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678A - 자동차용 송풍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송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678A
KR20050088678A KR1020040014084A KR20040014084A KR20050088678A KR 20050088678 A KR20050088678 A KR 20050088678A KR 1020040014084 A KR1020040014084 A KR 1020040014084A KR 20040014084 A KR20040014084 A KR 20040014084A KR 20050088678 A KR20050088678 A KR 20050088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lower
coupled
grill frame
dri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조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호 filed Critical 조성호
Priority to KR1020040014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8678A/ko
Publication of KR20050088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67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3/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송풍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송풍구 본체의 전방으로 그릴 프레임이 그릴 프레임 구동수단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송풍구 본체의 내부에 수납부가 수납부 구동수단에 의하여 인출 및 수납 되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송풍구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 본체는 하부에 형성된 제 1관통공을 통해 그릴 프레임 구동수단의 일부가 내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송풍구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제 2관통공을 통해 수납부 구동수단의 일부가 내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그릴 프레임은 상부의 양측 모서리에 고정축을 형성하여 상부로드와 결합 되도록 구성하고, 하부 양측의 모서리에 고정축을 형성하여 하부로드와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상부로드는 타측 모서리에 힌지공을 형성하여 송풍구 본체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힌지축에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로드는 타측 모서리에 종동기어를 구비하여 송풍구 본체의 하부 내측으로 노출된 그릴 프레임 구동수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송풍구 본체의 내부로 구비된 수납부에 각종 방향제나 살균제 및 탈취제 등의 공기순환 보조구를 간단하게 수납 및 교환하여 항상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송풍구{Automobile ventilato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송풍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스트르먼트 패널 일측에 구비된 송풍구 본체의 그릴 프레임이 송풍구 본체의 측벽을 따라 평행하게 내부로 삽입되면서 오픈되도록 하고, 동시에 송풍구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수납부가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인출 또는 수납 되도록 함으로써, 수납부에 각종 방향제나 살균제 및 탈취제 등의 공기순환 보조구를 간단하게 수납하거나 교환하여 항상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송풍구 본체의 내부에 쌓여 있는 이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실내 공기의 혼탁함과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방안으로 에어컨디네이션 및 히터 등의 공조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에어컨디네이션과 히터 등에서 발생된 냉,온풍은 차내의 인스트르먼트 패널에 설치된 송풍덕트 및 송풍덕트의 전방에 설치된 송풍구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송풍덕트를 통해 이송된 냉,온풍을 차내로 토출시키는 송풍구는 송풍구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다이얼을 이용하여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블레이드 각도를 조절하여 냉,온풍을 차내로 더 확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차내를 냉,난방할 경우에는 공조장치의 흡입구를 통해 외부의 먼지와 차내의 미세한 먼지가 같이 흡입되고, 흡입된 먼지가 송풍덕트와 송풍구 및 블레이드를 통해 차내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미세 먼지가 송풍덕트와 송풍구에 쌓이게 됨에 따라 블레이드를 통해 토출되는 냉,난풍에서 쾌쾌한 냄새와 함께 불결해짐에 따라 호흡기 질환을 앓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차내로 공급 또는 토출되는 냉,난풍의 불결함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송풍구에 구비된 블레이드를 분리시킨 후 그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 하거나, 송풍구 내부에 에어필터, 세균필터 등을 설치하여 냉,온풍속에 포함된 먼지나 세균이 제거되도록 해야하나, 송풍구와 블레이드가 서로 분리가 되지 않게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청소와 필터의 설치 및 교환 작업이 전혀 이루어질 수 없어 더 한층 차내의 공기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차내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방향제나 살균제 및 탈취제 등의 공기순환 보조구를 구입하여 차량의 인스트르먼트 패널이나 뒷선반 및 블레이드의 전면에 부착시켜 차내의 공기가 정화되도록 하였으나, 차내가 이들 공기순환 보조구에 의해 어지럽게 됨으로써 안전운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송풍구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수납부에 각종 방향제나 살균제 및 탈취제 등의 공기순환 보조구를 간단하게 수납 및 교환하여 항상 쾌적한 차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송풍구 본체의 내부에 끼여 있는 