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197A - 물이끼 재배기 - Google Patents

물이끼 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197A
KR20050088197A KR1020057011481A KR20057011481A KR20050088197A KR 20050088197 A KR20050088197 A KR 20050088197A KR 1020057011481 A KR1020057011481 A KR 1020057011481A KR 20057011481 A KR20057011481 A KR 20057011481A KR 20050088197 A KR20050088197 A KR 20050088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s
water
growing
dry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3881B1 (ko
Inventor
미쓰하루 시무라
미노루 타케다
Original Assignee
미쓰하루 시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하루 시무라 filed Critical 미쓰하루 시무라
Publication of KR20050088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f granular or aggregat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환경에서 물이끼를 대량 또한 용이하게 재배하는 수단, 바꾸어 말하자면 다양한 환경에서의 물이끼 습원의 구축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발명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자들은 정형화되어 잇는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에 덩어리진 상태의 생장 물이끼 줄기부의 1단위 이상이, 그 건조물이끼의 집합물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의 생장 물이끼의 생장점이 상기 건조물이끼의 집합물로부터 실질적으로 노출되고, 또한 상기 건조물이끼의 집합물이 유수부의 물과 접촉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물이끼 재배기를 제공하고, 이것을 근거로 한 물이끼의 재배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에 의해 특히 물이끼의 왕성한 이산화탄소 고정력에 의해 환경개선에 막대한 공헌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물이끼 재배기{GROWTH MEDIUM FOR SPHAGNUM MOSS}
본 발명은 물이끼의 재배수단에 관하는 발명이다.
물이끼는 정확하게는 물이끼 아강(sphagnidae)에 속하는 이끼식물을 말하고 세계에서 1과 1속 약 150종이 일본에 약 36종이 기록되어 있다. 물이끼는 이끼식물 중에서는 가장 경제적 가치가 높은 것의 하나로 알려져 있고, 일본에서는 주로 원예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또한 수면 위에서 이탄이 발달하는 고층 습원에서는 물이끼가 한 면으로 번무하고 그 아래에 주로 물이끼의 유해로 이루어진 이탄층이, 수 미터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고층 습원에서는 수 천년이라는 장기간에 걸쳐서 대량의 이산화탄소를 고정하고 있고 현재의 지구상에서의 매우 중요한 이산화탄소 흡수원인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물이끼 습원에서만 생육이 가능한 동식물의 귀중한 생식영역인 것이 알려져있다.
현재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이러한 고층 습원이 급속하게 손상되고 있어 지구 규모의 이산화탄소의 고정력 저하에 의한 지구 온난화의 가속이나 물이끼 습원에서만 생육이 가능한 동식물의 감소나 절멸이 현념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물이끼를 대량으로 또한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물이끼의 재배방법으로서는 몇 개의 방법이 보고되어 있는데(녹색 보석"부귀란"의 세계, 인터넷<URL:http://www.fuukiran.jp/fuukiran/mizugoke/mizugoke2.htm>; 야생화, 그 외 식물들- 물이끼, 인터넷<URL:http://www3.plata.or.jp/Dionaea-Club/plants/sanyasou/mizugoke.htm>), 이런 방법들은 항상 물이끼가 건조되지 않도록 관리하지 않으면 안되어 대규모 재배에는 적합하지 않고, 또한 간편성에 열악하여 재배의 계속성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하여 건조 물이끼의 우수한 흡수력를 이용한 씰 형상 흡수제에 관한 특허출원도 이루어지고 있다(특개평 8-126662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해야 하는 과제는 다양한 환경에서 물이끼를 대량 또한 용이하게 재배하는 수단, 바꾸어 말하자면 다양한 환경에서의 물이끼 습원의 구축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생장 물이끼의 외견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기본적인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의 제조공정 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기본적인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의 제조공정 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2단위 이상의 생장 물이끼를 이용하는 기본적인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의 제조공정 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2단위 이상의 생장 물이끼를 이용하는 기본적인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의 제조공정 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기물을 이용한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의 제조공정 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기물을 이용한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의 제조공정 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적극적으로 디자인된 기물을 이용한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의 제조공정 등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오목부 근방에 부르트를 형성한 생장 물이끼가 가속도적으로 증식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도 10은 증설용 부재를 이용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증설용 부재를 이용하여 증설평면을 설치한 본 물이끼 재배 시스템의 일부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물이끼 재배기를 유수부에 재치(載置)으로써 본 재배 시스템 등의 하나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이미 존재하는 지면이나 콘크리트면에 구멍을 만들고 여기에 사후적으로 본 물이끼 재배기를 설치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물이끼 재배용의 인공 포장의 하나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양동이 형상의 기물을 이용하는 본 물이끼 재배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휴경전(休耕田) 등에 있어서 본 재배 시스템 등을 이용한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물이끼 재배기를 현수기구를 이용하여 유수부의 바닥부보다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본 재배 시스템 등을 수행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현수기구의 다른 형태의 일예 등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경사면에 있어서의 본 재배 시스템의 사용의 하나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물이끼 재배기를 부력에 의해 유수부의 수면 근방에 부상시킴으로써 본 재배 시스템을 수행하는 상태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물이끼 재배기를 부력에 의해 유수부의 수면 근방에 부상시킴으로써 본 재배 시스템의 대규모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발포 스티롤 등의 경량 소재를 사용한 본 물이끼 재배기의 하나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3의 (1)은 발포 스티롤 등의 경량 소재를 사용한 본 물이끼 재배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3의 (2)는 발포 스티롤 등의 경량소재를 사용한 본 물이끼 재배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3의 (3)은 발포 스티롤 등의 경량소재를 사용한 본 물이끼 재배기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제 1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의 실제 형상의 일예를 나타낸 사진.
도 25는 제 1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의 생장 시험의 초기단계를 나타낸 사진.
도 26은 제 1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의 생장시험의 종료단계를 나타낸 사진.
도 27은 부유된 본 물이끼 재배기의 생장시험의 종료단계를 나타낸 사진.
도 28은 디자인화한 제 2 형태의 물이끼 재배기의 실제 형상의 일예를 나타낸 사진.
도 29의 (1)은 물이끼의 대량 재배의 결과에 대해 나타낸 사진의 일측.
도 29의 (2)는 물이끼의 대량 재배의 결과에 대해 나타낸 사진의 타측.
이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유수부(有水部)부의 물을 건조 물이끼의 매우 우수한 양수력으로 빨아 올려서 그 상부를 향하여 침윤한 물과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를 접촉시킴으로써 이 생장 물이끼의 생장점을 포함하는 부분(주로 잎부분과 가지부분)의 효율적인 생장을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생장 물이끼의 재배에 관한 발명은 재배에 필요한 재배기와, 이 재배기를 이용하는 재배 방법과 재배 시스템 등에 의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재배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정형화되어 있는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에 대하여 덩어리진 상태의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의 1단위 이상이, 그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에 접촉되고, 또한 상기 생장 물이끼의 생장점이, 상기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로부터 실질적으로 노출되고, 또한 상기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이 유수부의 물과 접촉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물이끼 재배기(이하, 본 물이끼 재배기라고 한다)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배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본 물이끼 재배기에 있어서 생장 물이끼 생장점을 유수부의 수면보다도 높은 위치로 유지하면서 덩어리진 상태의 건조 물이끼 집합물에 이 유수부의 물을 접촉 침윤시켜 이 침윤수를 생장 물이끼로 제공함으로써 생장 물이끼를 양생하고 물이끼의 재배 방법(이하 본 재배 방법이라고 한다)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배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본 물이끼 재배기에 서의 생장 물이끼 생장점을 유수부의 수면보다도 높은 위치로 유지하면서 덩어리진 상태의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에 이 유수부의 물을 접촉 침윤시켜, 이 침윤수를 생장 물이끼에 공급함으로써 생장 물이끼를 양생하고 물이끼의 재배 시스템(이하 본 재배 시스템이라고 한다)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생장 물이끼"란 적어도 생명활동이 유지되어 있는 물이끼를 의미하는 것이다. 즉 "생장 물이끼"에는 재배된 또는 야생의 물이끼(수분을 충분히 포함하고 있는 상태)와 가열처리 등의 살균 사멸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단순건조 물이끼를 포함한다[단순건조 물이끼는 엽록소를 잃어버려 변색되는데 건조 후 상당한 장시간이 경과한 것이 아니라면, 수분을 공급하면 생명활동을 재개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대체로 상온에서 1개월 정도 이하의 건조기간이 건조 후의 생명 활동 재개의 한계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건조 물이끼"란 상기 멸균사멸처리를 가한 건조 물이끼와, 단순 건조 물이끼의 쌍방을 의미하는 것인데, 경제성 등을 고려하면 살균사멸처리를 가한 건조 물이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 물이끼"라고 해도 본 발명품은 사용할 때에 건조 물이끼가 수분을 함유하는 것이 전제되므로 본 발명품의 제조시점∼사용시점의 어느 시점에 건조 물이끼에 수분을 포함시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한다.
또한 "생장 물이끼", "건조 물이끼" 모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물이끼는 이끼식물 선류 물이끼과 물이끼속(Sphagnum L.)에 속하는 모든 것을 의미하고 예를 들면 일본국 원산의 것이라면 오오 물이끼(Sphagnum palustre L.), 이보 물이끼(Sphagnum papillosum Lindb), 무라사키 물이끼(Sphagnum magellanicum Brid.), 키레하 물이끼(Sphagnum aongstroemii c.Hartm), 키다치 물이끼(Sphagnum compactum DC), 코아나 물이끼(Sphagnum microporum Warnst.ex Card), 코노마 물이끼(Sphagnum calymmatophyllum Warnest.& Card), 코가미 물이끼(Sphagnum subsecundum Nees ex Sturm), 오소바 물이끼(Sphagnum girgensohnii Russow), 타민 물이끼(Sphagnum fuscum,(Schimp.)H.Klingger.), 히메 물이끼(Sphagnum fimbriatum Wilson ex Wilson & Hook.f.), 스기하 물이끼(Sphagnum capillifolium(Ehrh.)Hedw.), 오소베리 물이끼(Sphagnum junghuhnianum Dozy&Milk. Subsp. Pseudomolle(Warnest.)H.Suzuki), 우타 물이끼(Sphagnum tenellum Hoffm), 하리 물이끼(Sphagnum cuspidatum Hoffm), 아오모리 물이끼(Sphagnum recurvum P. Beauv), 우로코 물이끼(Sphagnum squarrosum Crome)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일본국 이외의 지역원산의 물이끼를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 물이끼 중에서도 오오물이끼는 "생장물이끼"로서도 "건조 물이끼"로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물이끼의 하나이다.
<본 물이끼 재배기에 대하여>
본 물이끼 재배기는 적어도 (1) 정형화되어 있는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이하, 건조 물이끼 정형물이라고 한다)과, (2) 생장 물이끼,에 의해 구성된다.
(1) 건조 물이끼 정형물
건조 물이끼 정형물은 문자 그대로 건조 물이끼가 일정 형상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 건조 물이끼의 정형물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생장 물이끼를 후술하는 본 재배 방법이나 본 재배 시스템에 있어서, 유수부의 수면보다도 생장 물이끼의 생장점을 상부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어야 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한 건조 물이끼 정형물은 어떤 형상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물이끼 재배기의 주요한 형태의 하나로서 "정형화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에 덩어리진 상태의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의 1단위 이상이 압축된 상태로 끼워 넣어지고, 또한 이 생장 물이끼의 생장점이 상기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의 오목부에 실질적으로 노출되어 있다"가 인정되는데, 이 형태에 의거한 건조 물이끼 정형물에서 덩어리진 상태의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된 형태를 예시할 수 있다.
건조 물이끼 정형물의 내용과, 이들에 대응하는 제조방법은 예를 들면 이하의 수단을 들 수 있다.
a) 사후적으로 고화 가능한 성분을 연결 성분으로 이용하는 방법
"사후적으로 고화 가능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물 등의 용매를 가한 점토류, 종이 섬유 등을 들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도 물을 가한 종이 섬유를 포함하는 성분이 바람직하다. 즉 건조 물이끼 정형물이 적어도 종이 섬유를 함유하는 연결성분으로 정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 섬유는 예를 들면 분쇄지, 또는 종이 전구물(紙前驅物)로서 제공될 수 있다. 분쇄기로는 문자 그대로 분쇄한 종이이며, 종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신문지, 위생용지, 잡지류, 광고지, 복사용지 등을 종이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케나프지(케나프의 식물섬유에 의해 보통 종이의 제조 공정에 준하여 제조될 수 있는 종이)를 종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분쇄란 기본이 되는 종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종이 섬유 단위까지 미세하게 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분쇄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중에서의 전단 칼에 의한 전단, 줄칼에 의해 깍아 내기, 또한 손으로 구김 등에 의해 목적하는 분쇄지를 제조할 수 있다.
종이 전구물(precursor of paper)이란 펄프로부터 정제된 종이가 직접적인 원료가 되는 물을 포함하는 식물섬유이다.
종이 섬유와 물의 혼합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질량비로 종이 섬유(건조 질량) : 물 = 1 : 4000 ∼ 1 : 10 정도, 바람직하게는 1 : 3000 ∼ 1 : 500 정도의 범위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의 종이 섬유와 물 이외의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갈, 모래, 흙, 도기 가루, 유리 가루, 재류, 경량 골재, 점토, 이탄이끼(peat moss), 펄라이트 등의 토질 미세물(형태가 흙을 닮은 미세 물질), 각종 녹말 등의 투수성 점결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식물섬유(종이 섬유는 제외), 건조 물이끼, 식물의 종자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사후적으로 고화 가능한 성분을 별도로 제조하여 이것을 건조 물이끼 집합물을 정형화할 때에 건조 물이끼에 도포하는 등, 용도에 맞게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미리 사후적으로 고화 가능한 성분 중에 건조 물이끼를 함유시킨 건조 물이끼의 함유조성물로서 이것을 본 물이끼 재배기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사후적으로 고화 가능한 성분을 상술의 종이섬유 등을 함유하는 함수조성물로 하는 경우, 질량비로 종이 섬유 등: 건조 물이끼(건조 질량)= 1 : 100 ∼ 1 : 120 정도로 하고 이것과 물을 혼합하여 종이 섬유 등과 건조 물이끼의 함유량이 조성물에 대해서 1∼20 질량% 정도가 되도록 물을 가한 함수조성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기물의 오목부를 이용하는 방법
"기물"이란 정지된 상태에서 일정 형상을 갖는 물체(단, 전력 등에 의한 구동력에 의한 형상의 변화를 동반하는 물체도, 기물의 범주로 한다)를 의미하는 것이다. 형상은 건조 물이끼를 일정 형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오목부를 설치할 수 있는 한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소재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나무, 돌, 플라스틱, 발포 스티롤, 고무, 금속, 초벌 물질, 도기, 자기, 점토, 탄소섬유, 유리, 경석, 목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적어도 생장 물이끼가 직접 접촉하는 부분, 예를 들면 후술하는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의 오목부, 또는 기물의 오목부의 생장 물이끼 측의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연속한 평면 및/또는 곡면의 표면"은 생물의 영양원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위에 열거한 소재는 이 생물의 영양원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소재로서 예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목재, 지점토, 부엽토 등은 생물 특히 세균류, 균류, 조류, 물이끼 이외의 이끼식물 등의 물이끼의 생육과 경합할 수 있는 미생물이 자화 가능한 탄소원을 무시할 수 없는 정도로 함유하고 있어, 적어도 생장 물이끼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의 소재로서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다.
b-1) 기물의 오목부가 이 기물을 관통하는 관통구인 경우에는 생장 물이끼와 접촉하고 있는 "정형화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이 재배기의 바닥부에서 실질적으로 노출되어있다. 이 실질적으로 노출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과 유수부의 물이 접촉하고, 이 물이 건조 물이끼에 침윤된 상태에서 생장 물이끼와의 접촉부분으로도 이동됨으로써 생장 물이끼에 물이 공급되어 생장 물이끼의 양생이 수행된다. 생장 물이끼가 건조 물이끼와 함께 유수부의 물에 직접 접촉되는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침윤수 중의 불순물을 여과하는 건조 물이끼의 물의 여과 작용을 생장 물이끼에 대해서 활용할 수 없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유수부의 물에 대해서는 상기의 정형화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 만을 직접 접촉시켜서, 생장 물이끼에는 건조 물이끼를 통한 침윤수 만을 공급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생장 물이끼에 건조 물이끼로 여과된 물을 공급하게되어 바람직하다.
