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913A -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 Google Patents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913A
KR20050077913A KR1020040005583A KR20040005583A KR20050077913A KR 20050077913 A KR20050077913 A KR 20050077913A KR 1020040005583 A KR1020040005583 A KR 1020040005583A KR 20040005583 A KR20040005583 A KR 20040005583A KR 20050077913 A KR20050077913 A KR 20050077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residue
cutter
cutt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7611B1 (ko
Inventor
정우교
강창호
Original Assignee
대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화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5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611B1/ko
Publication of KR2005007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적시 원사가 감겨진 보빈(bobbin)에 잔류하는 잔사를 자동으로 제거하는 잔사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터 및 히터에 의한 다중커팅작업을 통해 보빈에 미량의 잔사도 존재하지 않도록 말끔이 제거함은 물론 다량의 보빈을 신속하게 처리하여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호퍼에 담겨진 보빈을 파지부재에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보빈공급수단과, 상기 파지부재로 공급된 보빈을 한쌍의 압지봉 사이로 수평이송시키는 보빈 수평이송수단과, 상기 보빈 수평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보빈의 양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선택적으로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보빈지지수단과, 상기 보빈지지수단에 의해 압지된 보빈에 감겨진 잔사를 1차적으로 커팅하는 잔사 1차커팅수단과, 상기 잔사 1차커팅수단에 의해 1차커팅된 커팅부위를 2차적으로 커팅하는 잔사 2차커팅수단과, 상기 잔사 2차커팅수단을 거쳐 커팅완료된 잔사의 양측을 픽업하여 보빈으로부터 잔사를 분리시키는 잔사취출수단과, 상기 압지봉으로부터 낙하되는 보빈을 외부로 안내 배출하는 보빈배출슈트를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Dreg string treater of bobbin for spinning}
본 발명은 방적시 원사가 감겨진 보빈(bobbin)에 잔류하는 잔사를 자동으로 제거하는 잔사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터 및 히터에 의한 다중커팅작업을 통해 보빈에 미량의 잔사도 존재하지 않도록 말끔이 제거함은 물론 다량의 보빈을 신속하게 처리하여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마대나 원단 등을 제직시에는 원사가 감겨진 다수의 보빈을 제직기에 장치하여 원사가 풀리면서 제직기에 공급되므로써 원단이 제직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원사를 공급하던 보빈에서 원사가 끊어지거나 보빈에 감겨진 원사의 잔량이 소량이면 원사가 많이 감겨진 새 보빈으로 교체하는 것이었다.
즉 끊어진 원사를 자주 연결하여 사용하면 제직된 원단에 원사의 이음부에 의해 흠이 발생하게 되므로써 이음부를 적게하기 위해서는 보빈에서 공급되는 원사가 다 풀리기전에 보빈을 새것으로 교체하므로써 사용된 보빈에는 항상 잔사가 존재하며, 상기한 잔사와 보빈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보빈으로부터 잔사를 제거하여야만 하는 것이었다.
상기한 재활용의 목적으로 보빈과 보빈에 감겨진 잔사를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인력에 의존하여 칼이나 전기인두 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보빈에 감겨진 잔사를 잘라서 잔사와 보빈을 분리하는 것이었다. 이로 인해 시간당 작업량이 매우 저조하여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칼 또는 전기인두를 사용하므로써 작업자가 칼에 베이거나 인두에 데어서 부상을 당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이었다.
근자에 들어 상기 인력에 의존한 불합리한 방법을 탈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잔사처리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지금껏 제안된 잔사처리기는 잔사가 말끔이 제거되지 않고 미량의 잔사가 존재함에 따라 기계적인 작업후에도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을 통한 점검이 반드시 요구되어 그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기계적인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잔사처리에 따른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터를 이용하여 보빈에 감겨진 잔사를 1차적으로 커팅한 후 상기 커팅부위를 히터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1차커팅시 커팅되지 않은 잔여 커팅부위를 히터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커팅하는 다중커팅작업을 통해 보빈에 미량의 잔사도 존재하지 않도록 말끔이 제거함은 물론 다량의 보빈을 신속하게 자동으로 처리하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함을 발명의 기술적인 과제로 하는 것이다.
