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243Y1 -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 Google Patents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243Y1
KR200237243Y1 KR2020010010292U KR20010010292U KR200237243Y1 KR 200237243 Y1 KR200237243 Y1 KR 200237243Y1 KR 2020010010292 U KR2020010010292 U KR 2020010010292U KR 20010010292 U KR20010010292 U KR 20010010292U KR 200237243 Y1 KR200237243 Y1 KR 200237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main body
grill frame
ai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조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호 filed Critical 조성호
Priority to KR2020010010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2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243Y1/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자동차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찬바람 및 더운바람의 최종 송풍 수단인 송풍그릴 프레임이 모터 작동 또는 반자동 및 수동 조작에 의해 송풍구로 부터 일정 부분 돌출 작동토록 하여 송풍구 전면을 개방하거나 다시 본래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송풍그릴 프레임이 설치되는 송풍구 본체 내부에 대한 청소가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그릴프레임의 후부 공간을 수납부로 하여 에어필터등의 각종 공기 순환 보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자동차 실내로 공급되는 바람을 항상 신선하고 청결한 상태로 공급되게 할 수 있도록 한것으로, 자동차의 대쉬보드(4)에 형성되는 송풍통로 선단에 설치되는 송풍구(A)에 있어서, 송풍구(A)는 내부에 그릴부(11)가 설치되며, 후부에는 수납부(12)를 갖는 송풍그릴 프레임(1)과 송풍구 본체(41)로 되어, 상기 수납부(12) 하부에는 기어부(21)를 형성하여 구동 수단(3)의 감속 기어(32)와 결합되게 함으로써 수납부(12) 일측의 안내구(22)가 송풍구 본체(41) 내부의 레일(41a)을 타고 이동되게 하되, 멈춤구(50a)(50)에 의해 송풍그릴 프레임(1)이 송풍구 본체(41) 선단으로 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이다.

Description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movable vent grill frame for an automobile}
본고안은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에 관한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자동차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찬바람 및 더운바람의 최종 송풍 수단인 송풍그릴 프레임이 모터 작동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 송풍구 본체로 부터 일정 부분 인출 작동토록 하여 송풍구 전면을 개방상태로 하거나 다시 본래 위치로 복귀하여 본래의 수납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송풍그릴 프레임이 설치되는 송풍구 본체 내부에 대한 청소가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그릴프레임의 후부 공간을 수납부로 하여 에어필터등의 각종 공기 순환 보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자동차 실내로 공급되는 바람을 항상 신선하고 청결한 상태로 공급되게 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경우 차량 내부의 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차량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에어콘과 히터등의 공기 조화 장치가 설치되는 것인바, 이들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발생된 바람은 차량 내부의 대쉬보드에 형성되는 송풍구 전면에 설치되는 송풍그릴을 통해 차량 실내로 송풍되게 된다.
이와 같이 찬바람 또는 더운바람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최종적인 통로 역할을 하는 송풍그릴은 그릴프레임이 대쉬보드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릴프레임은 그대로인채 그릴프레임에 설치되는 그릴의 방향만을 좁은 범위내에서 상, 하, 좌, 우로 움직여가며 송풍그릴을 통해 공급되는 바람의 송풍 방향을 그때그때 변환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차량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송풍그릴은 그 자체가 단순히 대쉬보드의 송풍구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날개형태로 되어 격자형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그릴만이 좁은 범위내에서 특정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있는 것이므로, 대쉬보드의 송풍구 안쪽, 즉 송풍그릴 내부의 송풍구에 대한 청소가 불가능하게 되어 차량을 장기간에 걸쳐 운행하는 과정에서 송풍구 내부에 많은 먼지가 퇴적되게 되고 이렇게 퇴적된 먼지는 히터나 에어콘등의 공조 장치 작동에 따라 그대로 차량 내부로 찬바람이나 더운바람과 함께 송풍되게 되므로 차량탑승자들의 