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544B1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544B1
KR101972544B1 KR1020170026467A KR20170026467A KR101972544B1 KR 101972544 B1 KR101972544 B1 KR 101972544B1 KR 1020170026467 A KR1020170026467 A KR 1020170026467A KR 20170026467 A KR20170026467 A KR 20170026467A KR 101972544 B1 KR101972544 B1 KR 101972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air
guide
main body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261A (ko
Inventor
윤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to KR102017002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544B1/ko
Priority to US16/480,920 priority patent/US20190368771A1/en
Priority to PCT/KR2017/002241 priority patent/WO2018159871A1/ko
Publication of KR20180099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5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de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24F2003/145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heat extracted from the humid air for condensing is returned to the dr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는,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는 본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고 증발기 및 응축기로 이루어지는 열 교환부, 상기 흡입구와 상기 열 교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 교환부의 증발기로 공기를 안내하는 송풍부 및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제습수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를 향하며,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된 제습수가 중력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로 낙하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아래의 실시예들은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장치로써, 여러 가지 제습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제습기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할 때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습기를 제거하는 냉각식 제습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습기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팬, 상기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수단 및 상기 제습수단에서 제습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로 구성된다.
상기 제습수단은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 이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를 거쳐 모세관(팽창튜브)을 통과한 저압의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습기는 냉매가 압축기를 통하여 증발기로부터 응축기와 모세관을 통해 다시 증발기로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팬의 회전으로 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흡입되면,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를 지나면서 냉매에 의하여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어 응축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는 이슬로 맺혀져 제거된다.
제습기의 이용이 일반화되면서, 제습기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2011년 9월 29일에 출원된 선행문헌 제2011-0098956호에서는 가정용 제습기에 대하여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제습기의 증발기를 본체의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배치시킴으로써, 중력에 의해 증발기에 맺히는 응축수를 보다 빠르게 제거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증발기로부터 응축수를 빠르게 제거함으로써 증발기의 온도를 저감시키고 증발기와 이를 통과하는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습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제습기의 응축기를 증발기보다 상측에 배치시키고 공기의 유동 경로를 유연하게 설계함으로써, 제습기의 소음, 진동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는,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는 본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고 증발기 및 응축기로 이루어지는 열 교환부, 상기 흡입구와 상기 열 교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 교환부의 증발기로 공기를 안내하는 송풍부 및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제습수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를 향하며,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된 제습수가 중력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는, 상기 증발기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상면을 향하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승하여 상기 응축기를 향할 수 있다.
상기 제습기는,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배치되는 안내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가이드는, 상기 흡입구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송풍부와 상기 증발기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안내 가이드에 의하여 상기 응축기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안내 가이드의 말단은 증발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상기 응축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송풍부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를 향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송풍부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로 향하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여 상기 토출구에 의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는,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제습수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수용부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증발기 및 제습기 내에서 사용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시키는 응축기를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송풍부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를 향하며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된 제습수가 중력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제습기는,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송풍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안내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내 가이드는 상기 송풍부와 상기 증발기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 가이드의 말단은 상기 증발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상기 본체의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안내 가이드를 따라 상기 본체의 측면 또는 상면을 향해 안내된다.
상기 응축기는 상기 본체의 상면과 상기 안내 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승하여 상기 응축기를 향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정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부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로 향하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여 상기 토출구에 의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는, 증발기를 본체의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배치시킴으로써, 중력에 의해 증발기에 맺히는 응축수가 보다 빠르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는, 증발기로부터 응축수를 빠르게 제거함으로써 증발기의 온도를 저감시키고 증발기와 이를 통과하는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습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는, 응축기를 증발기보다 상측에 배치시키고 공기의 유동 경로를 유연하게 설계됨으로써, 소음, 진동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측면에서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정면에서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증발기로부터 응축수가 제거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측면에서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정면에서 분해된 모습을 나타내며, 도 4는 증발기로부터 응축수가 제거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는, 흡입구(110)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120)로 토출하는 본체(100),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고 증발기(210) 및 응축기(220)로 이루어지는 열 교환부(200)를 포함한다.
이 때, 증발기(210)는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F)의 온도를 냉각시킴으로써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킬 수 있으며, 응축기(220)는 증발기(2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습기 내에서 사용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증발기(210)를 통과한 공기(F')는 가열시킬 수 있다.
또한, 제습기(10)는 흡입구(110)와 열 교환부(200)의 증발기(210)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구(110)로부터 증발기(210)로 공기를 안내하는 송풍부(300) 및 증발기(2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증발기(210)에서 발생된 제습수가 수용되는 수용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습기(10)는, 수용부(400)의 하측에 배치되어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600) 및 본체(100) 내의 전방에 배치되어 본체(100)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는 수조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부(700)는 수용부(400)에 수용된 제습수를 전달받아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증발기(210)는,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수용부(400)를 향하며, 증발기(210)에서 응축된 제습수는 중력에 의하여 수용부(400)로 낙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증발기(210)는 지면 또는 제습기의 본체(100)의 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지면 또는 본체(10)의 하면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증발기(210)가 지면 또는 본체(100)의 하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증발기(210)가 지면 또는 제습기의 본체(100)의 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보다 더 빠르게 증발기(210)에 맺힌 응축수가 증발기(2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는 중력에 의하여 증발기(210)의 각 부분에 맺힌 응축수가 증발기(210)의 다른 부분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수용부(400)를 향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응축기(220)는, 증발기(210)의 상측에서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본체(100)의 상면을 향하며, 증발기(210)를 통과한 공기는 상승하여 응축기(220)를 향할 수 있다. 이는 증발기(210)를 통과한 공기가 본체(100)의 상면을 향해 흐르도록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500)가 구비되기 때문이다.
