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215A -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215A
KR20050077215A KR1020040005172A KR20040005172A KR20050077215A KR 20050077215 A KR20050077215 A KR 20050077215A KR 1020040005172 A KR1020040005172 A KR 1020040005172A KR 20040005172 A KR20040005172 A KR 20040005172A KR 20050077215 A KR20050077215 A KR 20050077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call
cable
messag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6269B1 (ko
Inventor
문상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5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269B1/ko
Publication of KR20050077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1Broadband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입자가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필요한 기기인 MTA의 기능을 가입자가 사용하는 통신 단말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여, 가입자가 별도의 기기 구입 및 교체 없이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입자에게 기기 구입 및 교체에 따른 추가 비용 부담을 주지 않고, 기존의 기기를 통해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e Packetcable service}
본 발명은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가입자가 별도의 기기 구입 및 교체 없이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음성 통화 서비스는 공중 전화망(PSTN)을 이용하고 있다. 즉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가입자는 전화기를 통해 서비스 제공 업체로부터 할당받은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업체를 통해 음성 통화를 하게 된다.
그러나, 오늘 날 인터넷 서비스의 개발과, 인터넷 망에 대한 가입자의 증가로 인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러한, VoIP 서비스는 가입자의 음성 신호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교환함으로써, 가입자에게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패킷케이블 서비스는 VoIP 서비스의 일종으로 널리 구축되어 있는 HFC 망을 통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입자의 음성 신호를 패킷으로 변화하는 'MTA(Multi Media Adapter)'라고 칭해지는 장비가 필요하다.
도 1은 일반적인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패킷케이블 서비스 망은, MTA 서버(90), CM(Cable Modem) 서버(100), CA(Call Agent)(80), CMTS(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70),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게이트 웨이(60), E-MTA(Embedded MTA)(50), 케이블 모뎀(40), MTA(30), 다수개 통신 단말(11, 12) 및 다수개의 전화 단말(21~23)을 포함한다.
MTA 서버(90), CM 서버(100), CMTS(70) 및 CA(80)는 IP 망(1)에 접속되어 있고, PSTN 게이트 웨이(60), 케이블 모뎀(40) 및 E-MTA(50)는 HFC(Hybrid Fiber Coax) 망(2)에 접속되어 있다.
다수개의 전화 단말(21~23)은 가입자에게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HFC 망(20)을 통해 전송되는 음성 정보를 가입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하고, 가입자가 입력하는 음성 정보에 따른 음성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제 3 전화 단말(23)은 PSTN으로 연결되어, 가입자에게 PSTN을 통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수개의 통신 단말(11, 12)은 가입자에서 HFC 망(2)을 통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MTA(30)는 제 2 전화 단말(22)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패킷으로 변환하여, 케이블 모뎀(40)으로 전송하고, 케이블 모뎀(40)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패킷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제 2 전화 단말(22)로 제공한다.
이때, MTA(30)가 변환하는 음성 패킷은 IP 패킷을 형태를 가진다.
케이블 모뎀(40)은 MTA(3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패킷을 케이블 패킷으로 변환하여, HFC 망(2)으로 전송하고, HFC 망(2)으로부터 전송되는 케이블 패킷을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MTA(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 2 통신 단말(12)은 케이블 모뎀(40)과 IP 패킷을 교환하여, 가입자에게 HFC 망(2)을 통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E-MTA(50)는 케이블 모뎀(40)내에 MTA(30)가 구비되는 MTA 내장형 케이블 모뎀이다. 즉, HFC 망(2)으로부터 전송되는 케이블 패킷이 음성 패킷이면,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제 1 전화 단말(21)로 제공하고, 데이터 패킷이면, 제 1 통신 단말(11)로 제공한다.
PSTN 게이트 웨이(60)는 HFC 망(2)의 케이블 패킷을 PSTN(3)으로 전송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제 3 전화 단말(23)이 HFC 망(2)으로 연결되는 타 전화 단말(21, 22)과의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CMTS(70)는 HFC 망(2)으로부터 전송되는 케이블 패킷을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IP 망(1)으로 전송하고, IP 망(1)으로부터 전송되는 IP 패킷을 케이블 패킷으로 변환한다.