소기의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퍼에 담겨진 보빈을 푸싱레버의 작동에 따라 간헐적으로 하부에 배치된 파지부재로 공급하는 보빈공급수단과;
상기 보빈공급수단의 하측에 배치되고 일측에 설치된 파지부재로 공급되는 보빈을 한쌍의 압지봉 사이에 위치되도록 수평이송시키는 보빈 수평이송수단과;
상기 보빈 수평이송수단의 측방 양측에 입설된 수직플레이트에 내,외향으로 동시 이송하면서 보빈을 압지하는 한쌍의 압지축이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어느 하나의 압지축은 보빈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보빈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보빈지지수단과;
상기 수직플레이트 상측에 연결된 가이드봉을 타고 왕복이송하는 커터를 이용하여 보빈에 감겨진 잔사를 1차적으로 커팅하는 잔사 1차커팅수단과;
상기 수직플레이트 측방에 연결된 가이드봉을 타고 수평이송하는 히터를 이용하여 1차커팅된 커팅부위를 2차적으로 커팅하는 잔사 2차커팅수단과;
상기 보빈 수평이송수단의 하측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왕복이송하는 한쌍의 니퍼가 양측에 설치된 캠에 의해 오므려지거나 벌려지면서 커팅완료된 잔사의 양측을 픽업하여 보빈으로부터 잔사를 분리시키는 잔사취출수단과;
상기 보빈지지수단의 하측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회동하면서 압지봉으로부터 낙하되는 보빈을 외부로 안내배출하는 보빈배출슈트를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개략적으로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호퍼(4)에 담겨진 보빈(3)을 파지부재(250)에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보빈공급수단(100)과, 상기 파지부재(250)로 공급된 보빈(3)을 한쌍의 압지봉(303)(303a) 사이로 수평이송시키는 보빈 수평이송수단(200)과, 상기 보빈 수평이송수단(200)에 의해 이송된 보빈(3)의 양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선택적으로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보빈지지수단(300)과, 상기 보빈지지수단(300)에 의해 지지된 보빈(3)에 감겨진 잔사를 1차적으로 커팅하는 잔사 1차커팅수단(400)과, 상기 잔사 1차커팅수단(400)에 의해 1차커팅된 커팅부위를 2차적으로 커팅하는 잔사 2차커팅수단(500)과, 상기 잔사 2차커팅수단(500)을 거쳐 커팅완료된 잔사의 양측을 픽업하여 보빈(3)으로부터 잔사를 분리시키는 잔사취출수단(600)과, 상기 압지봉(303)(303a)으로부터 낙하되는 보빈(3)을 외부로 안내 배출하는 보빈배출슈트(700)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가능하도록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프레임조립체(1)는 저부에 이동을 위한 캐스터(2)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다수의 보빈(3)이 담겨지는 호퍼(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호퍼(4)에 담겨지는 다수의 보빈(3)은 도 3과 같이 상호간 맞물리듯 적재된 상태이므로 외력에 의하지 않고서는 하부의 배출구(5)로 낙하되는 일이 없게 된다.
상기 호퍼(4)에 담겨진 보빈(3)을 파지부재(250)로 공급하는 보빈공급수단(100)은 호퍼(4)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경사로(6)의 하단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가이드홈(101)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101)의 외측으로 다수의 푸싱레버(102)가 설치된다. 푸싱레버(102)는 회동축(103)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회동축(103)은 호퍼(4)의 양 측판(7) 사이에 설치되므로써 선택적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중앙에 설치된 한쌍의 푸싱레버(102)는 호퍼(4)의 경사로(6)에 일측이 고정된 공급실린더(104)와 연결된다.
따라서 푸싱레버(102)는 상기 공급실린더(104)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홈(101)을 관통하여 상,하로 선회할 수 있으며, 특히 상부로 선회시 보빈(3)을 들어올리면서 요동을 가하므로써 맞물려진 다수의 보빈(3)이 일시적으로 와해되어 어느하나의 보빈(3)이 하부의 배출구(5)를 통해 보빈 수평이송수단(200)의 파지부재(25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푸싱레버(102)를 작동시키는 공급실린더(104)는 파지부재(250)의 하측에 설치된 감지센서(105)의 감지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파지부재(250)에 보빈(3)이 미공급됨을 감지한 경우에 한해 작동하면서 파지부재(250)에 보빈(3)을 간헐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감지센서(105)는 보빈 수평이송수단(200)의 베이스판(201) 저부에 연결된 센서고정판(106)에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호퍼(4)로부터 공급된 보빈(3)을 한쌍의 압지봉(303)(303a)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평이송시키는 보빈 수평이송수단(200)은 호퍼(4)의 하측 프레임조립체(1)에 베이스판(201)이 배치되고 이 베이스판(201)의 양측에 한쌍의 고정블럭(202)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블럭(202) 사이 중앙에 수평이송실린더(203)가 설치된다.