이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자동차용 송풍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풍구 본체의 전방으로 그릴 프레임이 그릴 프레임 구동수단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송풍구 본체의 내부에 수납부가 수납부 구동수단에 의하여 인출 및 수납 되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송풍구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 본체는 하부에 형성된 제 1관통공을 통해 그릴 프레임 구동수단의 일부가 내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송풍구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제 2관통공을 통해 수납부 구동수단의 일부가 내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그릴 프레임은 상부의 양측 모서리에 고정축을 형성하여 상부로드와 결합 되도록 구성하고, 하부 양측의 모서리에 고정축을 형성하여 하부로드와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상부로드는 타측 모서리에 힌지공을 형성하여 송풍구 본체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힌지축에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로드는 타측 모서리에 종동기어를 구비하여 송풍구 본체의 하부 내측으로 노출된 그릴 프레임 구동수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송풍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송풍구(A)는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구 본체(1), 수납부(2), 수납부 구동수단(3), 그릴 프레임(4) 및 그릴 프레임 구동수단(5)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송풍구 본체(1)는 공조장치에 연결된 덕트를 통해 인스트르먼트 패널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조절함과 동시에 그릴 프레임(4)을 지지하고, 아울러 수납부(2)의 상부로 각종 방향제나 살균제 및 탈취제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송풍구 본체(1)는 인스트르먼트 패널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미도시한 송풍덕트와 연결된 중공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송풍구 본체(1)의 내측벽에는 안내레일(14)을 형성하되, 상기 안내레일(14)로 부터 일정한 간격 즉, 수납 본체(21)의 폭과 같은 간격을 갖는 곳에 소정의 높이와 길이로 형성된 보강편(17)을 구성하여 다른 안내레일(14')이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강편(17)이 형성된 곳의 일측에 제 1관통공(11)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그릴 프레임 구동수단(5)의 제 1모터(511)가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안내레일(14)이 형성된 송풍구 본체(1)의 내측벽 상부에 제 2관통공(12)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수납부 구동수단(3)의 제 2모터(311)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보강편(17)은 전방의 하부가 송풍구 본체(1)의 하부에 대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하여 하부로드(54)가 송풍구 본체(1)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호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그 후방은 송풍구 본체(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구 본체(1)의 내측 상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힌지축 (13)을 형성하여 그릴 프레임(4)의 상단에 양측이 고정된 상부로드(53)의 힌지공 (531)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있다.
상기 수납부(2)는 송풍구 본체(1)의 일측에 구비된 수납부 구동수단(3)에 의해 안내레일(14)(14')을 따라 전,후로 왕복 이동하여 인출 및 수납되는 것으로 평판형태인 패널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벽면을 갖는 수납 본체(21)로 구비하되, 전,후방측의 벽면이 제거된 상태로 양측의 외측벽면 중 일측벽면의 바깥쪽에는 송풍구 본체(1)의 내면에 형성된 안내레일(14)과 보강편(17)에 의해 지지되는 다른 안내레일(14') 사이에 끼워져 이동되는 제 1,2안내구(22)(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송풍구 본체(1)의 내측 벽면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제 2안내구(23)는 그 상부에 랙(231)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수납부 구동수단(3)의 제 2구동기어(31)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 본체(21)의 상부는 지지구(27)를 형성하여 방향제 등의 공기정화제가 내장된 수납함(26)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지지구(27)와 수납함(26)의 결합은 지지구(27)의 외주연부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수납함(26)의 저면에는 암나사를 형성하여 서로 나사결합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수납함(26)의 상부는 다수개의 통기공(261)이 형성된 커버(262)가 씌워지도록 구성되어 그 내부에 보관된 방향제가 외부로 쉽게 확산되도록 함과 동시에 방향제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구(27)는 수납함(26)이 사각형태일 경우에는 수납함(26)의 양측에미도시한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그 양측에서 고정되도록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 구동수단(3)은 송풍구 본체(1)의 내측으로 안내레일(14)(14')에 결합된 수납 본체(21)를 전방으로 인출시키거나, 후방으로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납부 구동수단(3)은 송풍구 본체(1)에 형성된 제 2관통공 (12)으로 제 2모터(311)에 결합된 제 2구동기어(31)가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2관통공(12)의 내부로 노출된 제 2구동기어(31)는 수납 본체(21)의 일측에 형성된 제 2안내구(23)의 랙(231)에 맞물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모터(511)는 