 해당 카테고리에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다음에는 질문의 카테고리 설정에 따라 질문자를 상담자와 연결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질문자와 상담자 연결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질문자가 제공한 질문의 카테고리가 설정되면, 질문 처리 서버(30)의 상담자 선택부(32)는 상담자 데이터베이스(33)를 검색하여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되어 있는 상담자들을 추출한다(S200∼S210).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담자들을 모두 선택할 수도 있으며, 신뢰성 있는 답변 제공을 위하여 상담자의 신뢰도 정보를 토대로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상담자만을 선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담자의 답변이 질문자에 의하여 채택되는 확률, 답변 후 질문자가 직접 입력한 평가 점수, 또는 질문 등록 후 답변하기까지의 시간, 답변 수 등의 변수를 토대로 하여 산출되는 신뢰도 정보가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상담자를 답변자로 선택한다. 이외에도 질문자별로 주로 상담을 하고자 하는 상담자를 "상담자 즐겨찾기" 등과 같은 목록으로 지정하고, 별도의 상담자 선택 과정 없이 질문자가 즐겨찾기 해놓은 상담자에게 바로 질문이 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담자 즐겨찾기"에 등록된 상담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해당 상담자 목록을 질문자에게 제공한 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담자와의 실시간 전화 통화를 위하여, 상담자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 정보를 토대로 통화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통화 정보는 '통화 가능' 및 '통화 불가능'과 같은 통화 가능 여부 자체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고, 또는 '통화 가능한 기간'에 대한 시간 정보일 수도 있으며, 또한, 설정 기간(예를 들어, 1일) 동안 상담 받고자 하는 횟수일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질문 처리 서버(30)는 상담자로부터 통화 가능 시간을 입력받고, 상기 통화 가능 시간에 따라 통화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한편, 상기 질문자가 왑 페이지 등을 통해 제공된 상담자 정보를 통해 소정의 카테고리와 연관된 상담자 중에서 하나를 질문자가 직접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왑 페이지 등에 상기 통화 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담자 선택부(32)는 통화 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카테고리에서 추출된 모든 상담자, 또는 추출된 상담자 중에서 신뢰도 정보가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상담자, 또는 추출된 상담자 중에서 통화 정보에 따라 통화가 가능한 상담자, 또는 신뢰도 정보가 설정 조건을 만족하면서 통화가 가능한 상담자를 답변자로 선택한다(S220).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할 상담자가 선택되면, 상담자와의 연결 처리가 수행된다.
상담자 선택부(32)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선택된 상담자의 단말기의 무선 번호를 알림 서버(20)로 전달하며, 알림 서버(20)는 전달된 번호의 단말기로 질문 등록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한다(S230). 메시지에는 질문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기 위한 통화 번호가 포함되며, 상기 통화 번호는 질문자의 무선 단말기의 무선 번호이거나, 시스템의 ARS부(42)와 연결되는 ARS 번호일 수 있으며, 또한, 시스템(100)으로의 접속을 위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과의 연계에 의하여 정해진 특정 번호일 수도 있다. 이러한 통화 번호 이외에도 "새로운 질문이 등록되었습니다."와 같이 단지 질문 등록만을 알리는 내용이 추가로 포함되거나, 또는 등록된 질문의 내용을 간략하게 설명한 내용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으로부터 질문이 요청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전송되면, 해당 상담자들은 메시지에 포함된 통화 번호를 이용하여 시스템(100)에 접속하며, 특히, 상기 메시지가 다수의 상담자들에게 전송된 경우에는 답변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하여 상담자들이 경쟁적으로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상담 연결을 신청하게 된다(S240∼S260). 이와는 달리, 상담자는 질문자 단말기 (300)로 직접 전화를 걸어서 답변을 할 수도 있다(S270).
