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796A -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 Google Patents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796A
KR20050088796A KR1020040014305A KR20040014305A KR20050088796A KR 20050088796 A KR20050088796 A KR 20050088796A KR 1020040014305 A KR1020040014305 A KR 1020040014305A KR 20040014305 A KR20040014305 A KR 20040014305A KR 20050088796 A KR20050088796 A KR 20050088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idirectional switching
switching element
gate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8836B1 (ko
Inventor
강한구
Original Assignee
강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한구 filed Critical 강한구
Priority to KR1020040014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836B1/ko
Publication of KR20050088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02Details of starting control
    • H02P1/04Means for controlling progress of starting sequence in dependence upon time or upon current, speed, or other motor parame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02Details of starting control
    • H02P1/029Restarting, e.g. after power fail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24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ac commutator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60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or of the dr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는 교류 입력 양단에 제1 단자 및 제2 단자가 연결된 양방향 스위칭 소자와, 상기 교류 입력 양단 중 어느 일단에 연결되고 단방향으로만 전류를 도통시키며 일정 레벨의 전압을 강하시키는 적어도 1개의 제1 전압 강하 소자와, 상기 제1 전압 강하 소자와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사이에 연결된 제1 충방전 회로와, 상기 교류 입력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압 강하 소자와 반대 방향으로만 전류를 도통시키며 일정 레벨의 전압을 강하시키는 적어도 1개의 제2 전압 강하 소자와, 상기 제2 전압 강하 소자와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사이에 연결된 제2 충방전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STARTING SWITCH FOR ELECTRIC MOTOR}
본 발명은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 등에 채용되는 전동 모터를 초기에 구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시동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동 모터 및 시동 스위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동 모터(2)는 그 내부에 주권선(M)과 보조 권선(S)을 구비하고, 상기 주권선(M) 및 보조 권선(S)의 각 일단은 노드(T1)에서 병렬 접속되고, 상기 보조 권선(S)은 PTC 소자(3)와 직렬 접속된다. 또한, 교류 전원(1)에서 발생하는 동력은 단자 T1, T3을 통하여 상기 모터 및 PTC 소자(3)로 공급된다.
상기 PTC 소자(3)는 평상시나 실온에서는 저항이 낮으나, 전류가 흐르면 자체 발열하고 그로 인한 온도 상승으로 자체 저항값이 급격히 증가하는 소자이다. 따라서, 시동시에는 그 저항값이 낮기 때문에 교류 전원(1)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다량의 전류가 시동 권선(S)으로 흘러 전동 모터(2)가 구동된다. 전동 모터(2)가 구동, 즉 회전을 시작하여 전동 모터의 회전율이 증가되면, 상기 시동 권선(S)으로 흐르는 전류는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 전동 모터(2)가 시동되고 나면, 상기 PTC 소자(3)는 시동 권선(S)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가열되어 저항값이 커진다. 그 결과, 시동 권선으로 흐르는 전류는 낮은 레벨로 점차 감소되고, 이에 따라 주권선(M)으로 일정한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다.
그러나, 종래의 시동 스위치의 경우 PTC 소자(3)의 특성상 전류의 레벨이 감소되긴 했으나, 낮은 레벨이긴 해도 불필요한 전류가 계속 흘러 수 와트(W)의 전력이 계속 소모된다.
또한, PTC 소자는 전류가 흐르는 동안 계속 발열을 하기 때문에 전원이 오프되어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되기 이전에는 전동 모터의 재가동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충방전 회로를 이용하여 모터의 시동 후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동 모터의 재가동이 가능한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 이외에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통하여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는 교류 입력 양단에 제1 단자 및 제2 단자가 연결된 양방향 스위칭 소자와, 상기 교류 입력 양단 중 어느 일단에 연결되고 단방향으로만 전류를 도통시키며 일정 레벨의 전압을 강하시키는 적어도 1개의 제1 전압 강하 소자와, 상기 제1 전압 강하 소자와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사이에 연결된 제1 충방전 회로와, 상기 교류 입력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압 강하 소자와 반대 방향으로만 전류를 도통시키며 일정 레벨의 전압을 강하시키는 적어도 1개의 제2 전압 강하 소자와, 상기 제2 전압 강하 소자와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사이에 연결된 제2 충방전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충방전 회로 및 제2 충방전 회로는 캐패시터 및 저항 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특징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된 경우,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로 인가되는 전압의 절대값은 게이트 턴 온 전압의 절대값 보다 작다.
