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7940A -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 - Google Patents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7940A
KR20050087940A KR1020040013659A KR20040013659A KR20050087940A KR 20050087940 A KR20050087940 A KR 20050087940A KR 1020040013659 A KR1020040013659 A KR 1020040013659A KR 20040013659 A KR20040013659 A KR 20040013659A KR 20050087940 A KR20050087940 A KR 20050087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se member
elastic means
support portion
wate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8336B1 (ko
Inventor
박광형
Original Assignee
(주)새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우리 filed Critical (주)새우리
Priority to KR102004001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336B1/ko
Publication of KR20050087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E02B8/045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automatically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는 보에 형성된 통수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힌지수단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를 가지며 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통수로 측으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상기 통수로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한 수문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부를 수압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켜 통수로를 열기 위한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floodgate of water pressure type and a water-storage dam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댐이나 보에 설치되어 수위에 연동하여 통수로를 개폐하는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洑)는 강이나 하천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서 강이나 하천에 소정의 수위를 유지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가 설치되어 있는 강이나 하천은, 평상 시 자연생태 환경 및 수자원의 사용 가능 환경을 조성하여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보는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통수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통수구에는 이를 개폐를 하는 수문(水門)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문장치는 유입되는 유량에 의하여 통수구를 개폐함으로써 수위의 제어와 어도 형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와 같은 수문 장치와 보는 수량이 많아 물이 보를 넘치는 경우에는 어류의 유동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나 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보를 경계로 하여 어류의 이동을 차단시키는 등, 환경 오염을 가속화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댐 또는 보에 설치되는 수문의 일예가 등록 실용신안 20-28665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수문은 물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강되는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부재와 함께 승강되어 물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물을 저수하는 보부재와, 상기 부력부재 및 보부재의 승하강 유동을 안내하도록 하천의 양측에 구비되어 소정 높이를 가진 수중보 지지대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문은 부력부재에 의해 보부재가 승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작동에 따른 신뢰성이 저하된다.
등록 실용신안 제 20-0338295호에는 어도가 구비된 자동수중보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자동 수중보는 수문의 단부측이 수중보에 힌지 연결되고 이 힌지연결된 수문을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압 또는 고압실린더를 가진 수문구동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수문은 이를 작동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유지 보수가 어렵다.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185608호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문의 몸체 내부에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감속기를 설치하여 이 모터를 작동시킬 때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피니언 기어가 언체에 체결된 레크기어와 치합 되도록 구성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2002-086322호, 등록 실용신안 20-0337251호, 20-217658호에는 수중보에 설치되는 수문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개시된 수문장치는 수문을 개폐하기 위하여 유압유 또는 공압의 공급으로 작동되는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거나 모터에 의해 구동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에 의해 저장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개폐 가능한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에 의해 저장된 물의 수위가 낮아져 물흐름 차단시 상대적으로 낮아진 수압에 의해 통수로를 열어 어도를 형성하는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수압과 탄성력에 의해 작동되므로 조작이 간편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에 의해 저장된 물의 수위가 높아져 어도의 유속이 빨라질 경우는 어도 좌우측에 설치한 수압식 수문장치에 의해 수량을 조절하므로 어도의 유속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를 이용한 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는 , 보에 형성된 통수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힌지수단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를 가지며 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통수로 측으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상기 통수로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가진 수문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부를 수압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켜 통수로를 열기 위한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재의 지지부에는 도어부재의 열림 각도를 한정하는 각도 한정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로드가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힌지 연결된 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받이와, 상기 지지부와 축받이를 관통하는 힌지 축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힌지 축에 지지되어 양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와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차단부재를 수압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토오션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는
