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546A - 방송 시스템 및 수신 장치,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및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시스템 및 수신 장치,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및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546A
KR20050086546A KR1020057008449A KR20057008449A KR20050086546A KR 20050086546 A KR20050086546 A KR 20050086546A KR 1020057008449 A KR1020057008449 A KR 1020057008449A KR 20057008449 A KR20057008449 A KR 20057008449A KR 20050086546 A KR20050086546 A KR 20050086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ill picture
copyright information
still
predetermined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3648B1 (ko
Inventor
이치로 하마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6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4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 H04N1/00843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based on recognising a copy prohibited original, e.g. a banknote
    • H04N1/00846Determining the necessity for prevention based on recognising a copy prohibited original, e.g. a banknote based on detection of a dedicated indication, e.g. mark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7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for generating hard copies of the content, e.g. printer, electronic pap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5Centralised control of user terminal ; Registering at cent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2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copy protection control signal, e.g. a record inhibit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28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copy management signal, e.g. a copy generation management signal [C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data relating to permitted access or usage, e.g. level of access or usage parameter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related to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디지털 방송으로 보내져 오는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가 도모되도록 한 방송 시스템 및 수신 장치, 방송 방법 및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디지털 방송에서 정지화의 저작권의 보호를 도모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가 기술되고, 이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가 PMT, EIT 및 SDT에 포함된다.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를 사용함으로써,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 및 저작권 정보에 의해 수신기의 행동을 세밀하게 기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디지털 방송의 컨텐츠의 수신기에 있어서의 인쇄의 세밀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디지털 방송의 컨텐츠의 수신기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에의 기록의 세밀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방송 시스템 및 수신 장치,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및 수신 방법{BROADCASTING SYSTEM, RECEIVING APPARATUS, AND PROTECTING METHOD AND RECEIVING METHOD OF BROADCAST DATA}
본 발명은, MPEG(Moving Picture Coding Experts Group)2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수신 장치 및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지화의 저작권의 보호에 관한 것이다.
일본의 디지털 방송과(디지털 위성 방송, 디지털 지상파 방송, 디지털 CATV(Cable Television))에서는, MPEG2 시스템(IS0/IEC 13818-1 GENERIC CODING OF MOVING PICTURES AND ASSOCIATED AUDIO: SYSTEMS Recommendation H.222.0)이 채용되어 있다. 이 방식은, ARIB(Association of Radio Industrial and Businesses)의 규격을 기초로 작성된 것이다.
MPEG2 시스템은, 부호화된 비디오나 오디오, 부가 데이터 등 개별의 스트림을 다중화하고, 각각의 동기를 취하면서 재생하기 위한 방식을 규정한 것으로, MPEG2-PS(Program Stream)과, MPEG2-TS(Transport Stream)의 2종류의 방식이 있다.
MPEG2-PS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환경에서의 데이터의 전송·축적에 적용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고, 용장도(冗長度)를 작게 할 수 있어,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강력한 오류 정정 부호를 이용한 디지털 스토리지 미디어로 사용되고 있다.
MPEG2-TS는, 방송이나 통신 네트워크 등 데이터의 전송 오류가 발생하는 환경에 적용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고, 1개의 스트림중에 복수의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 등에 사용되고 있다.
MPEG2-TS에서는, 188바이트의 고정 길이의 TS(Transport Stream) 패킷이 복수개 모여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구성된다. 이 188바이트의 TS 패킷의 길이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셀 길이와의 정합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 있다.
TS 패킷은, 4바이트의 고정 길이의 패킷 헤더와, 가변 길이의 어댑테이션 필드 및 페이로드로 구성된다. 패킷 헤더에는 PID(패킷 식별자)나 각종의 플래그가 정의되어 있다. PID에 의해 TS 패킷의 종류가 식별된다.
비디오나 오디오 등의 개별 스트림이 수납된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은, 같은 PID 번호를 갖는 복수의 TS 패킷으로 분할되어 전송된다. 비디오의 부호화에는 예를 들면 MPEG2 방식이 이용된다. 오디오의 부호화에는 예를 들면 BS(Broadcast Satellite) 디지털 방송에서는 MPEG2-AAC(MPEG2 Advanced Audio Coding)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자막 등의 데이터가 수납된 PES 패킷도, 비디오나 오디오의 패킷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TS 패킷으로 분할되어 전송된다.
또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에는,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나 SI(Service Information)의 섹션 형식의 테이블로 기술(記述)된 정보의 패킷이 포함된다. PSI는, 소망하는 방송의 채널을 선택하여 수신하는 시스템에서 필요한 정보이고, 이것에는,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 NIT(Network Information Table), CAT(Condition Access Table) 등이 있다.
PAT에는 프로그램 번호에 대응하는 PMT의 PID 등이 기술되어 있다. PMT에는 대응하는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영상, 음성, 부가 데이터 및 PCR의 PID가 기술된다. NIT에는, 방송 시스템 전체에 관한 상세 정보가 기술되고, 예를 들면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모든 프로그램의 정보나, 목적하는 프로그램이 어느 반송파 주파수로 보내지고 있는지가 기술되어 있다. CAT에는, 한정 수신 방식의 식별과 계약 정보 등의 개별 정보에 관한 정보가 기술된다. SI는, 방송 사업자의 서비스에 이용하는 섹션이다. SI로서는, EIT(Event Information Table)나 SDT(Service Description Table)가 있다. EIT는 방송프로그램의 상세 정보 및 방송 시간 등이 기술되어 있고, EPG(Electronic Program Guide)나 녹화 예약에 이용된다.
이와 같은 MPEG2 시스템의 디지털 방송으로서, 일본에서 이미, 디지털 CS(Communication Satellite) 방송이나 디지털 BS(Broadcast Satellite) 방송이 시작되어 있다. 디지털 BS 방송에서는 통상의 SDTV(Standard Definition Television) 외에,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의 방송이 행하여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지상파 방송을 행하는 것이 검토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으로 보내지는 동화상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ARIB STD-B10에서는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가 정의되어 있다(도 1 참조). 이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는 PMT, EIT 및 SDT에 삽입된다. 디지털 방송으로 보내지는 동화상을 카피하는 경우에는, 이 기술자에 따라 카피 제한이 행하여진다.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에 있어서의 digital_recording_control_data의 2비트가 카피 제어를 위한 것이다. 이 2비트가 「00」이면 카피 프리, 「11」이면 카피 금지, 「10」이면 1세대(一世代)만 카피가 허가된다. 즉, 이 2비트는 CGMS(Copy Generation Management System)의 카피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CGMS에 의한 카피 제어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특개2000-123480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동화상에 대해서는,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가 정의되어 있다(도 2 참조). 이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에서는, 보존된 화상을 출력하는 경우에 해상도를 제한하거나, 카피가 금지되어 있는 화상을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에 일시적으로 기록한 때의 기록 시간을 제한하거나 할 수 있다.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에 있어서, image_constrain_token은 보존된 화상을 아날로그 출력하는 경우에 해상도를 제한하는 것이다. retention_mode는, 카피가 금지되어 있는 화상을 일시적으로 기록한 때의 기록 시간을 제한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retention_state는 카피가 금지되어 있는 화상을 일시적으로 기록한 때의 기록 제한 시간을 나타낸다. retention_mode가 「0」일 때는, retention_state로 나타나는 시간만큼, 화상을 1차 기억할 수 있다. encryption_mode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고속 디지털 단자로부터 암호화하여 출력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근래, HDD(Hard Disk Drive)를 사용한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가 등장하고 있고, 이 HDD를 사용한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수신중의 동화상을 보존하여 두고, 방문객 등이 있을 때에는 수신중의 화면을 프리즈해 두고, 방문객이 돌아간 후에, HDD에 기록되어 있는 동화상을 프리즈한 점에서부터 뒤쫓아 재생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의 retention_state는,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에서 특히 카피 금지 내용의 카피 제한을 행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동화상의 저작권의 보호는,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나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를 PMT에 삽입함에 의해 실현된다.