호흡기에 좋지 않게 작용하게 되어 질병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것이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송풍그릴측에 에어필터를 설치할 수도 없게 되어 어쩔수없이 차량 탑승자는 먼지가 섞인 공기를 차내에 유입되게 한 상태로 차량을 주행할 수 밖에 없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송풍그릴은 상기한 송풍구 내부에 대한 청소나, 필터 설치 문제 뿐만 아니라 각종 방향제나 살균제 또는 탈취제등의 공기 순환 보조구의 설치시에는 이들 공기 순환 보조구를 차량의 대쉬보드나 뒷선반상에 설치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송풍그릴 전면에 그대로 부착시켜 목적한 차량 내부에 대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어서, 이 역시 차량 내부가 이들 공기 순환 보조구들에 의해 지저분 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안전운전에도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송풍그릴이 송풍구 전면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데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본국 실용신안출원공개 소 61-137012호의 '공조용 토출 노즐'(이하 선출원 고안이라함)이 이미 안출,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선출원 고안은 차량의 대쉬보드에 형성되는 송풍구 본체 선단에 설치된 노즐(이하 송풍그릴이라함)을 필요에 따라 그대로 당겨내 송풍구 본체로 부터 송풍그릴을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탈, 부착식으로 되는 것으로, 송풍그릴이 송풍구 본체에 견고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이는 많은 진동을 수반하는 자동차의 주행특성상 송풍그릴이 송풍구 본체내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많은 소음을 발생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잦은 탈, 부착 과정에서 송풍그릴의 조립부위가 손상을 입게 되어 송풍그릴 자체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 해주어야 하는 불편과 함께 송풍구 본체로 부터 분리시켜놓은 송풍그릴이 부주의로 인해 훼손 또는 분실될 우려가 있는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송풍그릴을 송풍기 본체로 부터 완전히 분리 탈, 착 되도록 한 종래의 자동차의 송풍그릴이 지닌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송풍그릴 프레임이 필요에 따라 모터 작동에 의해 송풍구 본체로 부터 일정 부분만큼 차량 내부측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본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송풍구 본체 및 송풍그릴 프레임 벽에 멈춤구를 설치하여 수평 이동되게 함으로써 송풍그릴 프레임이 설치되는 송풍구 본체 내부에 대한 청소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송풍그릴프레임 후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납 공간을 이용하여 에어필터나 각종 방향제등의 공기 순환 보조구를 설치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부 공간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의한 대표적인 예의 분해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에 의한 대표적인 예의 작동상태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대표적인 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예로서 송풍그릴 프레임에 삽입홈을 형성한 예의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예로서 송풍그릴 프레임이 원터치식으로 일정 부분 인출, 수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본고안의 자동차용 송풍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c는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송풍구의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송풍구 1 : 송풍그릴 프레임 3 : 구동 수단 4 : 대쉬보드 10 : 그릴프레임 11 : 그릴부 12 : 수납부 13 : 삽입홈 20 : 수납함21 : 기어부 22 : 안내구 31 : 고무벨트 32 : 감속 기어
33 : 모터 41 : 송풍구 본체 41a : 안내 레일 50 : 멈춤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는, 자동차의 대쉬보드(4)에 형성되는 송풍통로 선단에 설치되는 송풍구(A)에 있어서, 송풍구(A)는 송풍구 본체(41)와 송풍그릴 프레임(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송풍그릴 프레임(1)은 내부에 그릴부(10)가 설치되고 후부에는 수납부(12)가 형성되는 그릴프레임(10)으로 되며, 상기 수납부(12) 하부에는 기어부(21)를 형성하여 구동 수단(3)의 감속 기어(32)와 연결되게 함으로써 수납부(12) 일측의 안내구(22)가 송풍구 본체(41) 내부의 레일(41a)을 타고 일정 부분 이동하게 하는 것에 의해 송풍그릴 프레임(A)이 송풍구 본체(41) 선단으로 부터 일정 부분 인출 또는 복귀되도록 하되, 상기 송풍구 본체(41) 내측벽과 수납부(12) 외측벽에는 각각 멈춤구(50a)(50)를 형성하여 송풍구 본체(41)로 부터 송풍그릴 프레임(1)이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고안에 