수평이송실린더(203)는 피스톤로드(204)의 선단에 고정판(205)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고정판(205)에 일정간격으로 호퍼(4)로부터 공급되는 보빈(3)을 일시적으로 파지하는 다수의 파지부재(250)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205)의 양단 상,하에는 파지부재(250)의 수평이송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봉(206)이 일체로 연결되고 이 가이드봉(206)은 고정블럭(202)을 관통하여 엔드판(207)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이송실린더(203)의 작동에 따라 파지부재(250)는 보빈(3)을 한쌍의 압지봉(303)(303a) 사이로 수평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파지부재(250)는 관절과 같이 선택적으로 꺾여지는 동시에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것으로, 고정판(205)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파지부재(251)가 부착되고 고정파지부재(251)에 힌지축(252)을 매개로 회동파지부재(253)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동파지부재(253)는 복원스프링(254)에 의해 회동작동 후 원상태로 복원되어 항상 입설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파지부재(250)가 꺾여지도록 구성된 이유는 도 10과 같이 파지부재(250)가 전진하여 한쌍의 압지봉(303)(303a) 사이에 위치된 후 압지봉(303)(303a)에 의해 보빈(3)이 고정상태를 유지하더라도 파지부재(250)가 호퍼(4)의 하부로 복귀됨에 영향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즉 파지부재(250)의 복귀시 파지부재(250)가 보빈(3)에 의한 걸림현상이 없이 도 10과 같이 전방으로 회동하며, 보빈(3)과 분리된 후에는 원상태로 복원되어 입설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보빈 수평이송수단(200)에 의해 이송된 보빈(3)을 유동없이 지지하는 보빈지지수단(300)은 보빈 수평이송수단(200)의 측방 프레임조립체(1)에 베이스판(301)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판(301) 양측에 한쌍의 수직플레이트(302)가 입설되며 이 수직플레이트(302)의 하측에 보빈(3)의 양측을 압지하는 한쌍의 압지봉(303)(303a)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압지봉(303)(303a)은 내,외향으로 동시에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동시에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하우징(304)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하우징(304)은 수직플레이트(302)의 하측에 결합된 한쌍의 회전지지구(30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압지봉(303)(303a)과 슬라이딩하우징(304)은 스플라인(306)으로 결합되므로써 선택적으로 동시에 일정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압지봉(303)(303a)은 내측 선단에 보빈(3)의 양측에 끼워져 보빈(3)을 유동없이 지지하는 산형의 압지구(307)가 일체로 설치되고 타측은 베어링(308)이 내설된 베어링하우징(309)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베어링하우징(309)은 압지봉(303)(303a)에 이송력을 제공하기 위한 압지실린더(310)와 연결되고, 상기 압지실린더(310)는 수직플레이트(302)의 외면에 부착된 실린더브라켓(311)에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압지실린더(310)가 작동하면 베어링하우징(309)에 결합된 압지봉(303)(303a)이 내향 또는 외향으로 동시에 이송하면서 선택적으로 보빈(3)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보빈(3)에 감겨진 잔사를 1차커팅한 후 2차커팅작업을 위해 커팅부위가 히터(508)와 일치하도록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압지봉(303) 외측에는 보빈회전수단(350)이 형성된다.
상기 보빈회전수단(350)은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하우징(304)에 피니언기어(351)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351)는 회전실린더(352)에 연결되어 회전실린더(352)의 작동에 따라 수평이송하는 래크(353)와 치합설치되는 한편, 상기 래크(353)는 래크가이드부재(354)에 안내되어 수평이송되고 래크가이드부재(354)의 상부에는 커버(355)가 설치된다.
따라서 래크(353)의 수평이송력에 의해 피니언기어(351)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피니언기어(351)가 일체로 결합된 슬라이딩하우징(304)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압지봉(303)(303a)을 회전시킴에 따라 보빈(3)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지봉(303)(303a)은 슬라이딩하우징(304)과 스플라인(306)으로 결합되어 동시 회전이 가능함은 물론 상기 슬라이딩하우징(304)과 압지봉(303)(303a)의 일측은 회전지지구(305) 및 베어링하우징(309)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이므로 회전함에 무리가 없게 된다.
상기 압지봉(303)(303a)에 압지된 보빈(3)의 잔사를 커터(404)를 이용하여 1차커팅하는 잔사 1차커팅수단(400)은 수직플레이트(302)의 상측에 한쌍의 가이드봉(401)이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봉(401)에는 가이드봉(401)을 타고 왕복이송하는 이송체(402)가 설치되며 이송체(402)는 수직플레이트(302)의 일측면에 부착된 1차커팅실린더(403)와 연결되므로써 이송력을 부여받게 된다.
상기 이송체(402)의 하부에는 커터(404)가 장착된 커터하우징(405)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L형의 행거(406)가 설치되고 상기 행거(406)에는 힌지축(407)을 매개로 커터하우징(405)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커터하우징(405)은 일측에 커터(404)가 끼워지는 커터수납부(408)가 형성되고 커터수납부(408)의 내측에는 커터(404)를 장착하기 위한 커터고정편(409)이 설치된다.
상기 커터고정편(409)은 일측에 커터(404)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410)가 형성된 결합단부(411)가 구비되고 결합단부(411)의 타측에는 스프링(412)으로 탄지된 볼(413)이 내설되고 스프링(412)은 세트스크류(414)에 의해 외부로 이탈됨이 방지되며 상기 볼(413)은 커터수납부(408)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어느 하나의 고정홈(415)에 끼워져 커터(404)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터고정편(409)은 커터하우징(405)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된 커터조절구(416)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하부로 밀리면서 커터(404)의 길이를 조절하게 되며, 상기 결합단부(411)에는 고정돌기(410)에 의해 커터(404)가 장착되어 이송체(402)의 이송에 따라 보빈(3)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면서 보빈(3)에 감겨진 잔사를 1차적으로 커팅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터하우징(405)의 일측 상,하에는 커터(404)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미세조절구(450)가 설치되는 것으로, 커터하우징(405)의 일측 상,하에 조절구홀더(451)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조절구홀더(451)의 내부에는 밀판(452)이 내삽되며 이 밀판(452)과 행거(406)의 사이에는 스프링(453)이 탄설되므로써 미세조절구(450)를 회전시키면 스프링(453)의 탄성에 의해 힌지축(407)을 정점으로 커터하우징(405)이 상,하로 미세하게 회동함에 따라 커터(404)의 길이를 더욱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잔사 1차커팅수단(400)에 의하면 이송체(402)가 가이드봉(401)을 타고 왕복이송하면서 보빈(3)에 감겨진 잔사를 1차적으로 커팅하게 된다.