그런데, 방송에 있어서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보내는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저작권법의 위반 행위가 뒤를 끊이지 않는다. 정지화에는 판권, 초상권 등의 권리가 있고, 정지화 컨텐츠의 저작권 정보를 전송 및 관리하는 시스템의 확립이 요망되고 있다.
위법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정지화로서는, 동화상을 프리즈하여, 동화상의 일부를 정지화로서 취출한 것과, 데이터 방송 서비스로 보내져 오는 정지화가 고려된다.
즉, 동화상은 기본적으로는 정지 화상의 연속이다. 디지털 방송에서는 영상 포맷으로서, 1080i(1920×1080 비월주사(飛越走査)), 480p(720×480 순차주사), 480i(720×480 비월주사), 720p(1280×720 순차주사(順次走査)), 1080p(1920×1080 순차주사) 등이 있다. 동화상을 프리즈 재생시키면, 정지화를 얻을 수 있다. 1080i나 1080p, 720p의 영상 포맷의 신호에서는 동화상을 프리즈하여 얻어진 정지화도 상당한 고화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가 행하여진다.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서는 동화상이나 정지 화상, 문자, 도형, 자막 등의 멀티미디어의 컨텐츠가 취급되고, 브라우저를 이용함으로써 이들 멀티미디어의 컨텐츠를 링크시켜 열람할 수 있다. 이 데이터 방송 서비스로부터,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방식 등으로 부호화된 정지화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동화상의 일부로서 추출된 정지화나, 데이터 방송 서비스로 보내져 오는 정지화에 대해서도, 저작권을 보호할 필요가 있고, 그 정지화가 불법으로 카피되거나, 불법으로 프린트 아웃되거나, 홈페이지 등에 불법으로 부착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의 구조를 도시한 약선도,
도 2는 컨텐츠 이용 기술자의 구조를 도시한 약선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방송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설명에 이용하는 약선도,
도 5는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의 구조를 도시한 약선도,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수신기의 일예의 블록도,
도 7은 PMT의 구조를 도시한 약선도,
도 8은 EIT의 구성을 도시한 약선도,
도 9는 SDT의 구성을 도시한 약선도,
도 10은 수신기의 처리 시퀀스의 일예의 플로우 차트,
도 11은 수신기의 예약 시퀀스의 일예의 플로우 차트.
(부호의 설명)
1 : 방송국
2 : 수신기
3 : 텔레비전 수상기
5 :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
6 : 프린터
7 : 퍼스널 컴퓨터
S1 : PMT에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가 있는지?
S2 : printing_control?
S3 : print_prohibited, print_constrain_bit, number_of_print, image_resolution_control, expiration_date에 의한 인쇄 처리
S4 : 제약 조건 없이 인쇄 가능
S5 : recording_control?
S6 : recording_prohibited, recording_security, print_prohibited, number_of_print, image_resolution_control, expiration_date에 의한 기록 처리
S7 : 제약 조건 없이 기록 가능
S8 : PMT에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가 있는지?
S9 : 제약 조건 없이 인쇄 가능, 기록 가능
S10 : digital_recording_control_data?
S11 : print_prohibited=0, print_constrain_bit=1, number_of_print=1에 의한 인쇄 처리, record_prohibited=0, record_security=1, print_prohibited=0, number_of_record=1에 의한 기록 처리
S12 : print_prohibited=1에 의한 인쇄 처리, record_prohibitd=1에 의한 기록 처리
S21 : 예약 방송프로그램 선택
S22 : 예약 방송프로그램의 EIT/SDT 취득
S23 : EIT/SDT에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가 있는지?
S24 : printing_control?
S25 : print_prohibited, print_constrain_bit, number_of_print, image_resolution_control, expiration_date에 의한 인쇄 예약 처리
S26 : 제약 조건 없이 인쇄 가능한 인쇄 예약 처리
S27 : recording_control?
S28 : recording_prohibited, recording_security, print_prohibited, number_of_print, image_resolution_control, expiration_date에 의한 기록 예약 처리
S29 : 제약 조건 없이 기록 가능한 예약 처리
S30 : EIT/SDT의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가 있는지?
S31 : 제약 조건 없이 인쇄 가능, 기록 가능한 예약 처리
S32 : digital_recording_control_data?
S33 : print_prohibited=0, print_constrain_bit=1, number_of_print=1에 의한 인쇄 예약 처리, record_prohibited=0, record_security=1, print_prohibited=0, number_of_record=1에 의한 기록 예약 처리
S34 : 프린터 예약 불가, 정지화 기록 예약 불가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방송으로 보내져 오는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가 도모되도록 한 방송 시스템 및 수신 장치,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및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MPEG 시스템의 스트림으로 디지털 방송을 송신하는 송신 장치와,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 장치로 이루어지고, 송신 장치는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스트림중의 소정의 테이블에 포함하여 송신하고,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보내져 온 스트림중의 소정의 테이블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고, 소정의 테이블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의 처리를 행하도록 한 방송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MPEG 시스템의 스트림으로 디지털 방송을 송신하는 송신 장치와,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 장치로 이루어지고, 송신 장치는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스트림중의 소정의 테이블에 포함하여 송신하고,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보내져 온 스트림중의 소정의 테이블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고, 소정의 테이블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예약시의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의 처리를 행하도록 한 방송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MPEG 시스템의 스트림으로 송신되어 온 디지털 방송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한 스트림중에서 소정의 테이블의 정보를 디코드하고, 소정의 테이블로부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스트림중의 소정의 테이블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고, 소정의 테이블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의 처리를 행하는 수단을 구비하도록 한 수신 장치이다.
본 발명은, MPEG 시스템의 스트림으로 송신되어 온 디지털 방송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한 스트림중에서 소정의 테이블의 정보를 디코드하고, 소정의 테이블로부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스트림중의 소정의 테이블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고, 소정의 테이블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예약시의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의 처리를 행하는 수단을 구비하도록 한 수신 장치이다.
본 발명은,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MPEG 시스템의 스트림중의 소정의 테이블에 포함하여 송신하고, 송신되어 온 MPEG 시스템의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된 스트림중의 소정의 테이블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고, 소정의 테이블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의 처리를 행하도록 한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이다.
본 발명은,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MPEG 시스템의 스트림중의 소정의 테이블에 포함하여 송신하고, 송신되어 온 MPEG 시스템의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된 스트림중의 소정의 테이블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고, 소정의 테이블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예약시의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의 처리를 행하도록 한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이다.
본 발명은, MPEG 시스템의 스트림으로 송신되어 온 디지털 방송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스트림중에서 소정의 테이블의 정보를 디코드하고, 소정의 테이블로부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취득하고, 스트림중의 소정의 테이블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고, 소정의 테이블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의 처리를 행하도록 한 수신 방법이다.
본 발명은, MPEG 시스템의 스트림으로 송신되어 온 디지털 방송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스트림중에서 소정의 테이블의 정보를 디코드하고, 소정의 테이블로부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취득하고, 스트림중의 소정의 테이블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고, 소정의 테이블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예약시의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의 처리를 행하도록 한 수신 방법이다.
