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4074A -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4074A
KR20050084074A KR1020057009862A KR20057009862A KR20050084074A KR 20050084074 A KR20050084074 A KR 20050084074A KR 1020057009862 A KR1020057009862 A KR 1020057009862A KR 20057009862 A KR20057009862 A KR 20057009862A KR 20050084074 A KR20050084074 A KR 20050084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lens
imaging device
section
lens fro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3625B1 (ko
Inventor
고이치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4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6Panoramic objectives; So-called "sky lenses" including panoramic objectives having reflecting surfa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4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with cameras or projectors providing touching or overlapping fields of view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3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hree or more 2D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복수의 촬상부로부터 넓은 범위를 촬영할 수 있고,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촬상 소자(3)와 렌즈 앞볼록부(2)를 갖춘 촬상부(1)를 복수 가지고, 인접하는 촬상부(1)끼리에서 촬상 영역이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고, 이 서로 겹치게 하는 방향에 있어서 시점 중심과 촬상 소자(3)와 렌즈 앞볼록부(2)를 통과하는 단면을 취하고, 촬상 소자(3)의 단면 길이(A), 렌즈 앞볼록부(2)의 단면 길이 D, 렌즈 앞볼록부(2)에서 촬상 소자(3)까지의 거리(L), 렌즈 앞볼록부(2)를 포함한 촬상부(1)내의 렌즈 전체를 합성한 초점거리(f)에 대해서, 조건식 AL < fD(1)를 만족하고, 한편 각 촬상부(1)의 시점 중심이 20 mm의 구내에 있도록 배치하여 촬상장치(20)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촬상장치{Imaging device}
본 발명은 렌즈와 촬상 소자를 가지는 촬상부를 복수 구비하여 완성되고, 전체 둘레등 넓은 범위를 촬영할 수 있는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고, 광화각(廣畵角)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촬상장치가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카메라를 다면체 프레임에 설치한 촬상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렇지만, 이 구성에서는 각 카메라의 시점 중심이 일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각 카메라간에 패럴랙스(parallax)(시차)가 생겨서 고품질로 복수의 화상을 연결하여 맞출 수 없다. 또, 카메라에 가까운(지근(至近) 거리의) 피사체를 촬영하려고 하면, 촬영되지 않는 사각(死角)이 생겨 버린다.
이것에 대하여, 예를 들면, 각뿔 미러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카메라의 시점 중심을 가상적으로 대략 일치시킨 촬상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및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특개 2001 - 203924호 공보(도 5)
특허 문헌 2:특공보 39 - 8140호 공보( 제 1도)
특허 문헌 3:특개 평8 - 307735호 공보(도 1)
이와 같이, 각뿔 미러를 이용한 구성에서는 광학적으로 복수의 카메라의 시점 중심이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패럴랙스나 지근 거리에 있는 피사체에 대한 사각의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그렇지만, 각뿔 미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촬상장치 전체가 커지게 되고, 미러의 분열이나 더러움을 생기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어 각뿔 미러의 취급이 어려운 것이 문제가 된다.
또한, 각뿔 미러의 구조상, 각뿔의 중심축에 따른 방향(통상의 각뿔 미러의 배치에서는 상하 방향이 된다)의 촬영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전(全)방위의 촬영을 실시하는 것이 어렵다.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촬상부로부터 넓은 범위를 촬영할 수 있고,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촬상장치의 일실시의 형태의 개략 구성도(수평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촬상장치의 하나의 촬상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촬상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개략 구성도(사시도)이다.