한편, 시스템(100)의 통화 연결 서버(40)는 질문자가 답변을 기약 없이 기다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담자들에게 질문 등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 후 설정 시간 동안 어떠한 상담자로부터 상담 연결 신청이 없는 경우에는, 질문자에게 상담 불가를 통보한다. 상담 불가 통보는 메시지 전송 또는 ARS 방식 등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시스템(100)의 통화 연결 서버(40)는 ARS 번호 또는 특정 번호를 통하여 접속한 상담자가 호 연결을 요청하면 질문자의 단말기(300)로 상담자 대기중임을 알리고, 질문자가 연결 신청을 수락하면 상담자 단말기(400)와 질문자 단말기(300) 사이의 호를 연결시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280∼S310). 예를 들어, 통화 연결 서버(40)는 알림 서버(20)를 통하여 질문자 단말기(300)로 상담자 대기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메시지를 토대로 질문자가 접속하면 연결 신청을 수락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담자 단말기(400)와 질문자 단말기(300) 사이의 호를 연결시킨다. 이 경우, 연결을 요청한 상담자의 신뢰도 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질문자가 연결 수락 여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통화 연결 서버(40)의 ARS부(42)가 질문자의 단말기(300)로 전화를 걸어서 음성으로 상담자가 대기중임을 통보한 후, 질문자가 특정 버튼(예: *)을 누르면 연결 신청을 수락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담자 단말기(400)와 질문자 단말기(300) 사이의 호를 연결시킨다.
그러나, 위의 단계(S280)에서 질문자의 단말기(300)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전화를 걸어서 연결 신청 수락 여부를 문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질문자가 설정 시간이 경과되도록 상기 문의에 답하지 않으면, 통화 연결 서버(40)는 연결을 요청한 상담자들에게 통화 불가를 통보하고 대기 중 상태를 취소한다(S320).
한편, 단계(S240)에서 질문 등록을 통보받은 다수의 상담자가 연결을 신청할 수 있으므로, 설정 수 이내의 상담자만이 연결 신청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를 전송한 후 해당 메시지에 대한 답변으로 2∼3 명의 상담자가 연결을 신청한 후, 4번째 상담자가 연결을 신청하면 통화 연결 서버(40)는 자동으로 상담자에게 연결 신청이 마감되었음을 알린다.
이와 같이 다수의 상담자가 연결을 신청한 경우, 상기 단계(S280)에서 질문자의 단말기(300)로 상담자가 대기중임을 알리는 경우, 메시지 또는 음성으로 대기중인 상담자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질문자가 상담자를 선택하면 선택된 상담자와의 호를 연결한다.
한편, 상담이 종료되면 답변을 들은 질문자로부터 상기 답변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평가 데이터는 상기 호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호를 통해 음성 또는 문자로 입력받을 수 있으며, 또는 소정의 웹 페이지 등 별도의 매체를 통해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는, 질문자의 단말기로 콜 백 URL 또는 콜 백 넘버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보낸 후, 상기 콜 백 URL 또는 콜 백 넘버를 이용한 응답으로 평가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평가 서버(50)는 이러한 평가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상담자의 신뢰도 정보를 갱신한다. 신뢰도 정보는 상담자에 대한 보상 내용을 결정하는 자료로 사용되므로 상담자가 좋은 평가를 얻기 위해 성실하게 답변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경로에 따라 질문자와 상담자 단말기 사이의 호가 연결되어, 통화가 이루어지면 질문자는 요청한 질문에 대한 상세 답변을 상담자로부터 직접적으로 제공받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되는 제2 실시 예는 위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과정에 따라 질문 등록, 상담자 선택, 질문자와 상담자 연결이 수행되지만, 질문 등록 및 질문자 상담자 연결 과정이 다르게 수행된다. 위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다르게 수행되는 과정을 중점으로 기술한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0)의 구조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단말기(300,400)의 구조가 제1 실시 예와는 다르다. 제2 실시 예에서는 질문자와 상담자의 단말기(300, 400) 상에 각각 질문 등록 및 상담 연결 신청을 위한 모듈(350,450)이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질문자의 단말기(300)는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송수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310),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320),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입력부(330),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40), 질문 등록을 위한 질문 등록 모듈(350)을 포함한다. 질문 등록 모듈(350)은 질문자가 별도 접속 과정이나 메시지 전송 과정 없이 질문을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송수신부(310)를 통하여 시스템(100)과 통신하여 정보를 전송한다.