상기 1차커팅된 커팅부위(3a)를 히터(508)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재차 커팅하여 별도의 후처리작업을 요하지 않도록 말끔이 제거하는 잔사 2차커팅수단(500)은 수직플레이트(302)의 측방에 한쌍의 실린더브라켓(501)이 부착되고 이 실린더브라켓(501)에는 한쌍의 가이드봉(502)이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봉(502)에는 가이드봉(502)을 타고 왕복이송하면서 커터(404)를 보빈(3)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체(503)가 설치되는 한편, 제1이송체(503)는 일측 실린더브라켓(501)에 부착된 2차커팅실린더(504)에 의해 수평이송력을 제공받는다.
상기 제1이송체(503)의 저부에는 커터(404)를 보빈(3)에 감겨진 잔사에 근접하도록 수평이송시키는 제2이송체(505)가 설치되는 것으로, 제2이송체(505)는 제1이송체(503)의 저부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봉(506)을 타고 이송되고 일측이 제1이송체(503)의 일측면에 부착된 히팅실린더(507)와 연결되어 수평이송력을 제공받으며, 타측에는 전기인두와 같은 형태의 히터(508)가 설치된다.
이때 히터(508)는 도 16과 같이 보빈(3)의 중심부와 수평선상으로 일치되게 설치되어야만 1차커팅된 커팅부위를 고온의 열을 이용하여 원활하게 말끔이 2차커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잔사 2차커팅수단(500)은 우선적으로 히팅실린더(507)에 의해 히터(508)가 보빈(3)의 커팅부위(3a)에 밀착되도록 이송된 후 2차커팅실린더(504)에 의해 보빈(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하면서 고온의 열을 이용하여 커팅부위(3a)를 2차적으로 커팅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상기 1,2차커팅작업을 통해 커팅완료된 잔사의 양측을 픽업하여 보빈(3)으로부터 자동 분리시키는 잔사취출수단(600)은 보빈 수평이송수단(200)의 하측 프레임조립체(1)에 베이스판(601)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판(601)의 중앙에 취출실린더(602)가 설치되고 취출실린더(602)의 선단에는 이송블럭(603)이 결합되며 이송블럭(603)은 취출실린더(602)의 작동에 따라 수평이송시 보다 원활하게 이송하도록 하부 양측에 결합된 한쌍의 가이드봉(604)이 베이스판(601)의 저면에 부착된 가이드홀더(605)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봉(604)의 선단에는 과도한 이송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606)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블럭(603)의 상부에는 집게의 형상을 갖는 한쌍의 니퍼(607)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니퍼(607)의 상부에 커버(608)가 결합되며 상기 니퍼(607)는 일측 하부에 가이드축(609)이 축설되고 이 가이드축(609)에 한쌍의 가이드롤러(6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 상단에는 포스트바(611)가 입설되는 한편, 포스트바(611)의 상단에는 커팅완료된 잔사의 양측을 픽업하는 후크(612)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니퍼(607)는 스프링(613)으로 연결되어 니퍼(607)가 내향으로 오므려지면서 잔사를 픽업할 수 있는 파지력을 갖게 된다.
상기 취출실린더(602)의 양측에는 니퍼(607)의 전진시 잔사를 픽업하도록 자동으로 오므려지게 하는 동시에 후진시 잔사를 분리시키도록 자동으로 벌어지게 하는 한쌍의 캠(614)이 설치되고 상기 캠(614)은 중앙에 이송홈(615)이 형성되고 이송홈(615) 일측에 요부(616) 및 이탈방지턱(617)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이탈방지턱(617)의 모서리부에는 경사면(618)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홈(615)에는 이송홈(615)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하는 슬라이더(619)가 결합되고 슬라이더(619)는 일측에 캠(614)의 요부(616)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하면서 이탈방지턱(617)에 의해 슬라이더(619)가 더이상 이송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620)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캠(614)의 상부면에는 캠커버(621)가 결합되어 슬라이더(619)가 분리됨을 방지하고 상기 캠커버(621)는 니퍼(607)의 후진시 가이드롤러(610)가 캠(614)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사선이송을 안내하는 사선이송가이드(6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619)는 후면에 가이드봉(623)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봉(623)은 타측이 베이스판(601)에 부착된 가이드홀더(605)에 관통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봉(623)의 외측에는 복원스프링(624)이 끼워지므로써 슬라이더(619)가 가이드롤러(610)에 의해 후방으로 후진된 후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복원력을 갖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니퍼(607)는 도 18과 같이 평상시 가이드롤러(610)가 캠(614) 및 캠커버(621)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취출실린더(602)가 작동함에 따라 내측면을 타고 직선이송하게 되고 내측면을 벗어남과 동시에 경사면(618)을 타고 외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가이드롤러(610) 부위가 외향으로 벌어지는 것에 반해 후크(612)부위는 회동축(625)을 기점으로 오므려지면서 잔사의 양측을 픽업하게 된다.