하천을 가로지르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어도를 형성하는 통수로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에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힌지수단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를 가지며 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통수로 측으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상기 통수로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가진 수문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부를 수압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켜 통수로를 열기 위한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제1수문장치와;
상기 통수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보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로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수압에 따라 자동 개폐되며 통수로의 유속을 저감시키기 위해 물의 배출을 단속시키는 제2수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보(100)는 하천을 가로지르는 본체((101)와, 본체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통수로(200)와, 이 통수로(200)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보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가 낮을 시에 어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통수로를 개폐 할 수 있는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인 제1수압식 수문장치(10)와, 상기 통수로(200)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본체(101)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로(300)와, 상기 배수로(300)의 배출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가 높아짐에 따른 수압의 증감에 따라 개폐되는 제2수압식 수문장치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수위가 높아지면 열리고 수위가 낮아지면 닫히는 제1수압식 수문장치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수압식 수문장치(10)는 보(100)에 형성된 통수로(200)의 입구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20)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힌지수단(3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41)를 가지며 이 지지부(41)에 의해 지지되어 통수로 측으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통수로(200)를 차단하는 차단부(42)를 가진 수문(40)과, 상기 베이스부재(20)에 또는 힌지수단(30)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부(42)를 수압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켜 상기 통수로(200)를 여는 제1탄성수단(5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수압식 수문장치(10)를 구성요소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100)에 형성된 통수로(200)는 보(100)의 가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보의 하부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어도(미도시)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수로(200)의 입구 측은 수문의 설치와 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확개부(201)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수로(200)의 형상이나 길이는 보의 특성 및 물의 흐름을 감안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힌지수단(30)은 수문(40)의 지지부(4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수문(40)의 차단부(42)가 통수로(200)의 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재(20)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며 단부에 제1축수부(31a)(32a)가 형성된 지지브라켓(31)(32)과, 제1축수부(31a)(32a)와 상기 수문(40)의 지지부(41)에 형성된 제2축수부(43)에 끼워지는 힌지핀(33)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핀(33)의 단부에는 상기 제1,2축수부(31a,32a)(43)로부터 힌지핀(3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핀(미도시)이 더 구비되거나 힌지핀(33)의 단부가 제1축수부(31a)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통수로(2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수문(4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제1탄성수단(50)은 통수로(200)로 흐르는 물에 의해 수문(40)의 차단부(42)에 작용하는 수압의 작용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력을 제공하여 수문에 수압이 작용하지 않거나 설정된 수압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수문(40)이 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탄성수단(50)은 베이스부재(20)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51)(52)들과 상기 각 브라켓(51)(52)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로드(53a)가 상기 지지부(41)의 단부와 힌지 연결된 실린더(53)들을 포함한다. 브라켓(51)(52)과 실린더(53)의 본체 및 지지부(41)와 실린더 로드(53a)의 결합은 상술한 힌지수단과 같이 핀(54)(55)들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실린더(53)는 별도의 작동유체의 공급 없이 로드가 인출되는 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실린더(53)에 의해 작용하는 탄성력은 수문의 회동에 따른 작용력, 수문에 작용하는 수압 등에 따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탄성수단(5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탄성수단(50)은 상기 베이스부재(20)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단부에 제1축수부(31a)(32a)가 형성된 지지브라켓(31)(32)과, 수문(40)의 지지부(41)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핀(33)에 지지되며 양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20)가 지지부(41)에 설치되는 토오션 스프링(6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탄성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탄성수단(70)은 지지부(41)에 가이드 부재(71)가 힌지 연결되고, 이 가이드 부재(71)의 자유단은 브라켓(51)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1)와 브라켓(51) 사이의 가이드 부재(71)에는 스프링(72)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프링(72)은 수문의 무게, 수압, 수문의 회동력 등을 감안하여 스프링 