또한, 상기 특징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는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와, 상기 교류 입력 양단 중 타단 사이에 연결된 저항 소자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특징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는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와 상기 교류 입력 양단 중 어느 일단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압 강하 소자는 다이오드이고,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는 트라이액이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는 교류 입력 양단에 제1 단자 및 제2 단자가 연결된 양방향 스위칭 소자와, 상기 교류 입력 양단 중 어느 일단에 연결되고 단방향으로만 전류를 도통시키며 일정 레벨의 전압을 강하시키는 적어도 1개의 제1 전압 강하 소자와, 상기 제1 전압 강하 소자에 연결된 제1 충방전 회로와, 상기 제1 충방전 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로 출력하는 제1 증폭부와, 상기 교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압 강하 소자와 반대 방향으로 전류를 도통시키며 일정 레벨의 전압을 강하시키는 적어도 1개의 제2 전압 강하 소자와, 상기 제2 전압 강하 소자에 연결된 제2 충방전 회로와, 상기 제2 충방전 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로 출력하는 제2 증폭부를 포함한다.
상기 특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가 턴 온 된 경우,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증폭부로 입력되는 전압의 절대값은 상기 증폭부의 턴 온 전압의 절대값 작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10)는 도 1에 도시된 PTC 소자(3)를 대체하여 단자 T2 및 T3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며, 본 도면에서 모터 및 교류 전원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10)는 전원 입력단 T2, T3사이에 주단자(MT1,MT2)가 각각 연결된 양방향 스위칭 소자, 예컨대 트라이액(TRIAC)(11)과, 상기 단자 T2에 애노드가 연결된 제1 다이오드(D1)와,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애노드가 연결된 제2 다이오드(D2)와,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된 제1 저항(R1) 및 제1 캐패시터(C1)로 구성된 제1 충방전 회로(13)와, 상기 단자 T2에 캐소드가 연결된 제3 다이오드(D3)와, 상기 제3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캐소드가 연결된 제4 다이오드(D4)와, 상기 제4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된 제2 저항(R2) 및 제2 캐패시터(C2)로 구성된 제2 충방전 회로(15)와, 상기 제1 및 제2 충방전회로(13)(15)에 일단(一端)이 공통 연결되고 상기 트라이액(11)의 게이트에 타단(他端)이 연결된 제3 저항(R3)과, 상기 트라이액(11)의 게이트에 애노드가 연결된 제5 다이오드(D5)와, 상기 제5 다이오드(D5)의 캐소드와 단자 T3 사이에 병렬 연결된 제4 저항(R4) 및 제3 캐패시터(C3)와, 상기 트라이액(11)의 게이트에 캐소드가 연결된 제6 다이오드(D6)와, 상기 제6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단자 T3 사이에 병렬 연결된 제5 저항(R5) 및 제4 캐패시터(C4)와, 상기 트라이액(11)의 게이트와 단자 T3 사이에 연결된 제6 저항(R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다이오드(D1) 내지 제6 다이오드(D4)는 단방향으로만 전류를 도통시키고, 내부의 전위 장벽(potential barrier)에 의해 일정 레벨의 전압(예컨대, 0.65V씩)을 강하시키는 일종의 전압 강하 소자이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단자 T2, T3을 통하여 입력되는 교류 전원 중 (+) 전원은 제1 다이오드(D1), 제2 다이오드(D2), 제1 충방전 회로(13) 및 제3 저항(R3)을 경유하여 트라이액(11)의 게이트에 (+) 트리거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트라이액(11)을 턴 온시킨다. 이로써, 상기 트라이액이 도통되어 단자 T2, T3를 통해 모터의 시동 코일(미도시)에 동력이 공급되고, 모터가 가동된다.
또한, 상기 단자 T2, T3를 통하여 입력되는 (-) 전원은 제3 다이오드(D3), 제4 다이오드(D4), 제2 충방전 회로(15) 및 제3 저항을 경유하여 트라이액(11)의 게이트에 (-) 트리거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트라이액(11)을 턴 온시킨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상기 트라이액이 도통되어 단자 T2, T3를 통해 모터의 시동 코일(미도시)에 동력이 공급되고, 모터가 가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트라이액(11)은 단자 T2, T3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의 극성에 관계없이 턴 온되어 모터의 시동 코일에 동력을 공급한다. 이하에서는, (+) 극성의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시동 스위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당업자라면,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의 동작 원리를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상기 트라이액이 턴 온 된 경우, 엄밀하게 말하면, 상기 트라이액(11)에는 교류 전원(예컨대, 60Hz)이 인가되기 때문에, 전압 레벨이 '0V'를 교차할 때마다(1초에 120회) 상기 트라이액(11)은 턴 오프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트라이액(11)은 온/오프의 반복을 거치면서 모터의 시동 코일에 동력을 공급한다.
