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7659A - 스캔장치 - Google Patents

스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7659A
KR20050087659A KR1020040013686A KR20040013686A KR20050087659A KR 20050087659 A KR20050087659 A KR 20050087659A KR 1020040013686 A KR1020040013686 A KR 1020040013686A KR 20040013686 A KR20040013686 A KR 20040013686A KR 20050087659 A KR20050087659 A KR 20050087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eating groove
protrusion
glass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2648B1 (ko
Inventor
서인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3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648B1/ko
Publication of KR20050087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43Allowing easy access, e.g. for maintenance or in case of paper j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85Correcting the position of a sheet before scanning
    • H04N1/0079Correcting the position of a sheet before scanning using guide or hol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52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elements within a scanning head
    • H04N2201/02466Mounting or supporting method
    • H04N2201/02477Mounting or supporting method using elastic means, e.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스캔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품 없이 상하부 커버가 결합될 수 있도록 독취될 원고가 상측에 위치되는 글래스; 글래스가 장착되는 상부커버; 글래스의 상측을 덮는 원고커버; 글래스의 하측에서 원고를 스캐닝하는 독취수단; 상부커버의 하측에 위치되며 독취수단이 설치되는 하부커버; 및 상부커버 또는 하부커버 중 어느 하나의 커버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다른 커버의 대향되는 위치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탄성에 의해 끼워맞춤되는 결합수단;이 포함된다.