MTA 서버(90)는 HFC 망(2)으로 연결되어 있는 MTA(30)를 인증하고, CM 서버(100)는 케이블 모뎀(40)을 인증한다. 즉 MTA 서버(90)는 연결되는 MTA(30)의 사용 가능 여부를 인증하고, CM 서버(100)는 연결되는 케이블 모뎀(40)의 사용 가능 여부를 인증한다.
또한, MTA 서버(90)와, CM 서버(100)는 MTA 내장형 케이블 모뎀인 E-TMA(50)의 사용 가능 여부를 인증한다.
CA(80)는 CM 서버(90) 및 MTA 서버(100)가 전화 단말(21, 22)에 연결되는 케이블 모뎀(40), MTA(30) 및 E-TMA(50)에 대한 인증을 완료한 후, 해당 전화 단말(21, 22)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착신 전화 단말을 파악하여,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한 통화 호(call)를 연결한다.
이때, CA(80)는 발신 전화 단말(21, 22)로부터 전송되는 통화 요청 신호에서 파악된 착신 전화 단말이 PSTN으로 연결된 제 3 전화 단말(23)이면, PSTN 게이트 웨이(60)를 통해 통화 호를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패킷케이블 서비스는, 가입자가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통해 음성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기기를 구비해야 한다.
즉, 가입자는 음성 신호를 음성 패킷으로 변환하는 MTA(30)를 추가로 구입하거나, 케이블 모뎀을 MTA가 내장되어 있는 E-MTA(50)로 교체해야 함으로 가입자에게 추가 비용 부담에 발생한다.
이러한, MTA(30)의 추가 구입 또는 케이블 모뎀(40)의 교체로 인한 추가 비용 부담 및 설치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널리 보급되어 있는 HFC 망(2)의 활용성과 패킷케이블 서비스의 보급에 지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가입자가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필요한 기기인 MTA의 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여, 가입자가 별도의 기기 구입 및 교체 없이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가입자가 청취할 수 있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decoding), 가입자가 입력하는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encoding), 제공하는 신호 처리부와,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전송되는 IP 패킷에 통화 요청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으면, 패킷케이블 규격에 따라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측 단말과 통화 호를 설정하는 메시지 처리부와,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IP 패킷에 포함되는 정보의 종류가 음성 데이터이면, 신호 처리부로 전송하고, 통화 요청 메시지이면, 메시지 처리부로 전송하고, 제공되는 응답 메시지 및 음성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케이블 모뎀으로 전송하는 패킷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IP 망을 통해 수신되는 패킷에 따라 타 통신 단말과 통화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통화 호를 통해 수신되는 패킷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입/출력 수단이 출력할 수 있는 음성 신호로 변환(decoding)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음성 입/출력 수단이 제공되는 음성 신호를 가입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가입자가 음성 입/출력 수단을 통해 입력하는 음성 신호를 패킷으로 변환할 수 있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encoding)하는 단계와,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패킷으로 변환하여, 통화 호를 통해 타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통화 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의 헤더를 분석하여, 포함되는 정보의 종류를 파악하는 단계와, 패킷에 포함되는 정보가 통화 요청 메시지이면, 응답 메시지(ACK)를 생성하고, 패킷에 포함되는 정보가 CA(Call Agent)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요청 메시지이면, 통신 단말의 상태 정보가 포함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통화 요청 메시지가 포함되는 패킷을 생성하여, 타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타 통신 단말로부터 응답 메시지(ACK)가 전송되면, 타 통신 단말과 통화 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모뎀(40)은 HFC 망(2)과 연결되어 있고, 통신 단말(10)는 케이블 모뎀(40)과 랜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통신 단말(10)는 가입자가 HFC 망(2)을 통해 IP 망(1)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통신 단말을 말하고, 일례로 PC 또는 PDA 등이 해당 될 수 있다.
케이블 모뎀(40)은 HFC 망(2)으로부터 전송되는 케이블 패킷을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통신 단말(10)로 제공하고, 통신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IP 패킷을 케이블 패킷으로 변환하여, HFC 망(2)으로 전송한다.
음성 입/출력부(20)는 통신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가입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하고, 가입자가 입력하는 음성 신호를 통신 단말(10)로 제공한다.
이러한, 음성 입/출력부(20)의 일례로는 통신 단말(10)과 신호 라인으로 연결되는 헤드셋(headset) 등이 해당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록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10)은, 랜 인터페이스부(110), 중앙 제어부(120) 및 음성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한다.