의한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의대표적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1b는 본 고안에 의한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의 대표적인 예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의 대표적인 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의 다른 예로서 수동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의 또 다른 예로서 송풍그릴 프레임에 삽입홈을 형성한 예의 사시도이며,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의 또 다른 예로서 송풍그릴 프레임이 원터치식으로 일정 부분 인출, 수납되는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원터치식 송풍그릴 프레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c는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예로서 원터치식으로 송풍그릴 프레임이 대쉬보드의 하향 방향으로 일정 부분 인출, 수납되는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수납식 송풍그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로서, 그 구성은 송풍그릴 프레임(1), 송풍구 본체(41) 및 구동 수단(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송풍구 프레임(1)은, 차량 내부로 송풍되는 바람의 방향을 변환할 수 있도록 내부에 그릴부(11)를 설치한 그릴프레임(10)과 이 그릴프레임(10) 하측 후부에는 상면이 개방된 함체형으로 되는 수납부(12)를 일체로 형성한 상태에서 송풍구 본체(41)의 선단에 일정 부분 인출, 수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수납부(12)는, 그 후방벽(23)에 공조 장치(도시생략)에 의해 발생된 바람의 원할한 송풍을 위한, 송풍공(23a)을 형성하고 있으며, 수납부(12)내에는 에어필터나 방향제 또는 탈취제등의 공기 순환 보조구(5)를 임의 설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수납함(20)을 걸이편(20a)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송풍구 본체(41)의 송풍 통로를 통해 차량 내부로 공급되는 바람이 수납함(20)내의 공기 순환 보조구(5)를 통과하면서 각종 먼지가 제거되게 함과 동시에 신선한 향을 지닌 상태로 공급되게 하여 차량 내부 공간을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12) 하부에는 기어부(rack, 21)를 설치하여 구동 수단(3)의 감속 기어(pinion, 32)와 연결되게 하여 구동 수단(3)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동되도록 하되, 수납부(12)의 일측에는 안내구(22)를 설치하여 이 안내구(22)가 송풍구 본체(41)의 내부 측벽에 설치된 안내 레일(41a)에 끼워진채 전후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송풍구 본체(41)는 대쉬보드(4)의 송풍통로 선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선단 개방부에는 송풍그릴 프레임(1)이 일정 부분 인출, 수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구동 수단(3)은 모터(33)와 고무벨트(31) 및 다수의 감속 기어(32)로 되어 송풍그릴 프레임(A)을 송풍구 본체(41)의 선단으로 부터 일정 부분 차량 내부 공간측으로 또는 본래의 위치로 전후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모터(33)의 구동력은 고무벨트(31)를 거쳐 송풍그릴 프레임(1)의 수납부(12) 하부에 형성된 기어부(21)와 연결된 감속 기어(32)에 전달되게 하여 송풍그릴 프레임(1)은 송풍구 본체(41)로 부터 일정 부분 인출, 수납되게 되는데, 이때 송풍그릴 프레임(1)은 송풍구 본체(41) 내벽과 수납부(12) 외벽에 형성된 멈춤구(50a)(50)에 의하여 완전 이탈되지 않고 일정 부분 인출된 상태에서 다시 수납될 수 있도록 이동되게 된다.
상기한 구동 수단(3)은 모터(33)와 감속 기어(32)를 고무벨트(31)로 연결하고 있음으로 인해 필요에 따라 모터(33)를 작동시키지 않고 송풍그릴 프레임(1)을 손으로 일정 부분 당겨내거나 밀어넣는것에 의해 목적한 전후 이동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고안에 의한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A)를 이루는 송풍그릴 프레임(1)의 그릴프레임(10)의 두께부에 별도의 삽입홈(13)을 형성하여 이 삽입홈(13)내에 에어필터나 방향제 또는 탈취제등의 공기 순환 보조구(5)를 탈, 부착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고안의 송풍구(A)에 기어부(21) 및 구동 수단(3)을 적용하지 않고 단순히 그릴프레임(10) 후부에 일체로 수납부(12)가 일체로 형성된 송풍그릴 프레임(1)을 송풍구 본체(41)내에 끼워설치한 상태에서 손으로 직접 당겨내거나 밀어넣는 식으로 송풍구 본체(41)에 대한 송풍그릴 프레임(1)의 전후 이동 동작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되는 본고안에 의한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A)의 실시, 작동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대쉬보드(4)에 형성되는 송풍통로 선단에 송풍구 본체(41)를 설치한 상태에서 송풍그릴 프레임(1)을 그 수납부(12) 일측의 안내구(22)가 안내 레일(41a)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수납부(12)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함(20)내에는 에어필터나 방향제 또는 탈취제등으로 되는 공기 순환 보조구(5)를 설치한다.