특히 물의 공급원이 되는 유수부의 물이 미생물을 풍부하게 포함하는 물, 예를 들면 부영양화한 호소(湖沼)나 더러워진 하천의 물, 하수의 단순 정화수 등인 경우에는 물과 함께 이 미생물들이 생장 물이끼에 접촉될 가능성이 강하다. 따라서 유수부를 상기와 같이 미생물을 풍부하게 포함하는 물의 수원으로 하는 경우는 기물의 소재를 물 불투과성 소재 예를 들면 돌, 플라스틱, 발포 스티롤, 고무, 금속, 도기, 자기, 점토, 탄소섬유, 유리 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억지로 기물 소재를 투수성의 소재, 예를 들면 초벌 물질, 지점토, 자갈, 경석, 투수조성물(후술하는) 등으로 하는 경우에는 생장 물이끼와 상기 투수성이 인정되는 소재와의 사이에 물 불투과성의 소재(예를 들면 물 불투과성의 비닐시트 등)를 개재시켜 투수성의 조성물과 생장 물이끼와의 사이의 물의 유통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2) 상기의 소재 중, 발포 스티롤은 물 불투과성이고, 또한 생물의 영양원을 실질적으로 함유하고 있지 않을 뿐 아니라 목적하는 형상으로의 가공이 용이하고 또한 경량이고, 취급이 간단하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에 뜨기 때문에 본 물이끼 재배기를 물에 띄운 형태로 하는 경우에는 특히 바람직한 소재이다. 단 그 반면에 발포 스티롤로 자연적인 감촉을 내는 것은 매우 어렵고, 예를 들면 발포 스티롤의 표면에 그 대로 착색처리를 해도 인공적인 분위기를 없애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이와 같은 경우, 이하의 α)∼δ)의 공정으로 발포 스티롤 등의 소재의 표면을 자연적인 감촉으로 할 수 있다(이 공정을 행할 수 있는 대상은 발포 스티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물이끼 재배기에서의 기물이 될 수 있는 모든 소재를 선택할 수 있다).
α) 발포 스티롤 등의 표면에 사후적으로 경화하고, 또한 고화하기 전은 점조한 액체 소재를 도포한다. 이러한 사후적인 경화소재로서는 접착제, 예를 들면 실리콘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초산 비닐계 접착제, 셀룰로오스계 접착제, 합성 고무계 접착제, 자외선 경화계 접착제 혐기성 접착제, 자외선 혐기성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는데 실리콘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이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상기 액체소재를 넣은 사출용 용기(사출용 튜브 등)로부터 상기 액체소재를 대상물의 표면에 사출하고 이것을 부목 등으로 고르게 할 수 있고 얇게 도포하고 싶은 경우는 솔 등에 상기 액체소재를 부착시켜 이것을 대상물 표면으로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β) 다음으로 대상물의 표면에 도포된 상기 액체 소재에 보풀을 일으킨다. 이 공정을 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대상물 표면의 액체소재의 표면에 강성을 갖는 기모(起毛)성 부재(예를 들면 철사 솔)로 두드림으로써 상기 액체 소재를 대상물 표면상에서 보풀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γ) 다음으로 대상물 표면에서 보풀을 일으킨 액체 소재의 위에서 토질 미세물(자갈, 모래, 흙, 도기 가루, 유리 가루, 재류, 경량 골재, 점토, 이탄이끼, 펄라이트 등) 안료, 색소, 이끼식물, 녹조류(green algae) 등을 뿌린 후, 바람직하게는 대상물 표면에 통상의 상수도 꼭지에 샤워 노즐을 부가하여 생성시킨 정도의 수류를 접촉시켜서 남아있는 뿌려진 물질을 씻어서 흘려보낸다. 이어서 위에서부터 대상물질 표면을 가볍게 쓰다듬듯이 흘려보내고, 이어서 이 액체소재를 고화(건조, 자외선 조사, 혐기 등의 사후적 경화 소재의 종류에 따른 고화 방법으로)시킴으로써 토벽과 닮은 자연적인 감촉 표면을 대상물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투수조성물의 전구조성물을 상기의 토질 미세물로서 사용할 수 있어 또한 바람직하다.
δ) 상기γ)의 대상물의 표면에 도막을 설치한 것은, 대상물의 표면에서의 미생물의 영양원이 표면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바람직하다. 단, 대상물의 표면상에 뿌린 물질이 물이끼 이외의 이끼식물이나 녹조와 같은 생물인 경우는, 이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생물이 생명활동을 수행하는 데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단, 물이끼 이외의 이끼식물과 생장 물이끼의 생육과 경합할 가능성이 있다). 도막은 대상물의 표면상에 목적하는 코팅 소재를 도포하고 이것을 건조ㆍ고화시킴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 코팅 소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현재 마감 코팅용으로서 제공되고 있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가능한 한 투명성이 유지되고 또한 안정성이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수성의 하지 안정제로서 판매되고 있는 알콜 수지의 수성제(아토믹스(atomix)주식회사 제품 등)를, 이 코팅 소재로서 운용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 코팅 소재의 상면에 방수처리, 예를 들면 실리콘 코팅제의 도포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방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α)∼δ)의 공정을 따름으로써 발포 스티롤 등의 표면을 자연적인 감촉의 표면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b-3) 투수성의 소재로서 바람직한 것으로써 "분쇄지 및/또는 종이 전구물(이하, 분쇄지 등이라 한다), 및 토질 미세물을 함유하는 조성물"(투수조성물이라고 한다)을 들 수 있다.
투수조성물은 제품의 가공 과정에서 가열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끝낸, 에너지 절약형의 천연소재이다.
"분쇄지", "종이 전구물" 및 "토질 미세물"은 상기의 정의와 동일하다.
제품 제조에 있어서 투수조성물에는 물을 함유시켜야 한다.
즉 투수조성물은 이들 전구조성물을 거쳐서 형성된다. 즉 우선 분쇄지 등, 토질 미세물 및 물을 함유하는 전구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들 전구조성물이 투수조성물의 기초로서 사용된다.
투수조성물 또는 이 전구조성물에서의 분쇄지 등 및 토질 미세물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대체로 질량비로 분쇄지 등 : 토질 미세물 = 1 : 2 ∼ 1 : 4 정도가 바람직하다. 분쇄지 등의 비율이 너무 커지면 투수조성물 자체가 약해지고, 색조에 있어서도 종이 색이 전면으로 나와버려 색채 의장적에도 적절하지 목하다. 또한 토질 미세물의 비율이 너무 커지면 투수조성물의 기초 조성물에서의 고착성이 저하되고, 건조해도 안정하게 정형화되는 것이 어렵게될 뿐 아니라, 양 조성물의 단위 체적 당의 비용이 상승하는 경향이 강하게 된다.
또한 투수조성물에서 사용되는 토질 미세물로서 점토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토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 조성물의 토질 미세물 전부를 점토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질량비로 점토 : 점토 이외 토질 미세물 = 1 : 10 ∼ 1 : 1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투수조성물의 전구조성물에서의 분쇄지 등, 토질 미세물과 물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전구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1∼30 질량%, 3∼25질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물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분쇄지를 이용하는 경우의 종이의 분쇄 작업이 어렵게 되어, 분쇄지와 토질 미세물과의 충분한 혼합도 곤란해진다. 물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전구조성물의 중량이 너무 무거워져서 조성물의 제조 작업에 과도한 부담을 줄뿐만 아니라 수자원의 낭비가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투수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요소 외에 필요에 따라서 다른 요소, 예를 들면 식물섬유(예를 들면, 뿌리 활기면을 형성하는 뿌리 부분, 전단한 뿌리 부분 등의 식물 뿌리 부분 등), 짚, 생 쓰레기 분쇄물, 숯조각, 광석류, 식물 종자, 건조 물이끼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투수조성물에 이끼식물(건조 물이끼를 제외)를 함유시켜서 투수조성물의 표면에 이끼식물을 노출시킴으로써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투수조성물의 전구조성물에 이끼식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목적하는 이끼식물을 함유하는 투수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끼식물은 자연계에 자생하고 있는 이끼식물을 그 대로 사용할 수 있고, 재배법으로 얻은 이끼식물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소위 배양법[예를 들면"식물 바이오테크놀로지 II", 도쿄화학동인 : 현대화학·증간 20의 39페이지 "선태류의 배양"(오노저) 등 참조]을 사용하는 "배양 이끼"를 사용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재배법으로 얻은 이끼식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수조성물에 함유시켜 얻은 이끼식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아트리쿰 운둘라툼(Atrichum undulatum)(Hedw.) 피. 베아우브(P. Beauv)(Namigata-Tachigoke) 등의 아트리쿰 피. 베아우브(Atrichum P. Beauv.)(Tachigoke-zoku); 포고나툼 인플렉숨(Pogonatum inflexum)(Lindb.)랙.(Lac.)(Ko-sugigoke) 등의 포고나튬 피. 베아우브(Pogonatum P. Beauv)(Niwa-sugigoke-zoku); 폴리트리카스트룸 포르모숨(Polytrichastrum formosum)(Hedw.) 지.엘. 스미스(G.L. Smith) 등의 폴리트리카스트룸 지.엘. 스미스(Polytrichastrum G.L. Smith)(Miyama-sugigoke-zoku); 폴리트리쿰 콤뮨헤듀 (Polytrichum commune Hedw.)(Uma-sugigoke) 등의 폴리트리쿰 헤듀.(Polytrichum Hedw.)(Sugigoke-zoku); 세라토돈 푸르푸레우스(Ceratodon purpureus)(Hedw.) 버드.(Bird.)(Yanoueno-akagoke) 등의 세라토돈 버드.(Ceratodon Bird.)(Yanouenoaka-goke-zoku); 디크라눔 자포니쿰 미트.(Dicranum japonicum Mitt.)(Shippogoke), 디크라눔 니포넨세 베슈(Dicranum nipponense Besch)(O-shippogoke), 디크라눔 스코파리움 헤듀.(Dicranum scoparium Hedw.)(Kmojigoke), 디크라눔 폴리세툼 에스더블유.(Dicranum polysetum Sw.)(Nami-shippogke) 등의 디크라눔 헤듀.(Dicranum Hedw.)(Shippogoke-zoku); 레우코브리움 스카브룸 랙.(Leucobryum scabrum Lac.)(0-shiragagoke), 레우브리움 주니페로이데움(Leucobryum juniperoideum)(Brid.) 씨. 물.(C. Mull.)(Hosoba-okinagoke) 등의 레우코브리움 햄페(Leucobryum Hampe)(Shiragagoke-zoku); 브리움 아르젠테움 헤듀.(Bryum argenteum Hedw.)(Gingoke) 등의 브리움 헤듀.(Bryum Hedw.)(Hariganegoke-zoku); 로도브리움 기간테움(Rhodobryum giganteum)(schwaegr.) 파르.(Par.)(Okasagoke)등의 로도브리움(Rhodobryum)(Schimp.) 햄페(Hampe)(Kasagoke-zoku), 플라기오니움 아쿠툼(Plagiomnium acutum)(Lindb.) 티. 콥.(T. Kop.)(Kotsubogoke) 등의 플라기오니움 티. 콥.(Plagiomnium T. Kop.)(Tsuruchochingoke-zoku); 트라키시스티스 마이크로필라(Trachycystis microphylla)(Dozy et Molk.) 린드브.(Lindb.) (Kobano-chochingoke) 등의 트라키시스티스 린드브.(Trachycystis Lindb.)(Kobano-chochingoke-zoku); 피르호브리움 도지아눔(Pyrrhobryum dozyanum)(Lac.) 마누엘(Manuel)(Hinokigoke) 등의 피르호브리움 미트.(Pyrrhobryum Mitt.)(Hinokigoke-zoku); 바르트라미아 포미포르미스 헤듀.(Bartramia pomiformis Hedw.)(O-tamagoke) 등의 바르트라미스 헤듀.(Bartramia Hedw.)(tamagoke-zoku); 클리마시움 덴드로이데스(Climacium dendroides)(Hedw.) 웹. 에 모흐르(Web. et Mohr)(Furoso), 클리마시움 자포니니시움 린드브.(Climacium japonicium Lindb.)(Koyano-mannengusa) 등의 클리마시움 웹. 에 모흐르(Climacium Web. et Mohr)(Koyano-mannengusa-zoku); 라코미트리움 에리코이데스(Racomitrium ericoides)(Web. et Brid) 브리드(Brid)(Hai-sunagoke), 라코미트리움 자포니시움 로지 에 몰크.(Racomitrium japonicium Dozy et Molk.)(Ezo-sunagoke), 라코미트리움 카네스센스(Racomitrium canescens)(Hedw.) 브리드. 에스에스피. 라티폴리움(Brid. ssp. latifolium)(Sunagoke), 라코미트리움 바르블로이드스 카드.(Racomitrium barbuloides Card.)(Kobanosunagoke) 등의 라코미트리움 브리드.(Racomitrium Brid.)(Shimofurigoke-zoku); 힙눔 플루마에포르메 윌스.(Hypnum plumaeforme Wils.)(Haigoke) 등의 힙눔 헤듀.(HypnumHedw.), 놈. 콘스.(nom. cons.)(Haigoke-zoku); 투이디움 카네다에 색.(Thuidium Kanedae Sak.)(Toyama-shinobugoke) 등의 투이다움 브루취 에 쉼프. 인 비.에스.지.(Thuidium Bruch et Schimp. in B.S.G.)(Shinobugoke-zoku)등을 들 수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물이끼와 이들 이끼식물의 바람직한 생육환경이 다른 경우가 많으므로 여러 가지 요소, 예를 들면 생육 pH 등을 고려하여 사용되는 이끼식물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이끼식물은 단독 종류의 이끼식물을 사용하는 것은 물론이며,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끼식물을 함유하는 투수조성물을 본 물이끼 재배기의 건조 물이끼 정형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제품 완성시점에서는 이끼식물이 투수조성물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 이끼식물의 광합성 기회의 확보의 관점에서도 의장상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이 이끼식물의 노출 수단으로서, 우선 투수조성물 중의 이끼식물의 함유 비율을 높게 설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끼식물을 투수조성물의 이끼식물 이외의 함유물의 2배∼15배(질량비) 정도가 되도록 함유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이끼식물의 함유량이 투수조성물의 이끼식물 이외의 함유물의 2배 미만이면 이끼식물 이외의 요소(종이 섬유, 토질 미세물 및 건조 물이끼)가 투수 조성물의 표면을 덮어버리는 비율이 많게 되어, 이끼식물이 충분한 광합성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이끼식물의 함유량이 15배를 넘으면 투수조성물에서의 이끼식물의 고정력이 매우 약해지는 경향이 확인된다.
