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417A - 버킷이 장착되는 제습기의 케이스 - Google Patents

버킷이 장착되는 제습기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417A
KR20050083417A KR1020040011930A KR20040011930A KR20050083417A KR 20050083417 A KR20050083417 A KR 20050083417A KR 1020040011930 A KR1020040011930 A KR 1020040011930A KR 20040011930 A KR20040011930 A KR 20040011930A KR 20050083417 A KR20050083417 A KR 20050083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dehumidifier
case
condensate
condens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3417A/ko
Publication of KR20050083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41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10/00Selection of sound absorbing or insulating material
    • F01N2310/06Porous ceram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90/00Structure, disposition or shape of gas-chambers
    • F01N2490/02Two or more expansion chambers in series connected by means of tubes
    • F01N2490/06Two or more expansion chambers in series connected by means of tubes the gases flowing longitudinally from inlet to outlet in opposite di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90/00Structure, disposition or shape of gas-chambers
    • F01N2490/15Plurality of resonance or dead chambers
    • F01N2490/155Plurality of resonance or dead chambers being disposed one after the other in flow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킷이 장착되는 제습기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모으는 드레인팬과; 상기 드레인팬에 모이는 응축수를 담아 저장하는 버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습기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버킷은 내부에 모인 응축수가 요동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면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서, 버킷의 상면에 형성된 버킷홀을 통해서만 응축수가 버킷의 내부로 유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버킷을 가지고 이동할 때 내부의 응축수가 요동칠 경우에도 버킷 내부의 응축수가 버킷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버킷이 장착되는 제습기의 케이스{Case of dehumidifier having bucket}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습기의 버킷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실내의 습한 공기를 캐비닛의 내부로 흡입하고, 냉매가 유동되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습도를 낮춘 후,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장치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에서 버킷을 분리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1)와, 상기 압축기(1)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2)와, 상기 응축기(2)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미도시)와, 상기 팽창기구에 의해 팽창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3)와, 상기 응축기(2) 및 상기 증발기(3)의 열교환을 돕는 송풍기(4)와, 상기 장치(1)(2)(3)(4)가 설치되는 케이스(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5)는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6a)가 설치되는 후면케이스(6)와, 상기 증발기(3)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받아 모으는 드레인팬(7)과, 상기 후면케이스(6)와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드레인팬(7)에서 모인 응축수를 저장하도록 버킷(8)이 장착되는 전면케이스(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2) 및 증발기(3)는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팬(7)으로 낙하되도록 상기 드레인팬(7)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4) 역시 상기 응축수가 원활히 생성되도록 상기 드레인팬(7)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버킷(8)은 상기 전면케이스(9)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버킷(8)이 전면케이스(8)에 장착될 경우 상기 버킷(8)은 상기 드레인팬(7)의 하측에 위치되어 드레인홀(7a)을 통해 안내되는 응축수를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습기의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액화 상태의 냉매를 증발기(3)에서 증발시킴으로써 주위의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고, 상기 냉매가 증발되면서 증발기(3)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며, 상기 송풍기(4)에 의해 증발기(3)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 역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3) 주위의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응축되어 증발기(3)의 표면에 이슬로 맺힌 후 하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3)의 하측에 배치된 드레인팬(7)으로 떨어진 후 드레인홀(7a)을 통해 안내되어 제습기의 하부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킷(8)에 담수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버킷(8)의 내부에 소정량 이상의 응축수가 담겨지게 되면 상기 버킷(8)의 양측에 형성된 손잡이부(8b)를 잡고 전방으로 잡아당겨 버킷(8)을 인출한 후 응축수를 비우고 상기 버킷(8)을 다시 전면케이스(9)에 장착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버킷(8)은 상기 드레인홀(7a)과 연통되는 버킷덮개(8a)가 상기 버킷(8)의 상면에 장착되나, 상기 버킷(8)의 상면에 단순하게 놓여지는 상기 버킷덮개(8a)는 사용자가 응축수를 비우기 위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응축수가 심하게 유동될 경우 상기 버킷덮개(8a)를 밀어내고 버킷(8)의 밖으로 유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응축수를 버리기 위해 이동할 경우 내부의 응축수가 심하게 요동칠 경우에도 응축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제습기의 버킷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모으는 드레인팬과; 상기 드레인팬에 모이는 응축수를 담아 저장하는 버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습기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버킷은 내부에 모인 응축수가 요동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면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제습기에서 버킷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 중 버킷 배출관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와, 상기 압축기(11)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시키는 응축기(12)와, 상기 응축기(12)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켜 증발시키는 증발기(13)와, 상기 증발기(13) 및 응축기(12)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기(14)와, 상기 장치(11)(12)(13)(14)들이 장착되는 케이스(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0)는 흡입구(24a)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24a)에 필터(22)가 설치되는 후면케이스(24)와, 상기 송풍기(14)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토출구(26a)가 형성된 전면케이스(26)와, 상기 증발기(13)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13)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모으는 드레인팬(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전면케이스(26)의 하부에는 상기 전면케이스(26)에서 탈거하여 응축수를 버릴수 있도록 탈착이 가능한 버킷(30)이 장착된다.