탄성계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스프링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51)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지지부(41)와 브라켓(5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탄성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수단(30)의 지지부(41)에 베이스부재(20)에 상단부 사이의 일측이 힌지 연결된 링크(81)의 하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상기 링크(81)의 상단부는 베이스 부재(20)에 지지된 실린더(53)의 로드(53a)와 힌지 연결되어 상기 수분을 수압이 작용하는 역방향으로 반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링크(81)의 상단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82)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탄성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수문(40)에 수압이 작용하는 역방향으로 반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지지부(41)에는 수문(40)의 각도를 한정하기 위한 각도 한정수단(9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각도 한정수단은 도 2에 지지된 바와 같이 지지부(41)의 측면에 돌출부(91)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91)에 나사 결합된 스토퍼(92)를 구비한다. 이 각도 한정수단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수문의 회동되는 각도를 한정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9에는 상기 배출구(30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인 제2수압식 수문장치(400)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2수압식 수분장치(400)는 베이스 부재(401)에 힌지수단(40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403a)에 지지되어 상기 배수로(300)의 출구 측을 여닫는 차단부(403b)를 구비한 수문(403)과, 상기 수문(403)의 지지부(403a)와 베이스 부재(401) 사이에 힌지 연결되어 배수로(300)의 배출구 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제2탄성수단(410)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수단(402)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탄성수단(410)은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나 그 작용력의 방향이 다르다. 상기 제2탄성수단(410)의 작용력이 배수로(300)의 배출구 측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통수로를 개폐는 제1수압식 수문장치(10)와는 그 작용력이 반대이다. 즉, 수위가 증가하면 수문에 작용하는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제2탄성수단이 압축되면서 수문은 열리게 되고 수위가 감소하면 제2탄성수단(410)의 작용력에 의해 수문(403)이 닫히게 된다. 이러한 작용력을 제공하는 상기 제 2탄성수단(4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401)와 지지부(403a)에 설치되는 실린더(415)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탄성수단(4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부재(401)에 힌지 연결되며 자유단이 상기 지지부(4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부재(416a)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401)와 지지부(401) 사이의 지지부재(416a) 사이에 스프링(416)이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압식 수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수로(200)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입되는 물의 양이 많아 수위가 올라가는 경우 통수로(200)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이송력 및 수위에 따른 압력이 수문(40)의 차단부(41)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문(40)은 힌지수단(30)의 힌지핀(33)을 중심으로 회동력이 작용하게 되고, 상기 실린더(53)의 로드(53)가 압축되면서 수문(40)이 통수로(200)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류로부터 물의 유입량이 적어 보(100)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떨어져 수문(40)의 차단부(42)의 일부가 수면으로 노출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문(40)의 차단부(42)에 작용하는 압력과 상기 실린더(53)에 의해 수압에 대해 반발하는 탄성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문(40)은 힌지축(33)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열리게 되고, 통수로(200)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게 됨과 아울러 어류가 이동할 수 있는 어도를 형성하게 된다. 즉, 수위가 상승하면 보(100)의 상면으로 물이 넘쳐 어도를 따라 물이 흘러 물고기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물의 수위가 떨어지면 어도가 차단되는데, 상기 통수로(200)가 열림으로써 어도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수문장치(10)에 의해 통수로(200)가 열리는 경우 통수로(20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수위가 높은 경우 상기 배수로(300)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문(403)이 배수로(300)를 통하여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제2탄성수단의 작용력을 극복하게 열리게 된다. 따라서 배수로(300)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고 수위가 낮아짐으로써 통수로(200)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유속을 줄일 수 있게 되며, 나아가서는 어도의 유속을 확보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은 수문에 의한 통수로의 개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40)에 작용하는 수압에 반발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오션 스프링(60) 또는 스프링(72)에 의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작동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81)에 의해 실린더(53)를 보의 상부측에 설치함으로써 물에 의한 실린더(53)의 부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압식 무동력 자동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는 통수로를 통하여 흐르는 물의 유속과 보에 저장된 물의 수위로 인하여 작용되는 수압 및 이에 대해 반반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수단에 의해 통수로를 자동 개폐할 수 있으므로 구동을 위한 동력이나 유압 발생원이 불필요하다. 또한 고수위에는 어도의 좌우측 수분이 열려 어도의 유속을 조절하고 저수위에서는 어도 하단의 통수로가 열림으로써 어도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식 무동력 자동수문장치가 장착된 보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식 무동력 자동수문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수압식 무동력 자동수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시사도,