랜 인터페이스부(110)는 케이블 모뎀(40)으로부터 랜을 통해 전송되는 IP 패킷을 수신하고, 통신 단말(10)에서 생성되는 IP 패킷을 랜을 통해 케이블 모뎀(40)으로 전송한다.
이때, 통신 단말(10)과 케이블 모뎀(40)간 교환되는 IP 패킷에 포함되는 메시지는, 통화 요청 메시지, 응답 메시지, 통화 중 메시지, 정보 요청 메시지, 정보 응답 메시지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IP 패킷에는 음성 정보 및 데이터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중앙 제어부(120)는 가입자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프로그램과, IP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 정보에 따라 가입자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120)는 수신되는 IP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 정보를 가입자에게 제공하고, 가입자가 입력 수단(미도시)을 통해 입력하는 정보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IP 망(1)으로 전송한다.
중앙 제어부(120)의 패킷 처리부(121)는 랜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IP 패킷을 분석하여, 수신된 IP 패킷의 종류를 파악한다.
그리고, 패킷 처리부(121)는 수신되는 IP 패킷이 데이터 패킷이면, 중앙 제어부(120)로 전송하여, 가입자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위한 패킷이면, 메시지 처리부(122)로 전송한다.
즉, 패킷 처리부(121)는 수신되는 IP 패킷의 헤더 필드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IP 패킷이 데이터 패킷인지 여부를 파악한다.
그리고, 패킷 처리부(121)는 수신된 IP 패킷이 데이터 패킷이 아니면,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위한 패킷으로 판단하여, 메시지 처리부(122)로 전송한다.
또한, 패킷 처리부(121)는 통신 단말(10)에서 생성되는 메시지를 케이블 모뎀(40)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IP 패킷으로 변환한다.
메시지 처리부(122)는 수신되는 IP 패킷에 포함되는 메시지를 파악하여, 그 파악된 메시지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즉, 메시지 처리부(122)는 수신된 IP 패킷에 포함되는 메시지가 통화 요청 메시지인 경우, 현재 통신 단말(10)의 음성 통화 상태를 판단하여, 통화 중 상태가 아니면, 통화 응답 메시지(ACK)를 생성하고, 통화 중 상태이면, 통화 중 메시지를 생성하여, 패킷 처리부로 전송한다.
그리고, 메시지 처리부(122)는 IP 패킷에 포함된 메시지가 CA(8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요청 메시지이면, 통신 단말(10)의 상태 정보가 포함되는 정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메시지 처리부(122)는 통화 종료 요청이 있으면, 이에 대한 응답을 하고, 설정되어 있는 통화 호를 종료한다.
이때, 메시지 처리부(122)가 생성하는 메시지는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의된 규격에 부합되도록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규격은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등이 해당된다.
한편, 메시지 처리부(122)는 수신되는 IP 패킷에 음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음성 정보를 음성 신호 처리부(123)로 제공한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123)는 메시지 처리부(122)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정보를 음성 신호로 변환(decoding)하여, 음성 인터페이스부(1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음성 신호 처리부(123)는 음성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IP 망(1)으로 전송되도록 음성 정보로 변환(encoding)하여, 패킷 처리부(121)로 전송한다.
음성 인터페이스부(130)는 음성 신호 처리부(123)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입/출력부(20)로 전송하고, 음성 입/출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가입자의 음성 정보를 음성 신호 처리부(123)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발신측에서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블 모뎀(40)이 CM 서버(100)로부터 사용 가능 인증을 받고, 통신 단말(10)이 IP 망(1)에 접속하여, MTA 서버(90)로부터 사용 가능 인증을 받은 후에, 가입자가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통신 단말(10)의 입력 수단(미도시)을 통해 착신 전화 번호를 입력한다(S 1).
그리고, 통신 단말(10)의 메시지 처리부(122)는 가입자로부터 입력되는 착신 전화 번호가 패킷케이블 규격이 부합되는 올바른 전화 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 2).
그리고, 메시지 처리부(122)는 가입자가 입력한 착신 전화 번호가 올바른 전화 번호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재 입력 톤(re-order tone)을 출력하여, 가입자가 다시금 착신 전화 번호를 입력하도록 한다(S 3).
이때, 재 입력 톤은 통신 단말(10)의 저장 수단(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신호를 음성 입/출력부(20)를 통해 출력하여, 가입자에게 착신 전화 번호가 잘못되었음을 알리는 것이다.