방송되어 오는 컨텐츠 데이터의 저작권의 보호를 도모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그것에 의거하여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나,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기술된다.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나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뿐만 아니라,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를 사용함으로써 동화뿐만 아니라 정지화에 관해서도 저작권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를 사용함으로써,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 및 저작권 정보에 의해 수신기의 행동을 세밀하게 기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디지털 방송의 컨텐츠의 수신기에 있어서의 인쇄의 세밀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의 컨텐츠의 수신기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에의 기록의 세밀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를 참조할 수 없는 때에는,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를 참조하고, 동화의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로 정지화의 카피 제어 기술자를 설정하도록 한다. 이로써, 디지털 방송의 송출측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 및 동화의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를 참조할 수 없는 경우는, 저작권 정보가 보내져 오지 않은 경우에, 미리 결정된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정지화의 카피 제어 기술자를 설정하도록 한다. 이로써, 디지털 방송의 송출측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를 EIT 및/또는 SDT에 삽입함으로써, 방송프로그램 예약할 때에, 정지화의 저작권의 보호를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 위성 방송의 수신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있어서, 방송국(1)으로부터는 디지털 방송의 신호가 송신된다. 디지털 방송의 신호는, MPEG2-TS의 시스템이고,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방송하는 것이다. 디지털 방송으로서는, 디지털 위성 방송, 디지털 지상파 방송, 디지털 CATV 등이 있다. 본 발명은, MPEG2-TS의 시스템으로 디지털 방송을 행하는 것이라면, 어느 방송 형식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MPEG2-TS에서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88바이트로 이루어지는 TS 패킷이 사용된다. 이 TS 패킷은, 4바이트의 헤더와, 184바이트의 페이로드로 이루어진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의 선두에는 패킷의 선두를 나타내는 8비트의 동기 바이트(sync_byte)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계속해서, 패킷중의 에러의 유무를 나타내는 1비트의 오류 인디케이터(transport_error_indicator)와, 새로운 PES 패킷이 이 트랜스포트 패킷의 페이로드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나타내는 1비트의 유닛 시작 인디케이터(payload_unit_start_indicator)와, 이 패킷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1비트의 트랜스포트 프라이어러티(transport_priority)와, 개별의 패킷을 식별하기 위한 13비트의 PID(packet_ID)와, 페이로드의 스크램블의 유무를 나타내는 2비트의 스크램블 제어(transport_scramble_control)와, 어댑테이션 필드의 유무 및 페이로드의 유무를 나타내는 2비트의 어탭테이션 필드 제어(adaptation_field_control)와, PID를 갖는 패킷이 도중에 일부 기각되었는지의 여부를 수신 카운트의 연속성으로 검출하기 위한 4비트의 순회 카운터(continuity_counter)로 이루어진다.
어댑테이션 필드는, 개별 스트림에 관한 부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어댑테이션 필드는 어댑테이션 필드 길이와, 불연속 표시와, 랜덤 액세스 표시와, 스트림 우선 표시와, 옵셔널 필드에 대한 플래그와, 옵셔널 필드와, 스테핑 바이트로 이루어진다.
트랜스포트 스트림에는,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데이터의 패킷 외에, PSI나 SI의 섹션 형식의 테이블로 기술된 정보의 패킷이 포함된다.
PSI는, 소망하는 방송의 채널을 선택하여 수신하는 등, 시스템에서 필요한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PSI로서는, NIT(Network Information Table),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 CAT (Condition Access Table) 등이 있다.
NIT에는, 전(全) 반송파에 동일한 내용이 다중되어 있고, 반송파마다의 전송 제원(편파면(偏波面), 캐리어 주파수, 중첩 레이트 등)과, 거기에 다중화되어 있는 채널의 리스트가 기술되어 있다. 이 NIT의 섹션의 패킷 PID는 (PID=0x0010)으로 되어 있다.
PAT는, 각 반송파마다 고유 내용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고, 각 반송파 내의 채널 정보와, 각 채널의 내용을 나타내는 PMT의 PID가 기술되어 있다. 이 PAT 섹션의 패킷 PID는 (PID=0x0000)이다.
PMT(Program Map Table)는, 각 채널을 구성하는 컴포넌트와, 데스크램블에 필요한 ECM 패킷 등의 PID가 기술되어 있다. 이 PMT 섹션의 패킷 PID는, PAT로 지정된다.
CAT(Condition Access Table)는, ECM 및 EMM의 패킷 등의 PID가 기술되어 있고, CAT 섹션의 패킷 PID는 (PID=Ox0001)이다.
SI로서는, EIT(Event Information Table)나 SDT(Service Description Table)가 있다. EIT는, 방송프로그램의 상세 정보 및 방송 예정 시간 등이 기술되어 있다. EPG(Electronic Program Guide)나 녹화 예약에 이용된다. EIT 섹션의 패킷 PID는(PID=0X0012)이다.
도 3에 있어서 방송국(1)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각 가정의 수신기(2)에서 수신된다. 각 가정의 수신기(2)에서 이 수신 신호로부터 TS 패킷이 복조되고, 이 TS 패킷으로부터, 비디오 PES 패킷과 오디오 PES 패킷이 취출되고, 이 비디오 PES 패킷 및 오디오 PES 패킷으로부터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가 디코드된다. 또한, 이 수신 신호로부터 데이터 패킷이 취출되고, 데이터 패킷이 디코드된다.
수신기(2)에서 디코드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는, 모니터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3)에 공급된다. 텔레비전 수상기(3)에서 이 비디오 신호에 의거한 화면이 재생됨과 함께, 그 재생음이 출력된다. 또한, 텔레비전 수상기(3)에서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데이터 방송이 열람된다.
또한, 여기서는, 디지털 방송의 수신기(2)와 텔레비전 수상기(3)를 별체로 하고 있지만, 디지털 방송의 수신기가 텔레비전 수상기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수신기(2)에는, 디지털 VCR(Video Cassette Recorder)이나, HDD(Hard Disk Drive) 등의 비디오 기록 재생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것이나, 프린터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 있다.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성 방송 튜너에서 수신한 화상이나 음성을 기록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망하는 정지 화상을 프린트 아웃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2)에는 각종의 기기를 외부 연결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수신기(2)에는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5)를 접속할 수 있다.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5)로서는 디지털 VCR(Video Cassette Recorder)이나, HDD(Hard Disk Drive)를 이용한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수신기(2)에 프린터(6)를 접속하고, 방송중의 동화상으로부터 정지화를 받아들여, 이 정지 화상을 프린트 아웃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신기(2)에 퍼스널 컴퓨터(7)를 접속할 수 있다. 그 밖에, 수신기(2)에 각종의 주변 기기를 접속할 수 있다.
수신기(2)에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5)를 접속하면, 방송으로 보내져 온 동화상을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5)에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5)에 기록된 동화상을 프리즈시켜 정지 화상을 취출하고, 이 정지 화상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2)에 프린터(6)를 접속하면, 소망하는 정지 화상을 프린트 아웃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2)에 퍼스널 컴퓨터(7)를 접속하면, 수신기(2)에서 복조된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7)에 보냄으로써, 퍼스널 컴퓨터(7)의 HDD에, 방송으로 보내져 온 동화상이나, 데이터 방송으로 보내져 온 멀티미디어의 데이터를 기록시킬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7)의 HDD에 기록된 동화상은, 편집이나 가공을 행하거나, 정지화를 받아들일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7)에서 받아들인 정지 화상을 유저의 홈에 부착하여 이용한 것도 고려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7)에서 받아들인 정지 화상은, CD-R(Compact Disc Recordable)이나 플래시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에 카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송으로 보내져 온 동화상은, 내장하는 또는 외부 연결의 각종의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에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방송으로 보내져 온 동화상을 프리즈시켜서 취출된 정지화나, 데이터 방송으로 보내져 온 정지화는, 내장하는 또는 외부 연결의 각종의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에서 기록할 수 있고, 또한, 그 정지 화상을 프린트 아웃할 수 있다. 그러나, 방송으로 보내져 온 동화나 정지화가 자유롭게 카피되면, 저작자의 권리를 지켜질 수 없게 된다. 또한, 방송으로 보내져 온 정지화가 자유롭게 프린트 아웃되거나, 유저의 홈페이지에 부착되면, 저작자의 권리가 지켜질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이 예에서는, 동화상에 대한 저작권 보호로서,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 및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가 사용된다. 또한, 정지화에 대한 저작권 보호로서,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사용된다.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digital_recording_control_data의 2비트가 카피 제어를 위한 것이고, 이 2비트가 「00」이면 카피 프리, 「11」이면 카피 금지, 「10」이면 1세대만 카피가 허가된다.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화상을 아날로그 출력하는 경우에 해상도를 제한하는 image_constrain_token과, 카피 금지의 동화상을 일시적으로 기록한 때의 기록 시간을 제한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retention_mode와, 그 동화상을 일시적으로 기록한 때의 기록 시간을 제한하는 retention_state를 포함한다.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컨트롤을 유효하게 하는 플래그(image_resolution_control, recording_control, print_control, expration flag)와, 각 플래그에 대한 컨트롤, 즉, 정지화의 출력 해상도(화소 수)를 제한하는 (maximum_horizontal_pixel_number, maximum_vertical_pixel_number)과, 기록을 제한하는 (record_prohibited, recording_security, print_prohibited, recording_constrain_bit, number_of_recording)와, 프린트 아웃을 제한하는 (print_prohibited, print_constraint_bit, number_of_print)와, 화상을 일시적으로 기록한 때의 기록 시간을 제한하는 expiration_date를 포함한다. 또한, EIT나 SDT에 기술하기 위해, component_flag와, component_tag가 마련된다. 또한, 이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에 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도 3에 있어서의 방송국(1)으로부터는, MPEG2-TS로 디지털 방송의 신호가 송신된다. 이 MPEG2-TS의 스트림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데이터의 패킷 외에, PSI나 SI의 섹션 형식의 테이블로 기술된 정보의 패킷이 포함된다.