이상태에서 차량을 주행하게되면, 송풍그릴 프레임(1)을 통해 차량 내부로 송풍, 공급되는 바람은 공기 순환 보조구(5)를 거치면서 정화될 뿐만 아니라 신선한 향으로 차량 내부로 공급되게 되어 쾌적한 차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태에서 구동 수단(3)의 모터(33)와 연결된 작동 스위치(도시생략)를 조작하여 모터(33)를 구동시키게 되면 모터(33)의 구동력은 고무벨트(31)를 개재하여 감속 기어(32)로 전달되게 되어 이 감속 기어(32)에 전달된 구동력은 송풍그릴 프레임(1)의 기어부(21)에 그대로 전달되어 송풍그릴 프레임(1)은 송풍구 본체(41) 선단으로 부터 차량 내부 공간측으로 멈춤구(50a, 50)에 의해 완전히 분리, 이탈되지 않은 범위 이내에서 일정 부분 이동하여 부분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송풍그릴 프레임(1)이 송풍구 본체(41) 선단으로 부터 일정 부분 인출되어 송풍구 본체(41) 선단이 개방상태로 되면 송풍구 본체(41) 내부의 송풍 통로에 대한 청소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송풍그릴 프레임(1) 후부의 수납부(12)내에 담겨지는 공기 순환 보조구(5)를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후 다시 스위치 조작에 의해 구동 수단(3)의 모터(33)를 역구동 시키게 되면, 인출된 송풍그릴 프레임(1)은 다시 송풍구 본체(41) 내측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개방된 상태이던 송풍구 본체(41)의 선단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내부 공간으로 송풍되는 바람에 대한 정화가 이루어질수 있게 된다.
또한 본고안에 의한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1)은, 구동 수단(3)에 의한 외부 힘에 의해 송풍구 본체(41)로 부터 부분 인출 또는 수납 작동되도록 하는 구성 이외에 원터치로 간단히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수납부(12) 양측단에 각각 작동 기어(25)를 설치하되, 이들 작동 기어(25)(25)는, 외면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이 감겨져 회전력을 부여 받는 회전축(27)에 의해 연결되게 하고, 상기 임의 작동 기어(25)에는 별도의 감속 기어(25b)가 결합되게 하여 작동 기어(25)의 회전 속도를 낮추도록 함과 동시에 수납부(12) 양측면에는 레일(28)을 각각 설치하여 이 레일(28)이 송풍구 본체(41) 내벽에 설치되는 랙 기어(25a)와 가이드구(28a)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수납부(12) 후단에는 스토퍼(29)를 설치하여 이 스토퍼(29)가 송풍구 본체(41) 내부에 설치되는 푸시버튼 스위치(29a)와 결합 또는 결합 해제상태로 되게 하는 것에 의해 원터치로 송풍그릴 프레임(1)이 송풍구 본체(41)로 부터 부분 인출 및 수납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에도 송풍구 본체(41) 내벽의 일정 부분과 수납부(12) 외벽의 일정 부분에 각각 설치된 멈춤구(50a)(50)에 의해 완전한 탈착이 되지 않고 부분 인출, 수납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송풍구 본체(41)에 대한 상기 송풍그릴 프레임(1)의 부분 인출 및 수납 동작이 원터치로 이루어지게 하는 구성을 상기 구성 이외에, 송풍 통로 내벽 안내홈(42)과 함께 감속 기어(43)를 각각 대향 설치하여 수납부(12) 양측벽에 형성된 안내구(2-1)와 기어부(2-2)가 각각 결합되게 하고, 송풍 통로 바닥에는 작동봉(44) 외면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45)과 연결되어 항상 차량 실내측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게 하는 작동편(46)을 설치하여 수납부(12) 선단과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하며, 수납부(12) 후단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스토퍼(2-3)를 설치하여 송풍 통로내의 푸쉬버튼 스위치(47)와 결합 또는 결합 해제상태로 되게 하여 송풍그릴 프레임(1)을 원터치식으로 양 멈춤구(50a)(50)가 접촉될때까지 일정 부분 인출되게 하거나 다시 본래의 수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안내홈(42)과 안내구(2-1)의 각도에 따라 송풍그릴 프레임(1)이 송풍구 본체(41)로 부터 인출시 대쉬보드의 하방으로 일정 부분 낮아진 상태로 인출되게 되므로 송풍구 본체(41) 내부에 위치되는 수납부(12)의 사용이 용이해질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송풍그릴 프레임(1)을 구동 수단(3)을 작동시켜 인출 및 수납되도록 하지 않고 그대로 손으로 당겨내거나 밀어넣는것에 의해 송풍그릴 프레임(1)에 대한 인출, 수납 동작이 이루어질수 있게 되며, 또한 수납부(12) 이외에도, 프레임(1)의 두께부에 형성되는 삽입홈(13)내에 에어필터등의 공기 순환 보조구(5)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차량 내부로 송풍되는 바람에 대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수있듯이, 본고안의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에 의하면, 대쉬보드의 송풍통로 선단에 송풍구 본체를 설치한상태에서 이 송풍구 본체의 선단에 설치되는 송풍그릴 프레임 후부의 수납부와 연결되는 구동 수단에 의해 송풍그릴프레임이 선택적으로 송풍구 본체로 부터 송풍구 본체 내벽과 수납부 외벽에 설치된 멈춤구에 의해 일정 부분 인출되거나 다시 수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송풍구 본체의 내부의 송풍 통로를 개방상태로 하여 송풍 구 본체 내부에 대한 청소가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수납부내의 수납함에 에어필터나 방향제 또는 탈취제등의 공기 순환 보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송풍그릴 프레임을 통해 차량 내부로 공급되는 바람에 대한 정화 효율을 높여 차량 내부 공간을 보다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9)

