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365B1 -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365B1
KR100653365B1 KR1020050124273A KR20050124273A KR100653365B1 KR 100653365 B1 KR100653365 B1 KR 100653365B1 KR 1020050124273 A KR1020050124273 A KR 1020050124273A KR 20050124273 A KR20050124273 A KR 20050124273A KR 100653365 B1 KR100653365 B1 KR 100653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ph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오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4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위칭 장치는 일반 전화모드 또는 인터넷 전화모드로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탑재되는 크래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탑재되면 인터넷 전화모드로 턴 온 되는 릴레이, 인터넷 전화모드시 음성신호가 입출력되는 입출력부 및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유에스비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성신호가 송수신되는 유에스비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장치는 사용자가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인터넷 전화와 이동통신 전화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인터넷 전화, 이동통신 단말기, 스위칭 장치

Description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SWITCHING APPARATUS OF TERMINAL FOR BOTH VOIP AND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단말기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시스템의 스위칭 장치 및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인터넷 전화 모드로 전환해줄 수 있는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전화(VoIP : 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기존부터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통신용 패킷망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공중 인터넷망에서의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서비스 기술이다. 상기 인터넷 전화는 공중 인터넷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국내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접속되는 인터넷 전용선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기존 공중 전화망에 비하여 낮은 투자비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전화 서비스는 PC 대 PC(PC to PC) 방식, PC 대 폰(PC to phone) 방식, 폰 대 폰(phone to phone) 방식으로 구분한다.
PC 대 PC 방식은 인터넷을 통해 발신자와 수신자가 연결되고, 헤드셋을 통해 음성을 주고받는 방식이다. 발신자와 수신자는 같은 시간에 인터넷에 접속하고, 동일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일 서버에 접속한 후 통화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PC 대 PC 방식은 사용자의 PC 성능, 인터넷 회선의 상태, 사용 프로그램 성능 등으로 인하여 통화 품질이 떨어진다. 또한 통화를 원하는 사람들이 동일한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동일한 시간에 인터넷에 접속하여야 하는 등의 제약이 많았다.
PC 대 폰 방식은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에서 인터넷에 접속한 후 송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통화한다. 통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콜 신호(Call Signal)와 음성 데이터가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다가 최종적으로 송신자가 연결된 기존의 공중망을 이용해야 한다. 이와 같은 PC 대 폰 방식은 공중망 부분의 요금을 누군가가 부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폰 대 폰 방식은 가입자가 인터넷 전화 서비스 사업자의 콜 센터 혹은 게이트웨이에 전화를 걸어 연결이 되면, 자신의 아이디와 비밀전화를 인증받아 통화한 다. 이와 같은 폰 대 폰 방식은 인증을 위한 절차가 번거롭고, 통화가 성공하지 못했을 경우에도 콜 센터의 요금을 누군가 부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인터넷 전화는 이용절차가 복잡하고, 불필요한 통화비용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인터넷 전화와 이동통신 전화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전화의 이용절차가 간편하고, 불필요한 통화비용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는 일반 전화모드 또는 인터넷 전화모드로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탑재되는 크래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탑재되면 인터넷 전화모드로 턴 온 되는 릴레이, 인터넷 전화모드시 음성신호가 입출력되는 입출력부 및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유에스비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성신호가 송수신되는 유에스비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는 사용자가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인터넷 전화와 이동통신 전화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시스템 및 그 전화연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단말기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시스템의 스위칭 장치 및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0), 스위칭 장치(110), 클라이언트 컴퓨터(120), IAP(130) 및 인터넷 전화 서버(140)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통화할 경우, 기지국(160) 및 교환기(170)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셀룰러 폰 및 피씨에스(PCS) 폰 등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형태로 제조되는 단말기를 지칭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기지국(160) 및 이와 연동되는 교환기(17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전화 통화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스위칭 장치(110)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될 경우, 인터넷 전화로 이용되고, 이동통신 망에 연결될 경우,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기능을 가진다.
스위칭 장치(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클라이언트 컴퓨터(120)를 연결하여 인터넷 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장치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장치(110)는 크래들(111), 스위칭 제어부(112), 릴레이(114), 스피커(116) 및 USB 단자(118)를 포함한다.
크래들(111)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탑재될 수 있도록 형성된 영역이다.
USB 단자(118)는 클라이언트 컴퓨터(120)에 구비된 USB 포트(124)와 연결되는 커넥터로서, USB 포트(124)에서 전송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USB는 키보드, 모니터, 마우스, 프린터, 모뎀 등을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최대 127개의 장비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주변 기기가 연결되었을 때 자동인식이 되어서 재부팅이나 셋업과정 없이 연결이 되고, 설치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USB 단자(118)가 클라이언트 컴퓨터(120) 또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 등에 접속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구성된다.
릴레이(114)는 스위칭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클라이언트 컴퓨터(120)와 연결되도록 작동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크래들(111)에 탑재되면 릴레이(114)가 턴 온(TURN ON) 되어 클라이언트 컴퓨터(120)와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인터넷에 접속되어 인터넷 전화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스피커(116)는 인터넷 전화가 연결되었을 경우, 전화 벨 소리 및 상대방의 음성 등이 출력되는 부분이다.