1. 촬상부 2. 렌즈 앞볼록부
3. 촬상 소자 4. 렌즈군
5. 렌즈경통 10. 시점 중심
20, 100, 촬상장치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촬상 소자와 렌즈 앞볼록부를 갖춘 촬상부를 복수 가지며 이루어지고, 인접하는 촬상부끼리에 있어서 서로 상기 촬상부의 촬상 영역이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고, 각 촬상부에 있어서 화각단(畵角端)에 있어서의 주광선을 연장하여 광축과 교차하는 점을 시점 중심이라고 정의하고, 인접하는 촬상부와 촬상 영역이 서로 겹치게 하는 방향에 있어서 시점 중심과 촬상 소자와 렌즈 앞볼록부를 통과하는 단면을 취하고, 이 단면에 있어서 촬상 소자의 단면 길이를 A, 렌즈 앞볼록부의 단면 길이를 D, 렌즈 앞볼록부에서 촬상 소자까지의 거리를 L, 렌즈 앞볼록부를 포함한 촬상부내의 렌즈 전체를 합성한 초점거리를 f로 할 때, 조건식 AL < fD(1)를 만족하고, 한편 복수 촬상부의 각 시점 중심이 20 mm의 구(球)내에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촬상장치에 있어서, 촬상부가 복수의 방향에 있어서, 각각 인접하는 촬상부와 촬상 영역이 서로 겹쳐지고, 이 복수의 방향의 모두에 있어서 각각 조건식(1)을 만족하는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의 본 발명의 촬상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각 촬상부에 있어서 화각단에 있어서의 주광선을 연장하고 광축과 교차하는 점을 시점 중심이라고 정의하고, 인접하는 촬상부와 촬상 영역이 서로 겹치게 하는 방향에 있어서 시점 중심과 촬상 소자와 렌즈 앞볼록부를 통과하는 단면을 취하고, 이 단면에 있어 촬상 소자의 단면 길이를 A, 렌즈 앞볼록부의 단면 길이를 D, 렌즈 앞볼록부로부터 촬상 소자까지의 거리를 L, 렌즈 앞볼록부를 포함한 촬상부내의 렌즈 전체를 합성한 초점거리를 f로 할 때, 조건식 AL < fD(1)를 만족한다.
이 때, 인접하는 촬상부와 촬상 영역이 서로 겹치게 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렌즈 화각(畵角)(W) 및 촬상 소자로부터 렌즈를 전망하는 각도(θ)는 각각, 이하의 식(2) 및 식(3)에서 나타내진다.
W = 2tan-1(A/(2f)) ···(2)
θ = 2tan-1(D/(2L)) ···(3)
그리고, 조건식(1)의 AL < fD를 만족하기 때문에, 0 < A/(2f) < D/(2L)가 성립되고, 함수 f(Ⅹ) = 2tan-1x가 x에 관하여 단조 증가하기 때문에, W < θ가 된다.
이것에 의해, 촬상 소자로부터 렌즈를 전망하는 각도(θ)가, 렌즈 화각(W)보다 큼으로써, 시점 중심이 촬상 소자보다 후방에 존재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다른 촬상부와 시점 중심을 대략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촬상부의 각 시점 중심이 20 mm의 구내에 있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이들 복수의 촬상부에서 촬영한 화상을 패럴랙스를 생기지 않게 서로 겹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촬상장치에 있어서, 촬상부가 복수의 방향에 있어서, 각각 인접하는 촬상부와 촬상 영역이 서로 겹쳐지고, 이 복수의 방향의 모두에 있어서 각각 조건식(1)을 만족하는 구성으로 했을 때에는 이 복수의 방향 모두에 있어서, 패럴랙스를 생기지 않게 화상을 서로 겹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로서 촬상장치의 개략 구성도(수평분향의 단면도)를 도 1에 나타낸다.
이 촬상장치(20)는 렌즈 앞볼록부(2) 및 촬상 소자(3)를 가지는 촬상부(카메라)(1)가, 12개(1A, 1B, 1C, 1D, 1E, 1F, 1G, 1H, 1Ⅰ, 1J, 1K, 1L) 방사상에 배치되고, 한편 인접하는 촬상부(1)끼리가 접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각 촬상부(1)에 있어서, 그 앞단에 렌즈 앞볼록부(2)가 배치되고, 후단 부근에 촬상 소자(3)가 배치되어 있다. 또, 렌즈 앞볼록부(2)와 촬상 소자(3)와의 사이에, 렌즈군(4)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평 방향에 있어서, 각 촬상부(1A ~ 1L)에 의해 30도씩 촬상 영역이 분담되어 합계 360도의 촬상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촬상부(1)끼리에서, 촬영한 화상을 서로 겹치게 할 수 있도록, 또 기계적인(mechanical)인 오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촬상부(1)의 수평 방향의 화각(W)을 30도보다 조금 크게 하고, 인접하는 촬상부(1)의 촬상 영역을 중복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수직 방향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각 촬상부(1A ~ 1L)의 촬상 영역이 30도의 화각을 가지고 있고, 촬상장치(20) 전체에서 원통형의 파노라마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각 동상부(카메라)(1)의 시점 중심은 촬상장치(20)의 중심점(10)에 있어서 대략 일치하고 있다. 이 시점 중심은 각 촬상부(1)에 있어서, 화각단에 있어서의 주광선을 연장하고 광축과 교차하는 점으로서 정의된다.