상담자 단말기(400)도 송수신부(410), 신호 처리부(420), 입력부(430), 표시부(440)를 포함하며, 질문확인 또는 답변을 위한 답변 모듈(450)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350,450)은 VM(virtual machine)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질문 등록을 위하여 질문자는 단말기(300)의 입력부(330)를 통하여 질문 등록 모듈(350)을 구동시키며, 이에 따라 질문 등록 모듈(350)은 질문 입력을 위한 화면을 단말기 상에 표시하여, 질문자가 질문을 입력하도록 한다(S400).
질문자가 입력부(331)를 통하여 질문을 입력하면, 질문 등록 모듈(350)은 입력된 질문 내용을 전달하면서 시스템(100)으로의 전송을 요청하며, 이에 따라 질문 내용은 신호 처리부(320)에 의하여 전송 가능하게 처리된 후 송수신부(310)를 통하여 시스템(100)으로 전달된다(S410∼S420).
시스템(100)의 구동 서버(60)는 질문자의 단말기(300)로부터 질문 등록 모듈(350)을 통한 정보가 전송되면 해당 정보를 질문 처리 서버(30)로 전송하여,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내용 분석 및 카테고리 설정 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S430∼S440). 이와는 달리, 질문을 전송하기 전에 VM단에서 즉, 질문 등록 모듈(350)이 먼저 카테고리를 일괄적으로 다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거나, 질문자가 입력한 질문을 형태소 분석 등을 통해 가장 관련도가 높은 카테고리를 선택한 다음, 선택된 카테고리 정보와 함께 질문을 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시스템(100)에서 별도의 카테고리 판별 과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질문자가 제공한 질문에 대한 카테고리가 설정되고 상담자가 설정되면, 구동 서버(60)는 질문 처리 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선택된 상담자들의 단말기(400)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은 다음, 상기 선택된 상담자의 단말기(400)로 모듈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질문이 등록되었음을 알린다(S450).
구동 서버(60)로부터 제공된 모듈 구동 신호는 상담자 단말기(400)의 송수신부(410)를 통하여 수신된 후 신호 처리부(420)를 통하여 답변 모듈(450)로 제공되며, 이 모듈 구동 신호에 따라 답변 모듈(450)이 자동으로 구동되면, 상담자의 단말기(400) 상에 새로운 질문이 등록되었음을 표시한다(S460).
이와 같이 시스템(100)의 구동 서버(60)와 상담자 단말기(400) 사이의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구동 서버(60)는 위의 실시 예와 같이 통화 번호를 제공하거나 등록된 질문 내용을 제공하여, 상담자가 답변 여부를 검토하도록 한다(S470).
이후, 상담자는 답변 모듈(450)을 통하여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하여 질문자와 통화하여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담자는 위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표시부(340) 상에 표시되는 통화 정보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어서 질문자에게 답변을 제공할 수 있으며(S480), 또는 답변 모듈(350)을 통하여 답변을 할 수도 있다(S490).
후자의 경우, 상담자는 입력부(430)를 통하여 문자, 이미지, 음성 등 다향한 형태의 답변 데이터를 입력하며, 입력된 답변 데이터는 답변 모듈(450)을 통하여 처리된 후 송수신부(410)를 통하여 시스템(100)으로 전송된다. 시스템(100)의 구동 서버(60)는 모듈 구동 신호와 함께 상담자의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된 답변 데이터를 질문자의 단말기(300)로 제공하여, 질문자의 별도의 동작 없이도 질문자의 단말기(300)의 질문 등록 모듈(350)을 통하여 제공된 답변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한다(S500∼S510). 즉, 질문 등록 모듈(350)은 모듈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전송된 답변 데이터를 표시부(340)를 통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질문자 및 상담자는 별도의 접속 과정 없이도 각 모듈(350,450)을 통하여 용이하게 질문 및 답변을 할 수 있다.