한편, 스위칭 장치(110)는 사용자 및 상대방의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는 헤 드셋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스위칭 제어부(112)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크래들(111)에 탑재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클라이언트 컴퓨터(120)와 연결되도록 릴레이(114)를 제어하고, USB 단자(118)를 통하여 들어오는 신호에 따라 스피커(116)를 제어한다. 스위칭 제어부(112)에는 상기의 제어와 USB 통신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 제어부(112)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주는 코덱(CODEC)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컴퓨터(120)는 IAP(130)를 통하여 인터넷에 연결된다. 인터넷을 통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120)는 인터넷 전화 서버(140)에 연결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3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컴퓨터(120)는 제어부(122), USB 포트(124) 및 메모리(126)를 포함한다.
제어부(122)는 모뎀(미도시)을 거쳐 인터넷 전화 서버(140)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22)에는 인터넷 전화연결 제어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인터넷 전화연결 제어 프로그램은 스위칭 장치(11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릴레이(114) 제어, 스피커(116) 제어, 음성신호의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변환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클라이언트 컴퓨터(120)가 켜져 있을 때에는 램(RAM, 미도시)에 상주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22)는 사용자 등록정보(이름, 전화번호 등)를 입력받아 인터넷 전화 서버(140)로 IP 주소와 함께 전송한다. 또한 IP 주소가 온 상태인 것을 인터넷 전화 서버(140)에 알려줌으로써 클라이언트 컴퓨터(120)가 작동중임을 알려준다.
메모리(126)는 인터넷 전화연결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각종 데이터를 관리해주는 관리 서버 데이터가 저장된다.
USB 포트(124)는 스위칭 장치(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분으로, USB 단자(118)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IAP(Internet Access Point, 130)는 인터넷 전용선 서비스를 받는 경우 네트워크 접속장치(예를 들어, 이더넷 포트)일 수 있으며, NAP(Network Access Provider)가 제공하는 가입자 모뎀, 전화 가입자 망이나 케이블 텔레비젼 망과 같은 가입자 망, 사업자 모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로 구성할 수 있다. 즉, IAP(130)는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제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컴퓨터(120)는 IAP(130)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인터넷 전화 서버(140)는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다. 인터넷 전화 서버(140)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과 IP 주소 연결 관리 프로그램이 구비된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파일에는 사용자 이름, 아이디, 비밀번호, 전자메일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인터넷 연결 여부, 연결된 인터넷의 IP 주소 등도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칭 장치(110), 클라이언트 컴퓨터(120), IAP(130), 인터넷 전화 서버(140)가 구비된 단말기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기(150)와 인터넷 전화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스위칭 장치(110)에 연결되지 않을 경우, 일 반적인 공중전화망을 통해 전화가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단말기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160) 및 교환기(170)를 구비한다.
기지국(mobile base station, 16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교환기(170) 사이에 위치하여 무선링크와 유선링크에 적합하도록 신호 포멧을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기지국(160)은 무선채널과 탑에 장착된 송수신용 안테나 등으로 구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발신되는 전파는 수 킬로미터 간격으로 설치된 기지국(160)에 모아진다. 기지국(16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교환기(170)에 전달한다.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170)는 각 기지국(160)에서 발신 및 착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기지국(160)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표준전화신호를 사용하는 교환기(170)는 무선링크와 유선링크를 제어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고정된 기지국(160) 간 또는 다른 통신망과 접속하는 역할도 한다.
교환기(170)는 제어부, 통화로부, 주변기기 등으로 구성되며, 시스템 운용, 보전기능 및 과금 처리를 위한 기록저장 기능,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관한 정보를 수록한 데이터베이스 등도 포함된다. 또한 교환기(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소재를 관리한다.
이와 같이 스위칭 장치(110)를 이용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클라이언트 컴퓨터(12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 후 특정 지역에 설치된 인터넷폰 게이트웨이(Internet Phone Gateway, 미도시)를 거쳐 공중전화망(PSTN)에 접속하여 일반 전 화기와 통화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먼저 인터넷 전화를 이용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 등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컴퓨터(120)를 켜고 인터넷에 연결한다. 이때, 모뎀을 통하여 연결되는 IAP(130)는 클라이언트 컴퓨터(120)에 하나의 IP 주소를 할당하고, 웹브라우저를 가동시켜 인터넷 전화 서버(140)에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스위칭 장치(110)는 클라이언트 컴퓨터(120)의 USB 포트(124)에 연결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스위칭 장치(110)에 연결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120)는 인터넷 전화연결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인터넷 전화 서버(140)로부터 다운받아 설치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프로그램에 전화번호, 아이디, 패드워드 등을 입력하면 상기 정보들은 인터넷 전화 서버(140)로 전송되고, 인터넷 전화 서버(140)는 상기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크래들(111)에 탑재한다. 이때, 스위칭 제어부(112)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스위칭 장치(110)에 연결되었다는 것을 감지하고, 릴레이(114)를 턴 온 시켜 인터넷 전화 모드로 진입한다.