다음에, 도 1의 촬상장치(20)의 하나의 촬상부(카메라)(1)의 상세한 단면도를 도 2에 나타낸다.
촬상부(1)의 각 부품(렌즈 앞볼록부(2), 렌즈군(4), 촬상 소자(3))은 외주를 카메라경통(5)에 의해서 덮여 있고, 이 카메라경통(5)은 거의 화각단의 광선에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촬상 소자(3)는 도시하지 않지만 정방형의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장치(20)에 있어서는 특히 각 촬상부(1)(1A ~ 1L)에 있어서, 상술한 조건식(1)을 만족하는 구성으로 한다.
즉, 인접하는 촬상부(1)끼리의 촬상 영역이 서로 겹쳐지는 수평방향에 있어서,
A:촬상 소자(3)의 수평 방향의 단면 길이( = 한 변의 길이)
f:렌즈 초점거리(렌즈 앞볼록부(2) 및 렌즈군(4) 전체의 초점거리)
D:렌즈 앞볼록부(2)의 수평 방향의 단면 길이
L:렌즈 앞볼록부(2)에서 촬상 소자(3)까지의 거리
로 했을 때, 조건식(1)의 AL < fD를 만족하는 구성으로 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촬상 소자(3)의 평면 형상을 정방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 정방형의 각 변이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촬상 소자(3)의 수평 방향의 단면 길이는 촬상 소자(3)의 한 변의 길이와 일치한다. 또한, 예를 들면 정방형의 대각선이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하면, 촬상 소자(3)의 수평 방향의 단면 길이는 촬상 소자(3)의 대각선 길이와 일치한다.
이것에 의해, 렌즈 화각(W)과 촬상 소자(3)로부터 렌즈 앞볼록부(2)를 전망하는 각도(θ)에 대해서, 조건식(1)과 아래와 같은 식(2) 및 식(3)으로부터 W < θ로 된다.
W = 2tan-1(A/(2f)) ···(2)
θ = 2tan-l(D/(2L)) ···(3)
이와 같이 촬상 소자(3)에서 렌즈 앞볼록부(2)를 전망하는 각도(θ)가 렌즈 화각(W)보다 크기 때문에, 시점 중심이 촬상 소자(3)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되고, 각 촬상부(1)(1A ~ 1L)의 시점 중심을, 도 1에 나타낸 일점(10)에 대략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장치(20)의 설계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촬상 소자(3)의 한 변의 길이(A) = 3.6 mm, 렌즈 앞볼록부(2)의 직경(D) = 38.6 mm, 렌즈 앞볼록부(2)로부터 촬상 소자(3)까지의 거리(L) = 58.7 mm, 렌즈의 초점거리(f) = 6.5 mm로 할 수 있다. 이 때, AL = 3.6 × 58.7 = 211.32, fD = 6.5 × 38.6 = 250.9이기 때문에, AL < fD가 되어 조건식(1)을 만족한다.
그리고, 식(2) 및 식(3) 식에 의해,
W = 2 × tan-1(3.6/2/6.5) = 30.96
θ= 2 × tan-1(38.6/2/58.7) = 36.4
되기 때문에, θ> W가 되고, 시점 중심이 촬상 소자(3)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 구성으로서 조건식(1)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하여 본다.
촬상 소자(3)의 한 변의 길이(A) = 3.6 mm, 렌즈 앞볼록부(2)의 직경(D) = 30 mm, 렌즈 앞볼록부(2)에서 촬상 소자(3)까지의 거리(L) = 58.7 mm, 렌즈의 초점거리(f) = 6.5 mm, 즉 렌즈 앞볼록부(2)의 직경(D)을 30 mm로 작게 하면, AL = 211.32, fD = 6.5 × 30 = 195이기 때문에, AL > fD가 되어 조건식(1)을 만족하지 않는다.
이 경우, 식(2) 및 식(3) 식에 의해,
W = 2 × tan-1(3.6/2/6.5) = 30.96
θ = 2 × tan-1(30/2/58.7) = 28.7
되기 때문에, 8 < W가 된다. 또, 렌즈 앞볼록부에서 시점 중심까지의 거리(P) = D/2/tan(W/2) = 54.2 mm이며, P < L가 된다.
