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0531A - 척회동절환수단을 구비한 전동공구 - Google Patents

척회동절환수단을 구비한 전동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0531A
KR20050080531A KR1020040008574A KR20040008574A KR20050080531A KR 20050080531 A KR20050080531 A KR 20050080531A KR 1020040008574 A KR1020040008574 A KR 1020040008574A KR 20040008574 A KR20040008574 A KR 20040008574A KR 20050080531 A KR20050080531 A KR 20050080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switching
rotation
tool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7271B1 (ko
Inventor
고승용
Original Assignee
고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승용 filed Critical 고승용
Priority to KR1020040008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271B1/ko
Publication of KR20050080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2Bags or wallets for holding keys
    • A45C11/325Spare-key holders
    • A45C11/326Card-like holders

Landscapes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회동절환수단을 구비한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 드릴(151) 및 드라이버(152)등과 같은 공구를 물어 결속할 수 있도록 전단부에 구비된 척(120)과, 상기 척(120)에 결속된 공구를 회동시킬 수 있게 구동축(130)을 매개로 축결되며 절환가동몸체(421) 내부에 구비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전동공구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30)과 척회동절환수단을 매개로 회동절환이 가능하게 결속되며 일정 위상각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척(120)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척회동절환수단에 의하여 절환되는 두 개 이상의 척을 구비하므로서, 전동공구를 이용한 작업과정에 있어 자주사용되는 각 척에 결속시킨 상태에서 작업과정에 따라 원하는 공구를 선택 회동절환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척회동절환수단을 구비한 전동공구{A rotation-tool had chuck of rotating change type}
본 발명은 척회동절환수단을 구비한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공기능을 갖는 드릴이나 조임해체기능을 갖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전동공구에 있어서 척회동절환수단을 통하여 회동절환되는 두 개의 척을 구비하여서 드릴과 드라이버등과 같은 두 개 이상의 공구가 요구되는 작업장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업을 취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공구는 그 이용범위가 매우 다양한 거으로 건축물의 내, 외장 장식이나 목제 또는 금속제 가구의 조립 및 천공기능과 피스등의 조임해체 작업이 빈번하게 이루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상과 같이 드릴작업 또는 나사못을 밖거나 빼내는 작업에는 하나의 척에 드릴 또는 드라이버등의 공구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동공구가 주로사용되고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전동공구는 드릴 또는 드라이버등과 같은 공구가 조립될 수 있도록 공구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척과, 상기 척에 조립된 공구를 회동시킬 수 있게 구동축을 구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척은 통상 삼등 분활되어 드릴 및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강하게 물어줄 수 있게 한 죠우와, 상기 죠우의 외주연에 나사 결합되어서 조임공구에 의하여 회동되어 상기 죠우를 조이고 풀어서 삽입된 공구를 조립 또는 해체할 수 있도록 한 조임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벽체나 판체 또는 프레임등에 구멍을 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임공구를 이용하여 조임구를 해체 회동시킨 후 벌어진 죠우에 드릴을 끼워 결합하고 조임공구로 해체회동된 조임구를 조임회동시켜서 드릴을 물어 결속하여서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이 드릴을 이용하여 천공작업을 하는 과정에 있어 나사못을 밖고자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실시하여서 드릴을 드라이버로 교체한 후 나사못을 밖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전동공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드릴과 드라이버의 교체를 위한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고층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교체작업과정에 있어 공구가 낙하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공구의 분실로 인하여 새로운 공구를 구입하여야하는 물질적 손해와 작업시간의 지연등 시간적 손실이 따르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전동공구에 구비되는 전단의 척을 일정한 절환 위상각을 가지며 척회동절환수단에 의하여 회동절환되는 두 개의 척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결합되어 있는 공구를 분리하지 않고 일체로 구성된 척을 회동절환하여서 다른 공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하여 작업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 과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151) 및 드라이버(152)등과 같은 공구를 물어 결속할 수 있도록 전단부에 구비된 척(120)과, 상기 척(120)에 결속된 공구를 회동시킬 수 있게 구동축(130)을 매개로 축결합되며 절환가동몸체(421) 내부에 구비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전동공구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30)과 척회동절환수단을 매개로 회동절환이 가능하게 결속되며 일정 