다른 노출 수단으로서 투수조성물에서의 이끼식물의 함유량을 2배(질량비) 미만, 바람직하게는 0.1∼1배로 하면서 성형한 투수조성물의 표면 근방의 이끼식물을 다양한 노출 수단에 의해 노출시키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1) 전동(電動)의 줄 부착공구 등으로 성형하여 건조시킨 투수조성물의 표면을 얇게 깎아 내어 처리하는 형태나,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서 2) 성형된 투수조성물의 전구조성물의 수분을 잃기 전에 그 표면을 수류(水流)와 접촉시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노출 수단 2)는 효율적으로 이끼식물을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 및 노출 공정에서 깎아 낸 듯한 먼지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매우 유리하다.
수류를 사용하는 노출 공정 2)에서 수류를 접촉시키는 전구조성물은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고화 전의 상태"이므로, 통상적이라면 수류에 의해 조성물은 붕괴될 것이다. 그러나 해당 전구조성물의 수류를 접촉시키는 면의 표면 근방에 존재하는 이끼식물이 수류를 트랩함으로써 조성물 전체가 붕괴되는 것을 방어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표면의 전구 조성물의 토질 미세물이나 분쇄지 등만이 수류와의 접촉에 의해 씻겨 나가고, 그 결과 목적하는 이끼식물의 노출 상태를 매우 간편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류의 강도는 일본에서 통상적인 상태(급수 제한 시와 같이 극단적으로 수압이 떨어진 경우는 수압이 부족할 가능성이 있다)에서 사용되는 가정용 상수도에서 연결된 노즐 부착 호스로 실현되는 정도의 수류로 충분하다.
또한 성형하는 투수조성물의 형상이 구형상에 근사한 형상인 경우에는 투수조성물의 전구조성물에서 형성된 목적하는 성형물을 완전 건조하기 전에 복수개를 전기 세탁기와 같은 수류 발생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수조에 넣고, 이 수조에서 수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수류와 투수조성물의 성형물 끼리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이끼식물의 노출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조에서의 처리는 통상적으로 가정용 세탁기 정도의 수류 중에서 2∼10분간 정도, 투수조성물의 성형물 끼리를 접촉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의 투수조성물의 전구조성물을 목적하는 형상으로 하고 이것을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형상의 투수조성물을 소재로 하는 기물이 제공된다.
b-4) 기물의 오목부가 상기 기물을 관통하는 관통구가 아닌, 바닥이 닫힌 오목부이고 또한 그 바닥이 닫힌 오목부를 통하여 흡수구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기물 자체를 통하여 오목부 내의 건조 물이끼에 유수부의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기물의 소재로서 상술한 투수성이 인정되는 소재를 선택해야 하고, 이와 같은 투수성 소재로서는 초벌 물질, 지점토, 자갈, 경석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단, 이런 형태는 유수부의 물이 미생물을 풍부하게 포함하는 물, 예를 들면 부영양화한 호소(湖沼)나 더러운 하천의 물, 하수의 단순 정화수 등인 경우에는 물과 함께 이 미생물들을 생장 물이끼에 접촉시켜 버릴 가능성이 강하다.
c) 그 외의 정형화 방법
상술한 a), b)의 방법 외에 예를 들면 면사, 견사, 철사 등의 선 형상 부재와, 필름형상 부재, 망 형상 부재를 목적하는 형상에 구비한 건조 물이끼에 감아서 건조 물이끼를 정형화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지면이나 콘크리트면 등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건조 물이끼를 충전하는 것도 "정형화"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목적하는 형상에 구비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의 측면부분[본 물이끼 재배기를 물이끼의 양생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본 사용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서 재치된 경우의 측면에 해당하는 부분]의 바닥부 근방 전체에 상술한 이끼식물을 옮겨 심고 그 위에서부터 투명 필름을 덮고, 옮겨 심은 이끼식물을 양생한 후, 상기 투명필름을 떼어냄으로써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이 그 주위에 옮겨 심은 이끼식물에 의한 정형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끼식물 대신에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의 측면부분의 최상부 근방 전체에 일반 식물의 종자를 뿌려, 이것을 발근시켜서 해당 측면에 뿌리 활기면을 형성시켜서 필름과 종자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뿌리 활기면에 의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의 정형화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a)∼c)의 정형화 방법은 한 종류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2종류 이상의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본 물이끼 재배기에 있어서 기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a)의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생장 물이끼
생장 물이끼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외견의 물이끼 식물체(10)의 줄기부(11), 가지부 및 잎부(12) 중, 적어도 생장점을 갖는 가지부가 남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물이끼의 줄기부가 "생장점을 갖는다"란 반대로 물이끼의 줄기부를 절단한 경우에 그 절단한 부분에서, 물이끼의 식물체가 신장할 수 있는 "생장점"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물이끼 재배기를 사용하는 물이끼 식물체는 줄기부가 2㎝정도 이상, 확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잎부(잎 형상체의 부분)와 가지부(분기되어 있는 부분)는 의장적으로는 확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확보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생장점을 포함하는 줄기부만 확보된다면 본 물이끼 재배기에 있어서의 물이끼 재배를 수행할 수 있다(잎부와 가지부 자체도 생장 가능하다). 또한 줄기부 등에 생장점의 존재 여부의 판단은, 줄기부 등의 단절면 근방에서 육안으로 녹색 빛깔이 도는 채색의 인정 여부에 따라 수행된다. 즉 녹색 빛깔이 도는 채색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생장점이 확보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녹색을 잃어버리는 경우에는 생장점이 실질적으로 없어져 버렸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생장 물이기의 줄기부가 "덩어리진 상태"이다 란 어떠한 형태에서 복수개의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가 집약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묶어져 있는 상태의 줄기부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줄기끼리 엉켜있어도 엉켜져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또한 생장 물이끼가 예를 들면 1개이어도 그 줄기부를 접어 넣음으로써 1개의 줄기부를 "덩어리진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물이끼 재배기 등에 사용되는 "덩어리진 상태의 줄기부"는 줄기부 끼리 압축된 상태로 하는 것이, 후술하는 부르트 형태를 생장 물이끼에 있어서 형성시킨 위에서 적합하다.
또한 이 "덩어리진 상태의 줄기부"는 본 물이끼 재배기에서 1개 장소 이상에, 1개 이상을 배치할 수 있고, 배치부위도 건조 물이끼의 고정물 내부 또는 외측으로 할 수 있다. 이 "덩어리진 상태의 줄기부"는 건조 물이끼 정형물에 접촉되어 있는 것이, 건조 물이끼 정형물에 흡수된 수분(침윤수)을 생장 물이끼가 그 생장에 이용하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생장 물이끼의 생장점을 포함하는 부분이 건조 물이끼 정형물로부터 실질적으로 노출되어야 한다. 이것은 생장 물이끼의 생장점이 본 물이끼 재배기에 있어서 "수몰되지 않은 상태"이어야 하고, 이 상태는 생장 물이끼의 생장점이 건조 물이끼 정형물로부터 실질적으로 노출되어있는 것에서 용이하게 유지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노출되어 있다"란 생장 물이끼가 건조 물이끼 정형물로부터 볼록 형상으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는 물론이고, 예를 들면 건조 물이끼 정형물에 형성된 오목부의 깊이보다도 생장 물이끼 부분이 짧아, 결과적으로 생장 물이끼의 선단부분이 이 오목부의 중간에 멈춰있는 상태도 생장 물이끼의 생장에 의해 생장 물이끼의 신장(伸長)부분이 건조 물이끼 정형물의 외부로 노출되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본 물이끼 재배기의 상기 생장 물이끼의 노출부분과 다른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이 노출되어 있고, 이 노출부분의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이, 본 물이끼 재배기의 생장 물이끼와의 접촉부분까지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 건조 물이끼의 노출부분이 유수부의 물과 접촉함으로써, 유수부의 물을 흡수하고 이 흡수한 물을 생장 물이끼와의 접촉부분까지 침윤시켜, 생장 물이끼에 물을 공급하고 그 결과 본 물이끼 재배기에서의 생장 물이끼의 양생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물이끼 재배기의 사용 시에 있어서 상기 생장 물이끼의 노출부분과 다른 건조 물이끼로 구성되는 부분이 유수부의 물과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을 건조 물이끼를 통하여 생장 물이끼로 공급하는 것은 유수부에 존재하는 불필요한 성분(오염 등)을 건조 물이끼의 단계에서 여과하여 생장 물이끼로 공급할 수 있는, 이라는 의의도 인정된다. 이 여과 효과는 전체 길이(1단위의 건조 물이끼의 길이방향의 길이 뿐아니라 복수 단위의 건조 물이끼를 길이방향으로 연속시킨 길이를 포함)가 긴 건조 물이끼를 사용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다.
(3) 본 물이끼 재배기의 구체적인 형태의 예시
1) 본 물이끼 재배기의 제 1 형태는 기물을 사용하지 않은 형태이다. 도 2는 이 제 1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20A)등의 제조공정 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1)에서 예를 들면 전개면 상에 배치된 것을 내측으로 말아 넣을 수 있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전개면 상의 수분을 외부로 빼 낼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박판형상 부재(21)의 전개면 상에 수분을 함유시키고 또한 물에 용해된 종이 섬유 등의 사후적으로 경화 가능한 함수조성물을 잘 융합시킨 건조 물이끼(22)를 펴서, 그 위에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생장 물이끼(23)를, 그 줄기부(231)를 건조 물이끼(22) 위에 배치하고 또한 생장 물이끼(23)의 잎부와 가지부(231)가 건조 물이끼(22)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얹어서, 이것을 화살표(211) 방향으로 말아서 박판형상 부재(21)를 떼어낸다. 이 박판형상 부재(21)를 떼어낸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 도 2 의 (2)이다. 이어서 생장 물이끼(23)의 줄기부(231)를 말어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의 내부에 생장 물이끼가 포함되어 있는 상태의 사후적으로 고화 가능한 함수조성물이 잘 융합된 상태의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221) 부분을 화살표(222) 방향으로 압축하여 본 물이끼 재배기(20A)가 완성된다[도 2 의 (3)]. 이 물이끼 재배기(20A)는 사후적으로 고화 가능한 함수조성물의 종이 섬유 등의 연결 성분에 의해 정형화된다. 그리고 또한 물이끼 재배기(20A)를 건조시킴으로써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221)의 사후적으로 고화 가능한 함수조성물이 수분을 잃어버려, 예를 들면 종이 섬유 등이 더욱 견고하게 연결이 되어 정형화된 본 물이끼 재배기(20'A)를 얻을 수 있다[도 2 의 (4)]. 이 건조된 본 물이끼 재배기(20'A)는 건조한 생장 물이끼(23)가 육안으로 봐서 녹색을 띠는 색채로 하기 위하여,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221)을 유수부의 물에 접촉시킴으로써 생장 물이끼(23)를 재배할 수 있다. 생장 물이끼(23)의 색채가 녹색을 잃어버리면 수분을 공급해도 생장 물이끼(23)가 재생되는 것은 어렵게 되는 경향이 확인된다.
이와 같이 생장 물이끼(23)의 줄기부(231)가 정형화된 건조 물이끼 집합물(221)의 내부에 접촉된 본 물이끼 재배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건조 물이끼 정형물을 제조하여, 이것에 줄기부를 덩어리진 상태로 한 생장 물이끼의 해당 줄기부를 접촉시킨 상태로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정형화되어 있는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에서 덩어 리진 상태의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의 1단위 이상이, 바람직하게는 압축된 상태로 끼워 넣어지고, 또한 그 생장 물이끼의 생장점이 상기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의 오목부에서 실질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본 물이끼 재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 부재(241)의 일단에, 볼록부(2421)가 형성된 원통부재(241)로부터 탈착 가능한 원형의 바닥 뚜껑(242)을, 볼록부(2421)가 원통 안을 향하는 방향으로 끼워 넣고 배치하여 이것을 바닥부로 하고, 이 안에 건조 물이끼를 함유하는 함수조성물(243)을 흘려 넣는다[ 도 3의 (1): 종단면도]. 이어서 상부로부터 원통부재(241)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누름판(244)을 눌러 넣어, 함수조성물(243)의 압축ㆍ탈수를 행하고[도 3의 (2): 종단면도], 원통부재(241)로부터 함수조성물(243)의 압축ㆍ탈수물로서 건조 물이끼 정형물(24)[도 3의 (3):종단면도]을 얻을 수 있다. 이 건조 물이끼 정형물(24)에서 볼록부(2421)에 눌려 설치된 오목부(2401)에 줄기부가 덩어리진 상태의 생장 물이끼(245)의 줄기부를 바람직하게는 압축하여 끼워 넣음으로써 본 물이끼 재배기(25)를 얻을 수 있다[도 3의 (4):종단면도, 동도 3의 (5):전체도].
또한 예를 들면 상기 도 2의 화살표(211) 방향으로 말아 넣기 전의 단계로 생장 물이끼(23) 대신에 봉형상 부재(미도시)를 건조 물이끼 위에 얹어서 말아 넣은 후, 이 봉형상 부재를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로 부터 떼어 내어 이것을 건조 물이끼 정형물로 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물이끼 정형물의 봉형상 부재를 떼어낸 후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생장 물이끼(23)의 덩어리진 상태로 한, 줄기부(231)를 끼워 넣음으로서 본 물이끼 재배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1단위의 생장 물이끼(23)를 사용하는데, 도 4와 같이 2단위 이상의 생장 물이끼(23')를 사용하여 도 2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스트로크에 의해[도 4의 (1):말아 넣는 스트로크], 2단위 이상의 생장 물이끼(23')의 줄기부가, 건조 물이끼 정형물의 내부에서 건조 물이끼(22')와 접촉되어 있는 본 물이끼 재배기(20B)를 얻을 수 있다[도 4의 (2)].
또한 볼록부(2421)가 하나 설치되어 있는 도 3의 바닥뚜껑(242')을 대신하여 복수의 볼록부(2422)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뚜껑(242')을 사용하고, 도 3과 동일한 스트로크를 수행하여[도 5의 (1)] 복수의 오목부(2402)가 형성되어 있는 건조 물이끼 정형물(24')을 제조하고, 이 오목부에 줄기부가 덩어리진 상태의 복수 단위의 생장 물이끼(245')의 줄기부를 바람직하게는 압축하여 끼워 넣음으로써 본 물이끼 재배기(25')를 얻을 수 있다[도 5의 (2):종단면도].
또한 상술한 대로 본 물이끼 재배기(20A)와 (20B)는 사후적으로 고화 가능한 함수조성물에 의해 정형화되는데, 이 대신으로 또는 이것과 조합하여 다른 방법, 예를 들면 상기에 c)로 나타낸 면사, 견사, 철사 등의 선형상 부재나 필름형상 부재를 사용하여 정형화하는 방법이나 이끼식물이나 식물의 뿌리 활기면에 의해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을 정형화하는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본 물이끼 재배기를 제조할 수 있다.