따라서,β < W 및 P < L로부터, 시점 중심이 렌즈경통내에 위치하여 버리기 때문에, 복수의 촬상부의 시점 중심을 접근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상술의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장치(20)의 구성에 의하면, 각 촬상부(1)가 조건식(1)을 만족함으로써, 시점 중심을 촬상 소자보다 후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러를 이용하지 않고, 복수의 촬상부(카메라)(1)(1A ~ 1L)의 각 시점 중심(10)을 20 mm의 구내에 있도록 배치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일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점 중심이 20 mm의 구내에 있도록 배치함으로써, 또는 대략 일치시킴으로써, 패럴랙스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각 촬상부(1)에서 촬영한 화상을 연결하여 맞출 때에, 이음매의 화상을 화상 처리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것에 의해, 화질을 고품질에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화상을 연결하여 맞추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처리 시간을 생략 또는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을 서로 겹치게 하는 처리를 리얼 타임으로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생방송 등에 용이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장치(20)는 미러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취급이 어려운 미러에 번거롭게 하지 않고, 통상의 렌즈와 같이 사용하기 편리함을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미러를 이용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촬상장치(2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 촬상장치(20)로부터 지근 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서도, 사각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촬영 대상을 선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장치(20)를 전방위를 촬영하는 촬상장치의 다른 구성, 예를 들면 어안(魚眼) 렌즈와 단수의 카메라를 이용했을 경우나, 곡면 미러와 단수의 카메라를 이용했을 경우와 비교하면, 복수의 촬상부(1)(1A ~ 1L)를 사용하여 촬상 영역을 서로 겹치게 하기 때문에, 화소수를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소수를 많이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해상도를 향상하고, 또 화질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1개의 촬상부(1)의 촬상 영역이 좁아지는 만큼, 촬상부(1)에 이용하는 렌즈(렌즈 앞볼록부(2)나 렌즈군(4))의 선택의 폭이 넓어져서, 높은 광학 성능의 렌즈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특히 각 동상부(1)의 촬상 영역의 이음매 부근의 해상도를 확보하고, 충분한 해상도나 화질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띠모양 영역의 전체 둘레에서 고화질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촬상부(1)의 시점 중심을 한 점(10)으로 대략 일치시키고 있지만, 화상의 접합에 지장이 없는 한은 얼마 안되는 엇갈림이 있어도 허용 되는 것이며, 대략 일치시킨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화상의 접합에 지장이 없게 하기 위해서는 각 촬상부(1)의 시점 중심이 20 mm의 구내에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술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촬상부(1)의 광학부품(렌즈 앞볼록부(2), 렌즈군(4), 촬상 소자(3))을 동일한 구성으로서, 각 선상부(1)가 도 2에 나타낸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각 촬상부(1)의 구성이 다르더라도, 각각에서 조건식(1)을 만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시점 중심이 촬상 소자보다 후방으로 되기 때문에, 시점 중심을 20 mm의 구내에 배치하여 지장 없게 화상을 접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의 실시의 형태의 촬상장치(20)에서는 12개의 카메라(촬상부)(1)를 1열에 배치하고, 수평 방향 360도, 수직 방향 30도의 띠모양의 범위를 촬영 영역으로 했지만, 수직 방향의 촬영 범위를 한층 더 넓히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수평 방향으로 띠모양에 카메라(촬상부)가 배치된 카메라열을 수직 방향으로 복수 겹쳐 쌓으면 좋다.
이것에 의해, 상하 방향을 포함한 모든 방향(전방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의 실시의 형태를 다음에 나타낸다.
계속 되는 본 발명의 촬상장치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개략 구성도(사시도)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촬상부)(Cll, C12, C13, ···)로 이루어지는 제 1의 카메라열(Rl)과 카메라(촬상부)(C21, C22, C23, C24, C25, ···)로 이루어지는 제 2의 카메라열(R2)과 카메라(촬상부)(C31, C32, C33, C34, C35, ‥·)로 이루어지는 제3의 카메라열(R3)과 카메라(촬상부)(C41, C42, C43, C44, C45, ···)로 이루어지는 제4의 카메라열(R4)과 카메라(촬상부)(C51, C52, C53, C54, ···)로 이루어지는 제5의 카메라열(R5)과 카메라(촬상부)(C61, C62, C63, ···)로 이루어지는 제6의 카메라열(R6)과의 합계 6개의 카메라열(Rl ~ R6)이 겹치게 되고, 구형상(球形狀)의 촬상장치(100)가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촬상장치(100)에서는 또한 구의 극부에, 다른 카메라(C7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는 반대측의 극부에도 카메라를 설치해도 좋다.