방송국(1)으로부터 방송을 송신할 때에, 저작권의 보호를 도모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그것에 의거하여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나,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기술된다.
즉, 동화상에 관해서는, 카피 프리인지, 카피 금지인지, 1세대만 카피 가인지의 여부가 확인되고, 이에 의거하여,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가 기술되고, 이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가 PMT에 포함된다. 또한, 보존된 화상을 아날로그 출력하는 경우에 해상도에 따라,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의 image_constrain_token이 기술되고, 기록 금지의 동화상을 일시적으로 기록한 때의 기록 시간을 제한에 따라, retention_mode와 retention_state가 기술된다. 또한, 컨텐츠를 디지털 출력하는 경우에 암호화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encryption_mode가 기술된다. 이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가 PMT에 포함된다. 또한, 방송프로그램 예약할 때에 저작권 정보를 보내기 위해,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 descriptor)가 EIT나 SDT에 포함된다.
정지화에 관해서는, 화상을 출력하는 경우의 해상도의 제한에 따라, image_resolution_control과, maximum_horizontal_pixel_number, maximum_vertical_pixel_number가 기술된다. 기록의 제한에 따라, recording_control과, record_prohibited, recording_security, print_prohibited recording_constrain_bit, number_of_recording이 기술된다. 프린트 아웃의 제한에 따라, print_control과, print_prohibited, print_constraint_bit, number_of_print가 기술된다. 화상을 일시적으로 기록한 때의 기록 시간의 제한에 따라, expiration_flag와, expiration_date가 기술된다. 이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PMT에 포함된다. 또한, 방송프로그램 예약할 때에 저작권 정보를 보내기 위해, 이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EIT나 SDT에 포함된다. 또한,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EIT나 SDT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방송프로그램 전체의 컨텐츠의 저작권 정보를 지정하는 것 및 component_flag와 component_tag를 이용하여 저작권 보호를 행하는 ES(Elementary Stream)를 지정한다.
수신기(2)에서는, 방송국(1)으로부터 보내져 온 동화상을 내장하는 또는 외부 연결의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에서 기록하는 때에, PMT로 보내져 온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나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가 판단된다. 그리고, 이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나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의 기술에 의거하여 카피의 제한이나, 해상도, 기록 매체에 카피 금지의 컨텐츠를 1차 기록하는 경우의 시간, 고속 디지털 단자에의 출력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출력하는지의 여부가 제어된다.
또한, 방송으로 보내져 온 동화상으로부터 취출된 정지화나, 데이터 방송으로 보내져 온 정지화를, 내장하는 또는 외부 연결의 각종의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에 기록하거나, 그 정지 화상을 프린트 아웃하거나 할 때에는, PMT로 보내져 온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에 따라, 화상을 출력하는 경우의 해상도의 제한, 기록의 제한, 프린트 아웃의 제한, 일시적으로 기록한 때의 기록 시간의 제한이 행하여진다.
또한, 방송프로그램 예약할 때에는, EIT나 SDT로 보내져 온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나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에 따라, 예약의 제한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방송국(1)으로부터 방송을 송신할 때에, 저작권의 보호를 도모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그에 의거하여,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나,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기술된다.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나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뿐만 아니라,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를 사용함으로써 동화뿐만 아니라 정지화에 관해서도 저작권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수신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 예는, 디지털 BS 방송의 수신을 행하는 것이다.
도 3에 있어서, 예를 들면 12GHz대의 전파로 위성을 통하여 보내져 오는 디지털 위성 방송의 전파는, 파라볼라 안테나(11)에서 수신되고, 파라볼 안테나(11)에 부착된 LNB(Low Noise Block Down Converter)(12)에서, 예를 들면, 1GHz대의 제 1 중간 주파 신호로 변환된다. 이 LNB(12)의 출력이 케이블(13)을 통하여 튜너 회로(14)에 공급된다.
튜너 회로(14)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5)로부터 선국 신호가 공급된다.
튜너 회로(14)에 의해, 마이크로 프로세서(35)로부터의 선국 신호에 의거하여, 수신 신호중에서, 소망하는 반송파 주파수의 신호가 선택되고, 선택된 수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의 신호가 제 2 중간 주파 신호로 변환된다.
튜너 회로(14)로부터의 중간 주파 신호가 IF(Intermediate Frequency) 회로(15)에 공급된다. IF 회로(15)에 의해, 튜너 회로(14)로부터의 중간 주파 신호가 증폭된다. IF 회로(15)의 출력이 복조 회로(16)에 공급된다.
복조 회로(16)에서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와, 8PSK(8상(相) PSK)의 복조 처리가 행하여진다.
즉, 디지털 BS 방송에서는, BPSK와, QPSK와, 8PSK에 의해, 계층화 전송이 행하여지고 있다. 8PSK 변조에서는, 1심볼당의 정보량은 증가하지만, 강우(降雨)에 의한 감쇠가 있으면, 에러 레이트가 악화한다. 이에 대해, BPSK나 QPSK에서는, 1심볼당의 정보량은 적어지지만, 강우에 의한 감쇠가 있어도, 에러 레이트는 그다지 저하되지 않는다.
송신측에서는, 복수의 TS 패킷을 1슬롯에 대응시켜서, 각 TS 패킷이 48슬롯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매핑된다. 각 슬롯마다, 변조 방식이나 부호화 방식을 할당할 수 있다. 각 슬롯에 할당된 변조 방식의 종류별이나 부호화율은, TMCC(Transmission and Multiplexing Configuration Control) 신호에 의해 보내진다. 그리고, 8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슈퍼 프레임이 구성되고, 슬롯의 위치마다 인터리브가 행하여진다.
복조 회로(16)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복조된다. 이 복조 회로(16)의 출력은, 비터비 복호 회로(17)에 공급된다. 비터비 복호 회로(17)에서 내부호(內符號)의 에러 정정 처리가 행하여진다. 비터비 복호 회로(17)의 출력이 에러 정정 회로(18)에 공급된다. 에러 정정 회로(18)에서, 외부호(外符號)의 에러 정정 처리가 행하여진다.
즉, 디지털 BS 방송에서는, 에러 정정 부호화 방식으로서는, 외부호에 리드·솔로몬 부호(204, 188), 내부호에, 트렐리스 부호, 중첩 부호가 이용된다. 비터비 복호 회로(17)에 의해, 내부호의 에러 정정 처리가 행하여진다. 리드·솔로몬 부호에 의한 에러 정정 회로(18)에 의해, 외부호의 에러 정정 처리가 행하여진다.
에러 정정 회로(18)의 출력이 디스크램블러(19)에 공급된다. 디스크램블러(19)에서, CAS(Condition Access System) 제어가 행하여진다.
즉, 한정 수신의 경우에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암호화가 시행되어 있다. 개인 정보는 IC 카드(20)에 격납되어 있고, 1C 카드(20)는 카드 인터페이스(21)를 통하여 장착된다.
디스크램블러(19)에는, 수신된 ECM(Encryption Control Message) 및 EMM(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의 섹션의 정보와, IC 카드(20)에 기억되어 있는 데스크램블용의 데이터로부터 스크램블을 해제하기 위한 정보가 공급된다. 한정 수신의 경우에는, 디스크램블러(19)는 수신된 ECM이나 EMM과, IC 카드(20)의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크램블이 행하여진다.