이 제 1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의 높이[재배기를 재치할 때의 바닥부에 해당하는 장소로부터 건조 물이끼 정형물의 생장 물이끼가 노출되어 있는 장소까지의 거리(생장 물이끼가 복수인 경우에는 가장 멀리 있는 것):본 물이끼 재배기(10A)에서는, h에 해당한다]는 최대, 건조 물이끼가 양수 가능한 높이까지이고, 본 물이끼 재배기의 구체적인 사용형태에 따른 적절한 높이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양수 가능한 높이는 건조 물이끼의 종류나 품질 등에 의해 변동하는 것이고, 정확하게 특정하는 것은 어렵지만 대체로 60㎝정도이다. 최소 높이는 생장 물이끼가 유수부의 물에 의해 수몰되지 않는 것이 생장 물이끼의 생육에 있어서 필요하므로 어느 정도의 높이는 필수적이다. 또한 높이를 0㎝ 부근으로 한 물이끼의 재배 예는 이미 보고되어있다. 본 물이끼 재배기의 경우, 그 높이는 최저 2㎝정도는 필요하고, 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높이가 2㎝ 미만이면 건조 물이끼 집합물에 생장 물이끼를 안정하게 고착한 상태로 접촉되는 것이 어렵고, 생장 물이끼가 유수부의 물에 수몰되지 않도록 보존하는 것도, 실제상으로 어렵다.
2) 본 물이끼 재배기의 제 2 형태는 기물을 사용하는 형태이다. 도 6은 이 제 2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30A)등의 제조 공정 등의 일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1)에서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 부재(311)의 일단에 원주형상의 돌출부(3211)가 형성된 원통부재(311)로부터 탈착 가능한 바닥뚜껑(321)을, 돌출부(3211)가 상측이 되도록 끼워 넣어 배치하고 이것을 바닥부로 한다. 이어서 원통부재(311)와 돌출부(321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322)에 투수조성물의 전구조성물을 넣는다(마주보아 오른쪽의 투수조성물의 전구조성물(331)은 물 이외의 함유성분이 준 용해상태로 함유되어 있는 형태이고, 이 왼쪽의 전구조성물(332)은 예를 들면 전구 조성물(331)의 물을 빼내어 작은 조각으로 분할하여 이것을 기초로 낱알로 만들어 작은 입자화하여 얻은 전구조성물의 소입자이다. 실제로는 전구조성물(331)과 (332)는 별도로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인데 이 도면에서는 양자를 동시에 모식화하고 있다. 도 6ㆍ도 7ㆍ도 8의 (1)에서 마찬가지이다.). 이어서 원통형상(311)의 내벽과 돌출부(3211)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한 링형의 판형상 부재(341)로, 간극(322)에 밀어 넣어, 투수조성물의 전구조성물(331)과 (332)을 압축하고 탈수ㆍ정형화한다. 이 압축 스트로크의 종료 후 링형의 판형상 부재(341)를 떼어내고[도 6의 (2)], 이어서 원통부재 내에서 정형화된 전구조성물을 떼어내어, 이것을 건조시킴으로써 투수조성물을 소재로 한 원통형상의 기물(35A)[도 6의 (3)]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기물(35A)의 관통구(351)에 예를 들면 본 물이끼 재배기(25)를 눌러 넣음으로써 기물(35A)에 의해 건조 물이끼 집합물이 정형화되어 있는, 본 물이끼 재배기(30A)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기물(35A)과 건조 물이끼의 정형화를 연속적으로 스트로크할 수 있다. 즉, 도 6의 (2)에 계속하여 원통형상 부재 등을 딴 곳으로 옮겨두고, 새로운 바닥부에 볼록부(3421)가 형성된 원통부재(311)로부터 탈착 가능한 원형의 바닥 뚜껑(342)을 볼록부(3421)가 원통 내를 향하도록 끼워 넣어 배치하고 바닥뚜껑(321)을 떼어내고 다시 링형의 판형상 부재(341)를 사용하여 정형화된 투수조성물의 전구조성물(331)과(332)을 새로운 바닥 뚜껑(342)을 향하여 밀어 넣는다[도 7의 (1)]. 이어서 바닥뚜껑(321) 상에 있어서, 두꺼운 통의 원통형상으로 정형화된 전구조성물(331)과 (332)의 위로부터, 이 원통의 횡단면의 내주원을 같은 내주원으로 하는 양단이 개구되어 있는 통형상 부재(343)를 정형화된 전구조성물(331)과 (332)의 내주원과 통형상 부재(343)의 내주원이 겹쳐지도록 재치하고, 건조 물이끼와 사후적으로 고화 가능한 성분(바람직하게는 종이 섬유 등의 함수조성물)과의 혼합물(347)을 이 내주원 안으로 흘려 넣고, 이것을 통형상 부재(343)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누름판(344)을 이용하여 밀어 넣는다[도 7의 (2)]. 이어서 누름판(344)과 통형상 부재(343)를 떼어내고 통형상 부재(311)의 내벽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한, 통형 상 부재(311)의 내주원의 모든 면을 밀어 넣을 수 있는 원통의 누름판(345)으로 성형 대상물(346)의 면정합을 행한 후, 통형상 부재(311) 등을 떼어낸다. 원주형상의 성형 대상물의 외측은 전구조성물(331)과 (332)를 소재로 하는 기물(3461)이고 내측은 단면에 오목부(3463)를 형성한 건조 물이끼 정형물(3462)이다[도 7의 (3)]. 상기 건조 물이끼 정형물(3462)은 기물(3461)의 관통구와, 종이 섬유 등의 함수조성물 등의 사후적으로 고화 가능한 성분의 양자에 의해 정형화되어 있다. 상기 성형대상물(346)의 오목부에 줄기부를 덩어리진 상태로 한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를 바람직하게는 압축하여 끼워 넣음으로써 본 물이끼 재배기(30A)를 얻을 수 있다.
기물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 8의 (1)과 같이 기물을 투수조성물에 복수 관통구(352)가 설치된 판형상체(35B)로 하여 이들 관통구(352)에 본 물이끼 재배기(25)를 각각의 관통구로 밀어 넣음으로써 기물(35B)에 의해 복수의 건조 물이끼 집합물이 정형화되어 있는 본 물이끼 재배기(30B)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디자인의 기물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의 (2)는 하부방향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완만한 곡선을 그리면서 테이퍼하는 반구 형상부재의 꼭대기부 부근에서 바닥부로 관통하는 관통구(353)가 설치된 투수조성물을 소재로 하는 기물(35C)을 제조하고 이 관통구(353)에 예를 들면 본 물이끼 재배기(25)를 밀어 넣고, 또한 이 기물(35C)에 눈으로 보이는 착색부재(3541)와 입으로 보이는 착색부재(3542)와 일단에 루프가 설치된 금속봉(3543)을 끼워 넣어 고정하고 또한 기물(35C)의 일부를 편물(3544)로 덮어서 특유의 얼굴형 디자인의 본 물이끼 재배기(30C)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8의 (3)(종단면도)과 같이 구형상으로 한 건조 물이끼(3551)의 외측을 투수조성물로 피복하여, 구형상의 기물(3552)에 덮어 구형상으로 정형화한다. 이 구형상체의 표면에 건조 물이끼 정형물(3551)의 중간까지 달하는 깊이의 오목부(3553)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의 중간에 생장 물이끼(3554)의 줄기부를 바람직하게는 압축하여 끼워 넣음으로써 구형상의 본 물이끼 재배기(30D)를 얻을 수 있다.
이들 제 2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에서의 생장 물이끼까지의 높이도 제 1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와 마찬가지로 최대 건조 물이끼가 양수 가능한 높이까지이고, 구체적으로는 대체로 60㎝정도가 최대이고 최소 높이는 2㎝정도이며 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재배 방법과 본 재배 시스템에 대하여>
상술한 본 물이끼 배재기는 본 재배 시스템을 사용하여 본 재배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물이끼를 재배할 수 있고 물이끼 재배를 통하여 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재배 방법과 본 재배 시스템에 있어서는 본 물이끼 재배기의 생장 물이끼의 노출부분과 다른 부분, 전형적으로는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을 유수부의 물과 접촉시켜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에 물을 침윤시켜, 생장 물이끼에 물(침윤수)를 공급하면서 생장 물이끼의 생장점 즉 가지부 및 잎부로서 생장하는 부분을 유수부의 수면이나 유수부의 수면보다도 높은 위치로 유지해야 한다.
(1) "유수부"란 본 물이끼 재배기에 직접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넓은 의미로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장소로 인공물이어도 자연물이어도 된다. 즉 자연물이라면 호소(湖沼), 습원, 하천, 지하수 층 등의 천연 유수부가 해당하고, 인공물이라면 접시, 단지, 쟁반 등의 소규모의 인공유수부 ; 저수조, 저수지, 인공하천, 인공천 하수층, 수영장, 댐, 전포(田圃) 등의 비교적 대규모 인공유수부; 그 외 목적하는 설계에 의해 제조되는 인공유수부 전반을 의미한다.
(2) 유수부의 물과 접촉되는 본 물이끼 재배기의 부분은, 이 접촉에 의해 적어도 유수부의 물이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에 접촉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일반적으로는 물과 접촉되는 부분에 있어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이 실질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실질적 노출"이란 본 물이끼 재배기를 유수부에 재치한 경우에 유수부의 물이 직접적으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에 접촉할 수 있는 상태로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그 한정에 있어서 상기의 기물을 사용하지 않는 본 물이끼 재배기나, 기물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도,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이 기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경우나, 기물에 설치된 바닥부의 관통구가 평면하게 되도록 충전되어 있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은 물론이지만, 이에 더하여 이 관통구에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이 충전되어 있어도 상기 유수부의 물과의 접촉조건을 만족하는 한, "실질적 노출"의 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과 유수부의 물과의 사이에 스펀지, 투수성 필름, 망형상 소재 등의 투수성 소재를 유수부의 물이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에 접촉할 수 있는 양적ㆍ질적 한도에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 바닥부의 관통구 입구 근방의 횡단면적은 생장 물이끼 측의 관통구의 입구 근방의 횡단면적과 동일하여도 되지만, 적어도 생장 물이끼의 양생에 충분한 양의 침윤수가,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에서 확보되는 한 허용된다. 오히려 바닥부의 관통구 근방의 횡단면적이 생장 물이끼 측보다도 적은 것은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의 제거를 간편하게 방지하고 또한 건조 물이끼를 절약할 수 있어 바람직한 것도 인정된다.
건조 물이끼 집합물이 "실질적 노출한" 형태를 취하는 본 물이끼 재배기로서는 예를 들면 상술한 제 1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20A)(20B)(25)를 들 수 있다. 이들 생장 물이끼를 위로하여 유수부에서 재치함으로써 바닥부에 노출되어 있는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에 물을 접촉시켜, 이 접촉점으로부터 생장 물이끼의 근방까지 건조 물이끼를 통하여 물을 끌어 올려, 생장 물이끼에 물을 공급하고, 이에 의해 물이끼를 양생할 수 있다. 또한 제 2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30A),(30B),(30C)는 각각 기물에 설치된 관통구의 바닥부에 건조 물이끼 집합물이 노출되어 있고 이들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를 유수부 위에 재치함으로써 바닥부의 관통구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에 물이 접촉되어, 이들의 접촉점으로부터 생장 물이끼의 근방까지 건조 물이끼를 통하여 물을 끌어 올려, 생장 물이끼에 물이 공급되고 이에 의해 물이끼를 양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형태의 물이끼 재배기에 있어서 기물에 형성된 오목부가 관통구인 형태는 가장 간편하게 수분을 건조 물이끼 정형물을 통하여 생장 물이끼로 공급할 수 있는 형태의 하나이다.
또한 제 2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30D)나, 상술의 (30A)∼(30C)에 관통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기물 중의 건조 물이끼 집합물이 일견으로 닫힌 상태로 끼워 넣어져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기물의 표면 측의 구멍의 위치가 건조 물이끼 집합물 측의 구멍의 위치보다도 높고, 표면 측으로부터 건조 물이끼 집합물 측으로 통하는 물의 유입구를 형성하여, 그 표면 측 구멍보다도 높은 수면이 형성되어 있는 유수부에 본 물이끼 재배기를 재치하고 외부로부터 건조 물이끼 집합물를 향하여 물을 유입시킴으로써 건조 물이끼 집합물에 물을 접촉시켜서 이에 의해 생장 물이끼를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기물의 소재를 투수소재로서 기물의 내측의 건조 물이끼 집합물의 제일 낮은 위치보다도 높은 수면을 갖는 유수부에 본 물이끼 재배기를 재치함으로써, 투수 소재를 통하여 유수부의 물이 건조 물이끼 집합물에 침투하고, 이 침투한 물이 더욱 건조 물이끼 집합물에 접촉하여 이에 의해 생장 물이끼를 재배할 수 있다.
(3)또한 생장 물이끼의 생장점을 포함한 부분 즉 가지부 및 잎부로서 생장하는 부분이 유수부의 수면보다도 높은 위치로 유지되어 있어야 한다.
이 조건은 생장 물이끼의 생장점을 포함하는 부분이 실질적으로 수중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본 물이끼 재배기를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수중으로 가라앉은 상태가 아니다"란 생장 물이끼의 생장점을 포함하는 부분이, 항상 수중에 가라앉은 상태가 아니라고 하는 의미이고, 예를 들면 본 물이끼 재배기를 실외에 둔 경우에, 강우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생장 물이끼의 생장점이 수중으로 가라앉은 것은 허용된다. 또한 샤워 물 등으로 본 물이끼 재배기의 위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것도 생장 물이끼의 생장을 방해하지 않는 한도에서 허용된다.
(4)본 재배 방법이나 본 재배 시스템이 종래에서 소규모로 만 행해지는 물이끼의 재배 방식과 다른 점의 하나로서 건조 물이끼 집합물을 생장 물이끼의 흡수 수단으로 하는 점을 들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건조 물이끼가 그대로 얇게 펴서 채우고, 이것을 단순한 보수재(保水材)로서 위에서부터 흡수를 순차로 행하고 생장 물이끼를 재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건조 물이끼를 집합물로서 성형됨으로써 건조 물이끼가 수면에 대하여 부피가 크게 유지되는 상태를 형성하고, 물이끼 특유의 매우 우수한 흡수력에 의해 이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을 통하여 하부방향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도 마치 천연 펌프와 같이 양수하여, 상부방향으로 배치된 생장 물이끼를 향하여 급수할 수 있다. 이 때 놀랄만한 것은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와 이것에 접촉되는 건조 물이끼는 마치 접목한 것 같이 생장 물이끼와 건조 물이끼의 접합물이 형성되어 있고, 건조 물이끼로부터 생장 물이끼로의 수분의 이동은 매우 스무스하게 이루어진다. 종래에 있어서도 상부방향으로 급수함으로써 생장 물이끼의 관리를 행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단시간 내에 물이 확보되는지의 여부를 점검해야 하므로 소규모의 재배에서도 번잡하고, 적극적인 환경 회복을 지향하는 대규모의 물이끼의 재배를 수행하는 것은 매우 곤란했다.
이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경우에는 하부방향에 유수부가 형성되고 여기에 물이 확보되어 있는 한 물이 생장 물이끼까지 공급될 수 있으므로 빈번하게 점검을 하지 않아도 계속적으로 생장 물이끼를 양생할 수 있다. 또한 생장 물이끼는 생장하기에 따라서 하부 조직(줄기부)이 쇠퇴하고, 이에 동반하여 휴믹산 이나 펄빅산이라고 하는 유기산을 외부로 삼출(渗出)함으로써, 미생물이 오염되기 어려운 산성 환경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한층 물이끼의 재배 관리가 간편화된다.