  1. 내부에 그릴부(10)가 설치되는 그릴프레임(10)과 수납부(12)가 일체로 형성된 송풍그릴 프레임(1)이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송풍구 본체(41)에 대하여 일정 부분 돌출 또는 복귀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송풍그릴 프레임(1)은 송풍구 본체(41)와 수납부(12)에 형성되는 멈춤구(50a)(50)에 의해 그 인출 범위가 제한적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2.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수단은, 수납부(12) 하부에 설치된 기어부(21)가 송풍구 본체(41)내에 설치된 모터(33)와 동력전달수단(31)에 의해 연결되는 감속기어(32)와 결합되게 하고, 수납부(12) 양측벽에는 안내구(22)를, 송풍구 본체(41) 내측 양측벽에는 레일(41a)를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3.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수단은, 수납부(12) 후미 상단의 브래킷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26)이 감겨져 있는 회전축(27)과 상기 회전축 양끝단의 작동기어(25)와 연결되는 감속기어(25b)와 송풍구 본체(41)의 양 측벽에 설치된 랙기어(25a)와 연결된 작동기어(25) 및 상기 랙기어(25a) 하단의 가이드 구(28a)와 상기 랙기어(25a)와 가이드 구(28a) 사이를 활주하는 수납부 양측벽의 레일(28)로 구성되며, 수납부 후단의 스톱퍼(29)와 결합되는 푸시버튼 스위치(29a)가 송풍구 본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4. 제3항에 있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26), 회전축(27), 작동기어(25) 및 감속기어(25b)가 수납부(12) 후단 저면에 설치되고 랙기어(25a)가 레일(28) 하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5.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수단은 송풍구 본체(41) 양측 내벽에 안내홈(42)과 감속기어(43)를 설치하여, 수납부(12) 양측벽의 안내구(2-1)는 안내홈(42)에, 상기 안내구(2-1) 상단의 랙기어(2-2)는 감속기어(43)와 각각 결합되게 하고, 송풍구 본체(41) 바닥에는 작동봉(44)을 설치하여 이 작동봉(44) 외면에, 항상 송풍그릴 프레임(1)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을 감아 작동봉(46)에 연결하며, 수납부(12) 후단의 스토퍼(2-3)와 결합되는 푸시버튼 스위치(47)가 송풍구 본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6. 제1항에 있어서, 송풍그릴 프레임(1)은 복수개로 되어 선택적으로 송풍기 본체(41) 선단에서 일정 부분 인출, 수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7. 제1항에 있어서, 수납부(12)에는 별도의 수납함(20)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8. 제1항에 있어서, 송풍그릴 프레임(1)의 두께부에 삽입부(13)를 형성하여 별도의 공기순환 보조구(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9. 제1항에 있어서, 수납부(12)내에는 별도의 물건을 탈 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걸이편(20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2020010010292U 2001-04-12 2001-04-12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200237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292U KR200237243Y1 (ko) 2001-04-12 2001-04-12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292U KR200237243Y1 (ko) 2001-04-12 2001-04-12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619A Division KR100382155B1 (ko) 2001-04-12 2001-04-12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243Y1 true KR200237243Y1 (ko) 2001-10-11

Family

ID=73099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292U KR200237243Y1 (ko) 2001-04-12 2001-04-12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243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4481A1 (en) * 2002-09-10 2004-03-25 Sung-Ho Cho Vent assembly with movable grill unit for automobiles
WO2004024480A1 (en) * 2002-09-10 2004-03-25 Sung-Ho Cho Vent assembly with drawer-type grill unit for automobiles