위상각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척(120)으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척회동수단은 절환가동몸체(421)의 전단측에 구동축(130)의 외주연을 감싸게 구비되는 고정몸체(140)와, 일정 위상각을 갖게 구비된 두 개 이상의 척(120) 후단을 회동가능하게 구속하여 상기 고정몸체(140)에 일측방향으로 절환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절환하우징(200)과, 상기 절환하우징(200)에 구속된 두 개의 척(120)과 구동축(130) 사이의 동력을 단속할 수 있게 구비한 클러치수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클러치수단의 일실시예로는 도 1과 도 2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30)의 전단에 일자형의 클러치돌기(311)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척(120)의 후단부에는 상기 클러치돌기(311)가 요입결속될 수 있게 상, 하부분으로 관통된 클러치홈(312)을 형성하며, 상기 구동축(130)의 상하부에는 상기 척(120)의 절환과정에 있어 클러치돌기(311)를 가이드할 수 있게한 절환가이드(313)를 형성하고, 척(120)의 클러치 결속상태가 유지되게 절환하우징(20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톱퍼(32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클러치돌기(311)의 단부와 절환가이드(313)의 단부는 절환하우징(200)의 절환회동에 따른 괴적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클러치홈(312)의 저면에도 동일한 곡률의 홈으로 형성하며, 고정몸체(110)는 절환하우징(200)을 외측에서 감싸결합하여 힌지 구속할 수 있게 양측으로 결속판이 돌출형성되게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32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110)의 결속판 내측에서 록킹스프링(324)을 매개로 끼워 결합되어서 구비된 척(120)의 숫자에 따라 절환몸체(200)에 형성한 클러치결속점에 형성한 척(120) 숫자와 같은 회동고정홈(323)에 탄성요입되는 회동고정핀(322)과, 회동고정핀(322)을 탄성몰입시켜 회동절환이 가능하게 절환해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회동고정핀(322)의 돌출단부를 구속하는 결속해제손잡이(321)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회동고정핀(322)은 결속해제손잡이(321)의 단부에서 일정거리의 내측위치에 상기 회동고정핀(322)과 일체로된 볼조인트(322')에 결속되어서 상기 결속해제손잡이(321)의 지렛대동작에 의하여 탄성몰입되게 구성하며, 상기 록킹스프링(324)은 회동제한핀이 결합되는 고정몸체(110) 결속판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게 판스프링으로 구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클러치수단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6과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30)의 전단에 척(120)과의 전동결속을 위하여 구동요철결속부(411)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척(120)의 후단에 구동요철결속부(411)와 전동결속되는 척요철결속부(412)를 형성하며, 구동요철결속부(411)에 요철결속된 척요철결속부(412)의 결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전방측에 절환하우징(200)을 힌지결속 구속하고, 후방측이 출몰스프링(422)을 매개로 고정몸체(140)에 탄성결속되어 전방측으로 탄성동작되게 구비된 절환가동몸체(421)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요철결속부(411)를 일자 이상의 돌기 형상으로 형성하고, 척요철결속부(412)를 구동요철결속부(411)와 대응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구동요철결속부(411)의 단부와 척요철결속부(412)의 내면에는 회동절환과정에 있어 원활한 절환을 위하여 척(120) 후단부의 회동곡률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환가동몸체(421)의 양쪽 내면에는 고정몸체(140)에 형성한 출몰가이드돌기(431)와 대응되는 출몰스라이딩홈(432)을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절환하우징(200)은 도 1 과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로 분할되는 두 개의 분할하우징으로 구성되며, 각 분할하우징은 두 개 이상의 척(120) 후단을 축지 구속할 수 있게 척구속부(210)를 형성하며, 상기 척구속부(210)에는 척의 원활한 회동을 위하여 척(120)의 후단에 구비되는 베어링을 안착구속할 수 있게 베어링홈(211)이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고정몸체(140)의 힌지결속을 위하여 상기 고정몸체(140)에 나사결속되는 힌지핀(230)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공(220)이 천공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드릴(151) 및 드라이버(152)등과 같은 공구를 물어 결속할 수 있도록 전단부에 구비된 척(120)과, 상기 척(120)에 결속된 공구를 회동시킬 수 있게 구동축(130)을 매개로 축결합되며 절환가동몸체(421) 내부에 구비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전동공구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30)과 척회동절환수단을 매개로 회동절환이 가능하게 결속되며 일정 위상각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척(120)으로 구성한 본 발명 중 도 1 과 도 2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회동절환수단의 클러치수단이 클러치돌기(311)와 클러치홈(312) 및 스톱퍼(320)로 이루어진 경우에 있어 사용하고 있는 공구를 다른 규격 또는 다른 종류로 교체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스톱퍼(320)의 결속해제손잡이(321)를 밀어서 회동고정홈(323)에 요입결속되어 있는 회동고정핀(322)이 빠져나오도록하면 절환하우징(200)의 회동이 자유롭게 한다.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하고자하는 공구가 결속되어 있는 척(120)의 클러치홈(312)이 구동축(130)의 클러치돌기(311)와 축결되게 절환하우징(200)을 잡아 회동시키므로서 스톱퍼(320)의 회동고정핀(322)이 회동고정홈(323)에 탄성 요입결속되므로서 다른 종류의 공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과 도 7 ,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수단이 구동요철결속부(411) 및 척요철결속부(412)와 출몰스프링(422)을 매개로 고정몸체(140)에 슬라이딩 결속되는 절환가동몸체(421)로 이루어진 경우에 있어 사용하고 있는 공구를 다른 규격 또는 다른 종류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절환하우징(200)을 잡은상태에서 전방측으로 잡아당겨서 출몰스프링(422)을 매개로 고정몸체(140)에 탄성구속되어 있는 절환가동몸체(421)가 전방측으로 탄성슬라이딩 이동되게하여 구동요철결속부(411)에 물림결속되어 있는 척요철결속부(412)의 결속상태가 해제되게 한다.