즉, 제습기(10)는, 증발기(210)와 응축기(220) 사이에 배치되는 안내 가이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 가이드(500)는, 흡입구(110)의 상단으로부터 본체(100)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송풍부(300)와 증발기(21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안내 가이드의 말단(510)은 증발기(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상기 응축기(220)를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증발기(210)를 통과한 공기는 안내 가이드(500)에 의하여 응축기(220)로 안내될 수 있다.
이 때, 송풍부(300)는,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수용부(400)를 향할 수 있다.
즉, 송풍기(300) 또한 증발기(210)와 마찬가지로, 지면 또는 본체(100)의 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지면 또는 본체(10)의 하면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송풍기(300)를 기울게 배치시킴으로써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F)의 유동 방향이 수용부(400) 또는 본체(100)의 하면을 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F)는 기울게 배치된 증발기(210)를 온전히 통과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110)는 본체(100)의 후면에 형성되고, 토출구(120)는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송풍부(300)에 의하여 흡입구(11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F)는 증발기(210)로 향하여 제습되고, 증발기(210)를 통과한 공기(F')는 응축기(220)를 통과하여 토출구(120)에 의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에서는,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F)가 송풍부(300)에 의하여 수용부(400) 또는 본체(100)의 하면을 향해 흐르면서 기울어지게 배치된 증발기(210)를 통과하게 된다.
이 후, 공기는 증발기(21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증발기(210)에는 응축수가 맺히게 되어 공기는 제습 된다. 이 때, 증발기(210)를 지면 또는 본체(100)의 하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배치시킴으로써, 중력에 의해 증발기(210)에 맺히는 응축수가 보다 빠르게 증발기(2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발기(210)로부터 응축수를 빠르게 제거함으로써 증발기(210)의 온도를 저감시키고 증발기(210)와 이를 통과하는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습된 공기는 안내 가이드(500)에 의하여 증발기(210)보다 상측에 배치된 응축기(220)로 향하게 되고, 응축기(220)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높아진다. 그리하여, 고온의 제습된 공기는 토출구(120)에 의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이 때, 증발기(210)에서 응축된 제습수는 낙하되어 수용부(500)에 수용되고, 수용부(500)에 수용된 제습수는 수조부(700)에 저장된다.
이 때, 응축기(220)를 증발기(210)보다 상측에 배치시키고, 증발기(210)와 응축기(220) 사이에 안내 가이드(500)를 배치시킴으로써, 공기의 유동 경로를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한 공기의 유동 경로는 소음, 진동을 감소 시킬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는, 흡입구(110)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120)로 토출하는 본체(100), 본체(100) 내에 배치되어 제습수를 수용하는 수용부(400), 수용부(400)의 상측에 배치되어 흡입구(110)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수용부(400)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송풍부(300), 송풍부(300)와 수용부(400)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냉각시킴으로써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증발기(210) 및 제습기 내에서 사용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증발기(210)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시키는 응축기(220)를 포함한다.
증발기(210) 및 송풍부(300)는,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축(y)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수용부(400)를 향하며 증발기(210)에서 응축된 제습수가 중력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400)로 낙하될 수 있다.
제습기(100)는, 증발기(210) 및 송풍부(4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안내 가이드(500)를 더 포함한다.
안내 가이드(500)는 송풍부(400)와 증발기(21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안내 가이드(500)의 말단은 증발기(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본체(100)의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그리하여, 증발기(210)를 통과한 공기는 안내 가이드(500)를 따라 본체(100)의 측면 또는 상면을 향해 안내된다.
응축기(220)는 본체(100)의 상면과 안내 가이드(5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증발기(210)를 통과한 공기는 상승하여 상기 응축기(220)를 향할 수 있다.