Description

스캔장치 {Scan apparatus}
본 발명은 스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품 없이 상하부 커버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스캔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캔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스캔장치는 상부에 원고(118)가 장착되는 글래스(116)와, 상기 원고(118)를 덮어 주는 원고커버(112) 및 상기 원고(118)를 독취하는 독취수단(115)으로 구성된다.
상기 독취수단(115)은 하부커버(114a) 및 상부커버(114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측 수납공간에 장착된다.
한편, 근래에는 복사기와 프린터, 스캐너, 팩시밀리 등의 기능을 하나의 제품으로 구현시킨 화상형성복합기가 출시되고 있는데 이는 원고의 화상을 스캔하는 스캔장치와 종이나 필름 등의 용지에 소정 화상을 프린팅하는 프린팅장치를 일체화한 사무기기를 말한다. 이와 같은 화상형성복합기를 실행하면, 스캔장치와 프린팅장치는 상호 유기적으로 연동되면서 원고의 화상을 용지에 형성하게 된다.
즉, 스캔장치 상에 소정 화상이 형성된 원고가 놓여질 경우, 스캔장치는 원고의 화상을 스캔한 다음 스캔 데이타를 디지탈(Digital)화하여 프린팅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프린팅장치는 스캔장치로부터 스캔 데이타(Scan data)를 전송받은 다음 이 스캔 데이타에 따라 소정 화상을 현상, 전사 및 정착시킴으로 용지에 원고의 화상과 같은 화상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캔장치가 구비된 화상형성복합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화상형성복합기는 원고(118)에 형성된 화상을 스캔하는 상측의 스캔장치(110)와, 용지(135)에 스캔된 화상을 프린팅하는 하측의 프린팅장치(120)로 구성된다.
상기 스캔장치(110)는 내측에 공간이 마련된 상하부 커버(114a,114b)와, 상기 상하부 커버(114a,114b)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독취할 원고(118)가 놓여지는 글래스(116)와, 놓여진 원고(118)를 누를 수 있도록 마련된 원고커버(112)와, 상기 글래스(116)의 하측에서 좌우방향으로 일정구간 왕복이동되며 상기 원고(118)에 형성된 화상을 독취하는 이미지 센서(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센서(115)는 CIS(CMOS Image Sensor) 혹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것은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하여 독취된 화상을 프린팅부(120)에서 인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린팅장치(120)는 용지가 이송되도록 내부에 용지이송경로가 마련된 본체가 구비되어 있으며, 장치본체에 용지를 공급해주는 용지저장부(150)와, 이송되는 용지에 화상을 프린팅해주는 화상형성부(140)와, 화상이 프린팅된 용지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배지부(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부(140)는 스캔장치(110)로부터 화상을 전송받아 이를 용지에 형성 및 정착시키는 것으로, 소정 속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145)와, 상기 스캔장치(110)로부터 화상을 전송받아 이를 감광체(145) 상에 정전잠상으로 형성시켜주는 레이저스캐닝 유니트(Laser scanning unit, 142)와, 상기 레이저스캐닝 유니트(142)로부터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Toner)를 이용하여 가시적인 화상으로 변환시켜주는 현상부(144) 및, 현상된 화상을 용지에 전사시켜주는 전사부(146)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전사부(146)의 전방에는 전사된 화상이 정착되도록 용지에 소정 열과 압력을 가해주는 정착부(147)가 설치된다.
상기 배지부(130)는 상형상이 완료된 용지(135)를 배지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배지된 용지(135)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배지트레이(136)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상형성복합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원고(118)를 복사하기 위해 글래스(116)상에 장착후, 원고커버(112)를 닫고 요구하는 매수나 조건을 설정하여 복사 시작키를 누르면 스캔장치(110)의 독취수단인 이미지 센서(115)가 원고(118)의 내용을 광에너지를 통한 농도에 따라 읽고 다시 이것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프린팅장치(120)의 CPU(미도시)에서 LSU(142)로 복사 명령을 내리게 되어 감광체(145)상에 노광을 개시한다.
노광에 의해 잠상이 형성되면 현상부(144)의 현상롤러와 감광체(145) 사이에서 미세분말의 토너가 감광체(145)측으로 현상되고, 전사부(146)로 이송된 용지위로 고압에 의한 전사를 하여 전사과정이 완료된다.
이후, 정착부(147)에서 고열고압에 의해 미세토너를 용지측으로 정착하고, 용지(135)는 배지롤러(132)를 거쳐 스캔장치(110)와 프린팅장치(120)사이에 설치된 배지저장부(134)로 배출되면서 쌓이게 된다.
한편, 용지저장부(150)에는 복수매의 용지를 저장하고 있는데, 픽업롤러(152)에 의하여 낱장씩 분리되어 이송롤러(141)를 통해 전사부(146)로 이송하게 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캔장치에서의 상하부 커버(114a,114b)는 스크류(119)를 이용하여 결합고정된다. 스캔장치(110)는 일반 커버류처럼 단순한 고정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커버의 고정이 제품의 질로 연결되기 때문에 그 고정구조가 매우 중요하다. 더군다나 종래방식의 스캔장치(110)의 상하부 커버(114a,114b)는 단순 커버기능만을 수행하였지만, 근래에는 소형화되고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 내부에 별도의 스캔 기준을 잡기 위한 장치가 존재하지 않고 상하부 커버(114a,114b)자체에 기준라인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부 커버(114a,114b)의 고정구조는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스크류(119)를 이용한 상하부 커버(114a,114b)의 결합구조에서는 스크류(119)를 체결시키기 위해서는 특정 공구가 필요하게 되고, 결합 또는 분리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순한 고정수단만으로 상하부 커버(114a,114b)가 결합되어 있어서 고정상태가 견고하지 않아 상하부 커버(114a,114b)간에 어느 정도의 상대 유동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스캔기준이 흔들려 스캔작업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체결부품이 필요하기 때문에 결합구조가 복잡해지고, 제품의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캔 기준라인이 되는 상하부커버가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도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단순한 체결 구조를 가지며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부커버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스캔되는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스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독취될 원고가 상측에 위치되는 글래스; 상기 글래스가 장착되는 상부커버; 상기 글래스의 상측을 덮는 원고커버; 상기 글래스의 하측에서 상기 원고를 스캐닝하는 독취수단;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독취수단이 설치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 또는 하부커버 중 어느 하나의 커버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다른 커버의 대향되는 위치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탄성에 의해 끼워맞춤되는 결합수단;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상부커버의 내측 둘레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기 상부커버의 측면에 직립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돌기부에 대향되는 위치로 상기 하부커버의 외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상부측에는 상기 돌기부의 하향 삽입동작을 가이드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가이드부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캔장치는 상기 상하부커버의 접면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접면 타측에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안착홈에 끼워져 위치를 결정시키는 위치결정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 커버 또는 하부 커버의 각 모퉁이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은 상기 돌출부의 직경과 일치되는 제1안착홈; 상기 제1안착홈에 수직방향에 위치하여 단축이 상기 돌출부의 직경과 일치되는 상하방향 장공으로 형성된 제2안착홈; 상기 제1안착홈에 수평방향에 위치하여 단축이 상기 돌출부의 직경과 일치되는 좌우방향 장공으로 형성된 제3안착홈; 및 상기 제1안착홈의 대각방향에 위치하여 단축이 상기 돌출부의 직경과 일치되는 상하방향 장공으로 형성된 제4안착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캔장치를 구성하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상기 상부커버(10) 및 하부커버(20)는 스캔 케이스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상하부커버(10,20)가 상호 체결구조를 구비하여 결합됨으로써 내측에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장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커버(10)는 스캔작업이 수행되는 평면부와, 하부커버(미도시)와 결합되도록 상기 평면부의 가장자리가 하측으로 절곡연장된 절곡부로 구성된다.