그리고, 각각의 카메라열(Rl, R2, R3, R4, R5, R6)에 있어서, 카메라열을 구성하는 몇 개의 카메라(촬상부)의 시점 중심이, 적어도 20 mm의 구내에 있도록 구성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일치하고 있도록 구성한다. 각 카메라(촬상부)의 시점 중심은 상술한 앞의 실시의 형태와 같게 정의된다.
또한, 각 카메라열(Rl, R2, R3, R4, R5, R6)의 카메라(촬상부)의 시점 중심은 상하의 카메라열의 화상을 패럴랙스 없게 서로 겹치기서로 겹치기 띠모양의 각 카메라열(Rl, R2, R3, R4, R5, R6)의 중심 부근에 있는 것보다도, 모두 촬상장치(100)의 구의 중심 부근에 있도록 각 카메라를 배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모든 카메라(촬상부)의 시점 중심이 촬상장치(100)의 구의 중심으로 대략 일치하고 있도록 구성한다.
앞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D를 렌즈 앞볼록부(2)의 수평 방향의 단면 길이, A를 촬상 소자(3)의 수평 방향의 단면 길이(한 변의 길이)로 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인접하는 촬상부끼리의 각 촬상 영역을 서로 겹치게 할 방향으로 생각하여 그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 길이로서 D 및 A를 정의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장치(100)에서는 같은 카메라렬내의 인접하는 촬상부끼리의 각 촬상 영역을 서로 겹치게 하기 때문에, 렌즈 앞볼록부의 수평 방향의 단면 길이(Dx)를 D로서 촬상 소자의 수평 방향의 단면 길이( = 수평 방향의 변의 길이)(Ax)를 A로서 이들이 조건식(1)을 만족하도록 구성한다.
즉 다음 식(1Ⅹ)을 만족하도록 구성한다.
AxL < fDx (1Ⅹ)
또한, 상하에 적층되는 카메라열의 촬상부끼리, 즉 상하의 촬상부끼리라도 촬상 영역을 서로 겹치게 할 때는 또한 렌즈 앞볼록부의 상하 방향의 단면 길이(Dy)를 D로서, 촬상 소자의 상하 방향의 단면 길이( = 상하 방향의 변의 길이)(Ay)를 A로서 이들도 조건식(1)을 만족하도록 구성한다.
즉, 다음 식(1Y)을 만족하도록 구성한다.
AyL < fDy (1Y)
촬상 소자의 평면 형상이 정방형인 경우에는 Ax = Ay가 된다.
또한, L는 방향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또, 방향에 상관없이 초점거리(f)가 일정하게 되는 렌즈(구면 렌즈 등)를 렌즈 앞볼록부가나 도중(途中)의 렌즈군에게 사용하여 비점수차(非点收差)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상술의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장치(100)에 의하면, 카메라(촬상부)를 서로 겹치게 할 방향에 있어서, 조건식(1)을 만족하도록 구성한 것에 의해, 각 카메라(촬상부)의 시점 중심이 촬상 소자보다 후방으로 되고, 각 카메라열의 몇 개의 카메라의 시점 중심이나 모든 카메라의 시점 중심을 20 mm의 구내에 있도록 배치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앞의 실시의 형태의 촬상장치(20)와 동일하게, 패럴랙스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각 촬상부에서 촬영한 화상을 연결하여 맞출 때에, 이음매의 화상을 화상 처리할 필요가 없어지고, 화질을 고품질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화상을 연결하여 맞추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처리 시간을 생략 또는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을 서로 겹치게 하는 처리를 실시간(real time)으로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생방송 등에 용이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장치(100)는 미러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취급이 어려운 미러로 번거롭게 하지 않고, 통상의 렌즈와 같은 사용하기 편리함을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미러를 이용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촬상장치(1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 촬상장치(100)로부터 지근 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서도, 사각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촬영 대상을 선택하지 않는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장치(100)를 전방위를 촬영하는 촬상장치의 다른 구성, 예를 들면 어안 렌즈와 단수의 카메라를 이용했을 경우나, 곡면 미러와 단수의 카메라를 이용했을 경우와 비교하면, 복수의 촬상부(Cll ~ C71)를 사용하여 촬상 영역을 서로 겹치기 때문에, 화소수를 많이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소수를 많이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해상도를 향상하고, 또 화질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1개의 촬상부의 촬상 영역이 좁아지는 만큼 , 촬상부에 이용하는 렌즈의 선택의 폭이 넓어져서, 높은 광학 성능의 렌즈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각 촬상부의 촬상 영역의 이음매 부근의 해상도를 확보하고, 충분한 해상도나 화질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고화질의 화상을 전방위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촬상장치(100)에 의하면, 몇 개의 카메라(촬상부)가 띠모양으로 배치된 카메라열(Rl, R2, R3, R4, R5, R6)을 6열 겹쳐 쌓음으로써, 상하 방향도 포함한 전방위를 동시에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의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모두 촬상장치(20, 100)의 중심축의 주위에 방사상에 복수의 촬상부가 배치되고, 이 중심축이 연직 방향으로 되어 있지만, 이 중심축을 수평 방향이나 그 외의 방향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의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모두 복수의 촬상부에 의해 띠모양의 영역의 360도 즉 사방을 촬영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복수의 촬상부에 의해 사방의 일부(예를 들면 120도, 180도, 240도 등)를 촬영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각 촬상부의 촬상 영역의 형상은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축구 볼과 같은 육각 형상이나 오각 형상 등, 그 외의 형상도 가능하다.
