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1543A - 보습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습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1543A
KR20050081543A KR1020040009847A KR20040009847A KR20050081543A KR 20050081543 A KR20050081543 A KR 20050081543A KR 1020040009847 A KR1020040009847 A KR 1020040009847A KR 20040009847 A KR20040009847 A KR 20040009847A KR 20050081543 A KR20050081543 A KR 20050081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izing
water
cosmetic composition
skin
deep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주
정동호
문덕수
이유순
김종미
김현정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09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1543A/ko
Publication of KR20050081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5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습제를 함유하는 보습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해양 심층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화장료 조성물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보습제는 디소듐EDTA,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세토 소테릴 알콜, 밀납, 소비탄 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미네랄 오일,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100 스테아레이트, 스쿠알렌, 시클로 메티콘, 향료 중에서 선택되는 1개이상의 보습제를 가지며, 상기 해양 심층수는 0.1 내지 90 wt% 이고, 상기 보습제는 8.0 내지 8.5 wt% 이고, 나머지는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이며, 또는 해양 심층수는 3 내지 85 wt% 이고, 상기 보습제는 8.0 내지 8.5 wt% 이고, 나머지는 정제수로 이루어진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는 피부보습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것으로서, 해양심층수, 원수, 역 침투막, 전기투석수를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보습효과를 제공하는 회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보습 화장료 조성물{THE COMPOSITION OF COSMETICS}
본 발명은 보습제를 함유하는 보습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해양 심층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화장료 조성물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보습제는 디소듐EDTA,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세토 소테릴 알콜, 밀납, 소비탄 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미네랄 오일,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100 스테아레이트, 스쿠알렌, 시클로 메티콘, 향료 중에서 선택되는 1개이상의 보습제를 가지며, 상기 해양 심층수는 0.1 내지 90 wt% 이고, 상기 보습제는 8.0 내지 8.5 wt% 이고, 나머지는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이며, 또는 해양 심층수는 3 내지 85 wt% 이고, 상기 보습제는 8.0 내지 8.5 wt% 이고, 나머지는 정제수로 이루어진 보습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젊은 피부를 유지하는데는 수분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 통상 피부의 수분량은 진피에서는 70% 정도이나 표피로 가면서 감소하여 최외각층에서는 약 10~30%가 되며, 진피에서 공급된 물은 주로 수동적 확산에 의해 각질층 상부로 확산되어 외부로 손실된다.
이러한 각질층의 수분보유능은 피부를 매끄럽고 유연한 피부표면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각질층 내의 여러성분이 이러한 기능을 나타내는데 관여하고 있는 것이다.
각질층 중에는 천연보습인자(NMF:Natural Moisurizing Factor)라고 하는 친수성의 수분 보유능력 물질이 존재하여 피부의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각질층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것은 NMF의 작용 때문이며 이에 따라 적절한 유지할 수 있다.
NMF 중에서 가장 많이 차지하는 것은 아미노산이고, 다음으로 무기염이 18.5%, 피롤리돈 카르본산과 젖산염이 각각 12% 씩 차지하고 있다.
피부 보습을 고려할 경우, NMF 뿐만 아니라 이들이 결합되거나 이를 둘러싸서 그 유출을 방지하기도 하고 수분의 증발에 대해 적당한 제어를 하고 있는 세포간 지질 또는 피지 등의 유성성분의 존재, 또는 진피내에 존재하여 보습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뮤코 다당류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그러나 피부의 이러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피부는 혹독한 외부환경 즉, 바람, 추운 날씨, 햇빛 등과 세안, 면도 등과 노화라는 인자가 더해져서 쉽게 수분을 잃게 되어 건조하고 거칠은 피부가 되기 쉽다.
화장품을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여 매끄럽고 촉촉한 피부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즉, 피부에 화장품을 바르게 되면 피부에 인공막을 만들어 주어 외부의 자극을 막아주고 피부내로 부터의 수분손실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어느정도의 수분을 피부에 공급하게 되어 매끄럽고 촉촉한 피부를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화장품은 이들 자연의 보습 메카니즘을 모델로 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중에 보습력이 높은 수용성물 물질을 보습제라 하며, 화장품의 수상부에 첨가하는 중요한 성분의 하나로 되어 있다.
이러한 화장품에 사용되는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등의 다가 알코올이 가장 많고, NMF의 주성분인 피롤리딘 카르본산염이나 젖산염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미생물 생산에 의한 히알루론산나트륨도 이용되고 있다.
보습제는 즉 자체의 수분 보유제로서 작용하며 계의 안정성 유지에 기여하고 그 외에 정균작용을 가지며, 향료보유제, 자극완화제로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보습작용을 갖는 종래의 화장품 원료로서는 매끄럽고, 피부에 자극이 없으며 산뜻한 사용감을 모두 충족시켜 주면서 피부관리를 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며, 이러한 보습제들은 각기 문제점등을 갖고 있다.