상기 드레인팬(28)은 상기 증발기(13)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모을수 있도록 상면(28a)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면(28a)에는 상기 증발기(13)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버킷(30)으로 안내하는 드레인홀(28b)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28a)은 상기 드레인홀(28b)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버킷(30)은 전체적인 형상이 입방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32)에는 응축수가 유입되도록 버킷홀(32b)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32)은 상기 버킷홀(32b)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버킷(30)의 상면(32)에는 사용자가 버킷(30)을 손쉽게 이동시키도록 손잡이(34)가 형성되는 바, 상기 손잡이(34)는 상기 버킷홀(32b)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면(3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버킷(30)의 일면(미도시)에는 상기 버킷(30)을 전면케이스(26)에서 탈거하지 않고 응축수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배출관(40)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케이스(26)에는 상기 배출관(40)이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연결관(42)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관(40)은 상기 연결관(42)과 밀착되어 연결되도록 외주면(40a)이 테이퍼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관(42)은 상기 전면케이스(26)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전면케이스(26)의 내측에 위치되는 연결관(42)의 일단(42a)은 상기 배출관(40)과 연결되며, 상기 전면케이스(26)의 외측에 위치되는 연결관(42)의 타단(42b)은 외주면에 나사산(42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관(42)의 타단(42b)에는 상기 버킷(30)에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호스(48)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42)을 통해 응축수를 배출시키지 않을 경우 상기 나사산(42c)에는 상기 호스(48) 대신 캡(44)이 장착되어 연결관(42)을 폐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도 2와 도 3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압축기(11)에 전류가 인가되어 구동되고, 상기 압축기(11)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12)로 유입되며, 상기 응축기(12)는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시키고, 상기 응축기(12)에 의해 응축된 냉매는 증발기(13)로 유입되며, 상기 증발기(13)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켜 냉매를 증발시킨다. 상기 증발기(13)에서 냉매가 증발되면 상기 냉매는 상기 증발기(13)를 냉각시키면서 상기 증발기(13) 주위의 공기도 함께 냉각시키고, 상기 냉각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13)의 표면에 응축수를 생성시키게 된다.
상기 증발기(13)의 표면에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13) 표면을 타고 상기 증발기(13)의 하측에 설치된 드레인팬(28)으로 낙하하고, 상기 드레인팬(28)의 상면(28a)에 낙하된 응축수는 상기 상면(28a)의 경사를 타고 상기 드레인홀(28b)로 이동되며, 상기 드레인홀(28b)을 통과하는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팬(28)의 하측에 장착된 버킷(30)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드레인홀(28b)을 통과한 응축수는 상기 버킷(30)의 상면(32)에 낙하되고, 상기 상면(32)에 낙하된 응축수는 상기 상면(32)의 경사에 의해 상기 버킷홀(32b)로 이동된 후 상기 버킷(30)의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응축수는 상기 버킷(30)의 내부에 저장되고,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사용자는 상기 버킷(30)의 내부에 모인 응축수를 비우기 위해 상기 버킷(30)을 전면케이스(26)에서 탈거시킨다. 즉, 사용자는 상기 버킷(30)을 탈거시키기 위해 상기 버킷(30)의 양 가장자리를 잡아 당겨서 버킷(30)과 전면케이스(26)를 분리시키고, 전면케이스(26)에서 분리된 상기 버킷(30)의 손잡이(34)를 잡아 상기 응축수를 버리기 위한 장소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버킷(30)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바, 상기 버킷(30)의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킷(30)이 흔들려서 내부의 응축수가 요동칠 찌라도 상기 버킷홀(32b)을 통해 배출될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버킷(30)은 모여진 응축수를 사용자가 비울 수도 있지만, 상기 전면케이스(26)에 형성된 연결관(42)에 호스(48)를 연결함으로서 상기 버킷(30)에 모이는 응축수를 모이는 즉시 외부로 배출시킬 수도 있고, 상기 버킷(30)의 하측에 형성된 배출관(40)과 상기 전면케이스(26)에 형성된 연결관(42)을 연결시킴으로서 상기 버킷(30) 내부의 응축수를 제습기 밖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버킷(30)을 상기 전면케이스(26)에 장착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배출관(40)과 연결관(42)을 연결시키게 되고, 상기 배출관(40)의 끝단(40a)은 테이퍼져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관(42)의 내면과 밀착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42) 타단(42b)의 외주면에서는 나사산(42c)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42c)과 상기 호스(48)의 끝단(48a)에 형성된 나사산(미도시)이 맞물려 체결됨으로서 상기 버킷(30)의 응축수를 호스(48)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호스(48)를 통해 응축수를 배출시키지 않을 경우 상기 배출관(42)에는 캡(44)이 장착되어 상기 배출관(42)을 폐쇄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케이스는 종래 기술과 달리 버킷 덮개가 형성되지 않고 버킷의 상면이 일체로 형성되는 바, 버킷홀을 통해서만 응축수가 버킷의 내부로 유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버킷을 가지고 이동할 때 내부의 응축수가 요동칠 경우에도 버킷 내부의 응축수가 버킷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상기 버킷의 일면에는 응축수를 저장하지 않고 배출시키는 배출관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이 케이스에 끼움방식에 의해 손쉽게 연결되기 때문에 응축수를 호스를 통해 배출할 경우에도 상기 버킷과 케이스를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제습기에서 버킷을 분리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 중 버킷 배출관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에서 버킷을 분리한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 : 압축기 12 : 응축기
13 : 증발기 14 : 송풍기
20 : 케이스 22 : 필터
24 : 후면케이스 24a : 흡입구
26 : 전면케이스 26a : 토출구
28 : 드레인팬 28a : 상면
28b : 드레인홀 30 : 버킷
32 : 상면 32b : 버킷홀
34 : 손잡이 40 : 배출관
42 : 연결관 44 : 캡
48 : 호스