WO2004024483A1 (en) * 2002-09-10 2004-03-25 Sung-Ho Cho Vent assembly with drawer-type grill unit for automobiles
WO2004024482A1 (en) * 2002-09-10 2004-03-25 Sung-Ho Cho Vent assembly with drawer-type grill unit for automobiles
WO2004078500A1 (en) * 2003-03-05 2004-09-16 Sung-Ho Cho Vent assembly for automobiles having drawer-type grill unit
WO2004078501A1 (en) * 2003-03-05 2004-09-16 Sung-Ho Cho Vent assembly for automobiles having separate grill unit and container compartment
WO2004078499A1 (en) * 2003-03-05 2004-09-16 Sung-Ho Cho Vent assembly for automobiles having openable grill unit
WO2005000615A1 (en) * 2003-06-27 2005-01-06 Sung-Ho Cho Vent assembly for automobile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4481A1 (en) * 2002-09-10 2004-03-25 Sung-Ho Cho Vent assembly with movable grill unit for automobiles
WO2004024480A1 (en) * 2002-09-10 2004-03-25 Sung-Ho Cho Vent assembly with drawer-type grill unit for automobiles
WO2004024483A1 (en) * 2002-09-10 2004-03-25 Sung-Ho Cho Vent assembly with drawer-type grill unit for automobiles
WO2004024482A1 (en) * 2002-09-10 2004-03-25 Sung-Ho Cho Vent assembly with drawer-type grill unit for automobiles
WO2004078500A1 (en) * 2003-03-05 2004-09-16 Sung-Ho Cho Vent assembly for automobiles having drawer-type grill unit
WO2004078501A1 (en) * 2003-03-05 2004-09-16 Sung-Ho Cho Vent assembly for automobiles having separate grill unit and container compartment
WO2004078499A1 (en) * 2003-03-05 2004-09-16 Sung-Ho Cho Vent assembly for automobiles having openable grill unit
WO2005000615A1 (en) * 2003-06-27 2005-01-06 Sung-Ho Cho Vent assembly for automobi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155B1 (ko)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100382156B1 (ko) 회전개폐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200237243Y1 (ko)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100445696B1 (ko)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100445695B1 (ko)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100445700B1 (ko) 분리된 그릴 프레임과 수납부를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100445694B1 (ko)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200297259Y1 (ko)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200297258Y1 (ko)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100445697B1 (ko) 이동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200297260Y1 (ko)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100445698B1 (ko) 여닫이가 가능한 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200297261Y1 (ko) 이동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200316126Y1 (ko) 분리된 그릴 프레임과 수납부를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JP389114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445699B1 (ko)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100445701B1 (ko) 자동차용 송풍구
KR200316124Y1 (ko) 여닫이가 가능한 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200326273Y1 (ko) 자동차용 송풍구
KR200316125Y1 (ko)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200242300Y1 (ko) 회전개폐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CA2438381A1 (en) Vent assembly with drawer-type grill unit for automobiles
CN117267848A (zh) 除湿机及其控制方法
KR100401706B1 (ko) 벤튜리를 이용한 차량의 재떨이 공기 정화 기구
KR20040018836A (ko) 자동차용 송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