또한, 트라이액(11)이 일단 턴 온되면 트라이액의 주단자(MT1,MT2)간의 전압은 2V 정도로 낮아지는 반면, D1 및 D2(또는 D3 및 D4)에서 강하되는 전압이 1.3V가 되어 게이트로 인가되는 전압은 0.7V 이하가 된다. 이는 트라이액(11)의 게이트 턴 온 전압(1.3V) 보다 낮기 때문에 게이트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로써, 트라이액(11)이 턴 온되는 동안 무의미한 게이트 전류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D1 내지 D4에서 강하되는 전압 레벨 및 R1 내지 R3의 값은 상기 트라이액(11)이 턴 온 된 상태에서 상기 트라이액(11)의 게이트로 인가되는 전압이 게이트 턴 온 전압 보다 낮게 되도록 설계되면 족하다.
상기 트라이액(11)이 턴 온되어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2 충방전 회로(13)(15)의 양단간 전압은 제1 및 제2 캐패시터(C1)(C2) 특성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그 결과 상기 트라이액(11)의 게이트로 최종 인가되는 전압 레벨이 떨어지게 된다. 소정 기간(대략 0.3초 내지 0.8초) 경과 후 게이트 전압은 임계 전압(1.3V)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그 후에 상기 트라이액(11)은 주단자(MT1,MT2)로 공급되는 전압이 0V로 떨어지는 타이밍에 턴 오프되고, 그 후로는 오프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결국, 상기 트라이액(11)은 상기 제1 캐패시터(C1) 및 제2 캐패시터(C2)의 충전 시간 동안만 도통되어 전동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초기 구동 후 상기 트라이액(11)이 완전히 오프될 때까지의 시간이 시동 시간, 즉 전동 모터의 시동 권선에 동력이 공급되는 시간이 된다.
또한, 상기 제3 캐패시터(C3) 및 제4 캐패시터(C4)는 소프트 스타팅(soft starting)을 구현하기 위하여 채용된 것이다. 즉, 초기 구동시 갑자기 높은 전압이 인가되어 전동 모터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자 T2 및 T3로 (+)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는 제3 캐패시터(C3)가, (-)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는 제4 캐패시터(-)가 충전되는 동안 상기 트라이액(11)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트리거 전압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이로 인해 전동 모터에도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전력이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캐패시터(C3) 및 제4 캐패시터(C4)의 용량은 작은 값(예컨대, C1 및 C2의 대략 수십분의 일)으로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초기 구동시 급진적인 전압 증가만 막으면 족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시동 스위치(10)로 인가되는 주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제1 충방전 회로(13) 및 제2 충방전 회로(15)는 방전을 시작한다. 즉, 상기 제1 캐패시터(C1) 및 제2 캐패시터(C2)에 충전된 전하는 상기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을 통하여 방전된다. 이때, 방전 시간은 시정수 R1*C1 및 R2*C2에 의하여 각각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동 스위치에서 채용되는 저항(R1 내지 R4)의 저항값은 큰 값으로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트라이액(11)이 턴 오프된 후에 시동 스위치 내에는 미세 전류만이 흐른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캐패시터(C1 및 C2)의 충전 시간 동안 만큼만 트라이액(11)이 도통되고, 그 후에는 턴 오프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20)는 도 2의 시동 스위치의 변형 실시예로서 그 기본 구성 및 동작 원리는 유사하다.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시동 스위치(20)는 전원 입력단 T2, T3사이에 주단자(MT1,MT2)가 각각 연결된 트라이액(TRIAC)(11)과, 상기 단자 T2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D1) 및 제2 다이오드(D2)와,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된 제1 저항(R1) 및 제1 캐패시터(C1)로 구성된 제1 충방전 회로(13)와, 상기 단자 T2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D3) 및 제4 다이오드(D4)와, 상기 제4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된 제2 저항(R2) 및 제2 캐패시터(C2)로 구성된 제2 충방전 회로(15)와, 상기 제1 충방전 회로(13)의 일단에 연결된 제3 저항(R3)과, 상기 제3 저항의 타단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트라이액(11)의 게이트에 에미터가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Q1)와, 상기 제3 저항의 일단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사이에 연결된 제4 저항(R4)과, 상기 단자 