이 때, 흡입구(110)는 본체(100)의 정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고, 토출구(120)는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송풍부(300)에 의하여 흡입구(11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증발기(210)로 향하고, 증발기(210)를 통과한 공기는 응축기(220)를 통과하여 토출구(120)에 의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는, 증발기(210)에 맺히는 응축수가 보다 빠르게 제거되어 수용부(400)로 낙하될 수 있다. 이는, 증발기(210)의 온도를 저감시키고 증발기(210)와 이를 통과하는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습 효율이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제습기
100 : 본체
110 : 흡입구
120 : 토출구
200 : 열 교환부
210 : 증발기
220 : 응축기
300 : 송풍부
400 : 수용부
500 : 안내 가이드
510 : 안내 가이드의 말단
600 : 압축기
700 : 수조부

Claims (11)

  1.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는 본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고, 증발기 및 응축기로 이루어지는 열 교환부;
    상기 흡입구와 상기 열 교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 교환부의 증발기로 공기를 안내하는 송풍부;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제습수가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에 배치되는 안내 가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안내 가이드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안내 가이드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안내 가이드에 의하여 상기 응축기로 안내되고,
    상기 송풍부 및 증발기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를 향함으로써,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부에 의하여 상기 증발기로 향하게 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된 제습수는 중력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상기 수용부를 향해 낙하되고,
    상기 안내 가이드는, 상기 흡입구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송풍부와 상기 증발기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 가이드의 말단은 상기 증발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상기 응축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지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승하여 상기 응축기를 향하는, 제습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로 향하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여 상기 토출구에 의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제습기.
  7.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어, 제습수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수용부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증발기;
    제습기 내에서 사용되는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송풍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안내 가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안내 가이드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부, 증발기 및 응축기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안내 가이드는, 상기 송풍부와 상기 증발기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송풍부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부의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좌우 대칭적인 형상을 지니며,
    상기 안내 가이드의 말단은 상기 증발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상기 본체의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안내 가이드를 따라 상기 본체의 측면 또는 상면을 향해 안내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된 제습수는 중력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상기 수용부를 향해 낙하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본체의 상면과 상기 안내 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승하여 상기 응축기를 향하며,
    상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정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습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로 향하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여 상기 토출구에 의해 외부로 토출되는, 제습기.
KR1020170026467A 2017-02-28 2017-02-28 제습기 KR101972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467A KR101972544B1 (ko) 2017-02-28 2017-02-28 제습기
US16/480,920 US20190368771A1 (en) 2017-02-28 2017-03-02 Dehumidifier
PCT/KR2017/002241 WO2018159871A1 (ko) 2017-02-28 2017-03-02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467A KR101972544B1 (ko) 2017-02-28 2017-02-28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261A KR20180099261A (ko) 2018-09-05
KR101972544B1 true KR101972544B1 (ko) 2019-04-29

Family

ID=63370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467A KR101972544B1 (ko) 2017-02-28 2017-02-28 제습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368771A1 (ko)
KR (1) KR101972544B1 (ko)
WO (1) WO20181598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9980B2 (en) * 2020-06-23 2022-05-24 New Widetech Industries Co., Ltd Dehumidifier with a retractable conduit
US11454406B2 (en) * 2020-06-23 2022-09-27 New Widetech Industries Co., Ltd. Dehumidifier with filtering assembly for secondary tank
USD984620S1 (en) * 2022-09-26 2023-04-25 Gaboss International Limited Dehumidifier
USD994100S1 (en) * 2022-09-26 2023-08-01 Gaboss International Limited Dehumidifi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2203A (ja) * 1992-05-25 1993-12-07 Kubota Corp 熱交換装置の凝縮水処理構造
JPH06304393A (ja) * 1993-04-23 1994-11-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浴室衣類乾燥装置
KR20070044219A (ko) * 2005-10-24 2007-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US8069681B1 (en) * 2008-01-18 2011-12-06 Technologies Holdings Corp. Dehumidifier, cross-flow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king a cross-flow heat exchanger
KR101622247B1 (ko) * 2013-03-08 2016-05-18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제습기
KR102302545B1 (ko) * 2013-11-26 202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101613974B1 (ko) * 2015-04-29 2016-04-20 코스텔(주) 매립형 드레스룸 제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9871A1 (ko) 2018-09-07
US20190368771A1 (en) 2019-12-05
KR20180099261A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544B1 (ko) 제습기
KR101954633B1 (ko) 제습기
US10001286B2 (en) Dehumidifier
KR101964663B1 (ko) 제습기
KR102435202B1 (ko) 제습기
CN103835107A (zh) 干衣机
US20080006039A1 (en) Dehumidifier and centrifugal blower thereof
US20170016637A1 (en) Dehumidifier
US20160168777A1 (en) Vented Dryer With Modular Heat Pump Subassembly
CN104764103A (zh) 除湿器
KR102230330B1 (ko) 제습 장치
JP6337272B2 (ja) 除湿装置
JP2014224633A (ja) 除湿機
JP2017070923A (ja) 除湿装置
KR102378368B1 (ko) 응결수 순환 냉각 방식 제습기
KR102036032B1 (ko) 이동형 에어컨
KR101582399B1 (ko) 제습기
JP5644891B2 (ja) 除湿機
KR101478664B1 (ko) 응결수를 냉각수로 활용하는 냉방 장치
KR102392267B1 (ko) 제습기
KR102089355B1 (ko) 제습기
KR20050083417A (ko) 버킷이 장착되는 제습기의 케이스
JP2019086263A (ja) 除湿装置
KR100980542B1 (ko) 복사패널을 갖는 공기조화장치
CN219346663U (zh) 抗摔型除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