한편, 답변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질문 등록 모듈(350)이 사용자의 답변 확인이 이루어지면, "답변에 만족하시는 경우 1번 버튼을, 답변이 불만족스러운 경우 2번 버튼을 눌려주십시오"와 같은 안내를 단말기(300)의 표시부(34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 질문 등록 모듈(350)은 이러한 안내에 응답하여 질문자가 입력한 버튼의 종류를 판별하여 해당 정보를 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평가 서버(50)가 답변을 한 상담자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질문 및 답변이 모두 모듈(350,450)을 통하여 메신저(messenger)에서와 같이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위의 제2 실시 예와는 달리, 모듈을 통한 질문 등록 및 답변 과정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질문 등록 과정만 질문 등록 모듈(350)을 통하여 제2 실시 예와 같이 수행되고, 나머지 과정은 제1 실시 예와 같이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답변 과정만 답변 모듈(450)을 통하여 제2 실시 예와 같이 수행되고, 나머지 과정은 제1 실시 예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질문자가 질문 등록 모듈(350)을 통하여 답변을 제공받은 다음, 질문 등록 모듈(350)은 추가 질문 여부를 문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질문자가 추가 질문을 요청 및 입력하면 질문 등록 모듈(350)은 추가 질문을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상담자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이후, 상담자의 답변은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위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는 질문자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스템에 질문을 등록하고 그에 따라 상담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답변을 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질문 및 답변 과정이 유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웹(WEB)을 통하여 이루어진 경우에 추가 질문이 이루어지는 경우, 위의 실시 예들과 유사하게 네트워크를 통한 질문 및 답변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추가 질문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추가 질문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3 실시 예에서는 질문자가 유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즉, 웹을 통하여 접속하여 질문을 등록한 것을 전제로 하며, 상담자별로 추가 질문이 가능한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답변 후 10분 이내에만 추가 질문 가능, 또는 특정 시간에만 추가 질문 가능 등의 추가 질문 가능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시스템(100)의 질문 처리 서버(30)는 질문자가 웹을 통하여 접속하여 질문을 입력하면 해당 질문을 분석하여 카테고리를 설정하고, 설정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상담자의 단말기로 위에 기술된 제1 또는 제2 실시 예와 같이 메시지 또는 모듈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질문 등록을 알린다. 상담자의 답변은 제1 또는 제2 실시 예와 같이, 상담자가 통화 번호를 토대로 시스템에 접속한 후 질문자와의 호 연결에 따라 답변을 제공하거나, 자신의 단말기에 내장된 답변 모듈을 통하여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상담자의 답변이 제공된 후(S600), 질문자가 추가 질문을 하고자 하는 경우, 시스템(100)의 질문 처리 서버(30)는 상담자의 추가 질문 조건을 체크한 후, 추가 질문이 가능한 경우, 질문자로부터 위의 제1 실시 예와 같이 메시지 또는 질문 등록 모듈을 통한 추가 질문을 제공받거나 또는 웹을 통하여 제공받은 후, 이전에 상담했던 상담자의 단말기로 추가 질문이 등록되었음을 통보한다(S610∼S30). 이러한 추가 질문 통보에 따라 상담자는 위의 제1 또는 제2 실시 예와 같이 시스템에 접속하여 답변을 제공한다(S640∼S670). 이외에도, 상담자는 추가 질문에 대한 답변을 웹을 통하여 접속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S680).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위에 기술된 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질문을 등록하고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환경에 맞도록 질문 및 답변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주고받을 수 있다. 특히, 질문자는 상담자와 직접적으로 통화하여 질문에 대한 상세하고 신속한 답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질문자 및 상담자는 별도의 접속 과정 없이도 단말기를 통하여 질문 및 답변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질문자의 질문과 상기 질문에 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를 직접적으로 매칭시킴으로써 답변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각 서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질문 등록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질문 내용 분석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질문자 및 상담자 연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추가 질문에 대한 답변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Claims (1)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정보 제공 방법에서,
    a) 네트워크를 통하여 질문자의 단말기부터 질문이 제공되면, 상기 질문을 분석하여 상기 질문이 속하는 카테고리를 판별하는 기능;
    b) 상기 판별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담자 중에서 답변 가능한 상담자를 선택하는 기능;
    c) 선택된 상담자의 단말기로 새로운 질문이 등록되었음을 알리는 기능;
    d) 상기 등록 알림을 수신한 상담자가 시스템에 접속하여 답변을 요청하면, 상기 질문자의 단말기와 상담자 단말기 사이에 호를 연결시켜, 상기 상담자가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도록 하는 기능
    을 포함하고,