또한 본 재배 방법과 본 재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본 물이끼 재배기에서의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덩어리진" 상태, 바람직하게는 압축된 상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를 "덩어리진 상태" 바람직하게는 압축된 상태로 하는 것은 자연계이 있어서 물이끼의 생장에 따라 인정되는 "부르트"라고 불리는 특징적인 군락형상의 형태를 인공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목적이다. 놀랄만한 것은 생장 물이끼를 분포시켜서 재배한 경우에서도 본 발명과 같이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를 "덩어리진 상태"로 함으로써 현저하게 물이끼의 생장 촉진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부르트 형성으로부터 생장 물이끼의 가속적인 생장에는 본 물이끼 재배기의 오목부가 설치된 제 1형태에서의 건조 물이끼 집합물의 그 오목부, 또는 제 2 형태에서의 기물의 오목부,의 생장 물이끼 측의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연속한 평면 및 / 또는 곡면을 형성하고 그 평면 및/또는 곡면 상에서 생장 물이끼의 증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의 (1)∼ (6)은 상기 오목부 근방에서 부르트를 형성한 생장 물이끼가 가속도적으로 증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의 (1)은 도 4의 (2)의 본 물이끼 재배기(20B)를 기물(A1)에 형성된 관통구(A11)에 끼워 넣어서(상기 기물(A1)과 본 물이끼 재배기(20B)와 유수부(A2)의 조합을 본 물이끼 재배 시스템(AA)으로 한다), 유수부(A2)에 기물(A1)을 재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유수부(A2)에는 물(A21)이 확보되어 있고, 건조 물이끼(22')가 이 물(A21)과 접촉하여 침윤슈로서 생장 물이끼(23')에 공급되어 있다. 기물(A1)에는 개구부(A111)와 실질적으로 연속한 평면(A112)이 설치되어 있다.
생장 물이끼(23')는 처음에는 상부방향으로 신장하는[도 9의 (2)]데, 즉시 자동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쓰러져 수평방향으로 전체적으로서는 평면(A112) 위에서 방사상으로 신장을 시작한다[도 9의 3]. 생장 물이끼(23')가 방사상으로 신장하는 과정에서, 이 줄기부(232')(잎부(231'))가 평면(A112) 상에 노출되고, 태양 광선이 잘 닿게 되고, 상기 줄기부(232')로부터 다수의 재생아(23'')가 발아되고[도 9의 (4)], 이 재생아(23'')도 처음에는 상부방향으로 신장하는[도 9의 (5)]데, 즉시 자동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쓰러져 방사상으로 신장하고[도 9의 (6)], 재생아(23'')에 유래하는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로부터 다시 재생아가 발아되어 처음의 상부방향으로 신장을 시작한다.
이와 같이 부르트 형태에 있어서는 "상부 방향으로의 신장 → 방사 형상으로 신장 → 재생아의 발아 → 재생아의 상부 방향으로의 신장 → 재생 생장 물이끼의 방사 형상의 신장 → 다시 재생아의 발아 → …"라고 하는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가속도적으로 생장 물이끼를 증식할 수 있다. 부르트 형태 없이는 이와 같은 사이클의 반복은 일어나지 않고, 증식도 매우 한정된 정도에서 멈추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상기의 평면(A112)은 곡면, 또는 평면과 곡면과의 조합이어도 된다. 단 이 평면 및 /또는 곡면의 경사는 이 개구부(A111)의 수평면을 기준으로하여 -90° ∼ +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가장 적합한 것은 실질적으로 0°의 평면이다). +10°보다 크면 생장 물이끼의 방사 형상의 신장이 경사 때문에 저해되고, 태양 광선의 입사도 한정되는 경향이 강하게 된다. -90°보다도 적으면 생장 물이끼가 수직으로 늘어져 버린다. 또한 평면(A112)(평면 및/또는 곡면이어도 된다)에는 침윤수를 공급 할 수 있는 기구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기구는 전형적으로는 흡수재가 충전된 그 평면 및/또는 곡면을 구성하는 부재의 상면과 바닥면을 연결하는 관통구이다. 이 흡수제로서는 건조 물이끼, 생장 물이끼, 스펀지, 모래 흡수성수지, 해면 등을 들 수 있는데 우수한 양수력과 경제성을 고려하면 건조 물이끼가 바람직하다. 또한 최초에 형성된 생장 물이끼와 이 침윤수를 공급 할 수 있는 기구까지의 거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체로 8∼30㎝정도가 바람직하다.
도 9에서는 본 물이끼 재배기(20B)로서 생장 물이끼로서 가지부와 잎부를 동반하지 않는 줄기부와 잎부와 가지부를 동반하는 것을 이용하는데 이 생장 물이끼를 대신하여 가지부와 잎부는 절단된 줄기부만을 생장점을 노출시켜 사용함으로써도 생장 물이끼의 부르트가 형성되고, 상기와 같은 증식 사이클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평면(A112)에 대응하는 생장 물이끼의 증식 장소로서의 기출의 도면의 평면 및/또는 곡면으로서 대표적인 것을 예시하면 예를 들면 도 8의 (1)의 본 물이끼 재배기(30B)를 구성하는 본 물이끼 재배기(25)의 상면부분과 판형상체(35B)의 상면부분, 도 8의 (2)의 본 물이끼 재배기(30C)를 구성하는 기물(35C)의 외면부분, 도 8의 (3)의 본 물이끼 재배기(30D)를 구성하는 구형상의 기물(3552)의 구면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6의 (4)의 본 물이끼 재배기(30A의 251)와 그 외연부, 도 5의 (2)의 본 물이끼 재배기(251'), 도 3의 (5) 본 물이끼 재배기(25의 251)도 상기 평면으로서 예시된다.
또한 본 재배 방법과 본 재배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술의 부르트 형태에 의한 증식 촉진 효과에 더하여, 생장 물이끼 자체의 높은 재생 능력에 의하여 재배규모를 더욱 가속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즉 생장 물이끼를 작게 절단한 경우, 절단 조각 자체의 대부분은 재생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처음에는 본 물이끼 재배기를 1개 사용하여 재배한 경우에서도 생장 물이끼의 잎부와 가지부가 어느 정도 크게 되는 단계(잎부와 가지부가 10㎝길이 정도가 된 단계가 바람직하다)에서, 가지부 또는 잎부를 베어 내고, 베어낸 식물체를 1∼2㎝ 정도마다로 절단하고 이들 절단된 생장 물이끼 조각을 다시 본 물이끼 재배기의 생장 물이끼로서 사용함으로써 1개의 물이끼 재배기로부터 복수 단위의 새로운 물이끼 재배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절단된 생장 물이끼 조각의 방향을 원래의 방향으로 가지런히 하고, 즉 절단되기 전의 생장 물이끼의 잎부 측에 해당하는 일단을 상부 측에 가지부 측에 해당하는 타단을 하부측으로 가지런히 하고, 본 물이끼 재배기의 생장 물이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생장 물이끼 조각의 방향이 상기의 역방향 또는 일치하지 않으면 새로운 물이끼 재배기에 있어서 생장 물이끼의 생장되는 방향이 통일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원래의 본 물이끼 재배기는 연달아서 본 재배 방법과 본 재배 시스템을 행함으로써 남은 줄기부로부터 다시 잎부와 가지부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배어 내는 것은 잎부 근방을 년 2회 정도 절단하고, 가지부 전체를 년 1회 정도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 자체를 2㎝정도로 잘게 절단하고, 얻어진 잘게 절단된 조각을 본 물이끼 재배기의 생장 물이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5) 상기와 같이 본 물이끼 재배 방법은 본 물이끼 재배 시스템에 의해 생장 물이끼를 증식시키면 재배 당초에 설치된 생장 물이끼의 증식 장소로서의 평면 및/또는 곡면 가득히 생장 물이끼가 번무해 지고 그 시점에서 생장 물이끼의 증식이 완만화 된다. 그 반면 생장 물이끼를 대량으로 증식하는 것을 목적으로, 처음부터 넓은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반드시 타당하지는 않은 것도 인정된다. 이와 같은 경우는 생장 물이끼의 증식 장소를 사후적으로 증설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많다.
즉, 본 발명은 본 물이끼 재배기에서의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의 오목부 또는 기물의 오목부의 생장 물이끼 측의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평면 및/또는 곡면이 사후적으로 증설 가능한 평면 및/또는 곡면인 본 물이끼 재배 시스템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이 사후적으로 증설 가능한 평면 및/또는 곡면을 형성하기 위한 증설용 부재는 본 물이끼 재배기에서의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의 오목부(주로 제 1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 또는 기물의 오목부(주로 제 2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 의 생장 물이끼 측의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연속한 평면 및/또는 곡면을 구성하는 부재의 외연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고정됨으로써 이 평면 및/또는 곡면과, 또한 연속한 평면 및/또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부재이다.
예를 들면 도 10의 (1)과 같은 원주 형상의 본 물이끼 재배기(B)의 원주부분에 이 원주의 높이와 동일한 폭을 갖는 유연성을 갖는 테이프형상의 소재(예를 들면 펠트 테이프 등)(B1)를 나선 형상으로 말아 부착한 상태로서 이것을 상기 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는 말아 부착한 테이프 형상 소재(B1)의 일측면(상면)에 의해 증설평면(B11)이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물이끼 재배 시스템에서의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주로 제 1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의 오목부, 또는 기물의 오목부(주로 제 2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의 생장 물이끼 측의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연속한 평면 및/또는 곡면을 구성하는 부재의 외연부에 상기 외연부와의 나선 파스터에 의한 라합, 상기 외연부에 설치된 결합용의 구조(예를 들면 외연부의 바닥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 결합용의 돌기)에 의한 결합, 외연부와 접촉한 상태로 재치하는 인접, 외연부에 설치된 오목-볼록 구조로 끼워 넣음으로써 감합,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계지수단(이 계지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에 의해 접촉한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이 평면 및/또는 곡면과, 또한 연속한 평면 및/또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부재를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의 (2)와 같은 테이퍼를 갖는 사각주 형상의 본 물이끼 재배기(C)의 사각측면 각각의 테이퍼에 대해서 인접 가능하고, 높이가 본 물이끼 재배기(C)의 높이와 동일하고 사각주 형상의 부재(C1)∼(C4)을 인접시킴으로써, 부재(C1)∼(C4)의 일측면(상면)(C11)∼(C14)에 의해 증설 평면이 형성된다. 또한 부재(C1)∼(C4)에 있어서는 상면(C11)∼(C14)과, 이 바닥면을 연결하는 관통구(C111∼C411)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관통구에는 흡수재가 충전되어 있다. 흡수재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 물이끼, 생장 물이끼, 스펀지, 모래, 흡수성 수지, 해면 등을 들 수 있는데 우수한 양수력과 경제성을 고려하면 건조 물이끼가 바람직하다. 도 10의 (3)은, (2)의 평면증설을 다중으로 행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본 물이끼 재배기(C)와 흡수재는 생략). 이 도 10의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설용 부재(C5)의 외측에 (C6)을 또한 그 외측에 (C7)을 순차 인접시킴으로써 생장 물이끼의 번무에 대응하여 증설평면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의 (4)와 같이 도 10의 (1)의 본 물이끼 재배기(B)와 같이, 형상이 원주 형상인 경우에는 이 외연부에 링형의 증설용 부재(C8),(C9)를 순차 인접시켜서 증설 평면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2) ∼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설용 부재를 사용하여 증설평면을 설치한 본 물이끼 재배 시스템의 일부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1)의 상태에 이르는 전형적인 과정으로서, 본 물이끼 재배기(D)의 생장 물이끼(정형화된 건조 물이끼는 미도시)(D1)를 하부방향의 유수부(미도시)로부터의 침윤수에 의해 양생하여 본 물이끼 재배기(D)에 설치되어 있다. 생장 물이끼(D1)의 증식 장소로서의 평면(D2)에서 생장 물이끼(D1)가 상술한 부르트 형태를 따라 증식 사이클에 의해 충분히 번무된 단계에서 증설용 부재(D3)를 본 물이끼 재배기(D)의 외연에 인접시켜서, 이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D2)과 연속한 평면(D4)에 있어서 또한 생장 물이끼(D1)를 증식시킨다. 증설용 부재(D3)에는 흡수재로서 건조 물이끼를 충전한 관통구(D31),(D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구의 건조 물이끼가 유수부의 물을 상부까지 양수하여 증식하면서 생장 물이끼(D1)와 접촉함으로써, 이 생장 물이끼(D1)에 수분이 공급되어 증식이 촉진된다. 또한 생장 물이끼(D1)의 증식정도에 따라서 증설용 부재(D3)의 외연부에 한층 더 증설용 부재(D5)를 인접시켜서 더욱 증설 평면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이 증설 평면의 확대는 외측을 향하여 순차로 행하여진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증설용 부재(D3)와 (D5)의 인접부에는 건조 물이끼(D6)가 충전되어 있고, 이 건조 물이끼(D6)는 상기 관통구(D31),(D32)에 충전된 건조 물이끼와 동시에 생장 물이끼(D1)에 침윤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증설용 부재(D5)에는 관통구(D51),(D52)가 형성되어 있고, 생장 물이끼(D1)에 침윤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건조 물이끼가 충전된다. 또한 이들 관통구(D51),(D52)와 같이 생장 물이끼 근방의 단면적이 유수부 근방의 단면적 보다도 넓고, 건조 물이끼를 관통구로부터 탈착하기 어렵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관통구(D51),(D52)의 단면적의 변경부의 넓은 구멍 측의 바닥부에 작은 오목부(D501)[도 11의 2]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에 침윤수를 모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장 물이끼(D1)의 번무를 완화하는 경우에는 증설용 부재(D5)의 외연부를 따라서 격벽(D7)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생장 물이끼의 외측에의 신장을 트랩하고 그 결과 상기의 증식 사이클을 중지시킬 수 있다.
(6) 이와 같이 본 재배 방식과 본 재배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간편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물이끼를 재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즉 물이끼가 번무하는 고층 습원을 도시 공간이나 인공물에서도 자유자재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발명이고, 또한 자연계에서 없어지고 있는 물이끼 습원을 회복하는 것이 가능한 발명이다. 즉 현상에 있어서 원예용도 등으로 경제적인 가치가 높은 물이끼를 효율적으로 재배 가능하다고 하는 이유나 생장 물이끼의 외견의 아름다움 이상으로 통상적 가치의 4∼5배의 이산화탄소의 고정능력을 갖는 물이끼 습원을 용이하게 형성함으로써 지구 온난화 요인을 격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의의가 매우 크다.
(7) 본 재배 방법과 본 재배 시스템은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1)본 물이끼 재배기를 유수부에 재치함으로서 본 재배 방법과 본 재배 시스템을 수행하는 형태
이 형태는 유수부의 물과 1개 이상의 본 물이끼 재배기에서의 생장 물이끼의 노출부분과 다른 부분과의 접촉이 유수부에서의 물이끼 재배기의 "재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재배 방법 또는 본 재배 시스템의 형태이다.
여기에서 "재치"란 문자 그대로 본 물이끼 재배기(에를 들면 20A, 20B, 25, 30A, 30B, 30C, 30D)를 목적하는 장소에 두고, 본 재배 방법 또는 본 재배 시스템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인데 예를 들면 지면이나 콘코리트면에 구멍을 형성하여 그 구멍 안에 본 물이끼 재배기를 형성하는 것도 "재치"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본 물이끼 재배기를 본 물이끼 재배기의 생장 물이끼의 부분에는 항상 물이 덮지 않도록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는 유수부의 수위를 재치하는 물이끼 재배기의 높이 보다도 낮게 유지하는 조건 설정을 들 수 있다.