그리고, 메시지 처리부(122)는 가입자가 입력한 착신 전화 번호가 패킷케이블의 규격에 부합되는 전화 번호이면, 착신 전화 번호가 포함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패킷 처리부(121)로 전송하고, 패킷 처리부(121)는 수신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케이블 모뎀(40)으로 전송한다.
케이블 모뎀(40)은 통신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IP 패킷을 케이블 패킷으로 변환하고, HFC 망(2)으로 통해 CMTS(70)로 전송하고, CMTS(70)는 수신되는 케이블 패킷을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IP 망(1)을 통해 CA(80)로 전송한다(S 4).
그리고, CA(80)는 통화 요청 메시지가 포함되는 IP 패킷이 수신되면, 착신 전화 번호를 파악하고, 그 파악된 착신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착신 전화 단말(21~22)로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CA(80)는 착신 전화 단말이 PSTN(3)과 연결된 제 3 전화 단말(23)이면, PSTN 게이트 웨이(60)를 통해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CA(80)가 착신 전화 단말로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은, 통화 요청 메시지가 포함되는 IP 패킷을 통해 착신 전화 단말로 통화 호 연결 요청이 있음을 알린다.
그리고, 통신 단말(10)은 통화 요청 메시지가 포함되는 IP 패킷을 전송한 이후에, CA(80)로부터 응답 메시지(ACK)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 5).
즉, 패킷 처리부(121)가 수신되는 IP 패킷을 분석하여, IP 패킷에 포함되는 정보가 데이터 정보가 아니면, IP 패킷을 메시지 처리부(122)로 전송하고, 메시지 처리부(122)는 수신되는 IP 패킷에 포함되는 메시지가 응답 메시지(ACK)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 결과, 메시지 처리부(122)는 응답 메시지(ACK) 아닌 경우, 즉, CA(80)로부터 에러(error)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에러 메시지의 종류를 파악한다(S 6).
그리고, 메시지 처리부(122)는 파악된 에러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통화 요청 메시지를 재 전송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 7), 재 전송이 필요한 경우, 통화 요청 메시지를 재 전송하고(S 4), 재 전송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재 입력 톤을 출력하여, 가입자가 다시금 착신 전화 번호를 입력하게 한다(S 3).
즉, 메시지 처리부(122)는 착신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착신 전화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에러 메시지가 전송되면, 가입자가 착신 전화 번호를 올바르지 않게 선택했다고 판단하여, 재 입력 톤을 출력하고, 착신 전화 단말이 현재 통화 중 상태인 통화 중 메시지, 또는 네트워크의 오류가 발생했다는 에러 메시지가 전송되면, 통화 요청 메시지의 재 전송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통화 요청 메시지를 재 전송한다.
여기서, 메시지 처리부(122)가 통화 중 메시지가 수신되면, 통화 요청 메시지를 재 전송하는 것은, 소정 시간동안 통화 요청 메시지를 자동으로 재 전송하여, 가입자가 여러번 동일한 착신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번거러움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메시지 처리부(122)는 통화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ACK)가 수신되면, 착신 전화 단말(21, 22)과 HFC 망(2) 및 IP 망(1)을 통해 통화 호를 설정한다(S 8).
이때, 착신 전화 단말(23)이 PSTN(3)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 HFC 망(2) 및 PSTN 게이트 웨이(60)를 통해 통화 호를 설정한다.
그리고, 통화 호가 설정되면, 음성 입/출력부(20)는 가입자가 입력하는 음성 정보를 음성 신호 처리부(123)로 전송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123)는 수신되는 음성 정보를 음성 신호로 변환(encoding)하여, 패킷 처리부(121)로 전송하고, 패킷 처리부(121)는 음성 신호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케이블 모뎀(4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케이블 모뎀(40)은 수신되는 IP 패킷을 케이블 패킷으로 변환하여, CMTS(70)으로 전송하고, CMTS(70)는 케이블 패킷을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착신 전화 단말(21~23)로 전송한다.