T2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5 다이오드(D5) 및 제5 저항(R5)과, 상기 제2 충방전 회로(15)의 일단에 연결된 제6 저항(R6)과, 상기 제6 저항의 타단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트라이액의 게이트에 에미터가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6 저항의 일단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사이에 연결된 제7 저항(R7)과, 상기 단자 T2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6 다이오드(D6) 및 제8 저항(R8)과, 상기 트라이액(11)의 게이트와 상기 단자 T3 사이에 연결된 제9 저항(R9)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1)(Q2)는 제1 및 제2 충방전 회로(13)(15)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트라이액(11)의 게이트로 인가하기 위하여 채용된 일종의 증폭 소자이다.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기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20)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단자 T2, T3을 통하여 입력되는 교류 전원 중 (+) 전원은 제1 다이오드(D1), 제2 다이오드(D2), 제1 충방전 회로(13) 및 제3 저항(R3)을 경유하여 제1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및 콜렉터가 도통되고 에미터에 연결된 트라이액(11)의 게이트에 증폭된 (+) 트리거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트라이액(11)이 턴 온된다. 이로써, 상기 트라이액이 도통되어 단자 T2, T3를 통해 모터의 시동 코일(미도시)에 동력이 공급되고, 모터가 가동된다.
또한, 상기 단자 T2, T3를 통하여 입력되는 (-) 전원은 제3 다이오드(D3), 제4 다이오드(D4), 제2 충방전 회로(15) 및 제6 저항(R6)을 경유하여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및 콜렉터가 도통되고 에미터에 연결된 트라이액(11)의 게이트에 증폭된 (-) 트리거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트라이액(11)이 턴 온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상기 트라이액이 도통되어 단자 T2, T3를 통해 모터의 시동 코일(미도시)에 동력이 공급되고, 모터가 가동된다.
이와 같이, 트라이액(11)은 단자 T2, T3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의 극성에 관계없이 턴 온되어 모터의 시동 코일에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트라이액(11)이 턴 온되어 동작하면, 상기 제1 및 제2 충방전 회로(13)(15)의 양단간 전압은 제1 및 제2 캐패시터(C1)(C2) 특성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그 결과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이 낮아지게 된다. 소정 기간(대략 0.3초 내지 0.8초) 경과 후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압은 임계 전압(예컨대, 0.65V) 이하로 떨어져, 상기 트랜지스터는 턴 오프된다. 그 결과, 트라이액(11)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은 게이트 턴 온 전압(1.3V) 이하가 된다. 그 후에 상기 트라이액(11)은 주단자(MT1,MT2)로 공급되는 전압이 0V로 떨어지는 타이밍에 턴 오프되고, 그 후로는 오프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결국, 상기 트라이액(11)은 상기 제1 캐패시터(C1) 및 제2 캐패시터(C2)의 충전 시간 동안만 도통되어 전동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초기 구동 후 상기 트라이액(11)이 오프될 때까지의 시간이 시동 시간, 즉 전동 모터의 시동 권선에 동력이 공급되는 시간이 된다.
한편, 상기 시동 스위치(20)로 인가되는 주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제1 충방전 회로(13) 및 제2 충방전 회로(15)는 방전을 시작한다. 즉, 상기 제1 캐패시터(C1) 및 제2 캐패시터(C2)에 충전된 전하는 상기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을 통하여 방전된다. 이때, 방전 시간은 시정수 R1*C1 및 R2*C2에 의하여 각각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한 전류 변화에 민감하게 변화하는 트랜지스터가 채용되기 때문에, 미세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트라이액의 온/오프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모터 시동 후 캐패시터의 충방전 특성에 의하여 트라이액이 자동으로 턴 오프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류 흐름에 따른 전력 소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트라이액이 일단 턴 온되면 게이트로 인가되는 전압이 게이트 턴 온 전압 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무의미한 게이트 전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통 전류의 양을 줄임으로써 보다 낮은 정격 규격을 갖는 트라이액의 채용이 가능해 진다.