미도시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한 제어부의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그릴 프레임(4)은 송풍구 본체(1)를 통해 차내로 토출되는 냉,온풍의 방향을 조절함과 동시에 송풍구 본체(1) 내부의 이물질을 청소하여 제거하거나, 수납부(2)에 방향제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그릴 프레임(4)은 직사각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블레이드로 결합된 그릴(47)이 다이얼(48)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로 가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수평방향을 갖는 안내부(45)를 형성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필터(46)가 수평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그릴 프레임(4)의 상단 및 하단의 양측 모서리에는 고정축(41) (42)(43)(44)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상부로드(53) 및 하부로드(54)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그릴 프레임 구동수단(5)은 송풍구 본체(1)의 전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결합된 그릴 프레임(4)을 송풍구 본체(1)의 내벽을 따라 회동하면서 이를 오픈 시키는 주된 기능을 갖는 것으로 제 1모터(511), 제 1구동기어(51) 및 종동기어(52) 그리고 상부로드(53) 및 하부로드(54)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모터(511)는 송풍구 본체(1)의 제 1관통공(11) 하부에 고정되어 그 상부에 결합된 제 1구동기어(51)가 송풍구 본체(1)의 내부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로드(53)(54)는 제 1모터(511)의 구동력 또는 회전력에 의해 그 선단에 고정된 그릴 프레임(4)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V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로드(53)에는 힌지공(531) 및 고정공(5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로드(54)는 힌지공 대신 종동기어(52)를 구비하여 상기 제 1구동기어 (51)에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모터(511)는 미도시한 스위치의 접속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정역회전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송풍구는 먼저, 도 2,3에 도시된 상태에서 미도시한 에어컨디네이션이나 히터의 공조장치를 작동시키면 그 토출측으로 부터 토출된 공기는 덕트와 송풍구 본체(1) 및 수납부(2)를 경유한 후 그릴 프레임(4)에 형성된 그릴(47)을 통해서 차내로 토출되며, 이 과정에서 그릴 프레임(4)의 전면에 형성된 다이얼(48)을 돌려 그릴(47)의 경사각을 조절함에 따라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송풍구 본체(1)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수납부(2)의 수납함 (26)에 보관된 방향제 등을 교환할 경우, 미도시한 스위치를 ON함과 동시에 제어부에 의해 정전류가 그릴 프레임 구동수단(5)인 제 1모터(511)에 인가되면서 제 1구동기어(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와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5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 종동기어(5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하부로드(54)가 회전하면서 그 단부에 연결 또는 결합된 그릴 프레임(4)을 도 2에 도시한 일점쇄선의 방향인 송풍구 본체(1)의 내측 하부로 끌어당기는 형태를 취하면서 이동되고, 그릴 프레임(4)이 송풍구 본체(1)의 내측 벽면과 평행한 상태가 되면서 정지하게 된다.
다음, 이어지는 제 2모터(311)의 회전으로 인해 제 2구동기어(31)가 회전됨과 동시에 이와 맞물려 있는 랙(231)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구 본체(1)에 형성된 안내레일(14)(14')을 따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을 시작하게 되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구 본체(1)의 앞쪽인 우측으로 수납 본체(21)가 모두 인출된 상태가 되면서 제 2모터(311)가 정지된다.
다음, 송풍구 본체(1)로 인출된 수납 본체(21)의 지지구(27)에 결합 고정된 수납함(26)의 커버(262)를 열고 새로운 방향제 등을 넣거나, 수납함(26) 자체를 교환한 후 미도시한 스위치를 누름과 동시에 오픈될 때와 역방향으로 작동되면서 먼저 인출된 수납 본체(21)가 송풍구 본체(1)내로 삽입되며, 그 후 송풍구 본체(1)의 내벽에 평행한 상태로 있던 그릴 프레임(4)이 앞쪽으로 이동하여 송풍구 본체(1)의 전면에 닫혀진 상태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종전과 같이 차내로 토출되는 냉,온풍의 방향을 조절함과 동시에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며, 특정한 향이 차내로 퍼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수납부 구동수단(3)인 제 2모터(311) 및 제 2구동기어(31)를 이용하여 수납부(2)를 송풍구 본체(1)의 내,외부로 수납과 인출이 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도 5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 구동수단(3)을 송풍구 본체(1)에 형성된 감속기어(24)에 랙(231)이 맞물려지도록 하고, 수납 본체(21)의 하부에 구동스프링(251)이 감겨진 구동롤(25)을 지지편(211) 사이로 고정하되, 상기 구동롤(25)을 포함하는 구동스프링(251)이 안내판(15)에 형성된 가이드공(151)에 끼워져 얹혀지도록 하고, 상기 구동스프링(251)의 자유단이 안내판(15)의 앞쪽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납 본체(21)의 후방에 제 1스토퍼(26)를 형성하여 송풍구 본체(1)의 뒷부분인 후방에 구비된 제 1푸시버튼 스위치(16)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이를 눌러 송풍구 본체(1)의 앞쪽으로 인출시키거나 그 내부로 삽입되도록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그릴 프레임(4)을 작동 또는 이동시키는 그릴 프레임 구동수단(5)의 일부인 상부로드(53)와 하부로드(54)를 V형태를 갖도록 구성하여 사용하였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 프레임(4)의 일측(도면에서는 상단)에만 