그리고 잔사가 픽업된 후에는 가이드롤러(610)가 전진시 직선이송을 하던 것에 반해 후진시에는 사선이송가이드(622)에 의해 사선이송을 하면서 캠(614)의 내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즉 후진시 가이드롤러(610)는 슬라이더(619)를 후방으로 밀면서 이와 동시에 캠커버(621)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구간을 직선이송하여 보빈(3)으로부터 잔사를 분리한 후 사선이송가이드(622)를 따라 내향으로 사선이송함에 따라 후크(612) 부위가 자동으로 벌어지면서 잔사가 후크(612)로부터 분리되어 하부에 설치된 잔사배출슈트(6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롤러(610)는 사선이송가이드(622)를 벗어남과 동시에 캠(614)의 내측면에 위치함은 물론 슬라이더(619)는 복원스프링(624)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최초의 작업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보빈지지수단(300)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입설되어 잔사가 분리된 보빈(3)이 압지봉(303)(303a)으로부터 낙하될 때 상기 보빈(3)을 외부로 안내 배출하는 보빈배출슈트(700)는 프레임조립체(1)에 설치된 한쌍의 회전지지구(701)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보빈배출슈트(700)는 프레임조립체(1)에 고정된 슈트실린더(702)와 연결되므로써 상기 슈트실린더(702)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설된 상태에서 경사지게 위치하도록 회동하여 낙하되는 보빈(3)이 외부의 일정구역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보빈배출슈트(700)를 고정식이 아닌 회동식으로 설치한 이유는 고정식으로 경사지게 설치할 경우 잔사취출수단(600)이 보빈배출슈트(700)에 충돌됨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잔사취출수단(600)이 잔사를 제거한 후 원상태로 복원될 경우 선택적으로 보빈배출슈트(700)가 회동하여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잔사의 자동처리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호퍼(4)의 하측에 설치된 감지센서(105)가 파지부재(250)에 보빈(3)이 없음을 감지한 경우 보빈공급수단(100)의 공급실린더(104)가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푸싱레버(102)가 맞물려진 다수의 보빈(3)을 일시적으로 들어올렸다 내리면 요동이 발생되어 하나의 보빈(3)이 배출구(5)를 통해 파지부재(250)로 공급된다.
파지부재(250)에 보빈(3)이 공급되면 수평이송실린더(203)의 작동에 의해 파지부재(250)가 한쌍의 압지봉(303)(303a) 사이로 위치되게 이송하며, 순차적으로 양측 압지실린더(310)의 작동에 따라 한쌍의 압지봉(303)(303a)이 도 8과 같이 내향으로 동시에 이송하면서 선단의 압지구(307)가 보빈(3)의 양측에 끼워져 강력한 압지력으로 보빈(3)을 유동없이 지지하게 된다.
상기 압지봉(303)(303a)에 의해 보빈(3)이 고정상태를 유지하면 파지부재(250)는 도 10과 같이 원상태로 복원되기 위해 후방으로 이송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보빈(3)을 파지하고 있던 회동파지부재(253)는 관절이 꺾여지듯 회동하면서 보빈(3)으로부터 이탈되며, 보빈(3)을 벗어난 후에는 복원스프링(254)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복원되어 파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압지봉(303)(303a)에 의해 보빈(3)이 고정상태를 유지하면 잔사 1차커팅수단(400)의 1차커팅실린더(403)가 작동함에 따라 이송체(402)가 가이드봉(401)을 타고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면서 1차적으로 커터(404)에 의해 보빈(3)에 감겨진 잔사가 커팅된다.
상기 잔사 1차커팅수단(400)에 의한 1차 커팅이 완료되면 잔사의 커팅부위(3a)가 상부에 위치하므로 잔사 2차커팅수단(500)에 의한 2차커팅작업을 위해서는 상기 커팅부위(3a)가 히터(508)와 수평선상으로 위치하도록 일정각도만큼 회전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보빈회전수단(350)의 회전실린더(352)가 작동되고 상기 회전실린더(352)의 작동에 의한 래크(353)의 수평이송력이 피니언기어(351)로 전달되어 슬라이딩하우징(304) 및 압지봉(303)(303a)이 동시에 회전함에 따라 보빈(3)이 히터(508)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잔사 2차커팅수단(500)의 히팅실린더(507) 작동에 따라 제2이송체(505)가 이송하여 히터(508)가 커팅부위(3a)에 밀착되며, 상기 커팅부위(3a)에 히터(508)가 밀착되면 2차커팅실린더(504)의 작동에 따라 제1이송체(503)가 가이드봉(502)을 타고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면서 1차커팅된 커팅부위(3a)를 2차적으로 고온의 열을 이용하여 커팅하게 된다. 이때 히터(508)에 의한 2차커팅작업은 작업여건에 따라 작동횟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통상 2회정도의 왕복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반복적인 1,2차커팅작업에 의해 잔사는 자동으로 커팅이 완료되며, 커팅이 완료된 잔사는 잔사취출수단(600)에 의해 보빈(3)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한 후 보빈(3)과 잔사가 각각 다른 일정구역으로 분리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잔사취출수단(600)에 의한 잔사의 분리작업은 기설명된 바와 같으며, 보빈(3)으로부터 잔사가 완전하게 분리되면 압지봉(303)(303a)은 다시 원상태로 회전하여 최초의 작업상태를 유지하며, 잔사 1차커팅수단(400)의 이송체(402) 또한 원상태로 복원되어 최초의 작업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보빈배출슈트(700)가 입설상태에서 경사지게 위치하게 회동되어 압지봉(303)(303a)의 하단에 위치하면 한쌍의 압지봉(303)(303a)이 동시에 외향으로 이송하면서 잔사가 완전하게 분리된 보빈(3)이 단독으로 낙하하여 상기 보빈배출슈트(700)를 통해 일정구역으로 분리 배출된 후 상기 보빈배출슈트(700)를 파지부재(250)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원상태로 회동하여 입설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일련의 과정은 자동으로 세팅시간에 맞추어 연속적으로 시행되므로써 별도의 작업인력없이 단시간에의 다량의 보빈(3)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1,2차커팅작업을 복합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보빈(3)으로부터 잔사를 말끔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커터를 