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하고자하는 공구가 결속되어 있는 척(120)의 척요철결속부(412)가 구동축(130)의 구동요철결속부(411)에 물림결속되게 절환하우징(200)을 회동시키므로서 다른 종류의 공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동수단은 전기에 의하여 동작되는 전기모터 또는 공압에 의하여 동작되는 공압모터로 구성하며, 상기 전기모터 및 공압모터와 구동축(130) 사이에는 회전속도를 가감속하고 토오크를 조절할 수 있게한 감속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척회동절환수단에 의하여 절환되는 두 개 이상의 척을 구비하므로서, 전동공구를 이용한 작업과정에 있어 자주사용되는 각 척에 결속시킨 상태에서 작업과정에 따라 원하는 공구를 선택 회동절환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높은 곳에 작업을 함에 있어서 공구의 교체를 위하여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공구 교체과정에 있어 공구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결합상세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의 상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측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공구 절환과정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결합상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측 단면도.
도 10a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공구 절환과정으로 분리과정도.
도 10b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공구 절환과정으로 결합과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몸체
120 : 척 130 : 구동축 140 : 고정몸체
151 : 드릴 152 : 드라이버
200 : 절환하우징 210 : 척구속부 211 : 베어링홈
220 : 힌지공 230 : 힌지핀
311 : 클러치돌기 312 : 클러치홈 313 : 절환가이드
320 : 스톱퍼
321 : 결속해제손잡이 322 : 회동고정핀 322 : 볼조인트
323 : 회동고정홈 324 : 록킹스프링
411 : 구동요철결속부 412 : 척요철결속부
421 : 절환가동몸체 422 : 출몰스프링
431 : 출몰가이드돌기 432 : 출몰슬라이딩홈

Claims (7)

  1. 드릴(151) 및 드라이버(152)등과 같은 공구를 물어 결속할 수 있도록 전단부에 구비된 척(120)과, 상기 척(120)에 결속된 공구를 회동시킬 수 있게 구동축(130)을 매개로 축결되며 절환가동몸체(421) 내부에 구비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전동공구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30)과 척회동절환수단을 매개로 회동절환이 가능하게 결속되며 일정 위상각을 갖는 두 개 이상의 척(12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회동절환수단을 구비한 전동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척회동수단은 절환가동몸체(421)의 전단측에 구동축(130)의 외주연을 감싸게 구비되는 고정몸체(140)와, 일정 위상각을 갖게 구비된 두 개 이상의 척(120) 후단을 회동가능하게 구속하여 상기 고정몸체(140)에 일측방향으로 절환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절환하우징(200)과, 상기 절환하우징(200)에 구속된 두 개의 척(120)과 구동축(130) 사이의 동력을 단속할 수 있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회동절환수단을 구비한 전동공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수단은 구동축(130)의 전단에 일자형의 클러치돌기(311)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척(120)의 후단부에는 상기 클러치돌기(311)가 요입결속될 수 있게 상하부분으로 관통된 클러치홈(312)을 형성하며, 상기 구동축(130)의 상하부에는 상기 척(120)의 절환과정에 있어 클러치돌기(311)를 가이드할 수 있게한 절환가이드(313)를 형성하고, 척(120)의 클러치 결속상태가 유지되게 절환하우징(20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톱퍼(3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회동절환수단을 구비한 전동공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32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110)의 결속판 내측에서 록킹스프링(324)을 매개로 끼워 결합되어서 구비된 척(120)의 수량에 따라 절환몸체(200)에 형성한 클러치결속점에 형성한 회동고정홈(323)에 탄성요입되는 회동고정핀(322)과, 회동고정핀(322)을 탄성몰입시켜 회동절환이 가능하게 절환해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회동고정핀(322)의 돌출단부를 구속하는 결속해제손잡이(32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회동절환수단을 구비한 전동공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수단은 구동축(130)의 전단에 척(120)과의 전동결속을 위하여 구동요철결속부(411)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척(120)의 후단에 구동요철결속부(411)와 전동결속되는 척요철결속부(412)를 형성하며, 구동요철결속부(411)에 요철결속된 척요철결속부(412)의 결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전방측에 절환하우징(200)을 힌지결속 구속하고, 후방측이 출몰스프링(422)을 매개로 고정몸체(140)에 탄성결속되어 전방측으로 탄성동작되게 구비된 절환가동몸체(42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회동절환수단을 구비한 전동공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요철결속부(411)를 일자 이상의 돌기 형상으로 형성하고, 척요철결속부(412)를 구동요철결속부(411)와 대응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구동요철결속부(411)의 단부와 척요철결속부(412)의 내면에는 회동절환과정에 있어 원활한 절환을 위하여 척(120) 후단부의 회동곡률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절환가동몸체(421)의 내면에는 고정몸체(140)에 형성한 출몰가이드돌기(431)와 대응되는 출몰스라이딩홈(43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회동절환수단을 구비한 전동공구.