이 문제점들을 살펴보면, 종래 화장품에 보습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용성 다가 알코올류의 경우 OH 기가 3개 이상인 글리세린, 솔비톨 등은 뛰어난 보습력에 반해 끈적임이 심하여 사용시 불쾌감을 느끼게 하며, OH 기가 2개인 부틸렌글리콜과 1개인 프로필렌글리콜 등은 피부자극을 유발하기 쉽고 보습능이 다소 떨어진다.
또한, 천연보습인자인 피롤리돈 카르복실산나트륨(PCA-Na), 젖산나트륨(Na-Lactate), 요소 등은 전해성이 강해 유화 안정성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미노산, 콜라겐, 엘라스틴 등도 보습능력이 있다고 하나 그 보습능력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보습능력이 우수하면서 상기의 문제점들이 없는 보습제를 찾기 위하여 수심 200m 이하의 바닷속 깊은 곳에 존재하는 해양심층수가 피부의 수분보유능력을 향상시켜 주면서 궁극적으로는 피부의 번들거리지 않는 사용감을 제공해 주기 위하여, 해양심층수를 함유하여, 보습력 역할은 물론 번들거리지 않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부여해 주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해양심층수는 수심 200m 이상의 바닷속 깊은 곳에 존재하여 저온성, 부영양성, 청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인체에 있어서 약 60~70%를 차지하고 있는 물과 원소 구성이 매우 유사하여 피부에 친화력이 우수하고 민감한 피부에 대해 자극이 매우 적은 물로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물 속에 존재하는 풍부한 미네랄 성분들이 표피를 통해 피부 깊숙이 흡수되어 피부에 영양을 공급해 주고 피부에 대한 보습력을 강화시켜 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기초화장품의 성분 중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고 있는 원료로는, 많게는 90 중량% 이상 , 적게는 20~30 중량%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물이다. 따라서 화장품에 있어서 물은 상당히 중요하며 화장품의 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성분이다.
해양심층수의 피부 효과는 보습력과 항균작용 외에도 균형 잡힌 풍부한 미네랄 성분과 유기물질이 피부에 쉽게 스며들어 피부세포에 좋은 영향을 준다.
이에, 본 발명은 해양심층수가 함유된 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습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표 1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및 비교예 (중량비,wt%, 기준)
성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디소듐EDTA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메틸 파라벤 0.1 0.1 0.1 0.1 0.1 0.1 0.1 0.1 0.1
프로필 파라벤 0.1 0.1 0.1 0.1 0.1 0.1 0.1 0.1 0.1
세토소테릴 알콜 0.5 0.5 0.5 0.5 0.5 0.5 0.5 0.5 0.5
밀납 0.5 0.5 0.5 0.5 0.5 0.5 0.5 0.5 0.5
소비탄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0.5 0.5 0.5 0.5
폴리소르베이트 60, 1.0 1.0 1.0 1.0 1.0 1.0 1.0 1.0 1.0
미네랄 오일 3.0 3.0 3.0 3.0 3.0 3.0 3.0 3.0 3.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1.0 1.0 1.0 1.0
스쿠알렌 1.0 1.0 1.0 1.0 1.0 1.0 1.0 1.0 1.0
시클로 메티콘 0.5 0.5 0.5 0.5 0.5 0.5 0.5 0.5 0.5
향료 0.1~0.3 0.1~0.3 0.1~0.3 0.1~0.3 0.1~0.3 0.1~0.3 0.1~0.3 0.1~0.3 0.1~0.3
해양심층수 0.01 0.1 3.0 5.0 50.0 85.0 90.0 92.0 0.0
정제수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상기 정제수에서 나머지는 100wt%를 기준으로 다른 성분의 중량비를 제외한 중량비를 의미함)
<피부 보습력 효과 실험>
상기 표 1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시료의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해여 수분보유능력 시험을 행하였다.
남녀 각각 20명씩 전체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험 시작 직전에 하박 안쪽면을 온도 22℃, 상대습도 45%의 항온항습실에서 30분 측정실에서 머무르게 하여 피부의 수분자체를 일정하게 유지 시켰다.
그 다음 코르네오메타(Corneometer) CM820을 사용하여 초기의 피부 습도 상태를 측정하였다.
초기의 피부 습도를 측정한 후 시료를 하박 안쪽에 일정량(0.03g/16㎠)을 도포한 후 잘 문지르고 나서 도포 후 일정한 간격으로 피부의 보습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부위를 5번 반복하여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아래의 계산식에 따라 피부 보습력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계산식 = ((B-A)/A)×100(%)
∵ A : 시료 처리 전의 피부 보습력
B : 시료의 피부 보습력
<사용감 평가>
표 1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문 미용인 30명에게 의뢰하여 상쾌함, 흡수력, 촉촉함에 대한 항목을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평가척도는 다음과 같다.