이용하여 보빈에 감겨진 잔사를 1차적으로 커팅한 후 상기 커팅부위를 히터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1차커팅시 커팅되지 않은 잔여 커팅부위를 히터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커팅하는 다중커팅작업을 통해 보빈에 미량의 잔사도 존재하지 않도록 말끔이 제거하여 작업품질이 뛰어남은 물론 별도의 후처리작업을 요하지 않아 작업능률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다량의 보빈을 자동화작업을 통해 신속하게 처리하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며, 칼이나 인두 등을 이용한 인력에 의존한 작업을 탈피함에 따라 부상의 우려를 말끔이 해소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잔사처리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잔사처리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보빈공급수단의 설치상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보빈공급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보빈공급수단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 보빈 수평이송수단의 작동상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보빈 수평이송수단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보빈지지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보빈지지수단의 작동상태 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회동파지부재의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잔사 1차커팅수단의 1차 커팅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잔사 1차커팅수단의 결합상태 확대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커터고정편의 설치상태 확대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보빈회전수단의 작동상태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보빈의 1차커팅상태 측면도로서,
(가)는 보빈이 전방으로 회전하는 상태도
(나)는 보빈이 전방으로 회전완료된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 잔사 2차커팅수단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 잔사 2차커팅수단의 2차 커팅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 잔사취출수단의 니퍼에 의해 잔사가 픽업되는 상태도
도 19은 본 발명 잔사취출수단의 니퍼에 의해 잔사가 픽업된 상태도
도 20은 본 발명 캠과 슬라이더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 잔사취출수단의 전,후이송상태 종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 캠 및 슬라이더, 캠커버의 분리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 잔사취출수단에 의해 보빈으로부터 잔사가 분리되는 상태도
도 24는 본 발명 캠과 슬라이더에 의한 가이드롤러의 전방 이송상태도
도 25는 본 발명 캠과 슬라이더에 의한 가이드롤러의 후방 이송상태도
도 26은 본 발명 보빈배출슈트의 작동상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레임조립체 3: 보빈
4: 호퍼 100: 보빈공급수단
101: 가이드홈 102: 푸싱레버
104: 공급실린더 105: 감지센서
200: 보빈 수평이송수단 201,301,601: 베이스판
203: 수평이송실린더 250: 파지부재
253: 회동파지부재 254,624: 복원스프링
300: 보빈지지수단 302: 수직플레이트
303,303a: 압지봉 304: 슬라이딩하우징
309: 베어링하우징 310: 압지실린더
350: 보빈회전수단 351: 피니언기어
352: 회전실린더 353: 래크
400: 잔사 1차커팅수단 402: 이송체
403: 1차커팅실린더 404: 커터
405: 커터하우징 406: 행거
409: 커터고정편 412,453,613: 스프링
416: 커터조절구 450: 미세조절구
500: 잔사 2차커팅수단 503: 제1이송체
504: 2차커팅실린더 505: 제2이송체
508: 히터 600: 잔사취출수단
602: 취출실린더 606,620: 스토퍼
607: 니퍼 610: 가이드롤러
612: 후크 614: 캠
616: 요부 617: 이탈방지턱
619: 슬라이더 621: 캠커버
622: 사선이송가이드 700: 보빈배출슈트

Claims (11)

  1. 프레임조립체(1) 상부에 설치된 호퍼(4)에 담겨진 보빈(3)을 푸싱레버(102)의 작동에 따라 간헐적으로 하부에 배치된 파지부재(250)로 공급하는 보빈공급수단(100)과;
    상기 보빈공급수단(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일측에 설치된 파지부재(250)로 공급되는 보빈(3)을 한쌍의 압지봉(303)(303a) 사이에 위치되도록 수평이송시키는 보빈 수평이송수단(200)과;
    상기 보빈 수평이송수단(200)의 측방 양측에 입설된 수직플레이트(302)에 내,외향으로 동시 슬라이딩 이송하면서 보빈(3)을 압지하는 한쌍의 압지봉(303)(303a)이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어느 하나의 압지봉(303)은 보빈회전수단(350)에 의해 회전하면서 보빈(3)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보빈지지수단(300)과;
    상기 수직플레이트(302) 상측에 연결된 가이드봉(401)을 타고 왕복이송하는 커터(404)를 이용하여 보빈(3)에 감겨진 잔사를 1차적으로 커팅하는 잔사 1차커팅수단(400)과;
    상기 수직플레이트(302) 측방에 연결된 가이드봉(502)을 타고 수평이송하는 히터(508)를 이용하여 1차커팅된 커팅부위(3a)를 2차적으로 커팅하는 잔사 2차커팅수단(500)과;
    상기 보빈 수평이송수단(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왕복이송하는 한쌍의 니퍼(607)가 양측에 설치된 캠(614)에 의해 오므려지거나 벌려지면서 커팅완료된 잔사의 양측을 픽업하여 보빈(3)으로부터 잔사를 분리시키는 잔사취출수단(600)과;