또한, 모뎀(22)이 마련되고, 과금 정보가 모뎀(22)을 통하여 전화 회선에 의해 방송프로그램의 방송 센터에 보내진다.
디스크램블러(19)에서 디스크램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디멀티플렉서(23)에 보내진다.
디멀티플렉서(23)는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중에서 소망하는 패킷의 스트림을 분리하는 것이다. 패킷의 헤더부에는 패킷 식별자(PID)가 기술되어 있다. 디멀티플렉서(23)에서 이 PID에 의거하여 소망하는 프로그램의 비디오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 오디오 PES 패킷, 데이터 패킷,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및 SI(Service Information)의 패킷으로, 각 패킷이 분리된다.
소망하는 프로그램의 비디오 PES 패킷은 비디오 디코더(24)에 보내지고, 오디오 PES 패킷은 오디오 디코더(25)에 보내진다. 또한, 디멀티플렉서(23)로부터의 스트림은 버스(37)를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35)에 보내진다.
비디오 디코더(24)는 디멀티플렉서(23)로부터의 비디오 PES 패킷을 수취하고, MPEG2 방식의 디코드 처리를 행하여,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것이다. 재생된 비디오 신호는 출력 단자(26)로부터 출력된다.
오디오 디코더(25)는, 디멀티플렉서(23)로부터의 오디오 PES 패킷을 수취하고, MPEG2-AAC(MPEG2 Advanced Audio Coding)의 디코드 처리를 행하여, 오디오 신호를 형성하는 것이다. 재생된 오디오 신호는 출력 단자(27)로부터 출력된다.
조작 입력은 입력 키(28)에 의해 주어진다. 입력 키(28)는 예를 들면, 수신 장치의 패널에 배치되는 각종의 키나 스위치이다. 또한, 조작 입력은 적외선 리모트 컨트롤러(30)에 의해 행할 수 있고, 적외선 리모트 컨트롤러(30)로부터의 적외선 커맨드 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부(31)가 마련되고, 수광부(31)로부터의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35)에 보내진다.
각종의 설정 상태가 표시부(29)에 표시된다. 표시부(29)는 예를 들면, 패널에 배설된 액정 디스플레이나,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이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35)로부터의 표시 신호는 OSD(0n Screen Display) 회로(32)에 공급되고, OSD 회로(32)의 출력이 가산기(33)에 의해 비디오 신호에 합성된다. 이로써, 각종의 설정 상태를 수상(受像) 화면중에 중첩 표시시킬 수 있다.
이 수신기에는, 수신한 동화상을 기록 재생하는 HDD(Hard Disk Drive)(41)가 내장된다. 디멀티플렉서(23)로부터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버스(37), HDD 컨트롤러(40)를 통하여 HDD(41)에 공급된다. HDD(41)에 이 스트림이 기록된다. 또한, 재생시에는 HDD(41)로부터 재생된 스트림은 HDD 컨트롤러(40), 버스(37)를 통하여 디멀티플렉서(23)에 보내진다.
또한, 이 수신기에는, 데이터를 입력 출력하기 위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 인터페이스(42)가 마련된다. 디멀티플렉서(23)로부터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버스(37), IEEE1394 인터페이스(42), 또는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접속된 신호선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IEEE1394 인터페이스(42)를 통하여 다른 기기로부터 전송되어 온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입력할 수 있다.
IEEE1394 인터페이스(42)에는, 디지털 VCR이나 HDD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 등의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를 접속하고, 방송으로 보내져 온 동화상을 디지털 VCR이나 HDD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 등의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IEEE1394의 인터페이스(42)에 프린터를 접속하고, 방송중의 동화상으로부터 정지화를 받아들이고, 이 정지 화상을 프린트 아웃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IEEE1394 인터페이스(42)에 퍼스널 컴퓨터를 접속하고, 퍼스널 컴퓨터에서, 동화상으로부터 잘라낸 정지화나 데이터 방송으로 보내져 온 정지화를 보존하거나, 메모리 카드 등의 다른 기록 매체에 카피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35)에서는, 방송국(1)으로부터 보내져 온 동화상을 내장하는 HDD(41)나 인터페이스(42)에 접속된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에서 기록할 때에, PMT로 보내져 온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나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가 판단된다. 그리고, 이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나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의 기술에 의거하여, 카피의 제한 등의 저작권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방송으로 보내져 온 동화상으로부터 취출된 정지화나, 데이터 방송으로 보내져 온 정지화를, 내장하는 HDD(41)나 인터페이스(42)에 접속된 비디오 기록 재생 장치에 기록하거나, 그 정지 화상을 인터페이스(42)에 접속된 프린터에 프린트 아웃하거나 할 때에는 PMT로 보내져 온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에 따라, 인쇄나 기록의 제한 등의 저작권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방송프로그램 예약할 때에는, EIT나 SDT로 보내져 온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나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에 의해 동화나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가 알려지고, 이에 응하여 예약 설정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여기서는, 디지털 BS 방송의 수신기의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디지털 지상파 방송이나 디지털 CATV의 수신기에서도, 변조 방식이나 에러 정정 방식은 다르지만, 기본 구성은 마찬가지이다. 디지털 지상파 방송의 경우에는, 변조 방식으로서, OFDM(0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이 이용된다. 디지털 CATV에서는 변조 방식으로서, 다가(多價)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이 이용된다.
다음에, 도 5에 도시한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에 관해 상세히 기술한다.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는, PMT 또는 EIT, SDT에 기술된다. PMT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EIT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SDT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11image_copy_control_descriptor)는, PMT의 퍼스트 루프와, ES 루프에 배치할 수 있다.
PMT의 퍼스트 루프에 기술자를 배치하는 경우는, 지정된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정지화의 전부에 대해 이 제한을 적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PMT, ES 루프에 기술자를 배치하는 경우는, 지정된 ES의 정지화에 대해서만 기술자의 제한을 적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퍼스트 루프와 ES 루프 양쪽에 기술자를 배치한 경우는, ES 루프의 기술자의 제한이, 지정된 ES에만 퍼스트 루프의 기술자보다 우선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다른 ES 루프에 기술자가 없는 경우는, 퍼스트 루프의 기술자의 제한을 적응하는 것으로 한다.
EIT에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EIT의 방송프로그램 정보중에 기술된다.
SDT에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그 채널 모든 방송프로그램에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의 정보를 적응한다.
EIT와 SDT 양쪽에 기술자를 배치한 경우는, EIT의 정보가 지정된 방송프로그램에 적응되는 것으로 한다. EIT에 기술자가 없고, SDT에만 기술자가 배치된 경우에는, 그 방송프로그램은 SDT의 기술자의 정보가 적응되는 것으로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 control_descriptor)는, 플래그(image_resolution_control, recording_control, print_control, expiration_date_flag, component_flag)와, 각 플래그에 대한 if문(文) 이하의 컨트롤이 있다. 플래그에 「1」이 붙으면, 아래의 if문이 유효하게 되고, if문의 조건에 따라 정지화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component_flag 및 component_tag는, EIT 및 SDT에 기술자를 배치하는 경우에만 배치된다.
image_resolution_control 비트는, 디스플레이의 해상도(화소 수)를 제한하는 것이다. image_resolution_control 비트가 「1」로 되면, 수신기가 접속되는 표시 디바이스(수신기와 텔레비전 수상기가 별체인 경우에는 모니터가 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 수신기를 내장하는 텔레비전이 수신기인 경우는 그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 이외의 모든 조건에 있어서 지정된 화소 수에 화소 제한을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프린터,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위해 정지화를 출력하는 경우, if문에서 정의된 최대 픽셀 사이즈에 화소 제한을 행할 필요가 있다. image_resolution_control 비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if문이 descriptor에 나타나지 않는다. 오리지널의 화상이 지정되는 픽셀 사이즈보다 하회하는 경우는, 이 제한이 지정되어 있어도 제한을 행할 필요는 없다. if문의 maximum_horizontal_pixel_number와 maximum_vertical_pixel_number에 16비트씩 비트가 어사인 되고, 16진수로 제한하는 최대의 픽셀 사이즈를 기술한다. 예를 들면, 정지화의 출력 화상을 SVGA(Super Video Graphic Array) 사이즈로 상한을 설정하고 싶은 경우는, maximum_horizontal_pixel_number에 0x320의 값을, maximum_vertical_pixel_number에 0x0258의 값을 기술한다.