상기 평면부의 중앙에는 독취할 원고(미도시)가 놓여지는 글래스(16)가 설치되고, 이미지센서(미도시)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위하여 상기 글래스(16)의 일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위치결정 라벨(18)이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커버(10)의 절곡부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의 네 모퉁이에는 원통형의 돌출부(14)가 형성된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커버(20)에는 상기 상부커버(10)의 돌기부(12)가 대향되는 위치에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커버(10)의 돌출부(14)가 대향되는 위치에는 안착홈(24a,24b,24c,24d)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2)은 상기 돌기부(12)를 상기 걸림턱(22)의 하단부에 형성된 단차부(22a)로 안내하는 가이드부(22c)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캔장치의 상하부 커버의 결합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인 도 6을 참조하면, 상하부 커버(10,20)가 돌기부(12)와 걸림턱(22)으로 구성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걸림턱(22)은 하부커버(20)의 바닥면에 대하여 상향 테이퍼지게 형성된 테이퍼부(22b)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체결 및 분리시 부드럽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차부(22a)와 돌기부(12)의 모서리부분을 모깍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캔장치의 상하부 커버의 위치결정수단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돌출부(14)와 안착홈(24)은 상기 상하부 커버(10,20)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써, 상기 돌출부(14)의 끝단이 상기 안착홈(24)에 삽입되어 전술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상기 상하부 커버(10,2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캔장치의 하부 커버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안착홈(24)은 상기 돌출부(14)의 직경과 일치되는 제1안착홈(24a)과, 상기 제1안착홈(24a)에 수직방향에 위치하여 단축이 상기 돌출부(14)의 직경과 일치되는 상하방향 장공으로 형성된 제2안착홈(24b)과, 상기 제1안착홈(24a)에 수평방향에 위치하여 단축이 상기 돌출부의 직경과 일치되는 좌우방향 장공으로 형성된 제3안착홈(24c), 및 상기 제1안착홈(24a)의 대각방향에 위치하여 단축이 상기 돌출부의 직경과 일치되는 상하방향 장공으로 형성된 제4안착홈(24d)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캔장치의 하부커버(20)에는 스캔의 기준이 되는 각종 기준라인이 형성된다. 이러한 기준라인에 의해 원고영역(40)이 설정되는데, 상측의 걸림턱(22)을 기준으로 한 원고 기준라인(32)과, 독취수단에 의한 스캔작업이 시작되는 스캔 시작라인(34)이 각각 가로축과 세로축의 기준이 된다.
상기 스캔 시작라인(34)은 상기 스캔 홈포지션 감지라인(36)에서 일정간격 이격 위치된다. 상기 스캔 홈포지션 감지라인(36)은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위치결정 라벨(미도시)을 감지함으로써 설정된다.
상기 상하부 커버(10,20)가 결합수단에 의한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서로 뒤틀리게 되면 정공인 제1안착홈(24a)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발생되는 데, 전술한 가로 또는 세로방향 장공들(24b,24c,24d)에 의해 회전운동이 제한됨으로써 상하부커버(10,20)의 상대적 틀어짐이 방지되어 스캔기준이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부커버(10)에 돌기부(12)와 돌출부(14)를 형성하고 하부커버(20)의 대향되는 위치에 걸림턱(22)과 안착홈(24)을 형성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이고, 상기 돌기부(12)와 돌출부(14)를 상기 상부커버(10) 또는 하부커버(20) 중 어느 하나의 커버에 형성하고, 다른 커버의 대향되는 위치에는 걸림턱(22)과 안착홈(24)을 형성하는 것이 본 발명의 결합수단 및 위치결정수단에 대한 기술적 사상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캔장치의 동작을 살펴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장치에는 각종 기준 라인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 기준 라인이 흔들리게 되면 스캔된 화상에 스큐(skew) 및 화상 짤림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부커버(10)가 가로방향으로 유동되면 스캔 홈포지션라인(36)이 흔들리게 되고, 세로방향으로 유동되면 원고 기준라인(32)이 흔들리게 된다.
본 발명의 스캔장치에 사용된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는 결합수단과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상호 뒤틀림없이 견고히 결합되어 스캔기준라인이 흔들리지 않는다.
결합수단에 의한 결합동작을 살펴보면, 상부커버(10)의 돌기부(12)가 하부커버(20)의 걸림턱(22)의 가이드부(22c)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안내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테이퍼부에 의해 상부커버(10)의 절곡부가 외측으로 탄성변형된다.
이후, 걸림턱(22)의 단차부(22a)에 돌기부(12)가 안착되면 상부커버(10)의 절곡부가 탄성복원되어 돌기부(12)가 걸림턱(22)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위치결정수단에 의한 동작을 살펴보면, 돌출부(14)의 직경(D)과 일치되는 제1안착홈을 기준으로 상하부커버(10,20)가 외력 토크에 의해 회전되려고 하면 상하방향 장공인 제2안착홈(24b)과 제4안착홈(24d)에 의해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고, 좌우방향 장공인 제3안착홈(24c)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회전에 의한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캔장치는 스크류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 탄성에 의한 끼워 맞춤식으로 상하부커버를 결합함으로써, 조립 공수를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줄일 뿐 아니라 생산 단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해 및 조립작업이 간단하여 유지보수를 위한 분해, 부품 교체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부 커버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커버상에 설정된 각종 스캔기준라인이 흔들리지 않아 스캔된 화상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캔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캔장치가 구비된 화상형성복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캔장치를 구성하는 상부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캔장치를 구성하는 하부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캔장치의 상하부 커버의 결합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캔장치의 상하부 커버의 위치결정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캔장치의 하부 커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커버 12 : 돌기부
14 : 돌출부 16 : 글래스
18 : 위치결정 라벨 20 : 하부커버
22 : 걸림턱 22a : 단차부
22b : 테이퍼부 22c : 가이드부
24 : 안착홈

