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924B1 - 에어컨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에어컨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924B1
KR100469924B1 KR10-2001-0037190A KR20010037190A KR100469924B1 KR 100469924 B1 KR100469924 B1 KR 100469924B1 KR 20010037190 A KR20010037190 A KR 20010037190A KR 100469924 B1 KR100469924 B1 KR 100469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condensate
evaporator
stor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0925A (ko
Inventor
이창선
문동수
진심원
정인화
이원희
안철오
정문기
윤인철
조관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924B1/ko
Publication of KR2003000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온도를 조정하는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되는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처리하는 에어컨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는 냉매가 증발되면서 발생하는 증발열에 의하여 주변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 실내 공기를 공급하여 냉각시킨 후 다시 실내로 냉각된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기와, 상기 증발기가 수납 설치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생성된 이슬이 중력에 의해서 낙하되는 방향을 안내하고 집수하는 드레인; 상기 실내기 하측 단부에서 외부 케이스를 제외하는 전 영역에 형성되는 버킷 수용부재; 상기 드레인을 따라 중력에 의해서 낙하한 응축수가 저장되고, 버킷 수용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서랍식 구조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 전체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은 투명재질로 구성되어, 닫힌 상태에서도 응축수가 저장된 양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적정의 수위에서 저장된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버킷 수용부재의 전체 영역으로서 내부에 삽입되고 일면만이 외부로 드러나, 사용자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상하 방향의 높이는 실내기 전체 높이의 사분의 일 이상의 높이로 형성되어 많은 양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드레인 버킷; 상기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저장 용량 이상으로 응축수가 저장된 경우에 사용자에게 응축수가 만수위에 이른 것을 알리거나 동작을 정지하여, 응축수의 범람을 방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컨의 실내기{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의 온도를 조정하는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의 실내기에 설치되는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처리하는 에어컨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하절기에 실내 온도를 낮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은 냉매의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실외기와 냉매의 증발열을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를 낮추는 실내기로 나누어진다.
상기 실외기는 실내기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고온, 고압의 냉매로 만드는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고온, 고압의 냉매를 공급 받아 저온, 고압의 냉매로 만드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의 저온, 고압의 냉매를 저온, 저압의 냉매로 만드는 팽창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 축류팬이 위치하며, 상기 축류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에 의하여 응축기의 열은 외부로 전달된다.
실내기의 구조는 도 1과 같이, 실내기(12)의 상하측에 설치되는 흡입구(70) 및 토출구(80)와 상기 토출구(80)의 일측에 위치하는 증발기(50)와 상기 증발기(50) 배면에 위치하는 송풍팬(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실내기(12) 동작은 우선, 증발기(50)는 실외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냉매를 증발시키며, 상기 냉매가 증발하면서 증발기(50) 및 그 주변의 공기를 냉각시킨다. 송풍팬(10)은 상기 증발기(50)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증발기(5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를 토출구(70)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켜 실내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증발기(50)는 온도가 주위보다 낮기 때문에 표면에 이슬 및 성에가 생기며, 증발기(50) 표면의 이슬 및 성에는 중력 방향으로 떨어져 실내기(12) 하측에 위치한 드레인 버킷(30)에 저장된다. 상기 드레인 버킷(30)의 일측에는 응축수를 실내기(12)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20)이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를 드레인 버킷(30)으로부터 외부로 배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드레인 버킷(30)은 바닥면은 높이 차이가 있는 경사진 구조로 상기 드레인 버킷(30)에 저장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하여 중력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수관(20)으로 유동후 실내기(12) 외부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드레인 버킷(30) 아래부분에 실내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은 응축수가 고여 있을 수 있고, 이물질 등에 의해 배수관이 막힐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응축수의 