가장 단순하게는 예를 들면 도 12의 (1) (종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41)을 넣어 둘 수 있는 중 접시 형상의 용기, 수조 등의 바닥면(42)에 재치되는 물이끼 재배기(43)의 높이 보다도 낮은 수위로 물을 넣고, 이 과정의 수위를 보존하도록 물을 관리함으로써, 이 형태의 본 재배 방법 또는 재배 시스템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물의 관리는 정기적으로 육안으로 점검하고 주수구(注水口)(44)로부터 물을 붓는 것도 가능한데, 물 수위 등에 의해 수위의 감소를 자동적으로 감지하는 기구, 예를 들면 수위 센서를 시스템 안에 부가하여 수위의 감소 시에 자동적으로 물을 붓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우 등에 의한 증수 시에는 별도 설치된 배수구로부터 소정의 수위까지 수위를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도 12의 (2)(종단면도)와 같이 복수의 물이끼 재배기(43)의 사이(여기가 생장 물이끼의 증식 장소로서 평면에 해당한다)에 자갈 등의 투수 가능한 무기 미세물(46)을 물이끼 재배기의 높이 정도로 깔고, 이 무기 미세물(46) 중에 도 12의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수위를 보존하는 기구(본 도면에 있어서는 측판(45)에 수위 조정밸브(451),(452)가 설치되어 있다)를 부가하여, 즉 대수층이 확보되어 있는 인공적인 습지와 동일한 상태를 보존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미세물이 배치된 부분은 생장 물이끼의 생장부를 포함하는 부분이, 본 재배 방법 또는 본 재배 시스템에서 양생되고, 생장해야 하는 공간에 접하는 실질부분이다. 이 도 12의 (2)에 나타낸 무기 미세물을 사용하는 형태는 자연계의 물이끼 습원의 상태에 가깝고 본 재배 방법 또는 본 재배 시스템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도 12의 (3)은 바람직하게는 발포 스티롤 등의 경질소재를 사용한 형태(470)의 표면을 상술한 "사후적으로 경화하고 또한 고화하기 전은 점조한 액체소재"(본 도면에서는 "액체소재"라고 한다)를 사용하여 자연 감촉으로 한 기물(47)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다. 도 12의 (3)-1은 형태(470)의 뒷면(4701)을 위로하여 표현한 도면이고, 도 12의 (3)-2는 표면(4702)(여기가 생장 물이끼의 증식 장소로서의 평면에 해당한다)을 위로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도 12의 (3)-1에 있어서 뒷면(4701)에는 중앙부에 표면(4702)과 이어지는 관통공(47011)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 복수의 비관통공(47012)이 형성되어, 뒷면(4701) 표면상에는 관통공(47011)과 비관통공(47012) 상호를 연결하고, 470의 측면으로 통하는 홈(47013)이 설치되어 있다. 도 12의 (3)-1의 형태(470)를 도치한 도 12의 (3)-2의 형태(470)에 있어서는 홈(47013)은 형태(470)의 측면에서 개구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형태(470)의 표면(4702) 상에 액체 소재를 도포하여, 솔 모양으로 한 철사(47014)로 표면을 두드려 보풀을 만들고, 그 위에 흙 등의 흙(47015)을 뿌리고[도 12의 (3)-3], 표면을 균일하게 하여 그 위로부터 방수재를 상층함으로써, 표면이 자연 흙에 근사한 감촉을 갖는 기물(47)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물 (47)은 관통공(47011)이 1개이지만 복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물(47)에서의 형태(470)로서는 예를 들면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박판을 복수매 적층 고정하여 이루어진 형태나 다수의 입자를 집적 고정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태(단 어느 형태도 적층이나 집적의 결과로서 이 관통공(47011)에 해당하는 관통공을 형성해야 한다)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기물(47)의 관통공(47011)에 예를 들면 본 물이끼 재배기(20B)(도 4)의 줄기부를 바람직하게는 압축하여 끼워 넣음으로써 기물과 생장 물이끼가 일체로 된 본 물이끼 재배기(472)(도 22에 도시함)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관통공(4701)의 뒷면 측을 플라스틱 네트 등의 투수판으로 막음으로써, 본 물이끼 재배기(20B)의 뒷면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472)의 사용형태는 후술한다(도 22).
상기 도 12의 (2)는 자갈 등의 무기 미세물(46) 중에 미리 제조한 본 물이끼 재배기(43)를 매워 넣음으로써 구성되는 예인데, 예를 들면 이미 존재하는 지면이나 콘크리트 면에 구멍을 내고, 거기에 사후적으로 본 물이끼 재배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3의 (1)(종단면도)와 같은 지하수면이 수위(511)까지 보존되어 있는 지면(51)(여기가 생장 물이끼의 증식 장소로서의 평면에 해당)에 구멍(512)을 내고, 그 안에 원주 형상의 부재(52)를 배치하고, 원주 형상 부재(52)와 구멍(512)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531)에 바람직하게는 물을 포함한 상태의 건조 물이끼(건조 물이끼와, 종이 섬유 등의 수성조성물 등의 사후적으로 경화 가능한 성분과의 혼합물이어도 된다)(54)를 충전하고 충전 후, 원주 형상 부재(52)를 빼내고[도 13의 (2)], 이 원주 형상 부재(52)가 빼 내어져 형성되는 공극(532)에 줄기부를 덩어리진 상태로 한 생장 물이끼(55)의 줄기부(551)를 끼워 넣고, 구멍 안에 본 물이끼 재배기(56)가 형성되고, 재치되는 형태를 구축할 수 있다[도 13의 (3)]. 또한 더욱 생장 물이끼(55)로의 물의 공급을 윤활하게 하기 위하여 구멍(512)의 측부뿐만 아니라 바닥부에도 건조 물이끼(54)를 충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도 13의 (4)]. 또한 복수의 구멍(512) 각각에 건조 물이끼(54)를 충전하고, 그 위로부터 복수의 생장 물이끼(55)를 측면이 건조 물이끼(54)에 접촉되도록 또한 바람직하게는 생장 물이끼(55)의 식물체 끼리 겹쳐지도록 재치함으로써 생장 물이끼(55)의 양생을 수행 할 수 있다[도 13의 (5)]. 이 도 13의 (5)의 형태는 생장 물이끼와 건조 물이끼 집합물이 건조 물이끼의 외부에서 접촉되어 있는 형태의 하나이다.
이 "재치"하는 형태는 여러 가지 환경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옥상에서의 사용, b) 휴경전에서의 사용, c) 실내에서의 사용, d) 원습원의 복원을 위한 사용 등으로 이렇게 "재치"하는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a) 옥상에서의 사용
빌딩의 옥상 등에서 본 재배 방법, 또는 본 재배 시스템을 행함으로써 상기 장소에 얇은 수분층을 형성시켜서 물이끼 습원의 형성을 실현할 수 있다. 물이끼 재배에 의한 물이끼의 수확이나 이산화탄소의 고정은 물론이고, 여름의 옥상부의 온도 상승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물이끼 뿐 만 아니라 고층 습원 특유의 식물, 예를 들면 끈끈이주걱, 덩굴월귤, 친그르마(Geum pentapetalum), 히나자크라(Primula japonica) 등의 양생을 물이끼가 생성하는 장소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필시 생성 물이끼에 유래하는 펄믹산이나 휴믹산 등의 산성물질의 영향에 의해 유수부에서의 위글러 발생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빌딩의 옥상 등에서 "재치"하는 형태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4와 같은 물이끼 재배용의 인공 포장을 사용하는 형태가 전형적 형태의 하나이다.
도 14의 인공 포장(60)에 있어서는 ⅰ) 바닥부(611)에 물을 차단하는 수단이 설치되고 측부(612)가 물이 들어가는 수단인 통수구(613)가 설치된 부재로 구성되고, 또한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입체영역 내에 대수재(帶水材)인 자갈(614)이 배치되고, 대수부(61)와, ⅱ)물(62)이 대수부(61)의 측부의 전부 또는 일부와 접촉하고, 이 측부에 설비된 통수구(613)를 통하여 물(62)이 대수부(61)에 대하여 침윤하도록 물(62)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 유수부(63)가 설치되어 있다. 물(62)의 유입에 의해 언제나 자갈(614)은 대수(帶水)되도록 또한 자갈(614) 위에는 물(62)이 덮지 않도록 대수부(61)와 유수부(63)의 수위는 수위 센서 등으로 조절되어 있다. 또한 인공포장(60)을 설치 장소에서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한 높이의 조정 기구(예를 들면 유수부(63)의 바닥면의 사각구석에 각각 독립하여 높이를 조정 가능한 다리 등)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인공포장(60)에서의 생장 물이끼를 증식하는 장소로서의 평면은 자갈(614)의 상면 부분이다. 또한 유수부(63)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콘크리트, 플라스틱, 목재, 돌(인공대리석 등) 등으로 넓게 예시 가능한데, 특히 FRP, GMT 등의 유리섬유 등으로 강화된 플라스틱이 경량으로 깨지기 어려워 성형가공에도 용이하고 바람직하다.
이 인공포장(60)의 자갈(614) 중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물이끼 재배기를 생장 물이끼 부분이 노출되도록, 예를 들면 615로 나타낸 부분에 매워 넣고, 또한 재치함으로써 본 재배 방법 또는 본 재배 시스템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인공포장(60)의 대수부(61)를 제외한 유수부(63)에 물(62)을 저장하여 그 안에 각종 본 물이끼 재배기(예를 들면 20A, 20B, 25, 30A, 30B, 30C, 30D)를 재치하고 물(62)의 수위를 관리함으로써 본 재배 방법 또는 본 재배 시스템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생장 물이끼가 증식하는 장소로서 그 개구부와 연속한 평면(6610)이 형성되고, 또한 바닥에 관통구(6611)가 형성된 오목 구조물(661)의 바닥부에 투수재인 자갈 등의 무기 미세물(662)을 재치하고, 그 위에 제 1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663)를 끼워 넣은 오목 구조물(661)을 기물로서 사용한 본 물이끼 재배기(66)를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로써 물(62)중에 재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도 15의 (1) : 종단면도, 이 형태에서는 무기 미세물(662)은 제외해도 된다]. 또한 도 15의 (2)와 같이 바닥에 복수의 관통구(6611')가 설치된 상기 오목 구조물(661)의 바닥부에 건조 물이끼(664)를 배치하고, 그 위에 줄기부를 덩어리진 상태로 한 생장 물이끼(67)와 그 줄기부(671)를 끼워 넣어 이루어진 본 물이끼 재배기(68)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3)(종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구조물(661)을 복수 설치한 멀티타입의 오목구조물(661')로 할 수도 있다. 멀티타입 오목구조물(661')에 있어서는 각각의 오목부(661)끼리는 근접하고 있는 것보다도 각각의 오목부(661)의 개구부 끼리를 연결하고, 생장 물이끼가 증식하는 장소로서의 평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각각의 오목구조물(661)에 있어서 도 15의 (1) 또는 (2)의 본 물이끼 재배기와 같은 무기 미세물(662)과 제 1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663)[도 15의 (1)에 준하는 : 제 15의 (3)에서 미도시], 또는 건조 물이끼(664)와 생장 물이끼(67)와 그 줄기부(671)[도 15의 (2)에 준한다] 등을 배치함으로써 생장 물이끼의 재배기점을 복수로 갖는 멀티타입의 본 물이끼 재배기(69)가 제공된다. 도 15의 (3)에서는 이 멀티 타입의 본 물이끼 재배기(69)의 취급을 시간을 따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661-1은 오목부에 건조 물이끼(664)를 충전하는 시점을 나타내고, 661-2, 3은 그 위에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671)를 덩어리진 상태로 생장점을 위로 향하게 배치하는 시점을 나타내고, 661-4, 5는 생장 물이끼의 양생을 수행함으로써 생장 물이끼(67)가 신장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b) 휴경전에서의 사용
이 형태는 농업진흥의 일환으로서 휴경전을 물이끼 습원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분의 공급은 본래 수전(水田)에 이용되는 수로를 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휴경전(600)에 도 14에 나타낸 바와 마찬가지의 인공포장(60)을 구축하고, 유수부(63)의 물은 수문(631)이 설치되어 있는 저장 연못(632)이 수원의 수전용의 용수로(633)로부터 물을 끌어낼 수 있다(도 16 : 종단면도).
c) 실내에서의 사용
물이끼에 필요한 광합성량이 확보 가능한 일조 등의 광조건 하라면 본 재배 방법 또는 본 재배 시스템을 실내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실내에서는 본 물이끼 재배기에 인테리어로서의 패션성이 많이 요구되고, 예를 들면 본 물이끼 재배기(30C)와 같은, 목적하는 디자인의 기물을 사용한 본 물이끼 재배기를 이용하여 비교적 소규모로 본 재배방법 또는 본 재배 시스템을 수행하는 것이 상정된다. 또한 실내에서도 상기 광조건이 확보되는 한은 상술한 옥상 습원과 같은 형태를 수행할 수 있다.
d) 원습원의 복원을 위한 사용
근래는 많은 고층 습원이, 고층 습원에 비하면 영속성에 있어서 문제가 있는 중층 습원이나 저층 습원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습원 자체가 급격히 건조화 되어 없어진다는 것도 보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원습원의 복원을 위하여 본 재배 방법 또는 본 재배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건조화한 원습원에 도 13의 (1)∼(4)와 같은 형태의 시공을 설비함으로써 지하로 내려간 대수층의 물을 건조 물이끼의 양수력으로 상부의 생장 물이끼로 공급하고 이에 의해 물이끼가 양생되어 물이끼가 번무하는 고층 습원을 재생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대수층이 건조 물이끼의 양수력으로는 양수하는 것이 어려울 정도 후퇴되어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도 16의 저수 연못(632)과 같은 급수원을 확보하고 그 물을 이용하여 물이끼의 양생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2)본 물이끼 재배기를 유수부의 바닥보다도 위에 배치함으로써 본 재배 방법과 본 재배 시스템을 수행하는 형태
이 형태는 유수부의 물과 1개 이상 본 물이끼 재배기에 있어서의 생장 물이끼의 노출부분과 다른 부분과의 접촉이 물이끼 재배기를 유수부의 바닥보다도 위에 배치하는 것이 할 수 있는 기구에 의한 배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재배 방법 또는 본 재배 시스템의 형태이다.
이 형태는 유수부를 어느 정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경우에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물이끼 재배기를 유수부의 바닥부보다도 위에 배치할 수 있는 기구(이하, 현수기구라고 한다)는 물이끼 재배부를 현수력 등에 의해 유수부의 바닥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기구이다.