로드(53')(54')를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사용할 경우, 그 부품수를 줄임과 동시에 제 1모터(511)를 송풍구 본체(1)의 일측으로 이동시켜 송풍구 본체(1)의 하부 공간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그릴 프레임 구동수단(5)을 제 1관통공(11)이 형성된 송풍구 본체(1)의 하부에 제 1구동기어(511)를 제 1구동모터(51)를 고정하여 하부로드(54)에 결합된 종동기어(52)에 맞물려 지도록 하였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56)을 송풍구 본체(1)의 힌지축(13)에 삽입하되, 상기 스프링(56)의 일측단을 스프링 고정홀(18)에 삽입됨과 동시에 타측단이 상부로드(53)에 걸려지도록 구성하고, 하부로드(54)에 결합된 종동기어(52)가 송풍구 본체(1)의 제 1관통홀(11)에 삽입된 감속기어(57)에 맞물려 지도록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송풍구 본체(1)의 전면에 결합된 그릴 프레임(4)을 여닫는데 소요되는 별도의 전원 공급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릴 프레임(4)이 송풍구 본체(1)의 전면에 닫혀진 상태에서 스프링(56)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에 의해 역방향(송풍구 본체의 내측)으로 그릴 프레임(4)이 이동하여 송풍구 본체(1)가 오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릴 프레임(4)의 후방 일측에 별도의 제 2스토퍼(58)를 구비하고, 송풍구 본체(1)의 입구측에 제 2푸시버튼 스위치(55)를 구비하여 서로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릴 프레임(4)이 오픈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끌어잡아 당겨 닫을 수 있는 손잡이홈(4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 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송풍구 본체로부터 그릴 프레임이 그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개방이 되도록 하고, 그 내부에 구비된 수납 본체가 별도의 수납부 구동수단에 의해 앞쪽으로 인출 또는 뒷쪽으로 삽입이 되도록 함으로써, 수납부에 각종 방향제나 살균제 및 탈취제 등의 공기순환 보조구를 간단하게 수납 및 교환하여 차내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호흡기 등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이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그릴 프레임이 송풍구 본체의 앞쪽을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걸리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납부에 포장용기에 담긴 음료수를 보관할 경우, 냉, 온풍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고 따뜻한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한 효과를 더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송풍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송풍구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송풍구의 종단면도.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송풍구를 구성하는 수납부가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a,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송풍구를 구성하는 다른 수납부가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송풍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송풍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송풍구 본체 3:수납부 구동수단
4:그릴 프레임 5:그릴 프레임 구동수단
11:제 1관통공 12:제 2관통공
13:힌지축 41,42,43,44:고정축
51:제 1구동기어 52:종동기어
53:상부로드 54:하부로드
531:힌지공

Claims (7)

  1. 송풍구 본체(1)의 전방으로 그릴 프레임(4)이 그릴 프레임 구동수단(5)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송풍구 본체(1)의 내부에 수납부(2)가 수납부 구동수단(3)에 의하여 인출 및 수납 되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송풍구(A)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 본체(1)는 하부에 형성된 제 1관통공(11)을 통해 그릴 프레임 구동수단(5)의 일부가 내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송풍구 본체(1)의 측면에 형성된 제 2관통공(12)을 통해 수납부 구동수단(3)의 일부가 내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그릴 프레임(4)은 상부의 양측 모서리에 고정축(41)(42)을 형성하여 상부로드(53)와 결합 되도록 구성하고, 하부 양측의 모서리에 고정축(43)(44)을 형성하여 하부로드(54)와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상부로드(53)는 타측 모서리에 힌지공(531)을 형성하여 송풍구 본체(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힌지축(13)에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로드(54)는 타측 모서리에 종동기어(52)를 구비하여 송풍구 본체(1)의 하부 내측으로 노출된 그릴 프레임 구동수단(5)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송풍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프레임 구동수단(5)은 송풍구 본체(1)의 제 1관통공(11) 하부에 고정된 제 1구동모터(511) 및 상기 종동기어(52)에 맞물리도록 제 1구동모터(51)에 결합된 제 1구동기어(51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송풍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프레임 구동수단(5)은 송풍구 본체(1)의 힌지축(13)에 스프링(56)을 삽입하되, 상기 스프링(56)의 일측단이 송풍구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홀(18)에 삽입되도록 하며, 그 타측단이 그릴 프레임(4)의 상단 모서리에 결합된 상부로드(53)에 걸리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로드(54)에 결합된 종동기어(52)가 송풍구 본체(1)의 제 1관통홀(11)에 삽입된 감속기어(57)에 맞물리도록 구성하고, 상기 그릴 프레임(4)의 후방 일측에 구비된 제 2스토퍼(58)가 송풍구 본체(1)의 입구측에 형성된 제 2푸시버튼 