도 4는 탄성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수압식 무동력 자동수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링크의 단부에 설치되는 탄성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식 무동력 자동수문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8은 보의 배수로 출구측에 설치되는 제2수문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수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 20; 베이스 부재
30; 힌지수단
40; 수문
50; 제1탄성수단

Claims (8)

  1. 보에 형성된 통수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힌지수단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를 가지며 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통수로 측으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상기 통수로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한 수문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부를 수압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켜 통수로를 열기 위한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의 지지부에는 수문의 열림각도를 한정하는 각도 한정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로드가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힌지 연결된 실린더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받이와, 상기 지지부와 축받이를 관통하는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힌지축에 지지되어 양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와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차단부재를 수압이 작용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토오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양단부 사이의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하단부가 지지부에 힌지 연결된 링크와, 상기 링크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를 외측으로 탄서바이어스 시키는 실린더 또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지지부에 가이드 부재가 힌지 연결되고, 이 가이드 부재의 자유단은 브라켓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와 브라켓 사이의 가이드 부재에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
  7. 하천을 가로지르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어도를 형성하는 통수로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에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힌지수단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를 가지며 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통수로 측으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상기 통수로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가진 수문과,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부를 수압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켜 통수로를 열기 위한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제1수문장치와;
    상기 통수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보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로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수압에 따라 자동 개폐되어 통수로의 유속을 저감시키기 위해 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2수문장치;를 구비하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로드가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힌지 연결된 실린더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
KR1020040013659A 2004-02-27 2004-02-27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 KR100608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659A KR100608336B1 (ko) 2004-02-27 2004-02-27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659A KR100608336B1 (ko) 2004-02-27 2004-02-27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331U Division KR200351893Y1 (ko) 2004-02-27 2004-02-27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940A true KR20050087940A (ko) 2005-09-01
KR100608336B1 KR100608336B1 (ko) 2006-08-03

Family

ID=3727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659A KR100608336B1 (ko) 2004-02-27 2004-02-27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3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538B1 (ko) * 2006-02-13 2006-09-15 한국농촌공사 물 수요 중심 용수 공급 시스템
KR100781717B1 (ko) * 2007-02-05 2007-12-03 강남 어도블럭
KR20210147476A (ko) * 2020-05-29 2021-12-07 (주)청수산업 이중 개폐기능을 가지는 유압식 수문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538B1 (ko) * 2006-02-13 2006-09-15 한국농촌공사 물 수요 중심 용수 공급 시스템
KR100781717B1 (ko) * 2007-02-05 2007-12-03 강남 어도블럭
KR20210147476A (ko) * 2020-05-29 2021-12-07 (주)청수산업 이중 개폐기능을 가지는 유압식 수문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336B1 (ko)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4555B1 (ko) 혼합형 수문장치
JP2016065447A (ja) フラップゲート
KR101355949B1 (ko) 플랩게이트
KR100608336B1 (ko)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
KR200351893Y1 (ko)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
US2882919A (en) Sewer regulator
KR100432521B1 (ko) 안전 스크린이 구비된 하단 배출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JPH11269857A (ja) フロート式フラップゲート
KR100514954B1 (ko) 하향식 가동보
KR101922437B1 (ko)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
RU214496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уровня воды в закрытой дренажной сети
KR100778151B1 (ko) 부력식 어도
JP2002256536A (ja) 水路に用いる自動流量調整用ロ−タリゲ−ト
KR20040042669A (ko) 댐 수위 자동 조절장치
JP2000045255A (ja) フラップゲートの開閉装置
KR200244423Y1 (ko) 지수장치의 역할에 의해 밀폐되어 작동하는 수문
JP3965612B2 (ja) ラジアルゲート
JP2001348846A (ja) 樋管弁
JP4055057B2 (ja) 下流水位制御装置
KR200359070Y1 (ko) 역류방지용 수문
JP3516924B2 (ja) 水路の上流水位調節ゲート
KR200235987Y1 (ko) 간략한 구조의 자동수문
RU207960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уровня воды в дренажной сети
KR200340320Y1 (ko) 부력체와 지렛대의 원리를 응용한 가동언 (자동보 수문)
JP2001050407A (ja) フラップ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