    상기 보빈지지수단(300)의 하측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회동하면서 압지봉(303)(303a)으로부터 낙하되는 보빈(3)을 외부로 안내 배출하는 보빈배출슈트(7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보빈공급수단(100)은 호퍼(4)의 경사로(6)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가이드홈(10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01) 외측으로 회동축(103)에 일체로 부착된 다수의 푸싱레버(102)가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며, 상기 푸싱레버(102)는 공급실린더(104)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이드홈(101)을 관통하여 상,하로 선회하면서 상호 맞물려진 다수의 보빈(3)에 요동을 가해 배출구(5)를 통해 보빈 수평이송수단(200)의 파지부재(250)에 보빈(3)을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한편, 상기 공급실린더(104)는 파지부재(250)의 하측에 설치된 감지센서(105)가 파지부재(250)에 보빈(3)이 미공급됨을 감지한 경우에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보빈 수평이송수단(200)은 호퍼(4)의 하측 프레임조립체(1)에 배치된 베이스판(201) 양측에 한쌍의 고정블럭(202)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블럭(202) 사이 중앙에 설치된 수평이송실린더(203)의 선단에는 고정판(205)이 부착되며, 상기 고정판(205)에 호퍼(4)로부터 공급되는 보빈(3)을 일시적으로 파지하는 다수의 파지부재(250)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고정판(205)의 양단은 일측이 엔드판(207)에 연결되고 고정블럭(202)을 관통하여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봉(206)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파지부재(250)는 고정판(205)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파지부재(251)가 부착되고, 상기 고정파지부재(251)에 회동파지부재(253)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동파지부재(253)는 복원스프링(254)에 의해 회동작동 후 원상태로 복원되어 입설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보빈지지수단(300)은 보빈 수평이송수단(200)의 측방 프레임조립체(1)에 배치된 베이스판(301) 양측에 입설된 한쌍의 수직플레이트(302)와, 상기 수직플레이트(302) 하측에 결합된 회전지지구(30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슬라이딩하우징(304)과, 상기 슬라이딩하우징(304) 내측에 내,외향으로 동시 슬라이딩 이송가능하도록 스플라인(306)으로 결합되고 일측 선단에 보빈(3)을 지지하는 산형의 압지구(307)가 설치되며 타측은 베어링하우징(309)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압지봉(303)(303a)과, 상기 수직플레이트(302) 외면에 부착된 실린더브라켓(311)에 설치되고 압지봉(303)(303a)에 이송력을 제공하도록 베어링하우징(309)에 연결된 압지실린더(310)와, 상기 어느 하나의 압지봉(303) 외측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압지봉(303)을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보빈회전수단(3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보빈회전수단(350)은 어느 하나의 슬라이딩하우징(304)에 피니언기어(351)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351)는 회전실린더(352)의 작동에 따라 래크가이드부재(354)에 안내되어 수평이송하는 래크(353)와 치합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잔사 1차커팅수단(400)은 수직플레이트(302)의 상측에 연결된 한쌍의 가이드봉(401)을 타고 왕복이송하는 이송체(402)와, 상기 이송체(402)에 이송력을 제공하도록 수직플레이트(302)의 일측면에 부착된 1차커팅실린더(403)와, 상기 이송체(402) 하부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커터하우징(405)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L형의 행거(406)와, 상기 행거(406)에 힌지축(407)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커터(404)가 끼워지는 커터수납부(408)가 형성된 커터하우징(405)과, 상기 커터수납부(408) 내측에 설치되고 스프링(412)으로 탄지된 볼(413)이 커터수납부(408)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어느 하나의 고정홈(415)에 끼워져 커터(404)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일측에 커터(404)가 결합되는 결합단부(411)가 형성된 커터고정편(409)과, 상기 커터하우징(405)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고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커터고정편(409)을 하부로 밀어주어 커터(404)의 길이를 조절하는 커터조절구(416)와, 상기 결합단부(411)의 고정돌기(410)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면서 보빈(3)의 잔사를 1차적으로 커팅하는 커터(40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커터하우징(405)의 일측 상,하에는 조절구홀더(451)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조절구홀더(451)에 내삽된 밀판(452)과 행거(406) 사이에는 스프링(453)이 탄설되며, 상기 조절구홀더(451)의 외측에는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커터하우징(405)을 상,하로 회동시켜 커터(404)의 길이를 미세조절하는 미세조절구(450)가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보빈의 잔서처리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잔사 2차커팅수단(500)은 수직플레이트(302)의 측방에 부착된 실린더브라켓(501)에 연결된 한쌍의 가이드봉(502)을 타고 왕복이송하는 제1이송체(503)와, 상기 제1이송체(503)에 이송력을 제공하도록 일측 실린더브라켓(501)에 부착된 2차커팅실린더(504)와, 상기 제1이송체(503)의 저부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봉(506)을 타고 보빈(3) 방향으로 왕복이송하며 일측 선단에 보빈(3)의 1차 커팅부위(3a)를 2차적으로 커팅하는 히터(508)가 설치된 제2이송체(505)와, 상기 제2이송체(505)에 이송력을 제공하도록 제1이송체(503)의 일측면에 부착된 히팅실린더(50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잔사취출수단(600)은 보빈 수평이송수단(200)의 하측 프레임조립체(1)에 배치된 베이스판(601) 중앙에 설치된 취출실린더(602) 선단에 연결되고 하부 양측에 결합된 가이드봉(604)이 베이스판(601) 저면에 부착된 가이드홀더(605)에 관통결합된 이송블럭(603)과, 상기 이송블럭(603)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하부에 가이드롤러(610)가 설치되며 타측에 입설된 포스트바(611) 상단에 커팅완료된 잔사의 양측을 픽업하는 후크(612)가 설치된 한쌍의 니퍼(607)와, 상기 니퍼(607) 사이에 연결되어 니퍼(607)에 