스위치(55)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송풍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구동수단(3)은 상부가 평평한 제 1안내구(22) 및 랙(231)이 형성된 제 2안내구(23)를 수납 본체(21)의 양측에 형성하여 송풍구 본체(1)의 내측에 형성된 안내레일(14)(14')에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랙(231)이 송풍구 본체(1)에 고정된 제 2구동기어(31)에 맞물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송풍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구 구동수단(3)은 수납 본체(21)의 제 2안내구(23)에 형성된 랙(231)이 송풍구 본체(1)의 하부에 결합된 감속기어(24)에 맞물리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납 본체(21)의 하부로 형성된 지지편(211)에 구동스프링(251)이 감겨진 구동롤(25)을 고정하되, 상기 구동롤(25)을 포함하는 구동스프링(251)이 송풍구 본체(1)의 안내판(15)에 형성된 가이드공(151)에 끼워져 얹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구동스프링(251)의 자유단이 안내판(15)의 앞쪽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수납 본체(21)의 형성된 제 1스토퍼(26)가 송풍구 본체(1)의 후방에 구비된 제 1푸시버튼 스위치(16)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송풍구.
  6.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21)는 상부로 형성된 지지구(27)에 수납함(26)이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지지구(27)의 외주연부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수납함(26)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송풍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 프레임(4)은 측면에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 안내부(45)에 에어필터(46)가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송풍구.
KR1020040014084A 2004-03-02 2004-03-02 자동차용 송풍구 KR20050088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084A KR20050088678A (ko) 2004-03-02 2004-03-02 자동차용 송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084A KR20050088678A (ko) 2004-03-02 2004-03-02 자동차용 송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678A true KR20050088678A (ko) 2005-09-07

Family

ID=37271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084A KR20050088678A (ko) 2004-03-02 2004-03-02 자동차용 송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86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73005U1 (ru) * 2016-12-16 2017-08-04 Евгений Алексеевич Захаркин Устройство вентиляции кузова-фургон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1231627A (zh) * 2020-03-23 2020-06-05 宁波均胜群英汽车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具备空气消毒功能的汽车出风口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73005U1 (ru) * 2016-12-16 2017-08-04 Евгений Алексеевич Захаркин Устройство вентиляции кузова-фургон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1231627A (zh) * 2020-03-23 2020-06-05 宁波均胜群英汽车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具备空气消毒功能的汽车出风口
CN111231627B (zh) * 2020-03-23 2021-11-02 宁波均胜群英汽车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具备空气消毒功能的汽车出风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155B1 (ko)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100382156B1 (ko) 회전개폐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JP6571480B2 (ja) 加湿装置
JP2017072320A (ja) 送風装置
CN210416152U (zh) 自净式汽车空调滤清装置
KR20120052389A (ko) 공기 조화기
JP6505575B2 (ja) パネル支持構造
KR200237243Y1 (ko)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20050088678A (ko) 자동차용 송풍구
JP2001248894A (ja) 空気調和機
KR100445700B1 (ko) 분리된 그릴 프레임과 수납부를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100445696B1 (ko)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JP2007113859A (ja) 空気調和機
KR100445701B1 (ko) 자동차용 송풍구
KR20050088679A (ko) 자동차용 송풍구
KR100445698B1 (ko) 여닫이가 가능한 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200326273Y1 (ko) 자동차용 송풍구
KR200316126Y1 (ko) 분리된 그릴 프레임과 수납부를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200242300Y1 (ko) 회전개폐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101201666B1 (ko)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
KR100445699B1 (ko)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200316125Y1 (ko)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200316124Y1 (ko) 여닫이가 가능한 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200334441Y1 (ko) 다목적 블로워
US20070178821A1 (en) Vehicle airflow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