또한, 데이터 방송으로 보내져 온 정지화중, 문자 등의 해상도 제한할 필요가 없는 그래픽스 신호만으로 해상도의 제한을 적응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recording_control 비트는,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한하는 것이다. recording_control 비트가 「1」로 되면, 수신기가 내장 또는 외부 접속되는 기록 매체에 정지화를 기록하는 경우, if문으로 정의된 비트에 따라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다. 비트가 「0」으로 되면, 아래의 if문(if(recording_control==0))은 나타나지 않는다. record_prohibited 비트가 「1」로 되면,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금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다음에 계속되는 recording_security, print_prohibited 비트는 어떠한 값이라도 무효로 된다.
record_prohibited 비트에 「0」이 기술되면, 기록이 허가되고, 다음에 계속되는 recording_security 비트 및 print_prohibited 비트가 유효하게 된다.
recording_security 비트가 「1」로 되면, 기록 매체에 시큐어러티 기술(技術)이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기록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시큐어러티 기술(技術)이 없는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을 행할 수는 없다. 시큐어러티 기술(技術)이 탑재되어 있는 기록 매체는, 구체적으로는 메모리 스틱(등록상표)이다. 메모리 스틱(등록상표)에는 시큐어러티가 탑재된 Magic Gate(등록상표)의 메모리 스틱과, 시큐어러티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청색 메모리 스틱(등록상표)이 있다. recording_security 비트가 「0」으로 되면, 정지화 기록에 시큐어러티 기술(技術)은 요구되지 않는다.
다음 print_prohibited 비트는, 기록된 화상을 프린트 아웃하는 데 제한을 주는 비트이다. print_prohibited에 「1」이 기재되면, 프린트 아웃이 금지되고, 「0」이 기재되면 프린트 아웃이 허가된다. 이 비트는, recording_security 비트가 「1」로 되었을 때에, 정지화 기록 시큐어러티 기술(技術)에 프린트 아웃의 제한이 있고, 이 비트를 계승하여 기록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만 기록을 허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큐어러티 기술(技術)에 프린트 아웃에 대한 제한이 없는 기록 미디어에 대해서는 기록이 허가되지 않는다. 또한, 이 비트는 recording_security 비트가. 「1」로 되었을 때에만 유효한 비트로 된다.
recording_constrain_bit는, 기록하여도 좋은 회수의 지정을 유효하게 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로서, recording_constrain_bit가 「1」이면, number_of_record 비트로 나타나는 회수만 기록이 가능해진다. number_of_record 비트의 8비트에는, 기록 가능한 회수를 다이렉트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회 기록 가능한 경우는 0x0A를 기재한다. 기록 회수에 제한을 부과하지 않는 경우는, recording_constrain_ bit를 「0」으로 설정하고, 이하에 계속되는 number_of_record 비트의 8비트의 에어리어는 무효로 된다.
print_control 플래그가 「1」로 된 경우, 아래의 if문이 유효로 된다. 「0」으로 되었을 때에는, 아래의 if문(if(print_contro1==1))은 나타나지 않는다. if문 내의 print_prohibited 비트가 「1」로 되면, 수신기에 내장 또는 외부 연결된 프린터에 정지화를 프린트하는 것을 금지한다. 이 비트가 「0」으로 되었을 때에만 프린트가 허가되고, 이하에 게속되는 print_constraint_bit, number_of_print 비트가 유효하게 된다. print_constraint_bit가 「1」로 되면, 인쇄에 관한 제한이 가하여지는 것을 의미하고, 다음에 계속되는 number_of_print의 매수 이상의 인쇄를 행하는 것이 금지된다. 이 비트가 「0」으로 되면, 제한 없이 인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number_or_print는, 인쇄를 행하는 경우의 매수 제한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2장을 상한으로 프린트를 출력하는 경우는, 0x02를 기술한다.
expiration_date_flag는, 기한을 제한하는 비트이다. expiration_date_flag가 「1」로 된 경우, 아래의 if문이 유효로 된다. 「0」으로 되었을 때에는, 아래의 if문(if(expiration_flag==1))은 나타나지 않는다. If문 내의 40비트의 expiration_date는, ARIB STD-B10으로 정의되고, TOT(Time Offset Table)의 JST_Time으로 사용되는 일본 표준시간과 같은 정의로 한다. 일본 표준시간(JST)이란, 「UTC(세계 표준시)+9」시간으로 정의된다. expirtaion_date가 정의되면, 정의된 시간까지, 프린트 및 기록 기능이 유효하게 되고, 정의된 시간을 넘은 경우, 프린트 및 기록을 행하면 않된다. 예를 들면, 수신기에 HDD 등의 데이터 기록 미디어가 내장되고, 컨텐츠를 보존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 이 제한 시간이 유효하게 된다. 또한, 기록 미디어에 제한 시간의 지정을 할 수 있는 것에 관해서는, 이 제한을 계승하는 것으로 한다.
component_flag는, ES를 지정하는 비트이다. component_flag가 「1」로 된 경우, 아래의 if문이 유효로 된다. 「0」으로 되었을 때에는, 아래의 if문(if(component_flag==1))은 나타나지 않는다. 이 플래그는, PMT에 기술자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고, 예약 등을 위해 EIT 또는 SDT에 기술하는 경우에, ES에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보내는 때에, ES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comonent_tag에 지정하는 ES의 값을 넣음에 의해 프린트의 예약, 정지화 기록의 예약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를 반드시 넣도록 하면, 컨텐츠의 송출자(送出者)는, 동화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와, 정지화의 카피 제어를 위한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11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를 넣어야 하게 되고, 디지털 방송의 송출측의 큰 부담으로 되는 것이 고려된다. 디지털 방송의 송출측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PMT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정지화의 저작권의 보호가 도모되도록 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와 같이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PMT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PMT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때에는, 프린트, 기록의 기능을 제한 없이 행할 수 있다고 정의하는 것으로 한 경우와,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의 저작권 정보에 의해, 디폴트의 값을 정의한 것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이 선택은, 방송 사업자 정의로 한다. 예를 들면, BS 디지털 방송의 경우는,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의 저작권 정보에 의해, 디폴트의 값을 정의한 선택을 취할 수 있다.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PMT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때에,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 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의 저작권 정보에 의해, 디폴트의 값을 정의하는 경우 이하와 같이 정의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 riptor)가 PMT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가 PMT에 배치되어 있지만, 기술자 내의 digital_recording_control_data가 「00」인 경우는, 동화의 저작권 정보가 「제한 조건 없이 카피 가」로 되기 때문에, 프린트, 정지화 기록에 대해서도 「제약 조건 없이 프린트 및 기록 가능」이라고 바꾸어 읽는 것으로 한다.
digital_recording_control_data가 「10」의 값을 취하는 경우는, 동화의 저작권 정보가 「1세대만 카피 가능」으로 되기 때문에, 프린트에 관해서는, 1장만 프린트 가능(print_prohibited=0, print_constraint_bit=1, number_of_print=000001)으로, 기록에 관해서는 시큐어러티가 정의되어 있는 기록 미디어에만 기록 가능(record_prohibited=0, recording_security=1, print_prohibited=0, number_of_record=1)으로 정의한다.
digital_recording_control_data=11이고 동화의 저작권 정보가 「카피 금지」인 경우는, 프린트 금지(print_prohibited=1), 기록 금지(record_prohibited=1)로 정의한다. 또한, digital_recording_control_data가 어떠한 값을 취한 경우도, image_resolution 및 expiration_date의 제한은 없다고 바꾸어 읽어진다. 또한, 이 바꾸어 읽음은 하나의 예이고, 사업자가 digital_recording_control_data의 각각의 값에 관해, 바꾸어 읽는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의, digital_copy_control_data뿐만 아니라, copy_control_type, API_contorl_data의 값, 컨텐츠 이용 기술자의 image_constraint_token, retention_mode, retention_state, encryption_mode의 값에 의해 바꾸어 읽는 설정을 바꾸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이,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PMT, EIT SDT에 없었던 경우는,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의 CGMS로 대용되지만, PMT EIT SDT에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11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와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가 없었던 경우에는, 정지화의 카피 제어는 디폴트의 값이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도 10은,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에 대한 수신기의 처리 시퀀스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 시퀀스에서는,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의 기술에 의거하여 기록 매체에의 기록이나 프린트 아웃이 제어됨과 함께, PMT에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기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바꾸어 읽음에 의한 설정을 행하도록 한다.