  7. 제 1 항에 내지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하우징(200)은 양측로 분할되는 두 개의 분할하우징으로 구성되며, 각 분할하우징은 두 개 이상의 척(120) 후단을 축지 구속할 수 있게 척구속부(210)를 형성하며, 상기 척구속부(210)에는 척의 원활한 회동을 위하여 척(120)의 후단에 구비되는 베어링을 안착구속할 수 있게 베어링홈(211)이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고정몸체(140)의 힌지결속을 위하여 상기 고정몸체(140)에 나사결속되는 힌지핀(230)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공(220)이 천공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회동절환수단을 구비한 전동공구.
KR1020040008574A 2004-02-10 2004-02-10 척회동절환수단을 구비한 전동공구 KR100637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574A KR100637271B1 (ko) 2004-02-10 2004-02-10 척회동절환수단을 구비한 전동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574A KR100637271B1 (ko) 2004-02-10 2004-02-10 척회동절환수단을 구비한 전동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531A true KR20050080531A (ko) 2005-08-17
KR100637271B1 KR100637271B1 (ko) 2006-10-23

Family

ID=3726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574A KR100637271B1 (ko) 2004-02-10 2004-02-10 척회동절환수단을 구비한 전동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72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06194A1 (de) 2016-04-05 2017-10-05 De-Sta-Co Europe Gmbh Spann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19574C2 (de) * 1977-05-02 1983-12-22 Hilti AG, 9494 Schaan Bohrhammer mit angelenktem Schlagvorsatz
JPH0445681A (ja) * 1990-06-13 1992-02-14 Hitachi Ltd マルチメディア通信装置における動画像記憶方式
KR200190419Y1 (ko) * 2000-02-29 2000-08-01 박래혁 나사체결을 위한 보조공구
KR200319722Y1 (ko) * 2003-04-08 2003-07-16 김회근 귀금속 악세서리의 표면 가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06194A1 (de) 2016-04-05 2017-10-05 De-Sta-Co Europe Gmbh Spannvorrichtung
WO2017174067A1 (de) 2016-04-05 2017-10-12 De-Sta-Co Europe Gmbh Spann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7271B1 (ko) 2006-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7355B1 (en) Spindle lock devices for screwdrivers
US7299720B1 (en) Reversible ratchet wrench
US7478979B2 (en) Rotatable chuck
US7481608B2 (en) Rotatable chuck
US6488286B2 (en) Chuck and power driver having improved interface assembly
US20120175142A1 (en) Power tool
US20160031068A1 (en) Screw holding device and screwdriver
JPH047843Y2 (ko)
US6056298A (en) Chuck lock bit changer
US6886643B2 (en) Shaft lock mechanism for a rotary power hand tool
JP2012531321A (ja) ドリリング装置
US7520512B2 (en) Drill chuck
CA2848189C (en) Wrench for rotary tool
JP3955745B2 (ja) アングルドリル
WO2012113151A1 (zh) 工具的扳动装置
KR100637271B1 (ko) 척회동절환수단을 구비한 전동공구
US8109181B2 (en) Ratchet screwdriver and construction method
KR102342861B1 (ko) 전동공구용 보조핸들
WO2012006867A1 (zh) 动力工具
US6227079B1 (en) Self adjusting tool
JP2009142942A (ja) 回転打撃工具
CA2928569A1 (en) Reinforcement member for handle of tool
CN217943179U (zh) 一种车床的卡盘与刀架一体化棘轮扳手
TWI476075B (zh) Wrench structure
JP2009078317A (ja) 回転打撃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