- 5점 : 매우 좋음
- 4점 : 좋음
- 3점 : 보통
- 2점 : 나쁨
- 1점 : 매우 나쁨
위의 실험에 대한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중량비,wt%, 기준)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피부보습력 48.56 80.12 82.12 82.46 83.43 84.28 89.36 91.08 47.40
상쾌함 4.8 4.74 4.65 4.5 4.32 4.28 4.17 3.88 4.86
흡수력 4.93 4.87 4.82 4.77 4.68 4.69 4.30 4.16 4.35
촉촉함 4.51 4.54 4.67 4.76 4.89 4.9 4.93 4.95 3.16
안정성 5.0 5.0 5.0 5.0 5.0 5.0 4.0 3.0 5.0
상기 표 2의 실험 결과로 부터, 해양심층수를 함유하는 특히 0.1 내지 90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해양심층수를 0.01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과 해양심층수를 전혀 함유하지 않고 정제수 만을 함유하여 제조한 조성물에 비하여 피부 보습력에 있어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후 피부에 흡수되는 정도와 촉촉함 면에서도 해양심층수를 함유한 조성물이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에 비해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양심층수를 90 중량% 이상 사용하였을 경우, 피부 보습력과 흡수력, 촉촉함 면에서는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에 비해 우수하지만 안정성 면에서 상당히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보습제는 디소듐EDTA,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세토 소테릴 알콜, 밀납, 소비탄 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미네랄 오일,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 스쿠알렌, 시클로 메티콘, 향료 중에서 선택되는 1개이상의 보습제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해양 심층수의 종류는 원수, 역삼투막 여과수, 전기 투석수중에서 1개를 선택되는 것이며, 상기 화장료는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중에서 1개를 선택되는 것이며, 해양 심층수는 0.1 내지 90 wt% 이고, 상기 보습제는 8.0 내지 8.5 wt% 이고, 나머지는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양 심층수의 함유량에 대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3 내지 85 wt% 이고, 상기 보습제는 8.0 내지 8.5 wt% 이고, 나머지는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습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보습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것으로서, 해양심층수, 원수, 역 침투막, 전기투석수를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보습효과를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해양심층수의 피부 효과는 보습력과 항균작용 외에도 균형 잡힌 풍부한 미네랄 성분과 유기물질이 피부에 쉽게 스며들어 피부세포에 좋은 영향을 주며, 본 발명은 해양심층수가 함유된 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Claims (6)

  1. 보습제를 함유하는 보습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해양 심층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디소듐EDTA,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세토 소테릴 알콜, 밀납, 소비탄 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미네랄 오일,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 스쿠알렌, 시클로 메티콘, 향료 중에서 선택되는 1개이상의 보습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해양 심층수의 종류는 원수, 역삼투막 여과수, 전기 투석수중에서 1개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중에서 1개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해양 심층수는 0.1 내지 90 wt% 이고, 상기 보습제는 8.0 내지 8.5 wt% 이고, 나머지는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해양 심층수는 3 내지 85 wt% 이고, 상기 보습제는 8.0 내지 8.5 wt% 이고, 나머지는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1020040009847A 2004-02-14 2004-02-14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20050081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847A KR20050081543A (ko) 2004-02-14 2004-02-14 보습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847A KR20050081543A (ko) 2004-02-14 2004-02-14 보습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543A true KR20050081543A (ko) 2005-08-19

Family

ID=3726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847A KR20050081543A (ko) 2004-02-14 2004-02-14 보습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15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9899A (ko) * 2012-11-30 2014-06-10 (주)아모레퍼시픽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9899A (ko) * 2012-11-30 2014-06-10 (주)아모레퍼시픽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8340B1 (en) Skin care and protection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KR101199672B1 (ko) 방향성 피부활성 성분을 사용하여 피부를 치료하는 방법
RU2764769C2 (ru) Продукты для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с двухфазной системой
WO1998023152A1 (en) Stabilized ascorbyl compositions
JP2016222642A (ja) ケラチン分散剤
PL189774B1 (pl) Przeciwpotowa kompozycja kosmetyczna w postaci kremu lub kompozycji na kulce
ES2295300T3 (es) Composicion cosmetica o dermatologica que comprende unos derivados de acilaminoamida.
KR101189991B1 (ko)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61186B1 (ko) 크립토탄시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KR20200035032A (ko) 피부 보습을 위한 1,4:3,6-디안하이드로헥시톨
JPS6158442B2 (ko)
US4942153A (en) Skin moisturizing product and process
KR20050081543A (ko) 보습 화장료 조성물
US20060216260A1 (en) Cosmetic peeling method using urea
JP2005342275A (ja) 家庭用衛生薄葉紙
KR20130057394A (ko) 데아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8929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0507915B1 (ko) 목백일홍 꽃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A1106286A (en) Benzyl alcohol as absorber on topical tissues
JPS62209009A (ja) 化粧料
RU2731917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устранения морщин
JPS61183204A (ja) 化粧料
KR102523118B1 (ko) 아이소부탄을 유용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CN115337215B (zh) 一种富含水溶性β-1,3葡聚糖的产品及其制备方法
JP3939857B2 (ja) 皮膚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