또한, 주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하가 빠른 시간 내에 방전되기 때문에, 즉각적인 전동 모터의 재가동이 가능해 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나,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므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동 모터 및 시동 스위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 도면 부호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20 : 시동 스위치
11 : 트라이액(TRIAC)
13 : 제1 충방전 회로
15 : 제2 충방전 회로

Claims (16)

  1. 교류 입력 양단에 제1 단자 및 제2 단자가 연결된 양방향 스위칭 소자와,
    상기 교류 입력 양단 중 어느 일단에 연결되고 단방향으로만 전류를 도통시키며 일정 레벨의 전압을 강하시키는 적어도 1개의 제1 전압 강하 소자와,
    상기 제1 전압 강하 소자와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사이에 연결된 제1 충방전 회로와,
    상기 교류 입력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압 강하 소자와 반대 방향으로만 전류를 도통시키며 일정 레벨의 전압을 강하시키는 적어도 1개의 제2 전압 강하 소자와,
    상기 제2 전압 강하 소자와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사이에 연결된 제2 충방전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가 턴 온된 경우,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로 인가되는 전압의 절대값은 게이트 턴 온 전압의 절대값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와, 상기 교류 입력 양단 중 타단 사이에 연결된 저항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와 상기 교류 입력 양단 중 어느 일단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5.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방전 회로 및 제2 충방전 회로의 소정의 충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는 턴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방전 회로 및 제2 충방전 회로는 캐패시터 및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강하 소자는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는 트라이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9. 교류 입력 양단에 제1 단자 및 제2 단자가 연결된 양방향 스위칭 소자와,
    상기 교류 입력 양단 중 어느 일단에 연결되고 단방향으로만 전류를 도통시키며 일정 레벨의 전압을 강하시키는 적어도 1개의 제1 전압 강하 소자와,
    상기 제1 전압 강하 소자에 연결된 제1 충방전 회로와,
    상기 제1 충방전 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로 출력하는 제1 증폭부와,
    상기 교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압 강하 소자와 반대 방향으로 전류를 도통시키며 일정 레벨의 전압을 강하시키는 적어도 1개의 제2 전압 강하 소자와,
    상기 제2 전압 강하 소자에 연결된 제2 충방전 회로와,
    상기 제2 충방전 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로 출력하는 제2 증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가 턴 온 된 경우,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증폭부로 입력되는 전압의 절대값은 상기 증폭부의 턴 온 전압의 절대값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와, 상기 교류 입력 양단 중 타단 사이에 연결된 저항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와 상기 교류 입력 양단 중 어느 일단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충방전 회로 및 제2 충방전 회로의 소정의 충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턴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방전 회로 및 제2 충방전 회로는 캐패시터 및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강하 소자는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스위칭 소자는 트라이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KR1020040014305A 2004-03-03 2004-03-03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KR100598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305A KR100598836B1 (ko) 2004-03-03 2004-03-03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305A KR100598836B1 (ko) 2004-03-03 2004-03-03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796A true KR20050088796A (ko) 2005-09-07
KR100598836B1 KR100598836B1 (ko) 2006-07-11

Family

ID=3727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305A KR100598836B1 (ko) 2004-03-03 2004-03-03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8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8836B1 (ko) 200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1204B2 (en) Motor starter device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US7170762B2 (en) Low voltage DC-DC converter
US6982539B1 (en) Motor starting device
JP2006054997A (ja) 応用回路に始動電圧を印加するための始動回路
JP3637848B2 (ja) 負荷駆動回路
JPWO2005096480A1 (ja) 電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3440667B2 (ja) 放電灯点灯装置
US6912140B2 (en) Switching power supply
JP2006528480A (ja) チャージポンプとブートストラップキャパシタとを有するハイサイド電力スイッチ
US6836102B2 (en) Booster type switching regulator
JPH10513637A (ja) 電源回路
KR100598836B1 (ko)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WO2006001601A1 (en) Starting circuit for electric motor
KR100598827B1 (ko)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KR100598831B1 (ko)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EP1246354B1 (en) Motor starter circuit, particularly for refrigerator compressors, having improved characteristics.
KR100598825B1 (ko) 전동 모터용 시동 스위치
JP2000161526A (ja) アクチュエータ駆動装置
JP2005237028A (ja) 負荷駆動装置
CN115425618B (zh) 一种非回弹式开关的自动关机电路
CN220856443U (zh) 一种继电器驱动电路、电子设备及车辆
US7489182B2 (en) Charge pump start up circuit and method thereof
TWI420795B (zh) 可降低功率耗損的啟動電路
JP3763837B2 (ja) 蛍光ランプ点灯装置
JP2001352669A (ja) 突入電流抑制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