저장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서랍식으로 착탈이 용이하여 응축수를 버리는 것이 편리한 에어컨 실내기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실내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버킷이 열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6: 드레인 108: 드레인 버킷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는 냉매가 증발되면서 발생하는 증발열에 의하여 주변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 실내 공기를 공급하여 냉각시킨 후 다시 실내로 냉각된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기와, 상기 증발기가 수납 설치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생성된 이슬이 중력에 의해서 낙하되는 방향을 안내하고 집수하는 드레인; 상기 실내기 하측 단부에서 외부 케이스를 제외하는 전 영역에 형성되는 버킷 수용부재; 상기 드레인을 따라 중력에 의해서 낙하한 응축수가 저장되고, 버킷 수용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서랍식 구조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 전체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은 투명재질로 구성되어, 닫힌 상태에서도 응축수가 저장된 양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적정의 수위에서 저장된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버킷 수용부재의 전체 영역으로서 내부에 삽입되고 일면만이 외부로 드러나, 사용자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상하 방향의 높이는 실내기 전체 높이의 사분의 일 이상의 높이로 형성되어 많은 양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드레인 버킷; 상기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저장 용량 이상으로 응축수가 저장된 경우에 사용자에게 응축수가 만수위에 이른 것을 알리거나 동작을 정지하여, 응축수의 범람을 방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에어컨 실내기의 구조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하절기 실내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수행하며 구성은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냉매의 온도를 낮추어 저온, 고압의 냉매로 만드는 응축기와 상기 냉매를 기화시켜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저온, 저압의 냉매로 만드는 팽창밸브와 상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가 내부에 수납 설치되는 실외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팽창 밸브로부터의 저온, 저압의 냉매가 증발되면서 증발열에 의하여 주변을 냉각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 실내에서 흡입된 공기를 인가하며 또한 증발기를 거치면서 냉각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하는 송풍기와 상기 증발기와 송풍기가 수납 설치되는 실내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내기에 설치된 증발기는 냉매의 증발열에 의하여 주변 부위를 냉각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증발기 표면에 생성된 이슬 및 성에 등에 의해 응축수가 발생된다.
상기 응축수를 집수 및 저장하는 장치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증발기(102)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드레인 버킷(108)으로 안내하는 드레인(106)과 상기 드레인(106)으로부터 이동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드레인 버킷(10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레인 버킷(108)이 분리 및 이탈 가능한 구조로서, 상기 드레인 버킷이 내부에 수납되는 버킷 수용부재(110)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드레인 버킷(108)은 상기 버킷 수용부재 일측면으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서랍식으로 열고 닫을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내기(100)에 설치된 증발기(102)는 냉매가 증발하면서 증발열에 의하여 주변을 냉각시키는데 이때 주변 부위보다 온도가 낮은 까닭에 이슬 및 성에가 증발기(102) 표면에 생긴다. 상기 이슬 및 성에는 중력방향으로 낙하하여 응축수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 응축수가 이동하는 통로로 드레인(106)이 이용되며, 상기 드레인(106)의 안내를 받아 유동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곳이 드레인 버킷(108)이다.
상기 드레인 버킷(108)은 실내기 하측에 위치하며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실내기 일측면으로부터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서랍식 구조로 쉽게 열고 닫을 수 있어 저장된 응축수를 버리는데 편리하다.
상기 드레인 버킷(108)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열어 보지 않더라도 외부에서 응축수가 저장된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불필요하게 드레인 버킷(108)을 여닫는 것을 방지하였다.
드레인 버킷(108)에 저장된 응축수가 드레인 버킷(108) 외부로 넘칠 경우를 대비하여 감지 센서를 설치한다. 상기 감지 센서는 드레인 버킷(108)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면을 감지하여 저장 용량 이상으로 저장되어 응축수의 범람이 예상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하거나 에어컨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여 응축수가 실내기(100)를 오염하는 것을 예방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내기에 의하면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집수 및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드레인 버킷은 투명재질이어서 응축수량을 확인하기 위해 여닫을 필요가 없다.
또한, 드레인 버킷을 실내기에서 분리하는데 서랍식 구조이므로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여 편의성이 증진되었다.