Claims (5)

  1.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모으는 드레인팬과; 상기 드레인팬에 모이는 응축수를 담아 저장하는 버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습기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버킷은 내부에 모인 응축수가 요동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면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은 응축수를 상기 버킷으로 안내하는 드레인홀이 형성되고,
    상기 버킷의 상면은 상기 홀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버킷 내부로 유입되도록 버킷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의 상면은 상기 드레인홀을 통해 유입된 응축수가 상기 버킷홀로 안내되도록 상기 버킷홀을 향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케이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의 상면에는 상기 버킷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케이스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의 일면에는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케이스
KR1020040011930A 2004-02-23 2004-02-23 버킷이 장착되는 제습기의 케이스 KR20050083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930A KR20050083417A (ko) 2004-02-23 2004-02-23 버킷이 장착되는 제습기의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930A KR20050083417A (ko) 2004-02-23 2004-02-23 버킷이 장착되는 제습기의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417A true KR20050083417A (ko) 2005-08-26

Family

ID=37269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930A KR20050083417A (ko) 2004-02-23 2004-02-23 버킷이 장착되는 제습기의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341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636B1 (ko) 2007-02-12 2007-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EP2927618A1 (en) 2014-03-31 2015-10-07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EP2927619A2 (en) 2014-04-05 2015-10-07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EP2942581A1 (en) 2014-04-29 2015-11-11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and water tank for dehumidifier
EP2966378A1 (en) 2014-07-09 2016-01-13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636B1 (ko) 2007-02-12 2007-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EP2927618A1 (en) 2014-03-31 2015-10-07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EP2927619A2 (en) 2014-04-05 2015-10-07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EP2927619A3 (en) * 2014-04-05 2015-11-11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US9879878B2 (en) 2014-04-05 2018-01-30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EP2942581A1 (en) 2014-04-29 2015-11-11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and water tank for dehumidifier
US9920976B2 (en) 2014-04-29 2018-03-20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and water tank for a dehumidifier
EP2966378A1 (en) 2014-07-09 2016-01-13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633B1 (ko) 제습기
CN107110526A (zh) 除湿装置以及用于除湿或加湿的多功能装置
US10001286B2 (en) Dehumidifier
KR101964663B1 (ko) 제습기
KR20170009044A (ko) 제습기
JP2014224633A (ja) 除湿機
KR101972544B1 (ko) 제습기
KR20050083417A (ko) 버킷이 장착되는 제습기의 케이스
JP2015013253A (ja) 除湿機
JP5644891B2 (ja) 除湿機
CN107062446A (zh) 风道结构、除湿机和除湿方法
KR20040097582A (ko) 냉방용 축냉식 공기냉각기
KR20060065031A (ko) 응축수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에어컨
KR100761952B1 (ko) 제습기
JP2002250539A (ja) 除湿機
JP2742389B2 (ja) 冷凍式除湿装置
KR100758947B1 (ko) 제습기의 베이스
JP2002221337A (ja) 除湿機
KR0111195Y1 (ko)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
KR100352433B1 (ko)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KR200146117Y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수 스플래쉬장치
KR200312488Y1 (ko) 일체형 에어컨
KR0119906Y1 (ko) 제습기의 제습물통 체결장치
KR100469924B1 (ko) 에어컨의 실내기
JP2002357122A (ja) 排気ト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