Claims (5)

  1. 독취될 원고가 상측에 위치되는 글래스; 상기 글래스가 장착되는 상부커버; 상기 글래스의 상측을 덮는 원고커버; 상기 글래스의 하측에서 상기 원고를 스캐닝하는 독취수단;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독취수단이 설치되는 하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 또는 하부커버 중 어느 하나의 커버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다른 커버의 대향되는 위치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탄성에 의해 끼워맞춤되는 결합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상부커버의 내측 둘레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기 상부커버의 측면에 직립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돌기부에 대향되는 위치로 상기 하부커버의 외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상부측에는 상기 돌기부의 하향 삽입동작을 가이드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가이드부가 추가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장치는 상기 상하부커버의 접면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접면 타측에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안착홈에 끼워져 위치를 결정시키는 위치결정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 커버 또는 하부 커버의 각 모퉁이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은 상기 돌출부의 직경과 일치되는 제1안착홈; 상기 제1안착홈에 수직방향에 위치하여 단축이 상기 돌출부의 직경과 일치되는 상하방향 장공으로 형성된 제2안착홈; 상기 제1안착홈에 수평방향에 위치하여 단축이 상기 돌출부의 직경과 일치되는 좌우방향 장공으로 형성된 제3안착홈; 및 상기 제1안착홈의 대각방향에 위치하여 단축이 상기 돌출부의 직경과 일치되는 상하방향 장공으로 형성된 제4안착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장치.
KR1020040013686A 2004-02-27 2004-02-27 스캔장치 KR100602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686A KR100602648B1 (ko) 2004-02-27 2004-02-27 스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686A KR100602648B1 (ko) 2004-02-27 2004-02-27 스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659A true KR20050087659A (ko) 2005-08-31
KR100602648B1 KR100602648B1 (ko) 2006-07-19

Family

ID=3727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686A KR100602648B1 (ko) 2004-02-27 2004-02-27 스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6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2648B1 (ko)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98890A (ja) 光走査装置
JP2005178006A (ja) 光書込ヘッドの位置決め構造
KR100602648B1 (ko) 스캔장치
JP5504986B2 (ja) 画像形成装置
JP4685185B2 (ja) 複合装置
JP2007166078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746958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010437B2 (ja) 画像形成装置
JP5233878B2 (ja) 光走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2013024235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28028B1 (ko) 정렬 수단을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JP6623710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1099510B2 (en) Presser,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25105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用紙サイズ検出方法
JP4538300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50088689A (ko) 스캔장치
JP6454963B2 (ja) 光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94005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126506A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3139920A (ja) 画像形成装置
JP3682568B2 (ja) 画像形成装置
JP526734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0024330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62712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52050A (ja) 複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