또한, 패킷 처리부(121)는 수신되는 IP 패킷에 포함되는 음성 정보를 파악하여, 음성 신호 처리부(123)로 전송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123)는 수신되는 음성 정보를 음성 신호로 변환(decoding)하여, 음성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음성 입/출력부(20)로 전송하고, 음성 입/출력부(20)는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여, 가입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가입자 또는 착신 전화 단말로부터 통화 종료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 9), 통화 종료 요청이 있으면,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통화 호를 종료한다(S 10).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작신측에서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 모뎀(40)이 CM 서버(100)로부터 사용 가능 인증을 받고, 통신 단말(10)이 IP 망(1)에 접속하여, MTA 서버(90)로부터 사용 가능 인증을 받은 후에, 케이블 모뎀(40)은 HFC 망(2)으로부터 케이블 패킷을 수신한다.
그리고, 케이블 모뎀(40)은 수신되는 케이블 패킷을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통신 단말(10)의 패킷 처리부(121)로 전송한다.
그리고, 패킷 처리부(121)는 수신되는 IP 패킷의 헤더를 분석하여, IP 패킷에 포함되는 정보가 데이터 정보가 아니면, 수신된 IP 패킷을 메시지 처리부(122)로 전송한다.
메시지 처리부(122)는 수신되는 IP 패킷에 포함되는 메시지를 파악하고(S 20), 그 파악된 메시지가 패킷케이블 규격에 부합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 21).
그리고, 메시지 처리부(122)는 IP 패킷에 포함되는 메시지가 통화 요청 메시지가 아니면, CA(8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요청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 22).
즉, 메시지 처리부(122)는 IP 패킷에 포함되는 메시지가 CA(8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요청 메시지인 경우, CA(80)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패킷 처리부(121)로 전송하고, 패킷 처리부(121)는 메시지 처리부(122)에서 생성되는 정보 응답 메시지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CA(80)로 전송한다(S 23).
이때, CA(80)가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은, 초기 통신 단말(10)이 IP 망(1)을 통해 접속하거나, 주기적으로 통신 단말(10)의 접속 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통신 단말(10)은 CA(80)로부터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접속 상태 정보, 할당받은 주소 정보 등이 포함되는 정보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CA(80)로 전송한다.
한편, 메시지 처리부(122)는 수신되는 IP 패킷에 포함되는 메시지가 통화 요청 메시지이면, 발신 전화 단말(21~23)로 전송할 응답 메시지(ACK)를 생성하고, 패킷 처리부(121)로 전송한다. 패킷 처리부(121)는 응답 메시지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CA(80)로 전송한다.
그리고, 메시지 처리부(122)는 발신 전화 단말(21~23)과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위한 통화 호를 설정한다(S 24).
이때, 발신 전화 단말(23)이 PSTN(3)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 HFC 망(2) 및 PSTN 게이트 웨이(70)를 통해 통화 호를 설정한다.
그리고, 통화 호가 설정되면, 패킷 처리부(121)는 수신되는 IP 패킷에 포함되는 음성 정보를 파악하여, 음성 신호 처리부(123)로 전송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123)는 수신되는 음성 정보를 음성 신호로 변환(decoding)하여, 음성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음성 입/출력부(20)로 전송하고, 음성 입/출력부(20)는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여, 가입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성 입/출력부(20)는 가입자가 입력하는 음성 신호를 음성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음성 신호 처리부(123)로 전송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123)는 음성 입/출력부(2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정보로 변환(encoding)하여, 패킷 처리부(121)로 전송하고, 패킷 처리부(121)는 음성 정보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케이블 모뎀(40)으로 전송한다.