어느 형상에 있어서도, 인접하는 촬상부끼리의 촬상 영역을 서로 겹치게 할 방향(한방향 혹은 복수의 방향)의 각각의 방향에 있어서, 시점 중심과 촬상 소자와 렌즈 앞볼록부를 통과하는 단면을 취할 때의 촬상 소자의 단면 길이(A)과 렌즈 앞볼록부(D)이 조건식(1)을 만족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 외 여러가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상술의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패럴랙스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각 촬상부에서 촬영한 화상을 연결하여 맞출 때에, 이음매의 화상을 화상 처리할 필요가 없어져서, 화질을 고품질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화상을 연결하여 맞추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처리 시간을 생략 또는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을 서로 겹치게 하는 처리를 실시간으로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생방송 등에 용이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미러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취급이 어려운 미러에 번거롭게 하지 않고, 통상의 렌즈와 같은 사용하기 편리함을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촬상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지근 거리에 있는 피사진체를 촬영하는 경우에서도 사각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촬영 대상을 선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촬상부의 화상을 서로 겹칠 수 있고, 화소수를 많이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해상도나 화질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1개의 촬상부의 촬상 영역이 좁아지는 만큼 , 촬상부에 이용하는 렌즈의 선택의 폭이 넓어져서, 높은 광학 성능의 렌즈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각 촬상부의 촬상 영역의 이음매 부근의 해상도를 확보하고, 충분한 해상도나 화질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고화질의 화상을 사방이나 전방위등의 광범위하고 촬영할 수 있다.

Claims (2)

  1. 촬상 소자와 렌즈 앞볼록부를 갖춘 촬상부를 복수 가지며 이루어지고, 인접하는 상기 촬상부끼리에 있어서, 서로 상기 촬상부의 촬상 영역이 서로 겹치게 하도록 배치된 촬상장치에 있어서,
    각 상기 촬상부에 있어서, 화각단에 있어서의 주광선을 연장하고 광축과 교차하는 점을 시점 중심으로 정의하고,
    인접하는 상기 촬상부와 상기 촬상 영역이 서로 겹치게 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시점 중심과 상기 촬상 소자와 상기 렌즈 앞볼록부를 통과하는 단면을 취하고, 이 단면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의 단면 길이를 A, 상기 렌즈 앞볼록부의 단면 길이를 D, 상기 렌즈 앞볼록부에서 상기 촬상 소자까지의 거리를 L, 상기 렌즈 앞볼록부를 포함한 상기 촬상부내의 렌즈 전체를 합성한 초점거리를 f로 할 때, 조건식
    AL < fD ···(1)
    을 만족하고,
    한편 복수의 상기 촬상부의 각 상기 시점 중심이 20 mm의 구내에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가 복수의 방향에 있어서, 각각 인접하는 상기 촬상부와 촬상 영역이 서로 겹쳐지고, 상기 복수의 방향의 모두에 있어서 각각 상기 조건식(1)을 만족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KR1020057009862A 2002-12-05 2003-12-02 촬상장치 KR100983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53994 2002-12-05
JP2002353994A JP4288939B2 (ja) 2002-12-05 2002-12-05 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074A true KR20050084074A (ko) 2005-08-26
KR100983625B1 KR100983625B1 (ko) 2010-09-24

Family

ID=3246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862A KR100983625B1 (ko) 2002-12-05 2003-12-02 촬상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15177B2 (ko)
EP (1) EP1593999B1 (ko)
JP (1) JP4288939B2 (ko)
KR (1) KR100983625B1 (ko)
CN (1) CN100449402C (ko)
DE (1) DE60336851D1 (ko)
WO (1) WO20040513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6021B2 (ja) * 2005-10-11 2009-12-1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4297111B2 (ja) 2005-12-14 2009-07-1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FR2913779B1 (fr) * 2007-03-13 2009-11-13 Gint Dispositif pour l'acquisition d'image de telesurveillance.