    상기 c) 기능은 상기 상담자의 단말기로 질문 등록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상기 질문자와의 통화가 가능한 통화 번호를 제공하여, 상기 상담자가 상기 통화 번호를 토대로 시스템에 접속하여 질문자에게 답변을 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KR1020040014676A 2004-03-04 2004-03-04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그리고기록매체 KR200500888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676A KR20050088888A (ko) 2004-03-04 2004-03-04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그리고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676A KR20050088888A (ko) 2004-03-04 2004-03-04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그리고기록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347 Division 2004-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888A true KR20050088888A (ko) 2005-09-07

Family

ID=37271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676A KR20050088888A (ko) 2004-03-04 2004-03-04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그리고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88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322B1 (ko) * 2006-02-14 2007-11-15 엔에이치엔(주) 통신망에서 일대일 질문 및 답변을 중개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
US8046342B2 (en) 2006-07-03 2011-10-25 Ismake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 time answering service by using communication media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voice
US8423392B2 (en) 2010-04-01 2013-04-16 Google Inc. Trusted participants of social network providing answers to questions through on-line conversation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322B1 (ko) * 2006-02-14 2007-11-15 엔에이치엔(주) 통신망에서 일대일 질문 및 답변을 중개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
US8706021B2 (en) 2006-02-14 2014-04-22 Nhn Corporation Method for mediating between a one-to-one question and answer in 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US8046342B2 (en) 2006-07-03 2011-10-25 Ismake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 time answering service by using communication media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voice
US8423392B2 (en) 2010-04-01 2013-04-16 Google Inc. Trusted participants of social network providing answers to questions through on-line conversations
US8589235B2 (en) 2010-04-01 2013-11-19 Google Inc. Method of answering questions by trusted participa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82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search services via messaging services
KR100798574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을 위한 광고 캠페인 및 비즈니스 목록
KR101797856B1 (ko)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한 인공지능 학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인공지능을 이용한 답변 중계 방법 및 시스템
CN103080927B (zh) 使用搜索结果的自动路由
US90640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utilization of human searchers
US201002503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argeting of advertising
KR100585347B1 (ko) 위치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위치 기반의 서비스 시스템
US200100540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or searching in multiple relationship-searching hosts
KR20090046862A (ko)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 팟캐스팅 및 비디오 훈련에 대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부
KR20030005237A (ko) 이동 전화기에 의한 질의자와 회답자간 중개장치 및중개방법
EP1701571A1 (en) Method and server for performing a dynamic push-to-talk service
JP7473212B2 (ja) 相談マッチングシステム、相談マッチングプログラムおよび相談マッチング方法
KR20080075748A (ko) 네트워크상의 대화로봇을 이용한 지혜획득 및 제공방법과그 시스템
KR20090009386A (ko) 질문-답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와 그 서비스 제공방법
KR20090000855A (ko) 메신저 기반 질문-답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503779B1 (ko) 질문자 답변자 매칭 방법 및 시스템
JP2009187163A (ja) 質問回答装置
KR20050088888A (ko)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그리고기록매체
KR101164328B1 (ko) 위치 및 상황 기반의 실시간 문담(問談)채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1144896A1 (ja) 会話制御プログラム、会話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080096225A (ko) 답변 가능 지수를 고려하여 실시간 답변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20060016633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정보검색 시스템
WO20050415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information using telephone call
KR101001781B1 (ko) 전화 통화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3273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및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