도 17(종단면도)에 있어서 현수기구(71)는 본 물이끼 재배기(72)의 덩어리진 상태의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가 존재하는 부분(711)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감입구(712)가 설치되고, 또한 원통형상의 유수부(73)의 개구부 근방의 테두리에 끼워 넣고 현수기구(71)와 유수부(73)를 끼워 부착할 수 있는 감착기구(713)가 설치되어 있는 뚜껑 형태의 부재이다[도 17의 (1)]. 이 현수장치(71)에 설치된 평면(710)이 생장 물이끼(72)가 증식하는 장소로서의 평면에 해당한다. 도 17의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워 넣구(712)에 본 물이끼 재배기(72)의 덩어리진 상태의 생장 물이끼가 존재하는 부분(711)을 끼워 넣은 현수기구(71)를 물(74)이 들어있는 유수부(73)의 개구부에 끼워 부착하여 본 물이끼 재배기(72)를 유수부(73)에 대하여 현수한 상태로 물(74)과 줄기부에 해당하는 부분(711)을 접촉시킴으로써 본 물이끼 재배기(72)에서 생장 물이끼의 양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 형태의 경우, 줄기부에 해당하는 부분(711)를 예를 들면 도 17의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철망형 부재(713)에 끼워 넣어, 도 17의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형화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17의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을 갖는 원통형 부재(714)로 끼워 넣고, 도 17의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현수기구도 예를 들면 물 빼는 것과 가스 교환의 목적으로 작은 구멍 (714)을 설치할 수 있고, 외측에 볼록부(715)를 설치할 수도 있다[도 18의 (1) 현수기구(71A): 종단면도]. 또한 감입구 (712)에서 망형상 부재 등의 투수부재 제의 봉투형상 부재(716)를 설치할 수 있다[도 18의 (2)의 현수기구(71B) : 종단면도]. 이 봉투형상 부재(716)의 바닥부에 건조 물이끼(717)를 넣어, 이것을 정형화하고 줄기가 덩어리진 상태로 생장 물이끼(75)를 그 위에 접촉하도록 끼워 넣어 상기의 도 17에 나타낸 영역에 생장 물이끼(75)를 양생할 수 있다[도 18의 (3):종단면도]. 또한 감입구를 하나의 현수기구에 복수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의 (4)는 물(74')을 넣는 상자형의 수조(713')의 테두리에 끼워 넣어 고정이 가능한 복수의 끼워 넣구(712')와 작은 구멍(718')을 설치한 뚜껑형의 현수기구(71')을 수조(713')의 테두리에 끼워 넣어 고정하고, 각 끼워 넣구(712')에는 각각 본 물이끼 재배기(72')를 상기 요령으로 끼워 넣고 각 본 물이끼 재배기(72') 끼리의 사이를 자갈(75)로 매운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자갈(75)을 배치한 평면(750)이 생장 물이끼(72')가 증식하는 장소로서의 평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본 형태에 있어서도 복수의 물이끼 재배기를 양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수하는" 형태의 본 재배 방법이나 본 재배 시스템은 유수부의 물의 증산을, 뚜껑과 같은 밀폐성을 주는 현수기구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형태는 상기의 a) 옥상에서의 사용, b) 실내에서의 사용, 및 c) 경사ㆍ벽면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a) 옥상에서의 사용과, b) 실내에서의 사용에 관해서는 상기와 같은 형태의 물이끼 재배 방법 또는 물이끼 재배 시스템을 적절한 조건하에서, 옥상이나 실내에서 수행함으로써 물이끼의 양생을 수행할 수 있다.
c) 경사ㆍ벽면에서의 사용은 예를 들면 도 22(종단면도)에 있어서 경사면(76)상에 계단 형상으로 물이끼 재배기(761)가 현수부재(762)에 의해 유수부(763)에 현수되고, 각 유수부(763)에는 급수 파이프(764)에 의해 순차 급수가 가능한 상태가 되는 형태로 수행된다. 또한 남은 물은 현수부재(762)에 설치되어 있는 작은 구멍(미도시)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3) 본 물이끼 재배기를 부력에 의해 유수부의 수면 근방에 부상시킴으로써 본 재배 방법과 본 재배 시스템을 수행하는 형태
이 형태는 유수부의 물과 1개 이상의 본 물이끼 재배기에서의 생장 물이끼의 노출부분과 다른 부분과의 접촉이 본 물이끼 재배기를 부력에 의해 수면근방으로 부상시킬 수 있는 기구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재배 방법 또는 본 재배 시스템이다.
"부력에 의해 수면 근방에 부상시킬 수 있는 기구"는 물보다도 비중이 작은 소재나 기구를 이용한 기구가 바람직하다. 소재로서는 발포 스티롤, 목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기구로서는 뜨는 공, 뜨는 고리 등의 공기 등의, 가스를 대량으로 함유하는 기구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의 (1)(종단면도)은 물(81)을 가득히 채워 배수구(821)가 부착된 수조(82) 안에 발포 스티롤제의 외틀(831)과 망형상체제의 바닥부(832)가 설치된 저비중의 용기(83)의 바닥부(832)상에 본 물이끼 재배기(84)를 다수 설치한 것을 정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저비중 용기(83)는 그 물에 대한 부력에 의해 물(81)의 수면에서 부상하고 있어 본 물이끼 재배기(84)의 잎부와 가지부 근방은 물(81)에 덮히지 않도록 줄기부에 해당하는 부분 만 수중에 침수된다. 이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물이끼 재배기(84)에서의 생장 물이끼의 양생을 수행할 수 있다. 외틀(831)의 상면이 본 물이끼 재배기(84)에서의 생장 물이끼를 증식시키는 장소로서의 평면에 해당한다. 또한 저비중 용기 (83)의 부력이 부족한 경우는 필요에 따라서 발포 스티롤을 부가 가능하게 해 두는(8311)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포 스티롤 대신해서 또는 조합시켜서, 뜨는 공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0의 (2)와 같은 발포 스티롤판(85)에 복수의 관통구(851)를 설치하여 여기에 본 물이끼 재배기(84)를 끼워 넣어 이 물이끼의 가지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물(81)에 접촉시켜서 본 물이끼 재배기의 생장 물이끼를 양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형태에서 발포 스티롤판(85)의 상면이 본 물이끼 재배기(84)에서의 생장물이끼를 증식시키는 장소로서의 평면에 해당한다.
이 "부상" 형태의 본 재배 방법이나 본 재배 시스템은 상기의 a)옥상에서의 사용, b)실내에서의 사용 및 c)댐 호수면(인공 호수면)이나 저수지면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a)옥상에서의 사용과, b)실내에서의 사용에 관해서는 이 형태의 물이끼 재배 방법, 또는 물이끼 재배 시스탬을 적절한 조건하에서, 옥상이나 실내에서 수행함으로써 물이끼를 양생할 수 있다. 특히 이 형태를 비교적 소규모로 수행하는 경우는, 상기의 수조와 발포 스티롤의 디자인을 궁리함으로써 참신한 디자인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인테리어용도로서도 유망하다.
또한 c) 댐 호수면(인조 호수면)이나 저수지면에서의 사용은 이 형태의 가장 유망한 사용 형태의 하나이다. 즉 댐 호수면(인공 호수면)이나 저수지면에서 상기 형태의 사용을 수행함으로써 호수면 등을 물이끼의 부유 포장으로 피복하여 수분의 증발을 저하시킬 수 있어, 물이끼의 재배 자체를 수분의 보급 없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물이끼의 재배에 의해 호수가 산성을 띠고, 부영양화 등에 의한 유해 플랑크톤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도 21은 이 "부상"형태의 대규모 실시형태를 개념도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 21의 (1)은 댐 호수 등(81)에서의 부상 단위(82)의 확대 개념도이고, 도 21의 (2)는 전체 개념도이다. 뗏목형상의 부상단위(82A,B,C,D…)는 나무틀(821)로 단락되어 보강되어 있고, 각각의 블록(822A,B,C…)의 바닥부는 망형상체(미도시)가 견고하게 당겨져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 블록 상에 또한 바닥부에 망 형상체가 당겨져 있는, 나무나 발포 스티롤 등의 경량 소재제의 틀 단위(823A,B…) 중에 본 물이끼 재배기(824)가 성장점 측을 위로하여 재치되어 있고, 이것이 각 블록(822A,B,C…)상에 핀(825)으로 계지되면서 재치되어 있다. 부상단위(82A,B,C…)는 호숫가와 와이어 로프(83A,B,C…)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이들의 와이어 로프의 부상단위 측의 연속부(831)를 지나 선단에는 뜨는 공(832)이 부가되어 있어, 부상단위(82)의 부력의 향상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부상단위(82)끼리는 뗏목형상의 통로(833)로 연결되어 있어, 작업자 등이 뗏목 사이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뗏목 형상의 부상단위(82)가 호수물(84) 위로 뜨는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도 21에 나타내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댐 호수(81)상에서 호수물에 본 물이끼 재배기(824)에서의 물이끼를 양생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이끼의 재배와 동시에 호수물의 증산 억제와 호수물 환경의 보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22는 도 12의 (3)에서 설명한 본 물이끼 재배기(472)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물이끼 재배기(472)는 재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물 위에 부상시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치하는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도 22의 (1)(횡단면도)과 같은 복수의 본 물이끼 재배기(472)의 바닥부 및 복수의 본 물이끼 재배기(472)(평면(4720)이 물이끼재배 단위(20B)의 생장 물이끼가 증식하는 장소로서의 평면에 해당한다)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을, 방수씰(911)로 덮어서 고정하고(특히 바닥부는 접착제(912)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측면의 가장 외측에는 화장 타일, 블록, 벽돌 등의 장식부재(913)를 점착 고정함으로써 측면 외견을 보강함으로써, 도 22의 (2)(상면도)와 같은 구획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22의 (2)에 있어서 예를 들면 방수씰(911)과 장식부재(913)로 이루어지는 일정의 틀(91)내에, 한 개의 본 물이끼 재배기(20B)가 끼워 넣어진 본 물이끼 재배기(472)와 복수의 본 물이끼 재배기(20B)가 끼워 넣어진 본 물이끼 재배기(472')와 평판석(473)을 조합하여 끼워 넣음으로써 다채로운 형태로 물이끼가 노출되는 간단하고 용이한 형태의 물이끼 인공습원(914)을 구성할 수 있다. 물이끼 인공습원(914)에 있어서는 틀(91)내에 물을 유통시켜야 하는데, 이 틀(91)내의 한 구획으로부터 물을 도입하고 다른 구획의 배수구로부터 물을 유출시킴으로써 목적하는 물의 유통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즉 틀(91) 내의 한 구획으로부터 유입된 물은 개개의 물이끼 재배기(472) 또는 (472')의 바닥부의 홈을 통하여 바닥부 전면으로 유통되고, 그 과정에서 개개의 본 물이끼 재배기(20B)로 물이 공급되어, 해당 재배기(20B)의 생장 물이끼를 양생할 수 있다.
부유시키는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도 22의 (3)과 같이 수조(921)에 물(922)을 유통시켜서 일정 수위를 유지하고 물이끼 재배기(472) 등(472'이어도 된다)을 그 위로 부상시킴으로써 개개의 물이끼 재배기(472)등의 생장 물이끼를 양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런 형태의 경우 개개의 물이끼 재배기(572)등을 끈 형상 부재(923)로 연결하여 수조(921)의 고정부와 연결하여 계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3은 물에 부상시키는 기물을 이용한 본 물이끼 재배기의 다른 형태(93)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의 (1)[종단면도(Ⅰ-Ⅰ')]는 소재로서 발포 스티롤 등의 경량부재를 이용한 구형상 물질의 일면을 절단하여 바닥면(9311)을 형성하고, 해당 바닥면(9311)과 이것에 대하는 꼭지부와의 사이에 관통공(9312)을 설치한 기물(931)에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등으로 피복된 금속제의 선형상 부재의 일단을 손 모양으로 가공한 손형상 부재(9313)의 타단을, 기물(931)의 측면으로부터 관통공(9312)을 향하여 찔러 넣어 관통시켜 관통공(9312) 안에서 계지용 기구(93131)로 계지함으로써, 기물(931)에 팔 형상의 장식이 설비되어 이루어진 2개의 팔부착 기물(932)을 나타내고 있다. 기물(931)의 표면을 구성하는 곡면이 본 물이끼 재배기(20B)의 생장 물이끼가 증식하는 장소로서의 곡면에 해당한다. 이어서 도 23의 (2)[종단면도(Ⅱ-Ⅱ'-Ⅱ")]에서 팔부착 기물(932) 상에 상술한 "사후적으로 경화 또는 고화하기 전은 점조한 액체소재"를 사용하는 표면 장식법에 의해 목적하는 장식을 설비하고(9321, 9322, 9323), 또는 눈(9324)이나 입(9325)을 닮은 부재를 얼굴 면에 해당하는 부분(9323)에 고정하고, 또한 관통공(9312)의 바닥면을 망형상 부재(9326)로 막아서 관통공(9312)의 상측 개구부로부터 본 물이끼 재배기(20B)를 끼워 넣고 장식하고, 또한 물에 부상하는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93)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본 물이끼 재배기(93)는 도 23의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조(9331)내의 물(9332)상에 밸런스 좋게 부상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상기 2개의 팔형상 부재(9313)의 위치를 조절하고 또한 관통공(9312) 내에 밸란스 조정용 부재(9333)를 필요에 맞게 조합하는 등의 수상 밸런스 조절 수단을 설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생장 물이끼를 양생하는 것이 가능한 환경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록한다.
[제 1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
<제조>
(1) 낡은 신문지4g을 500㎖의 물 중에 잘게 잘라서 충분하게 혼합하고 이것과 시판의 원예용 건조 물이끼(보일 처리 끝낸 것) 100g(건조질량)을 혼합시켜서 이것에 3리터의 물을 첨가하여 건조 물이끼를 함유하는 분쇄지의 함수조성물을 얻었다.
(2)이 함수조성물을 1㎏정도 사용하여 도 3의 (1)∼(5)에 나타낸 요령으로, 높이 약 8㎝, 바닥면의 직경이 약 15㎝의 원주의 한 바닥면의 중앙에 직경 3㎝, 깊이 약 5㎝의 오목부가 설치된 건조 물이끼 정형물을 제조했다. 이 건조 물이끼 정형물의 오목부에 후술하는 대규모 재배에 의해 얻어진 오오물이끼(생장물이끼)를 가지부와 잎부 이외에 줄기부를 5㎝ 정도로 컷트한 것을 건조질량에서 약 2g 정도 해당, 가지부 만을 비틀듯이 압축하면서 밀어 넣어 1개의 제 1형태의 물이끼 재배기를 얻었다.
이 제 1형태의 물이끼 재배기 1개를 물을 넣은 세면기 안에 재치한 상태를 도 24에 나타냈다.
<생장 시험>
(1) 상기의 (2)의 요령으로 재조한 제 1형태의 물이끼 재배기를 2개, 측부에 다수의 구멍이 열려있는 플라스틱 용기 상에 재치하고, 이것을 이 플라스틱 용기보다도 큰 중접시 형상의 용기 안에 재치했다. 정확히 이것을 2단위의 본 물이끼 재배기의 건조 물이끼 정형물이 덮을 정도로 자갈을 플라스틱 용기 안에 넣고, 또한 이 플라스틱 용기 외측의 중 접시 형상의 용기 안에 물을 넣고, 항상 수심이 2∼5㎝정도가 되도록 관리했다(여분의 물은 드레인을 설치하여 배출되도록 했다. 이에 의해 상기의 물이끼 재배기의 하부 2∼5㎝는 항상 물과 접촉하지만 이 이상, 수위는 올라가지 않도록 유지된다). 이 상태로 6∼8월의 3개월 간 동경의 옥상에 방치한 결과, 도 25에 나타낸 초기상태로부터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이끼가 왕성하게 생장했다.
또한 이 실험과 병행하여 상기 플라스틱 용기 안에 건조 물이끼를 높이 6㎝정도가 되도록 깔고 그 위에 얇게 모래를 깔고, 상기와 같은 생장 물이끼를 건조질량으로 약 8g 상당(상기 실시예의 약 4배), 식물체끼리가 겹치도록 눕게 배치하고 상기와 같은 환경에 두었다. 그러나 어느 정도의 물이끼의 생장은 확인되었는데 상기 실시에와 비교하면 분명하게 완만한 생장이었다.