JP4813447B2 (ja) * 2007-11-16 2011-11-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並びにこの撮像システムを備えた撮像装置、携帯端末機器、車載機器、および医療機器
JP4813448B2 (ja) * 2007-11-16 2011-11-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並びにこの撮像システムを備えた撮像装置、携帯端末機器、車載機器、および医療機器
JP2009139697A (ja) * 2007-12-07 2009-06-25 Fujinon Corp 撮像システム、この撮像システムを備えた撮像装置、携帯端末機器、車載機器、および医療機器、並びに撮像システムの製造方法
CN102227668A (zh) * 2008-10-02 2011-10-26 Yepp澳大利亚有限公司 摄像系统
TWI447429B (zh) * 2009-04-10 2014-08-01 Hon Hai Prec Ind Co Ltd 全景相機
US8788676B2 (en) * 2009-05-22 2014-07-2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to or from a mobile device
US8344325B2 (en) * 2009-05-22 2013-01-01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detecting basic gestures
US8542186B2 (en) 2009-05-22 2013-09-24 Motorola Mobility Llc Mobile device with user interaction capabilit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8619029B2 (en) 2009-05-22 2013-12-31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interpreting consecutive gestures
US8391719B2 (en) 2009-05-22 2013-03-05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devices
US8963845B2 (en) 2010-05-05 2015-02-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obile device with temperature sensing capabilit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101825840A (zh) * 2010-05-06 2010-09-08 浙江大学 一种多镜头实时全景成像系统
US9103732B2 (en) 2010-05-25 2015-08-1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User computer device with temperature sensing capabilitie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8751056B2 (en) 2010-05-25 2014-06-10 Motorola Mobility Llc User computer device with temperature sensing capabilitie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101963751B (zh) * 2010-08-19 2011-11-30 西北工业大学 高分辨率实时全景高动态范围图像获取装置及方法
KR101723642B1 (ko) 2011-01-31 2017-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파노라마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기기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방법
DE102011103378B3 (de) * 2011-06-03 2012-08-23 Dallmeier Electronic Gmbh & Co. Kg Überwachungseinrichtung
NZ700887A (en) 2012-04-05 2016-11-25 Magic Leap Inc Wide-field of view (fov) imaging devices with active foveation capability
CN103873753A (zh) * 2012-12-13 2014-06-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及电子设备
AT514174B1 (de) * 2013-03-04 2015-06-15 B & D Buchta Und Degeorgi Mechatronik Gmbh Kamerasystem zur Herstellung von Panoramaaufnahmen
CN103281484A (zh) * 2013-06-17 2013-09-04 清华大学 十亿像素视频采集装置
FR3011645B1 (fr) * 2013-10-07 2015-11-13 Giroptic Dispositif optique pour la capture d'images selon un champ de vision horizontal de 360°
JP2017519250A (ja) * 2014-05-06 2017-07-13 ザカリヤ ニアジZakariya Niazi 撮像システム、方法及び用途
US20190235214A1 (en) * 2016-07-05 2019-08-01 Zero Parallax Technologies Ab Spherical camera lens system, camera system and lens assembly
KR101750528B1 (ko) 2016-10-12 2017-06-23 정은진 광시야각 렌즈 및 렌즈군
KR20180051288A (ko) * 2016-11-08 201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993142A (zh) * 2017-04-14 2017-07-28 深圳市派虎科技有限公司 摄像支架装置及全景摄像系统
WO2018193713A1 (ja) * 2017-04-21 2018-10-2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8282615B (zh) * 2017-11-02 2021-01-05 广东康云多维视觉智能科技有限公司 周边环境扫描方法及系统
US11187914B2 (en) 2018-09-28 2021-11-30 Apple Inc. Mirror-based scene cameras
US11448886B2 (en) 2018-09-28 2022-09-20 Apple Inc. Camera system