PMT에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11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배치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1).
PMT에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printing_control이 「1」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2). printing_control이 「1」인 경우에는, print_prohibited, print_constraint_bit, number_of_print, image_resolution_control, expiration_date의 기술의 조건에 따라 인쇄 처리가 행하여진다(스텝 S3).
스텝 S2에서, printing_control이 「0」인 경우에는 제약 조건 없이 인쇄가 가능해진다(스텝 S4).
다음에, recording_control이 「1」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5). recording_control이 「1」인 경우에는, record_prohibited, recording_security, print_prohibited, number_of_print, image_resolution_control, expiration_date의 기술의 조건에 따라 기록 처리가 행하여진다(스텝 S6).
스텝 S5에서, recording_control이 「0」인 경우에는, 제약 조건 없이 기록 처리가 가능해진다(스텝 S7).
스텝 S1에서, PMT에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PMT에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8).
PMT에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가 없는 경우에는 제약 조건 없이 인쇄 및 기록이 가능해진다(스텝 S9).
스텝 S8에서, PMT에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가 있는 경우에는, digital_recording_control_data의 값이 무엇인지가 판단된다(스텝 S10).
스텝 S10에서, digital_recording_control_data가 「00」인 경우에는, 제약 조건 없이 인쇄 및 기록이 가능해진다(스텝 S9).
스텝 S10에서, digital_recording_control_data가 「10」인 경우에는, (print_prohibited=0, print_constraint_bit=1, number_of_print=000001)로 되고, 1장만 인쇄 가능하게 하여 처리된다. 또한, (record_prohibited=0, recording_security=1, print_prohibited=0, number_of_record=1)로 되고, 기록에 관해서는 시큐어러티가 정의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만 기록 가능해진다(스텝 S11).
스텝 S10에서, digital_recording_control_data가 「01」 또는 「11」인 경우에는, (print_prohibited=1, record_prohibited=1)로 되고, 인쇄 및 기록이 금지된다(스텝 S12).
도 11은,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 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에 대한 수신기의 예약 시퀀스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 시퀀스에서는,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의 기술에 의거하여 기록 매체에의 기록이나 프린트 아웃의 예약이 제어됨과 함께, EIT 및 SDT에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기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바꾸어 읽음에 의한 설정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예약 방송프로그램의 선택이 행하여지고(스텝 S21), 예약 방송프로그램이 선택되면, 예약 방송프로그램의 EIT 및 SDT가 취득된다(스텝 S22). 그리고, EIT 또는 SDT의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배치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23).
EIT 및 SDT의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printing_control이 「1」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24). printing_control이 「1」인 경우에는, print_prohibited, print_constraint_bit, number_of_print, image_resolution_control, expiration_date의 기술의 조건에 따라, 인쇄 예약 처리가 행하여진다(스텝 S25).
printing_control이 「0」인 경우에는, 제약 조건 없이 인쇄가 가능한 예약 처리가 행하여진다(스텝 S26).
다음에, recording_control이 「1」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27). recording_control이 「1」인 경우에는, record_prohibited, recording_security, print_prohibited, number_of_print, image_resolution_control, expiration_date의 기술의 조건에 따라 기록 예약 처리가 행하여진다(스텝 S28).
스텝 S27에서, recording_control이 「0」인 경우에는, 제약 조건 없이 기록 가능한 예약 처리가 행하여진다(스텝 S29).
스텝 S23에서, EIT 및 SDT의 방송프로그램 정보에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11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EIT 또는 SDT에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스텝 S30).
EIT 또는 SDT에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가 없는 경우에는, 제약 조건 없이, 인쇄 가능 및 기록 가능한 예약 처리가 행하여진다(스텝 S31).
스텝 S30에서, EIT 또는 SDT에 디지털 카피 제어 기술자(digital_copy_control_descriptor)가 있는 경우에는, digital_recording_control_data의 값이 무엇인지가 판단된다(스텝 S32).
스텝 S32에서, digital_recording_control_data가 「00」인 경우에는, 제약 조건 없이 인쇄 및 기록이 가능해진다(스텝 S31).
스텝 S32에서, digital_recording_control_data가 「10」인 경우에는, (print_prohibited=0, print_constraint_bit=1, number_of_print=000001)로 되고, 1장만 인쇄 가능해지는 예약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record_prohibited=0, recording_security=1, print_prohibited=0, number_of_record=1)로 되고, 시큐어러티가 정의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만 기록 가능해지는 예약 처리가 행하여진다(스텝 S33).
스텝 S32에서, digital_recording_control_data가 「01」 또는 「11」인 경우에는, (print_prohibited=1), (record_prohibited=1)로 되고, 인쇄 및 기록의 예약이 불가로 된다(스텝 S33).
또한, 도 5에 도시한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still_image_copy_control_descriptor)로 지정되어 있는 각각의 파라미터는, 하나의 예이고, 파라미터를 줄인 기술자, 또한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구성이 다른 기술자를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최후의 필드의 reserved_future_use를 장래 필요해지는 저작권 정보의 정의를 추가한 것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컨텐츠 이용 기술자(content_availability_descriptor)의 최후의 필드에 정의되어 있는 reserved_future_use의 에어리어에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의 파라미터를 넣고, 정지화 카피 제어 기술자의 대용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으로 보내져 오는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가 도모되도록 한 방송 시스템 및 수신 장치,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및 수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1)

  1. MPEG 시스템의 스트림으로 디지털 방송을 송신하는 송신 장치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송신 장치는,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상기 스트림중의 소정의 테이블에 포함하여 송신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보내져 온 상기 스트림중의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의 처리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2. MPEG 시스템의 스트림으로 디지털 방송을 송신하는 송신 장치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송신 장치는,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상기 스트림중의 소정의 테이블에 포함하여 송신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보내져 온 상기 스트림중의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예약시의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의 처리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테이블은, MPEG에 규정되어 있는 PMT(Program Map Tab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테이블은, MPEG에 규정되어 있는 EIT(Event Information Table) 및/또는 SDT(Service Description Tab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관리 정보는, 동화의 저작권 관리 정보와 독립으로 설정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화상은, 동화상의 일부를 추출한 정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화상은, 데이터 방송으로 보내져 온 정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표시 화면의 해상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중에 포함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포함된 해상도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고, 해상도를 제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데이터 방송으로 보내져 온 정지화중, 문자 등의 해상도 제한할 필요가 없는 그래픽스 신호만에 해상도의 제한을 적응하지 않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기록 제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중에 포함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포함된 기록 제한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고,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인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중에 포함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포함된 인쇄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고, 프린터에의 인쇄를 제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12. MPEG 시스템의 스트림으로 송신되어 온 디지털 방송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한 스트림중에서 소정의 테이블의 정보를 디코드하고, 상기 소정의 테이블로부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스트림중의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의 처리를 행하는 수단을 구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3. MPEG 시스템의 스트림으로 송신되어 온 디지털 방송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한 스트림중에서 소정의 테이블의 정보를 디코드하고, 상기 소정의 테이블로부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스트림중의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예약시의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의 처리를 행하는 수단을 구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상기 정지화 저작권 정보를 참조할 수 없는 때에는,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동화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동화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정지화 저작권 정보를 설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테이블의 정지화 저작권 정보 및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동화 저작권 정보를 참조할 수 없는 때에는, 미리 결정된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정지화 저작권 정보를 설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상기 정지화 저작권 정보를 참조할 수 없는 때에는,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동화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동화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정지화 저작권 정보를 설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정지화 저작권 정보 및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정지화 저작권 정보를 참조할 수 없는 때에는, 미리 결정된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정지화 저작권 정보를 설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8.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중에는 표시 화면의 해상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포함된 해상도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고, 해상도를 제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9.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중에는 기록 제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포함된 기록 제한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고,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20.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중에는 인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포함된 인쇄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고, 프린터에의 인쇄를 제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21.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MPEG 시스템의 스트림중의 소정의 테이블에 포함하여 송신하고,