사용자가 전화 번호를 입력하면, 이 톤(TONE) 신호는 디지털 톤 신호로 변환되어 클라이언트 컴퓨터(120)에 전달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120)는 인터넷망에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디지털 톤 신호를 아날로그 톤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인터 넷폰 게이트웨이를 거쳐 공중전화망(PSTN)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대방의 일반 전화기(150)와 전화를 연결하게 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스위칭 장치(110)의 크래들(111)에 탑재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공중전화망(PSTN)을 이용한 일반적인 전화 연결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반적인 전화 연결에 대해서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는 사용자가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인터넷 전화와 이동통신 전화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는 인터넷 전화의 이용절차가 간편하고, 불필요한 통화비용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일반 전화모드 또는 인터넷 전화모드로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탑재되는 크래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탑재되면 인터넷 전화모드로 턴 온 되는 릴레이;
    인터넷 전화모드시 음성신호가 입출력되는 입출력부; 및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유에스비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성신호가 송수신되는 유에스비 단자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탑재되면, 상기 유에스비 단자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헤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스피커 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
KR1020050124273A 2005-12-16 2005-12-16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 KR100653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273A KR100653365B1 (ko) 2005-12-16 2005-12-16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273A KR100653365B1 (ko) 2005-12-16 2005-12-16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3365B1 true KR100653365B1 (ko) 2006-12-05

Family

ID=3773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273A KR100653365B1 (ko) 2005-12-16 2005-12-16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3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107B1 (ko) 2002-12-04 2010-12-16 엔엑스피 비 브이 듀얼 모드 전화기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060A (ko) * 2000-04-06 2000-07-05 김우정 인터넷폰과 일반 전화기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아답터
KR20010091272A (ko) * 2000-03-14 2001-10-23 한명수,한영수 인터넷폰 겸용 전화기
KR20010107469A (ko) * 2000-05-25 2001-12-07 황재엽 인터넷폰 송수화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핸드폰 및 방법
JP2004328370A (ja) 2003-04-24 2004-11-18 Toshiba Corp ハンズフリー通話方法および電話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KR20060027977A (ko) * 2004-09-24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복합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272A (ko) * 2000-03-14 2001-10-23 한명수,한영수 인터넷폰 겸용 전화기
KR20000037060A (ko) * 2000-04-06 2000-07-05 김우정 인터넷폰과 일반 전화기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아답터
KR20010107469A (ko) * 2000-05-25 2001-12-07 황재엽 인터넷폰 송수화기로 사용할 수 있는 핸드폰 및 방법
JP2004328370A (ja) 2003-04-24 2004-11-18 Toshiba Corp ハンズフリー通話方法および電話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KR20060027977A (ko) * 2004-09-24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복합 충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107B1 (ko) 2002-12-04 2010-12-16 엔엑스피 비 브이 듀얼 모드 전화기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9663B2 (en) Internet telephone system
KR100607140B1 (ko) 인터넷 전화기
US20090059907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docking station for communication device
US20070223455A1 (en) Method of switching between VoIP call and traditional call
US20040116108A1 (en) Internet phone system and internet phone service method for a mobile telephone
KR100357476B1 (ko) 블루투스-인터넷전화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EP2104322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voice-over internet protocol using license-free frequencies
US20070035611A1 (en) Mobile audio/video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KR20030055626A (ko)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호 서비스 방법
KR100653365B1 (ko) 인터넷 전화 겸용 단말기의 스위칭 장치
KR100344011B1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휴대전화와 pc 사이의 통신 서비스제공 시스템
JP2000341387A (ja) コンピュータのユニバーシャルシリアルバスポートを利用したインターネット電話装置およびインターネット電話通話方法
EP1773041A1 (en) Audio/video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internet to interconnect telephones
CN1997081B (zh) 一种基于蓝牙接口的无线终端接入方法及其设备
JP4434107B2 (ja) 宅内電話通信システム及び加入者宅内装置
JP4534323B2 (ja) 移動体網インタフェース手段を備えた電話機,および,その通信システム
KR2017005472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전환 모듈, 통화 전환 모듈의 통화 전환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그리고 통화 전환 시스템
KR100334087B1 (ko) 인터넷 전화기 인터페이스장치 및 인터넷-국선-외부전화기간 통화 구현방법
KR100462570B1 (ko) 블루투스 기반의 VoIP 서비스 접속 장치 및 그 방법
WO2006072777A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voice over ip technology
KR100735921B1 (ko) 브이.오.아이.피 폰과 그 폰에서 실행 가능한 2단계 콜라우팅 방법
KR100636269B1 (ko) 패킷케이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89863A (ko) 인터넷폰 기능 부가용 전화기 어댑터 및 그 동작방법
KR20080095046A (ko) 인터넷 전화 겸용 디지털 액자
KR20010016456A (ko) 인터넷 폰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인터넷 폰 통신방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