KR102564188B1 (ko) * 2019-05-03 2023-08-04 무로 랩스 에스. 엘. Lidar 시스템에 대한 자동 조립식 확장 가시 범위 수광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US20220357646A1 (en) 2019-06-24 2022-11-10 Circle Optics, Inc. Multi-camera Panoramic Image Capture Devices with a Faceted Dome
USD1005368S1 (en) 2019-11-12 2023-11-21 Circle Optics, Inc. Panoramic imag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8340A (en) 1964-01-21 Panoramic motion picture camera arrangement
JPH0497334A (ja) * 1990-08-15 1992-03-30 Kichijin:Kk 三面マルチ撮影方法とその装置
JP3523667B2 (ja) * 1993-08-24 2004-04-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複眼式光学系
US5990934A (en) 1995-04-28 1999-11-23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anoramic viewing
US5657073A (en) * 1995-06-01 1997-08-12 Panoramic Viewing Systems, Inc. Seamless multi-camera panoramic imaging with distortion correction and selectable field of view
JP3478687B2 (ja) * 1996-11-15 2003-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複眼撮像装置
JPH11122521A (ja) * 1997-08-11 1999-04-30 Sony Corp ディジタル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7015954B1 (en) * 1999-08-09 2006-03-21 Fuji Xerox Co., Ltd. Automatic video system using multiple cameras
JP2001203924A (ja) 2000-01-20 2001-07-27 Sony Corp 周囲カメラ
JP2002229137A (ja) * 2001-02-06 2002-08-14 Sony Corp 撮像装置
JP2002229138A (ja) * 2001-02-06 2002-08-14 Sony Corp 撮像装置
JP2002320124A (ja) * 2001-02-13 2002-10-31 Sony Corp 撮像装置
JP4051945B2 (ja) * 2001-02-07 2008-02-2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4211319B2 (ja) 2001-08-17 2009-01-2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WO2004036894A2 (en) * 2002-10-18 2004-04-29 Sarnoff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to allow panoramic visualization using multiple camer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51365A1 (ja) 2004-06-17
EP1593999A1 (en) 2005-11-09
KR100983625B1 (ko) 2010-09-24
DE60336851D1 (de) 2011-06-01
EP1593999B1 (en) 2011-04-20
JP4288939B2 (ja) 2009-07-01
CN1745337A (zh) 2006-03-08
JP2004184862A (ja) 2004-07-02
US20060114332A1 (en) 2006-06-01
EP1593999A4 (en) 2009-05-27
US7515177B2 (en) 2009-04-07
CN100449402C (zh)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625B1 (ko) 촬상장치
JP3841621B2 (ja) 全方位視覚センサー
US6734911B1 (en) Tracking camera using a lens that generates both wide-angle and narrow-angle views
US63042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mnidirectional imaging
US7006123B2 (en) Wide range image pickup apparatus and arrangement for suppressing the appearance of parallax
JP4138867B2 (ja) 複眼方式のカメラモジュール
US6870680B2 (en) Imaging device
US9503638B1 (en) High-resolution single-viewpoint panoramic camera and method of obtaining high-resolution panoramic images with a single viewpoint
JP4386021B2 (ja) 撮像装置
JP3523667B2 (ja) 複眼式光学系
JP4051945B2 (ja) 撮像装置
KR20190070389A (ko) 360도 주야간 영상 촬영 및 파노라마 구현장치
WO2006009088A1 (ja) 撮像装置
JP4211319B2 (ja) 撮像装置
KR101436231B1 (ko) 영상 표시부에 폐공간을 없앤 전방위촬영시스템 및 촬영방법
JP2003005273A (ja) 撮像装置
WO2003096078A2 (en) Spherical and nearly spherical view imaging assembly
JP2001257924A (ja) 広画角撮像装置
US20080078935A1 (en) Imaging apparatus
JP2003287828A (ja) 撮像装置
US8203596B1 (en) Panoramic imaging system with dual imagers
JP4304973B2 (ja) 撮像装置
JP2005099572A (ja) 広域撮影方法および表示方法
JP2002369060A (ja) パノラマカメラの配置方法及びその構築方法
JP2019083483A (ja) 多眼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