이 생장 정도의 차이는 상기 실시예가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가 압축된 상태에서 덩어리지고, 또한 잎부 및 /또는 가지부가 부르트 형태로 한 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2)다수의 직경이 1.5㎝정도의 작은 관통구를 설치한 두께가 3㎝정도, 직경이 15㎝정도의 발포 스티롤제의 원판형상의 경량기반에서 작은 관통구의 하부 1㎝정도에 건조 물이끼를 꽉채워 넣고, 그 위에 상기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를 2㎝정도 절단하고 덩어리진 상태에서 이들 작은 관통구에 끼워 넣고, 건조 물이끼측(이 측은 철망에 의해 건조 물이끼가 탈락되지 않도록 보강되어 있다)을 하측을 향하여 일조가 좋은 실내의 수조 상에 띄워서 동경에서 6∼9월간 방치했다. 그 결과, 경량기판 상에 물이끼의 잎부와 가지부가 신장하여, 거의 원판 상은 물이끼로 덮어져 있었다(도 27).
[제 2 형태의 물이끼 재배기]
분쇄한 신문지 180g과 토질 미세물 500g[관개 묘상 전용 입상 배양토를 믹서하여 시판의 비 입상 배양토 정도의 입경으로 세밀하게 입화한 것 400g과 점토100g]을 물 3L 중에 함유시켜 교반 혼합하여 3L의 투수조성물의 전구조성물을 얻었다.
이 전구조성물을 형태에 따라 물을 빼고 꼭지부로부터 바닥부를 향하여 직경 5㎝정도의 관통구가 설치되어 있는, 높이 약 12㎝ 바닥 직경 약 15㎝의 호박형으로 하고 형태를 벗긴 후, 건조시켜서 기물의 원형으로 했다. 이 관통구의 바다측 7㎝에 상기 분쇄지와 건조 물이끼를 함유하는 함수조성물을 꽉 채워 넣고 상측에 줄기부 5㎝와 약간의 잎부와 가지부를 동반하여 재배한 생장 물이끼의 가지부를 더어리진 상태로 끼워 넣고 얼굴과 닮은 장식을 하여 제 2 형태의 본 물이끼 재배기를 얻었다. 이것을 세면기 안에 넣고 세면기에 물을 따라 넣고 세면기의 물을 어느 정도 일정 수위로 함으로써 생장 물이끼를 증식시키면서 디자인을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도 28).
[물이끼의 대량 재배]
아키다켄 오가치군의 마을 안의 휴경전, 약 5000평방 메타를 이용하여 오오물이끼의 대량 재배를 실험했다. 즉, 휴경전을 파서 깊이 30㎝정도의 굴을 만들었다. 굴의 바닥부를 물 불투과층으로 하기 위하여 점토로 코팅했다. 바닥부 근방에는 용수로로부터 당겨온 수로를 설치하고 항상 용수로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형태로 함과 동시에 바닥부로부터 20㎝정도 위에는 배수구를 설치하고, 수위가 이것보다도 올라가지 않도록 했다. 이와 같은 설비를 설치한 후에 굴 안에 자갈을 깔고 물이끼 재배용 필드를 제조했다. 이어서 이 필트 상에 직경 5㎝ 깊이 15㎝정도의 구멍을 파고, 그 안에 건조 물이끼를 구멍의 바닥부로부터 10㎝정도의 분량으로 꽉 넣었다. 그 위로부터 야생의 오오물이끼를 줄기부가 약 5㎝ 확보되도록 베어 내어, 이 줄기부를 다발로 하여 구멍 안에 끼워 넣었다. 이와 같은 본 물이끼 재배기를 필드 위에 10㎝ 사방으로 1단위 정도 설치하고 필드를 방치했다.
그 결과 오오물이끼는 필드 면에 번무하고[도 29의 (1)], 6년간에 약 30㎝나 신장했다[도 29의 (2)].
본 발명에 의해 물이끼의 효율적 또는 용이한 재배가 가능하고, 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물이끼 재배기 또한 해당 재배기를 사용하는 물이끼의 재배 시스템이 제공된다.

Claims (24)

  1. 정형화되어 있는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에, 덩어리진 상태의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의 1단위 이상이, 상기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에 접촉되고, 또한 상기 생장 물이끼의 생장점이 상기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로부터 실질적으로 노출되고, 또한 상기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이 유수부의 물과 접촉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물이끼 재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이 적어도 종이섬유를 함유하는 연결 성분으로 정형화되어 있는 물이끼 재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정형화되어 있는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에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에 덩어리진 상태의 생장 물이끼의 줄기부의 1단위 이상이 압축된 상태로 끼워 넣어지고, 또한 이 생장 물이끼의 생장점이 상기 건조 물이끼 집합물의 오목부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물이끼 재배기.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을 기물 오목부에 끼워 넣음으로써 정형화되어 있는 물이끼 재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기물의 오목부가 상기 기물을 관통하는 관통구가 있는 물이끼 재배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정형화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이 재배기의 바닥에서 실질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물이끼 재배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 기재의 물이끼 재배기에 있어서의 생장 물이끼의 생장점을, 유수부의 수면보다도 높은 위치로 유지하면서 덩어리진 상태의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에 상기 유수부의 물을 접촉 침윤시켜, 상기 침윤수를 상기 생장 물이끼에 공급함으로써 생장 물이끼의 양생을 수행하는 물이끼 재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유수부의 물과 덩어리진 상태의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과의 접촉이 유수부에서의 물이끼 재배기의 재치에 의해 수행되는 물이끼 재배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유수부의 물과 덩어리진 상태의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과의 접촉이 물이끼 재배기를 유수부의 바닥부 보다도 위에 배치할 수 있는 기구에 의한 배치로 수행되는 물이끼 재배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유수부의 물과 덩어리진 상태의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과의 접촉이 물이끼 재배기를 부력에 의해 수면 근방에 부상시킬 수 있는 기구에 의해 수행되는 물이끼 재배 시스템.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의 오목부 또는 기물의 오목부의 생장 물이끼 측의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연속한 평면 및/또는 곡면을 설치하여 상기 평면 및/또는 곡면 상에서 생장 물이끼의 증식을 수행하는 물이끼 재배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의 오목부 또는 기물의 오목부의 생장 물이끼 측의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연속한 평면 및/또는 곡면에 있어서 상기 평면 및/또는 곡면 상에 침윤수를 공급 가능한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물이끼 재배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평면 및/또는 곡면 상에 침윤수를 공급 가능한 기구가 흡수재가 충전된 상기 평면 및/또는 곡면을 구성하는 부재의 상면과 바닥면을 연속하는 관통구인 물이끼 재배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흡수재가 건조 물이끼 집합체인 물이끼 재배 시스템.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의 오목부 또는 기물의 오목부의 생장 물이끼 측의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연속한 평면 및/또는 곡면의 경사가 상기 개구부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90°∼+10°의 범위인 물이끼 재배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의 오목부 또는 기물의 오목부의 생장 물이끼 측의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연속한 평면 및/또는 곡면의 경사가 상기 개구부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0°의 평면인 물이끼 재배 시스템.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의 오목부 또는 기물의 오목부의 생장 물이끼 측의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연속한 평면 및/또는 곡면이 사후적으로 증설 가능한 평면 및/또는 곡면인 물이끼 재배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사후적으로 증설 가능한 평면 및/또는 곡면의 증설용 부재가 증설 전의 평면 및/또는 곡면을 형성하는 부재의 외연부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평면 및/또는 곡면을 증설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부재인 물이끼 재배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사후적으로 증설 가능한 평면 및/또는 곡면의 증설용 부재가 흡수재가 충전된 상면과 바닥면을 연결하는 관통구가 설치되어 있는 물이끼 재배 시스템.
  20. 제 11 항 내지 제 19 항 중의 어느 한 기재의 물이끼 재배 시스템에 있어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의 오목부 또는 기물의 오목부의 생장 물이끼 측의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연속한 평면 및/또는 곡면의 표면이 생물의 영양원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물이끼 재배 시스템.
  21. 제 11 항 내지 제 2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의 오목부 또는 기물의 오목부의 생장 물이끼 측의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연속한 평면 및/또는 곡면의 표면이 물 불투과성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물이끼 재배 시스템.
  22. 제 11 항 기재의 물이끼 재배 시스템에서의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의 오목부 또는 기물의 오목부의 생장 물이끼 측의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연속한 평면 및/또는 곡면을 구성하는 부재의 외연부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평면 및/또는 곡면과 함께 또한 연속한 평면 및/또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평면 및/또는 곡면의 증설용 부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증설용 부재에서의 평면 및/또는 곡면을 구성하는 상면과 그 바닥면을 연속하는 관통구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관통구에 흡수재가 충전되어 있는 증설용 부재.
  24. 제 23 항에 있어서,
    흡수재가 건조 물이끼의 집합물인 증설용 부재.
KR1020057011481A 2002-12-27 2003-12-26 물이끼 재배기 KR101123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82541 2002-12-27
JPJP-P-2002-00382541 2002-12-27
JPJP-P-2003-00092506 2003-03-28
JP2003092506 2003-03-28
JPJP-P-2003-00361086 2003-10-21
JP2003361086 2003-10-21
PCT/JP2003/016882 WO2004060049A1 (ja) 2002-12-27 2003-12-26 ミズゴケ栽培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197A true KR20050088197A (ko) 2005-09-02
KR101123881B1 KR101123881B1 (ko) 2012-03-23

Family

ID=3271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481A KR101123881B1 (ko) 2002-12-27 2003-12-26 물이끼 재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231451A1 (ko)
EP (1) EP1584228A4 (ko)
JP (1) JP4780560B2 (ko)
KR (1) KR101123881B1 (ko)
AU (1) AU2003292676A1 (ko)
CA (1) CA2511896A1 (ko)
WO (1) WO20040600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577B1 (ko) * 2012-01-30 2013-06-13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물이끼 재배를 위한 인공토양 및 이를 이용한 물이끼의 재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5746B1 (da) * 2002-10-30 2005-02-07 Ellegaard As Apparat til komprimering af vækstmediepotter
US20060032124A1 (en) * 2004-04-14 2006-02-16 Knighton David R Methods of inhibiting microorganism growth using moss
WO2006126578A1 (ja) * 2005-05-24 2006-11-30 Shimura, Mitsuharu コケ植物の固定物
KR20080025082A (ko) * 2005-06-23 2008-03-19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이끼식물 재배기 및 이것을 이용한 이끼식물 등의 양생방법
US9491915B2 (en) * 2009-08-03 2016-11-15 University Of Wyoming Vertical hydroponic plant production apparatus
WO2013036601A1 (en) 2011-09-07 2013-03-14 Embro Corporation Use of moss to reduce disinfection by-products in water treated with disinfectants
US9795809B2 (en) 2013-12-23 2017-10-24 Embro Corporation Use of moss to improve dental health
JP6532278B2 (ja) * 2015-04-27 2019-06-19 鹿島建設株式会社 ミズゴケ湿原再生方法及び再生基盤
SE542219C2 (en) * 2016-10-13 2020-03-17 Nordgroena Ab Decorative element and aggregate with a vegetative filling
FI12369U1 (fi) * 2018-11-09 2019-05-15 Suomen Puistopuutarhurit Oy Tasapotentiaalikasvualusta
US11832559B2 (en) 2020-01-27 2023-12-05 Kruger Inc. Cellulose filament medium for growing plant seedlings
CN111528187B (zh) * 2020-05-27 2024-06-18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基于拖曳动力的南极磷虾拖网连续捕捞渔获辅助输送装置
CN112385546B (zh) * 2020-12-08 2023-04-07 华东师范大学 一种促进泥炭藓假根生长的方法
CN113455365B (zh) * 2021-08-02 2022-05-31 江西省超级水稻研究发展中心(江西省农科院海南水稻育种中心) 一种普通野生稻种茎盆栽保存方法
KR102420182B1 (ko) 2021-10-19 2022-07-13 주식회사 인자락 수경방식 실내 이끼 재배장치
KR102611575B1 (ko) * 2021-11-23 2023-12-07 유태욱 생수태 재배용 배지
CN114868641B (zh) * 2022-03-18 2024-05-24 华东师范大学 一种泥炭藓的种植方法
KR102580907B1 (ko) 2022-09-30 2023-09-21 주식회사 인자락 이끼의 석경 재배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1680A (en) * 1952-12-05 1959-04-14 Spengler Method of making plant pots
US2785969A (en) * 1953-11-13 1957-03-19 Ferro Corp Seed planting package
IE36773B1 (en) * 1972-02-02 1977-02-16 Odd Melvold Expandable shape-retaining peat moss briquette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4777763A (en) * 1986-06-17 1988-10-18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Plant growing medium
JPH0710524Y2 (ja) * 1989-12-06 1995-03-08 光洋電子工業株式会社 表面シートのはがれ防止機構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0152726A (ja) * 1998-11-20 2000-06-06 Bridgestone Corp 浮体式植生基盤
US20040067325A1 (en) * 2000-11-27 2004-04-08 Minoru Takeda Fixed moss plant product
JP3079482U (ja) * 2001-02-07 2001-08-17 幸 田辺 コケ植物の生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577B1 (ko) * 2012-01-30 2013-06-13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물이끼 재배를 위한 인공토양 및 이를 이용한 물이끼의 재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84228A1 (en) 2005-10-12
US20060231451A1 (en) 2006-10-19
WO2004060049A1 (ja) 2004-07-22
KR101123881B1 (ko) 2012-03-23
AU2003292676A1 (en) 2004-07-29
JPWO2004060049A1 (ja) 2006-05-11
CA2511896A1 (en) 2004-07-22
EP1584228A4 (en) 2008-05-21
JP4780560B2 (ja)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881B1 (ko) 물이끼 재배기
CN105815066B (zh) 一种植物种植保墒节水速生方法
JP6671707B2 (ja) 無土壌法面の緑化方法
JP4947377B2 (ja) コケ植物等の栽培方法
CN102296567B (zh) 一种针对河岸带护坡和面源污染控制的软隔离带方法
CN208783309U (zh) 一种防冲刷的沉水植被毯
CN108668880A (zh) 一种半潜式海草培育装置及培育方法
CN109511422A (zh) 一种经济环保型沉水植物苦草栽培藤毡及栽种方法
CN108929703A (zh) 一种沙漠原位微生物覆膜层的制备方法
CN102276066A (zh) 悬浮式组合生态滤床
CN202465398U (zh) 悬浮式组合生态滤床
JPWO2002041688A1 (ja) コケ植物の固定物
CN1098629C (zh) 一种栽培作物的方法
US20150216129A1 (en) Planting spon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8156984A (zh) 一种吊丝竹的容器育苗方法
CN208733605U (zh) 沙漠生态砖
JP2005270016A (ja) 水中植物の養生方法
JP4636455B2 (ja) ミズゴケ栽培基及びこれを用いた植物の養生方法
CN114145142B (zh) 一种丛生竹工厂化扦插方法
JP2671106B2 (ja) 藻類の養殖装置
JP2010166908A (ja) 植物育成基盤材、植物育成基盤土壌及び多層式培養土
CN206506925U (zh) 一种沙地植物培养用营养碗
KR100370837B1 (ko) 목질배지가충진된초화및엽채류목분재배용기와양액재배용고형배지
WO2005081641A2 (ja) 水の浄化方法および浄化システム
JP2005245408A (ja) 網状構造体を培地として選択された苔の固定化工法と緑化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