파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13)과, 상기 취출실린더(602)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 이송홈(615)이 형성되며 이송홈(615) 일측에 요부(616) 및 이탈방지턱(617)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캠(614)과, 상기 이송홈(615)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고 일측에 요부(616)에 안착된 채 이송을 제한하는 스토퍼(620)가 형성된 슬라이더(619)와, 상기 캠(614) 상부면에 결합되고 니퍼(607)의 후진시 가이드롤러(610)가 캠(614)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사선이송을 안내하는 사선이송가이드(622)가 형성된 캠커버(621)와, 상기 슬라이더(619) 후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베이스판(601)에 부착된 가이드홀더(605)에 관통결합된 가이드봉(623)과, 상기 가이드봉(623) 외측에 끼워져 슬라이더(619)의 후진시 원상태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62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보빈배출슈트(700)는 보빈지지수단(300)의 하측 프레임조립체(1)에 설치된 한쌍의 회전지지구(701)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보빈배출슈트(700)는 프레임조립체(1)에 고정된 슈트실린더(702)와 연결되어 상기 슈트실린더(702)의 작동에 따라 보빈(3)의 낙하시 경사지게 위치하도록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KR1020040005583A 2004-01-29 2004-01-29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KR100547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583A KR100547611B1 (ko) 2004-01-29 2004-01-29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583A KR100547611B1 (ko) 2004-01-29 2004-01-29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137U Division KR200349434Y1 (ko) 2004-01-29 2004-01-29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913A true KR20050077913A (ko) 2005-08-04
KR100547611B1 KR100547611B1 (ko) 2006-02-02

Family

ID=3726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583A KR100547611B1 (ko) 2004-01-29 2004-01-29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6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2195A (zh) * 2014-04-15 2014-07-16 浙江青松轻纺有限公司 一种纺织丝线废料收集装置
CN113954421A (zh) * 2021-10-26 2022-01-21 浙江东晟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瓦楞纸板印刷开槽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955Y1 (ko) * 1990-05-09 1992-05-11 주식회사 코오롱 드럼형 보빈의 잔사제거장치
KR950033164U (ko) * 1994-05-20 1995-12-16 보빈의 잔사자동 제거장치
KR100352231B1 (ko) * 2000-03-09 2002-09-12 송철수 섬유용 보빈의 잔사 제거장치
JP2002060140A (ja) * 2000-08-21 2002-02-26 Yoshinobu Kozuka 紙管の残糸切除装置
KR200251800Y1 (ko) * 2001-07-25 2001-11-22 최진오 보빈의 잔사 처리장치
KR200313581Y1 (ko) * 2003-02-28 2003-05-17 류근성 섬유용 보빈의 잔사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2195A (zh) * 2014-04-15 2014-07-16 浙江青松轻纺有限公司 一种纺织丝线废料收集装置
CN113954421A (zh) * 2021-10-26 2022-01-21 浙江东晟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瓦楞纸板印刷开槽机
CN113954421B (zh) * 2021-10-26 2024-04-19 浙江东晟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瓦楞纸板印刷开槽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7611B1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025B1 (ko) 닭발뼈 제거장치
US67639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feeding of bar form metal profiles in profile working machines
CN105692225B (zh) 一种异型烟分拣机
JP7365043B2 (ja) 鉄筋切断処理装置
JP7266408B2 (ja) ワークを搬送するための搬送方法
KR100940023B1 (ko) 닭발뼈 제거장치
KR100547611B1 (ko)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KR200349434Y1 (ko)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KR101997576B1 (ko) 조관기용 멀티 커팅 시스템
KR101909154B1 (ko) 원라인 절단 면취기
KR101041955B1 (ko) 포장기의 포대 공급장치
CN113602617A (zh) 一种全自动条烟拆包机
KR101828738B1 (ko)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
US4516703A (en) Apparatus for reversing hose
CN104607669A (zh) 一种数控车床自动出料机
KR101746962B1 (ko) 스크랩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N210234426U (zh) 一种便于收料的锁线机
KR101013026B1 (ko) 볼 자동삽입기
US202302328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plant material
US4970764A (en) Machine for classifying, cleaning and arranging textile tubes
CN205437973U (zh) 一种多功能自动上料装置
KR102369929B1 (ko) 마늘꼭지제거장치
KR970005787B1 (ko) 자수용 실패의 잔사제거기
EP0916578A2 (en) Bag filling machine for packaging small knitwear items in bags, particularly for packaging hosiery items
KR200383508Y1 (ko) 섬유용 보빈의 잔사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