Claims (2)

  1. 냉매가 증발되면서 발생하는 증발열에 의하여 주변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 실내 공기를 공급하여 냉각시킨 후 다시 실내로 냉각된 공기를 토출하는 송풍기와, 상기 증발기가 수납 설치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생성된 이슬이 중력에 의해서 낙하되는 방향을 안내하고 집수하는 드레인;
    상기 실내기 하측 단부에서 외부 케이스를 제외하는 전 영역에 형성되는 버킷 수용부재;
    상기 드레인을 따라 중력에 의해서 낙하한 응축수가 저장되고, 버킷 수용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서랍식 구조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 전체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은 투명재질로 구성되어, 닫힌 상태에서도 응축수가 저장된 양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적정의 수위에서 저장된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버킷 수용부재의 전체 영역으로서 내부에 삽입되고 일면만이 외부로 드러나, 사용자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상하 방향의 높이는 실내기 전체 높이의 사분의 일 이상의 높이로 형성되어 많은 양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드레인 버킷;
    상기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저장 용량 이상으로 응축수가 저장된 경우에 사용자에게 응축수가 만수위에 이른 것을 알리거나 동작을 정지하여, 응축수의 범람을 방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실내기.
  2. 삭제
KR10-2001-0037190A 2001-06-27 2001-06-27 에어컨의 실내기 KR100469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190A KR100469924B1 (ko) 2001-06-27 2001-06-27 에어컨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190A KR100469924B1 (ko) 2001-06-27 2001-06-27 에어컨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925A KR20030000925A (ko) 2003-01-06
KR100469924B1 true KR100469924B1 (ko) 2005-02-02

Family

ID=2771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7190A KR100469924B1 (ko) 2001-06-27 2001-06-27 에어컨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9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435A (ja) * 1983-08-03 1985-0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機の除湿水量確認装置
JPH0989298A (ja) * 1995-09-28 1997-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20000000617U (ko) * 1998-06-13 2000-01-15 전주범 서랍이 구비된 패캐지 에어콘
JP2000161709A (ja) * 1998-11-26 2000-06-16 Corona Corp 除湿機のドレンタン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435A (ja) * 1983-08-03 1985-0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機の除湿水量確認装置
JPH0989298A (ja) * 1995-09-28 1997-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20000000617U (ko) * 1998-06-13 2000-01-15 전주범 서랍이 구비된 패캐지 에어콘
JP2000161709A (ja) * 1998-11-26 2000-06-16 Corona Corp 除湿機のドレンタ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925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2965A (ko) 응축수 증발장치가 구비된 일체형 에어컨
KR100469924B1 (ko) 에어컨의 실내기
KR20040097582A (ko) 냉방용 축냉식 공기냉각기
JP2008002733A (ja) 冷蔵庫
ES2215469B1 (es) Aparato de aire acondicionado.
JP2002317961A (ja) 除湿機
KR20160071544A (ko) 응결수 순환 냉각 방식 제습기
CN100557351C (zh) 改进的制冷设备
KR20070028884A (ko) 일체형 에어컨
KR20060065031A (ko) 응축수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에어컨
KR100487778B1 (ko) 공기조화기용 물받이구조
JPS592461Y2 (ja) シヨ−ケ−ス
JP2006284054A (ja) 空気調和機
CN219995656U (zh) 一种蒸发盒及具有该蒸发盒的制冷机组
KR100456910B1 (ko) 배수관이 없는 수냉각 에어컨디셔너
CN219222656U (zh) 室内机及空调
KR20040003676A (ko) 에어컨의 실외기 응축수 배출장치
KR100487372B1 (ko) 직냉식 냉장고
KR20030002587A (ko)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수단
KR100430287B1 (ko) 공기 조화 장치
KR100243083B1 (ko) 일체형에어컨
EP2350544B1 (en)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n evaporation tray
KR101317303B1 (ko)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
KR200168802Y1 (ko) 일체형 에어컨
KR100430286B1 (ko) 공기 조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