    상기 송신되어 온 MPEG 시스템의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스트림중의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의 처리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22.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MPEG 시스템의 스트림중의 소정의 테이블에 포함하여 송신하고,
    상기 송신되어 온 MPEG 시스템의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스트림중의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예약시의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의 처리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23.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관리 정보는, 동화의 저작권 관리 정보와 독립으로 설정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24.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화상은, 동화상의 일부를 추출한 정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25.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화상은, 데이터 방송으로 보내져 온 정지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26.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할 때에, 표시 화면의 해상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중에 포함하고, 상기 수신할 때에,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포함된 해상도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고, 해상도를 제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27.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데이터 방송으로 보내져 온 정지화중, 문자 등의 해상도 제한할 필요가 없는 그래픽스 신호만에 해상도의 제한을 적응하지 않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28.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할 때에, 기록 제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중에 포함하고, 상기 수신할 때에,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포함된 기록 제한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고,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제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29.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할 때에, 인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중에 포함하고, 상기 수신할 때에,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포함된 인쇄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고, 프린터에의 인쇄를 제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30. MPEG 시스템의 스트림으로 송신되어 온 디지털 방송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스트림중에서 소정의 테이블의 정보를 디코드하고, 상기 소정의 테이블로부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스트림중의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의 처리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31. MPEG 시스템의 스트림으로 송신되어 온 디지털 방송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스트림중에서 소정의 테이블의 정보를 디코드하고, 상기 소정의 테이블로부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스트림중의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소정의 테이블의 상기 정지화의 저작권 정보에 의거하여 예약시의 정지화의 저작권 보호의 처리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KR1020057008449A 2002-11-21 2003-11-19 방송 시스템 및 수신 장치,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및수신 방법 KR101063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38200A JP4190870B2 (ja) 2002-11-21 2002-11-21 放送システム及び受信装置、放送データの保護方法及び受信方法
JPJP-P-2002-00338200 2002-11-21
PCT/JP2003/014707 WO2004047439A1 (ja) 2002-11-21 2003-11-19 放送システム及び受信装置、放送データの保護方法及び受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546A true KR20050086546A (ko) 2005-08-30
KR101063648B1 KR101063648B1 (ko) 2011-09-07

Family

ID=3232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449A KR101063648B1 (ko) 2002-11-21 2003-11-19 방송 시스템 및 수신 장치,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및수신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46023B2 (ko)
EP (1) EP1564991B1 (ko)
JP (1) JP4190870B2 (ko)
KR (1) KR101063648B1 (ko)
CN (1) CN1714569B (ko)
MY (1) MY142416A (ko)
TW (1) TWI230018B (ko)
WO (1) WO20040474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499B1 (ko) * 2006-04-28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40025134A (ko) * 2012-08-21 2014-03-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mb 시스템에서 제한수신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27033A (en) * 2001-01-16 2005-04-29 Berkshire Lab Inc Enhanced data storage and retrieval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by optical means or by utilising a stored magnetic field strength to cause an amount of shifting of at least one frequency
JP4665442B2 (ja) * 2004-06-21 2011-04-06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受信機および受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60087595A1 (en) * 2004-10-26 2006-04-27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remote controller with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20060046333A (ko) * 2004-11-03 2006-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방송 정보 데이터 구조, 데이터 방송 구분 방법그리고, 데이터 방송 송수신 시스템
KR101241880B1 (ko) * 2006-03-24 2013-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스트림 복제 제한 장치 및 복제 제한 방법
CN100466731C (zh) * 2006-09-21 2009-03-04 青岛有线宽带数字电视发展有限公司 描述符的通用插入播出方法
US7917442B2 (en) * 2006-09-21 2011-03-29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laxing media access restrictions over time
US8780988B2 (en) * 2008-02-28 2014-07-15 Vixs Systems, Inc. Hierarchical video analysis-based real-time perceptual video coding
EP2290943B1 (en) * 2009-08-28 2012-05-16 Irdeto Access B.V. Reliable and non-manipulatable processing of data streams in a receiver
JP5187352B2 (ja) * 2010-06-21 2013-04-24 ソニー株式会社 放送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携帯受信機および受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187377B2 (ja) * 2010-11-25 2013-04-24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受信機および受信方法
JP4996762B1 (ja) * 2011-08-31 2012-08-08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コンテンツ転送方法
US10917670B2 (en) * 2016-07-29 2021-02-09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EP3383055A1 (en) * 2017-03-28 2018-10-03 Rohde & Schwarz GmbH & Co. KG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data related to broadcasting and/or streaming
JP6602991B2 (ja) * 2019-01-16 2019-11-06 マクセル株式会社 デジタルコンテンツ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受信方法
JP7171672B2 (ja) * 2020-10-30 2022-11-15 Tvs Regza株式会社 受信装置
JP7171674B2 (ja) * 2020-10-30 2022-11-15 Tvs Regza株式会社 送受信システム
JP7171675B2 (ja) * 2020-10-30 2022-11-15 Tvs Regza株式会社 受信装置
JP7171673B2 (ja) * 2020-10-30 2022-11-15 Tvs Regza株式会社 表示装置
JP7171676B2 (ja) * 2020-10-30 2022-11-15 Tvs Regza株式会社 受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34287A1 (en) * 1994-10-28 1996-12-06 Hitachi Ltd Input-output circuit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tion apparatus for digital video signal
DE69838692T2 (de) * 1997-01-17 2008-10-30 Nec Corp. System zur Unterdrückung der illegalen Benutzung von Bilddaten
JP4069339B2 (ja) 1998-10-16 2008-04-02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変換装置および信号変換方法
CN100356475C (zh) * 1999-02-26 2007-12-19 日本胜利株式会社 信息重放方法
JP2001086452A (ja) 1999-09-13 2001-03-30 Sony Corp 静止画印刷出力システム、静止画印刷出力方法及び情報提供媒体
CN1192622C (zh) 1999-11-02 2005-03-09 汤姆森特许公司 用于添加条件访问系统的方法和系统
JP3775168B2 (ja) * 2000-04-20 2006-05-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2002124927A (ja) * 2000-10-17 2002-04-26 Hitachi Ltd 総合データ配信サービスにおける受信端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499B1 (ko) * 2006-04-28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40025134A (ko) * 2012-08-21 2014-03-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mb 시스템에서 제한수신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42416A (en) 2010-11-30
CN1714569B (zh) 2010-12-08
EP1564991A4 (en) 2010-07-14
CN1714569A (zh) 2005-12-28
TW200412160A (en) 2004-07-01
EP1564991A1 (en) 2005-08-17
US20060110129A1 (en) 2006-05-25
US7546023B2 (en) 2009-06-09
JP2004173079A (ja) 2004-06-17
KR101063648B1 (ko) 2011-09-07
JP4190870B2 (ja) 2008-12-03
WO2004047439A1 (ja) 2004-06-03
TWI230018B (en) 2005-03-21
EP1564991B1 (en)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648B1 (ko) 방송 시스템 및 수신 장치, 방송 데이터의 보호 방법 및수신 방법
US7904928B2 (en) Content delivery system, content delivery apparatus,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content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4110588B2 (ja) 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EP0762765B1 (en) Digital access control method
US20060230322A1 (en) Content processing device
KR100993977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EP1073273B1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7908639B2 (en) Information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0700896B1 (ko) 디지털 재생 시스템, 및 디지털 방송의 수신 장치
US20020154245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20015232A (ko) 전송 스트림 저장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방송 신호 수신장치
JPH11355686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端末装置
JPH10210411A (ja) ディジタル情報受信装置、記録再生装置および再生装置
KR100435918B1 (ko)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에서의 데이터 암호화 기록 방법
JP2007295225A (ja) デジタル放送用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