케이블 모뎀(40)은 통신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IP 패킷을 케이블 패킷으로 변환하여, HFC 망(2)을 통해 착신 전화 단말과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 모뎀(40)으로 전송하여, 가입자에게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통해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가입자 또는 착신 전화 단말로부터 통화 종료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 25), 통화 종료 요청이 있으면,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통화 호를 종료한다(S 26).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가입자가 기존의 사용중인 통신 단말 또는 케이블 모뎀에 소프웨어적으로 기능을 추가하여,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으로, 하드웨어적으로 케이블 모뎀 또는 MTA를 추가 구입 또는 교체없이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가입자는 추가 비용 부담 없이 기존의 기기를 통해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또한, 널리 보급되어 있는 HFC 망을 통한 패킷케이블 서비스의 보급이 활성화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록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발신측에서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작신측에서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IP(Internet Protocol) 망 2 : HFC(Hybrid Fiber Coax) 망
3 :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10, 11, 12 : 통신 단말(personal computer)
20 : 음성 입/출력부 21, 22, 23 : 전화 단말
30 : MTA(Message Transport Agent)
40 : 케이블 모뎀
50 : E-MTA(Embedded Message Transport Agent)
60 : PSTN 게이트 웨이
70 : CMTS(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80 : CA(Call Agent) 90 : MTA 서버
100 : CM(Cable Modem) 서버 110 : 랜 인터페이스부
120 : 중앙 제어부 121 : 패킷 처리부
122 : 메시지 처리부 123 : 음성 신호 처리부
130 : 음성 인터페이스부

Claims (6)

  1. 케이블 모뎀과 IP 망으로 연결되어,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가입자가 청취할 수 있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decoding), 상기 가입자가 입력하는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encoding), 제공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전송되는 IP 패킷에 통화 요청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으면, 패킷케이블 규격에 따라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발신측 단말과 통화 호를 설정하는 메시지 처리부;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IP 패킷에 포함되는 정보의 종류가 음성 데이터이면, 상기 신호 처리부로 전송하고, 통화 요청 메시지이면, 상기 메시지 처리부로 전송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 및 상기 메시지 처리부에서 제공되는 응답 메시지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 전송하는 패킷 처리부를 포함하는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처리부는,
    상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패킷케이블 규격인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에 부합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3. 케이블 모뎀을 통해 케이블 망에 연결되는 통신 단말의 패킷케이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이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IP 망을 통해 수신되는 패킷에 따라 타 통신 단말과 통화 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통화 호를 통해 수신되는 패킷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입/출력 수단이 출력할 수 있는 음성 신호로 변환(decoding)하여, 제공하는 단계;
    음성 입/출력 수단이 상기 제공되는 음성 신호를 가입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의 헤더를 분석하여, 상기 포함되는 정보의 종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패킷에 포함되는 정보가 통화 요청 메시지이면, 응답 메시지(ACK)를 생성하고, 상기 패킷에 포함되는 정보가 CA(Call Agent)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요청 메시지이면, 상기 통신 단말의 상태 정보가 포함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호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통화 요청 메시지가 포함되는 패킷을 생성하여, 타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 통신 단말로부터 응답 메시지(ACK)가 전송되면, 상기 타 통신 단말과 통화 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의 생성은,
    패킷케이블 규격인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에 부합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40005172A 2004-01-27 2004-01-27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636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172A KR100636269B1 (ko) 2004-01-27 2004-01-27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172A KR100636269B1 (ko) 2004-01-27 2004-01-27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215A true KR20050077215A (ko) 2005-08-01
KR100636269B1 KR100636269B1 (ko) 2006-10-19

Family

ID=3726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172A KR100636269B1 (ko) 2004-01-27 2004-01-27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2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6269B1 (ko)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4790B1 (en) Media terminal adapter with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proxy
US8077853B2 (en) VoIP adapter, IP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advanced VoIP functions
JP3873048B2 (ja) リングバックトーン伝送方法、端末機、リングバックトーン生成方法、およびリングバックトーン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201301827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determination of a call type in telephony services over a data network
US20040116108A1 (en) Internet phone system and internet phone service method for a mobile telephone
US2010015186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CN114070939A (zh) 网络语音通话方法、系统、存储介质及服务器
US20050135342A1 (en) Call wait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in VoIP terminal with PSTN backup function
JP2013539625A (ja) ボイスメールに付随する映像コンテンツへのウェブベースのアクセス
JP2001223748A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4677350B2 (ja) 呼制御信号転送装置、呼制御信号転送方法および呼制御信号転送プログラム
EP3573309B1 (en) Network telephone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network device
JP2001230862A (ja) 音声中継システム
KR100636269B1 (ko)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08113381A (ja) 通信システム
JP2005020676A (ja) 電話通信方法及び装置
KR100439958B1 (ko) 인터넷 전화시스템에서 착신전환 서비스 방법
JP4143479B2 (ja) 加入者端末間通信システム
JP2006050552A (ja) 通信システム及びこの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主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通信方法
KR100442436B1 (ko) 인터넷 전화망에서 ivr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JP3139623B2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システムおよびその緊急ライン接続方法
JP4350273B2 (ja) 電話システム、ターミナルアダプタ装置、及び電話機
KR100653365B1 (ko)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
JPH11341073A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装置
US20070223447A1 (en) Gatew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